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14
Number of observations164
Missing cells277
Missing cells (%)12.1%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18.1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112.8 B

Variable types

Categorical2
Text12

Dataset

Description충청남도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향토특산물 정보입니다. (분류, 지역명, 명칭, 명칭의유래, 형성배경, 경위, 자원, 분포및생산조건, 내용, 특성, 상표, 포장, 찾아가는길)를 제공합니다.
Author충청남도
URLhttps://www.data.go.kr/data/15110411/fileData.do

Alerts

분류 is highly imbalanced (60.0%)Imbalance
생산자 has 13 (7.9%) missing valuesMissing
명칭의유래 has 3 (1.8%) missing valuesMissing
형성배경 has 2 (1.2%) missing valuesMissing
경위 has 3 (1.8%) missing valuesMissing
자원 has 7 (4.3%) missing valuesMissing
분포및생산조건 has 12 (7.3%) missing valuesMissing
내용 has 152 (92.7%) missing valuesMissing
특성 has 12 (7.3%) missing valuesMissing
상표 has 36 (22.0%) missing valuesMissing
포장 has 37 (22.6%) missing valuesMissing
찾아가는길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3-12-12 19:11:11.836975
Analysis finished2023-12-12 19:11:16.805402
Duration4.97 seconds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분류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9
Distinct (%)5.5%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4 KiB
식생활분야
131 
민간의료분야
 
8
놀이,여가생활분야
 
7
의생활분야
 
6
주생활분야
 
5
Other values (4)
 
7

Length

Max length9
Median length5
Mean length5.1890244
Min length4

Unique

Unique2 ?
Unique (%)1.2%

Sample

1st row식생활분야
2nd row식생활분야
3rd row식생활분야
4th row기타생활분야
5th row식생활분야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식생활분야 131
79.9%
민간의료분야 8
 
4.9%
놀이,여가생활분야 7
 
4.3%
의생활분야 6
 
3.7%
주생활분야 5
 
3.0%
지역축제 3
 
1.8%
토종식물 2
 
1.2%
기타생활분야 1
 
0.6%
향토유적 1
 
0.6%

Length

2023-12-13T04:11:16.87735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4:11:16.99615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식생활분야 131
79.9%
민간의료분야 8
 
4.9%
놀이,여가생활분야 7
 
4.3%
의생활분야 6
 
3.7%
주생활분야 5
 
3.0%
지역축제 3
 
1.8%
토종식물 2
 
1.2%
기타생활분야 1
 
0.6%
향토유적 1
 
0.6%

지역명
Categorical

Distinct16
Distinct (%)9.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4 KiB
논산시
16 
태안군
14 
공주시
13 
연기군
13 
아산시
12 
Other values (11)
96 

Length

Max length3
Median length3
Mean length3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천안시
2nd row서천군
3rd row천안시
4th row서천군
5th row서천군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논산시 16
 
9.8%
태안군 14
 
8.5%
공주시 13
 
7.9%
연기군 13
 
7.9%
아산시 12
 
7.3%
부여군 12
 
7.3%
당진시 12
 
7.3%
천안시 11
 
6.7%
청양군 11
 
6.7%
서천군 9
 
5.5%
Other values (6) 41
25.0%

Length

2023-12-13T04:11:17.14345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논산시 16
 
9.8%
태안군 14
 
8.5%
공주시 13
 
7.9%
연기군 13
 
7.9%
아산시 12
 
7.3%
부여군 12
 
7.3%
당진시 12
 
7.3%
천안시 11
 
6.7%
청양군 11
 
6.7%
서천군 9
 
5.5%
Other values (6) 41
25.0%

명칭
Text

Distinct163
Distinct (%)99.4%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17.35280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41
Median length19
Mean length6.3658537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044
Distinct characters275
Distinct categories7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4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62 ?
Unique (%)98.8%

Sample

1st row거봉포도식초
2nd row까나리 액젓
3rd row광덕호도
4th row공작선(부채)
5th row냉각쌀
ValueCountFrequency (%)
태안 7
 
2.9%
메주 3
 
1.3%
당진 3
 
1.3%
까나리 2
 
0.8%
백마강 2
 
0.8%
꽃게 2
 
0.8%
어리굴젓 2
 
0.8%
쪽파 2
 
0.8%
국화 2
 
0.8%
면천 2
 
0.8%
Other values (207) 212
88.7%
2023-12-13T04:11:17.71878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80
 
7.7%
28
 
2.7%
19
 
1.8%
17
 
1.6%
16
 
1.5%
) 15
 
1.4%
15
 
1.4%
( 15
 
1.4%
15
 
1.4%
14
 
1.3%
Other values (265) 810
77.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916
87.7%
Space Separator 80
 
7.7%
Close Punctuation 15
 
1.4%
Open Punctuation 15
 
1.4%
Other Punctuation 14
 
1.3%
Decimal Number 2
 
0.2%
Uppercase Letter 2
 
0.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8
 
3.1%
19
 
2.1%
17
 
1.9%
16
 
1.7%
15
 
1.6%
15
 
1.6%
14
 
1.5%
14
 
1.5%
13
 
1.4%
12
 
1.3%
Other values (255) 753
82.2%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
50.0%
· 5
35.7%
' 2
 
14.3%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6 1
50.0%
8 1
50.0%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S 1
50.0%
J 1
5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80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5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5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915
87.6%
Common 126
 
