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23
Number of observations2780
Missing cells33365
Missing cells (%)52.2%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532.2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196.0 B

Variable types

Text6
Unsupported12
Categorical5

Dataset

Description충남대학교 도서관의 기호유학고문헌 정보를 외부 개발자 및 사용자가 이를 활용 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API 서비스입니다. 문서명, 발급자, 호, 크기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Author충청남도
URLhttps://alldam.chungnam.go.kr/bigdata/collect/view.chungnam?menuCd=DOM_000000201001001000&apiIdx=3003

Alerts

주된 책임을 진 개체 has constant value ""Constant
소속(통제)DB has constant value ""Constant
시간적범위 has constant value ""Constant
언어 has constant value ""Constant
대체 (기존 = alternativeTitle(대체) + subTitle(부제))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핵심주제어(키워드)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공간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사람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참조자원제목 (기존 = reference(참조한자원) + source(유래자원에 대한 참조))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저작권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기여자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해당시간대 (기존 = period(기간) + time(시간))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요금 정보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등급 정보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장소 has 2780 (100.0%) missing valuesMissing
지식정보자원위치정보 has unique valuesUnique
대체 (기존 = alternativeTitle(대체) + subTitle(부제))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핵심주제어(키워드)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공간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사람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참조자원제목 (기존 = reference(참조한자원) + source(유래자원에 대한 참조))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저작권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기여자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해당시간대 (기존 = period(기간) + time(시간))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요금 정보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등급 정보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장소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4-01-09 20:07:12.830659
Analysis finished2024-01-09 20:07:16.394130
Duration3.56 seconds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Distinct2715
Distinct (%)97.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21.8 KiB
2024-01-10T05:07:16.63869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98
Median length95
Mean length43.139928
Min length6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19929
Distinct characters1843
Distinct categories14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9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664 ?
Unique (%)95.8%

Sample

1st row계당잡고8책(溪堂雜稿8冊)
2nd row과정록(過庭錄)
3rd row남유일기(南遊日記)
4th row단암만록(丹巖漫錄)
5th row대명복수가(大明復讐歌)
ValueCountFrequency (%)
보낸 1582
 
9.0%
간찰(簡札)(簡札 811
 
4.6%
연재(淵齋 724
 
4.1%
편지(簡札 414
 
2.4%
송병선(宋秉璿)에게 400
 
2.3%
간찰(簡札 369
 
2.1%
송철헌(宋哲憲)에게 321
 
1.8%
송병선(宋秉璿)께 216
 
1.2%
원계 169
 
1.0%
지재 127
 
0.7%
Other values (4692) 12428
70.8%
2024-01-10T05:07:17.22415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4833
 
12.4%
) 9684
 
8.1%
( 9683
 
8.1%
3268
 
2.7%
1 3044
 
2.5%
2640
 
2.2%
2602
 
2.2%
1933
 
1.6%
9 1931
 
1.6%
1834
 
1.5%
Other values (1833) 68477
57.1%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72509
60.5%
Space Separator 14833
 
12.4%
Decimal Number 11901
 
9.9%
Close Punctuation 9684
 
8.1%
Open Punctuation 9683
 
8.1%
Other Punctuation 1168
 
1.0%
Dash Punctuation 92
 
0.1%
Lowercase Letter 24
 
< 0.1%
Math Symbol 15
 
< 0.1%
Uppercase Letter 6
 
< 0.1%
Other values (4) 14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268
 
4.5%
2640
 
3.6%
2602
 
3.6%
1933
 
2.7%
1834
 
2.5%
1779
 
2.5%
1608
 
2.2%
1526
 
2.1%
1474
 
2.0%
1346
 
1.9%
Other values (1794) 52499
72.4%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3044
25.6%
9 1931
16.2%
8 1823
15.3%
0 1103
 
9.3%
4 1048
 
8.8%
2 875
 
7.4%
5 675
 
5.7%
3 522
 
4.4%
7 467
 
3.9%
6 413
 
3.5%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84
24.3%
; 284
24.3%
& 284
24.3%
? 172
14.7%
106
 
9.1%
: 19
 
1.6%
· 15
 
1.3%
. 2
 
0.2%
1
 
0.1%
/ 1
 
0.1%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6
40.0%
~ 5
33.3%
2
 
13.3%
2
 
13.3%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l 12
50.0%
n 6
25.0%
u 6
25.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2
33.3%
2
33.3%
2
33.3%
Letter Number
ValueCountFrequency (%)
4
66.7%
2
33.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4833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684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683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2
100.0%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I 6
100.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Common 47384
39.5%
Hangul 46710
38.9%
Han 25799
21.5%
Latin 36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
ValueCountFrequency (%)
2640
 
10.2%
2602
 
10.1%
1474
 
5.7%
948
 
3.7%
815
 
3.2%
783
 
3.0%
772
 
3.0%
456
 
1.8%
418
 
1.6%
382
 
1.5%
Other values (1315) 14509
56.2%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268
 
7.0%
1933
 
4.1%
1834
 
3.9%
1779
 
3.8%
1608
 
3.4%
1526
 
3.3%
1346
 
2.9%
1341
 
2.9%
1232
 
2.6%
1168
 
2.5%
Other values (469) 29675
63.5%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4833
31.3%
) 9684
20.4%
( 9683
20.4%
1 3044
 
6.4%
9 1931
 
4.1%
8 1823
 
3.8%
0 1103
 
2.3%
4 1048
 
2.2%
2 875
 
1.8%
5 675
 
1.4%
Other values (23) 2685
 
5.7%
Latin
ValueCountFrequency (%)
l 12
33.3%
n 6
16.7%
u 6
16.7%
I 6
16.7%
4
 
11.1%
2
 
5.6%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47280
39.4%
Hangul 46710
38.9%
CJK 24779
20.7%
CJK Compat Ideographs 1020
 
0.9%
Punctuation 108
 
0.1%
None 16
 
< 0.1%
Number Forms 6
 
< 0.1%
Geometric Shapes 6
 
< 0.1%
Math Operators 4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4833
31.4%
) 9684
20.5%
( 9683
20.5%
1 3044
 
6.4%
9 1931
 
4.1%
8 1823
 
3.9%
0 1103
 
2.3%
4 1048
 
2.2%
2 875
 
1.9%
5 675
 
1.4%
Other values (17) 2581
 
5.5%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268
 
7.0%
1933
 
4.1%
1834
 
3.9%
1779
 
3.8%
1608
 
3.4%
1526
 
3.3%
1346
 
2.9%
1341
 
2.9%
1232
 
2.6%
1168
 
2.5%
Other values (469) 29675
63.5%
CJK
ValueCountFrequency (%)
2640
 
10.7%
2602
 
10.5%
1474
 
5.9%
948
 
3.8%
815
 
3.3%
783
 
3.2%
772
 
3.1%
456
 
1.8%
382
 
1.5%
317
 
1.3%
Other values (1256) 13590
54.8%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418
41.0%
255
25.0%
43
 
4.2%
27
 
2.6%
26
 
2.5%
19
 
1.9%
19
 
1.9%
19
 
1.9%
18
 
1.8%
16
 
1.6%
Other values (49) 160
 
15.7%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06
98.1%
1
 
0.9%
1
 
0.9%
None
ValueCountFrequency (%)
· 15
93.8%
1
 
6.2%
Number Forms
ValueCountFrequency (%)
4
66.7%
2
33.3%
Geometric Shapes
ValueCountFrequency (%)
2
33.3%
2
33.3%
2
33.3%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2
50.0%
2
50.0%

대체 (기존 = alternativeTitle(대체) + subTitle(부제))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주된 책임을 진 개체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21.8 KiB
도서관
2780 

Length

Max length3
Median length3
Mean length3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도서관
2nd row도서관
3rd row도서관
4th row도서관
5th row도서관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도서관 2780
100.0%

Length

2024-01-10T05:07:17.39855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4-01-10T05:07:17.51286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도서관 2780
100.0%

등록일
Categorical

Distinct16
Distinct (%)0.6%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21.8 KiB
2020-12-31 15:05:41
305 
2020-12-31 15:05:42
293 
2020-12-31 15:05:50
234 
2020-12-31 15:05:45
225 
2020-12-31 15:05:46
212 
Other values (11)
1511 

Length

Max length19
Median length19
Mean length19
Min length19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2020-12-31 15:05:35
2nd row2020-12-31 15:05:35
3rd row2020-12-31 15:05:35
4th row2020-12-31 15:05:35
5th row2020-12-31 15:05:35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2020-12-31 15:05:41 305
11.0%
2020-12-31 15:05:42 293
10.5%
2020-12-31 15:05:50 234
8.4%
2020-12-31 15:05:45 225
8.1%
2020-12-31 15:05:46 212
7.6%
2020-12-31 15:05:47 212
7.6%
2020-12-31 15:05:48 210
7.6%
2020-12-31 15:05:49 204
 
7.3%
2020-12-31 15:05:44 202
 
7.3%
2020-12-31 15:05:43 167
 
6.0%
Other values (6) 516
18.6%

Length

2024-01-10T05:07:17.62387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2020-12-31 2780
50.0%
15:05:41 305
 
