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16
Number of observations31
Missing cells29
Missing cells (%)5.8%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4.0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133.1 B

Variable types

Text12
Categorical4

Dataset

Description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에 등록된 천적곤충 현황으로 한글명, 속성, 종명, 품명, 과명, 명명년도, 명명자, 이용작물과 분표현황, 대상해충, 생태정보, 이용방법 등의 정보가 있습니다.
Author농촌진흥청
URLhttps://www.data.go.kr/data/15123428/fileData.do

Alerts

명명년도 is highly imbalanced (79.4%)Imbalance
국내분포 is highly imbalanced (74.2%)Imbalance
명명자 has 14 (45.2%) missing valuesMissing
시험결과 has 15 (48.4%) missing valuesMissing
한글명 has unique valuesUnique
종명 has unique valuesUnique
특징 has unique valuesUnique
생태정보 has unique valuesUnique
이용방법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4-03-14 17:52:26.505931
Analysis finished2024-03-14 17:52:30.647539
Duration4.14 seconds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한글명
Text

UNIQUE 

Distinct31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31.30886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9
Median length8
Mean length6.0645161
Min length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88
Distinct characters84
Distinct categories1 ?
Distinct scripts1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31 ?
Unique (%)100.0%

Sample

1st row가루진디벌
2nd row굴파리좀벌
3rd row굼벵이병원선충
4th row긴털이리응애
5th row깍지무당벌레
ValueCountFrequency (%)
가루진디벌 1
 
3.2%
예쁜가는배고치벌 1
 
3.2%
호리꽃등에 1
 
3.2%
호랑풀잠자리 1
 
3.2%
콜레마니진디벌 1
 
3.2%
칠성풀잠자리붙이 1
 
3.2%
칠레이리응애 1
 
3.2%
참딱부리긴노린재 1
 
3.2%
진디혹파리 1
 
3.2%
진디벌 1
 
3.2%
Other values (21) 21
67.7%
2024-03-15T02:52:32.38778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5
 
8.0%
12
 
6.4%
8
 
4.3%
7
 
3.7%
6
 
3.2%
6
 
3.2%
6
 
3.2%
5
 
2.7%
5
 
2.7%
4
 
2.1%
Other values (74) 114
60.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88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5
 
8.0%
12
 
6.4%
8
 
4.3%
7
 
3.7%
6
 
3.2%
6
 
3.2%
6
 
3.2%
5
 
2.7%
5
 
2.7%
4
 
2.1%
Other values (74) 114
60.6%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88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5
 
8.0%
12
 
6.4%
8
 
4.3%
7
 
3.7%
6
 
3.2%
6
 
3.2%
6
 
3.2%
5
 
2.7%
5
 
2.7%
4
 
2.1%
Other values (74) 114
60.6%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88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5
 
8.0%
12
 
6.4%
8
 
4.3%
7
 
3.7%
6
 
3.2%
6
 
3.2%
6
 
3.2%
5
 
2.7%
5
 
2.7%
4
 
2.1%
Other values (74) 114
60.6%

속명
Text

Distinct27
Distinct (%)87.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33.05669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5
Median length11
Mean length9.3870968
Min length5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91
Distinct characters32
Distinct categories3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3 ?
Unique (%)74.2%

Sample

1st rowDiaeretiella
2nd rowDiglyphus
3rd rowHeterorhabditis
4th rowAmblyseius
5th rowCryptolaemus
ValueCountFrequency (%)
aphidius 3
 
9.7%
amblyseius 2
 
6.5%
aphelinus 2
 
6.5%
orius 2
 
6.5%
feltiella 1
 
3.2%
diaeretiella 1
 
3.2%
meteorus 1
 
3.2%
episyrphus 1
 
3.2%
micromus 1
 
3.2%
chrysopa 1
 
3.2%
Other values (16) 16
51.6%
2024-03-15T02:52:34.25028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i 33
 
11.3%
s 30
 
10.3%
e 28
 
9.6%
r 20
 
6.9%
u 19
 
6.5%
o 18
 
6.2%
a 16
 
5.5%
l 16
 
5.5%
h 12
 
4.1%
t 12
 
4.1%
Other values (22) 87
29.9%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257
88.3%
Uppercase Letter 31
 
10.7%
Space Separator 3
 
1.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i 33
12.8%
s 30
11.7%
e 28
10.9%
r 20
 
7.8%
u 19
 
7.4%
o 18
 
7.0%
a 16
 
6.2%
l 16
 
6.2%
h 12
 
4.7%
t 12
 
4.7%
Other values (8) 53
20.6%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8
25.8%
O 3
 
9.7%
E 3
 
9.7%
C 3
 
9.7%
D 2
 
6.5%
M 2
 
6.5%
P 2
 
6.5%
H 2
 
6.5%
N 2
 
6.5%
T 1
 
3.2%
Other values (3) 3
 
9.7%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3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Latin 288
99.0%
Common 3
 
1.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i 33
 
11.5%
s 30
 
10.4%
e 28
 
9.7%
r 20
 
6.9%
u 19
 
6.6%
o 18
 
6.2%
a 16
 
5.6%
l 16
 
5.6%
h 12
 
4.2%
t 12
 
4.2%
Other values (21) 84
29.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3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291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i 33
 
11.3%
s 30
 
10.3%
e 28
 
9.6%
r 20
 
6.9%
u 19
 
6.5%
o 18
 
6.2%
a 16
 
5.5%
l 16
 
5.5%
h 12
 
4.1%
t 12
 
4.1%
Other values (22) 87
29.9%

종명
Text

UNIQUE 

Distinct31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35.17260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9
Median length12
Mean length9.3870968
Min length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91
Distinct characters26
Distinct categories2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31 ?
Unique (%)100.0%

Sample

1st rowrapae
2nd rowisaea
3rd rowbacteriophora
4th rowwomersleyi
5th rowmontrouzieri
ValueCountFrequency (%)
rapae 1
 
3.1%
isaea 1
 
3.1%
balteatus 1
 
3.1%
angulatus 1
 
3.1%
colemani 1
 
3.1%
pallens 1
 
3.1%
persimilis 1
 
3.1%
pallidipennis 1
 
3.1%
aphidimyza 1
 
3.1%
ervi 1
 
3.1%
Other values (22) 22
68.8%
2024-03-15T02:52:36.51885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i 39
13.4%
a 36
12.4%
s 29
10.0%
e 25
 
8.6%
r 21
 
7.2%
c 16
 
5.5%
l 15
 
5.2%
o 14
 
4.8%
n 14
 
4.8%
p 12
 
4.1%
Other values (16) 70
24.1%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287
98.6%
Space Separator 4
 
1.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i 39
13.6%
a 36
12.5%
s 29
10.1%
e 25
 
8.7%
r 21
 
7.3%
c 16
 
5.6%
l 15
 
5.2%
o 14
 
4.9%
n 14
 
4.9%
p 12
 
4.2%
Other values (15) 66
23.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4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Latin 287
98.6%
Common 4
 
1.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i 39
13.6%
a 36
12.5%
s 29
10.1%
e 25
 
8.7%
r 21
 
7.3%
c 16
 
5.6%
l 15
 
5.2%
o 14
 
4.9%
n 14
 
4.9%
p 12
 
4.2%
Other values (15) 66
23.0%
Common
ValueCountFrequency (%)
4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291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i 39
13.4%
a 36
12.4%
s 29
10.0%
e 25
 
8.6%
r 21
 
7.2%
c 16
 
5.5%
l 15
 
5.2%
o 14
 
4.8%
n 14
 
4.8%
p 12
 
4.1%
Other values (16) 70
24.1%

목명
Categorical

Distinct7
Distinct (%)22.6%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벌목
12 
응애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파리목
Other values (2)

Length

Max length5
Median length2
Mean length3
Min length2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벌목
2nd row벌목
3rd row원충목
4th row응애
5th row딱정벌레목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벌목 12
38.7%
응애 4
 
12.9%
딱정벌레목 4
 
12.9%
노린재목 4
 
12.9%
파리목 3
 
9.7%
원충목 2
 
6.5%
풀잠자리목 2
 
6.5%

Length

2024-03-15T02:52:36.95862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4-03-15T02:52:37.33644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벌목 12
38.7%
응애 4
 
12.9%
딱정벌레목 4
 
12.9%
노린재목 4
 
12.9%
파리목 3
 
9.7%
원충목 2
 
6.5%
풀잠자리목 2
 
6.5%

과명
Text

Distinct16
Distinct (%)51.6%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37.94588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8
Median length7
Mean length4.8064516
Min length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49
Distinct characters39
Distinct categories1 ?
Distinct scripts1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0 ?
Unique (%)32.3%

Sample

1st row고치벌과
2nd row좀벌과
3rd row형광세균선충과
4th row이리응애과
5th row무당벌레과
ValueCountFrequency (%)
고치벌과 6
19.4%
이리응애과 4
12.9%
면충좀벌과 4
12.9%
무당벌레과 3
9.7%
꽃노린재과 2
 
6.5%
혹파리과 2
 
6.5%
좀벌과 1
 
3.2%
형광세균선충과 1
 
3.2%
무형광세균선충과 1
 
3.2%
장님노린재과 1
 
3.2%
Other values (6) 6
19.4%
2024-03-15T02:52:38.98271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31
20.8%
15
 
10.1%
8
 
5.4%
6
 
4.0%
6
 
4.0%
6
 
4.0%
5
 
3.4%
5
 
3.4%
4
 
2.7%
4
 
2.7%
Other values (29) 59
39.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49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1
20.8%
15
 
10.1%
8
 
5.4%
6
 
4.0%
6
 
4.0%
6
 
4.0%
5
 
3.4%
5
 
3.4%
4
 
2.7%
4
 
2.7%
Other values (29) 59
39.6%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49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1
20.8%
15
 
10.1%
8
 
5.4%
6
 
4.0%
6
 
4.0%
6
 
4.0%
5
 
3.4%
5
 
3.4%
4
 
2.7%
4
 
2.7%
Other values (29) 59
39.6%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49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1
20.8%
15
 
10.1%
8
 
5.4%
6
 
4.0%
6
 
4.0%
6
 
4.0%
5
 
3.4%
5
 
3.4%
4
 
2.7%
4
 
2.7%
Other values (29) 59
39.6%

명명년도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2
Distinct (%)6.5%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NA>
30 
1758
 
1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4
Min length4

Unique

Unique1 ?
Unique (%)3.2%

Sample

1st row<NA>
2nd row<NA>
3rd row<NA>
4th row<NA>
5th row<NA>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NA> 30
96.8%
1758 1
 
3.2%

Length

2024-03-15T02:52:39.26049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4-03-15T02:52:39.43139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na 30
96.8%
1758 1
 
3.2%

명명자
Text

MISSING 

Distinct17
Distinct (%)100.0%
Missing14
Missing (%)45.2%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40.04267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
Median length8
Mean length8.0588235
Min length5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37
Distinct characters36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7 ?
Unique (%)100.0%

Sample

1st row(McIntosh)
2nd row(Walker)
3rd rowMulsant
4th row(Thunberg)
5th row(Reuter)
ValueCountFrequency (%)
mcintosh 1
 
5.6%
mulsant 1
 
5.6%
de 1
 
5.6%
ashmead 1
 
5.6%
rambur 1
 
5.6%
costa 1
 
5.6%
haliday 1
 
5.6%
poppius 1
 
5.6%
wesmael 1
 
5.6%
westwood 1
 
5.6%
Other values (8) 8
44.4%
2024-03-15T02:52:41.00306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e 13
 
9.5%
a 12
 
8.8%
( 11
 
8.0%
) 11
 
8.0%
s 10
 
7.3%
o 7
 
5.1%
r 7
 
5.1%
t 6
 
4.4%
u 6
 
4.4%
l 6
 
4.4%
Other values (26) 48
35.0%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96
70.1%
Uppercase Letter 18
 
13.1%
Open Punctuation 11
 
8.0%
Close Punctuation 11
 
8.0%
Space Separator 1
 
0.7%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e 13
13.5%
a 12
12.5%
s 10
10.4%
o 7
 
7.3%
r 7
 
7.3%
t 6
 
6.2%
u 6
 
6.2%
l 6
 
6.2%
n 5
 
5.2%
d 4
 
4.2%
Other values (10) 20
20.8%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W 3
16.7%
P 2
11.1%
R 2
11.1%
M 2
11.1%
F 1
 
5.6%
A 1
 
5.6%
C 1
 
5.6%
H 1
 
5.6%
I 1
 
5.6%
L 1
 
5.6%
Other values (3) 3
16.7%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1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1
10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Latin 114
83.2%
Common 23
 
16.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e 13
 
11.4%
a 12
 
10.5%
s 10
 
8.8%
o 7
 
6.1%
r 7
 
6.1%
t 6
 
5.3%
u 6
 
5.3%
l 6
 
5.3%
n 5
 
4.4%
d 4
 
3.5%
Other values (23) 38
33.3%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11
47.8%
) 11
47.8%
1
 
4.3%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137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e 13
 
9.5%
a 12
 
8.8%
( 11
 
8.0%
) 11
 
8.0%
s 10
 
7.3%
o 7
 
5.1%
r 7
 
5.1%
t 6
 
4.4%
u 6
 
4.4%
l 6
 
4.4%
Other values (26) 48
35.0%
Distinct27
Distinct (%)87.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41.75228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0
Median length16
Mean length11.096774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344
Distinct characters29
Distinct categories2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3 ?
Unique (%)74.2%

Sample

1st row상추,배추
2nd row토마토,참외,메론,오이
3rd row배추,상추
4th row사과,배
5th row감귤
ValueCountFrequency (%)
배추,상추 2
 
6.5%
파프리카,고추 2
 
6.5%
감귤 2
 
6.5%
고추,파프리카 2
 
6.5%
상추,파프리카,고추 1
 
3.2%
상추,배추 1
 
3.2%
오이,파프리카,고추,가지 1
 
3.2%
파프리카,오이,참외,고추,가지 1
 
3.2%
딸기,파프리카,고추,오이,참외,수박 1
 
3.2%
파프리카,오이,딸기,고추,참외,수박 1
 
3.2%
Other values (17) 17
54.8%
2024-03-15T02:52:42.94577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 78
22.7%
32
 
9.3%
22
 
6.4%
22
 
6.4%
22
 
6.4%
22
 
6.4%
22
 
6.4%
12
 
3.5%
12
 
3.5%
11
 
3.2%
Other values (19) 89
25.9%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266
77.3%
Other Punctuation 78
 
22.7%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2
12.0%
22
 
8.3%
22
 
8.3%
22
 
8.3%
22
 
8.3%
22
 
8.3%
12
 
4.5%
12
 
4.5%
11
 
4.1%
11
 
4.1%
Other values (18) 78
29.3%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8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66
77.3%
Common 78
 
22.7%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2
12.0%
22
 
8.3%
22
 
8.3%
22
 
8.3%
22
 
8.3%
22
 
8.3%
12
 
4.5%
12
 
4.5%
11
 
4.1%
11
 
4.1%
Other values (18) 78
29.3%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78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66
77.3%
ASCII 78
 
22.7%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 78
100.0%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2
12.0%
22
 
8.3%
22
 
8.3%
22
 
8.3%
22
 
8.3%
22
 
8.3%
12
 
4.5%
12
 
4.5%
11
 
4.1%
11
 
4.1%
Other values (18) 78
29.3%
Distinct5
Distinct (%)16.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모든 시설원예작물
16 
등 모든 시설원예작물
<NA>
등 시설원예작물
모든 시설원예작물 및 노지작물
 
1

Length

Max length16
Median length9
Mean length8.6129032
Min length4

Unique

Unique1 ?
Unique (%)3.2%

Sample

1st row등 모든 시설원예작물
2nd row모든 시설원예작물
3rd row등 모든 시설원예작물
4th row<NA>
5th row<NA>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모든 시설원예작물 16
51.6%
등 모든 시설원예작물 5
 
16.1%
<NA> 5
 
16.1%
등 시설원예작물 4
 
12.9%
모든 시설원예작물 및 노지작물 1
 
3.2%

Length

2024-03-15T02:52:43.37843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4-03-15T02:52:43.71808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시설원예작물 26
40.6%
모든 22
34.4%
9
 
14.1%
na 5
 
7.8%
1
 
1.6%
노지작물 1
 
1.6%

국내분포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3
Distinct (%)9.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전국
29 
<NA>
 
1
경북
 
1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2
Mean length2.0645161
Min length2

Unique

Unique2 ?
Unique (%)6.5%

Sample

1st row전국
2nd row전국
3rd row전국
4th row전국
5th row<NA>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전국 29
93.5%
<NA> 1
 
3.2%
경북 1
 
3.2%

Length

2024-03-15T02:52:44.13907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4-03-15T02:52:44.75059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전국 29
93.5%
na 1
 
3.2%
경북 1
 
3.2%
Distinct28
Distinct (%)90.3%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45.86428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99
Median length32
Mean length22.064516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684
Distinct characters95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5 ?
Unique (%)80.6%

Sample

1st row일본, 중국 등 아시아 지역
2nd row아시아, 유럽, 북미지역
3rd row미국, 호주, 유럽, 일본, 중국 등 남극을 제외한 전 대륙
4th row일본, 타이완
5th row호주, 인도, 뉴질랜드,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 하와이, 브라질, 코스타리카, 푸에르토리코, 미국, 이스라엘, 인도네시아, 필리핀, 홍콩, 중국, 이집트, 남아프리카
ValueCountFrequency (%)
일본 14
 
8.4%
유럽 13
 
7.8%
12
 
7.2%
중국 12
 
7.2%
아시아 8
 
4.8%
미국 6
 
3.6%
호주 6
 
3.6%
제외한 5
 
3.0%
인도 5
 
3.0%
북미 4
 
2.4%
Other values (56) 82
49.1%
2024-03-15T02:52:47.06103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36
19.9%
, 80
 
11.7%
44
 
6.4%
23
 
3.4%
20
 
2.9%
18
 
2.6%
15
 
2.2%
15
 
2.2%
14
 
2.0%
14
 
2.0%
Other values (85) 305
44.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457
66.8%
Space Separator 136
 
19.9%
Other Punctuation 81
 
11.8%
Open Punctuation 5
 
0.7%
Close Punctuation 5
 
0.7%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4
 
9.6%
23
 
5.0%
20
 
4.4%
18
 
3.9%
15
 
3.3%
15
 
3.3%
14
 
3.1%
14
 
3.1%
13
 
2.8%
13
 
2.8%
Other values (80) 268
58.6%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0
98.8%
. 1
 
1.2%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36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57
66.8%
Common 227
33.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4
 
9.6%
23
 
5.0%
20
 
4.4%
18
 
3.9%
15
 
3.3%
15
 
3.3%
14
 
3.1%
14
 
3.1%
13
 
2.8%
13
 
2.8%
Other values (80) 268
58.6%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36
59.9%
, 80
35.2%
( 5
 