12.1%
Latin 2
 
0.2%
Han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8
 
3.1%
19
 
2.1%
17
 
1.9%
16
 
1.7%
15
 
1.6%
15
 
1.6%
14
 
1.5%
14
 
1.5%
13
 
1.4%
12
 
1.3%
Other values (254) 752
82.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80
63.5%
) 15
 
11.9%
( 15
 
11.9%
, 7
 
5.6%
· 5
 
4.0%
' 2
 
1.6%
6 1
 
0.8%
8 1
 
0.8%
Latin
ValueCountFrequency (%)
S 1
50.0%
J 1
50.0%
Ha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915
87.6%
ASCII 123
 
11.8%
None 5
 
0.5%
CJK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80
65.0%
) 15
 
12.2%
( 15
 
12.2%
, 7
 
5.7%
' 2
 
1.6%
6 1
 
0.8%
8 1
 
0.8%
S 1
 
0.8%
J 1
 
0.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8
 
3.1%
19
 
2.1%
17
 
1.9%
16
 
1.7%
15
 
1.6%
15
 
1.6%
14
 
1.5%
14
 
1.5%
13
 
1.4%
12
 
1.3%
Other values (254) 752
82.2%
None
ValueCountFrequency (%)
· 5
100.0%
CJK
ValueCountFrequency (%)
1
100.0%

생산자
Text

MISSING 

Distinct149
Distinct (%)98.7%
Missing13
Missing (%)7.9%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18.04836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5
Median length13
Mean length6.3311258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956
Distinct characters223
Distinct categories6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47 ?
Unique (%)97.4%

Sample

1st row밀알영농조합(대표:조동업)
2nd row이한규
3rd row차돈희(동서천농협)
4th row정남섭
5th row이명원
ValueCountFrequency (%)
태안 8
 
3.5%
대표 6
 
2.6%
주민들 6
 
2.6%
작목반 6
 
2.6%
청양 3
 
1.3%
식품 3
 
1.3%
농민들 3
 
1.3%
달래 2
 
0.9%
농협 2
 
0.9%
농업기술센터 2
 
0.9%
Other values (187) 189
82.2%
2023-12-13T04:11:18.48032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80
 
8.4%
36
 
3.8%
25
 
2.6%
20
 
2.1%
18
 
1.9%
18
 
1.9%
17
 
1.8%
17
 
1.8%
17
 
1.8%
14
 
1.5%
Other values (213) 694
72.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858
89.7%
Space Separator 80
 
8.4%
Open Punctuation 6
 
0.6%
Close Punctuation 6
 
0.6%
Other Punctuation 3
 
0.3%
Decimal Number 3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6
 
4.2%
25
 
2.9%
20
 
2.3%
18
 
2.1%
18
 
2.1%
17
 
2.0%
17
 
2.0%
17
 
2.0%
14
 
1.6%
14
 
1.6%
Other values (205) 662
77.2%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4 1
33.3%
3 1
33.3%
5 1
33.3%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66.7%
, 1
33.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80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858
89.7%
Common 98
 
1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6
 
4.2%
25
 
2.9%
20
 
2.3%
18
 
2.1%
18
 
2.1%
17
 
2.0%
17
 
2.0%
17
 
2.0%
14
 
1.6%
14
 
1.6%
Other values (205) 662
77.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80
81.6%
( 6
 
6.1%
) 6
 
6.1%
: 2
 
2.0%
4 1
 
1.0%
3 1
 
1.0%
, 1
 
1.0%
5 1
 
1.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858
89.7%
ASCII 98
 
1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80
81.6%
( 6
 
6.1%
) 6
 
6.1%
: 2
 
2.0%
4 1
 
1.0%
3 1
 
1.0%
, 1
 
1.0%
5 1
 
1.0%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6
 
4.2%
25
 
2.9%
20
 
2.3%
18
 
2.1%
18
 
2.1%
17
 
2.0%
17
 
2.0%
17
 
2.0%
14
 
1.6%
14
 
1.6%
Other values (205) 662
77.2%

명칭의유래
Text

MISSING 

Distinct161
Distinct (%)100.0%
Missing3
Missing (%)1.8%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18.82752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404
Mean length391.06832
Min length2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62962
Distinct characters1045
Distinct categories14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9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61 ?
Unique (%)100.0%