5.5%
15:05:42 293
 
5.3%
15:05:50 234
 
4.2%
15:05:45 225
 
4.0%
15:05:46 212
 
3.8%
15:05:47 212
 
3.8%
15:05:48 210
 
3.8%
15:05:49 204
 
3.7%
15:05:44 202
 
3.6%
Other values (7) 683
 
12.3%

소속(통제)DB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21.8 KiB
기호유학고문헌
2780 

Length

Max length7
Median length7
Mean length7
Min length7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기호유학고문헌
2nd row기호유학고문헌
3rd row기호유학고문헌
4th row기호유학고문헌
5th row기호유학고문헌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기호유학고문헌 2780
100.0%

Length

2024-01-10T05:07:17.76113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4-01-10T05:07:17.87821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기호유학고문헌 2780
100.0%
Distinct85
Distinct (%)3.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21.8 KiB
2024-01-10T05:07:18.08504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6
Median length12
Mean length11.510791
Min length5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32000
Distinct characters97
Distinct categories2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33 ?
Unique (%)1.2%

Sample

1st row집부/별집류/한국인
2nd row집부/별집류/한국인
3rd row사부/기록류/한국인
4th row집부/별집류/한국인
5th row집부/시가류/한국인
ValueCountFrequency (%)
서간통고류/서간류/간찰 1845
66.4%
서화류/금석문/묘비 144
 
5.2%
명문문기류/명문류/토지문기 82
 
2.9%
서화류/금석문/묘표 63
 
2.3%
시문류/문/제문 53
 
1.9%
시문류/시/시 53
 
1.9%
명문문기류/명문류/토지매매명문 50
 
1.8%
서화류/금석문/신도비 48
 
1.7%
서화류/금석문/기타 40
 
1.4%
집부/별집류/한국인 36
 
1.3%
Other values (75) 366
 
13.2%
2024-01-10T05:07:18.51228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590
17.5%
/ 5560
17.4%
4910
15.3%
4104
12.8%
1959
 
6.1%
1911
 
6.0%
1845
 
5.8%
1475
 
4.6%
369
 
1.2%
334
 
1.0%
Other values (87) 3943
12.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26440
82.6%
Other Punctuation 5560
 
17.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5590
21.1%
4910
18.6%
4104
15.5%
1959
 
7.4%
1911
 
7.2%
1845
 
7.0%
1475
 
5.6%
369
 
1.4%
334
 
1.3%
326
 
1.2%
Other values (86) 3617
13.7%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560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6440
82.6%
Common 5560
 
17.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5590
21.1%
4910
18.6%
4104
15.5%
1959
 
7.4%
1911
 
7.2%
1845
 
7.0%
1475
 
5.6%
369
 
1.4%
334
 
1.3%
326
 
1.2%
Other values (86) 3617
13.7%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5560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6440
82.6%
ASCII 5560
 
17.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Hangul
ValueCountFrequency (%)
5590
21.1%
4910
18.6%
4104
15.5%
1959
 
7.4%
1911
 
7.2%
1845
 
7.0%
1475
 
5.6%
369
 
1.4%
334
 
1.3%
326
 
1.2%
Other values (86) 3617
13.7%
ASCII
ValueCountFrequency (%)
/ 5560
100.0%

핵심주제어(키워드)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Distinct2771
Distinct (%)99.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21.8 KiB
2024-01-10T05:07:18.97094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451
Mean length227.52158
Min length19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632510
Distinct characters3692
Distinct categories15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9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766 ?
Unique (%)99.5%

Sample

1st row송병선(宋秉璿&#44; 1836~1905)의 《계당잡고(溪堂雜稿)》 8권은 행장 1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록된 행장의 저술 시기는 저자가 일제의 단발령(斷髮令)을 피해 천마산(天摩山)으로 들어간 1896년 나이 60세에서 을사오적(乙巳五賊)의 처형&#44; 을사조약의 파기 및 국권을 회복할 것을 유서로 남기고 대전 석촌(石村)에서 독약을 마시고 자결한 1905년 나이 70세까지이다. 8권의 구성은 년도 별로 되어 있는데&#44; 수록된 행장은 1896년에 쓴 외제(外弟) 김영응(金永膺)의 행장을 필두로 1897년 오봉(五峰) 안수록(安壽祿)&#44; 1898년 운창(芸窓) 박성양(朴性陽)&#44; 1899년 남포(南浦) 이동우(李東遇)&#44; 1900년 효자(孝子) 이연(李衍)&#44; 1901년 경소재(慶素齋) 윤필현(尹弼鉉)&#44; 고시신(高時臣)&#44; 애일헌(愛日軒) 이병찬(李秉瓚)&#44; 1902년 조암(照菴) 정해필(鄭海弼)&#44; 1903년 입재(立齋) 송근수(宋近洙)&#44; 1905년 지호(芝湖) 이선(李選)&#44; 1905년 경재(敬齋) 이해(李瀣) 등이며&#44; 행장에 수록된 인물들과 저자와의 관계는 친척 및 외척&#44; 지인(知人) 등이다.
2nd row이 책은 구한말 영남 士林이었던 순국지사 淵齋 宋秉璿의 언행록이다. 송병선은 尤庵의 9대손이며 守宗齋 宋達洙가 그의 伯父이다. 평소 제자들 및 지인과 나눈 문답에는 학문하는 자세와 공부의 次第&#44; 일상 속에서의 소소한 행동거지에 대한 충고&#44; 時事에 대한 탄식&#44; 당대와 같은 亂世에서 선비로서 가져야 할 올바른 처신&#44; 出處의 문제&#44; 前代 및 당대의 선비들에 대한 평가&#44; 조선의 역대 왕들에 대한 논평&#44; 천주교에 대한 비판&#44; 葬禮와 喪禮의 형식과 절차&#44; 忠孝에 대한 문답&#44; 각종 사물에 대한 유래와 이치 등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다. 그는 자신이 처한 시대를 역사 속에 전무후무한 난세라 여기고 제자들에게 항상 閉門讀書하며 謹拙의 삶을 지향할 것을 역설하였다. 그의 호가 淵齋인 것도 東晋 말기 陶淵明이 난세에 벼슬하지 않고 守拙하며 살았던 삶을 숭앙하고 본받고자 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의 학식과 덕망을 전해 듣고 많은 선비들이 원근 각처에서 가르침을 받고자 찾아왔는데&#44; 그들이 폐백을 바치려고 할 때마다 그는 폐백을 받지 않는 것이 대대로 전해온 家規라며 번번이 거절하였다. 학문의 순서를 묻는 물음에는 특히 ≪小學≫ 공부를 강조하며 凡事에 근본을 삼가야 함을 말하였다. 東方 諸賢의 모범으로 그는 退溪 李滉&#44; 栗谷 李珥&#44; 沙溪 金長生&#44; 尤庵 宋時烈을 꼽았으며&#44; 특히 義理에 있어서는 尤庵을 士의 모범으로 여겼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그는 을사오적을 討殺할 것을 주장하며 絶食하였고&#44; 閔泳煥?趙秉世?洪萬植의 자결 소식을 듣고 이를 장하게 여겼다. 자신의 생각을 적은 상소를 두 번 올린 후 임금의 부름을 받은 그는&#44; 아들 哲憲에게 뒷일을 부탁하고 상경하였다. 高宗을 만난 자리에서 五賊의 목을 베어야 한다고 극력 諫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44; 이에 그는 그해 12월 마지막 날 石南의 舊第에서 자결하였다.
3rd row남유일기(南遊日記)는 누가 지었는지 알 수 없으나 문세(文勢)로 보아 송우암(宋尤庵)의 후손이 지은 듯하다. 그 내용을 보면 황악산기(黃岳山記) 서두(書頭)에 쓰기를 내가 영남(嶺南)의 산수(山水)를 두루 구경하고자 하였으나 임신년 늦은 가을에 외종제(外從弟) 김성례(金聖禮)와 함께 가기로 약속하여 출발하였다. 그 때 이우공기(李友恭基)도 동행하여 황간읍(黃澗邑)에 도착하여 가학루(駕鶴樓)에 올라서 보니 심히 상쾌하였다. 거기에서 괘방령(掛榜嶺)을 넘어서 황악산(黃岳山)으로 들어가니 국화가 만발하였다. 5~6리(里)를 가서 직지사(直指寺)를 경유하여 내원암(內院庵)에 도착하고&#44; 또 10여리를 가서 보니 인가(人家)가 있는데 뽕나무와 화초가 그림과 같고&#44; 주공동(周公洞)과 공자동(孔子洞)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수석(水石)이 매우 아름다워서 저절로 시(詩)를 읊게 되었다. 황악산(黃岳山)에서 길을 떠나 수도산(修道山)으로 와서 서쪽의 쌍계사(雙溪寺)와 청암사(靑巖寺) 등 모든 경치를 구경하였다. 또 가야산(伽倻山)으로 들어가니 산이 깊숙하고 수석(水石)이 참으로 아름다웠다. 대저(大抵) 수도산(修道山)이 남쪽으로 달려와서 가야산(伽倻山)을 일으킨 것이다. 가야사(伽倻寺)에서 유람한 흥취가 남아서 적벽(赤壁)과 진석(眞石)의 모든 명승지(名勝地)를 구경하고자 하였다. 추령(秋嶺)을 넘어서 삼가(三嘉)의 땅을 지나 용문사(龍門寺)를 구경하였다. 여러 곳을 거쳐서 단계(丹溪)에 이르러서 여러 가지 경물(景物)을 관람하였다. 또 금산(錦山)으로 와서 소금강(小金剛)의 모든 절경(絶景)을 두루 보고 성현(城峴)으로 와서 자고 집으로 돌아왔다고 하였다. 그리고 쌍계(雙溪)와 신선대(神仙臺) 등 여러 곳에서 시(詩)를 지어 이 남유일기(南遊日記) 끝에 기록하였다.
4th row丹巖漫錄은 조선 후기의 문신 민진원(閔鎭遠&#44; 1664~1736)이 관직에 있을 때 일어난 주요한 정치사건을 기록한 책이다. 필사본 2책으로 민진원이 1728년 초에 기록한 것을 조카 민우수(閔遇洙)를 시켜 베끼게 하여 아들 창수(昌洙)에게 전한 것이다. 민진원은 인현왕후(仁顯王后&#44; 1667~1701)의 오빠로 1680년(숙종 6) 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부터 인현왕후의 승하와 장희빈의 자진&#44; 송시열과 윤증의 시비를 결단한 병신처분(丙申處分)&#44; 왕위계승에 관한 숙종과 이이명(李?命)의 정유독대(丁酉獨對) 및 경종대 연잉군(延?君)&#44; 즉 영조를 세제(世弟)로 책봉한 시말&#44; 그리고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까지의 역사적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고 있다. 민진원은 좌의정까지 역임하는 등 정치일선에서 활약하였기 때문에 궁중 안에서 벌어진 사건과 그 이면에 대해 매우 상세히 기록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당쟁 관련 개인기록이 몇 세대가 지난 뒤에 기록되거나&#44; 정치 주변에 있었던 인물들이 기록하였던 것과는 대비가 된다. 민진원의 외할아버지가 송준길(宋浚吉)인데&#44; 이런 관계로 단암만록이 은진송씨집안에도 보관된 것으로 여겨진다.
5th row순조(純祖) 24년(1824)에 창헌(蒼軒) 조우각(趙宇慤)이 지은 가사이다. 그 내용을 보면 명(明)나라가 청(淸)나라에 의하여 멸망된 것을 통분(痛憤)하며&#44; 우리나라가 병자호란(丙子胡亂)으로 당한 치욕을 설욕(雪辱)하지 못한 것을 깊이 통탄(痛歎)하였다. 또 강화(講和)를 주장한 최명길(崔鳴吉) 등을 심히 비판하고&#44; 중국과 우리나라 역대의 충신열사(忠臣烈士)들을 모두 동원하여 청(淸)나라를 토벌(討伐)하는 쾌거를 노래로 지었다. 그리고 북벌(北伐)을 늘 생각한 효종대왕(孝宗大王)이 10년 동안 부심(腐心)하였지만 그 임금은 있되 그 신하는 없었다. 강약(强弱)이 비록 서로 맞지 않았으나 어찌 분함을 머금고 아픔을 참기만 하고 있었던가 하였다. 그 때에 송우암(宋尤庵)은 효종대왕(孝宗大王) 북벌(北伐)의 뜻을 이루어 드리고자 노력하였다. 우암(尤庵)이 말하기를 나라가 적고 힘이 약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니 아픔을 참으며 원통함을 머금고 있는 것은 박부득이(迫不得已)한 일이라고 하였으니 그 때 그 신하가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가사 전체 내용이 넓고 간곡하여 나라를 위하고 백성을 위하여 내 몸을 희생하는 정신을 고취시킬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1334
 