2.2%
) 5
 
2.2%
. 1
 
0.4%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57
66.8%
ASCII 227
33.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36
59.9%
, 80
35.2%
( 5
 
2.2%
) 5
 
2.2%
. 1
 
0.4%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4
 
9.6%
23
 
5.0%
20
 
4.4%
18
 
3.9%
15
 
3.3%
15
 
3.3%
14
 
3.1%
14
 
3.1%
13
 
2.8%
13
 
2.8%
Other values (80) 268
58.6%

특징
Text

UNIQUE 

Distinct31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48.38388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00
Median length394
Mean length430.77419
Min length107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3354
Distinct characters560
Distinct categories13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8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31 ?
Unique (%)100.0%

Sample

1st row성충의 몸길이는 약 1.9∼2.4mm 정도로 매우 작다. 주요 형태적 특징은 성충의 방사맥이 날개길이의 2/3보다 길지 않고 개방되어 있으며 전신복절은 오각형 모양이고 그 양쪽에 기문 2개를 볼 수 있으며, 자루마디는 가운데에 세로 모양의 주름이 많이 나있고 털이 배부분쪽으로 듬성 듬성 나있다. 유충은 4령까지 있으며, 번데기 과정을 거치었다. 4령 말기에는 진딧물의 몸 속 내용물은 다 없어지고 껍질만 남게 되는데 이것을 ‘머미’(mummy)라고 한다. 성충이 되면 진딧물의 표피를 둥글게 뚫고 밖으로 나온다. 교미한 암컷은 진딧물을 찾아다니며 산란을 하며, 배마디를 앞쪽으로 향하여 밑으로 구부려 진딧물 몸체에 산란관을 삽입한다. 산란시간은 보통 1초 내외로 극히 짧다.가루진디벌은 벌목 고치벌과에 속하는 매우 작은 기생성 벌의 일종으로 진딧물류에 기생해야만 종족번식이 이루어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가루진디벌은 국내에 토착하는 토착 기생성 천적이다. 가루진디벌은 원예작물의 주요 진딧물류인 무테두리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에 모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기생율이 가장 높은 진딧물은 바로 무테두리진딧물이다.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생활사를 거치며 알에서 번데기 기간은 진딧물의 체내에서 자라 머미를 형성하게 되고 성충이 되면 머미를 뚫고 나와 다른 진딧물에 다시 기생하게 된다. 발육기간은 25℃에서 알∼머미 기간이 7.6일, 머미∼성충 기간이 4.2일, 알∼성충 기간이 11.8일, 성충수명이 5.3일이었고, 평균 산란수는 일반적으로 암컷 한 마리당 238.7개(152∼322개) 정도이다.
2nd row굴파리좀벌은 다기생성(多寄生性)의 외부기생봉이라고 하는데, 보통은 단기생(單寄生)한다. 성충의 체장은 0.9-1.6㎜로 체색이 검고, 더듬이가 짧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뒷다리에 황색의 띠가 있다. 알은 유백색, 유충기의 색깔은 3단계로 나누며 처음에는 무색 투명하고, 다음에 황색과 반투명한 갈색, 마지막으로 청록이나 갈색이 된다. 번데기는 초기에는 녹색이나 점차 검정색으로 변한다.
3rd row성충의 몸길이는 약 820∼4,030㎛ 정도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유충은 이 보다 작은 570㎛(520∼600㎛)로서 육안으로 관찰이 용이하지 못하다. 완전기생선충으로 기주범위가 대단히 넓다. 침입태는 3령충이다. 공생세균인 Photorhabdus가 침입태 유충의 소화관내에 있다. 기주에 침입한 유충은 제 1세대 자웅동체 암컷으로 발육하였다가 다시 자웅이체의 양성으로 발육하여 후대를 생산한다. 일반적으로 성충은 자웅동체와 양성혼합 세대가 감염된 기주 사체에서 발견된다. 처음의 자웅동체 세대 이후에는 보통 1 또는 그 이상의 양성혼합 세대가 뒤따른다. 구침은 없고 머리는 끝이 절단형이거나 약간 둥글다. 명확한 6개의 입술이 있으며 부분적으로 기부에 붙어 있다. 각 입술은 하나의 구순돌기를 가지고 있고, 2개의 부수 돌기가 각가의 아중앙 입술기부에 있다. 하나의 두부돌기와 원형 쌍기공이 측부 입술에 있다. 순구강벽은 구강 앞부분이 굴절된 링으로 되어 있으며 구강의 후부는 퇴화된 전구강벽, 중구강벽, 후구강벽으로 되어 있다. 신경환은 분명하고 암컷에서는 협세부의 가운데 부분 가까이에 있고 수컷에서는 기부식도구에 있다. 암컷 성충의 음문은 중앙에 위치하며 양난소형이다. 난소의 구부러진 부분이 종종 음문공을 지나 뻗어 있다. 자웅동체 암컷은 양성선(난정소)의 끝부분에 정자와 기능적인 음문을 가지고 있다. 양성혼합의 암컷은 수란관의 끝에 정소가 있으며 음문은 알을 낳는 비기능적인 통로의 역할만 한다. 꼬리는 뾰족하고 직장선이 있다. 수컷은 양성혼합 세대에서만 생산된다. 종소는 하나이며 굽었다. 교접자는 쌍이며 떨어져 있고 거의 쭉 뻗은 형이다. 부자가 있다. 교미돌기는 9쌍이다. 유충은 배설공이 신경환 뒤에 위치한다. 두부에 배부 돌기, 갈고리, 또는 가시 등이 있다. 때로는 아복부 표면에 있다. 유충은 항상 일차적으로 자웅동체 암컷이 된다. 꼬리는 뾰족하다. 공생세균은 전 소화관에서 발견된다.
4th row긴털이리응애는 한국, 일본, 타이완 등에 분포하며 사과나무, 뽕나무, 딸기, 콩, 잡초 등에 발생하는 잎응애류 해충을 포식한다. 주요 해충인 점박이응애, 간자와응애, 차응애의 알과 어린 약충을 잡아먹는다. 암컷 성충으로 월동하며 행동이 활발하고 발육기간이 짧고 포식량이 많아서 잎응애류의 생물적 방제용으로 중요한 천적이다. 긴털이리응애의 암컷성충은 약 0.35mm, 수컷성충은 0.25mm 내외의 크기로 유황색이며 알은 타원형으로서 구형인 점박이응애와 차응애의 알과 쉽게 구별이 된다.
5th row 식물검역원에서 2009년 12월 24일 과수해충인 깍지벌레류의 생물적방제용으로 외국산 깍지무당벌레(Cryptolaemus montrouzieri )의 수입을 허용하였다. 이 포식성 천적은 호주에서 미국으로 캘리포니아의 귤가루깍지벌레(Citrus mealybug, Planococcus citri) 방제를 위하여 1891년 도입되었고, 도입 초기에는 귤가루깍지벌레의 개체군 밀도가 많이 낮아졌지만, 겨울철에 살아남지 못하여 지속적인 방사가 필요하였다.깍지무당벌레는 3∼4mm 길이의 작은 곤충이며 몸은 짙은 갈색, 머리는 오렌지색, 알은 노란색을 띠고 있다. 깍지무당벌레의 유충은 1.3cm 정도의 길이까지 자라며 하얀 왁스질의 털로 덮여있어 해충인 깍지벌레와 유사하고 귤가루깍지벌레에 비해 2배정도 크게 자란다. 먹이가 부족할 경우 먹이 탐색을 위해 과수원 내에서 날아서 이동한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62
 
2.1%
32
 
1.1%
있으며 21
 
0.7%
성충의 20
 
0.7%
유충은 19
 
0.7%
크기는 18
 
0.6%
15
 
0.5%
진딧물의 15
 
0.5%
알은 14
 
0.5%
성충은 13
 
0.4%
Other values (1640) 2681
92.1%
2024-03-15T02:52:50.11745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898
 
21.7%
362
 
2.7%
. 315
 
2.4%
302
 
2.3%
243
 
1.8%
222
 
1.7%
216
 
1.6%
, 189
 
1.4%
189
 
1.4%
187
 
1.4%
Other values (550) 8231
61.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8870
66.4%
Space Separator 2898
 
21.7%
Other Punctuation 512
 
3.8%
Decimal Number 436
 
3.3%
Lowercase Letter 426
 
3.2%
Other Symbol 58
 
0.4%
Math Symbol 42
 
0.3%
Open Punctuation 34
 
0.3%
Close Punctuation 34
 
0.3%
Uppercase Letter 26
 
0.2%
Other values (3) 18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62
 
4.1%
302
 
3.4%
243
 
2.7%
222
 
2.5%
216
 
2.4%
189
 
2.1%
187
 
2.1%
174
 
2.0%
158
 
1.8%
147
 
1.7%
Other values (494) 6670
75.2%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76
17.8%
i 50
11.7%
s 35
 
8.2%
o 33
 
7.7%
r 27
 
6.3%
e 25
 
5.9%
a 24
 
5.6%
u 24
 
5.6%
t 20
 
4.7%
n 19
 
4.5%
Other values (12) 93
21.8%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80
18.3%
1 79
18.1%
2 69
15.8%
3 54
12.4%
4 46
10.6%
5 41
9.4%
8 18
 
4.1%
7 17
 
3.9%
6 16
 
3.7%
9 16
 
3.7%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O 11
42.3%
G 5
19.2%
C 3
 
11.5%
H 2
 
7.7%
P 2
 
7.7%
A 1
 
3.8%
D 1
 
3.8%
X 1
 
3.8%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15
61.5%
, 189
36.9%
% 6
 
1.2%
· 1
 
0.2%
/ 1
 
0.2%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36
62.1%
15
25.9%
7
 
12.1%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21
50.0%
21
5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898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4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4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2
100.0%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3
100.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3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8862
66.4%
Common 4032
30.2%
Latin 452
 
3.4%
Han 8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62
 
4.1%
302
 
3.4%
243
 
2.7%
222
 
2.5%
216
 
2.4%
189
 
2.1%
187
 
2.1%
174
 
2.0%
158
 
1.8%
147
 
1.7%
Other values (488) 6662
75.2%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76
16.8%
i 50
11.1%
s 35
 
7.7%
o 33
 
7.3%
r 27
 
6.0%
e 25
 
5.5%
a 24
 
5.3%
u 24
 
5.3%
t 20
 
4.4%
n 19
 
4.2%
Other values (20) 119
26.3%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898
71.9%
. 315
 
7.8%
, 189
 
4.7%
0 80
 
2.0%
1 79
 
2.0%
2 69
 
1.7%
3 54
 
1.3%
4 46
 
1.1%
5 41
 
1.0%
36
 
0.9%
Other values (16) 225
 
5.6%
Han
ValueCountFrequency (%)
2
25.0%
2
25.0%
1
12.5%
1
12.5%
1
12.5%
1
12.5%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8862
66.4%
ASCII 4398
32.9%
CJK Compat 43
 
0.3%
Math Operators 21
 
0.2%
Letterlike Symbols 15
 
0.1%
CJK 8
 
0.1%
Punctuation 6
 
< 0.1%
None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898
65.9%
. 315
 
7.2%
, 189
 
4.3%
0 80
 
1.8%
1 79
 
1.8%
m 76
 
1.7%
2 69
 
1.6%
3 54
 
1.2%
i 50
 
1.1%
4 46
 
1.0%
Other values (39) 542
 
12.3%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62
 
4.1%
302
 
3.4%
243
 
2.7%
222
 
2.5%
216
 
2.4%
189
 
2.1%
187
 
2.1%
174
 
2.0%
158
 
1.8%
147
 
1.7%
Other values (488) 6662
75.2%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36
83.7%
7
 
16.3%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21
100.0%
Letterlike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15
100.0%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3
50.0%
3
50.0%
CJK
ValueCountFrequency (%)
2
25.0%
2
25.0%
1
12.5%
1
12.5%
1
12.5%
1
12.5%
None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Distinct29
Distinct (%)93.5%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50.91836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36
Median length21
Mean length17.032258
Min length5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528
Distinct characters68
Distinct categories2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7 ?
Unique (%)87.1%

Sample

1st row무우테두리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
2nd row아메리카잎굴파리
3rd row배추좀나방,벼룩잎벌레,벼잎벌레
4th row차응애,점박이응애
5th row귤가루깍지벌레,가루깍지벌레
ValueCountFrequency (%)
담배가루이,온실가루이 2
 
6.5%
차먼지응애,점박이응애 2
 
6.5%
담배나방,파밤나방,담배거세미나방 1
 
3.2%
무우테두리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 1
 
3.2%
배추좀나방,조명나방,담배나방,왕담배나방 1
 
3.2%
복숭아혹진딧물,싸리수염진딧물,감자수염진딧물,목화진딧물 1
 
3.2%
목화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 1
 
3.2%
감자수염진딧물,목화진딧물,싸리수염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 1
 
3.2%
담배가루이 1
 
3.2%
목화진딧물,감자수염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싸리수염진딧물 1
 
3.2%
Other values (19) 19
61.3%
2024-03-15T02:52:52.24005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 52
 
9.8%
40
 
7.6%
40
 
7.6%
40
 
7.6%
17
 
3.2%
17
 
3.2%
14
 
2.7%
13
 
2.5%
13
 
2.5%
13
 
2.5%
Other values (58) 269
50.9%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476
90.2%
Other Punctuation 52
 
9.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0
 
8.4%
40
 
8.4%
40
 
8.4%
17
 
3.6%
17
 
3.6%
14
 
2.9%
13
 
2.7%
13
 
2.7%
13
 
2.7%
12
 
2.5%
Other values (57) 257
54.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76
90.2%
Common 52
 
9.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0
 
8.4%
40
 
8.4%
40
 
8.4%
17
 
3.6%
17
 
3.6%
14
 
2.9%
13
 
2.7%
13
 
2.7%
13
 
2.7%
12
 
2.5%
Other values (57) 257
54.0%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52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76
90.2%
ASCII 52
 
9.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 52
100.0%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0
 
8.4%
40
 
8.4%
40
 
8.4%
17
 
3.6%
17
 
3.6%
14
 
2.9%
13
 
2.7%
13
 
2.7%
13
 
2.7%
12
 
2.5%
Other values (57) 257
54.0%

생태정보
Text

UNIQUE 

Distinct31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53.48238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468
Mean length496
Min length199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5376
Distinct characters519
Distinct categories11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8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31 ?
Unique (%)100.0%

Sample

1st row가루진디벌은 알-유충(1∼4령)-번데기-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암컷은 진딧물의 성충과 약충에 알을 낳으며, 좀벌류와는 달리 진딧물을 흡즙하지 않는다. 진딧물 체내에 산란된 알은 부화하여 3령 유충까지는 진딧물 체내의 혈림프를 먹고 자라며 4령기에는 체내의 모든 조직을 먹음으로 진딧물은 껍데기만 남게 된다. 진디벌에 기생된 진딧물은 26℃에서 6.5일이면 잎에 고정되고 진딧물은 부풀어 올라 머미가 된다. 알∼성충까지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15℃에서는 34.2일, 20℃에서는 16.0일, 25℃에서는 11.8일, 30℃에서는 9.7일이 었다. 온도가 높을수록 알∼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이 조금씩 짧아졌다. 가루진디벌을 10% 꿀물을 제공 후 온도별 수명은 15℃에서 13.3일, 20℃에서 9.0일, 25℃에서 5.3일, 30℃에서 2.1일이었다. 가루진디벌과 싸리진디벌, 콜레마니진디벌의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2세대까지의 기생율은 71.1%, 83.0%, 94.0%의 기생율을 보였다. 가루진디벌의 평균 산란기간과 성충수명은 각각 11.1일과 5.3일이었다.진디벌은 기주식물의 색과 냄새를 감지하여 기주식물을 찾아가고 근처에서는 진딧물에서 발산하는 냄새를 감지하여 진딧물을 찾아낸다.
2nd row굴파리좀벌은 알 - 유충(1~3령)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암컷 성충의 수명은 25℃에서 25.1일 정도이고, 산란에 앞서 기주곤충인 잎굴파리 유충에 독액을 주입하여 마취시켜 움직이지 못하게 한 후 유충의 옆에 또는 체표면에 하나의 알을 낳는다. 굴파리좀벌은 기생뿐만 아니라 체액섭취에 의해서도 잎굴파리 유충을 죽인다. 주로 어린 잎굴파리 유충은 흡즙하여 영양을 섭취하는데, 25℃에서 일생동안 657마리를 흡즙한다. 산란 기주는 굴파리좀벌의 유충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도록 몸집이 큰 잎굴파리 3령 유충을 선호 하는데, 다음세대 성충은 3령 유충에 기생한 것만 암컷이 출현한다. 산란수는 일생동안 305.3개를 산란한다. 부화한 어린 유충은 마비된 잎굴파리 유충에 붙어 기주를 먹으며 성장한다. 충분히 발육한 유충은 엽육 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우화시 잎의 윗면에 둥근 구멍을 만들고 굴에서 탈출한다. 굴파리좀벌의 발육기간은 25℃에서 알 1.3일, 유충 4.5일, 번데기 6.5일로 한 세대가 경과하는데 12.1일이 걸린다.
3rd row굼벵이병원선충은 1∼4령충의 유충과 암·수 성충, 알 단계로 되어있다. 이 중 해충 체외에서 살 수 있는 것은 3령 유충 단계이다. 3령 유충은 2령 유충의 허물(탈피각)을 쓰고 있어 불리한 외부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령 유충은 해충이 호흡을 통해 내어놓은 탄산가스를 감지하여 접근한다. 굼벵이병원선충의 경우 해충의 입, 항문, 숨구멍(기문) 등을 통해 해충 몸체내로 침입한다. 침입한 3령충 유충은 자신의 장내에 가지고 있는 공생세균을 밖으로 내어 놓고, 해충의 혈림프 내에서 급속히 증식하면서 항상물질 및 독소를 생성하여 패혈증을 일으켜 48시간 안에 해충을 죽인다. 일반적으로 굼벵이병원선충의 1세대 발육기간은 약 2∼3일이 걸린다. 해충의 유충이 큰 경우 몸 안에서 증식하는 세대수는 약 2∼3세대, 작은 경우 1세대 정도를 거친다. 굼벵이병원선충의 해충에 대한 병원성이 가장 높은 온도는 22∼28℃이며, 병원성 발현온도는 13∼35℃이다. 해충의 체내로 침입한 자웅동체의 개체는 해충 체내에서 2세대 이후 다시 암수 한쌍이 교미하고 2∼3세대가 지나는 7일 이후에는 30만개 내외의 알을 산란하고 이 알이 부화하여 충체를 빠져나온다. 굼벵이병원선충은 침입태 1세대 성충은 자동동체이다.
4th row긴털이리응애는 알 - 유충 - 제 1약충(전약충) - 제 2약충(후약충) - 성충의 발육단계를 거쳐서 성장한다. 긴털이리응애의 발육기간은 표 1에서와 같이 20℃에서 보다 30℃에서 발육기간이 반으로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권(1998)에 의하면, 긴털이리응애는 성충이 35일 정도 생존하며, 하루에 2개 정도의 알을 낳고, 전체 수명 기간 동안 35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고 하였다. 또한 25℃에서 하루 평균 11개의 점박이응애의 알을 포식한다고 하였다.
5th row가루깍지벌레는 알, 3단계의 유충, 번데기, 성충의 과정을 거치며,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의 기간은 27℃에서 약 31∼45일이다. 성충은 깍지벌레 암컷 성충의 털로 덮힌 알 주머니 사이에 알을 낳는다. 알은 약 5일 후 유충으로 부화하고 3단계의 유충기간을 거치는데 약 12∼17일 소요된다. 이때 유충들은 깍지벌레의 알, 어린 유충, 깍지벌레가 생산하는 감로(honeydew)를 먹고 자란다. 나뭇가지 위 또는 시설하우스 내의 은신처가 될 만한 곳에서 번데기가 되며, 약 7∼10일 후 성충으로 우화하며 4달 동안 생존한다. 교미한 암컷성충은 우화 4∼5일후부터 알을 낳으며, 생존기간 동안 총 약 400-500개의 알을 낳는다. 보통 암컷의 비율은 50%이지만 적을 때에는 약 40% 정도이다. 성충과 어린 유충은 깍지벌레의 알을 선호하지만, 노숙유충은 모든 발육단계의 깍지벌레를 포식하며 먹이가 부족할 때에는 진딧물도 포식한다.
ValueCountFrequency (%)
67
 
