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19
Number of observations100
Missing cells26
Missing cells (%)1.4%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15.4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157.3 B

Variable types

Numeric1
Categorical17
Text1

Alerts

lwprt_theme_nm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sumry_cn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ctprvn_nm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signgu_nm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ctlstt_la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theme_nm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title_nm and 15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regist_de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cl_nm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title_nm and 15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middl_sbjt_nm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main_thumb_url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ctlstt_lo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sbjt_nm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cntnts_url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area_nm_dc_cn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lwprt_cl_nm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emd_nm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data_title_nm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manage_no and 16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data_manage_no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_title_nm and 14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addr has 26 (26.0%) missing valuesMissing
data_manage_no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3-12-10 09:39:38.203437
Analysis finished2023-12-10 09:39:42.509108
Duration4.31 seconds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data_manage_no
Real number (ℝ)

HIGH CORRELATION  UNIQUE 

Distinct10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1746.96
Minimum204
Maximum50000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0 KiB
2023-12-10T18:39:42.77105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204
5-th percentile209.95
Q1230.75
median256.5
Q3281.25
95-th percentile301.05
Maximum50000
Range49796
Interquartile range (IQR)50.5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8528.5503
Coefficient of variation (CV)4.8819379
Kurtosis29.897056
Mean1746.96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25.5
Skewness5.5945519
Sum174696
Variance72736170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0T18:39:43.14938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204 1
 
1.0%
268 1
 
1.0%
278 1
 
1.0%
277 1
 
1.0%
276 1
 
1.0%
275 1
 
1.0%
274 1
 
1.0%
273 1
 
1.0%
272 1
 
1.0%
271 1
 
1.0%
Other values (90) 90
90.0%
ValueCountFrequency (%)
204 1
1.0%
206 1
1.0%
207 1
1.0%
208 1
1.0%
209 1
1.0%
210 1
1.0%
212 1
1.0%
213 1
1.0%
214 1
1.0%
215 1
1.0%
ValueCountFrequency (%)
50000 1
1.0%
49999 1
1.0%
49998 1
1.0%
303 1
1.0%
302 1
1.0%
301 1
1.0%
300 1
1.0%
299 1
1.0%
298 1
1.0%
297 1
1.0%

data_title_nm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
63 
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
34 
소박하고 꾸밈없는 충청도식 냉면, 나박김치냉면
 
3

Length

Max length26
Median length19
Mean length21.56
Min length19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
2nd row소박하고 꾸밈없는 충청도식 냉면, 나박김치냉면
3rd row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
4th row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
5th row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 63
63.0%
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 34
34.0%
소박하고 꾸밈없는 충청도식 냉면, 나박김치냉면 3
 
3.0%

Length

2023-12-10T18:39:43.39986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3.57793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경기도 63
10.5%
화성시 63
10.5%
매송면 63
10.5%
야목리 63
10.5%
당제사 63
10.5%
합숙소 34
 
5.6%
사택과 34
 
5.6%
삼척개발 34
 
5.6%
34
 
5.6%
동해 34
 
5.6%
Other values (8) 117
19.4%

theme_nm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
Distinct (%)2.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생활문화
66 
역사문화유산
34 

Length

Max length6
Median length4
Mean length4.68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역사문화유산
2nd row생활문화
3rd row역사문화유산
4th row역사문화유산
5th row역사문화유산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생활문화 66
66.0%
역사문화유산 34
34.0%

Length

2023-12-10T18:39:43.77955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3.94528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생활문화 66
66.0%
역사문화유산 34
34.0%

lwprt_theme_nm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마을신앙
63 
근대문화유산
34 
향토음식
 
3

Length

Max length6
Median length4
Mean length4.68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근대문화유산
2nd row향토음식
3rd row근대문화유산
4th row근대문화유산
5th row근대문화유산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마을신앙 63
63.0%
근대문화유산 34
34.0%
향토음식 3
 
3.0%

Length

2023-12-10T18:39:44.22152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4.42464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마을신앙 63
63.0%
근대문화유산 34
34.0%
향토음식 3
 
3.0%

cl_nm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
Distinct (%)2.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생활과 민속
66 
문화유산
34 

Length

Max length6
Median length6
Mean length5.32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문화유산
2nd row생활과 민속
3rd row문화유산
4th row문화유산
5th row문화유산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생활과 민속 66
66.0%
문화유산 34
34.0%

Length

2023-12-10T18:39:44.63834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4.81464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생활과 66
39.8%
민속 66
39.8%
문화유산 34
20.5%

lwprt_cl_nm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민속
63 
건축유적
34 
생활
 
3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2
Mean length2.68
Min length2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건축유적
2nd row생활
3rd row건축유적
4th row건축유적
5th row건축유적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민속 63
63.0%
건축유적 34
34.0%
생활 3
 
3.0%

Length

2023-12-10T18:39:44.98784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5.22229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민속 63
63.0%
건축유적 34
34.0%
생활 3
 
3.0%

sbjt_nm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
63 
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
34 
지역 향토 음식
 
3

Length

Max length17
Median length13
Mean length14.21
Min length8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
2nd row지역 향토 음식
3rd row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
4th row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
5th row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 63
63.0%
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 34
34.0%
지역 향토 음식 3
 
3.0%

Length

2023-12-10T18:39:45.36977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5.51560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지역을 63
18.9%
대표하는 63
18.9%
마을신앙 63
18.9%
공간으로 34
10.2%
읽는 34
10.2%
근대문화 34
10.2%
역사유산 34
10.2%
지역 3
 
0.9%
향토 3
 
0.9%
음식 3
 
0.9%

middl_sbjt_nm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경기도의 마을신앙
63 
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
34 
<NA>
 
3

Length

Max length13
Median length9
Mean length10.21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
2nd row<NA>
3rd row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
4th row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
5th row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경기도의 마을신앙 63
63.0%
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 34
34.0%
<NA> 3
 
3.0%

Length

2023-12-10T18:39:45.71083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5.90319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경기도의 63
23.8%
마을신앙 63
23.8%
산업화의 34
12.8%
꿈이 34
12.8%
영근 34
12.8%
곳들 34
12.8%
na 3
 
1.1%

sumry_cn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
63 
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34 
네모지고 얇게 나박나박 썰어 담은 김치라 하여 이름 붙여진 나박김치는 동치미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물김치 중 하나이다. 나박김치와 육수를 합하여 냉면 국물로 사용하는 충청도의 향토 음식인 나박김치 냉면은 재료 그대로의 맛을 살려 맛이 순하고 꾸밈이 없고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3

Length

Max length365
Median length233
Mean length275.6
Min length157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2nd row네모지고 얇게 나박나박 썰어 담은 김치라 하여 이름 붙여진 나박김치는 동치미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물김치 중 하나이다. 나박김치와 육수를 합하여 냉면 국물로 사용하는 충청도의 향토 음식인 나박김치 냉면은 재료 그대로의 맛을 살려 맛이 순하고 꾸밈이 없고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3rd row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4th row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5th row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 63
63.0%
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34
34.0%
네모지고 얇게 나박나박 썰어 담은 김치라 하여 이름 붙여진 나박김치는 동치미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물김치 중 하나이다. 나박김치와 육수를 합하여 냉면 국물로 사용하는 충청도의 향토 음식인 나박김치 냉면은 재료 그대로의 맛을 살려 맛이 순하고 꾸밈이 없고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3
 
3.0%

Length

2023-12-10T18:39:46.15665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6.38945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68
 
1.1%
주택 68
 
1.1%
31개 68
 
1.1%
비료 68
 
1.1%
석회질소 68
 
1.1%
합숙소’는 68
 
1.1%
사택과 68
 
1.1%
삼척개발 68
 
1.1%
‘동해 68
 
1.1%
시작했다 63
 
1.0%
Other values (155) 5569
89.2%

main_thumb_url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
Distinct (%)2.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NA>
66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
34 

Length

Max length88
Median length4
Mean length32.56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
2nd row<NA>
3rd row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
4th row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
5th row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NA> 66
66.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 34
34.0%

Length

2023-12-10T18:39:46.64339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6.79035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na 66
66.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 34
34.0%

cntnts_url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
63 
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
34 
https://ncms.nculture.org/food/story/1717
 
3

Length

Max length43
Median length42
Mean length42.31
Min length41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
2nd rowhttps://ncms.nculture.org/food/story/1717
3rd row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
4th row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
5th row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 63
63.0%
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 34
34.0%
https://ncms.nculture.org/food/story/1717 3
 
3.0%

Length

2023-12-10T18:39:46.98700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7.15164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 63
63.0%
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 34
34.0%
https://ncms.nculture.org/food/story/1717 3
 
3.0%

ctprvn_nm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경기도
63 
강원도
34 
충청북도
 
3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3
Mean length3.03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강원도
2nd row충청북도
3rd row강원도
4th row강원도
5th row강원도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경기도 63
63.0%
강원도 34
34.0%
충청북도 3
 
3.0%

Length

2023-12-10T18:39:47.33300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7.48176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경기도 63
63.0%
강원도 34
34.0%
충청북도 3
 
3.0%

signgu_nm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화성시
63 
동해시
34 
충주시
 
3

Length

Max length3
Median length3
Mean length3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동해시
2nd row충주시
3rd row동해시
4th row동해시
5th row동해시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화성시 63
63.0%
동해시 34
34.0%
충주시 3
 
3.0%

Length

2023-12-10T18:39:47.65258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7.80736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화성시 63
63.0%
동해시 34
34.0%
충주시 3
 
3.0%

emd_nm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6
Distinct (%)26.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봉담읍
17 
남양읍
14 
마도면
11 
망상동
매송면
Other values (21)
41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3
Mean length3.05
Min length3

Unique

Unique14 ?
Unique (%)14.0%

Sample

1st row<NA>
2nd row수안보면
3rd row동회동
4th row망상동
5th row망상동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봉담읍 17
17.0%
남양읍 14
14.0%
마도면 11
11.0%
망상동 9
9.0%
매송면 8
8.0%
발한동 7
 
7.0%
북삼동 7
 
7.0%
비봉면 4
 
4.0%
수안보면 3
 
3.0%
묵호동 2
 
2.0%
Other values (16) 18
18.0%

Length

2023-12-10T18:39:47.98504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봉담읍 17
17.0%
남양읍 14
14.0%
마도면 11
11.0%
망상동 9
9.0%
매송면 8
8.0%
발한동 7
 