1.1%
하였다 1062
 
0.8%
보낸 1003
 
0.8%
송병선(宋秉璿)에게 534
 
0.4%
연재(淵齋 496
 
0.4%
자신은 493
 
0.4%
490
 
0.4%
간찰이다 445
 
0.4%
안부를 440
 
0.3%
내용이다 438
 
0.3%
Other values (38818) 119009
94.6%
2024-01-10T05:07:19.67304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23171
 
19.5%
( 19250
 
3.0%
) 19248
 
3.0%
13768
 
2.2%
11445
 
1.8%
11361
 
1.8%
4 11325
 
1.8%
10560
 
1.7%
9694
 
1.5%
8435
 
1.3%
Other values (3682) 394253
62.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412330
65.2%
Space Separator 123171
 
19.5%
Decimal Number 30888
 
4.9%
Other Punctuation 25007
 
4.0%
Close Punctuation 19668
 
3.1%
Open Punctuation 19667
 
3.1%
Other Symbol 626
 
0.1%
Math Symbol 433
 
0.1%
Final Punctuation 213
 
< 0.1%
Initial Punctuation 212
 
< 0.1%
Other values (5) 295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3768
 
3.3%
11445
 
2.8%
11361
 
2.8%
10560
 
2.6%
9694
 
2.4%
8435
 
2.0%
7848
 
1.9%
7402
 
1.8%
6517
 
1.6%
5780
 
1.4%
Other values (3594) 319520
77.5%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14
29.2%
x 10
20.8%
a 3
 
6.2%
r 3
 
6.2%
k 2
 
4.2%
e 2
 
4.2%
s 2
 
4.2%
d 2
 
4.2%
h 1
 
2.1%
t 1
 
2.1%
Other values (8) 8
16.7%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005
32.0%
; 5165
20.7%
# 5151
20.6%
& 5151
20.6%
? 1033
 
4.1%
: 334
 
1.3%
· 98
 
0.4%
51
 
0.2%
/ 11
 
< 0.1%
* 5
 
< 0.1%
Other values (3) 3
 
< 0.1%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4 11325
36.7%
1 5389
17.4%
8 2711
 
8.8%
9 2505
 
8.1%
2 2042
 
6.6%
0 1967
 
6.4%
5 1452
 
4.7%
3 1381
 
4.5%
6 1074
 
3.5%
7 1042
 
3.4%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126
29.1%
> 105
24.2%
< 105
24.2%
34
 
7.9%
34
 
7.9%
16
 
3.7%
+ 9
 
2.1%
= 2
 
0.5%
1
 
0.2%
1
 
0.2%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9250
97.9%
[ 200
 
1.0%
108
 
0.5%
49
 
0.2%
39
 
0.2%
15
 
0.1%
5
 
< 0.1%
{ 1
 
< 0.1%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9248
97.9%
] 202
 
1.0%
109
 
0.6%
49
 
0.2%
39
 
0.2%
15
 
0.1%
5
 
< 0.1%
} 1
 
< 0.1%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D 10
52.6%
B 3
 
15.8%
A 1
 
5.3%
L 1
 
5.3%
O 1
 
5.3%
R 1
 
5.3%
T 1
 
5.3%
U 1
 
5.3%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582
93.0%
25
 
4.0%
10
 
1.6%
8
 
1.3%
1
 
0.2%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74
81.7%
39
 
18.3%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73
81.6%
39
 
18.4%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23171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95
100.0%
Connecto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_ 32
100.0%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359038
56.8%
Common 220113
34.8%
Han 53292
 
8.4%
Latin 67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
ValueCountFrequency (%)
2202
 
4.1%
1259
 
2.4%
1021
 
1.9%
826
 
1.5%
722
 
1.4%
707
 
1.3%
657
 
1.2%
633
 
1.2%
568
 
1.1%
550
 
1.0%
Other values (2579) 44147
82.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3768
 
3.8%
11445
 
3.2%
11361
 
3.2%
10560
 
2.9%
9694
 
2.7%
8435
 
2.3%
7848
 
2.2%
7402
 
2.1%
6517
 
1.8%
5780
 
1.6%
Other values (1005) 266228
74.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23171
56.0%
( 19250
 
8.7%
) 19248
 
8.7%
4 11325
 
5.1%
. 8005
 
3.6%
1 5389
 
2.4%
; 5165
 
2.3%
# 5151
 
2.3%
& 5151
 
2.3%
8 2711
 
1.2%
Other values (52) 15547
 
7.1%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14
20.9%
D 10
14.9%
x 10
14.9%
B 3
 
4.5%
a 3
 
4.5%
r 3
 
4.5%
k 2
 
3.0%
e 2
 
3.0%
s 2
 
3.0%
d 2
 
3.0%
Other values (16) 16
23.9%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359038
56.8%
ASCII 218459
34.5%
CJK 51025
 
8.1%
CJK Compat Ideographs 2267
 
0.4%
None 583
 
0.1%
CJK Compat 582
 
0.1%
Punctuation 427
 
0.1%
Math Operators 85
 
< 0.1%
Geometric Shapes 44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23171
56.4%
( 19250
 
8.8%
) 19248
 
8.8%
4 11325
 
5.2%
. 8005
 
3.7%
1 5389
 
2.5%
; 5165
 
2.4%
# 5151
 
2.4%
& 5151
 
2.4%
8 2711
 
1.2%
Other values (50) 13893
 
6.4%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3768
 
3.8%
11445
 
3.2%
11361
 
3.2%
10560
 
2.9%
9694
 
2.7%
8435
 
2.3%
7848
 
2.2%
7402
 
2.1%
6517
 
1.8%
5780
 
1.6%
Other values (1005) 266228
74.2%
CJK
ValueCountFrequency (%)
2202
 
4.3%
1259
 
2.5%
1021
 
2.0%
826
 
1.6%
722
 
1.4%
707
 
1.4%
633
 
1.2%
550
 
1.1%
442
 
0.9%
438
 
0.9%
Other values (2461) 42225
82.8%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657
29.0%
568
25.1%
82
 