2.0%
62
 
1.8%
46
 
1.4%
성충의 31
 
0.9%
알을 28
 
0.8%
25℃에서 27
 
0.8%
유충은 26
 
0.8%
유충 25
 
0.7%
24
 
0.7%
번데기 24
 
0.7%
Other values (1639) 3010
89.3%
2024-03-15T02:52:55.02294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3369
 
21.9%
. 360
 
2.3%
342
 
2.2%
333
 
2.2%
285
 
1.9%
273
 
1.8%
, 240
 
1.6%
239
 
1.6%
230
 
1.5%
224
 
1.5%
Other values (509) 9481
61.7%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9844
64.0%
Space Separator 3369
 
21.9%
Decimal Number 975
 
6.3%
Other Punctuation 635
 
4.1%
Lowercase Letter 201
 
1.3%
Math Symbol 81
 
0.5%
Other Symbol 80
 
0.5%
Dash Punctuation 79
 
0.5%
Close Punctuation 50
 
0.3%
Open Punctuation 50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42
 
3.5%
333
 
3.4%
285
 
2.9%
273
 
2.8%
239
 
2.4%
230
 
2.3%
224
 
2.3%
222
 
2.3%
217
 
2.2%
193
 
2.0%
Other values (458) 7286
74.0%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31
15.4%
a 25
12.4%
i 23
11.4%
e 19
9.5%
o 13
 
6.5%
r 13
 
6.5%
c 11
 
5.5%
d 10
 
5.0%
t 9
 
4.5%
l 8
 
4.0%
Other values (8) 39
19.4%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81
18.6%
2 161
16.5%
5 134
13.7%
3 132
13.5%
0 124
12.7%
4 76
7.8%
7 51
 
5.2%
8 45
 
4.6%
6 45
 
4.6%
9 26
 
2.7%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N 3
25.0%
L 3
25.0%
M 1
 
8.3%
A 1
 
8.3%
D 1
 
8.3%
O 1
 
8.3%
T 1
 
8.3%
G 1
 
8.3%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60
56.7%
, 240
37.8%
% 26
 
4.1%
: 6
 
0.9%
· 3
 
0.5%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76
95.0%
2
 
2.5%
1
 
1.2%
1
 
1.2%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47
58.0%
~ 34
42.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3369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9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0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0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9842
64.0%
Common 5319
34.6%
Latin 213
 
1.4%
Han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42
 
3.5%
333
 
3.4%
285
 
2.9%
273
 
2.8%
239
 
2.4%
230
 
2.3%
224
 
2.3%
222
 
2.3%
217
 
2.2%
193
 
2.0%
Other values (456) 7284
74.0%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31
14.6%
a 25
11.7%
i 23
10.8%
e 19
 
8.9%
o 13
 
6.1%
r 13
 
6.1%
c 11
 
5.2%
d 10
 
4.7%
t 9
 
4.2%
l 8
 
3.8%
Other values (16) 51
23.9%
Common
ValueCountFrequency (%)
3369
63.3%
. 360
 
6.8%
, 240
 
4.5%
1 181
 
3.4%
2 161
 
3.0%
5 134
 
2.5%
3 132
 
2.5%
0 124
 
2.3%
- 79
 
1.5%
76
 
1.4%
Other values (15) 463
 
8.7%
Han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9842
64.0%
ASCII 5402
35.1%
Letterlike Symbols 76
 
0.5%
Math Operators 47
 
0.3%
None 3
 
< 0.1%
CJK Compat 2
 
< 0.1%
Misc Symbols 2
 
< 0.1%
CJK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3369
62.4%
. 360
 
6.7%
, 240
 
4.4%
1 181
 
3.4%
2 161
 
3.0%
5 134
 
2.5%
3 132
 
2.4%
0 124
 
2.3%
- 79
 
1.5%
4 76
 
1.4%
Other values (35) 546
 
10.1%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42
 
3.5%
333
 
3.4%
285
 
2.9%
273
 
2.8%
239
 
2.4%
230
 
2.3%
224
 
2.3%
222
 
2.3%
217
 
2.2%
193
 
2.0%
Other values (456) 7284
74.0%
Letterlike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76
100.0%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47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2
100.0%
Misc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CJK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이용방법
Text

UNIQUE 

Distinct31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56.60395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546
Mean length567
Min length89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7577
Distinct characters530
Distinct categories11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7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31 ?
Unique (%)100.0%

Sample

1st row시설배추, 양배추, 케일, 유채 등 배추과 엽채류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진딧물은 무테두리진딧물 등 3∼5종 정도이다. 천적을 이용한 무테두리진딧물의 방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천적의 선택, 방사시기, 방사수 및 작물에 미치는 영향이다. 무테두리진딧물과 같은 같은 진딧물의 천적에는 진디벌, 진디혹파리, 진디좀벌, 무당벌레 및 풀잠자리 등이 있다. 무테두리진딧물 최근에는 흔히 찾아 볼 수 없지만, 최근 무농약, 유기농 시설 엽채류 재배농가가 늘어나면서 점점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진딧물은 거의 수컷이 없고, 교미 없이 새끼를 낳으며, 알도 낳지 않고 직접 새끼를 낳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어떤 해충보다 번식속도가 빨라 방제가 쉽지 않은 해충이다. 이러한 이유로 진딧물 방제 이용되는 천적 또한 여러 종류가 있다. 특히, 배추과 엽채류에서 예방용으로 가루진디벌이 사용되고, 밀도가 높을 때는 무당벌레나 풀잠자리를 이용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가루진디벌은 무테두리진딧물에 기생력이 매우 높다.배추나 양배추에 무테두리진딧물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가루진디벌을 발생지점 위주로 소량씩 여러번 방사하는 것보다 다량의 천적을 적은 횟수로 방사하는 것이 효과가 높다. 진딧물은 처음부터 온실 전체에 골고루 발생되지 않고 일부지점에 발생되어 증식이 이루어진 후 포장 전체로 퍼지게 된다. 따라서 발견된 지점에 천적을 집중적으로 방사하여 초기에 진압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2nd row굴파리좀벌의 이용은 잎굴파리가 잎에 굴을 뚫고 다니기 때문에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잎굴파리의 발생량이 많지 않으면 천적을 방사하지 말고 주기적으로 발생량이 많아지는지를 살펴야 한다. 대체로 처음 발생은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생 기생봉에 의해 기생되어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만약 잎굴파리 발생밀도가 증가하여 피해가 우려될 때는 굴파리좀벌을 방사한다. 방사방법은 주 발생지점 위주로 방사하며, 방사량은 ㎡당 0.2마리 기준으로 3회 정도 방사한다. 그러나 6월부터 10월까지 야외에 서식하는 자생 기생봉들이 많아 이 시기에 발생하는 잎굴파리들은 대부분 자생천적에 의해 자연 기생되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고추에서 잎굴파리가 대발생한 경우는 거의 없다.
3rd row굼벵이병원선충의 이용은 나방병원선충과 동일하낟. 즉 적용하고자 하는 포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해충과 발육 단계, 자외선, 습도, 분무 압력 및 필터 여부 등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자연 상태에서 굼벵이병원선충은 토양 속에서 서식하던 천적이기 때문에 햇빛의 자외선에 매우 약하다. 1시간 이상 자외선에 직접 노출될 경우 대부분 죽거나 병원성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살포하는 시기를 자외선이 약하거나 없는 해질 무렵에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흐리거나, 비가오는 날에 살포해도 좋다. 굼벵이병원선충은 살포 후 수분을 따라 이동하며 선충 표면의 물기가 마르면 쉽게 죽는다. 토양에 살포할 때는 살포하기 전·후 관수를 해주어 토양 수분이 충분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작물체의 잎에 살포할 때는 잎에 골고루 묻을 수 있도록 하며, 쉽게 건조해지지 않게 살포해주는 것이 좋다. 건조 속도를 늦추기 위해 햇빛이 없는 시기에 살포하거나 온실 안에 상대습도를 높게 유지해 주는 것도 좋다. 또한 살포 물량의 평소의 1.5배 정도 많이 살포하는 것도 골고루 살포하는 방법이다. 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분무기는 피스톤식 농용동력 분무기, 무인 방제기 등이 있다. 이러한 분무기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압력을 낮추어야 한다. 2.0kgf/㎠ 이하의 압력으로 살포하여야만 안정적으로 선충을 사용할 수 있다. 2.0∼2.5kgf/㎠ 이상의 압력이 강할 경우, 선충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안개 노즐의 경우 구멍이 너무 작기 때문에(0.5mm 이하) 선충이 빠져나가지 못할 수 있다. 지름 0.5mm 이상으로 교체해야 한다. 노즐 내부 또는 분무기 내부에 미세한 필터 장치가 있으므로 반드시 필터를 제거해야만 한다. 제거하지 않으면 필터에 선충이 걸린다.
4th row긴털이리응애는 크기가 칠레이리응애에 비해 작고, 활동성이 떨어지므로 높은 밀도에서는 방제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잎응애류의 밀도가 낮을 경우에 방사하여 정착을 시키고, 저독성 농약을 선발하여 살포하면서 보호한다면, 노지 과수류의 점박이응애 밀도가 올라가는 것을 막는데 좋은 천적인자가 될 것이다.
5th row 깍지무당벌레는 깍지벌레의 밀도가 높을 때 가장 효과적인 천적이다.깍지벌레의 개체군밀도가 낮을 때에는 반복적으로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시설하우스에서는 깍지벌레 발생 식물 당 5마리 또는 m2당 2∼5마리를 방사하는 것이 적당하다. 노지작물에서는 ha당 1250∼12500마리, 과수원에서는 ha당 2500∼5000마리 정도를 방사하는 것이 좋다. 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에 방사하고 밝은 색상의 옷에 유인되므로 밝은 색상의 옷을 입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겨울철 시설하우스에서 깍지벌레의 밀도가 낮은 수준으로 계속 유지된다면, 반복적으로 방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ValueCountFrequency (%)
44
 
1.1%
있다 36
 
0.9%
한다 35
 
0.9%
것이 33
 
0.8%
경우 31
 
0.8%
때문에 24
 
0.6%
22
 
0.6%
19
 
0.5%
방사하는 19
 
0.5%
좋다 18
 
0.5%
Other values (1921) 3604
92.8%
2024-03-15T02:52:58.26572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3894
 
22.2%
558
 
3.2%
354
 
2.0%
325
 
1.8%
323
 
1.8%
306
 
1.7%
. 303
 
1.7%
268
 
1.5%
214
 
1.2%
193
 
1.1%
Other values (520) 10839
61.7%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2530
71.3%
Space Separator 3894
 
22.2%
Other Punctuation 518
 
2.9%
Decimal Number 420
 
2.4%
Lowercase Letter 89
 
0.5%
Math Symbol 48
 
0.3%
Other Symbol 46
 
0.3%
Open Punctuation 14
 
0.1%
Close Punctuation 14
 
0.1%
Uppercase Letter 3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558
 
4.5%
354
 
2.8%
325
 
2.6%
323
 
2.6%
306
 
2.4%
268
 
2.1%
214
 
1.7%
193
 
1.5%
187
 
1.5%
182
 
1.5%
Other values (471) 9620
76.8%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12
13.5%
a 10
11.2%
n 8
 
9.0%
h 6
 
6.7%
g 6
 
6.7%
o 5
 
5.6%
p 5
 
5.6%
k 5
 
5.6%
i 4
 
4.5%
s 4
 
4.5%
Other values (8) 24
27.0%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98
23.3%
1 70
16.7%
2 64
15.2%
5 52
12.4%
3 50
11.9%
6 27
 
6.4%
4 19
 
4.5%
7 16
 
3.8%
8 13
 
3.1%
9 11
 
2.6%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03
58.5%
, 190
36.7%
/ 11
 
2.1%
% 11
 
2.1%
· 2
 
0.4%
: 1
 
0.2%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37
77.1%
9
 
18.8%
> 1
 
2.1%
< 1
 
2.1%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20
43.5%
18
39.1%
4
 
8.7%
4
 
8.7%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1
33.3%
A 1
33.3%
J 1
33.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3894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4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4
100.0%
Other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2530
71.3%
Common 4955
 
28.2%
Latin 92
 
0.5%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558
 
4.5%
354
 
2.8%
325
 
2.6%
323
 
2.6%
306
 
2.4%
268
 
2.1%
214
 
1.7%
193
 
1.5%
187
 
1.5%
182
 
1.5%
Other values (471) 9620
76.8%
Common
ValueCountFrequency (%)
3894
78.6%
. 303
 
6.1%
, 190
 
3.8%
0 98
 
2.0%
1 70
 
1.4%
2 64
 
1.3%
5 52
 
1.0%
3 50
 
1.0%
~ 37
 
0.7%
6 27
 
0.5%
Other values (18) 170
 
3.4%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12
13.0%
a 10
 
10.9%
n 8
 
8.7%
h 6
 
6.5%
g 6
 
6.5%
o 5
 
5.4%
p 5
 
5.4%
k 5
 
5.4%
i 4
 
4.3%
s 4
 
4.3%
Other values (11) 27
29.3%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2530
71.3%
ASCII 4989
 
28.4%
CJK Compat 26
 
0.1%
Letterlike Symbols 20
 
0.1%
Math Operators 9
 
0.1%
None 2
 
< 0.1%
Number Forms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3894
78.1%
. 303
 
6.1%
, 190
 
3.8%
0 98
 
2.0%
1 70
 
1.4%
2 64
 
1.3%
5 52
 
1.0%
3 50
 
1.0%
~ 37
 
0.7%
6 27
 
0.5%
Other values (32) 204
 
4.1%
Hangul
ValueCountFrequency (%)
558
 
4.5%
354
 
2.8%
325
 
2.6%
323
 
2.6%
306
 
2.4%
268
 
2.1%
214
 
1.7%
193
 
1.5%
187
 
1.5%
182
 
1.5%
Other values (471) 9620
76.8%
Letterlike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20
10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18
69.2%
4
 
15.4%
4
 
15.4%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9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Number Forms
ValueCountFrequency (%)
1
100.0%

시험결과
Text

MISSING 

Distinct16
Distinct (%)100.0%
Missing15
Missing (%)48.4%
Memory size376.0 B
2024-03-15T02:52:59.41866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555
Mean length533.5625
Min length115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8537
Distinct characters432
Distinct categories11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8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6 ?
Unique (%)100.0%