7.0%
북삼동 7
 
7.0%
비봉면 4
 
4.0%
수안보면 3
 
3.0%
송정동 2
 
2.0%
Other values (16) 18
18.0%

addr
Text

MISSING 

Distinct73
Distinct (%)98.6%
Missing26
Missing (%)26.0%
Memory size932.0 B
2023-12-10T18:39:48.35293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9
Median length3
Mean length3.1486486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33
Distinct characters112
Distinct categories3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4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72 ?
Unique (%)97.3%

Sample

1st row사문리
2nd row석둘(朽谷)
3rd row터일(基谷)
4th row웃골
5th row수회리
ValueCountFrequency (%)
용정 2
 
2.7%
금당리 1
 
1.4%
내리 1
 
1.4%
원평리 1
 
1.4%
원리 1
 
1.4%
어천리 1
 
1.4%
야목리 1
 
1.4%
숙곡리 1
 
1.4%
송라리 1
 
1.4%
해문리 1
 
1.4%
Other values (63) 63
85.1%
2023-12-10T18:39:49.36758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4
 
23.2%
5
 
2.1%
) 4
 
1.7%
( 4
 
1.7%
4
 
1.7%
4
 
1.7%
4
 
1.7%
4
 
1.7%
4
 
1.7%
3
 
1.3%
Other values (102) 143
61.4%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223
95.7%
Close Punctuation 5
 
2.1%
Open Punctuation 5
 
2.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54
 
24.2%
5
 
2.2%
4
 
1.8%
4
 
1.8%
4
 
1.8%
4
 
1.8%
4
 
1.8%
3
 
1.3%
3
 
1.3%
3
 
1.3%
Other values (98) 135
60.5%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
80.0%
] 1
 
2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
80.0%
[ 1
 
2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10
90.1%
Han 13
 
5.6%
Common 10
 
4.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54
25.7%
5
 
2.4%
4
 
1.9%
4
 
1.9%
4
 
1.9%
4
 
1.9%
4
 
1.9%
3
 
1.4%
3
 
1.4%
3
 
1.4%
Other values (86) 122
58.1%
Han
ValueCountFrequency (%)
2
15.4%
1
7.7%
1
7.7%
1
7.7%
1
7.7%
1
7.7%
1
7.7%
1
7.7%
1
7.7%
1
7.7%
Other values (2) 2
15.4%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4
40.0%
( 4
40.0%
[ 1
 
10.0%
] 1
 
1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10
90.1%
CJK 12
 
5.2%
ASCII 10
 
4.3%
CJK Compat Ideographs 1
 
0.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Hangul
ValueCountFrequency (%)
54
25.7%
5
 
2.4%
4
 
1.9%
4
 
1.9%
4
 
1.9%
4
 
1.9%
4
 
1.9%
3
 
1.4%
3
 
1.4%
3
 
1.4%
Other values (86) 122
58.1%
ASCII
ValueCountFrequency (%)
) 4
40.0%
( 4
40.0%
[ 1
 
10.0%
] 1
 
10.0%
CJK
ValueCountFrequency (%)
2
16.7%
1
8.3%
1
8.3%
1
8.3%
1
8.3%
1
8.3%
1
8.3%
1
8.3%
1
8.3%
1
8.3%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
100.0%

ctlstt_la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37.132415
63 
37.50671
34 
36.9872235
 
3

Length

Max length10
Median length9
Mean length8.69
Min length8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37.50671
2nd row36.9872235
3rd row37.50671
4th row37.50671
5th row37.50671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37.132415 63
63.0%
37.50671 34
34.0%
36.9872235 3
 
3.0%

Length

2023-12-10T18:39:49.61661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49.81539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37.132415 63
63.0%
37.50671 34
34.0%
36.9872235 3
 
3.0%

ctlstt_lo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126.92025
63 
129.117513
34 
127.897799
 
3

Length

Max length10
Median length9
Mean length9.37
Min length9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129.117513
2nd row127.897799
3rd row129.117513
4th row129.117513
5th row129.117513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126.92025 63
63.0%
129.117513 34
34.0%
127.897799 3
 
3.0%

Length

2023-12-10T18:39:50.01926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50.16406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126.92025 63
63.0%
129.117513 34
34.0%
127.897799 3
 
3.0%

area_nm_dc_cn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4
Distinct (%)24.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경기도 화성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읍이다. 현재의 봉담읍은 『호구총수』기록 당시 모지면(芼旨面)·삼봉면(三峰面)·갓등면(Q等面)·정송면 (貞松面)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모지면에는 오늘날의 수영리가, 삼봉면에는 오늘날의 동화리(驛村으로 기록됨, 즉 옛 동화역이 있던 곳)와 내리(內洞里로 기록됨)가, 갓등면에는 오늘날의 세곡리(細里로 기록됨)와 마하리(馬 乙里로 기록됨)가 각각 속해 있었다. 또 정송면에는 오늘 날의 분천리가 속해 있었다. 『팔도군현지도』나 『팔도지도』, 『해동여지도』등 이 무렵에 제작된 고지도에서는 모지면·삼봉면·갓등면의 3개 면은 거의 한 곳에 붙어 있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다만 정송면은 『동국여도』에만 모지면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1831년에 편찬된 『화성지』에 따르면 현재의 봉담면은 삼봉면과 갈담면 관할지 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갈담면은 이전의 정송면이 폐지되고 그 일부가 갈담면으로 되었다. 또 모지면은 삼봉면에 합쳐졌다고 『화성지』에 기록되어 있다. 갓등면의 통폐합에 대해 아무런 기록이 없지만, 이 역시 갈담면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에 제작된 『1872지방지도』를 보면, 현재의 봉담읍 왕림리 일대(삼천병마골로 표기)가 삼봉면과 갈담면의 경계인 것으로 나타나있다. 삼봉면과 갈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봉담면으로 통합되었다. 1998년에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 봉담이라는 면 이름 중에‘봉’은 옛 면 이름 삼봉면에서 따온 것이고 이때 삼봉은 이곳의 산 이름 삼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담’글자를 따온‘갈담’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17 
경기도 화성시의 서부에 위치한 동이다. 북쪽에는 시화호가 있고 남쪽에는 화성호(華城湖)가 있으며, 관내에 화성시청이 소재한다. 15개 법정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양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옛 음덕면(陰德面, 혹은 陰德里面), 화척지면(禾尺只面), 둔지곶면(屯知串面)을 합친 것이다. 옛 화척지면은 현재의 남양동 북쪽, 즉 신외동부터 송림동에 이르는 지역을 관할하였다. 고지도에 화리척면(禾里尺面)으로 표기된 경우가 많다. 옛 음덕면은 현재의 북양동·남양동·신남동 일대를 관할하였다. 이 음덕면에 옛 남양도호부 읍치가 있었다. 옛 둔지곶면은 지금의 남양동 남쪽을 관할하였다. 무송동·장덕동·안석동·활초동·온석동 일대가 옛 둔지곶면 관할지역에 속한다. 북양동에 있는 무봉산(舞鳳山)은 예전에 비봉산(飛鳳山)으로 불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이 비봉산을 “부의 진산(鎭山)이며 또봉림사(鳳林寺)가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지금도 이산에 봉림사가 있다. 또 『동국여도』에는 매 2, 7일마다 서는 읍장(邑場)이 표시되어 있다. 남양동이라는 이름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옛 남양군의 읍치가 있던 자리라 해서 붙인 것이다.,,*2014년 남양읍으로 전환되었다.-지역N문화
14 
경기도 화성시의 서쪽에 위치한 면이다. 남쪽 끝에는 화성호(華城湖)가 있다. 10개 법정 리를 관할한다. 현재의 마도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마도면(麻道面)과 쌍수리면(雙水里面)을 통합한 것이다. 쌍수리면은 지금의 마도면 북쪽 지역, 즉 송정리·두곡리·석교리 일대를 관할하였고, 옛 마도면은 지금의 마도면 남쪽 지역, 즉 슬항리·쌍송리·고모리 일대를 각각 관할하였다. 쌍수리면과 마도면의 명칭은 『여지도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지도로는 『여지대전도』에 처음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에 의하면 당시 마도면은 호수가 1,711호로 대부도(大阜島)를 제외하고 옛 남양에서 가장 큰 면이었다. 특히 이곳에 있는 해문역(海門驛, 현재의 해문리)은『세종실록지리지』에도 기록될 정도로 일찍 부터 중요한 곳이었다. 고지도들에서도 해문을 대부분 표기하고 있는데, 다만 해문의 위치가 현재보다 상당히 위쪽에 있는 것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는 당시 해문 일대는 양쪽에 바닷물이 들어와 읍치에서 마도뿐만 아니라 서부 지역으로 갈 때 이곳을 거쳐 가야만 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마도(麻道)라는 면 이름은 중국 사신이 삼베옷을 입고 이 지역을 지나갔다는 유래에서 ‘삼(麻)’자와 ‘길 (道)’자를 따온 것이라고 한다.
11 
강원도 동해시의 북쪽 끝에 위치한 동이다. 영동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나고, 동해안에는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만우동의 5개 법정동과 발한동의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위의 6개 법정동이 망상동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지도서』, 『호구총수』, 『1872년지방지도』에는 망상면(望祥面)이라 표기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망상촌(望祥村)이라고 적혀 있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망상은 본래 우계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말뜰 · 망생이라고 불리었다. 말뜰은 한자로 표기하면 마상평(馬上坪)이 되고, 망생이는 이두식으로 표기하면 망상이 된다. 그러므로 망상은 망아지를 뜻하는 망생이의 이두식 표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석하고 있다.
경기도 화성시의 북부에 위치한 면이다. 7개 법정리를 관할한다. 관내에 서해안고속 도로 매송IC가 있다. 매송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수원군 매곡면(梅谷面)과 송동면(松洞面)을 합친 것이다. 매곡면은 현재의 매송면 동쪽 지역에 해당하는데 그 이전 에는 호매절면(好梅折面)이 있었다. 이곳에 매곡서원(梅 谷書院)이 세워지면서 매곡면으로 바꾼 것으로 짐작된다. 매곡서원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배향하던 서원이었는데 1868년(고종 5)에 철폐되었다. 현재 매송면 서원말에 그 터가 남아 있다. 한편 18세기 고지도들에는 호매절면 서쪽에 어랑천면(於浪川面, 혹은 於浪面으 로도 기록됨)이 표시되어 었다. 『호구총수』에 호매절어랑 천면(好梅折於浪川面)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어랑천면은 호매절면에 통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송동면은 원래 광주부에 속했는데, 정조 때 수원으로 편입되었다. 『1872지방지도』에 송동면은 매곡면 서쪽에 있었던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송동면 부근에 빈정 포(濱汀浦)가 표시되어 있다. 빈정포가 있는 곳에 두 개의 하천이 합류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하천들은 각각 오늘날의 동화천과 반월천이다. 지금도 동화천과 반월천이 시화호로 유입되는 지점에 빈정이라는 마을이 있다. 『1872지방지도』이전의 고지도들은 빈정포 대신에 구포(鳩浦)를 주로 표시하였다. 이 구포는 지금의 빈정 맞은편에 있고 비봉면에 속한다.
Other values (19)
41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711
Mean length619.06
Min length353