Sample

1st row우리나라에 오늘날과 같은 개량종 포도가 처음 도입된 것은 1906년 경이지만, 거봉이라는 품종이 도입된 것은 1960년 말로 비교적 최근이다. 포도는 재배하기가 용이해서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되고 있지만 천안입장지역은 전체 포도재배 면적의 72% 정도를 거봉포도만 재배하는, 단일지역으로는 전국 최대의 거봉포도 주산지이다. 입장일대에서 생산되는 거봉포도는 알이 굵고 당도가 높으며 다른 곳보다 품질이 뛰어나다. 각 농가들은 품질이 뛰어난 거봉포도만을 상품으로 출하하고 남은 포도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가공식품들을 생각하게 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거봉포도식초'이다. 1990년대 초부터 거봉포도를 생산하는 작목반들이 중심이 되어 생과(生果) 형태로 출하하고 남는 포도나 혹은 상품가치나 낮은 하품의 포도를 부가가치가 더 높은 제품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실험과 시장조사를 실시해 왔다. 어느 제품이 소비자에게 가장 필요하며 꾸준히 판매될 수 있는지, 또 포도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상품이 무엇인지 등을 면밀히 조사해 본 결과를 토대로 거봉포도를 이용한 식초개발에 착수했다. 예로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건강을 유지하고 보조하는 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온 것이 식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생산된 것이 '입장거봉포도식초'이다. 현재, 이 거봉포도식초를 생산하고 있는 밀알영농조합법인은 1995년 1월에 설립되었으며 조합원수는 250명이다. 이 법인의 조합원들은 입장지역의 포도재배농가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기술수준이 높아서 알이 굵고 당도가 높은 거봉포도를 생산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으며, 자체적인 유통시설을 갖추는 등 생산은 물론 유통합리화에도 노력하고 있다. 밀알영농조합법인에서는 그동안 소규모로 이루어져 오던 포도식초를 좀더 과학적이고 상품가치가 높은 제품으로 개발함으로써 현재는 거봉포도식초의 대표적인 생산자로 자리잡게 되었다.
2nd row까나리는 까나리과에 속하는 생선으로 학명은 `AMMODYTES PERSONATUS GIRAD` 이며, 영명은 `SAND LANCE`로서 수명은 약 3년으로 전장 25cm까지 자란다. 몸의 모양은 원통형으로 길고 머리는 작으며 눈은 머리의 옆면 중앙에 있다. 주둥이는 길고 끝은 뾰족하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어서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지느러미가 없으며 피부 주름이 수평으로 나타난다. 몸의 등쪽은 짙은 황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며 몸의 옆면에 특별한 반문은 없다. 꼬리지느러미만 짙은 갈색을 띠고 다른 지느러미는 무색 투명하다. 생활습성이나 분포를 보면 가까운 바다에 살며 여름에는 모래바닥에서 여름잠을 자는 습성이 있다. 특히 산란기인 봄철에는 서해안에서 많이 잡히며, 서해 안쪽 바다에서부터 북상해가며 서서히 자라기 시작한다. 따라서 서천 앞바다에서는 예로부터 5-10cm정도의 작은 까나리가 많이 잡혀왔으며, 어민들이 삶아 말려서 반찬용이나 안주용으로 팔아 소득원이 되어왔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소득이 증가하고 먹거리가 다양해지면서 건조 까나리를 찾는 양이 줄자 어민들은 젓갈로 담가 먹기도 하고 팔기도 하게 되었다. 맛이 담백해 인기가 있게 되자 1990년대에 들어서는 대기업들과 많은 자본가가 공장화하여 대량생산에 접어들게 된 것이다.
3rd row광덕호도는 지금으로부터 약 700년전 고려 말 충렬왕 때(1290년경) 이 고장 출신인 영밀공 유청신이 원나라에 왕을 따라 사신으로 갔다가 그곳에서 맛본 호도에 매혹되어 다음 해 귀국할 때 묘목 3그루와 종자 5개를 얻어 가지고 와서 그의 고향인 천안의 봉화산(광덕)에 심은 것으로 부터 유래한다. 광덕면 일대는 호두 주산지답게 많은 호도나무가 있는데, 광덕산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광덕사의 보화루 앞에 남아 있는 6그루의 고목은 수령이 대부분 4백년이 넘은 것이고, 그중 둘레가 4m인 거목도 있다. 이 고목군은 처음 들여온 시조나무의 2대쯤 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호도나무는 국내 최고령이다. 유청신은 처음에 그 과실의 이름을 알지 못했는데, 적당한 이름을 찾다가 호지(원나라)에서 가져왔고 과실모양이 복숭아와 같다하여 호(胡)자와 도(挑)자를 따서 '호도'라고 부르게 되었다. '광덕호도'라는 명칭은 누구나 알수 있듯이 '호도'라는 명칭에 호도의 주산지인 '광덕'이라는 지명이 붙혀진 것이다.
4th row공작선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사기의 견훤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경명왕 2년(918년)에 궁예의 부하 장수가 그를 퇴위시키고 왕건을 추대해 왕위에 오르게 하자 견훤은 이 소식을 듣고 일길찬 민극을 파견해 이에 하례하고 공작선과 지리산의 죽전을 보내 경축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은 10세기에 이미 부채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며 순 임금이 현인을 구하여 문견을 넓히고자 五明扇(오명선)을 만들었던 것과 같이 국교품으로서의 부채의 면모를 또한 알 수 있게 한다. 공작선은 부채 선(扇)자가 들어 있어 글자만 보아서는 부채의 이름 같지만 실은 조상 때부터 벽걸이 장식용으로 즐겨 쓰던 기물이다.
5th row냉각쌀이란 쌀의 영양분과 맛이 그대로 유지되는 3℃-5℃의 온도로 저온저장하여 1년 내내 햅쌀 밥맛을 유지하는 고품위 쌀이다. 벼의 수분이 16%-17%인 상태의 벼를 건조 과정 없이 냉각기를 활용하여 쌀 속의 영양분과 맛이 그대로 유지되는 3℃-5℃의 온도로 저온 저장하여 가을철 햅쌀밥맛을 그대로 유지하는 보관과정을 거친 쌀이다. 언뜻 생각하기엔 쌀을 얼리는 것이 아닌가 하겠지만 중저온 건조저장기법을 활용하여 냉동기를 설비한 저온저장시설에서 저장하는 쌀이기 때문에 '냉각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177
 
1.2%
103
 
0.7%
98
 
0.7%
있는 79
 
0.5%
한다 78
 
0.5%
되었다 77
 
0.5%
70
 
0.5%
것은 40
 
0.3%
여러 40
 
0.3%
것이다 40
 
0.3%
Other values (8562) 13579
94.4%
2023-12-13T04:11:19.38841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4273
 