Sample

1st row무우테두리진딧물에 대한 가루진디벌의 접종밀도에 따른 기생률 비교에서는 가루진디벌레에 대한 무우테두리진딧물의 밀도가 1:5, 1:10에서의 기생률이 80%, 80%로서 1:1과 1:20보다 높았다. 진딧물에 대한 진디벌의 방사수는 일차적으로 포장에서 진딧물의 방제효과를 좌우하지만 농가에 부담을 줄 수 있는 가루진디벌 구입비를 고려한다면 1:10이 1:5보다는 실제 이용 가능성이 높다.시설 양배추 포장에서 무우테두리진딧물에 대한 가루진디벌의 방제 효과는 1회 방사 후 7일째 방제가는 66.1%, 14일째 76.0%, 21일째 64.6%, 28일째 67.2%였고, 2회 방사 후 7일째 77.7%, 14일째 85.3%, 21일째 76.3%, 28일째 79.7%로서 2회 방사구에서 방제효과가 더 높았다. 그리고 가루진디벌 2회 방사 후 28일째까지 방제 효과가 지속되었다. 따라서 양배추를 비롯한 배추과 작물 재배시 무테두리진딧물 발생초기에 가루진디벌 성충을 1(진디벌):10(진딧물) 비율로 1주일 간격으로 2회 방사하면 무우테두리진딧물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발생밀도에 따라 방사수와 회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방제방법은 봄과 가을 양배추 재배시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2nd row배추, 쌈추, 적겨자에서 좁은가슴잎벌레 유충이 주당 0.3∼1.3마리 발생시 굼벵이병원선충을 330㎡ 당 3.3×107마리 농도를 100ℓ 물과 희석하여 3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다. 3회 살포 후 3주 후 좁은가슴잎벌레 유충이 다시 발생하기 때문에 선충을 다시 살포하되 유충수를 예찰하여 1∼3회 살포하며 작기가 끝날 때까지 예찰과 처리를 반복한다. 선충 처리는 해뜨기 전후와 해질 녁 전후 그리고 날씨가 흐린 날 뿌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좁은가슴잎벌레는 발생하는 곳만 매년 반복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을 정식하기 전 미리 굼벵이병원선충이나 나방병원선충을 처리하는 것도 좋다.
3rd row산란중 기간은 15℃에서 35.8일이나 20℃에서는 20.7일로 단축되었으며, 25℃와 30℃에서는 각각 11.8일과 11.1일로 큰 차이가 없다. 암컷성충의 수명은 15, 20, 25, 30℃에서 각각 70.6, 42.8, 29.0, 26.7일 정도 된다. 각 온도별 암컷성충의 산란수는 15℃에서 21.7개, 20℃에서 28.1개, 25℃에서 34.2개, 30℃에서는 48.0개로 고온일수록 산란수가 많아졌다(표2).포식성 천적의 대상 해충에 대한 포식능력은 그 천적의 유용성을 측정하는 한가지 척도인데 긴털이리응애의 산란 암컷성충을 대상으로 하였을때 15℃와 20℃에서는 각각 3.0, 4.9개의 난을 포식하였으나 25℃와 30℃에서는 각각 15.7, 19.4개의 차응애 난을 포식하여, 온도에 따른 1일 포식량에 큰 차이가 있으며 고온일수록 포식량이 많아졌다. 또한 포식량이 가장 많은 30℃에서 각 발육 단계별 포식량을 보면, 전약충, 후약충, 산란후기간에 각각 4.6, 6.3, 6.8개의 난을 포식하였으나, 산란기간 중에는 19.4개로 월등히 많은 포식량을 나타냈다(표3). 이러한 포식능력에 대한 결과와 각 온도에서의 평균 산란수를 연관시켜 보면 15-30℃의 범위 내에서는 포식량이 많아지면 산란수도 많아져서 거의 같은 증가양상을 보이므로 포식량과 산란수는 아주 높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th row 그림 1은 시설오이에서 꼬마남생무당벌레 유충의 방사시기와 방사량에 따른 목화진딧물에 대한 방제효과이다. 2010년 시설오이에서 목화진딧물을 방제하기 위하여 4월 19일 오이 주당 진딧물이 10마리 내외로 발생하였을 때 꼬마남생이무당벌레 유충을 ㎡ 당 0.4마리 밀도로 7∼10일 간격으로 3회 방사한 결과 작기가 끝날 때까지 오이 주당 목화진딧물 밀도가 15마리 이내로 지속되었다. 이와같이 목화진딧물의 발생초기에 꼬마남생이무당벌레를 방사하면 목화진딧물의 밀도조절과 피해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그림 2은 시설오이에서 꼬마남생무당벌레 유충의 방사시기와 방사량에 따른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한 방제효과이다.촉성(1월∼2월) 혹은 반촉성 시설오이(2월∼4월)를 정식 한 후 50엽당 싸리수염진딧물이 200∼300마리가 발생하였을 때 꼬마남생이무당벌레를 ㎡ 당 0.2마리 밀도로 12∼14일 간격으로 2회 방사하여 싸리수염진딧물을 방제하였다. 싸리수염진딧물은 저온성 진딧물로 오이에서는 12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발생하며 특히, 오이의 하엽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꼬마남생이무당벌레를 싸리수염진딧물이 발생하는 초기는 물론이고 발생밀도가 많아도 빠른 시간내에 밀도를 낮출 수 있다.
5th row주요 시설 엽채류인 배추, 양배추, 케일, 적겨자, 잎브로콜리, 근대에서 문제가 되었던 배추좀나방, 흰띠명나방, 도둑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검은은무늬밤나방 및 배추흰나비는 엽채류의 종류와 작기에 따라 발생시기와 밀도에 차이가 있다. 또한 나비나방류의 종에 따라 곤충병원성 선충의 병원성도 차이가 있다. 즉,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은 배추좀나방이나 기타 나비나방류보다 더 많은 선충의 살포를 요구하였지만 대체로 모든 나비나방류 방제에 필요한 선충 살포량은 발생초기의 유충 밀도에 따라 330㎡ 1.1×107∼3.3×107 마리 농도로 100ℓ 물과 희석하여 3일간격으로 2∼3회 살포한 후 초기 밀도를 낮추고 2∼3주후 유충 밀도가 다시 증가하면 7일간격으로 반복하여 살포하면 엽채류의 종류와 작기에 관계없이 나비나방류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목화바둑명나방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페로몬 트랩을 이용 목화바둑명나방의 성충 발생초기를 예찰하면 친환경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페로몬 트랩은 330㎡ 당 2개를 설치하면 적정하다. 수박이나 오이에서 목화바둑명나방이 발생하는 초기(50엽당 5마리 이내로 발생)에 나방병원선충을 m2당 3만마리(300평/1.5팩) 밀도로 물과 희석하여 1회 살포한다. 그리고 나방병원선충 1차 살포 후 지속적인 예찰을 통하여 50엽 당 목화바둑명나방 유충이 10마리 내외의 밀도가 관찰되면 나방병원선충을 m2당 3만마리 밀도로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면 85% 이상의 밀도 억제 효과가 있다. 나방병원선충을 1회 살포한 후 발생밀도의 변화를 예찰하지 못해 50엽당 20마리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목화바둑명나방 유충이 10마리 내외 일 때의 곤충병원성 선충 살포농도 보다 2배 농도로 물과 희석하여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면 효과적이다.
ValueCountFrequency (%)
17
 
0.9%
14
 
0.8%
밀도가 13
 
0.7%
13
 
0.7%
있다 12
 
0.7%
대한 10
 
0.6%
방사한 9
 
0.5%
것으로 8
 
0.4%
간격으로 8
 
0.4%
그림 8
 
0.4%
Other values (1112) 1678
93.7%
2024-03-15T02:53:00.99041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792
 
21.0%
176
 
2.1%
162
 
1.9%
. 159
 
1.9%
140
 
1.6%
0 123
 
1.4%
122
 
1.4%
120
 
1.4%
120
 
1.4%
1 114
 
1.3%
Other values (422) 5509
64.5%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5723
67.0%
Space Separator 1792
 
21.0%
Decimal Number 570
 
6.7%
Other Punctuation 282
 
3.3%
Lowercase Letter 60
 
0.7%
Other Symbol 30
 
0.4%
Open Punctuation 26
 
0.3%
Close Punctuation 26
 
0.3%
Math Symbol 21
 
0.2%
Uppercase Letter 5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76
 
3.1%
162
 
2.8%
140
 
2.4%
122
 
2.1%
120
 
2.1%
120
 
2.1%
114
 
2.0%
103
 
1.8%
97
 
1.7%
90
 
1.6%
Other values (376) 4479
78.3%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10
16.7%
s 10
16.7%
u 6
10.0%
a 5
8.3%
o 4
 
6.7%
i 4
 
6.7%
p 4
 
6.7%
d 3
 
5.0%
r 2
 
3.3%
e 2
 
3.3%
Other values (6) 10
16.7%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123
21.6%
1 114
20.0%
2 85
14.9%
3 61
10.7%
5 43
 
7.5%
7 38
 
6.7%
6 31
 
5.4%
4 28
 
4.9%
9 24
 
4.2%
8 23
 
4.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59
56.4%
, 89
31.6%
% 22
 
7.8%
: 9
 
3.2%
/ 2
 
0.7%
1
 
0.4%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1
52.4%
3
 
14.3%
~ 3
 
14.3%
× 3
 
14.3%
+ 1
 
4.8%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20
66.7%
8
 
26.7%
2
 
6.7%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D 3
60.0%
O 2
4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792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6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6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5723
67.0%
Common 2751
32.2%
Latin 63
 
0.7%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76
 
3.1%
162
 
2.8%
140
 
2.4%
122
 
2.1%
120
 
2.1%
120
 
2.1%
114
 
2.0%
103
 
1.8%
97
 
1.7%
90
 
1.6%
Other values (376) 4479
78.3%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792
65.1%
. 159
 
5.8%
0 123
 
4.5%
1 114
 
4.1%
, 89
 
3.2%
2 85
 
3.1%
3 61
 
2.2%
5 43
 
1.6%
7 38
 
1.4%
6 31
 
1.1%
Other values (19) 216
 
7.9%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10
15.9%
s 10
15.9%
u 6
9.5%
a 5
7.9%
o 4
 
6.3%
i 4
 
6.3%
p 4
 
6.3%
d 3
 
4.8%
D 3
 
4.8%
r 2
 
3.2%
Other values (7) 12
19.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5723
67.0%
ASCII 2764
32.4%
Letterlike Symbols 22
 
0.3%
Math Operators 11
 
0.1%
CJK Compat 8
 
0.1%
None 6
 
0.1%
Geometric Shapes 2
 
< 0.1%
Punctuation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792
64.8%
. 159
 
5.8%
0 123
 
4.5%
1 114
 
4.1%
, 89
 
3.2%
2 85
 
3.1%
3 61
 
2.2%
5 43
 
1.6%
7 38
 
1.4%
6 31
 
1.1%
Other values (28) 229
 
8.3%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76
 
3.1%
162
 
2.8%
140
 
2.4%
122
 
2.1%
120
 
2.1%
120
 
2.1%
114
 
2.0%
103
 
1.8%
97
 
1.7%
90
 
1.6%
Other values (376) 4479
78.3%
Letterlike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20
90.9%
2
 
9.1%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11
10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8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3
50.0%
× 3
50.0%
Geometric Shapes
ValueCountFrequency (%)
2
100.0%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Correlations

2024-03-15T02:53:01.28942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한글명속명종명목명과명명명자이용작물이용작물-기타국내분포국외분포특징대상해충생태정보이용방법시험결과
한글명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속명1.0001.0001.0001.0001.0001.0000.9690.0001.0000.8881.0000.9421.0001.0001.000
종명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목명1.0001.0001.0001.0001.0001.0000.9790.2750.1621.0001.0000.9691.0001.0001.000
과명1.0001.0001.0001.0001.0001.0000.8350.0001.0000.0001.0000.9911.0001.0001.000
명명자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이용작물1.0000.9691.0000.9790.8351.0001.0000.0001.0000.9631.0000.9041.0001.0001.000
이용작물-기타1.0000.0001.0000.2750.0001.0000.0001.0000.5061.0001.0001.0001.0001.0001.000
국내분포1.0001.0001.0000.1621.0001.0001.0000.5061.0001.0001.0001.0001.0001.0001.000
국외분포1.0000.8881.0001.0000.0001.0000.9631.0001.0001.0001.0000.9211.0001.0001.000
특징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대상해충1.0000.9421.0000.9690.9911.0000.9041.0001.0000.9211.0001.0001.0001.0001.000
생태정보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이용방법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시험결과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2024-03-15T02:53:01.65775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명명년도국내분포목명이용작물-기타
명명년도1.000NaNNaNNaN
국내분포NaN1.0000.1340.323
목명NaN0.1341.0000.147
이용작물-기타NaN0.3230.1471.000
2024-03-15T02:53:01.97634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목명명명년도이용작물-기타국내분포
목명1.000NaN0.1470.134
명명년도NaN1.0000.000NaN
이용작물-기타0.1470.0001.0000.323
국내분포0.134NaN0.3231.000

Missing values

2024-03-15T02:52:29.35589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4-03-15T02:52:30.08542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2024-03-15T02:52:30.51677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The correlation heatmap measures nullity correlation: how strong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variable affects the presence of another.