Unique

Unique11 ?
Unique (%)11.0%

Sample

1st row강원도의 동해안 남부에 위치한 시이다. 시의 동쪽에는 묵호항과 북평항이 있고, 서쪽에는 두타산(1,352m)이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을 합해서 생겼다. 개청 당시에는 15개 동으로 편재되어 있었으나 1998년 행정구역 조정 때 10개 동으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10개의 행정동은 천곡동 · 송정동 · 북삼동 · 부곡동 · 동호동 · 발한동 · 묵호동 · 북평동 · 망상동 · 삼화동이다. 도시명은 '동해 바다'에서 빌려왔다. 동해에 함축된 특별한 의미와 함께, 두 읍이 모두 동해에 면하여 있는 점을 고려해서 동해시라고 이름을 붙였다. 동해 지명은 『삼국사기』에만 여러 번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오래 전부터 사용하여 왔다. 한 예를 들면 신라 30대 문무왕이 유언하기를 동해의 큰 바다 위에 장사지내도록 하였다.는 이른바 유언장동해구대석상(遺言葬東海口大石上)의 기록이 있다. 강릉의 향토지인 『증수임영지』에 동해는 강릉부 동쪽 10리 되는 곳에 있으며, 동쪽으로 바닷길이 일본과 이어져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2nd row충청북도 충주시의 남동쪽에 위치한 면이다. 달천의 지류인 석문천이 소조령(小鳥嶺)과 지름재에서 발원하여 면의 중앙부를 북서쪽으로 흐른다. 계곡이 깊어서 유역에 평야는 적으나 수회리(水回里) 일대에는 약간의 평야가 발달하여 있다. 면의 온천리에 있는 수안보 온천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인근에 조령관문이 있다. 현재 8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2005년 상모면(上芼面)에서 수안보면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전의 명칭 상모면은 삼한 시대에 마한의 영역 내에 있었지만 이후 백제에 통합되었다. 475년(고구려 장수왕 63)에는 고구려 장수왕의 남하 정책으로 국원성 지역의 잉근내부 관할 하의 상모현이 되었다. 그러나 551년(신라 진흥왕 12)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후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잉근내군을 괴양군으로 개칭하여 중원경에 영속시키면서 상모현도 중원경 관할이 되었다. 고려시대인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상모현이 속한 괴양군을 괴주로 개칭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상모현을 장연현으로 개칭하고 충주목의 직속현으로 두었다. 『고려사지리지』에 고구려 상모현이었는데 현종 9년(1018) 장연현에 속하게 되었다. 온천이 있다.라는 기록이 이들 사실을 뒷받침한다. 조선시대인 1394년(태조 3)에는 장연현과 장풍현을 합하였고, 1403년(태종 3)에는 장풍현을 장연의 '연'자와 장풍의 '풍'자를 합하여 연풍현이라 개칭하였다. 1476년(성종 7)에는 수회촌을 연풍현에 편입시켰다. 1895년에는 연풍현이 연풍군이 되면서 수안보는 고사리면과 수회면으로 분리되었다. 1914년에는 연풍군이 괴산군으로 흡수 · 통합되었고, 고사리면의 10개 리를 통합하여 상모면으로 칭하고 괴산군에 속하게 되었다. 1963년에는 괴산군에서 중원군으로 편입되었고, 1995년에는 충주시 관할구역이 되었다. 2005년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온천 이미지 구축을 위해 상모면에서 수안보면으로 개칭하였다. 법정리 중 온천리는 면사무소가 있는 곳으로 연풍현 고사리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 연풍군 고사리면과 수회면을 병합하여 괴
3rd row북삼동*은 강원도 동해시의 남동쪽에 위치한 동이다.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난다. 법정동인 지흥동 · 효가동 · 동회동 · 나안동 · 쇄운동 전체와 용정동 일부를 관할하는 행정동이다. 동명은 과거 북삼면을 이어받은 것이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법정동 중 지흥동은 내지흥(內智興), 효가동은 외지흥(外智興)이라 불렀다. 1914년 두 지역을 합해 효가리(孝街里)라 하였는데 효자 김겸(金謙)의 정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동회동(桐淮洞)은 동오리(東五里) 또는 동오리(桐梧里)였다. 동회(桐淮)는 마을 가운데로 흐르는 개천에 오동나무 다리가 있어 회수동천(淮水桐泉)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동오리(東五里)는 송정에서 5리 떨어져 있다고 해서 그렇게 불리었다. 이곳에는 동오제언(東五堤堰)이 있었는데, 1756년에 홍수로 무너졌다. 동오리(桐梧里)는 이 마을에 오동나무가 많은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한다.,,*한국지명유래집의 북삼동에 관할 법정동의 일부인 지흥동 · 효가동 · 동회동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내용을 삽입하였다.?지역N문화
4th row강원도 동해시의 북쪽 끝에 위치한 동이다. 영동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나고, 동해안에는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만우동의 5개 법정동과 발한동의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위의 6개 법정동이 망상동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지도서』, 『호구총수』, 『1872년지방지도』에는 망상면(望祥面)이라 표기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망상촌(望祥村)이라고 적혀 있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망상은 본래 우계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말뜰 · 망생이라고 불리었다. 말뜰은 한자로 표기하면 마상평(馬上坪)이 되고, 망생이는 이두식으로 표기하면 망상이 된다. 그러므로 망상은 망아지를 뜻하는 망생이의 이두식 표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석하고 있다.
5th row강원도 동해시의 북쪽 끝에 위치한 동이다. 영동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나고, 동해안에는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만우동의 5개 법정동과 발한동의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위의 6개 법정동이 망상동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지도서』, 『호구총수』, 『1872년지방지도』에는 망상면(望祥面)이라 표기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망상촌(望祥村)이라고 적혀 있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망상은 본래 우계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말뜰 · 망생이라고 불리었다. 말뜰은 한자로 표기하면 마상평(馬上坪)이 되고, 망생이는 이두식으로 표기하면 망상이 된다. 그러므로 망상은 망아지를 뜻하는 망생이의 이두식 표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석하고 있다.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경기도 화성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읍이다. 현재의 봉담읍은 『호구총수』기록 당시 모지면(芼旨面)·삼봉면(三峰面)·갓등면(Q等面)·정송면 (貞松面)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모지면에는 오늘날의 수영리가, 삼봉면에는 오늘날의 동화리(驛村으로 기록됨, 즉 옛 동화역이 있던 곳)와 내리(內洞里로 기록됨)가, 갓등면에는 오늘날의 세곡리(細里로 기록됨)와 마하리(馬 乙里로 기록됨)가 각각 속해 있었다. 또 정송면에는 오늘 날의 분천리가 속해 있었다. 『팔도군현지도』나 『팔도지도』, 『해동여지도』등 이 무렵에 제작된 고지도에서는 모지면·삼봉면·갓등면의 3개 면은 거의 한 곳에 붙어 있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다만 정송면은 『동국여도』에만 모지면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1831년에 편찬된 『화성지』에 따르면 현재의 봉담면은 삼봉면과 갈담면 관할지 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갈담면은 이전의 정송면이 폐지되고 그 일부가 갈담면으로 되었다. 또 모지면은 삼봉면에 합쳐졌다고 『화성지』에 기록되어 있다. 갓등면의 통폐합에 대해 아무런 기록이 없지만, 이 역시 갈담면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에 제작된 『1872지방지도』를 보면, 현재의 봉담읍 왕림리 일대(삼천병마골로 표기)가 삼봉면과 갈담면의 경계인 것으로 나타나있다. 삼봉면과 갈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봉담면으로 통합되었다. 1998년에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 봉담이라는 면 이름 중에‘봉’은 옛 면 이름 삼봉면에서 따온 것이고 이때 삼봉은 이곳의 산 이름 삼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담’글자를 따온‘갈담’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17
17.0%
경기도 화성시의 서부에 위치한 동이다. 북쪽에는 시화호가 있고 남쪽에는 화성호(華城湖)가 있으며, 관내에 화성시청이 소재한다. 15개 법정 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양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옛 음덕면(陰德面, 혹은 陰德里面), 화척지면(禾尺只面), 둔지곶면(屯知串面)을 합친 것이다. 옛 화척지면은 현재의 남양동 북쪽, 즉 신외동부터 송림동에 이르는 지역을 관할하였다. 고지도에 화리척면(禾里尺面)으로 표기된 경우가 많다. 옛 음덕면은 현재의 북양동·남양동·신남동 일대를 관할하였다. 이 음덕면에 옛 남양도호부 읍치가 있었다. 옛 둔지곶면은 지금의 남양동 남쪽을 관할하였다. 무송동·장덕동·안석동·활초동·온석동 일대가 옛 둔지곶면 관할지역에 속한다. 북양동에 있는 무봉산(舞鳳山)은 예전에 비봉산(飛鳳山)으로 불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이 비봉산을 “부의 진산(鎭山)이며 또봉림사(鳳林寺)가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지금도 이산에 봉림사가 있다. 또 『동국여도』에는 매 2, 7일마다 서는 읍장(邑場)이 표시되어 있다. 남양동이라는 이름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옛 남양군의 읍치가 있던 자리라 해서 붙인 것이다.,,*2014년 남양읍으로 전환되었다.-지역N문화 14
14.0%
경기도 화성시의 서쪽에 위치한 면이다. 남쪽 끝에는 화성호(華城湖)가 있다. 10개 법정 리를 관할한다. 현재의 마도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마도면(麻道面)과 쌍수리면(雙水里面)을 통합한 것이다. 쌍수리면은 지금의 마도면 북쪽 지역, 즉 송정리·두곡리·석교리 일대를 관할하였고, 옛 마도면은 지금의 마도면 남쪽 지역, 즉 슬항리·쌍송리·고모리 일대를 각각 관할하였다. 쌍수리면과 마도면의 명칭은 『여지도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지도로는 『여지대전도』에 처음으로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에 의하면 당시 마도면은 호수가 1,711호로 대부도(大阜島)를 제외하고 옛 남양에서 가장 큰 면이었다. 특히 이곳에 있는 해문역(海門驛, 현재의 해문리)은『세종실록지리지』에도 기록될 정도로 일찍 부터 중요한 곳이었다. 고지도들에서도 해문을 대부분 표기하고 있는데, 다만 해문의 위치가 현재보다 상당히 위쪽에 있는 것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는 당시 해문 일대는 양쪽에 바닷물이 들어와 읍치에서 마도뿐만 아니라 서부 지역으로 갈 때 이곳을 거쳐 가야만 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마도(麻道)라는 면 이름은 중국 사신이 삼베옷을 입고 이 지역을 지나갔다는 유래에서 ‘삼(麻)’자와 ‘길 (道)’자를 따온 것이라고 한다. 11
11.0%
강원도 동해시의 북쪽 끝에 위치한 동이다. 영동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나고, 동해안에는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만우동의 5개 법정동과 발한동의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위의 6개 법정동이 망상동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지도서』, 『호구총수』, 『1872년지방지도』에는 망상면(望祥面)이라 표기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망상촌(望祥村)이라고 적혀 있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망상은 본래 우계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말뜰 · 망생이라고 불리었다. 말뜰은 한자로 표기하면 마상평(馬上坪)이 되고, 망생이는 이두식으로 표기하면 망상이 된다. 그러므로 망상은 망아지를 뜻하는 망생이의 이두식 표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석하고 있다. 9
9.0%
경기도 화성시의 북부에 위치한 면이다. 7개 법정리를 관할한다. 관내에 서해안고속 도로 매송IC가 있다. 매송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수원군 매곡면(梅谷面)과 송동면(松洞面)을 합친 것이다. 매곡면은 현재의 매송면 동쪽 지역에 해당하는데 그 이전 에는 호매절면(好梅折面)이 있었다. 이곳에 매곡서원(梅 谷書院)이 세워지면서 매곡면으로 바꾼 것으로 짐작된다. 매곡서원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배향하던 서원이었는데 1868년(고종 5)에 철폐되었다. 현재 매송면 서원말에 그 터가 남아 있다. 한편 18세기 고지도들에는 호매절면 서쪽에 어랑천면(於浪川面, 혹은 於浪面으 로도 기록됨)이 표시되어 었다. 『호구총수』에 호매절어랑 천면(好梅折於浪川面)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미 어랑천면은 호매절면에 통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송동면은 원래 광주부에 속했는데, 정조 때 수원으로 편입되었다. 『1872지방지도』에 송동면은 매곡면 서쪽에 있었던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송동면 부근에 빈정 포(濱汀浦)가 표시되어 있다. 빈정포가 있는 곳에 두 개의 하천이 합류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하천들은 각각 오늘날의 동화천과 반월천이다. 지금도 동화천과 반월천이 시화호로 유입되는 지점에 빈정이라는 마을이 있다. 『1872지방지도』이전의 고지도들은 빈정포 대신에 구포(鳩浦)를 주로 표시하였다. 이 구포는 지금의 빈정 맞은편에 있고 비봉면에 속한다. 8
8.0%
강원도 동해시의 북동쪽에 위치한 동이다. 법정동 발한동은 행정동 동호동 · 발한동 · 망상동의 관할이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발한3리 · 발한11리 · 발한12리를 합해 사문동(士文洞)으로 하였다. 사문동은 1998년 행정구역 조정 때 향로동을 더해서 발한동(發翰洞)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조선 중기 이후 사뭇재 남서쪽 골짜기에 '큰바란이'라는 작은 마을이 있었다. 이곳에 조선 숙종 때 청주 한씨가 들어와 터를 잡기 시작하면서 선비들이 많아지자 유림에서 그곳을 발한(發翰)이라 불렀다고 한다. 또 다른 유래로서, 청주 한씨들이 개척 하였다고 해서 발한(發韓)이라 하였으나 지명에 성씨를 붙이면 좋지 않다고 해서 발한(發翰)으로 하였다는 설도 있다. 지명이 지도에 처음 표기된 것은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조선지형도』이다. 7
7.0%
북삼동*은 강원도 동해시의 남동쪽에 위치한 동이다.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난다. 법정동인 지흥동 · 효가동 · 동회동 · 나안동 · 쇄운동 전체와 용정동 일부를 관할하는 행정동이다. 동명은 과거 북삼면을 이어받은 것이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법정동 중 지흥동은 내지흥(內智興), 효가동은 외지흥(外智興)이라 불렀다. 1914년 두 지역을 합해 효가리(孝街里)라 하였는데 효자 김겸(金謙)의 정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동회동(桐淮洞)은 동오리(東五里) 또는 동오리(桐梧里)였다. 동회(桐淮)는 마을 가운데로 흐르는 개천에 오동나무 다리가 있어 회수동천(淮水桐泉)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동오리(東五里)는 송정에서 5리 떨어져 있다고 해서 그렇게 불리었다. 이곳에는 동오제언(東五堤堰)이 있었는데, 1756년에 홍수로 무너졌다. 동오리(桐梧里)는 이 마을에 오동나무가 많은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한다. 7
7.0%
경기도 화성시의 북부에 위치한 면이다. 북쪽 끝에 시화호가 있다. 8개 법정리를 관할 하고 있다. 현재의 비봉면은 조선시대 말 남양군 며지곶면( 知串面 혹은 彌知串面)과 저팔리면(楮八里面) 그리고 인천부의 월경지(越境地)였던 이포면(梨浦面)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3개 면을 합쳐 비봉면으로 하였다. 며지곶면은 현재의 면 북쪽, 즉 구포리·양로리·쌍학리 일대에 있었고, 저팔리면은 현재의 면 남쪽 자안리·요곡리 일대에 있었다. 한편 이포면은 현재의 삼화리 배꽃지, 이화동 일대에 있었다. 저팔리 면에는 원래 고려시대 재양현(載陽縣) 읍치가 있었다. 오늘날의 비봉면 자안리가 그곳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지』에 “재양현은 부의 동쪽 10리에 있고, 옛날 안양현(安養縣)이었는데 고려 현종 때 재양현으로 바뀌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비봉(飛鳳)이라는 면 이름은 1914년 행정구역 때 붙인 것인데, 비봉산(飛鳳山)에서 따온 것이다. 비봉산은 예로부터 남양의 진산(鎭山)이었다. 이 때문에 옛읍지나 고지도들에서 빠짐없이 기록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비봉산 대신에 구봉산(九峰山)으로 불린다. 구봉산은 행정구역상 남양동에 속하는데, 언제 이 이름을 붙였는지는 알 수 없다. 한편 비봉면의 북쪽 끝에 위치하는 구포리는 오래전부터 중요한 포구 중의 하나로 인식되었고 5일장이 섰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각종 고지도에 구포가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고, 『1872지방지도』에 구포장 (鳩浦場)이 표시되어 있다. 4
 