22.7%
1791
 
2.8%
1334
 
2.1%
1258
 
2.0%
1109
 
1.8%
. 957
 
1.5%
927
 
1.5%
877
 
1.4%
865
 
1.4%
786
 
1.2%
Other values (1035) 38785
61.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45388
72.1%
Space Separator 14273
 
22.7%
Other Punctuation 1754
 
2.8%
Decimal Number 920
 
1.5%
Lowercase Letter 172
 
0.3%
Close Punctuation 145
 
0.2%
Open Punctuation 145
 
0.2%
Uppercase Letter 76
 
0.1%
Math Symbol 33
 
0.1%
Dash Punctuation 19
 
< 0.1%
Other values (4) 37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791
 
3.9%
1334
 
2.9%
1258
 
2.8%
1109
 
2.4%
927
 
2.0%
877
 
1.9%
865
 
1.9%
786
 
1.7%
756
 
1.7%
702
 
1.5%
Other values (958) 34983
77.1%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9
11.8%
D 8
 
10.5%
S 8
 
10.5%
C 6
 
7.9%
E 5
 
6.6%
L 5
 
6.6%
R 4
 
5.3%
M 4
 
5.3%
N 3
 
3.9%
G 3
 
3.9%
Other values (12) 21
27.6%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i 22
12.8%
m 21
12.2%
e 16
9.3%
r 14
 
8.1%
o 13
 
7.6%
l 11
 
6.4%
a 10
 
5.8%
n 10
 
5.8%
c 9
 
5.2%
s 7
 
4.1%
Other values (11) 39
22.7%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194
21.1%
1 192
20.9%
9 142
15.4%
5 77
 
8.4%
2 75
 
8.2%
3 62
 
6.7%
6 49
 
5.3%
4 44
 
4.8%
7 43
 
4.7%
8 42
 
4.6%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57
54.6%
, 489
27.9%
' 213
 
12.1%
" 66
 
3.8%
· 18
 
1.0%
% 9
 
0.5%
! 2
 
0.1%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30
89.7%
14
 
9.7%
1
 
0.7%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30
89.7%
14
 
9.7%
1
 
0.7%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23
69.7%
< 5
 
15.2%
> 5
 
15.2%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1
57.9%
5
26.3%
3
 
15.8%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4273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9
100.0%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6
100.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6
100.0%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6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5271
71.9%
Common 17326
 
27.5%
Latin 248
 
0.4%
Han 117
 
0.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791
 
4.0%
1334
 
2.9%
1258
 
2.8%
1109
 
2.4%
927
 
2.0%
877
 
1.9%
865
 
1.9%
786
 
1.7%
756
 
1.7%
702
 
1.6%
Other values (863) 34866
77.0%
Han
ValueCountFrequency (%)
4
 
3.4%
3
 
2.6%
3
 
2.6%
2
 
1.7%
2
 
1.7%
2
 
1.7%
2
 
1.7%
2
 
1.7%
2
 
1.7%
2
 
1.7%
Other values (85) 93
79.5%
Latin
ValueCountFrequency (%)
i 22
 
8.9%
m 21
 
8.5%
e 16
 
6.5%
r 14
 
5.6%
o 13
 
5.2%
l 11
 
4.4%
a 10
 
4.0%
n 10
 
4.0%
c 9
 
3.6%
A 9
 
3.6%
Other values (33) 113
45.6%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4273
82.4%
. 957
 
5.5%
, 489
 
2.8%
' 213
 
1.2%
0 194
 
1.1%
1 192
 
1.1%
9 142
 
0.8%
) 130
 
0.8%
( 130
 
0.8%
5 77
 
0.4%
Other values (24) 529
 
3.1%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5271
71.9%
ASCII 17472
 
27.8%
CJK 113
 
0.2%
None 48
 
0.1%
Math Operators 23
 
< 0.1%
Punctuation 12
 
< 0.1%
Letterlike Symbols 11
 
< 0.1%
CJK Compat 8
 
< 0.1%
CJK Compat Ideographs 4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4273
81.7%
. 957
 
5.5%
, 489
 
2.8%
' 213
 
1.2%
0 194
 
1.1%
1 192
 
1.1%
9 142
 
0.8%
) 130
 
0.7%
( 130
 
0.7%
5 77
 
0.4%
Other values (56) 675
 
3.9%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791
 
4.0%
1334
 
2.9%
1258
 
2.8%
1109
 
2.4%
927
 
2.0%
877
 
1.9%
865
 
1.9%
786
 
1.7%
756
 
1.7%
702
 
1.6%
Other values (863) 34866
77.0%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23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 18
37.5%
14
29.2%
14
29.2%
1
 
2.1%
1
 
2.1%
Letterlike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11
100.0%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6
50.0%
6
5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5
62.5%
3
37.5%
CJK
ValueCountFrequency (%)
4
 
3.5%
3
 
2.7%
3
 
2.7%
2
 
1.8%
2
 
1.8%
2
 
1.8%
2
 
1.8%
2
 
1.8%
2
 
1.8%
2
 
1.8%
Other values (82) 89
78.8%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2
50.0%
1
25.0%
1
25.0%

형성배경
Text

MISSING 

Distinct162
Distinct (%)100.0%
Missing2
Missing (%)1.2%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19.80354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726
Median length181.5
Mean length140.90123
Min length20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2826
Distinct characters683
Distinct categories12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8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62 ?
Unique (%)100.0%