Sample

한글명속명종명목명과명명명년도명명자이용작물이용작물-기타국내분포국외분포특징대상해충생태정보이용방법시험결과
0가루진디벌Diaeretiellarapae벌목고치벌과<NA>(McIntosh)상추,배추등 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일본, 중국 등 아시아 지역성충의 몸길이는 약 1.9∼2.4mm 정도로 매우 작다. 주요 형태적 특징은 성충의 방사맥이 날개길이의 2/3보다 길지 않고 개방되어 있으며 전신복절은 오각형 모양이고 그 양쪽에 기문 2개를 볼 수 있으며, 자루마디는 가운데에 세로 모양의 주름이 많이 나있고 털이 배부분쪽으로 듬성 듬성 나있다. 유충은 4령까지 있으며, 번데기 과정을 거치었다. 4령 말기에는 진딧물의 몸 속 내용물은 다 없어지고 껍질만 남게 되는데 이것을 ‘머미’(mummy)라고 한다. 성충이 되면 진딧물의 표피를 둥글게 뚫고 밖으로 나온다. 교미한 암컷은 진딧물을 찾아다니며 산란을 하며, 배마디를 앞쪽으로 향하여 밑으로 구부려 진딧물 몸체에 산란관을 삽입한다. 산란시간은 보통 1초 내외로 극히 짧다.가루진디벌은 벌목 고치벌과에 속하는 매우 작은 기생성 벌의 일종으로 진딧물류에 기생해야만 종족번식이 이루어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가루진디벌은 국내에 토착하는 토착 기생성 천적이다. 가루진디벌은 원예작물의 주요 진딧물류인 무테두리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에 모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기생율이 가장 높은 진딧물은 바로 무테두리진딧물이다.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의 생활사를 거치며 알에서 번데기 기간은 진딧물의 체내에서 자라 머미를 형성하게 되고 성충이 되면 머미를 뚫고 나와 다른 진딧물에 다시 기생하게 된다. 발육기간은 25℃에서 알∼머미 기간이 7.6일, 머미∼성충 기간이 4.2일, 알∼성충 기간이 11.8일, 성충수명이 5.3일이었고, 평균 산란수는 일반적으로 암컷 한 마리당 238.7개(152∼322개) 정도이다.무우테두리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가루진디벌은 알-유충(1∼4령)-번데기-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암컷은 진딧물의 성충과 약충에 알을 낳으며, 좀벌류와는 달리 진딧물을 흡즙하지 않는다. 진딧물 체내에 산란된 알은 부화하여 3령 유충까지는 진딧물 체내의 혈림프를 먹고 자라며 4령기에는 체내의 모든 조직을 먹음으로 진딧물은 껍데기만 남게 된다. 진디벌에 기생된 진딧물은 26℃에서 6.5일이면 잎에 고정되고 진딧물은 부풀어 올라 머미가 된다. 알∼성충까지의 온도별 발육기간은 15℃에서는 34.2일, 20℃에서는 16.0일, 25℃에서는 11.8일, 30℃에서는 9.7일이 었다. 온도가 높을수록 알∼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이 조금씩 짧아졌다. 가루진디벌을 10% 꿀물을 제공 후 온도별 수명은 15℃에서 13.3일, 20℃에서 9.0일, 25℃에서 5.3일, 30℃에서 2.1일이었다. 가루진디벌과 싸리진디벌, 콜레마니진디벌의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2세대까지의 기생율은 71.1%, 83.0%, 94.0%의 기생율을 보였다. 가루진디벌의 평균 산란기간과 성충수명은 각각 11.1일과 5.3일이었다.진디벌은 기주식물의 색과 냄새를 감지하여 기주식물을 찾아가고 근처에서는 진딧물에서 발산하는 냄새를 감지하여 진딧물을 찾아낸다.시설배추, 양배추, 케일, 유채 등 배추과 엽채류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진딧물은 무테두리진딧물 등 3∼5종 정도이다. 천적을 이용한 무테두리진딧물의 방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천적의 선택, 방사시기, 방사수 및 작물에 미치는 영향이다. 무테두리진딧물과 같은 같은 진딧물의 천적에는 진디벌, 진디혹파리, 진디좀벌, 무당벌레 및 풀잠자리 등이 있다. 무테두리진딧물 최근에는 흔히 찾아 볼 수 없지만, 최근 무농약, 유기농 시설 엽채류 재배농가가 늘어나면서 점점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진딧물은 거의 수컷이 없고, 교미 없이 새끼를 낳으며, 알도 낳지 않고 직접 새끼를 낳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어떤 해충보다 번식속도가 빨라 방제가 쉽지 않은 해충이다. 이러한 이유로 진딧물 방제 이용되는 천적 또한 여러 종류가 있다. 특히, 배추과 엽채류에서 예방용으로 가루진디벌이 사용되고, 밀도가 높을 때는 무당벌레나 풀잠자리를 이용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가루진디벌은 무테두리진딧물에 기생력이 매우 높다.배추나 양배추에 무테두리진딧물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가루진디벌을 발생지점 위주로 소량씩 여러번 방사하는 것보다 다량의 천적을 적은 횟수로 방사하는 것이 효과가 높다. 진딧물은 처음부터 온실 전체에 골고루 발생되지 않고 일부지점에 발생되어 증식이 이루어진 후 포장 전체로 퍼지게 된다. 따라서 발견된 지점에 천적을 집중적으로 방사하여 초기에 진압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무우테두리진딧물에 대한 가루진디벌의 접종밀도에 따른 기생률 비교에서는 가루진디벌레에 대한 무우테두리진딧물의 밀도가 1:5, 1:10에서의 기생률이 80%, 80%로서 1:1과 1:20보다 높았다. 진딧물에 대한 진디벌의 방사수는 일차적으로 포장에서 진딧물의 방제효과를 좌우하지만 농가에 부담을 줄 수 있는 가루진디벌 구입비를 고려한다면 1:10이 1:5보다는 실제 이용 가능성이 높다.시설 양배추 포장에서 무우테두리진딧물에 대한 가루진디벌의 방제 효과는 1회 방사 후 7일째 방제가는 66.1%, 14일째 76.0%, 21일째 64.6%, 28일째 67.2%였고, 2회 방사 후 7일째 77.7%, 14일째 85.3%, 21일째 76.3%, 28일째 79.7%로서 2회 방사구에서 방제효과가 더 높았다. 그리고 가루진디벌 2회 방사 후 28일째까지 방제 효과가 지속되었다. 따라서 양배추를 비롯한 배추과 작물 재배시 무테두리진딧물 발생초기에 가루진디벌 성충을 1(진디벌):10(진딧물) 비율로 1주일 간격으로 2회 방사하면 무우테두리진딧물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초기 발생밀도에 따라 방사수와 회수는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방제방법은 봄과 가을 양배추 재배시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1굴파리좀벌Diglyphusisaea벌목좀벌과<NA>(Walker)토마토,참외,메론,오이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아시아, 유럽, 북미지역굴파리좀벌은 다기생성(多寄生性)의 외부기생봉이라고 하는데, 보통은 단기생(單寄生)한다. 성충의 체장은 0.9-1.6㎜로 체색이 검고, 더듬이가 짧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뒷다리에 황색의 띠가 있다. 알은 유백색, 유충기의 색깔은 3단계로 나누며 처음에는 무색 투명하고, 다음에 황색과 반투명한 갈색, 마지막으로 청록이나 갈색이 된다. 번데기는 초기에는 녹색이나 점차 검정색으로 변한다.아메리카잎굴파리굴파리좀벌은 알 - 유충(1~3령)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암컷 성충의 수명은 25℃에서 25.1일 정도이고, 산란에 앞서 기주곤충인 잎굴파리 유충에 독액을 주입하여 마취시켜 움직이지 못하게 한 후 유충의 옆에 또는 체표면에 하나의 알을 낳는다. 굴파리좀벌은 기생뿐만 아니라 체액섭취에 의해서도 잎굴파리 유충을 죽인다. 주로 어린 잎굴파리 유충은 흡즙하여 영양을 섭취하는데, 25℃에서 일생동안 657마리를 흡즙한다. 산란 기주는 굴파리좀벌의 유충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도록 몸집이 큰 잎굴파리 3령 유충을 선호 하는데, 다음세대 성충은 3령 유충에 기생한 것만 암컷이 출현한다. 산란수는 일생동안 305.3개를 산란한다. 부화한 어린 유충은 마비된 잎굴파리 유충에 붙어 기주를 먹으며 성장한다. 충분히 발육한 유충은 엽육 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우화시 잎의 윗면에 둥근 구멍을 만들고 굴에서 탈출한다. 굴파리좀벌의 발육기간은 25℃에서 알 1.3일, 유충 4.5일, 번데기 6.5일로 한 세대가 경과하는데 12.1일이 걸린다.굴파리좀벌의 이용은 잎굴파리가 잎에 굴을 뚫고 다니기 때문에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잎굴파리의 발생량이 많지 않으면 천적을 방사하지 말고 주기적으로 발생량이 많아지는지를 살펴야 한다. 대체로 처음 발생은 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생 기생봉에 의해 기생되어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만약 잎굴파리 발생밀도가 증가하여 피해가 우려될 때는 굴파리좀벌을 방사한다. 방사방법은 주 발생지점 위주로 방사하며, 방사량은 ㎡당 0.2마리 기준으로 3회 정도 방사한다. 그러나 6월부터 10월까지 야외에 서식하는 자생 기생봉들이 많아 이 시기에 발생하는 잎굴파리들은 대부분 자생천적에 의해 자연 기생되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고추에서 잎굴파리가 대발생한 경우는 거의 없다.<NA>
2굼벵이병원선충Heterorhabditisbacteriophora원충목형광세균선충과<NA><NA>배추,상추등 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미국, 호주, 유럽, 일본, 중국 등 남극을 제외한 전 대륙성충의 몸길이는 약 820∼4,030㎛ 정도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유충은 이 보다 작은 570㎛(520∼600㎛)로서 육안으로 관찰이 용이하지 못하다. 완전기생선충으로 기주범위가 대단히 넓다. 침입태는 3령충이다. 공생세균인 Photorhabdus가 침입태 유충의 소화관내에 있다. 기주에 침입한 유충은 제 1세대 자웅동체 암컷으로 발육하였다가 다시 자웅이체의 양성으로 발육하여 후대를 생산한다. 일반적으로 성충은 자웅동체와 양성혼합 세대가 감염된 기주 사체에서 발견된다. 처음의 자웅동체 세대 이후에는 보통 1 또는 그 이상의 양성혼합 세대가 뒤따른다. 구침은 없고 머리는 끝이 절단형이거나 약간 둥글다. 명확한 6개의 입술이 있으며 부분적으로 기부에 붙어 있다. 각 입술은 하나의 구순돌기를 가지고 있고, 2개의 부수 돌기가 각가의 아중앙 입술기부에 있다. 하나의 두부돌기와 원형 쌍기공이 측부 입술에 있다. 순구강벽은 구강 앞부분이 굴절된 링으로 되어 있으며 구강의 후부는 퇴화된 전구강벽, 중구강벽, 후구강벽으로 되어 있다. 신경환은 분명하고 암컷에서는 협세부의 가운데 부분 가까이에 있고 수컷에서는 기부식도구에 있다. 암컷 성충의 음문은 중앙에 위치하며 양난소형이다. 난소의 구부러진 부분이 종종 음문공을 지나 뻗어 있다. 자웅동체 암컷은 양성선(난정소)의 끝부분에 정자와 기능적인 음문을 가지고 있다. 양성혼합의 암컷은 수란관의 끝에 정소가 있으며 음문은 알을 낳는 비기능적인 통로의 역할만 한다. 꼬리는 뾰족하고 직장선이 있다. 수컷은 양성혼합 세대에서만 생산된다. 종소는 하나이며 굽었다. 교접자는 쌍이며 떨어져 있고 거의 쭉 뻗은 형이다. 부자가 있다. 교미돌기는 9쌍이다. 유충은 배설공이 신경환 뒤에 위치한다. 두부에 배부 돌기, 갈고리, 또는 가시 등이 있다. 때로는 아복부 표면에 있다. 유충은 항상 일차적으로 자웅동체 암컷이 된다. 꼬리는 뾰족하다. 공생세균은 전 소화관에서 발견된다.배추좀나방,벼룩잎벌레,벼잎벌레굼벵이병원선충은 1∼4령충의 유충과 암·수 성충, 알 단계로 되어있다. 이 중 해충 체외에서 살 수 있는 것은 3령 유충 단계이다. 3령 유충은 2령 유충의 허물(탈피각)을 쓰고 있어 불리한 외부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령 유충은 해충이 호흡을 통해 내어놓은 탄산가스를 감지하여 접근한다. 굼벵이병원선충의 경우 해충의 입, 항문, 숨구멍(기문) 등을 통해 해충 몸체내로 침입한다. 침입한 3령충 유충은 자신의 장내에 가지고 있는 공생세균을 밖으로 내어 놓고, 해충의 혈림프 내에서 급속히 증식하면서 항상물질 및 독소를 생성하여 패혈증을 일으켜 48시간 안에 해충을 죽인다. 일반적으로 굼벵이병원선충의 1세대 발육기간은 약 2∼3일이 걸린다. 해충의 유충이 큰 경우 몸 안에서 증식하는 세대수는 약 2∼3세대, 작은 경우 1세대 정도를 거친다. 굼벵이병원선충의 해충에 대한 병원성이 가장 높은 온도는 22∼28℃이며, 병원성 발현온도는 13∼35℃이다. 해충의 체내로 침입한 자웅동체의 개체는 해충 체내에서 2세대 이후 다시 암수 한쌍이 교미하고 2∼3세대가 지나는 7일 이후에는 30만개 내외의 알을 산란하고 이 알이 부화하여 충체를 빠져나온다. 굼벵이병원선충은 침입태 1세대 성충은 자동동체이다.굼벵이병원선충의 이용은 나방병원선충과 동일하낟. 즉 적용하고자 하는 포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해충과 발육 단계, 자외선, 습도, 분무 압력 및 필터 여부 등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자연 상태에서 굼벵이병원선충은 토양 속에서 서식하던 천적이기 때문에 햇빛의 자외선에 매우 약하다. 1시간 이상 자외선에 직접 노출될 경우 대부분 죽거나 병원성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살포하는 시기를 자외선이 약하거나 없는 해질 무렵에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흐리거나, 비가오는 날에 살포해도 좋다. 굼벵이병원선충은 살포 후 수분을 따라 이동하며 선충 표면의 물기가 마르면 쉽게 죽는다. 토양에 살포할 때는 살포하기 전·후 관수를 해주어 토양 수분이 충분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작물체의 잎에 살포할 때는 잎에 골고루 묻을 수 있도록 하며, 쉽게 건조해지지 않게 살포해주는 것이 좋다. 건조 속도를 늦추기 위해 햇빛이 없는 시기에 살포하거나 온실 안에 상대습도를 높게 유지해 주는 것도 좋다. 또한 살포 물량의 평소의 1.5배 정도 많이 살포하는 것도 골고루 살포하는 방법이다. 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분무기는 피스톤식 농용동력 분무기, 무인 방제기 등이 있다. 이러한 분무기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압력을 낮추어야 한다. 2.0kgf/㎠ 이하의 압력으로 살포하여야만 안정적으로 선충을 사용할 수 있다. 2.0∼2.5kgf/㎠ 이상의 압력이 강할 경우, 선충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안개 노즐의 경우 구멍이 너무 작기 때문에(0.5mm 이하) 선충이 빠져나가지 못할 수 있다. 지름 0.5mm 이상으로 교체해야 한다. 노즐 내부 또는 분무기 내부에 미세한 필터 장치가 있으므로 반드시 필터를 제거해야만 한다. 제거하지 않으면 필터에 선충이 걸린다.배추, 쌈추, 적겨자에서 좁은가슴잎벌레 유충이 주당 0.3∼1.3마리 발생시 굼벵이병원선충을 330㎡ 당 3.3×107마리 농도를 100ℓ 물과 희석하여 3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다. 3회 살포 후 3주 후 좁은가슴잎벌레 유충이 다시 발생하기 때문에 선충을 다시 살포하되 유충수를 예찰하여 1∼3회 살포하며 작기가 끝날 때까지 예찰과 처리를 반복한다. 선충 처리는 해뜨기 전후와 해질 녁 전후 그리고 날씨가 흐린 날 뿌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좁은가슴잎벌레는 발생하는 곳만 매년 반복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작물을 정식하기 전 미리 굼벵이병원선충이나 나방병원선충을 처리하는 것도 좋다.
3긴털이리응애Amblyseiuswomersleyi응애이리응애과<NA><NA>사과,배<NA>전국일본, 타이완긴털이리응애는 한국, 일본, 타이완 등에 분포하며 사과나무, 뽕나무, 딸기, 콩, 잡초 등에 발생하는 잎응애류 해충을 포식한다. 주요 해충인 점박이응애, 간자와응애, 차응애의 알과 어린 약충을 잡아먹는다. 암컷 성충으로 월동하며 행동이 활발하고 발육기간이 짧고 포식량이 많아서 잎응애류의 생물적 방제용으로 중요한 천적이다. 긴털이리응애의 암컷성충은 약 0.35mm, 수컷성충은 0.25mm 내외의 크기로 유황색이며 알은 타원형으로서 구형인 점박이응애와 차응애의 알과 쉽게 구별이 된다.차응애,점박이응애긴털이리응애는 알 - 유충 - 제 1약충(전약충) - 제 2약충(후약충) - 성충의 발육단계를 거쳐서 성장한다. 긴털이리응애의 발육기간은 표 1에서와 같이 20℃에서 보다 30℃에서 발육기간이 반으로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권(1998)에 의하면, 긴털이리응애는 성충이 35일 정도 생존하며, 하루에 2개 정도의 알을 낳고, 전체 수명 기간 동안 35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고 하였다. 또한 25℃에서 하루 평균 11개의 점박이응애의 알을 포식한다고 하였다.긴털이리응애는 크기가 칠레이리응애에 비해 작고, 활동성이 떨어지므로 높은 밀도에서는 방제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잎응애류의 밀도가 낮을 경우에 방사하여 정착을 시키고, 저독성 농약을 선발하여 살포하면서 보호한다면, 노지 과수류의 점박이응애 밀도가 올라가는 것을 막는데 좋은 천적인자가 될 것이다.산란중 기간은 15℃에서 35.8일이나 20℃에서는 20.7일로 단축되었으며, 25℃와 30℃에서는 각각 11.8일과 11.1일로 큰 차이가 없다. 암컷성충의 수명은 15, 20, 25, 30℃에서 각각 70.6, 42.8, 29.0, 26.7일 정도 된다. 각 온도별 암컷성충의 산란수는 15℃에서 21.7개, 20℃에서 28.1개, 25℃에서 34.2개, 30℃에서는 48.0개로 고온일수록 산란수가 많아졌다(표2).포식성 천적의 대상 해충에 대한 포식능력은 그 천적의 유용성을 측정하는 한가지 척도인데 긴털이리응애의 산란 암컷성충을 대상으로 하였을때 15℃와 20℃에서는 각각 3.0, 4.9개의 난을 포식하였으나 25℃와 30℃에서는 각각 15.7, 19.4개의 차응애 난을 포식하여, 온도에 따른 1일 포식량에 큰 차이가 있으며 고온일수록 포식량이 많아졌다. 또한 포식량이 가장 많은 30℃에서 각 발육 단계별 포식량을 보면, 전약충, 후약충, 산란후기간에 각각 4.6, 6.3, 6.8개의 난을 포식하였으나, 산란기간 중에는 19.4개로 월등히 많은 포식량을 나타냈다(표3). 이러한 포식능력에 대한 결과와 각 온도에서의 평균 산란수를 연관시켜 보면 15-30℃의 범위 내에서는 포식량이 많아지면 산란수도 많아져서 거의 같은 증가양상을 보이므로 포식량과 산란수는 아주 높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깍지무당벌레Cryptolaemusmontrouzieri딱정벌레목무당벌레과<NA>Mulsant감귤<NA><NA>호주, 인도, 뉴질랜드,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그리스, 하와이, 브라질, 코스타리카, 푸에르토리코, 미국, 이스라엘, 인도네시아, 필리핀, 홍콩, 중국, 이집트, 남아프리카식물검역원에서 2009년 12월 24일 과수해충인 깍지벌레류의 생물적방제용으로 외국산 깍지무당벌레(Cryptolaemus montrouzieri )의 수입을 허용하였다. 이 포식성 천적은 호주에서 미국으로 캘리포니아의 귤가루깍지벌레(Citrus mealybug, Planococcus citri) 방제를 위하여 1891년 도입되었고, 도입 초기에는 귤가루깍지벌레의 개체군 밀도가 많이 낮아졌지만, 겨울철에 살아남지 못하여 지속적인 방사가 필요하였다.깍지무당벌레는 3∼4mm 길이의 작은 곤충이며 몸은 짙은 갈색, 머리는 오렌지색, 알은 노란색을 띠고 있다. 깍지무당벌레의 유충은 1.3cm 정도의 길이까지 자라며 하얀 왁스질의 털로 덮여있어 해충인 깍지벌레와 유사하고 귤가루깍지벌레에 비해 2배정도 크게 자란다. 먹이가 부족할 경우 먹이 탐색을 위해 과수원 내에서 날아서 이동한다.귤가루깍지벌레,가루깍지벌레가루깍지벌레는 알, 3단계의 유충, 번데기, 성충의 과정을 거치며,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의 기간은 27℃에서 약 31∼45일이다. 성충은 깍지벌레 암컷 성충의 털로 덮힌 알 주머니 사이에 알을 낳는다. 알은 약 5일 후 유충으로 부화하고 3단계의 유충기간을 거치는데 약 12∼17일 소요된다. 이때 유충들은 깍지벌레의 알, 어린 유충, 깍지벌레가 생산하는 감로(honeydew)를 먹고 자란다. 나뭇가지 위 또는 시설하우스 내의 은신처가 될 만한 곳에서 번데기가 되며, 약 7∼10일 후 성충으로 우화하며 4달 동안 생존한다. 교미한 암컷성충은 우화 4∼5일후부터 알을 낳으며, 생존기간 동안 총 약 400-500개의 알을 낳는다. 보통 암컷의 비율은 50%이지만 적을 때에는 약 40% 정도이다. 성충과 어린 유충은 깍지벌레의 알을 선호하지만, 노숙유충은 모든 발육단계의 깍지벌레를 포식하며 먹이가 부족할 때에는 진딧물도 포식한다.깍지무당벌레는 깍지벌레의 밀도가 높을 때 가장 효과적인 천적이다.깍지벌레의 개체군밀도가 낮을 때에는 반복적으로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시설하우스에서는 깍지벌레 발생 식물 당 5마리 또는 m2당 2∼5마리를 방사하는 것이 적당하다. 노지작물에서는 ha당 1250∼12500마리, 과수원에서는 ha당 2500∼5000마리 정도를 방사하는 것이 좋다. 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에 방사하고 밝은 색상의 옷에 유인되므로 밝은 색상의 옷을 입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겨울철 시설하우스에서 깍지벌레의 밀도가 낮은 수준으로 계속 유지된다면, 반복적으로 방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NA>