3.6%
57
 
2.5%
51
 
2.2%
50
 
2.2%
42
 
1.9%
38
 
1.7%
36
 
1.6%
32
 
1.4%
Other values (108) 654
28.8%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582
100.0%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74
40.7%
173
40.5%
39
 
9.1%
39
 
9.1%
1
 
0.2%
1
 
0.2%
None
ValueCountFrequency (%)
109
18.7%
108
18.5%
· 98
16.8%
51
8.7%
49
8.4%
49
8.4%
39
 
6.7%
39
 
6.7%
15
 
2.6%
15
 
2.6%
Other values (3) 11
 
1.9%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34
40.0%
34
40.0%
16
18.8%
1
 
1.2%
Geometric Shapes
ValueCountFrequency (%)
25
56.8%
10
 
22.7%
8
 
18.2%
1
 
2.3%

공간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시간적범위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21.8 KiB
조선시대
2780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4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조선시대
2nd row조선시대
3rd row조선시대
4th row조선시대
5th row조선시대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조선시대 2780
100.0%

Length

2024-01-10T05:07:19.83335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4-01-10T05:07:19.93607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조선시대 2780
100.0%

사람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언어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21.8 KiB
kor
2780 

Length

Max length3
Median length3
Mean length3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kor
2nd rowkor
3rd rowkor
4th rowkor
5th rowkor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kor 2780
100.0%

Length

2024-01-10T05:07:20.05571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4-01-10T05:07:20.15975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kor 2780
100.0%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Distinct2775
Distinct (%)100.0%
Missing5
Missing (%)0.2%
Memory size21.8 KiB
2024-01-10T05:07:20.45313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93
Median length89
Mean length90.406486
Min length88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50878
Distinct characters39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775 ?
Unique (%)100.0%

Sample

1st row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0/docimg/A_200_000031_008_0001.jpg
2nd row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1/docimg/A_200_000050_001_0001.jpg
3rd row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6/docimg/A_200_000089_001_0001.jpg
4th row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7/docimg/A_200_000103_001_0001.jpg
5th row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8/docimg/A_200_000112_001_0001.jpg
ValueCountFrequency (%)
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27/docimg/a_101_002372_002_0001.jpg 1
 
< 0.1%
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11031000013_63/docimg/b_200_007757_001_0001.jpg 1
 
< 0.1%
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11031000013_62/docimg/b_200_007746_001_0001.jpg 1
 
< 0.1%
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11031000012_56/docimg/b_200_000820_001_0001.jpg 1
 
< 0.1%
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11031000012_57/docimg/b_200_000821_001_0001.jpg 1
 
< 0.1%
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11031000012_58/docimg/b_200_000822_001_0001.jpg 1
 
< 0.1%
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11031000013_57/docimg/b_200_007721_001_0001.jpg 1
 
< 0.1%
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11031000013_58/docimg/b_200_007725_001_0001.jpg 1
 
< 0.1%
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11031000013_59/docimg/b_200_007731_001_0001.jpg 1
 
< 0.1%
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11031000013_60/docimg/b_200_007740_001_0001.jpg 1
 
< 0.1%
Other values (2765) 2765
99.6%
2024-01-10T05:07:20.96315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0 47137
18.8%
1 20574
 
8.2%
/ 19424
 
7.7%
_ 17626
 
7.0%
g 11100
 
4.4%
o 11100
 
4.4%
. 11100
 
4.4%
r 8325
 
3.3%
i 8325
 
3.3%
c 8325
 
3.3%
Other values (29) 87842
35.0%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97125
38.7%
Decimal Number 91728
36.6%
Other Punctuation 33299
 
13.3%
Connector Punctuation 17626
 
7.0%
Uppercase Letter 11100
 
4.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g 11100
11.4%
o 11100
11.4%
r 8325
 
8.6%
i 8325
 
8.6%
c 8325
 
8.6%
t 8325
 
8.6%
e 5550
 
5.7%
h 5550
 
5.7%
p 5550
 
5.7%
f 2775
 
2.9%
Other values (8) 22200
22.9%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47137
51.4%
1 20574
22.4%
2 8116
 
8.8%
3 6871
 
7.5%
4 1752
 
1.9%
5 1532
 
1.7%
6 1511
 
1.6%
7 1501
 
1.6%
8 1460
 
1.6%
9 1274
 
1.4%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S 2775
25.0%
B 2775
25.0%
O 2461
22.2%
D 2388
21.5%
C 323
 
2.9%
R 314
 
2.8%
A 64
 
0.6%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9424
58.3%
. 11100
33.3%
: 2775
 
8.3%
Connecto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_ 17626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Common 142653
56.9%
Latin 108225
43.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g 11100
 
10.3%
o 11100
 
10.3%
r 8325
 
7.7%
i 8325
 
7.7%
c 8325
 
7.7%
t 8325
 
7.7%
e 5550
 
5.1%
h 5550
 
5.1%
p 5550
 
5.1%
f 2775
 
2.6%
Other values (15) 33300
30.8%
Common
ValueCountFrequency (%)
0 47137
33.0%
1 20574
14.4%
/ 19424
13.6%
_ 17626
 
12.4%
. 11100
 
7.8%
2 8116
 
5.7%
3 6871
 
4.8%
: 2775
 
1.9%
4 1752
 
1.2%
5 1532
 
1.1%
Other values (4) 5746
 
4.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250878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0 47137
18.8%
1 20574
 
8.2%
/ 19424
 
7.7%
_ 17626
 
7.0%
g 11100
 
4.4%
o 11100
 
4.4%
. 11100
 
4.4%
r 8325
 
3.3%
i 8325
 
3.3%
c 8325
 
3.3%
Other values (29) 87842
35.0%
Distinct739
Distinct (%)26.6%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21.8 KiB
2024-01-10T05:07:21.33858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4
Median length2
Mean length4.9269784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3697
Distinct characters629
Distinct categories8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5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477 ?
Unique (%)17.2%

Sample

1st row미상
2nd row미상
3rd row미상
4th row戊申
5th row미상
ValueCountFrequency (%)
미상 359
 
11.6%
乙巳 141
 
4.6%
戊戌 97
 
3.1%
甲辰 94
 
3.0%
정석채[鄭奭采 90
 
2.9%
송병서[宋秉瑞 53
 
1.7%
甲午 44
 
1.4%
辛卯 40
 
1.3%
癸亥 36
 
1.2%
辛丑 35
 
1.1%
Other values (787) 2105
68.0%
2024-01-10T05:07:21.86456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 978
 
7.1%
] 978
 
7.1%
403
 
2.9%
369
 
2.7%
314
 
2.3%
( 285
 
2.1%
) 285
 
2.1%
273
 
2.0%
227
 
1.7%
226
 
1.6%
Other values (619) 9359
68.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0347
75.5%
Open Punctuation 1263
 
9.2%
Close Punctuation 1263
 
9.2%
Decimal Number 464
 
3.4%
Space Separator 314
 
2.3%
Other Punctuation 37
 
0.3%
Other Symbol 8
 
0.1%
Math Symbol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03
 
3.9%
369
 
3.6%
273
 
2.6%
227
 
2.2%
226
 
2.2%
221
 
2.1%
189
 
1.8%
189
 
1.8%
188
 
1.8%
187
 
1.8%
Other values (598) 7875
76.1%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23
26.5%
2 77
16.6%
3 66
14.2%
4 46
 
9.9%
0 30
 
6.5%
6 28
 
6.0%
5 25
 
5.4%
8 25
 
5.4%
9 22
 
4.7%
7 22
 
4.7%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1
83.8%
; 2
 
5.4%
# 2
 
5.4%
& 2
 
5.4%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78
77.4%
( 285
 
22.6%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78
77.4%
) 285
 
22.6%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314
10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8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 5825
42.5%
Hangul 4522
33.0%
Common 3350
24.5%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
ValueCountFrequency (%)
227
 
3.9%
226
 
3.9%
221
 
3.8%
189
 
3.2%
187
 
3.2%
172
 
3.0%
148
 
2.5%
146
 
2.5%
144
 
2.5%
135
 
2.3%
Other values (401) 4030
69.2%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03
 
8.9%
369
 
8.2%
273
 
6.0%
189
 
4.2%
188
 
4.2%
163
 
3.6%
148
 
3.3%
142
 
3.1%
120
 
2.7%
110
 
2.4%
Other values (187) 2417
53.4%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978
29.2%
] 978
29.2%
314
 
9.4%
( 285
 
8.5%
) 285
 
8.5%
1 123
 
3.7%
2 77
 
2.3%
3 66
 
2.0%
4 46
 
1.4%
? 31
 
0.9%
Other values (11) 167
 
5.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CJK 5490
40.1%
Hangul 4522
33.0%
ASCII 3342
24.4%
CJK Compat Ideographs 335
 