4.0%
북삼동*은 강원도 동해시의 남동쪽에 위치한 동이다.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난다. 법정동인 지흥동 · 효가동 · 동회동 · 나안동 · 쇄운동 전체와 용정동 일부를 관할하는 행정동이다. 동명은 과거 북삼면을 이어받은 것이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법정동 중 지흥동은 내지흥(內智興), 효가동은 외지흥(外智興)이라 불렀다. 1914년 두 지역을 합해 효가리(孝街里)라 하였는데 효자 김겸(金謙)의 정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동회동(桐淮洞)은 동오리(東五里) 또는 동오리(桐梧里)였다. 동회(桐淮)는 마을 가운데로 흐르는 개천에 오동나무 다리가 있어 회수동천(淮水桐泉)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동오리(東五里)는 송정에서 5리 떨어져 있다고 해서 그렇게 불리었다. 이곳에는 동오제언(東五堤堰)이 있었는데, 1756년에 홍수로 무너졌다. 동오리(桐梧里)는 이 마을에 오동나무가 많은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한다.,,*한국지명유래집의 북삼동에 관할 법정동의 일부인 지흥동 · 효가동 · 동회동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내용을 삽입하였다.?지역N문화 3
 
3.0%
충청북도 충주시의 남동쪽에 위치한 면이다. 달천의 지류인 석문천이 소조령(小鳥嶺)과 지름재에서 발원하여 면의 중앙부를 북서쪽으로 흐른다. 계곡이 깊어서 유역에 평야는 적으나 수회리(水回里) 일대에는 약간의 평야가 발달하여 있다. 면의 온천리에 있는 수안보 온천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인근에 조령관문이 있다. 현재 8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2005년 상모면(上芼面)에서 수안보면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전의 명칭 상모면은 삼한 시대에 마한의 영역 내에 있었지만 이후 백제에 통합되었다. 475년(고구려 장수왕 63)에는 고구려 장수왕의 남하 정책으로 국원성 지역의 잉근내부 관할 하의 상모현이 되었다. 그러나 551년(신라 진흥왕 12)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후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잉근내군을 괴양군으로 개칭하여 중원경에 영속시키면서 상모현도 중원경 관할이 되었다. 고려시대인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상모현이 속한 괴양군을 괴주로 개칭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상모현을 장연현으로 개칭하고 충주목의 직속현으로 두었다. 『고려사지리지』에 고구려 상모현이었는데 현종 9년(1018) 장연현에 속하게 되었다. 온천이 있다.라는 기록이 이들 사실을 뒷받침한다. 조선시대인 1394년(태조 3)에는 장연현과 장풍현을 합하였고, 1403년(태종 3)에는 장풍현을 장연의 '연'자와 장풍의 '풍'자를 합하여 연풍현이라 개칭하였다. 1476년(성종 7)에는 수회촌을 연풍현에 편입시켰다. 1895년에는 연풍현이 연풍군이 되면서 수안보는 고사리면과 수회면으로 분리되었다. 1914년에는 연풍군이 괴산군으로 흡수 · 통합되었고, 고사리면의 10개 리를 통합하여 상모면으로 칭하고 괴산군에 속하게 되었다. 1963년에는 괴산군에서 중원군으로 편입되었고, 1995년에는 충주시 관할구역이 되었다. 2005년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온천 이미지 구축을 위해 상모면에서 수안보면으로 개칭하였다. 법정리 중 온천리는 면사무소가 있는 곳으로 연풍현 고사리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 연풍군 고사리면과 수회면을 병합하여 괴 3
 