5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eajaponica딱정벌레목무당벌레과<NA>(Thunberg)고추,파프리카,오이등 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일본, 중국, 타이완, 러시아(연햐주, 시베리아 동부), 인도 북부, 유럽 등 전세계적인 분포진딧물의 천적인 무당벌레류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며 우리나라에 약 90여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성충은 둥근형에 가까운 알 모양이고, 등쪽은 황색 내지 황적색이며, 딱지날개의 중앙에는 십자형과 이의 바깥쪽 앞뒤에는 4개의 흑색무늬가 있다. 몸 길이는 암컷이 4.1mm, 수컷이 3.7mm로 암컷이 수컷에 비하여 다소 크다. 성충의 암·수 구분은 가슴 등쪽의 검은 무늬 중앙에 홈이 있으면 수컷, 없으면 암컷이고, 배면에서 머리와 앞 다리사이의 앞가슴배판이 흰색이면 수컷, 검은색이면 암컷이다. 알의 길이는 1.2mm, 폭은 0.5mm 정도로 노란색을 띈 장타원형 모양으로 약 10~15개씩 무더기로 식물에 붙여 세워 낳는다. 유충은 부화한 후 2∼3시간 정도 지나면 활동을 시작하여 진딧물을 포식한다. 유충의 모든 령기는 검정색이며, 흰색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꼬마남생이무당벌레 1령, 2령, 3령, 4령 유충의 길이는 각각 2.0, 2.9, 4.0, 5.8mm 이다. 말령 유충은 번데기가 되기 위하여 배 끝부분을 잎이나 줄기에 부착하고 1∼2일정도 지난 후 탈피하여 번데기가 되며, 번데기의 길이는 3.6mm, 넓이가 2.4mm이다. 번데기 형태는 엷은적갈색 바탕에 검은 점이 몸 양쪽에 나란히 몇 개가 있으며 움직이지 않고 잎에 고정되어 있다.싸리수염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감자수염진딧물,목화진딧물꼬마남생이무당벌레의 발육단계도 무당벌레와 같이 알 - 유충(1~4령)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치는 완전변태를 한다. 월동은 성충으로 하는데 따뜻하고 양지바른 건물이나 담벼락, 바위 등의 틈에서 겨울잠을 잔 후 이른 봄 4월경부터 무궁화나무, 잡초 등에 발생하는 진딧물을 포식하기 위해 이동한다. 기온이 상승하고 농경지 등에 진딧물의 발생이 시작되면 먹이를 찾아 이동을 계속한다. 무당벌레가 여름에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지만, 꼬마남생이무당벌레는 봄에서 가을까지 활발하게 활동한다. 11월경 따뜻한 날에 날아서 월동처로 이동한다. 연 3세대 이상을 거치며 성충수명은 2~3개월이라고 하지만, 먹이만 충분히 공급하면 1년 이상도 생존한다. 알 기간 25℃에서 3.3일, 유충 기간 11일, 번데기 기간 4일이다.꼬마남생이무당벌레도 무당벌레나 칠성무당벌레와 같이 약충과 성충 모두 진딧물을 포식하며, 수명이 너무 길어 생존기간 동안 포식량을 조사한 결과는 찾을 수가 없다. 다만 하루에 포식하는 양을 보면 꼬마남생이무당벌레 1령, 2령, 3령, 4령, 수컷 성충, 암컷 성충이 25℃에서 목화진딧물을 각각 15.0마리, 20.4마리, 78.3마리, 100.6마리, 117.0마리, 131.3마리를 포식한다. 꼬마남생이무당벌레 1령, 2령, 3령 유충은 25℃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을 1일에 각각 2.7. 5.1, 6.6, 13.7마리를 포식한다. 이러한 포식력에도 꼬마남생이무당벌레가 진딧물 천적으로 시설재배지에서 잘 이용하지 않는 것은 먹이가 없으면 외부로 이탈하여 정착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진디벌에 비하여 이동과 기주 탐색력이 낮기 때문이다. 반면 온도가 높으면 사라지는 무당벌레에 비하여 꼬마남생이무당벌레는 온도가 높아져도 이용할 수 있다. 오이에서 꼬마남생이무당벌레 이용은 주로 봄과 가을에 발생하는 목화진딧물을 대상으로 하는데, 목화진딧물이 몇몇 오이의 신초에 발생할 때 예방 및 방제의 목적으로 할 경우 이용한다. 진딧물의 발생이 넓은 면적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는 꼬마남생이무당벌레가 먹이를 찾아 가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방제 효과가 떨어진다. 이럴 경우 이동력이 좋은 진디벌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꼬마남생이무당벌레의 방사는 가능한 성충보다는 유충으로 방사해야 시설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그림 1은 시설오이에서 꼬마남생무당벌레 유충의 방사시기와 방사량에 따른 목화진딧물에 대한 방제효과이다. 2010년 시설오이에서 목화진딧물을 방제하기 위하여 4월 19일 오이 주당 진딧물이 10마리 내외로 발생하였을 때 꼬마남생이무당벌레 유충을 ㎡ 당 0.4마리 밀도로 7∼10일 간격으로 3회 방사한 결과 작기가 끝날 때까지 오이 주당 목화진딧물 밀도가 15마리 이내로 지속되었다. 이와같이 목화진딧물의 발생초기에 꼬마남생이무당벌레를 방사하면 목화진딧물의 밀도조절과 피해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그림 2은 시설오이에서 꼬마남생무당벌레 유충의 방사시기와 방사량에 따른 싸리수염진딧물에 대한 방제효과이다.촉성(1월∼2월) 혹은 반촉성 시설오이(2월∼4월)를 정식 한 후 50엽당 싸리수염진딧물이 200∼300마리가 발생하였을 때 꼬마남생이무당벌레를 ㎡ 당 0.2마리 밀도로 12∼14일 간격으로 2회 방사하여 싸리수염진딧물을 방제하였다. 싸리수염진딧물은 저온성 진딧물로 오이에서는 12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발생하며 특히, 오이의 하엽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꼬마남생이무당벌레를 싸리수염진딧물이 발생하는 초기는 물론이고 발생밀도가 많아도 빠른 시간내에 밀도를 낮출 수 있다.
6나방병원선충Steinernemacarpocapsae원충목무형광세균선충과<NA><NA>배추,상추등 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미국, 호주, 유럽, 일본, 중국 등 남극을 제외한 전 대륙성충의 몸길이는 약 1,450㎛(1,090∼1.710㎛) 정도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유충은 이 보다 작은 558㎛(438∼650㎛)로서 육안으로 관찰이 용이하지 못하다. 완전기생선충이며 기주범위가 대단히 넓다. 침입태 유충(3령충)은 공생세균(Xenorhabdus spp.)을 소화관에 갖고 있으며 기주에 침입하여 암수 양성으로 발육한다. 일반적으로 성충은 구침이 없고 6개의 입술이 있는데 부분적 혹은 완전히 붙어 있다. 각 입술의 끝에 구순돌기가 있다. 두부돌기는 4개이다. 때로는 2개의 불분명한 측부 쌍기가 있다. 표피는 부드럽다. 머리는 둥글며 구강은 짧고 넓다. 전구강벽과 중구강벽은 있으나 후구강벽은 흔적만 있다. 신경환은 뚜렷하며 식도협세부 주위에 있다. 복부 배설공은 뚜렷하며 측대와 측미선구는 불분명하다. 암컷 성충은 양난소형으로 난소는 구부러져 있으며 반대 방향에 있다. 음문은 몸 중앙에 있으며 교미와 최초 산란때 기능을 한다. 노숙한 암컷의 질은 쇠퇴한다. 난태생으로 유충은 어미의 내용물을 먹으며 결국 암컷을 죽인다. 크기는 영양상태에 따라 다양하다. 수컷 성충은 장소는 하나고 끝이 굽었다. 교접자는 쌍이며 떨어져 있다. 부자는 있으나 교미낭은 없다. 꼬리에 꼬리돌기가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다. 정자는 4령충의 정소에서 성숙하기 시작한다. 수컷 꼬리에는 보통 23개(드물게 21개)의 생식돌기가 있다. 침입태 유충은 배설공이 신경환 앞에 있다. 두부에 배부 갈고리가 없다. 유충은 수컷이나 암컷으로 발육한다. 꼬리는 뾰족하며 공생세균은 창자의 앞쪽 특정 부위에 있다. 해충 몸 안에서 1세대를 거치는데 2∼3일이 소요되며, 충체에 침입한 선충은 암수가 교미 후 7일 내외에 약 20만개의 알을 암컷 몸체에 산란하고 이 알이 부화하여 유충이 된다. 해충방제 시 특성은 다른 천적곤충이나 미생물 제제와는 달리 높고 빠르게 해충을 죽이고, 넓은 기주범위를 가지고 있다. 장기간의 보존력 및 화학 농약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유럽,배추좀나방,작은뿌리파리,담배거세미나방,벼룩잎벌레,벼잎벌레나방병원선충은 1∼4령충의 유충과 암·수 성충, 알 단계로 되어있다. 이 중 해충 체외에서 살 수 있는 것은 3령 유충 단계이다. 3령 유충은 2령 유충의 허물(탈피각)을 쓰고 있어 불리한 외부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령 유충은 해충이 호흡을 통해 내어놓은 탄산가스를 감지하여 접근한다. 나방병원선충의 경우 해충의 입, 항문, 숨구멍(기문) 등을 통해 해충 몸체내로 침입한다. 침입한 3령충 유충은 자신의 장내에 가지고 있는 공생세균을 밖으로 내어 놓고, 해충의 혈림프 내에서 급속히 증식하면서 항상물질 및 독소를 생성하여 패혈증을 일으켜 48시간 안에 해충을 죽인다. 일반적으로 나방병원선충의 1세대 발육기간은 약 2∼3일이 걸린다. 해충의 유충이 큰 경우 몸 안에서 증식하는 세대수는 약 2∼3세대, 작은 경우 1세대 정도를 거친다. 나방병원선충의 해충에 대한 병원성이 가장 높은 온도는 22∼28℃이며, 병원성 발현온도는 13∼35℃이다. 해충의 체내로 침입한 후 2∼3세대가 지나는 7일 이후에는 암수 한쌍이 교미하여 20만개 내외의 알을 산란하고 이 알이 부화하여 충체를 빠져나온다. 나방병원선충은 증식을 위해서는 해충의 몸체에 암수가 함께 침입하는 것이 특징이다.나방병원선충을 이용할 때는 적용하고자 하는 포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해충과 발육 단계, 자외선, 습도, 분무 압력 및 필터 여부 등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자연 상태에서 나방병원선충을 비롯한 모든 곤충병원성 선충은 토양 속에서 서식하던 천적이기 때문에 햇빛의 자외선에 매우 약하다. 1시간 이상 자외선에 직접 노출될 경우 대부분 죽거나 병원성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살포하는 시기를 자외선이 약하거나 없는 해질 무렵에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흐리거나, 비가오는 날에 살포해도 좋다. 나방병원선충은 살포 후 수분을 따라 이동하며 선충 표면의 물기가 마르면 쉽게 죽는다. 토양에 살포할 때는 살포하기 전·후 관수를 해주어 토양 수분이 충분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작물체의 잎에 살포할 때는 잎에 골고루 묻을 수 있도록 하며, 쉽게 건조해지지 않게 살포해주는 것이 좋다. 건조 속도를 늦추기 위해 햇빛이 없는 시기에 살포하거나 온실 안에 상대습도를 높게 유지해 주는 것도 좋다. 또한 살포 물량의 평소의 1.5배 정도 많이 살포하는 것도 골고루 살포하는 방법이다.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분무기는 피스톤식 농용동력 분무기, 무인 방제기 등이 있다. 이러한 분무기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압력을 낮추어야 한다. 2.0kgf/㎠ 이하의 압력으로 살포하여야만 안정적으로 선충을 사용할 수 있다. 2.0∼2.5kgf/㎠ 이상의 압력이 강할 경우, 선충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안개 노즐의 경우 구멍이 너무 작기 때문에(0.5mm 이하) 선충이 빠져나가지 못할 수 있다. 지름 0.5mm 이상으로 교체해야 한다. 노즐 내부 또는 분무기 내부에 미세한 필터 장치가 있으므로 반드시 필터를 제거해야만 한다. 제거하지 않으면 필터에 선충이 걸린다. 양액재배지에서 뿌리파리류를 방제하기 위해 점적관수 시설을 이용하여 선충을 보내지 말아야 한다. 점적 구멍이 너무 작고 살포액의 흐름이 느려 먼 곳에서 이동되는 동안 점적호스 바닥으로 가라않을 가능성이 높다.주요 시설 엽채류인 배추, 양배추, 케일, 적겨자, 잎브로콜리, 근대에서 문제가 되었던 배추좀나방, 흰띠명나방, 도둑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검은은무늬밤나방 및 배추흰나비는 엽채류의 종류와 작기에 따라 발생시기와 밀도에 차이가 있다. 또한 나비나방류의 종에 따라 곤충병원성 선충의 병원성도 차이가 있다. 즉,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은 배추좀나방이나 기타 나비나방류보다 더 많은 선충의 살포를 요구하였지만 대체로 모든 나비나방류 방제에 필요한 선충 살포량은 발생초기의 유충 밀도에 따라 330㎡ 1.1×107∼3.3×107 마리 농도로 100ℓ 물과 희석하여 3일간격으로 2∼3회 살포한 후 초기 밀도를 낮추고 2∼3주후 유충 밀도가 다시 증가하면 7일간격으로 반복하여 살포하면 엽채류의 종류와 작기에 관계없이 나비나방류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목화바둑명나방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우선 페로몬 트랩을 이용 목화바둑명나방의 성충 발생초기를 예찰하면 친환경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페로몬 트랩은 330㎡ 당 2개를 설치하면 적정하다. 수박이나 오이에서 목화바둑명나방이 발생하는 초기(50엽당 5마리 이내로 발생)에 나방병원선충을 m2당 3만마리(300평/1.5팩) 밀도로 물과 희석하여 1회 살포한다. 그리고 나방병원선충 1차 살포 후 지속적인 예찰을 통하여 50엽 당 목화바둑명나방 유충이 10마리 내외의 밀도가 관찰되면 나방병원선충을 m2당 3만마리 밀도로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면 85% 이상의 밀도 억제 효과가 있다. 나방병원선충을 1회 살포한 후 발생밀도의 변화를 예찰하지 못해 50엽당 20마리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목화바둑명나방 유충이 10마리 내외 일 때의 곤충병원성 선충 살포농도 보다 2배 농도로 물과 희석하여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하면 효과적이다.
7담배장님노린재Nesidiocoristenuis노린재목장님노린재과<NA>(Reuter)토마토,참외,가지,수박,파프리카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일본, 중국, 타이완, 동남아시아, 미크로네시아담배장님노린재 성충의 몸길이는 4㎜ 내외로 몸은 가늘고 녹색을 띠며 날개에는 갈색의 무늬가 있다. 1령 약충은 크기가 1㎜ 내외로 몸색은 연한 황색을 띠고, 3령 약충부터 날개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5령 약충은 몸색이 녹색으로 변한다.온실가루이,담배가루이담배장님노린재는 알 - 약충(1~5령) - 성충의 단계를 거치며, 선호하는 온도는 25~28℃이다. 충의 산란수는 25℃에서 약 80개이며, 수명은 35일 정도로 긴 편이다. 알은 식물의 조직 속에 산란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렵다. 25℃에서 알 기간은 6.9일, 1령 약충 2.6일, 2령 약충 4.5일, 3령, 4령, 5령 약충이 각각 2.5일로 산란부터 성충되기까지의 기간이 21.5일이다. 담배장님노린재 성충은 하루 동안 가루이 알 30~40개, 약충 15~20마리, 성충 2~5마리를 포식한다.담배장님노린재는 가루이 뿐만 아니라 잎응애, 진딧물, 총채벌레, 나방의 유충과 알 등을 포식하는 광식성 천적이다. 최근 담배가루이 천적인 황온좀벌, 온실가루이좀벌, 지중해이리응애 등이 정착하지 못하거나 방제효과가 낮은 경우 담배장님노린재를 이용한다. 담배장님노린재는 해충을 포식하기도 하지만 식물도 가해하는 곤충으로 이용 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참깨의 주요 해충이며, 오동나무빗자루병의 매개충으로도 기재되어 있다. 고추에서는 이용한 사례가 많지 않아 아직 피해를 확인하지 못하였지만, 토마토에서는 포식할 해충이 없고 밀도가 높아지면 토마토 신초 부위나 줄기를 동그랗게 가해(necrotic ring)하여 피해 받은 가지가 쉽게 부러진다. 따라서 담배장님노린재의 밀도가 높아지면 살충제를 저농도로 살포하여 밀도를 줄여야 한다. 담배장님노린재는 밀도가 증가하는 기간이 오래 소요 되며, 가루이가 발생하지 않은 포장에 담배장님노린재를 방사하면 먹이가 없어 정착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전에 포장 내에 참깨를 심어 약 50㎝ 이상 성장시킨 후 담배장님노린재를 참깨에 방사하여 증식시킨다. 담배장님노린재는 참깨만 먹고도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때 참깨는 담배장님노린재의 뱅커플랜트 역할을 한다.담배장님노린재의 뱅커플랜트를 이용하기 위하여 시설고추 포장 4곳에 참깨를 심어 약 50cm 정도 자랐을 때 6월 4일 1곳 당 50마리씩 총 200마리를 방사하였다. 담배장님노린재는 방사 후 약 2개월부터 고추작물에 보이기 시작하여 10월 15일에는 잎 당 0.12마리로 최고밀도를 보였으며, 발생밀도가 워낙 낮아 조사 시기별로 편차가 심하였다(그림1). 고추에서 담배장님노린재의 피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토마토나 참깨에 비하여 고추를 크게 선호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담배가루이가 많이 발생되는 포장에는 포식력이 높아 적절히 이용할 수 있겠지만 담배가루이 발생 밀도가 낮은 포장에서는 방사효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8목화면충좀벌Aphelinusvaripes벌목면충좀벌과<NA>(Forster)고추,파프리카모든 시설원예작물 및 노지작물전국미국, 러시아, 일본, 중국 등목화면충좀벌은 진디면충좀벌과 함께 농작물을 가해하는 진딧물의 천적인 포식기생자이다. 몸 크기는 약 1.1mm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발육기간은 20℃에서 18.3일, 25℃에서 14.7일, 30℃에서 10.4일, 35℃에서 9.3일이며 35℃에서 번데기 사망률이 10.4%로 낮아 고온 적응력이 뛰어나므로 여름철 진딧물 천적으로써 이용이 가능하다. 포식기생률은 진딧물이 작은 1~3령까지 25℃의 경우 23~15%이며, 온도가 높을수록 암컷의 비율이 높아(30℃, 69%) 고온기에 이용 시 진딧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번데기사망률은 온도가 높을수록 높아져 35℃에서는 10.2% 이다. 20℃~30℃까지의 번데기 사망률은 0~2.8%로 낮다.복숭아혹진딧물,목화진딧물목화면충좀벌은 알 - 유충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들깨진딧물을 선호하며, 무테두리진딧물에는 낮은 기생률을 보인다. 25℃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출현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14.7일이며, 알에서 머미까지의 기간은 약 7일, 머미에서 성충까지의 기간은 약 8일이다. 암컷성충은 일생동안 약 380~410개의 알을 진딧물의 몸체내에 산란하며 수명은 25℃에서 약 30일 이다. 머미의 사망률은 35℃에서도 10.4%로 낮아 고온적응력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목화면충좀벌은 주로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들깨진딧물을 선호하며 고온에도 적응력이 뛰어나 시설하우스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콜레마니진디벌과 동시 이용 시 진딧물 방제효과가 높다.진딧물 발생초기, 200평 기준으로 1,000마리를 방사하는 것이 적당하며 봄, 가을, 겨울의 경우 10일 간격으로 2~3회 방사하고, 여름의 경우 5일 간격으로 2~3회 방사한다. 진딧물의 밀도가 높을 경우 진디혹파리를 1~2회 방사하고 목화면충좀벌을 동시에 방사한다면 속효적인 진딧물 방제효과를 볼 수 있다. 목화면충좀벌은 보리두갈래진딧물과 기장테두리진딧물도 선호하여 진딧물이 발생하기 전 뱅커플랜트와 함께 사용도 가능하다.<NA>