Sample

1st row1990년 초부터 개별농민이나 작목반을 중심으로 상품으로 출하하고 남은 거봉포도를 처리하는 방안을 연구하던 중 자체 가공을 통한 부가가치 증대를 도모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여러 가지 가공식품을 고려하였으나, 자체적인 시장조사결과를 토대로 농가들의 의견을 모은 뒤 '거봉포도식초'를 생산하게 되었다. 이 때 포도식초가공에 참여했던 농민들이 중심이 되어 1995년 밀알영농조합법인을 결성하였고, 현재는 이 영농조합법인이 직접 거봉포도식초를 생산하고 있다.
2nd row서울과 대구에서 태어나 고려대 생물학과와 이화여대 생물학과를 졸업한 박규갑씨와 이영옥 부부는 약 7년 전 서울의 대신생명의 특수영업부장으로 있던 중 부친과 장인의 별세로 평소 시골을 동경하던 참에 서울을 떠나기로 결심, 바다낚시 차 몇 번 와본 적 있는 서천으로 이사했다. 그리고 해인수산이라는 조그마한 액젓회사를 만들었다.
3rd row조선말엽 조부인 이군중 옹이 공작선 2점을 가보로 물려주면서 “이 공작선은 고려때부터 전해 내려온 귀한 부채인데 이를 팔지도 말고 가업으로 이어가라”는 유언을 남겨 이한규씨는 물론 아들 이광구씨에 이르기까지 4대를 가업으로 잇고 있다.
4th row최고의 품종만을 엄선, 일반수매 가격보다 더 비싸게 수매하여 농민소득에 보탬이 되고 영양과 맛을 그대로 유지하는 냉각저장시설을 도입해 365일 한결같이 햅쌀 밥맛을 볼 수 있는 다른 쌀과의 차별화 된 고품질 쌀의 생산에 주력하고자 함이다.
5th row1990년, 천안군 농촌지도소에서는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천안이 고향인 정남섭씨는 농촌지도소와의 상담을 통해 천안일대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참깨와 들깨를 이용한 가공사업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삼거리참기름'은 이렇게 하여 탄생하게 되었다.
ValueCountFrequency (%)
되었다 103
 
2.0%
있다 40
 
0.8%
32
 
0.6%
있는 32
 
0.6%
시작하였다 26
 
0.5%
25
 
0.5%
위해 24
 
0.5%
24
 
0.5%
시작하게 21
 
0.4%
19
 
0.4%
Other values (3506) 4795
93.3%
2023-12-13T04:11:20.42773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026
 
22.0%
474
 
2.1%
465
 
2.0%
443
 
1.9%
416
 
1.8%
387
 
1.7%
357
 
1.6%
. 320
 
1.4%
311
 
1.4%
300
 
1.3%
Other values (673) 14327
62.8%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6774
73.5%
Space Separator 5026
 
22.0%
Other Punctuation 492
 
2.2%
Decimal Number 483
 
2.1%
Uppercase Letter 18
 
0.1%
Open Punctuation 11
 
< 0.1%
Close Punctuation 11
 
< 0.1%
Math Symbol 6
 
< 0.1%
Dash Punctuation 2
 
< 0.1%
Initial Punctuation 1
 
< 0.1%
Other values (2)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74
 
2.8%
465
 
2.8%
443
 
2.6%
416
 
2.5%
387
 
2.3%
357
 
2.1%
311
 
1.9%
300
 
1.8%
269
 
1.6%
263
 
1.6%
Other values (635) 13089
78.0%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U 3
16.7%
R 3
16.7%
I 2
11.1%
M 2
11.1%
F 2
11.1%
H 1
 
5.6%
B 1
 
5.6%
A 1
 
5.6%
W 1
 
5.6%
O 1
 
5.6%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9 125
25.9%
1 102
21.1%
0 76
15.7%
6 33
 
6.8%
2 31
 
6.4%
3 28
 
5.8%
8 27
 
5.6%
5 26
 
5.4%
4 19
 
3.9%
7 16
 
3.3%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20
65.0%
, 137
27.8%
' 21
 
4.3%
" 8
 
1.6%
% 3
 
0.6%
· 2
 
0.4%
1
 
0.2%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0
90.9%
1
 
9.1%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0
90.9%
1
 
9.1%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5026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6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6768
73.5%
Common 6034
 
26.4%
Latin 18
 
0.1%
Han 6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74
 
2.8%
465
 
2.8%
443
 
2.6%
416
 
2.5%
387
 
2.3%
357
 
2.1%
311
 
1.9%
300
 
1.8%
269
 
1.6%
263
 
1.6%
Other values (630) 13083
78.0%
Common
ValueCountFrequency (%)
5026
83.3%
. 320
 
5.3%
, 137
 
2.3%
9 125
 
2.1%
1 102
 
1.7%
0 76
 
1.3%
6 33
 
0.5%
2 31
 
0.5%
3 28
 
0.5%
8 27
 
0.4%
Other values (17) 129
 
2.1%
Latin
ValueCountFrequency (%)
U 3
16.7%
R 3
16.7%
I 2
11.1%
M 2
11.1%
F 2
11.1%
H 1
 
5.6%
B 1
 
5.6%
A 1
 
5.6%
W 1
 
5.6%
O 1
 
5.6%
Han
ValueCountFrequency (%)
2
33.3%
1
16.7%
1
16.7%
1
16.7%
1
16.7%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6768
73.5%
ASCII 6038
 