3.0%
Other values (14) 17
17.0%

Length

2023-12-10T18:39:50.34723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있다 370
 
2.9%
160
 
1.3%
· 157
 
1.2%
149
 
1.2%
현재의 129
 
1.0%
112
 
0.9%
있었다 111
 
0.9%
위치한 100
 
0.8%
것으로 89
 
0.7%
1914년 89
 
0.7%
Other values (1550) 11127
88.4%

regist_de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3
Distinct (%)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20180717
63 
20180704
34 
20180718
 
3

Length

Max length8
Median length8
Mean length8
Min length8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20180704
2nd row20180718
3rd row20180704
4th row20180704
5th row20180704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20180717 63
63.0%
20180704 34
34.0%
20180718 3
 
3.0%

Length

2023-12-10T18:39:50.54803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8:39:50.71243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20180717 63
63.0%
20180704 34
34.0%
20180718 3
 
3.0%

Interactions

2023-12-10T18:39:41.47528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Correlations

2023-12-10T18:39:50.87987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data_manage_nodata_title_nmtheme_nmlwprt_theme_nmcl_nmlwprt_cl_nmsbjt_nmmiddl_sbjt_nmsumry_cncntnts_urlctprvn_nmsigngu_nmemd_nmaddrctlstt_lactlstt_loarea_nm_dc_cnregist_de
data_manage_no1.0001.0000.0001.0000.0001.0001.000NaN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data_title_nm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theme_nm0.0001.0001.0001.0000.999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lwprt_theme_nm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cl_nm0.0001.0000.999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lwprt_cl_nm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sbjt_nm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middl_sbjt_nmNaN0.9990.9990.9990.9990.9990.9991.0000.9990.9990.9990.9991.0001.0000.9990.9991.0000.999
sumry_cn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cntnts_url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ctprvn_nm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signgu_nm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emd_nm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0.0001.0001.0001.0001.000
addr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0.0001.0001.0001.0000.0001.000
ctlstt_la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ctlstt_lo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area_nm_dc_cn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0.0001.0001.0001.0001.000
regist_de1.0001.0001.0001.0001.0001.0001.0000.999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2023-12-10T18:39:51.24949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wprt_theme_nmsumry_cnctprvn_nmsigngu_nmctlstt_latheme_nmregist_decl_nmmiddl_sbjt_nmmain_thumb_urlctlstt_losbjt_nmcntnts_urlarea_nm_dc_cnlwprt_cl_nmemd_nmdata_title_nm
lwprt_theme_nm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sumry_cn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ctprvn_nm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signgu_nm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ctlstt_la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theme_nm0.9950.9950.9950.9950.9951.0000.9950.9770.9771.0000.9950.9950.9950.8810.9950.8720.995
regist_de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cl_nm0.9950.9950.9950.9950.9950.9770.9951.0000.9771.0000.9950.9950.9950.8810.9950.8720.995
middl_sbjt_nm0.9770.9770.9770.9770.9770.9770.9770.9771.0001.0000.9770.9770.9770.8830.9770.8740.977
main_thumb_url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ctlstt_lo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sbjt_nm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cntnts_url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area_nm_dc_cn0.8850.8850.8850.8850.8850.8810.8850.8810.8831.0000.8850.8850.8851.0000.8850.9800.885
lwprt_cl_nm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emd_nm0.8770.8770.8770.8770.8770.8720.8770.8720.8741.0000.8770.8770.8770.9800.8771.0000.877
data_title_nm1.0001.0001.0001.0001.0000.9951.0000.9950.9771.0001.0001.0001.0000.8851.0000.8771.000
2023-12-10T18:39:51.62157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data_manage_nodata_title_nmtheme_nmlwprt_theme_nmcl_nmlwprt_cl_nmsbjt_nmmiddl_sbjt_nmsumry_cnmain_thumb_urlcntnts_urlctprvn_nmsigngu_nmemd_nmctlstt_lactlstt_loarea_nm_dc_cnregist_de
data_manage_no1.0000.9950.0000.9950.0000.9950.9951.0000.9951.0000.9950.9950.9950.8720.9950.9950.8810.995
data_title_nm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theme_nm0.0000.9951.0000.9950.9770.9950.9950.9770.9951.0000.9950.9950.9950.8720.9950.9950.8810.995
lwprt_theme_nm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cl_nm0.0000.9950.9770.9951.0000.9950.9950.9770.9951.0000.9950.9950.9950.8720.9950.9950.8810.995
lwprt_cl_nm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sbjt_nm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middl_sbjt_nm1.0000.9770.9770.9770.9770.9770.9771.0000.9771.0000.9770.9770.9770.8740.9770.9770.8830.977
sumry_cn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main_thumb_url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cntnts_url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ctprvn_nm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signgu_nm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emd_nm0.8720.8770.8720.8770.8720.8770.8770.8740.8771.0000.8770.8770.8771.0000.8770.8770.9800.877
ctlstt_la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ctlstt_lo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area_nm_dc_cn0.8810.8850.8810.8850.8810.8850.8850.8830.8851.0000.8850.8850.8850.9800.8850.8851.0000.885
regist_de0.9951.0000.9951.0000.9951.0001.0000.9771.0001.0001.0001.0001.0000.8771.0001.0000.8851.000

Missing values

2023-12-10T18:39:41.88163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3-12-10T18:39:42.35600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Sample