2.4%
Geometric Shapes 8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 978
29.3%
] 978
29.3%
314
 
9.4%
( 285
 
8.5%
) 285
 
8.5%
1 123
 
3.7%
2 77
 
2.3%
3 66
 
2.0%
4 46
 
1.4%
? 31
 
0.9%
Other values (10) 159
 
4.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03
 
8.9%
369
 
8.2%
273
 
6.0%
189
 
4.2%
188
 
4.2%
163
 
3.6%
148
 
3.3%
142
 
3.1%
120
 
2.7%
110
 
2.4%
Other values (187) 2417
53.4%
CJK
ValueCountFrequency (%)
227
 
4.1%
226
 
4.1%
221
 
4.0%
189
 
3.4%
187
 
3.4%
172
 
3.1%
148
 
2.7%
144
 
2.6%
135
 
2.5%
122
 
2.2%
Other values (383) 3719
67.7%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46
43.6%
109
32.5%
14
 
4.2%
12
 
3.6%
10
 
3.0%
9
 
2.7%
6
 
1.8%
4
 
1.2%
4
 
1.2%
4
 
1.2%
Other values (8) 17
 
5.1%
Geometric Shapes
ValueCountFrequency (%)
8
100.0%

저작권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Distinct278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21.8 KiB
2024-01-10T05:07:22.22244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92
Median length92
Mean length92
Min length9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55760
Distinct characters42
Distinct categories6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780 ?
Unique (%)100.0%

Sample

1st row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0
2nd row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1
3rd row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6
4th row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7
5th row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8
ValueCountFrequency (%)
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0 1
 
< 0.1%
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11031000013_61 1
 
< 0.1%
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11031000013_63 1
 
< 0.1%
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11031000012_56 1
 
< 0.1%
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11031000012_57 1
 
< 0.1%
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11031000012_58 1
 
< 0.1%
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11031000013_57 1
 
< 0.1%
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11031000013_58 1
 
< 0.1%
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11031000013_59 1
 
< 0.1%
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11031000013_60 1
 
< 0.1%
Other values (2770) 2770
99.6%
2024-01-10T05:07:22.73540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i 19460
 
7.6%
t 19460
 
7.6%
0 19096
 
7.5%
a 16680
 
6.5%
e 13900
 
5.4%
1 11572
 
4.5%
h 11120
 
4.3%
/ 11120
 
4.3%
. 11120
 
4.3%
D 10346
 
4.0%
Other values (32) 111886
43.7%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147340
57.6%
Decimal Number 44480
 
17.4%
Other Punctuation 30580
 
12.0%
Uppercase Letter 19460
 
7.6%
Connector Punctuation 8340
 
3.3%
Math Symbol 5560
 
2.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i 19460
13.2%
t 19460
13.2%
a 16680
11.3%
e 13900
9.4%
h 11120
 
7.5%
r 8340
 
5.7%
d 8340
 
5.7%
o 8340
 
5.7%
n 5560
 
3.8%
c 5560
 
3.8%
Other values (9) 30580
20.8%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19096
42.9%
1 11572
26.0%
2 4736
 
10.6%
3 4648
 
10.4%
4 800
 
1.8%
5 738
 
1.7%
6 735
 
1.7%
7 734
 
1.7%
8 734
 
1.7%
9 687
 
1.5%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D 10346
53.2%
O 4932
25.3%
V 2780
 
14.3%
R 628
 
3.2%
C 628
 
3.2%
B 146
 
0.8%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1120
36.4%
. 11120
36.4%
: 2780
 
9.1%
& 2780
 
9.1%
? 2780
 
9.1%
Connecto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_ 8340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5560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Latin 166800
65.2%
Common 88960
34.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i 19460
11.7%
t 19460
11.7%
a 16680
 
10.0%
e 13900
 
8.3%
h 11120
 
6.7%
D 10346
 
6.2%
r 8340
 
5.0%
d 8340
 
5.0%
o 8340
 
5.0%
n 5560
 
3.3%
Other values (15) 45254
27.1%
Common
ValueCountFrequency (%)
0 19096
21.5%
1 11572
13.0%
/ 11120
12.5%
. 11120
12.5%
_ 8340
9.4%
= 5560
 
6.2%
2 4736
 
5.3%
3 4648
 
5.2%
: 2780
 
3.1%
& 2780
 
3.1%
Other values (7) 7208
 
8.1%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255760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i 19460
 
7.6%
t 19460
 
7.6%
0 19096
 
7.5%
a 16680
 
6.5%
e 13900
 
5.4%
1 11572
 
4.5%
h 11120
 
4.3%
/ 11120
 
4.3%
. 11120
 
4.3%
D 10346
 
4.0%
Other values (32) 111886
43.7%

기여자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해당시간대 (기존 = period(기간) + time(시간))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요금 정보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등급 정보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장소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2780
Missing (%)100.0%
Memory size24.6 KiB