26.5%
Math Operators 6
 
< 0.1%
None 5
 
< 0.1%
CJK 5
 
< 0.1%
Punctuation 2
 
< 0.1%
CJK Compat Ideographs 1
 
< 0.1%
CJK Compat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5026
83.2%
. 320
 
5.3%
, 137
 
2.3%
9 125
 
2.1%
1 102
 
1.7%
0 76
 
1.3%
6 33
 
0.5%
2 31
 
0.5%
3 28
 
0.5%
8 27
 
0.4%
Other values (20) 133
 
2.2%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74
 
2.8%
465
 
2.8%
443
 
2.6%
416
 
2.5%
387
 
2.3%
357
 
2.1%
311
 
1.9%
300
 
1.8%
269
 
1.6%
263
 
1.6%
Other values (630) 13083
78.0%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6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 2
40.0%
1
20.0%
1
20.0%
1
20.0%
CJK
ValueCountFrequency (%)
2
40.0%
1
20.0%
1
20.0%
1
20.0%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
100.0%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1
100.0%

경위
Text

MISSING 

Distinct161
Distinct (%)100.0%
Missing3
Missing (%)1.8%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20.86345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877
Mean length777.03727
Min length105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25103
Distinct characters1050
Distinct categories13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8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61 ?
Unique (%)100.0%