data_manage_nodata_title_nmtheme_nmlwprt_theme_nmcl_nmlwprt_cl_nmsbjt_nmmiddl_sbjt_nmsumry_cnmain_thumb_urlcntnts_urlctprvn_nmsigngu_nmemd_nmaddrctlstt_lactlstt_loarea_nm_dc_cnregist_de
0204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역사문화유산근대문화유산문화유산건축유적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강원도동해시<NA><NA>37.50671129.117513강원도의 동해안 남부에 위치한 시이다. 시의 동쪽에는 묵호항과 북평항이 있고, 서쪽에는 두타산(1,352m)이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을 합해서 생겼다. 개청 당시에는 15개 동으로 편재되어 있었으나 1998년 행정구역 조정 때 10개 동으로 고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10개의 행정동은 천곡동 · 송정동 · 북삼동 · 부곡동 · 동호동 · 발한동 · 묵호동 · 북평동 · 망상동 · 삼화동이다. 도시명은 '동해 바다'에서 빌려왔다. 동해에 함축된 특별한 의미와 함께, 두 읍이 모두 동해에 면하여 있는 점을 고려해서 동해시라고 이름을 붙였다. 동해 지명은 『삼국사기』에만 여러 번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오래 전부터 사용하여 왔다. 한 예를 들면 신라 30대 문무왕이 유언하기를 동해의 큰 바다 위에 장사지내도록 하였다.는 이른바 유언장동해구대석상(遺言葬東海口大石上)의 기록이 있다. 강릉의 향토지인 『증수임영지』에 동해는 강릉부 동쪽 10리 되는 곳에 있으며, 동쪽으로 바닷길이 일본과 이어져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20180704
149998소박하고 꾸밈없는 충청도식 냉면, 나박김치냉면생활문화향토음식생활과 민속생활지역 향토 음식<NA>네모지고 얇게 나박나박 썰어 담은 김치라 하여 이름 붙여진 나박김치는 동치미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물김치 중 하나이다. 나박김치와 육수를 합하여 냉면 국물로 사용하는 충청도의 향토 음식인 나박김치 냉면은 재료 그대로의 맛을 살려 맛이 순하고 꾸밈이 없고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NA>https://ncms.nculture.org/food/story/1717충청북도충주시수안보면사문리36.987223127.897799충청북도 충주시의 남동쪽에 위치한 면이다. 달천의 지류인 석문천이 소조령(小鳥嶺)과 지름재에서 발원하여 면의 중앙부를 북서쪽으로 흐른다. 계곡이 깊어서 유역에 평야는 적으나 수회리(水回里) 일대에는 약간의 평야가 발달하여 있다. 면의 온천리에 있는 수안보 온천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인근에 조령관문이 있다. 현재 8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2005년 상모면(上芼面)에서 수안보면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전의 명칭 상모면은 삼한 시대에 마한의 영역 내에 있었지만 이후 백제에 통합되었다. 475년(고구려 장수왕 63)에는 고구려 장수왕의 남하 정책으로 국원성 지역의 잉근내부 관할 하의 상모현이 되었다. 그러나 551년(신라 진흥왕 12)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후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잉근내군을 괴양군으로 개칭하여 중원경에 영속시키면서 상모현도 중원경 관할이 되었다. 고려시대인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상모현이 속한 괴양군을 괴주로 개칭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상모현을 장연현으로 개칭하고 충주목의 직속현으로 두었다. 『고려사지리지』에 고구려 상모현이었는데 현종 9년(1018) 장연현에 속하게 되었다. 온천이 있다.라는 기록이 이들 사실을 뒷받침한다. 조선시대인 1394년(태조 3)에는 장연현과 장풍현을 합하였고, 1403년(태종 3)에는 장풍현을 장연의 '연'자와 장풍의 '풍'자를 합하여 연풍현이라 개칭하였다. 1476년(성종 7)에는 수회촌을 연풍현에 편입시켰다. 1895년에는 연풍현이 연풍군이 되면서 수안보는 고사리면과 수회면으로 분리되었다. 1914년에는 연풍군이 괴산군으로 흡수 · 통합되었고, 고사리면의 10개 리를 통합하여 상모면으로 칭하고 괴산군에 속하게 되었다. 1963년에는 괴산군에서 중원군으로 편입되었고, 1995년에는 충주시 관할구역이 되었다. 2005년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온천 이미지 구축을 위해 상모면에서 수안보면으로 개칭하였다. 법정리 중 온천리는 면사무소가 있는 곳으로 연풍현 고사리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 연풍군 고사리면과 수회면을 병합하여 괴20180718
2206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역사문화유산근대문화유산문화유산건축유적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강원도동해시동회동<NA>37.50671129.117513북삼동*은 강원도 동해시의 남동쪽에 위치한 동이다.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난다. 법정동인 지흥동 · 효가동 · 동회동 · 나안동 · 쇄운동 전체와 용정동 일부를 관할하는 행정동이다. 동명은 과거 북삼면을 이어받은 것이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법정동 중 지흥동은 내지흥(內智興), 효가동은 외지흥(外智興)이라 불렀다. 1914년 두 지역을 합해 효가리(孝街里)라 하였는데 효자 김겸(金謙)의 정려가 있었기 때문이다. 동회동(桐淮洞)은 동오리(東五里) 또는 동오리(桐梧里)였다. 동회(桐淮)는 마을 가운데로 흐르는 개천에 오동나무 다리가 있어 회수동천(淮水桐泉)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동오리(東五里)는 송정에서 5리 떨어져 있다고 해서 그렇게 불리었다. 이곳에는 동오제언(東五堤堰)이 있었는데, 1756년에 홍수로 무너졌다. 동오리(桐梧里)는 이 마을에 오동나무가 많은 데서 유래하였다고 전한다.,,*한국지명유래집의 북삼동에 관할 법정동의 일부인 지흥동 · 효가동 · 동회동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내용을 삽입하였다.?지역N문화20180704
3207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역사문화유산근대문화유산문화유산건축유적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강원도동해시망상동<NA>37.50671129.117513강원도 동해시의 북쪽 끝에 위치한 동이다. 영동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나고, 동해안에는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만우동의 5개 법정동과 발한동의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위의 6개 법정동이 망상동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지도서』, 『호구총수』, 『1872년지방지도』에는 망상면(望祥面)이라 표기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망상촌(望祥村)이라고 적혀 있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망상은 본래 우계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말뜰 · 망생이라고 불리었다. 말뜰은 한자로 표기하면 마상평(馬上坪)이 되고, 망생이는 이두식으로 표기하면 망상이 된다. 그러므로 망상은 망아지를 뜻하는 망생이의 이두식 표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석하고 있다.20180704
4208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역사문화유산근대문화유산문화유산건축유적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강원도동해시망상동석둘(朽谷)37.50671129.117513강원도 동해시의 북쪽 끝에 위치한 동이다. 영동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나고, 동해안에는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만우동의 5개 법정동과 발한동의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위의 6개 법정동이 망상동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지도서』, 『호구총수』, 『1872년지방지도』에는 망상면(望祥面)이라 표기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망상촌(望祥村)이라고 적혀 있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망상은 본래 우계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말뜰 · 망생이라고 불리었다. 말뜰은 한자로 표기하면 마상평(馬上坪)이 되고, 망생이는 이두식으로 표기하면 망상이 된다. 그러므로 망상은 망아지를 뜻하는 망생이의 이두식 표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석하고 있다.20180704
5209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역사문화유산근대문화유산문화유산건축유적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강원도동해시망상동터일(基谷)37.50671129.117513강원도 동해시의 북쪽 끝에 위치한 동이다. 영동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나고, 동해안에는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만우동의 5개 법정동과 발한동의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위의 6개 법정동이 망상동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지도서』, 『호구총수』, 『1872년지방지도』에는 망상면(望祥面)이라 표기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망상촌(望祥村)이라고 적혀 있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망상은 본래 우계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말뜰 · 망생이라고 불리었다. 말뜰은 한자로 표기하면 마상평(馬上坪)이 되고, 망생이는 이두식으로 표기하면 망상이 된다. 그러므로 망상은 망아지를 뜻하는 망생이의 이두식 표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석하고 있다.20180704
6210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역사문화유산근대문화유산문화유산건축유적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강원도동해시망상동웃골37.50671129.117513강원도 동해시의 북쪽 끝에 위치한 동이다. 영동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나고, 동해안에는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만우동의 5개 법정동과 발한동의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위의 6개 법정동이 망상동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지도서』, 『호구총수』, 『1872년지방지도』에는 망상면(望祥面)이라 표기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망상촌(望祥村)이라고 적혀 있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망상은 본래 우계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말뜰 · 망생이라고 불리었다. 말뜰은 한자로 표기하면 마상평(馬上坪)이 되고, 망생이는 이두식으로 표기하면 망상이 된다. 그러므로 망상은 망아지를 뜻하는 망생이의 이두식 표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석하고 있다.20180704
749999소박하고 꾸밈없는 충청도식 냉면, 나박김치냉면생활문화향토음식생활과 민속생활지역 향토 음식<NA>네모지고 얇게 나박나박 썰어 담은 김치라 하여 이름 붙여진 나박김치는 동치미와 함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물김치 중 하나이다. 나박김치와 육수를 합하여 냉면 국물로 사용하는 충청도의 향토 음식인 나박김치 냉면은 재료 그대로의 맛을 살려 맛이 순하고 꾸밈이 없고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NA>https://ncms.nculture.org/food/story/1717충청북도충주시수안보면수회리36.987223127.897799충청북도 충주시의 남동쪽에 위치한 면이다. 달천의 지류인 석문천이 소조령(小鳥嶺)과 지름재에서 발원하여 면의 중앙부를 북서쪽으로 흐른다. 계곡이 깊어서 유역에 평야는 적으나 수회리(水回里) 일대에는 약간의 평야가 발달하여 있다. 면의 온천리에 있는 수안보 온천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 인근에 조령관문이 있다. 현재 8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2005년 상모면(上芼面)에서 수안보면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전의 명칭 상모면은 삼한 시대에 마한의 영역 내에 있었지만 이후 백제에 통합되었다. 475년(고구려 장수왕 63)에는 고구려 장수왕의 남하 정책으로 국원성 지역의 잉근내부 관할 하의 상모현이 되었다. 그러나 551년(신라 진흥왕 12)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후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잉근내군을 괴양군으로 개칭하여 중원경에 영속시키면서 상모현도 중원경 관할이 되었다. 고려시대인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상모현이 속한 괴양군을 괴주로 개칭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상모현을 장연현으로 개칭하고 충주목의 직속현으로 두었다. 『고려사지리지』에 고구려 상모현이었는데 현종 9년(1018) 장연현에 속하게 되었다. 온천이 있다.라는 기록이 이들 사실을 뒷받침한다. 조선시대인 1394년(태조 3)에는 장연현과 장풍현을 합하였고, 1403년(태종 3)에는 장풍현을 장연의 '연'자와 장풍의 '풍'자를 합하여 연풍현이라 개칭하였다. 1476년(성종 7)에는 수회촌을 연풍현에 편입시켰다. 1895년에는 연풍현이 연풍군이 되면서 수안보는 고사리면과 수회면으로 분리되었다. 1914년에는 연풍군이 괴산군으로 흡수 · 통합되었고, 고사리면의 10개 리를 통합하여 상모면으로 칭하고 괴산군에 속하게 되었다. 1963년에는 괴산군에서 중원군으로 편입되었고, 1995년에는 충주시 관할구역이 되었다. 2005년에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온천 이미지 구축을 위해 상모면에서 수안보면으로 개칭하였다. 법정리 중 온천리는 면사무소가 있는 곳으로 연풍현 고사리면에 속하였으나 1914년 연풍군 고사리면과 수회면을 병합하여 괴20180718