9무당벌레Harmoniaaxyridis딱정벌레목무당벌레과<NA>(Pallas)수박,참외,고추,오이,딸기,파프리카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아시아, 유럽등 전세계적인 분포진딧물의 천적인 무당벌레류는 딱정벌레목에 속하며 우리나라에 약 90여종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성충의 크기는 5~8㎜로 암컷이 크며, 머리는 검정색, 흰색 등이 있고, 날개는 검정색, 오랜지색, 주황색, 갈색 등 다양한 바탕색을 나타내고 점이 약 2~11개까지 있다. 알의 크기는 약 1㎜정도로 노란색, 주황색 등을 띠고 장타원형 모양으로 약 10~40개씩 무더기로 식물에 붙여 세워 낳는다. 유충의 1령은 검정색이고 2령부터 복부 양쪽에 오랜지색의 무늬가 생기기 시작하여 영기가 진행될수록 무늬는 길어진다. 4령이 되면 크기가 약 10㎜로 커지며, 말령기에는 배 끝부분을 잎이나 줄기에 부착하고 1~2일정도 지난 후 탈피하여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 형태는 검붉은 바탕에 검은 점이 몸 양쪽에 나란히 몇 개가 있으며 움직이지 않고 잎에 고정되어 있다. 간혹 무당벌레는 모두 진딧물을 먹는 천적인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날개에 점이 28개인 무당벌레는 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tioctopunctata)로 천적이 아닌 가지, 감자 등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우리나라에 5종이 보고되어 있다.목화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감자수염진딧물,애못털진딧물,싸리수염진딧물무당벌레의 발육단계는 알 - 유충(1~4령)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치는 완전변태를 한다. 월동은 성충으로 하는데 따뜻하고 양지바른 건물이나 담벼락, 바위 등의 틈에서 겨울잠을 잔 후 이른 봄 4월경부터 무궁화나무, 잡초 등에 발생하는 진딧물을 포식하기 위해 이동한다. 기온이 상승하고 농경지 등에 진딧물의 발생이 시작되면 먹이를 찾아 이동을 계속한다. 분명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여름잠(夏眠)을 자기 위해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여름에는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모든 무당벌레가 다 여름잠을 자지는 않는다. 9월이 되면 다시 밀도가 증가하고, 11월경 따뜻한 날에 날아서 다시 월동처로 이동한다. 연 3세대 이상을 거치며 성충수명은 2~3개월이라고 하지만, 먹이만 충분히 공급하면 1년 이상도 생존한다. 알 기간 4일, 유충 기간 13일, 번데기 기간 4일이다.무당벌레는 약충과 성충 모두 진딧물을 포식하며, 수명이 너무 길어 생존기간 동안 포식량을 조사한 결과는 찾을 수가 없다. 다만 하루에 포식하는 양을 보면 무당벌레 1령, 3령, 성충이 목화진딧물을 각각 32.7마리, 199.7마리, 257.0마리를 포식하고, 복숭아혹진딧물을 각각 9.4마리, 53마리, 119.9마리를 포식한다. 성충이 2~3개월 이상 생존하면서 진딧물을 먹을 경우 엄청난 포식력이다. 이러한 포식력에도 무당벌레가 진딧물 천적으로 시설재배지에서 잘 이용하지 않는 것은 먹이가 없으면 외부로 이탈하여 정착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진디벌에 비하여 이동과 기주 탐색력이 낮고, 온도가 높으면 사라지는 충의 고유 특성 때문이다. 고추에서 무당벌레 이용은 주로 봄에 발생하는 진딧물을 대상으로 하는데, 진딧물이 일부지점에 너무 많이 발생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방제를 목적으로 할 경우 이용한다. 진딧물의 발생이 넓은 면적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는 무당벌레가 먹이를 찾아 가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방제 효과가 떨어진다. 이럴 경우 이동력이 좋은 진디벌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무당벌레의 방사는 가능한 성충보다는 유충으로 방사해야 시설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표 1은 시설고추에서 무당벌레와 콜레마니진디벌을 복합적으로 방사한 시기와 방사량이며, 그림 1은 무당벌레와 콜레마니진디벌 방사에 의한 진딧물 방제효과이다.2010년 진딧물 밀도는 4월하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5월 6일 잎 당 0.3마리까지 증가하였으나, 6월 3일에는 모두 사라졌다. 7월부터 조금씩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진디벌의 꾸준한 발생으로 큰 밀도증가는 없었다. 진딧물 머미의 밀도는 5월 12일 잎 당 0.05마리로 증가함에 따라 진딧물의 밀도는 급격히 낮아졌다. 무당벌레의 방사량이 적은 것은 진딧물이 많이 발생한 지점에만 방사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무당벌레와 진디벌을 동시에 방사한 경우 무당벌레가 기생된 진딧물 머미를 포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가능한 두 종을 같이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일부 지점에 대량의 진딧물이 발생하여 빠른 기간 내에 방제하는 데에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글명속명종명목명과명명명년도명명자이용작물이용작물-기타국내분포국외분포특징대상해충생태정보이용방법시험결과
21진디면충좀벌Aphelinusasychis벌목면충좀벌과<NA><NA>고추,파프리카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유럽, 북미, 아시아지역진디면충좀벌은 2007년 대한민국에 처음 기록된 종이며 면충좀벌과에 속하는 크기가 작은 기생성 천적이다. 콜레마니진디벌로 방제하지 못하는 감자수염진딧물과 싸리수염진딧물 방제에 이용할 수 있다.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에도 기생하지만 콜레마니진디벌에 비해 기생력이 떨어진다.성충은 크기가 약 3mm이고 상대적으로 짧은 다리와 더듬이를 가지고 있다. 암컷은 검은 가슴과 노란 배를 가지고 있으며 수컷은 암컷보다 더 작고 짙은 색의 배를 가지고 있으며 더듬이도 짧다. 대부분 진딧물 1마리에 1개의 알을 낳으며, 복수의 알을 낳더라도 우화하는 것은 1개체뿐이다. 진딧물 다발생 시에는 사용을 피하고 진딧물이 소량 발생했을 때 발생지점을 중심으로 예방적 차원에서 방사해야 방제효과를 볼 수 있다.복숭아혹진딧물,싸리수염진딧물,목화진딧물,감자수염진딧물진디면충좀벌은 진딧물의 몸속에서 알, 유충, 번데기의 과정을 거쳐 성충으로 우화한다. 암컷은 약 21일간 생존하면서 하루에 평균 약 15개, 죽을 때까지 총 343개의 알을 낳는다. 수컷은 우화 즉시 암컷과 교미하며 수명은 약 8일로 암컷보다 짧다. 암컷은 우화 후 4∼7일 사이에 가장 많은 알을 낳으며 이후 점차적으로 산란수가 줄어든다. 또한 수명유지 및 알 생산을 위해서 생존기간동안 계속적으로 진딧물의 체액을 빨아먹는다(기주섭식). 하루 평균 약 3.3마리, 생존기간동안 총 74마리의 진딧물을 기주섭식으로 치사시킨다. 알-머미 기간은 25℃에서 6일, 머미-성충우화 기간은 약 7.6일, 알-성충우화기간은 약 13.5일이 소요되며 암컷의 비율은 약 50%이다. 이 기생봉은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수염진딧물류에도 기생하는 천적이다. 30℃에서 진디면충좀벌의 치사율은 약 11%, 고치벌과의 진디벌류(Diaeretiella rapae, Aphidius matricariae)의 치사율은 약 92∼100%여서 진디벌류에 비해 비교적 고온에서도 활동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진디면충좀벌은 복숭아혹진딧물, 목화진딧물, 감자수염진딧물, 싸리수염진딧물에 기생하거나 기주섭식하여 진딧물을 치사시킨다. 콜레마니진디벌에 비해 기생력이 낮으므로 콜레마니진디벌이 기생하지 못하는 감자수염진딧물과 싸리수염진딧물의 소발생 시 예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기생성 천적은 국내 천적회사에서 상품화되어 판매되고 있다. 제품을 받으면 직사광선이 없을 때 방사하는 것이 좋으며, 보관할 경우 약 10℃의 저온에서 보관하고 48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콜레마니진디벌에 비해서는 비교적 고온에서 진딧물에 기생하지만, 30℃이상이 되면 천적의 기생력이 떨어질 수 있다. 진딧물이 다발생한 경우에는 방제효과를 보기 어려우므로 콜레마니진디벌, 어비진디벌, 진디혹파리 등의 천적과 함께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아직까지는 이 기생봉에 기생하는 중기생자는 국내에서 발견되지 않았다.<NA>
22진디벌Aphidiuservi벌목고치벌과<NA>Haliday상추,파프리카,고추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열대 동남아시아와 북극지방을 제외한 유라시아 대륙(구북구)진디벌류는 벌목 고치벌과에 속하는 기생성 천적으로 수십 종이 있으며 한국곤충명집에 기록된 진디벌은 Aphidius ervi이다. 진디벌하면 여러종의 진디벌들을 통칭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어 천적산업분야에서는 어비진디벌로 부른다. 어비진디벌의 몸 크기는 4~5㎜로 콜레마니진디벌보다 훨씬 크다. 몸색은 검은색이고, 날개는 투명하고 다리는 갈색을 띤다.싸리수염진딧물,감자수염진딧물어비진디벌은 콜레마니진디벌과 마찬가지로 알 - 유충(1~4령)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치며, 알부터 번데기까지는 진딧물의 몸속에서 지낸다. 어비진디벌의 발육기간은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14℃에서 26일, 20℃에서 14일, 23.6℃에서 12일이 걸린다. 성충수명은 20℃에서 약 13일정도로 콜레마니진디벌보다 오래 산다. 성충으로 우화 후 3일경부터 하는데, 하루에 약 50여개씩 총 350여개를 낳는다.어비진디벌은 싸리수염진딧물, 감자수염진딧물, 양딸기수염진딧물, 아카시아진딧물, 보리수염진딧물 등에 기생한다. 콜레마니진디벌은 몸이 작아수염진딧물류와 같이 체장이 크고 다리도 긴 진딧물은 기생벌이 공격하면 방어행동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기생하기가 쉽지 않다. 고추에서 어비진디벌의 사용은 싸리수염진딧물 등의 방제에 사용되는데, 고추포장에 진딧물이 발생하면 먼저 어떤 종류의 진딧물인지 파악해야 한다. 주로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이 대부분 발생하지만 만약 싸리수염진딧물이 발생하면 발생지점에 어비진디벌을 방사한다. 어비진디벌은 10℃의 낮은 온도에서도 활동을 잘하지만, 수염진딧물류에 대한 기생률이 약 50~60%로 크게 높지 않은 것이 약점이다.<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농업연구사 김정환><NA>
23진디혹파리Aphidoletesaphidimyza파리목혹파리과<NA><NA>파프리카,오이,딸기,수박,참외,고추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유럽, 아시아, 북미, 아프리카진디혹파리는 파리목 혹파리과에 속하는 진딧물 천적으로 몸길이가 2.5㎜이며, 몸색은 복부는 붉은색이고 나머지는 회갈색을 띤다. 암컷의 더듬이는 굵고 짧으며 표면에 밀생한 털도 짧다. 숫컷은 더듬이가 길고 굽어있으며 표면에 밀생한 털은 길다. 알은 장타원형으로 길이가 0.3㎜이고 밝은 오랜지색으로 광택이 있다. 유충은 3령까지 있고 몸길이는 어린유충은 0.3㎜부터 종령유충은 2.5㎜이며, 몸마디는 13절로 되어있다. 몸색은 먹이의 종류에 따라 적색, 황색, 회색 등의 빛깔을 띤다. 번데기는 몸색이 암갈색으로 몸길이는 1.7㎜정도이며 종령 유충기에 땅에 떨어져 흙과 함께 약 2㎜정도의 갈색 고치를 짓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목화진딧물,감자수염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싸리수염진딧물진디혹파리는 알 - 유충(1~3령)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성충은 밤에 활동하며 낮에는 어두운 곳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가끔 거미줄 같은 모습을 하며 100~5,000마리가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수컷은 여러 마리의 암컷과 어두운 밤에 교미하며, 암컷은 밤에 산란하는데 진딧물의 감로를 섭취하면 수명과 산란수가 증가한다. 산란부위는 아래 잎 쪽 부위를 선호한다. 산란수는 진딧물의 집합체(colony) 크기에 따라 다르며 진딧물의 총 마리수가 같아도 진딧물이 콜로니를 이루고 있으면 흩어져 있을 때보다 5배이상 산란한다. 유충은 진딧물이 배설한 감로에 의해 진딧물을 찾아가며, 1령충은 6~7㎜를 이동하는데 곧바로 먹이를 찾지 못하면 사망한다. 혹파리 유충은 진딧물을 발견하면 큰 턱을 이용하여 표피 또는 다리의 관절부위를 찔러 독소를 주입하고 진딧물의 혈림프를 빨아 먹는다. 유충기간동안 복숭아혹진딧물 포식량은 25℃에서 15.5마리였으며 진딧물 밀도가 높으면 먹지 않고 죽여 두는 진딧물 수가 많다. 유충은 80%이상의 높은 습도를 좋아하지만 50%이하로 떨어지면 진딧물을 약 30%이상 더 많이 흡즙하여 생존율을 높인다. 진딧물 포식량은 진디혹파리 유충 1마리가 일생동안 10~30마리를 포식한다. 번데기가 될 노숙유충은 뛰듯이 급히 움직여 번데기가 될 장소를 탐색하는데, 토양의 표층부근에서 흙집을 만들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 진디혹파리의 월동은 흙집을 짓고 토양 내에서 휴면유충 상태로 이루어지며 월동충은 봄에 번데기가 된다. 휴면은 단일과 저온에 의해 유기되며 보통 17℃에서 12~14시간의 광조건에서 휴면하므로 동절기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진디혹파리 각 태별 기간은 25℃에서 알 2.4일, 유충 5.3일, 번데기 11.1일, 성충 8.9일(♀), 6.8(♂), 산란전기 2.3일, 산란수 105.3개이다.진디혹파리는 온실에서 이용할 때 20~26℃가 가장 효과적이다. 진디혹파리는 진딧물의 콜로니가 최초로 형성되었을 때 방사해야 한다. 방사방법은 고치형태로 시판되고 있는 진디혹파리 번데기를 그늘지고 습기가 있는 작물의 밑 토양표면에 분배한다. 성충으로 방사할 경우는 밤에 방사해야하며, 진딧물이 발생한 지점위주로 방사하는 것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진디혹파리는 유충은 토양 속에서 고치를 짓기 때문에 시멘트바닥으로 된 온실에서는 방사주변에 습기가 있는 축축한 모래를 깔아둘 필요가 있다.<NA>
24참딱부리긴노린재Geocorispallidipennis노린재목긴노린재과<NA>(Costa)파프리카,고추,참외등 시설원예작물경북일본, 중국참딱부리긴노린재(Geocoris pallidipennis)는 노린재목 긴노린재과 딱부리긴노린재아과에 속하는 토착곤충으로, 현재 국내에는 참딱부리긴노린재(Geocoris pallidipennis), 애딱부리긴노린재(Geocoris proteus), 큰딱부리긴노린재(Geocoris varius), 닮은딱부리긴노린재(Geocoris lynceus), 딱부리긴노린재(Hypogeocoris itenis) 5종이 딱부리긴노린재아과에 속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포식성 천적이다. 특히 딱부리긴노린재아과의 천적들은 가루이류, 나방류, 총채벌레류, 진딧물류 등의 유충이나 알을 포식한다. 성충의 몸 길이는 3∼4 mm이고, 진딧물,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등의 작은 해충을 구기로 찔러서 체액을 빨아먹는다. 강낭콩, 명아주 등 식물의 잎 뒷면에 산란하고 약 4∼6주간의 약충기간을 거쳐 성충이 된다. 2009년 경북 성주의 참외 비닐하우스에서 대발생한 담배가루이의 밀도를 감소시킨 사례가 있지만, 이 천적의 생물학적 특성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담배가루이참딱부리긴노린재는 알 - 5단계의 약충 - 성충의 기간을 거쳐 발육한다. 큰 딱부리긴노린재의 경우 성충으로 월동한 후 5월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5월 하순부터 7월까지 약충시기를 거친 후, 7월 하순에서 8월에는 다시 성충이 되어 가지 라벤다 등 12과 19종의 식물에서 채집된 기록이 있다. 사육실에서 사육용기에 줄알락명나방 알과 토마토 또는 참외의 건조잎, 탈지면, 수분을 공급한 탈지면을 넣고 25℃, 습도 70∼80%를 유지하면서 사육할 수 있다(25∼35일 소요). 실내에서 사육했을 때 25℃에서 알기간 약 13일(부화율 85%), 1령 약충 6일, 2령 약충 5일, 3령 약충 5일, 4령 약충 6일, 5령 약충기간은 8일정도 소요된다. 37.5℃까지 생존했으며, 40℃에서는 1∼2령까지는 발육하였으나 3령부터는 발육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40℃에서 참딱부리긴노린재 성충은 산란을 하였고, 담배가루이 알, 유충, 번데기를 포식하였다. 성충이 된 후 62일 정도 생존하며, 산란 전 기간은 약 7.6일, 산란기간은 38일로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약 43일이 소요된다. 성충은 죽을 때 약 총 80개의 알을 산란한다.담배가루이는 살충제에 의한 저항성 발달이 빠르고 방제가 어려운 해충이므로, 천적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가 필요하다. 담배가루이의 대표적인 천적인 황온좀벌, 지중해이리응애 등은 35℃이상의 고온에서는 잘 활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름철 비닐하우스 조건에서 사용이 어렵다. 참딱부리긴노린재 약충은 37.5℃까지 발육이 가능하고, 성충은 40℃에서 발육과 산란이 가능하다. 우리나라 온실들은 대부분이 7월∼9월경에 35℃ 이상의 고온을 나타내고 있지만,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거의 모든 천적은 35℃이상에서 정상적인 활동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천적이용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하절기 높은 온도조건에서도 적응이 가능한 참딱부리긴노린재의 실용화를 평가가 필요하며, 향후 해충별 방제 능력과 작물별 정착가능 여부에 대한 추가적인 포장평가가 필요할 것이다.참딱부리긴노린재는 약충 시기에 담배가루이 알과 유충을 선호하며, 몸의 크기가 큰 성충시기에는 담배가루이 번데기를 선호한다. 발육이 가능한 최소한의 온도는 알기간에 14.5℃, 알-약충기간에 14.8℃이다.