Sample

1st row거봉포도식초의 주원료가 되는 거봉포도는 밀알영농조합법인의 조합원들이 5천평의 부지에서 직접 재배하는 거봉포도만을 사용하고 있다. 원래, 거봉포도는 1937년 일본에서 처음 개발된 품종으로 1968년에 국내에 도입되어 입장과 성거지역을 중심으로 뿌리를 내린 후 현재는 천안의 성환, 직산지역과 함께 천안지역의 명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입장에서는 총 재배면적의 72%가 거봉포도 재배면적이다. 대부분의 농가가 작목반 형태로 거봉포도를 재배하고 있는데 현재 밀알영농조합법인에서 생산하고 있는 거봉포도식초는, 법인이 만들어지기 훨씬 전부터 몇몇 농가들에 의해 자체적으로 생산되어 왔다. 즉, 생과형태로 출하하고 남은 포도나 혹은 시장출하가 불가능한 하품의 포도를 가지고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얻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던 농가들이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식초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개별농가 단위에서 소규모로 생산되어 오던 거봉포도식초는 1993년 충남 제26호 전통식품으로 지정받은 후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가게 되었다. 동년 9월에는 농협의 지원을 받아 기로리에 공장을 준공하였다. 그리고 포도가공기계, 주입기, 포장기, 살균기, 세병기, 각종실험장비 등을 갖추고 본격적으로 거봉포도식초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95년에 밀알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하였다. 조합원수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 지금은 260명이나 된다. 이곳은 1,397㎡의 발효시설, 집하장, 창고, 작업장, 실험실 및 부대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밀알영농조합법인에서 생산되는 거봉포도식초는 연간 약 1백50톤정도이며 이것은 입장농협을 통해 전국 농협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그동안 이 법인에서는 해마다 좋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대가로서 1997년 2월에는 농협중앙회 협동조직대상을 받기도 하였다.
2nd row'올바르고 진실한 제품으로 제값을 받으며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바탕에 둔 해인수산은 1994년 액젓 사업을 처음 시작했다. 고려대 생물학과를 졸업한 박규갑씨는 전공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학술적인 제품개발을 시도해 액젓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순수한 전통 자연 발효방식과 철저한 위생관리로 발효 및 숙성과정의 이원화와 그에 따른 공정의 장기화로 100% 원액젓으로 천연의 무공해 식품을 생산해 내는데 성공했다. 또한 부인 이영옥씨와 함께 끊임없는 액젓 연구에 주력한 결과 주부들에게 크게 인기를 얻고 있는 까나리에 새우를 첨가한 까나리 액젓 골드를 생산했다. 탄탄한 기술력과 위생적인 공정을 통해 첨가물을 전혀 넣지 않아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은 까나리 액젓은 주부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98년 8월에는 우편판매 선정업체로 선정되었고, 바른먹거리운동단체, 한살림공급업체, 민우회, 생협중앙회 등 제품품질 선정이 까다로운 단체 등에서 주문하기도 했다. 1998년에는 해양수산부장관 전통식품 품질인증을 획득했으며 94년 서울사무소와 함께 2000년 경인사무소를 개소했다. 금년 2000년에는 99년 축협중앙회 공급계약체결에 이어 농협중앙회에도 공급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인수산에서 만들어지는 까나리 액젓은 맛과 향이 뛰어난 고품질액젓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고유의 발명품을 개발하여 특허를 출원한 회사로서 이웃의 건강을 염려하는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고 있다.
3rd row산암 이한규씨는 부여군 규암면 두리에서 태어나 부친 이을용씨 곁에서 잔일을 도우면서 기술을 터득, 20세에 이르러 혼자 공작선을 만들기 시작했다. 조선시대 때만 해도 다양한 용도에 수많은 종류의 부채를 사용해온 우리나라였으나 일제시대에 접어들면서 값싸고 가볍고 다소 편리한 일본 부채가 많이 들어옴에 따라 부채 제조업자들은 많은 타격을 받았다. 이런 와중에도 고집스럽게 공작선을 만들며 평생의 업으로 삼아 4대째 가업을 잇는 산암 이한규씨 일가는 조선시대의 장인 집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한규씨가 만든 공작선은 투박하면서도 우아하다. 우리 조상들의 솜씨를 그대로 이어온 전통비법의 부채라는 철인 낙관이 찍혀 그동안 서울 골동품 상가나 외국인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끌어 왔다. 그러나 시장개발에 따라 수요가 점차 줄어들고 있어 이한규씨에 의해 제작된 공작선은 관광상품의 하나로 남게 되어 아쉬움을 더해가고 있다. 이한규씨의 공작선은 미국LA에서 열린 부채 전시회에선 TV에 방영되기도 했고, 전국공예품 경진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입상을 하기도 했다. 상패만 해도 8개나 된다. 기계를 도입하면 순식간에 수천 개의 부채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돈도 많이 벌 수 있지만 우리의 전통적인 고유한 맛을 느낄 수 없어 순수한 전통방법으로 맥을 이어가고 있다. 1999년 이한규씨의 뒤를 이어 아들 이광구, 유진손부부가 공작선 보유전수자로 지정됐으며, 4대의 가업을 잇기 위해 이광구씨의 딸 또한 기술을 배우고 있는 중이다. 현재 공작선은 여러 곳에 전시되어 있는데 서울 경복궁과 이태원의 천용상사(주), 민속당, 남대문 한누리상회에 전시판매 되고 있다. 구입을 원하는 소비자가 있으면 전시장이나 한산의 이한규씨에게 주문을 하면 우아한 전통적인 공작선을 받아 볼 수 있다.
4th row서천쌀, 서천철새도래지쌀, 동백쌀로 알려진 서천에서 생산되는 쌀은 서천의 비옥한 간척지인 내포 평야와 바다를 막아 만든 부사간척지 등에서 생산되는 쌀이다. 동서천농협은 이곳에서 생산되는 쌀을 엄선하여 햅쌀밥맛을 1년 내내 맛볼 수 있는 냉각쌀을 개발해 냈다. 서천군 화양면에 위치한 미곡종합 처리장에서 산물 수매한 벼를 3-5℃의 저온으로 저장, 수분16-17%의 촉촉한 상태에서 영양과 맛을 그대로 유지하는 냉각시설을 도입해 본격적으로 고품질 냉각쌀을 생산해 내고 있는 것이다. 일품쌀 800t을 엄선해 수분과 온도를 자동조절하는 첨단 저장시설에 저장, 주문 때마다 도정해 판매하고 있고, 각 지역의 농협은 물론 2000년 3월부터는 소비지물류센터와 대도시 백화점 등에도 판매하고 있다. 미곡종합처리장 냉각저장시설은 400t 규모 2개 동의 저장고와 온도조절용 냉각기로 구성돼 있는데 보조와 융자금 3억 6천만원을 포함해 모두 7억원을 들여 1999년 6월에 설치했다. 동서천농협이 2년여의 준비 끝에 2000년 4월부터 시판된 서천냉각쌀은 상표와 의장을 출원, 등록해 서천철새도래지쌀, 서천쌀과 함께 서천의 주 특산품이 되고 있다. 한국식품개발원에 의뢰해 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상온에서 건조, 저장, 보관한 일반 쌀보다 윤기가 높고 맛과 영양 등 품질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th row일찍부터 자신의 고향인 천안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이용한 사업을 구상해 오고 있던 정남섭씨는 1990년대 초, 당시 천안지도소에서 발표한 몇몇 사업아이템을 보고 지도소사업과 연계하여 참기름가공공장을 설립하였다. 공장을 시작할 당시 정남섭씨의 포부는 대단했다고 한다. 고향의 농산물을 이용한 사업이어서 그의 정성도 남달랐던 것이다. 보다 질좋은 제품을 값싸게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밤을 새워가며 기름을 짜기도 하였다. 전국적인 판매에도 노력을 기울여 여러 지역의 농협연쇄점과 대형슈퍼에서도 납품하였다. 그 당시에는 아직 대기업에서 참기름 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하지도 않았고 또 외국의 값싼 참깨나 들깨가 들어오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생산량도 많았고, 납품을 할 수 있는 곳도 많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어려움이 가중되었다. 몇몇 대기업에서 참기름과 들기름을 대량생산하기 시작함으로써 소규모의 지역농산물 가공공장인 '삼거리참기름'은 설자리가 점차 좁아진 것이다. 우선 생산단가와 유통구조에서 경쟁이 될 수 없었다. 1994년부터는 점차 생산량도 줄어 들었고, 거래처도 줄게 되었다. 그 결과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연간 5,000만원에 달했던 매출액이 1997년부터는 3천만원 이하로 떨어졌다. 하지만 아직도 '삼거리참기름'을 꾸준히 찾고 있는 단골소비자들이 있기 때문에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고 한다. 지금은 천안지역의 몇몇 농협과 슈퍼마켓에 납품을 하고 있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306
 
1.1%
되었다 244
 
0.9%
187
 
0.7%
174
 
0.6%
한다 134
 
0.5%
있는 129
 
0.5%
많은 102
 
0.4%
위해 92
 
0.3%
88
 
0.3%
많이 81
 
0.3%
Other values (14153) 26758
94.6%
2023-12-13T04:11:21.37760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8199
 
22.5%
2624
 
2.1%
2446
 
2.0%
2390
 
1.9%
2202
 
1.8%
2083
 
1.7%
1933
 
1.5%
. 1872
 
1.5%
1644
 
1.3%
1469
 
1.2%
Other values (1040) 78241
62.5%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89949
71.9%
Space Separator 28199
 