8212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역사문화유산근대문화유산문화유산건축유적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강원도동해시망상동들축나무거리37.50671129.117513강원도 동해시의 북쪽 끝에 위치한 동이다. 영동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나고, 동해안에는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만우동의 5개 법정동과 발한동의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위의 6개 법정동이 망상동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지도서』, 『호구총수』, 『1872년지방지도』에는 망상면(望祥面)이라 표기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망상촌(望祥村)이라고 적혀 있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망상은 본래 우계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말뜰 · 망생이라고 불리었다. 말뜰은 한자로 표기하면 마상평(馬上坪)이 되고, 망생이는 이두식으로 표기하면 망상이 된다. 그러므로 망상은 망아지를 뜻하는 망생이의 이두식 표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석하고 있다.20180704
9213일터 옆 삶터,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역사문화유산근대문화유산문화유산건축유적공간으로 읽는 근대문화 역사유산산업화의 꿈이 영근 곳들강원도 동해시 송정동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1930년대 후반부터 지어졌다. 석회질소 비료 공장인 삼척개발과 묵호~도계 철도 건설을 위한 삼척철도의 직원용 사택이자 기숙사다. 삼척개발의 전체 사택단지는 모두 31개 동인데, 해방을 전후해 건축되었다. 31개 동 가운데 4개 동(공장장 주택 1동, 공장 간부용 주택 2동, 독신 노동자의 합숙소 1동)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삼척개발은 해방 후 북삼화학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960년대엔 석회질소 비료 대신 합금철을 생산하는 공장이 되었다. 현재는 DB메탈의 소유다.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과 합숙소’는 일터와 삶터가 붙어 있는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51/12728/1428/c/12728-thumb.jpg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89강원도동해시망상동솔밑37.50671129.117513강원도 동해시의 북쪽 끝에 위치한 동이다. 영동선 철도와 동해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나고, 동해안에는 망상해수욕장이 있다. 망상동 · 심곡동 · 초구동 · 괴란동 · 만우동의 5개 법정동과 발한동의 일부를 관할하고 있다. 1980년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이 합해 동해시로 승격할 때 묵호읍 중 위의 6개 법정동이 망상동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지도서』, 『호구총수』, 『1872년지방지도』에는 망상면(望祥面)이라 표기되어 있고, 『해동지도』에는 망상촌(望祥村)이라고 적혀 있다. 『동해시 지명유래지』에 의하면 망상은 본래 우계현에 속하였던 지역으로 말뜰 · 망생이라고 불리었다. 말뜰은 한자로 표기하면 마상평(馬上坪)이 되고, 망생이는 이두식으로 표기하면 망상이 된다. 그러므로 망상은 망아지를 뜻하는 망생이의 이두식 표기에서 유래하였다고 해석하고 있다.20180704
data_manage_nodata_title_nmtheme_nmlwprt_theme_nmcl_nmlwprt_cl_nmsbjt_nmmiddl_sbjt_nmsumry_cnmain_thumb_urlcntnts_urlctprvn_nmsigngu_nmemd_nmaddrctlstt_lactlstt_loarea_nm_dc_cnregist_de
90294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생활문화마을신앙생활과 민속민속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경기도의 마을신앙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NA>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경기도화성시봉담읍수기리37.132415126.92025경기도 화성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읍이다. 현재의 봉담읍은 『호구총수』기록 당시 모지면(芼旨面)·삼봉면(三峰面)·갓등면(Q等面)·정송면 (貞松面)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모지면에는 오늘날의 수영리가, 삼봉면에는 오늘날의 동화리(驛村으로 기록됨, 즉 옛 동화역이 있던 곳)와 내리(內洞里로 기록됨)가, 갓등면에는 오늘날의 세곡리(細里로 기록됨)와 마하리(馬 乙里로 기록됨)가 각각 속해 있었다. 또 정송면에는 오늘 날의 분천리가 속해 있었다. 『팔도군현지도』나 『팔도지도』, 『해동여지도』등 이 무렵에 제작된 고지도에서는 모지면·삼봉면·갓등면의 3개 면은 거의 한 곳에 붙어 있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다만 정송면은 『동국여도』에만 모지면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1831년에 편찬된 『화성지』에 따르면 현재의 봉담면은 삼봉면과 갈담면 관할지 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갈담면은 이전의 정송면이 폐지되고 그 일부가 갈담면으로 되었다. 또 모지면은 삼봉면에 합쳐졌다고 『화성지』에 기록되어 있다. 갓등면의 통폐합에 대해 아무런 기록이 없지만, 이 역시 갈담면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에 제작된 『1872지방지도』를 보면, 현재의 봉담읍 왕림리 일대(삼천병마골로 표기)가 삼봉면과 갈담면의 경계인 것으로 나타나있다. 삼봉면과 갈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봉담면으로 통합되었다. 1998년에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 봉담이라는 면 이름 중에‘봉’은 옛 면 이름 삼봉면에서 따온 것이고 이때 삼봉은 이곳의 산 이름 삼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담’글자를 따온‘갈담’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20180717
91295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생활문화마을신앙생활과 민속민속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경기도의 마을신앙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NA>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경기도화성시봉담읍수영리37.132415126.92025경기도 화성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읍이다. 현재의 봉담읍은 『호구총수』기록 당시 모지면(芼旨面)·삼봉면(三峰面)·갓등면(Q等面)·정송면 (貞松面)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모지면에는 오늘날의 수영리가, 삼봉면에는 오늘날의 동화리(驛村으로 기록됨, 즉 옛 동화역이 있던 곳)와 내리(內洞里로 기록됨)가, 갓등면에는 오늘날의 세곡리(細里로 기록됨)와 마하리(馬 乙里로 기록됨)가 각각 속해 있었다. 또 정송면에는 오늘 날의 분천리가 속해 있었다. 『팔도군현지도』나 『팔도지도』, 『해동여지도』등 이 무렵에 제작된 고지도에서는 모지면·삼봉면·갓등면의 3개 면은 거의 한 곳에 붙어 있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다만 정송면은 『동국여도』에만 모지면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1831년에 편찬된 『화성지』에 따르면 현재의 봉담면은 삼봉면과 갈담면 관할지 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갈담면은 이전의 정송면이 폐지되고 그 일부가 갈담면으로 되었다. 또 모지면은 삼봉면에 합쳐졌다고 『화성지』에 기록되어 있다. 갓등면의 통폐합에 대해 아무런 기록이 없지만, 이 역시 갈담면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에 제작된 『1872지방지도』를 보면, 현재의 봉담읍 왕림리 일대(삼천병마골로 표기)가 삼봉면과 갈담면의 경계인 것으로 나타나있다. 삼봉면과 갈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봉담면으로 통합되었다. 1998년에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 봉담이라는 면 이름 중에‘봉’은 옛 면 이름 삼봉면에서 따온 것이고 이때 삼봉은 이곳의 산 이름 삼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담’글자를 따온‘갈담’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20180717
92296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생활문화마을신앙생활과 민속민속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경기도의 마을신앙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NA>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경기도화성시봉담읍와우리37.132415126.92025경기도 화성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읍이다. 현재의 봉담읍은 『호구총수』기록 당시 모지면(芼旨面)·삼봉면(三峰面)·갓등면(Q等面)·정송면 (貞松面)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모지면에는 오늘날의 수영리가, 삼봉면에는 오늘날의 동화리(驛村으로 기록됨, 즉 옛 동화역이 있던 곳)와 내리(內洞里로 기록됨)가, 갓등면에는 오늘날의 세곡리(細里로 기록됨)와 마하리(馬 乙里로 기록됨)가 각각 속해 있었다. 또 정송면에는 오늘 날의 분천리가 속해 있었다. 『팔도군현지도』나 『팔도지도』, 『해동여지도』등 이 무렵에 제작된 고지도에서는 모지면·삼봉면·갓등면의 3개 면은 거의 한 곳에 붙어 있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다만 정송면은 『동국여도』에만 모지면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1831년에 편찬된 『화성지』에 따르면 현재의 봉담면은 삼봉면과 갈담면 관할지 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갈담면은 이전의 정송면이 폐지되고 그 일부가 갈담면으로 되었다. 또 모지면은 삼봉면에 합쳐졌다고 『화성지』에 기록되어 있다. 갓등면의 통폐합에 대해 아무런 기록이 없지만, 이 역시 갈담면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에 제작된 『1872지방지도』를 보면, 현재의 봉담읍 왕림리 일대(삼천병마골로 표기)가 삼봉면과 갈담면의 경계인 것으로 나타나있다. 삼봉면과 갈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봉담면으로 통합되었다. 1998년에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 봉담이라는 면 이름 중에‘봉’은 옛 면 이름 삼봉면에서 따온 것이고 이때 삼봉은 이곳의 산 이름 삼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담’글자를 따온‘갈담’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20180717
93297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생활문화마을신앙생활과 민속민속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경기도의 마을신앙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NA>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경기도화성시봉담읍왕림리37.132415126.92025경기도 화성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읍이다. 현재의 봉담읍은 『호구총수』기록 당시 모지면(芼旨面)·삼봉면(三峰面)·갓등면(Q等面)·정송면 (貞松面)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모지면에는 오늘날의 수영리가, 삼봉면에는 오늘날의 동화리(驛村으로 기록됨, 즉 옛 동화역이 있던 곳)와 내리(內洞里로 기록됨)가, 갓등면에는 오늘날의 세곡리(細里로 기록됨)와 마하리(馬 乙里로 기록됨)가 각각 속해 있었다. 또 정송면에는 오늘 날의 분천리가 속해 있었다. 『팔도군현지도』나 『팔도지도』, 『해동여지도』등 이 무렵에 제작된 고지도에서는 모지면·삼봉면·갓등면의 3개 면은 거의 한 곳에 붙어 있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다만 정송면은 『동국여도』에만 모지면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1831년에 편찬된 『화성지』에 따르면 현재의 봉담면은 삼봉면과 갈담면 관할지 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갈담면은 이전의 정송면이 폐지되고 그 일부가 갈담면으로 되었다. 또 모지면은 삼봉면에 합쳐졌다고 『화성지』에 기록되어 있다. 갓등면의 통폐합에 대해 아무런 기록이 없지만, 이 역시 갈담면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에 제작된 『1872지방지도』를 보면, 현재의 봉담읍 왕림리 일대(삼천병마골로 표기)가 삼봉면과 갈담면의 경계인 것으로 나타나있다. 삼봉면과 갈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봉담면으로 통합되었다. 1998년에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 봉담이라는 면 이름 중에‘봉’은 옛 면 이름 삼봉면에서 따온 것이고 이때 삼봉은 이곳의 산 이름 삼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담’글자를 따온‘갈담’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20180717