Sample

자원의 명칭대체 (기존 = alternativeTitle(대체) + subTitle(부제))주된 책임을 진 개체등록일소속(통제)DB기관별주제분류체계핵심주제어(키워드)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내용 (기존 = description(내용) + abstract(자원의 대한 요약))공간시간적범위사람언어참조자원제목 (기존 = reference(참조한자원) + source(유래자원에 대한 참조))참조식별정보(썸네일이미지)자원에 대한 권리저작권지식정보자원위치정보기여자해당시간대 (기존 = period(기간) + time(시간))요금 정보등급 정보장소
0계당잡고8책(溪堂雜稿8冊)<NA>도서관2020-12-31 15:05:35기호유학고문헌집부/별집류/한국인<NA><NA>송병선(宋秉璿&#44; 1836~1905)의 《계당잡고(溪堂雜稿)》 8권은 행장 1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록된 행장의 저술 시기는 저자가 일제의 단발령(斷髮令)을 피해 천마산(天摩山)으로 들어간 1896년 나이 60세에서 을사오적(乙巳五賊)의 처형&#44; 을사조약의 파기 및 국권을 회복할 것을 유서로 남기고 대전 석촌(石村)에서 독약을 마시고 자결한 1905년 나이 70세까지이다. 8권의 구성은 년도 별로 되어 있는데&#44; 수록된 행장은 1896년에 쓴 외제(外弟) 김영응(金永膺)의 행장을 필두로 1897년 오봉(五峰) 안수록(安壽祿)&#44; 1898년 운창(芸窓) 박성양(朴性陽)&#44; 1899년 남포(南浦) 이동우(李東遇)&#44; 1900년 효자(孝子) 이연(李衍)&#44; 1901년 경소재(慶素齋) 윤필현(尹弼鉉)&#44; 고시신(高時臣)&#44; 애일헌(愛日軒) 이병찬(李秉瓚)&#44; 1902년 조암(照菴) 정해필(鄭海弼)&#44; 1903년 입재(立齋) 송근수(宋近洙)&#44; 1905년 지호(芝湖) 이선(李選)&#44; 1905년 경재(敬齋) 이해(李瀣) 등이며&#44; 행장에 수록된 인물들과 저자와의 관계는 친척 및 외척&#44; 지인(知人) 등이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0/docimg/A_200_000031_008_0001.jpg미상<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0<NA><NA><NA><NA><NA>
1과정록(過庭錄)<NA>도서관2020-12-31 15:05:35기호유학고문헌집부/별집류/한국인<NA><NA>이 책은 구한말 영남 士林이었던 순국지사 淵齋 宋秉璿의 언행록이다. 송병선은 尤庵의 9대손이며 守宗齋 宋達洙가 그의 伯父이다. 평소 제자들 및 지인과 나눈 문답에는 학문하는 자세와 공부의 次第&#44; 일상 속에서의 소소한 행동거지에 대한 충고&#44; 時事에 대한 탄식&#44; 당대와 같은 亂世에서 선비로서 가져야 할 올바른 처신&#44; 出處의 문제&#44; 前代 및 당대의 선비들에 대한 평가&#44; 조선의 역대 왕들에 대한 논평&#44; 천주교에 대한 비판&#44; 葬禮와 喪禮의 형식과 절차&#44; 忠孝에 대한 문답&#44; 각종 사물에 대한 유래와 이치 등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다. 그는 자신이 처한 시대를 역사 속에 전무후무한 난세라 여기고 제자들에게 항상 閉門讀書하며 謹拙의 삶을 지향할 것을 역설하였다. 그의 호가 淵齋인 것도 東晋 말기 陶淵明이 난세에 벼슬하지 않고 守拙하며 살았던 삶을 숭앙하고 본받고자 한 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의 학식과 덕망을 전해 듣고 많은 선비들이 원근 각처에서 가르침을 받고자 찾아왔는데&#44; 그들이 폐백을 바치려고 할 때마다 그는 폐백을 받지 않는 것이 대대로 전해온 家規라며 번번이 거절하였다. 학문의 순서를 묻는 물음에는 특히 ≪小學≫ 공부를 강조하며 凡事에 근본을 삼가야 함을 말하였다. 東方 諸賢의 모범으로 그는 退溪 李滉&#44; 栗谷 李珥&#44; 沙溪 金長生&#44; 尤庵 宋時烈을 꼽았으며&#44; 특히 義理에 있어서는 尤庵을 士의 모범으로 여겼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그는 을사오적을 討殺할 것을 주장하며 絶食하였고&#44; 閔泳煥?趙秉世?洪萬植의 자결 소식을 듣고 이를 장하게 여겼다. 자신의 생각을 적은 상소를 두 번 올린 후 임금의 부름을 받은 그는&#44; 아들 哲憲에게 뒷일을 부탁하고 상경하였다. 高宗을 만난 자리에서 五賊의 목을 베어야 한다고 극력 諫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44; 이에 그는 그해 12월 마지막 날 石南의 舊第에서 자결하였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1/docimg/A_200_000050_001_0001.jpg미상<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1<NA><NA><NA><NA><NA>
2남유일기(南遊日記)<NA>도서관2020-12-31 15:05:35기호유학고문헌사부/기록류/한국인<NA><NA>남유일기(南遊日記)는 누가 지었는지 알 수 없으나 문세(文勢)로 보아 송우암(宋尤庵)의 후손이 지은 듯하다. 그 내용을 보면 황악산기(黃岳山記) 서두(書頭)에 쓰기를 내가 영남(嶺南)의 산수(山水)를 두루 구경하고자 하였으나 임신년 늦은 가을에 외종제(外從弟) 김성례(金聖禮)와 함께 가기로 약속하여 출발하였다. 그 때 이우공기(李友恭基)도 동행하여 황간읍(黃澗邑)에 도착하여 가학루(駕鶴樓)에 올라서 보니 심히 상쾌하였다. 거기에서 괘방령(掛榜嶺)을 넘어서 황악산(黃岳山)으로 들어가니 국화가 만발하였다. 5~6리(里)를 가서 직지사(直指寺)를 경유하여 내원암(內院庵)에 도착하고&#44; 또 10여리를 가서 보니 인가(人家)가 있는데 뽕나무와 화초가 그림과 같고&#44; 주공동(周公洞)과 공자동(孔子洞)이라는 마을이 있는데 수석(水石)이 매우 아름다워서 저절로 시(詩)를 읊게 되었다. 황악산(黃岳山)에서 길을 떠나 수도산(修道山)으로 와서 서쪽의 쌍계사(雙溪寺)와 청암사(靑巖寺) 등 모든 경치를 구경하였다. 또 가야산(伽倻山)으로 들어가니 산이 깊숙하고 수석(水石)이 참으로 아름다웠다. 대저(大抵) 수도산(修道山)이 남쪽으로 달려와서 가야산(伽倻山)을 일으킨 것이다. 가야사(伽倻寺)에서 유람한 흥취가 남아서 적벽(赤壁)과 진석(眞石)의 모든 명승지(名勝地)를 구경하고자 하였다. 추령(秋嶺)을 넘어서 삼가(三嘉)의 땅을 지나 용문사(龍門寺)를 구경하였다. 여러 곳을 거쳐서 단계(丹溪)에 이르러서 여러 가지 경물(景物)을 관람하였다. 또 금산(錦山)으로 와서 소금강(小金剛)의 모든 절경(絶景)을 두루 보고 성현(城峴)으로 와서 자고 집으로 돌아왔다고 하였다. 그리고 쌍계(雙溪)와 신선대(神仙臺) 등 여러 곳에서 시(詩)를 지어 이 남유일기(南遊日記) 끝에 기록하였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6/docimg/A_200_000089_001_0001.jpg미상<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6<NA><NA><NA><NA><NA>
3단암만록(丹巖漫錄)<NA>도서관2020-12-31 15:05:35기호유학고문헌집부/별집류/한국인<NA><NA>丹巖漫錄은 조선 후기의 문신 민진원(閔鎭遠&#44; 1664~1736)이 관직에 있을 때 일어난 주요한 정치사건을 기록한 책이다. 필사본 2책으로 민진원이 1728년 초에 기록한 것을 조카 민우수(閔遇洙)를 시켜 베끼게 하여 아들 창수(昌洙)에게 전한 것이다. 민진원은 인현왕후(仁顯王后&#44; 1667~1701)의 오빠로 1680년(숙종 6) 경신환국(庚申換局)으로부터 인현왕후의 승하와 장희빈의 자진&#44; 송시열과 윤증의 시비를 결단한 병신처분(丙申處分)&#44; 왕위계승에 관한 숙종과 이이명(李?命)의 정유독대(丁酉獨對) 및 경종대 연잉군(延?君)&#44; 즉 영조를 세제(世弟)로 책봉한 시말&#44; 그리고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까지의 역사적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기록하고 있다. 민진원은 좌의정까지 역임하는 등 정치일선에서 활약하였기 때문에 궁중 안에서 벌어진 사건과 그 이면에 대해 매우 상세히 기록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당쟁 관련 개인기록이 몇 세대가 지난 뒤에 기록되거나&#44; 정치 주변에 있었던 인물들이 기록하였던 것과는 대비가 된다. 민진원의 외할아버지가 송준길(宋浚吉)인데&#44; 이런 관계로 단암만록이 은진송씨집안에도 보관된 것으로 여겨진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7/docimg/A_200_000103_001_0001.jpg戊申<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7<NA><NA><NA><NA><NA>
4대명복수가(大明復讐歌)<NA>도서관2020-12-31 15:05:35기호유학고문헌집부/시가류/한국인<NA><NA>순조(純祖) 24년(1824)에 창헌(蒼軒) 조우각(趙宇慤)이 지은 가사이다. 그 내용을 보면 명(明)나라가 청(淸)나라에 의하여 멸망된 것을 통분(痛憤)하며&#44; 우리나라가 병자호란(丙子胡亂)으로 당한 치욕을 설욕(雪辱)하지 못한 것을 깊이 통탄(痛歎)하였다. 또 강화(講和)를 주장한 최명길(崔鳴吉) 등을 심히 비판하고&#44; 중국과 우리나라 역대의 충신열사(忠臣烈士)들을 모두 동원하여 청(淸)나라를 토벌(討伐)하는 쾌거를 노래로 지었다. 그리고 북벌(北伐)을 늘 생각한 효종대왕(孝宗大王)이 10년 동안 부심(腐心)하였지만 그 임금은 있되 그 신하는 없었다. 강약(强弱)이 비록 서로 맞지 않았으나 어찌 분함을 머금고 아픔을 참기만 하고 있었던가 하였다. 그 때에 송우암(宋尤庵)은 효종대왕(孝宗大王) 북벌(北伐)의 뜻을 이루어 드리고자 노력하였다. 우암(尤庵)이 말하기를 나라가 적고 힘이 약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니 아픔을 참으며 원통함을 머금고 있는 것은 박부득이(迫不得已)한 일이라고 하였으니 그 때 그 신하가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가사 전체 내용이 넓고 간곡하여 나라를 위하고 백성을 위하여 내 몸을 희생하는 정신을 고취시킬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8/docimg/A_200_000112_001_0001.jpg미상<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8<NA><NA><NA><NA><NA>