25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persimilis응애이리응애과<NA><NA>파프리카,고추,딸기,장미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지중해지방, 칠레 등 전세계적으로 분포칠레이리응애의 성충은 점박이응애 보다 다리가 길고 몸체도 크며 진한 적색을 띤다. 등에 긴 털이 드물게 나 있고, 온도가 높으면 매우 활동적으로 움직인다. 알은 산란 직후 투명한 핑크색이나 점차 어두운 색으로 변하며, 점박이응애 알보다 2배 정도 크고 약간 타원형이다. 유충은 3쌍의 다리가 있고, 체색은 투명하고 약간의 적색 무늬가 있다. 전약충은 다리가 4쌍이 되고, 체색은 연한 적색을 띄며,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후약충은 먹이 사냥을 위해 빠르게 움직이고, 체색은 적색에 가까우며, 크기는 점박이응애 성충과 비슷하다.차먼지응애,점박이응애칠레이리응애의 생활사는 알 - 유충 - 전약충 - 후약충 - 성충의 단계를 거친다. 발육기간은 25℃에서 알 2.3일, 유충 0.7일, 전약충 1.1일, 후약충 1.3일로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5.4일이 걸린다. 산란 전 기간은 1.5일, 산란기간은 21.6일, 산란 후 기간은 13.1일이고, 성충의 생존일수는 36.4일이다. 산란수는 하루에 3.7개이고, 일생동안 79.5개를 산란한다. 한세대 기간이 20℃에서 점박이응애는 9일인데 비해 칠레이리응애는 7일 정도로 짧아 증식속도가 매우 빠르다.칠레이리응애의 성충은 모든 태의 잎응애를 포식하지만,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먹이를 먹지 못하고 약충기가 되어야 먹기 시작 한다. 칠레이리응애 성충의 점박이응애 포식량은 25℃에서 가장 많은 포식량을 보이는데, 30℃이상에서는 먹는 양이 감소하고 35℃에서는 먹지 못한다. 칠레이리응애가 점박이응애를 하루 포식하는 수는 25℃에서 알 30.5개, 약충 8.3마리, 성충 2.8마리를 먹는다. 점박이응애 30마리에 칠레이리응애 암컷이 2마리정도 있어도 10일 후에 점박이응애와 칠레이리응애가 모두 사라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칠레이리응애는 지중해이리응애와 달리 꽃가루 등을 먹고 생존하지 못하기 때문에 먹이가 없으면 동족끼리 서로 잡아먹어 일부가 생존을 유지하거나 굶어서 죽게 된다. 최소 생존 조건은 잎응애를 하루에 3~4마리 정도 먹을 수 있어야 하며, 먹이가 없을 경우 처음 4일 정도 까지는 생존이 가능하나, 그 후 죽기 시작하여 12일이면 모두 죽는다.칠레이리응애가 효과를 발휘하는 적합한 환경은 20~25℃의 온도와 70% 이상의 습도조건이 가장 좋다. 온도 35℃이상에서는 생존하지 못하고, 습도 40% 이하에서는 알이 거의 부화되지 않아 증식이 어렵다. 실제 알 부화율을 보면 27℃에서 습도 80%에서는 부화율이 90% 이상이나, 21℃에서는 습도 40%에서는 8% 정도 밖에 부화되지 않는다. 칠레이리응애는 먹이가 없으면 동족간 포식(cannibalism)으로 모두 사라진다. 시설고추에서 칠레이리응애 이용은 점박이응애 또는 차응애 등의 발생이 일부 지점 몇 군데에 국한하고 발생량도 많지 않을 경우, 가루이 천적인 지중해이리응애를 사전에 방사하여 작물에 정착시켰다면 칠레이리응애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꽃가루 등을 먹고 생존이 가능한 지중해이리응애는 고추 잎에서 돌아다니며 잎응애류의 알, 유충 등을 포식하기 때문에 소량 발생한 잎응애류는 증식하지 못하고 사라진다. 그러나 잎응애류의 발생량이 많고 발생범위도 넓을 경우, 칠레이리응애를 잎응애류의 발생이 많은 지점 위주로 집중적으로 방사하는 것이 효과가 높다. 칠레이리응애의 방사량은 잎응애류의 발생시기 또는 발생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온도가 높은 시기에 발생하면 잎응애류의 증식이 빨라지기 때문에 천적의 방사량도 많아진다. 잎응애 발생이 일부 지점에만 발생하면 ㎡당 약 3마리(1병/660㎡)를 2주 간격으로 2~3회 발생지점 위주로 방사한다. 잎응애류가 피해가 날 정도는 아니지만 포장에 많이 퍼져 있다면 ㎡당 약 6~9마리(2~3병/660㎡)를 1주 간격으로 2~3회 잎응애류 발생량이 많은 지점 위주로 방사한다. 천적을 방사한 후에는 수시로 관찰하여 해충과 천적의 밀도를 조사해야 한다. 만약 잎응애가 증가하지 않거나 칠레이리응애가 잎응애 30마리당 2마리 정도 보이면 추가방사를 하지 말고, 약 1주일 간격으로 해충과 천적의 발생상황을 살펴야 한다. 만약 잎응애 밀도는 증가되는데 칠레이리응애는 증가하지 않는다면 즉시 칠레이응애의 추가 방사가 필요하다<NA>
26칠성풀잠자리붙이Chrysopapallens풀잠자리목풀잠자리과<NA>Rambur파프리카,참외,딸기,고추,수박,오이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유럽풀잠자리류는 국내에 어리줄풀잠자리(Chrysoperla carnea) 등 약 10여종이 있다. 칠성풀잠자리붙이 성충의 몸 크기는 12~20㎜정도이며, 몸색은 초록색을 띤다. 알은 백색의 타원형으로 크기가 약 0.9㎜로 난병(stalk)이라고 하는 7~8㎜되는 실 같이 긴 끝에 매달아 식물체에 붙여 놓는다. 주로 20~50개씩 무더기로 낳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낱개로도 낳기도 한다. 유충의 크기는 3령기에 8~9㎜정도이고, 어두운 회갈색 또는 암홍색을 띠며, 몸에 많은 돌기마다 털이 나 있다. 3령유충 말기에 실을 뽑아 흰색의 둥근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된다.감자수염진딧물,목화진딧물,싸리수염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칠성풀잠자리붙이는 알 - 유충(1~3령)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성충의 수명은 27℃에서 77.7일이며, 산란수는 1,136개이다. 알 기간은 2.6일, 유충 기간은 9.1일, 번데기 기간은 13.4일이며, 알부터 성충이 되기까지의 기간은 22.5일이 걸린다. 야외에서 월동은 지름 4㎜정도의 백색 고치를 낙엽 또는 마른 잎의 말린 부분에 짓고 그 속에서 전용(pharate pupa)상태로 겨울을 지낸다. 봄이 되면 번데기가 되어 성충으로 우화한다.칠성풀잠자리붙이는 성충과 유충기에 모두 진딧물을 포식하는데, 3령 유충기에 목화진딧물 약충과 성충의 포식량은 27℃에서 각각 1,341.4마리와 541.0마리를 먹는다. 그러나 칠성풀잠자리붙이 성충은 불빛에 잘 끌리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가장 많이 유인되는 시간은 밤 10시~11시 사이이다. 포장 주변에 가로등 같은 불빛이 있으면 정착하지 못하고 외부로 이탈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 이용을 고려해야 한다. 고추에서 진딧물 방제 천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 이용이 가장 우선이며, 풀잠자리, 무당벌레, 혹파리 등은 콜레마니진디벌의 이용에 불리한 황경이나, 수염진딧물류 발생 또는 진디벌을 공격하는 중복기생벌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한다.<NA>
27콜레마니진디벌Aphidiuscolemani벌목고치벌과<NA><NA>파프리카,오이,딸기,고추,참외,수박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인도, 네덜란드 등 유럽지역, 일본성충의 몸길이는 약 3∼4㎜ 정도로 약간 갸름하며 몸색은 검정, 갈색계통이 많다. 날개의 시맥이 뚜렷하지 않으며 더듬이가 길고, 배 1절마디에 4개의 빗살주름이 있다. 성충을 제외한 모든 발육태는 진딧물의 몸속에서 보내는데, 1령은 몸마디가 뚜렷하며 주둥이 부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4령이 되면 완전히 갖추어진다. 4령 말기에는 진딧물의 몸 속 내용물은 다 없어지고 껍질만 남게 되는데 이것을 ‘머미’(mummy)라고 한다. 성충이 되면 진딧물의 표피를 둥글게 뚫고 밖으로 나오는데, 수컷이 먼저 나오고 암컷이 나오자마자 교미가 이루어진다. 교미한 암컷은 진딧물을 찾아다니며 산란을 하며, 배마디를 앞쪽으로 향하여 밑으로 구부려 진딧물 몸체에 산란관을 삽입한다. 산란시간은 보통 1초 내외로 극히 짧다.목화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콜레마니진디벌은 알-유충(1∼4령)-번데기-성충의 과정을 거친다. 암컷은 진딧물의 성충과 약충에 알을 낳으며, 좀벌류와는 달리 진딧물을 흡즙하지 않는다. 진딧물 체내에 산란된 알은 부화하여 3령 유충까지는 진딧물 체내의 혈림프를 먹고 자라며 4령기에는 체내의 모든 조직을 먹음으로 진딧물은 껍데기만 남게 된다. 진디벌에 기생된 진딧물은 26℃에서 6.5일이면 잎에 고정되고 진딧물은 부풀어 올라 머미가 된다. 25℃에서 알부터 성충이 되기까지 10.0일, 성충 수명은 4.4일. 산란수는 388개이다. 콜레마니진디벌은 암컷이 수컷과 교미하면 대부분 암컷을 산란하고, 교미하지 못한 암컷은 수컷을 산란한다. 간혹 교미한 암컷도 수컷을 낳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산란기 끝무렵으로 저장낭의 정자를 모두 소진한 경우이다. 성비는 암컷이 60∼70%이지만 기주의 크기, 식물, 개체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산란율은 25℃에서 우화 1일째 43.3%, 2일째 34.1%, 3일째 14.9%, 4일째 7.7%로 우화 후 3일 이내에 90%이상 산란한다. 우화율도 1일차에 기생한 기주에서 가장 높다. 콜레마니진디벌은 대부분 한 마리의 진딧물에 한 개의 알만 산란한다. 간혹 2마리 이상의 진디벌 유충이 한 마리의 기주 체내에서 발견되기도 하지만, 그 숫자는 극히 적다. 진디벌은 기주식물의 색과 냄새를 감지하여 기주식물을 찾아가고 근처에서는 진딧물에서 발산하는 냄새를 감지하여 진딧물을 찾아낸다.진딧물에 기생하여 진딧물을 치사시키는 기생성 천적으로서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콜레마니진디벌의 이용을 위해서는 진딧물의 발생지점을 빨리 예찰하고, 발생된 진딧물의 종류를 파악하여 그에 적합한 천적을 투입해야 한다. 그러나 진딧물의 첫 발생 지점을 발견하기가 쉽지가 않다. 그렇다고 수명이 짧은 콜레마니진디벌을 지속적으로 방사하기에는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어려운 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진디벌 유지식물(banker plant)을 이용하는 것이다. 진디벌 유지식물은 보리에 기장테두리진딧물 또는 보리두갈래진딧물을 일정량 증식시키고, 거기에 콜레마니진디벌을 접종하여 콜레마니진디벌이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포장에 투입한 진디벌 유지식물에서 발생되는 콜레마니진디벌은 약 50m 이상 이동하며 작물에 발생되는 진딧물을 기생하게 된다.진디벌 유지식물 투입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작물 정식 약 1~2주 전에 보리를 660㎡당 2~3군데 땅을 파고 보리를 파종하여 성장시킨 후 기장테두리진딧물과 진디벌을 접종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하나는 시판되는 진디벌 뱅커플랜트를 구입하여 땅에 이식하는 방법이다. 대체로 전자의 경우가 물관리가 편하고 보리 이식에 따른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 튼튼하게 자란다. 기장테두리진딧물과 콜레마니진디벌이 함께 공존하는 천적 유지식물을 이용하는 이와 같은 방법은 오이에서 목화진딧물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보고된 바 있다.고추에 진딧물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콜레마니진디벌을 발생지점 위주로 소량씩 여러번 방사하는 것보다 다량의 천적을 적은 횟수로 방사하는 것이 효과가 높다. 진딧물은 처음부터 온실 전체에 골고루 발생되지 않고 일부지점에 발생되어 증식이 이루어진 후 포장 전체로 퍼지게 된다. 따라서 발견된 지점에 천적을 집중적으로 방사하여 초기에 진압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콜레마니진디벌의 방사시기와 방사량은 4~5월에 진딧물이 보이면 ㎡당 1∼2마리를 진딧물 발생지점 위주로 1~3회 방사하는데, 진딧물의 발생량에 따라시설 고추에서 콜레마니진디벌을 방사한 시기와 방사량이며, 그림 1은 콜레마니진디벌 방사에 의한 진딧물 방제효과이다. 시험포장에 발생한 진딧물의 종류는 복숭아혹진딧물과 목화진딧물이었으며, 발생시기는 4월 16일에 잎 당 0.13마리가 최초 발견되었고, 4월 29일 잎 당 0.22마리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진딧물이 기생된 머미(콜레마니진디벌 유충)가 5월 6일 잎 당 0.3마리까지 증가함에 따라 진딧물은 5월 14일에는 완전히 방제 되었다. 진딧물은 작기 후반 9월과 10월에 일부 적은 밀도가 발생은 하였으나 문제되지 않았다. 반촉성재배 시설고추에서 진딧물의 발생은 대체로 봄(4~6월)에 발생하는 경우가 피해가 심하고, 여름에는 고온으로 인해 충의 크기도 작고 증식도 느리다. 가을이 되면 여름동안 번식이 어려웠던 진딧물들이 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고추나무의 키가 크고 잎이 무성하여 진딧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는 한 그 피해는 미미하기 때문에 천적을 투입하지 않아도 된다.
28호랑풀잠자리Micromusangulatus풀잠자리목뱀잠자리붙이과<NA><NA>딸기,파프리카,고추,오이,참외,수박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유럽호랑풀잠자리 성충의 크기는 6㎜내외이고 더듬이는 길며 몸색은 연한 갈색을 띤다. 날개는 연한 갈색바탕에 시맥을 따라 검정색과 갈색이 혼합되어 있어 육안으로 보기에는 알록달록한 호피무늬 모양을 하고 있다. 알은 크기가 0.8㎜내외의 타원형으로 유백색을 띠며, 녹색풀잠자리와 달리 알 자루가 없이 작물의 잎 위에 붙여 낳는다. 유충의 크기는 영기에 따라 1~6㎜정도이며, 몸색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띠고 가슴의 등쪽 부분은 다른 부위에 비해 검게 보이며 복부아래쪽은 진한 갈색을 띤다. 번데기는 크기가 4㎜내외로 내부가 보이는 엉성한 고치를 짓고 그 속에서 번데기 기간을 보낸다.복숭아혹진딧물,싸리수염진딧물,감자수염진딧물,목화진딧물호랑풀잠자리는 알 - 유충(1~3령)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치는 완전변태를 하며, 성충과 유충 모두가 진딧물을 포식한다. 호랑풀잠자리의 유사종인 Micromus australis의 산란수는 818.9개이며, 알 기간 3.3일, 유충 기간 5.1일, 번데기 기간 8.2일, 성충 기간 41.8일이다. 사탕수수진딧물을 포식하는 수는 유충기간 동안 213.2마리, 성충기간 동안 585.2마리를 포식하여 일생동안 798.4마리의 진딧물을 포식한다. 월동은 죽은 잎이나 몸을 보호할 수 있는 장소에서 고치를 짓고 말령유충 상태로 겨울을 지내고 봄이 되면 번데기가 되어 성충으로 우화한다.호랑풀잠자리는 국내 토착 종으로 성충은 구기가 있어 진딧물을 씹어서 먹지만 유충은 구침을 꽂아 체액을 빨아 먹는다. 최근에 개발한 천적으로 국내에서 농가에 적용한 사례가 많지 않아 정확한 효과에 대하여 말하기는 아직 이르다. 하지만 실험실에서 진딧물을 포식하는 특성을 관찰한 결과 칠성풀잠자리 등 녹색계통의 풀잠자리 보다 정착 증식하는 능력이 뛰어났으며, 포식력도 결코 뒤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콜레마니진디벌로 방제가 어려운 싸리수염진딧물, 완두수염진딧물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구체적인 생물학적 특성과 농가실증을 통하여 진딧물 방제용 천적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할 것이다.<NA>
29호리꽃등에Episyrphusbalteatus파리목꽃등에과<NA>(de Geer)파프리카,오이,참외,고추,가지등 시설원예작물전국일본, 중국, 타이완 등 아시아, 유럽, 북아프리카호리꽃등에는 형태가 꿀벌과 유사하지만 파리목(Diptera)에 속하는 곤충이며, 성충은 꽃에서 꽃으로 날쌔게 날아다니므로 떠돌이파리(hover fly)라고도 부른다. 유충은 진딧물을 포식하는 천적이이며 네덜란드에서는 진딧물의 생물적 방제용 천적으로 상품화되어 있다. 성충은 길이가 약 10-20mm 이고, 머리와 가슴은 검고, 복부는 노랑과 검은 줄무늬가 있으며, 쉴 때는 날개를 펴고 있다. 알의 길이는 약 1mm로 백색 타원형의 소세지 모양이며, 진딧물이 군집해있는 곳에 알을 낳는다. 유충은 10-20mm 이고 진딧물에 구기를 찔러 체액을 빨아먹는다. 번데기는 서양배 모양의 갈색-오렌지색을 띠며 짙은 색의 밴드가 있으며, 잎에서 관찰할 수 있다.목화진딧물,싸리수염진딧물,감자수염진딧물,복숭아혹진딧물호리꽃등에는 알 - 3단계의 유충 - 번데기 - 성충의 과정을 거쳐 완전변태하는 곤충이다. 야외의 꽃이 있는 곳에서 5∼10월에 흔히 볼 수 있으며, 호리꽃등에 성충은 꽃에서 꿀과 꽃가루를 먹이로 생활한다. 암컷은 흰색의 알을 진딧물 밀도가 높은 곳에 낳으며, 알은 2∼3일 후 부화하여 유충이 된다. 유충은 다리가 없는 구더기 모양이며, 길이는 발육단계에 따라 10∼20mm 정도이고, 1∼3령의 발육단계를 거친다. 유충은 진딧물의 어린 약충과 성충을 모두 포식하며, 생육기간 동안 약 300∼500마리의 진딧물을 잡아먹는다. 유충은 20℃에서 약 2주 생존한다. 잎에서 진딧물을 먹고 자란 유충은 잎 위에서 번데기가 된 후 성충으로 우화한다.호리꽃등에 유충은 여러 진딧물을 포식하는 천적이며 예방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콜레마니진디벌, 진디면충좀벌, 무당벌레 등의 천적에 비해 이동성이 낮으므로 주로 진딧물 밀도가 높은 곳에서 치료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충은 15℃이하에서 산란하지 못하며, 번데기에서 성충으로 우화하는데 높은 상대습도가 필요하다. 또한 낮동안에는 작물에서 잘 활동하지 않으며 주로 밤에 진딧물을 포식한다. 고추, 파프리카와 같이 잎에 털이 없어 유충의 이동이 쉬운 작물에서 효과적이다. 성충은 알을 생산하기 위해서 꿀과 화분을 먹는다. 국내에서는 아직 진딧물 방제용으로 상품화되어 있지 않다.<NA>
30황온좀벌Eretmoceruseremicus벌목면충좀벌과<NA><NA>파프리카,오이,수박,토마토,참외,고추모든 시설원예작물전국미국 남서부황온좀벌의 성충은 약 1㎜ 정도로 작고, 몸은 옅은 황색이고, 눈은 녹색을 띤다. 몸집에 비해 더듬이가 긴편이다. 좀벌에 의해 기생된 머미의 색깔은 온실가루이좀벌은 검정색인데 반해 황온좀벌은 옅은 황색을 띠고 있어 포장에서 기생여부를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담배가루이,온실가루이황온좀벌의 생활사는 알 - 유충(1~3령) - 번데기 - 성충의 단계를 거친다. 황온좀벌은 미국 남서부가 원산으로 온실가루이좀벌에 비해 높은 온도(25∼29℃)에서 활동성이 좋다. 황온좀벌 성충이 산란을 선호하는 태는 담배가루이 2~3령 유충으로 온실가루이좀벌에 비하여 어린 충을 좋아한다. 산란 장소는 가루이 약충의 몸에 직접 하지 않고 약충의 밑에 산란하며, 산란한 알은 약 4일 후에 부화하고 3~4일이 지나면 담배가루이 약충의 몸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내용물을 먹으며 성장한다. 황온좀벌 유충은 담배가루이 약충의 몸속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황온좀벌의 유충을 확인할 수가 없다. 산란 후 약 10일이 지나면 담배가루이 약충의 색깔이 황색으로 변하는데 이때 좀벌은 유충 상태로 머미(mummy)라 부른다. 산란부터 약 20일(25℃)이 지나면 성충으로 우화하며, 성충은 교미를 하고 산란하면 약 60% 정도가 암컷이 되지만 교미를 하지 않고 산란하면 수컷이 된다. 산란을 위한 영양섭취로 가루이 알과 어린 약충의 체액을 하루에 약 30마리 정도를 섭취한다. 산란수는 하루에 25℃에서 약 14개이고, 일생동안 약 50~200여 개를 산란한다. 성충의 수명은 약 5일로 매우 짧다.황온좀벌의 방사시기는 황색 끈끈이트랩에 담배가루이나 온실가루이가 발견되면 즉시 방사해야 한다. 방사방법은 황온좀벌의 행동반경이 넓지 않기 때문에 가루이가 많이 발견된 지점에 집중적으로 방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방사위치는 작물의 중하위 부근의 그늘진 곳에 머미 제품을 걸어주면 된다. 좀벌 방사 후 기생률이 70% 이상 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방사해야 하는데, 황온좀벌 방사 후 약 3주가 지나야 기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온실가루이좀벌과 달리 황온좀벌에 기생된 담배가루이 머미는 검은색으로 변하지 않고 연한 황색을 띠기 때문에 처음에는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