94298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생활문화마을신앙생활과 민속민속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경기도의 마을신앙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NA>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경기도화성시봉담읍유리37.132415126.92025경기도 화성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읍이다. 현재의 봉담읍은 『호구총수』기록 당시 모지면(芼旨面)·삼봉면(三峰面)·갓등면(Q等面)·정송면 (貞松面)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모지면에는 오늘날의 수영리가, 삼봉면에는 오늘날의 동화리(驛村으로 기록됨, 즉 옛 동화역이 있던 곳)와 내리(內洞里로 기록됨)가, 갓등면에는 오늘날의 세곡리(細里로 기록됨)와 마하리(馬 乙里로 기록됨)가 각각 속해 있었다. 또 정송면에는 오늘 날의 분천리가 속해 있었다. 『팔도군현지도』나 『팔도지도』, 『해동여지도』등 이 무렵에 제작된 고지도에서는 모지면·삼봉면·갓등면의 3개 면은 거의 한 곳에 붙어 있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다만 정송면은 『동국여도』에만 모지면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1831년에 편찬된 『화성지』에 따르면 현재의 봉담면은 삼봉면과 갈담면 관할지 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갈담면은 이전의 정송면이 폐지되고 그 일부가 갈담면으로 되었다. 또 모지면은 삼봉면에 합쳐졌다고 『화성지』에 기록되어 있다. 갓등면의 통폐합에 대해 아무런 기록이 없지만, 이 역시 갈담면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에 제작된 『1872지방지도』를 보면, 현재의 봉담읍 왕림리 일대(삼천병마골로 표기)가 삼봉면과 갈담면의 경계인 것으로 나타나있다. 삼봉면과 갈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봉담면으로 통합되었다. 1998년에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 봉담이라는 면 이름 중에‘봉’은 옛 면 이름 삼봉면에서 따온 것이고 이때 삼봉은 이곳의 산 이름 삼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담’글자를 따온‘갈담’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20180717
95299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생활문화마을신앙생활과 민속민속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경기도의 마을신앙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NA>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경기도화성시봉담읍하가등리37.132415126.92025경기도 화성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읍이다. 현재의 봉담읍은 『호구총수』기록 당시 모지면(芼旨面)·삼봉면(三峰面)·갓등면(Q等面)·정송면 (貞松面)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모지면에는 오늘날의 수영리가, 삼봉면에는 오늘날의 동화리(驛村으로 기록됨, 즉 옛 동화역이 있던 곳)와 내리(內洞里로 기록됨)가, 갓등면에는 오늘날의 세곡리(細里로 기록됨)와 마하리(馬 乙里로 기록됨)가 각각 속해 있었다. 또 정송면에는 오늘 날의 분천리가 속해 있었다. 『팔도군현지도』나 『팔도지도』, 『해동여지도』등 이 무렵에 제작된 고지도에서는 모지면·삼봉면·갓등면의 3개 면은 거의 한 곳에 붙어 있는 것처럼 표현되어 있다. 다만 정송면은 『동국여도』에만 모지면 아래쪽에 표시되어 있다. 1831년에 편찬된 『화성지』에 따르면 현재의 봉담면은 삼봉면과 갈담면 관할지 역으로 기록되어 있다. 갈담면은 이전의 정송면이 폐지되고 그 일부가 갈담면으로 되었다. 또 모지면은 삼봉면에 합쳐졌다고 『화성지』에 기록되어 있다. 갓등면의 통폐합에 대해 아무런 기록이 없지만, 이 역시 갈담면에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에 제작된 『1872지방지도』를 보면, 현재의 봉담읍 왕림리 일대(삼천병마골로 표기)가 삼봉면과 갈담면의 경계인 것으로 나타나있다. 삼봉면과 갈담면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봉담면으로 통합되었다. 1998년에 봉담읍으로 승격하였다. 봉담이라는 면 이름 중에‘봉’은 옛 면 이름 삼봉면에서 따온 것이고 이때 삼봉은 이곳의 산 이름 삼봉산에서 따온 것이다. 그러나 ‘담’글자를 따온‘갈담’의 이름 유래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20180717
96300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생활문화마을신앙생활과 민속민속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경기도의 마을신앙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NA>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경기도화성시비봉면<NA>37.132415126.92025경기도 화성시의 북부에 위치한 면이다. 북쪽 끝에 시화호가 있다. 8개 법정리를 관할 하고 있다. 현재의 비봉면은 조선시대 말 남양군 며지곶면( 知串面 혹은 彌知串面)과 저팔리면(楮八里面) 그리고 인천부의 월경지(越境地)였던 이포면(梨浦面)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3개 면을 합쳐 비봉면으로 하였다. 며지곶면은 현재의 면 북쪽, 즉 구포리·양로리·쌍학리 일대에 있었고, 저팔리면은 현재의 면 남쪽 자안리·요곡리 일대에 있었다. 한편 이포면은 현재의 삼화리 배꽃지, 이화동 일대에 있었다. 저팔리 면에는 원래 고려시대 재양현(載陽縣) 읍치가 있었다. 오늘날의 비봉면 자안리가 그곳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지』에 “재양현은 부의 동쪽 10리에 있고, 옛날 안양현(安養縣)이었는데 고려 현종 때 재양현으로 바뀌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비봉(飛鳳)이라는 면 이름은 1914년 행정구역 때 붙인 것인데, 비봉산(飛鳳山)에서 따온 것이다. 비봉산은 예로부터 남양의 진산(鎭山)이었다. 이 때문에 옛읍지나 고지도들에서 빠짐없이 기록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비봉산 대신에 구봉산(九峰山)으로 불린다. 구봉산은 행정구역상 남양동에 속하는데, 언제 이 이름을 붙였는지는 알 수 없다. 한편 비봉면의 북쪽 끝에 위치하는 구포리는 오래전부터 중요한 포구 중의 하나로 인식되었고 5일장이 섰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각종 고지도에 구포가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고, 『1872지방지도』에 구포장 (鳩浦場)이 표시되어 있다.20180717
97301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생활문화마을신앙생활과 민속민속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경기도의 마을신앙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NA>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경기도화성시비봉면구포리37.132415126.92025경기도 화성시의 북부에 위치한 면이다. 북쪽 끝에 시화호가 있다. 8개 법정리를 관할 하고 있다. 현재의 비봉면은 조선시대 말 남양군 며지곶면( 知串面 혹은 彌知串面)과 저팔리면(楮八里面) 그리고 인천부의 월경지(越境地)였던 이포면(梨浦面)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3개 면을 합쳐 비봉면으로 하였다. 며지곶면은 현재의 면 북쪽, 즉 구포리·양로리·쌍학리 일대에 있었고, 저팔리면은 현재의 면 남쪽 자안리·요곡리 일대에 있었다. 한편 이포면은 현재의 삼화리 배꽃지, 이화동 일대에 있었다. 저팔리 면에는 원래 고려시대 재양현(載陽縣) 읍치가 있었다. 오늘날의 비봉면 자안리가 그곳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지』에 “재양현은 부의 동쪽 10리에 있고, 옛날 안양현(安養縣)이었는데 고려 현종 때 재양현으로 바뀌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비봉(飛鳳)이라는 면 이름은 1914년 행정구역 때 붙인 것인데, 비봉산(飛鳳山)에서 따온 것이다. 비봉산은 예로부터 남양의 진산(鎭山)이었다. 이 때문에 옛읍지나 고지도들에서 빠짐없이 기록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비봉산 대신에 구봉산(九峰山)으로 불린다. 구봉산은 행정구역상 남양동에 속하는데, 언제 이 이름을 붙였는지는 알 수 없다. 한편 비봉면의 북쪽 끝에 위치하는 구포리는 오래전부터 중요한 포구 중의 하나로 인식되었고 5일장이 섰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각종 고지도에 구포가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고, 『1872지방지도』에 구포장 (鳩浦場)이 표시되어 있다.20180717
98302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생활문화마을신앙생활과 민속민속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경기도의 마을신앙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NA>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경기도화성시비봉면남전리37.132415126.92025경기도 화성시의 북부에 위치한 면이다. 북쪽 끝에 시화호가 있다. 8개 법정리를 관할 하고 있다. 현재의 비봉면은 조선시대 말 남양군 며지곶면( 知串面 혹은 彌知串面)과 저팔리면(楮八里面) 그리고 인천부의 월경지(越境地)였던 이포면(梨浦面)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3개 면을 합쳐 비봉면으로 하였다. 며지곶면은 현재의 면 북쪽, 즉 구포리·양로리·쌍학리 일대에 있었고, 저팔리면은 현재의 면 남쪽 자안리·요곡리 일대에 있었다. 한편 이포면은 현재의 삼화리 배꽃지, 이화동 일대에 있었다. 저팔리 면에는 원래 고려시대 재양현(載陽縣) 읍치가 있었다. 오늘날의 비봉면 자안리가 그곳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지』에 “재양현은 부의 동쪽 10리에 있고, 옛날 안양현(安養縣)이었는데 고려 현종 때 재양현으로 바뀌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비봉(飛鳳)이라는 면 이름은 1914년 행정구역 때 붙인 것인데, 비봉산(飛鳳山)에서 따온 것이다. 비봉산은 예로부터 남양의 진산(鎭山)이었다. 이 때문에 옛읍지나 고지도들에서 빠짐없이 기록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비봉산 대신에 구봉산(九峰山)으로 불린다. 구봉산은 행정구역상 남양동에 속하는데, 언제 이 이름을 붙였는지는 알 수 없다. 한편 비봉면의 북쪽 끝에 위치하는 구포리는 오래전부터 중요한 포구 중의 하나로 인식되었고 5일장이 섰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각종 고지도에 구포가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고, 『1872지방지도』에 구포장 (鳩浦場)이 표시되어 있다.20180717
99303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당제사생활문화마을신앙생활과 민속민속지역을 대표하는 마을신앙경기도의 마을신앙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에서는 당골 뒷산의 제단에서 음력 10월 1일에 마을제사를 지내는데, 이것을 당제사라고 한다. 당제사를 지내는 곳에는 당목인 소나무가 있는데, 솔잎혹파리병으로 고사한 상태이다. 이 마을의 당제사는 새마을운동 때 없어졌다가 마을에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되자 다시 지내기 시작했다. 마을에는 당제사와 관련하여 당이 위치한 곳의 흙이나 나무를 건드린 사람이 벌을 받는다는 영험담이 전승되고 있다.<NA>https://ncms.nculture.org/faith/story/1314경기도화성시비봉면삼화리37.132415126.92025경기도 화성시의 북부에 위치한 면이다. 북쪽 끝에 시화호가 있다. 8개 법정리를 관할 하고 있다. 현재의 비봉면은 조선시대 말 남양군 며지곶면( 知串面 혹은 彌知串面)과 저팔리면(楮八里面) 그리고 인천부의 월경지(越境地)였던 이포면(梨浦面)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이 3개 면을 합쳐 비봉면으로 하였다. 며지곶면은 현재의 면 북쪽, 즉 구포리·양로리·쌍학리 일대에 있었고, 저팔리면은 현재의 면 남쪽 자안리·요곡리 일대에 있었다. 한편 이포면은 현재의 삼화리 배꽃지, 이화동 일대에 있었다. 저팔리 면에는 원래 고려시대 재양현(載陽縣) 읍치가 있었다. 오늘날의 비봉면 자안리가 그곳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지』에 “재양현은 부의 동쪽 10리에 있고, 옛날 안양현(安養縣)이었는데 고려 현종 때 재양현으로 바뀌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비봉(飛鳳)이라는 면 이름은 1914년 행정구역 때 붙인 것인데, 비봉산(飛鳳山)에서 따온 것이다. 비봉산은 예로부터 남양의 진산(鎭山)이었다. 이 때문에 옛읍지나 고지도들에서 빠짐없이 기록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비봉산 대신에 구봉산(九峰山)으로 불린다. 구봉산은 행정구역상 남양동에 속하는데, 언제 이 이름을 붙였는지는 알 수 없다. 한편 비봉면의 북쪽 끝에 위치하는 구포리는 오래전부터 중요한 포구 중의 하나로 인식되었고 5일장이 섰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각종 고지도에 구포가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고, 『1872지방지도』에 구포장 (鳩浦場)이 표시되어 있다.2018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