5동유일기(東遊日記)<NA>도서관2020-12-31 15:05:35기호유학고문헌사부/기록류/한국인<NA><NA>동유일기(東遊日記)는 어느 때 누가 쓴 것인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여주기(驪州記) 중에 은사정(恩師亭)에 이르러서 효종대왕(孝宗大王)이 문정선조(文正先祖)에게 써주신 친필(親筆)의 밀찰(密札)을 보았다는 구절로 보아서 송우암 선생(宋尤庵 先生)의 후손이 됨을 알 수 있다. 그 내용을 보면 서두(書頭)에 쓰기를 금강산(金剛山)은 신선의 산이다&#44; 복을 받은 좋은 인연이 없는 사람은 가 볼 수가 없다. 자기가 보길 원한지가 30년이 되었는데&#44; 무진년 봄에 숙부(叔父)가 서너 사람들과 더불어 금강산 유람을 약속함으로 나도 함께 동행하기를 청하였다. 그리하여 다른 사람들과 함께 출발하였다. 괴산읍(槐山邑)을 지나 백양현(白楊峴)을 넘었으니 즉 여주(驪州) 땅이다. 거기에서 여러 곳을 거쳐 청심루(淸心樓)에 이르러서 올라가 보니 회포가 시원하여 세상의 흥망과 총욕(寵辱)을 모두 잊은 듯하였다. 그 곳에서 춘천(春川)을 경유하여 장안사(長安寺)와 표훈사(表訓寺)와 정양사(正楊寺)와 만폭동(萬瀑洞)과 구룡연(九龍淵) 등 여러 곳의 승지절경(勝地絶景)을 두루 관람하고 강릉(江陵)으로 왔다. 영월(寧越)과 단양(丹陽)을 거쳐 괴산읍(槐山邑)으로 들어와 자고 수일(數日)을 쉬고 집으로 돌아오니 갔다온 날짜가 80일이 걸렸고 다닌 거리는 모두 2천6백여리가 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신륵사(神勒寺)와 청심루(淸心樓) 등 48곳에서 48수의 시(詩)를 지어 동유일기(東遊日記) 끝에 기록하여 붙였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19/docimg/A_200_000135_001_0001.jpg미상<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19<NA><NA><NA><NA><NA>
6두류기(頭流記)<NA>도서관2020-12-31 15:05:35기호유학고문헌집부/시문류/한국인<NA><NA>두류산기(頭流山記)는 어느 때에 누가 지었는지 알 수 없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백두산(白頭山)의 한 줄기가 흘러 내려와서 이곳에 멈춰 두류산(頭流山)이라고 한다. 기묘년 가을에 나귀를 타고 종 두 명을 거느리고 출발하였으니 그 때가 바로 8월 초하루였다. 드디어 용호동(龍湖洞)으로 들어가 보니 맑은 물이 쏟아져서 못이 되어 있고&#44; 그 위에 주자(朱子)와 송우암(宋尤庵) 두 선생의 영당(影堂)을 모셨던 옛 터가 있었다. 화개동(花開洞)을 지나 북으로 10여리를 가서 쌍계합류(雙溪合流)를 보고 여러 곳을 거쳐 시내를 따라 30여리를 가서 단천영(檀川嶺)을 올라가 보았다. 또 세석평(細石坪)을 보고자하여 간신히 4~5리를 가서 외세석(外細石)과 내세석(內細石)을 보니 기이한 경치가 마음을 쾌활하게 하였다. 그 후 청학동(靑鶴洞)과 백운동(白雲洞)과 단성지(丹城池) 등 모든 별경(別境)의 아름다운 경물(景物)을 두루 구경하고 서편으로 내려와서 내동(內洞)에 와서 3일간 머물고&#44; 고향으로 돌아와서 이 기문(記文)을 썼다고 하였다. 그리고 지리산(智異山)&#44; 노인성(老人星)&#44; 산천재(山天齋) 등의 시(詩)를 지어 기문(記文) 끝에 써서 붙였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20/docimg/A_200_000142_001_0001.jpg미상<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20<NA><NA><NA><NA><NA>
7간재선생문습유(艮齋先生文拾遺)<NA>도서관2020-12-31 15:05:35기호유학고문헌집부/별집류/<NA><NA>간재선생문습유(艮齋先生文拾遺)는 간재선생(艮齋先生) 문집(文集)을 작성한 후에 문인(門人)들이 문집에 빠진 부분을 서로 수집하여 모은 것이다. 그 글씨를 살펴보면 간재선생(艮齋先生)이 직접 쓴 것도 있고 다른 사람의 글씨도 있다. 내용을 보면 간재선생(艮齋先生)이 경술국변(庚戌國變) 이후에 국망(國亡)을 통분(痛憤)하여 계화도(繼華島)의 섬으로 들어가서 은거(隱居)하면서&#44; 성경현전(聖經賢傳)을 강론하며 제자를 양성하고 끊어져가는 성현(聖賢) 학문의 한 맥(?)을 이은 것이다. 그러므로 전국각처에서 선비들이 찾아와서 사제(師弟)의 의(義)를 맺고 강학(講學)을 하였으며&#44; 먼 곳에 있어 찾아오지 못하는 사람들은 편지를 보내어 의심나는 경의(經義)와 예설(禮說)과 시국(時國)을 대처하는 처세 등 모든 것을 질문하였다. 선생은 그 질문하는 절목에 대하여 선현(先賢)들의 논설에 의거하고 또 자기의 의견을 설명하여 자세히 회답을 하였다. 특히 시국대처(時局對處:抗日관계)에 대해서는 김인산(金仁山)과 허백운(許白雲)이 산에 들어가 절의(節義) 지킨 것을 준행(遵行)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경의(經義)에 대해서는 정자(程子)와 주자(朱子)&#44; 율곡(栗谷)과 우암(尤庵)의 강설(講說)을 주장하였다. 성리설(性理說)에 대해서는 성품은 스승이 되고 마음은 제자가 된다는 성사심제설(性師心弟說)을 주장하였다. 여러 학설이 후학(後學)들의 많은 참고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21/docimg/A_101_002504_001_0001.jpg미상<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21<NA><NA><NA><NA><NA>
8추담후속1책(秋潭後續1冊)<NA>도서관2020-12-31 15:05:35기호유학고문헌집부/별집류/한국인<NA><NA>전체 4권 4책으로 구성된 문집이다. 간재(艮齋) 전우(全愚)의 글을 모은 것이나 서발문이 없기 때문에 간행배경이나 편저자를 파악할 수 없다. 권수제(卷首題)는 구산사고후속(臼山私稿後續)으로 되어 있으나 한 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워져 있다. 권1은 상전재선생(上全齋先生)을 비롯하여 총41편의 간찰이 수록되었다. 권2는 답임문약(答林文若)을 비롯하여 총141편의 간찰이 수록되었다. 권3은 서(書)와 잡저(雜著)를 수록하였다. 서(書)는 답신석해(答申錫海)를 비롯하여 총64편의 간찰이다. 잡저는 심성답고개본(心性答藁改本)&#44; 태극변(太極辨) 등 성리설에 관련된 내용과 과거설(科擧說)&#44; 그리고 일부 서간문이 함께 수록되었다. 권4는 서(序)와 기(記)&#44; 발(跋)&#44; 잠(箴)을 수록하였다. 서(序)는 직암실기서(直庵實記序)를 비롯하여 총 43편인데 주로 문집 서문이며 족보와 계안(契案) 서문도 포함되어 있다. 기(記)는 총 8편이다. 두편의 정려기가 포함되었고&#44; 나머지는 재(齋)와 사(社)에 대한 기문이다. 제발(題跋)은 24편다. 잠(箴)은 계색잠(戒色箴)과 위학잠(爲學箴) 두 편이다. 이 책은 서발문이 없기 때문에 편찬배경을 파악할 수 없다. 계선이 있는 종이에 필사한 것으로 간재 전우의 문집에 수록되지 않은 글을 모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26/docimg/A_101_002372_001_0001.jpg미상<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26<NA><NA><NA><NA><NA>
9추담후속2책(秋潭後續2冊)<NA>도서관2020-12-31 15:05:35기호유학고문헌집부/별집류/한국인<NA><NA>전체 4권 4책으로 구성된 문집이다. 간재(艮齋) 전우(全愚)의 글을 모은 것이나 서발문이 없기 때문에 간행배경이나 편저자를 파악할 수 없다. 권수제(卷首題)는 구산사고후속(臼山私稿後續)으로 되어 있으나 한 곳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워져 있다. 권1은 상전재선생(上全齋先生)을 비롯하여 총41편의 간찰이 수록되었다. 권2는 답임문약(答林文若)을 비롯하여 총141편의 간찰이 수록되었다. 권3은 서(書)와 잡저(雜著)를 수록하였다. 서(書)는 답신석해(答申錫海)를 비롯하여 총64편의 간찰이다. 잡저는 심성답고개본(心性答藁改本)&#44; 태극변(太極辨) 등 성리설에 관련된 내용과 과거설(科擧說)&#44; 그리고 일부 서간문이 함께 수록되었다. 권4는 서(序)와 기(記)&#44; 발(跋)&#44; 잠(箴)을 수록하였다. 서(序)는 직암실기서(直庵實記序)를 비롯하여 총 43편인데 주로 문집 서문이며 족보와 계안(契案) 서문도 포함되어 있다. 기(記)는 총 8편이다. 두편의 정려기가 포함되었고&#44; 나머지는 재(齋)와 사(社)에 대한 기문이다. 제발(題跋)은 24편다. 잠(箴)은 계색잠(戒色箴)과 위학잠(爲學箴) 두 편이다. 이 책은 서발문이 없기 때문에 편찬배경을 파악할 수 없다. 계선이 있는 종이에 필사한 것으로 간재 전우의 문집에 수록되지 않은 글을 모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B_20111031000000_27/docimg/A_101_002372_002_0001.jpg미상<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B&identifier=OB_20111031000000_27<NA><NA><NA><NA><NA>
자원의 명칭대체 (기존 = alternativeTitle(대체) + subTitle(부제))주된 책임을 진 개체등록일소속(통제)DB기관별주제분류체계핵심주제어(키워드)자원의 크기나 재생시간내용 (기존 = description(내용) + abstract(자원의 대한 요약))공간시간적범위사람언어참조자원제목 (기존 = reference(참조한자원) + source(유래자원에 대한 참조))참조식별정보(썸네일이미지)자원에 대한 권리저작권지식정보자원위치정보기여자해당시간대 (기존 = period(기간) + time(시간))요금 정보등급 정보장소
27701892년(光緖 18) 8월 8일에 화전주(火田主) 이노천돌(李奴千乭)이 김노춘단(金奴春丹)에게 채무를 변재하기 위한 문기(文記)(明文)<NA>도서관2020-12-31 15:05:50기호유학고문헌명문문기류/명문류/토지매매명문<NA><NA>1892년(光緖 18) 8월 8일에 화전주(火田主) 이노천돌(李奴千乭)이 김노춘단(金奴春丹)에게 채무를 변재하기 위한 문기다. 채무는 채무(債務)와 이자를 합하여 9량 7전인데 이를 값을 길이 없어 월성원(月城員) 화전(火田) 5단(段) 겉보리 밭 2두락(斗落)으로 위 채무(債務)을 영원해 변재 한다는 문기다. 밭 일단(一段)은 당산(當山) 길 옆에 있고&#44; 밭 일단(一段)은 수참(水站)가에 있고&#44; 밭 삼단(三段)은 군암(君巖)에 있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31231000009_08/docimg/B_100_2013_00910_001_0001.jpg이노임돌[李奴壬乭]<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31231000009_08<NA><NA><NA><NA><NA>
27711892년(光緖 18) 2월 12일에 윤노구득(尹奴口得)이 김노(金奴)에게 방매한 문기(文記)(明文)<NA>도서관2020-12-31 15:05:50기호유학고문헌명문문기류/명문류/토지매매명문<NA><NA>1892년(光緖 18) 2월 12일에 윤노구득(尹奴口得)이 김노(金奴)에게 요긴한 용처가 있어 자기 답인 월성원(月城員) 수자(受字) 3두락(斗落) 6부(負)4속(束)을 전문 70량을 받고 매매하는 문기다. 부기(附記) : 3월 13일에 답을 주는 것을 마치었는데&#44; 구 문기(舊文記)에는 다른 건이 함께 기록되어 있어 줄 수가 없고 신문기(新文記)를 1장를 준다. 도조(賭租)는 35두이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31231000009_09/docimg/B_100_2013_00911_001_0001.jpg윤노구득[尹奴口得]<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31231000009_09<NA><NA><NA><NA><NA>
27721893년(光緖 19) 1월 21일에 김노사금(金奴士今)이 금노춘단(金奴春丹)에게 매매한 문기(文記)(明文)<NA>도서관2020-12-31 15:05:50기호유학고문헌명문문기류/명문류/토지매매명문<NA><NA>1893년(光緖 19) 1월 21일에 김노사금(金奴士今)이 김노춘단(金奴春丹)에게 요긴한 용처가 있어 자기 답(畓)인 경상도(慶尙道) 안의(安義縣) 북상동(北上洞) 월성원(月城員) 분계촌(分界村) 앞 뜰 수자전(受字田) 4두락(斗落)(6負 1束)을 전문 80량을 받고 매매하는 문기다. 본문기(本文記)에는 다른 답의 문기가 함께 기록되어 있어 줄 수 없고&#44; 신문기(新文記) 1장을 준다. 부기(附記) : 도조(賭租) 2석 10두로 정한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31231000009_10/docimg/B_100_2013_00912_001_0001.jpg김노사금[金奴士今]<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31231000009_10<NA><NA><NA><NA><NA>
27731892년(光緖 13) 12월 1일에 김노복금(金奴卜今)이 매매한 문기(文記)(明文)<NA>도서관2020-12-31 15:05:50기호유학고문헌명문문기류/명문류/토지매매명문<NA><NA>1892년(光緖 13) 12월 1일에 김노복금(金奴卜今)이 요긴한 용처가 있어&#44; 자기 답(畓)인 경상도(慶尙道) 안의현(安義縣) 북상동(北上洞) 월성원(月城員) 분계촌(分界村) 아래 군암 뜰 수자(隨字) 2두락(斗落)(2負 9束) 6백미를 전문 80량을 받고 매매하는 문기다. 본 문기(本文記)에는 다른 전답(田畓)의 함께 기록되어 있어 줄 수 없고&#44; 신문기(新文記) 1장을 준다. 부기(附記) : 도조(賭租) 27두로 정한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OD_20131231000009_11/docimg/B_100_2013_00913_001_0001.jpg김노복금[金奴卜今]<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OD&identifier=OD_20131231000009_11<NA><NA><NA><NA><NA>
2774평산신씨신위단비(平山申氏神位壇碑)<NA>도서관2020-12-31 15:05:50기호유학고문헌서화류/금석문/기타<NA><NA>평산신씨는 송희건의 원 배위로 시집오지 석달만에 하세하여 양근에 장사하였으나 실전되어 신위단비를 세우게 되었다. 이 신단비는 연화문을 조각한 농대석 위에 원두형 비신을 세우고 전면에는 10㎝ 예서로 단표를 새기고 후면에는 김달순(金達淳)이 지은 음기를 이광섭(李光燮)이 쓴 4㎝ 예서로 새겨 세웠다. 탑본은 모두 석장으로 찰탑으로 되어 있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RC_20111031000000_54/docimg/B_300_000061_001_0001.jpg乙丑(순조 5년)<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RC&identifier=RC_20111031000000_54<NA><NA><NA><NA><NA>
2775박원상묘비 (朴元象墓碑)<NA>도서관2020-12-31 15:05:50기호유학고문헌서화류/금석문/묘비<NA><NA>취금(醉琴) 박팽년(朴彭年)의 증조인 박원상의 묘비는 대전 대별동에 있는데&#44; 송시열이 고증에 의하여 비문을 짓고&#44; 송준길이 비문을 써서 세운 묘비이다. 농대석에 가첨석을 사용하여 세웠으며 오석인 비신에는 전면에 12㎝ 해행의 묘표를 새기고&#44; 후면에는 3㎝ 해행으로 음기를 새겨 넣었다. 측면에는 9세손 세징(世徵)이 가계를 추기하여 적어 놓았다. 전면 탑본은 박탑으로 했으며 6.25전쟁 때 총상으로 몇 군데 손상되어 있다. 후면은 찰탑으로 했으며 비교적 온전한 모습을 하고 있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RC_20111031000000_55/docimg/B_300_000062_001_0001.jpg乙巳(현종 6년)<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RC&identifier=RC_20111031000000_55<NA><NA><NA><NA><NA>
2776고흥류씨묘비(高興柳氏墓碑)<NA>도서관2020-12-31 15:05:50기호유학고문헌서화류/금석문/묘비<NA><NA>고흥류씨는 송극기(宋克己)의 배위로 22세에 홀로되어 개경에서 4세 아들 쌍청당 유(愉)를 업고 회덕으로 내려와 자손으 잘 길러 회덕 송씨의 터전을 마련하였다. 류씨의 묘비는 커다란 농대석과 큰 가첨석을 썼으며 비신도 정사각형에 가깝다. 비의 묘갈기는 송시열이 짓고&#44; 글씨는 송준길이 쓰고&#44; 전서는 송광식이 썼는데&#44; 전면 큰 글씨의 묘표는 예서로 11㎝ 크기이며 전액은 9㎝ 전서이고 비문은 3.3㎝ 해행으로 새겨져 있다. 탑본은 찰탑으로 했으며 탑본은 모두 넉 장이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RC_20111031000000_56/docimg/B_300_000063_001_0001.jpg丁酉(효종 8년)<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RC&identifier=RC_20111031000000_56<NA><NA><NA><NA><NA>
2777송명의유허비(宋明誼遺墟碑)<NA>도서관2020-12-31 15:05:50기호유학고문헌서화류/금석문/기타<NA><NA>송씨가 회덕에 세거하기 시작 한 것은 송명의 때부터이다. 쌍청당이 당을 지었으나 유허만이 전해오다가 1835년에 유허비를 세우게 되었다. 비문은 송기정(宋基鼎)이 짓고 비문 글씨는 송훈노(宋勛老)가 써서 전면에는 8㎝ 해서로 비제를 새기고&#44; 나머지 삼면에는 유허비문을 3㎝ 해서로 새겨 넣었다. 가첨석과 농대석을 사용한 조선비형이다. 탑본은 찰탑으로 했으며 모두 넉 장으로 되어 있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RC_20111031000000_57/docimg/B_300_000064_001_0001.jpg乙未(고종 10년)<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RC&identifier=RC_20111031000000_57<NA><NA><NA><NA><NA>
2778송수장묘갈(宋壽長墓碣)<NA>도서관2020-12-31 15:05:50기호유학고문헌서화류/금석문/묘갈<NA><NA>송수장 묘비는 비신에 비하여 조금 작은 규모의 농대석과 가첨석을 사용한 조선 묘비형으로 세워져 있다. 비문은 손자 상검(尙儉)이 짓고 글씨는 김익룡(金翊龍)이 써서 전면에는 6㎝ 해서로 묘표를 새기었고&#44; 후면에는 비문을 2.3㎝ 해서로 새기었다. 탑본은 2장으로 음기는 찰탑으로 되어 있으며 전면 묘표는 박탑으로 되어 있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RC_20111031000000_58/docimg/B_300_000065_001_0001.jpg甲辰(경종 4년)<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RC&identifier=RC_20111031000000_58<NA><NA><NA><NA><NA>
2779송여익묘표(宋汝翼墓表)<NA>도서관2020-12-31 15:05:50기호유학고문헌서화류/금석문/묘표<NA><NA>성균관 진사 송여익 묘표는 연화문과 상안을 조각한 농대석 위에 복연엽형을 한 비신을 갖춘 조선시대 전형적인 묘표이다. 묘표 전면에는 5㎝ 해서로 묘표를 새기었고&#44; 음기는 정광필(鄭光弼)이 짓고 비문 글씨는 송인수(宋麟壽)가 써서 2㎝ 해서로 새겨 넣었다. 비문 탑본은 2장으로 모두 찰탑으로 되어 있다.<NA>조선시대<NA>kor<NA>http://giho.cnu.ac.kr/fileStore/org/RC_20111031000000_59/docimg/B_300_000066_001_0001.jpg미상<NA>http://giho.cnu.ac.kr/shr/gihoDataDetailView.do?data_type=RC&identifier=RC_20111031000000_59<NA><NA><NA><N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