22.5%
Decimal Number 3296
 
2.6%
Other Punctuation 2963
 
2.4%
Lowercase Letter 181
 
0.1%
Uppercase Letter 145
 
0.1%
Close Punctuation 124
 
0.1%
Open Punctuation 124
 
0.1%
Math Symbol 50
 
< 0.1%
Dash Punctuation 45
 
< 0.1%
Other values (3) 27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624
 
2.9%
2446
 
2.7%
2390
 
2.7%
2202
 
2.4%
2083
 
2.3%
1933
 
2.1%
1644
 
1.8%
1469
 
1.6%
1443
 
1.6%
1365
 
1.5%
Other values (952) 70350
78.2%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18
 
12.4%
I 14
 
9.7%
F 14
 
9.7%
S 10
 
6.9%
O 8
 
5.5%
L 8
 
5.5%
D 8
 
5.5%
G 7
 
4.8%
K 7
 
4.8%
T 6
 
4.1%
Other values (13) 45
31.0%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19
 
10.5%
g 17
 
9.4%
i 17
 
9.4%
h 13
 
7.2%
m 12
 
6.6%
k 12
 
6.6%
r 11
 
6.1%
o 11
 
6.1%
e 10
 
5.5%
s 10
 
5.5%
Other values (12) 49
27.1%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872
63.2%
, 832
28.1%
' 137
 
4.6%
% 45
 
1.5%
" 42
 
1.4%
· 14
 
0.5%
9
 
0.3%
: 7
 
0.2%
2
 
0.1%
/ 2
 
0.1%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9 766
23.2%
1 659
20.0%
0 562
17.1%
2 236
 
7.2%
5 223
 
6.8%
8 209
 
6.3%
3 193
 
5.9%
6 170
 
5.2%
7 150
 
4.6%
4 128
 
3.9%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37
74.0%
> 5
 
10.0%
< 5
 
10.0%
× 2
 
4.0%
~ 1
 
2.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7
31.8%
7
31.8%
5
22.7%
2
 
9.1%
1
 
4.5%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20
96.8%
3
 
2.4%
1
 
0.8%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20
96.8%
3
 
2.4%
1
 
0.8%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2
66.7%
´ 1
33.3%
Other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8199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5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89920
71.9%
Common 34829
 
27.8%
Latin 325
 
0.3%
Han 29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624
 
2.9%
2446
 
2.7%
2390
 
2.7%
2202
 
2.4%
2083
 
2.3%
1933
 
2.1%
1644
 
1.8%
1469
 
1.6%
1443
 
1.6%
1365
 
1.5%
Other values (930) 70321
78.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8199
81.0%
. 1872
 
5.4%
, 832
 
2.4%
9 766
 
2.2%
1 659
 
1.9%
0 562
 
1.6%
2 236
 
0.7%
5 223
 
0.6%
8 209
 
0.6%
3 193
 
0.6%
Other values (34) 1078
 
3.1%
Latin
ValueCountFrequency (%)
a 19
 
5.8%
M 18
 
5.5%
g 17
 
5.2%
i 17
 
5.2%
I 14
 
4.3%
F 14
 
4.3%
h 13
 
4.0%
m 12
 
3.7%
k 12
 
3.7%
r 11
 
3.4%
Other values (34) 178
54.8%
Han
ValueCountFrequency (%)
3
 
10.3%
2
 
6.9%
2
 
6.9%
2
 
6.9%
2
 
6.9%
2
 
6.9%
1
 
3.4%
1
 
3.4%
1
 
3.4%
1
 
3.4%
Other values (12) 12
41.4%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89920
71.9%
ASCII 35056
 
28.0%
Math Operators 37
 
< 0.1%
None 36
 
< 0.1%
CJK 29
 
< 0.1%
CJK Compat 15
 
< 0.1%
Letterlike Symbols 8
 
< 0.1%
Enclosed Alphanum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8199
80.4%
. 1872
 
5.3%
, 832
 
2.4%
9 766
 
2.2%
1 659
 
1.9%
0 562
 
1.6%
2 236
 
0.7%
5 223
 
0.6%
8 209
 
0.6%
3 193
 
0.6%
Other values (60) 1305
 
3.7%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624
 
2.9%
2446
 
2.7%
2390
 
2.7%
2202
 
2.4%
2083
 
2.3%
1933
 
2.1%
1644
 
1.8%
1469
 
1.6%
1443
 
1.6%
1365
 
1.5%
Other values (930) 70321
78.2%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37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 14
38.9%
9
25.0%
3
 
8.3%
3
 
8.3%
2
 
5.6%
× 2
 
5.6%
´ 1
 
2.8%
1
 
2.8%
1
 
2.8%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7
46.7%
5
33.3%
2
 
13.3%
1
 
6.7%
Letterlike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7
87.5%
1
 
12.5%
CJK
ValueCountFrequency (%)
3
 
10.3%
2
 
6.9%
2
 
6.9%
2
 
6.9%
2
 
6.9%
2
 
6.9%
1
 
3.4%
1
 
3.4%
1
 
3.4%
1
 
3.4%
Other values (12) 12
41.4%
Enclosed Alphanum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자원
Text

MISSING 

Distinct151
Distinct (%)96.2%
Missing7
Missing (%)4.3%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21.66876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89
Median length64
Mean length19.910828
Min length1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3126
Distinct characters434
Distinct categories9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4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47 ?
Unique (%)93.6%

Sample

1st row거봉포도
2nd row까나리, 천일염, 새우, 멸치
3rd row광덕호도
4th row단단한 나무(박달나무, 괴목나무, 살구나무, 쭉나무, 대나무), 한지.
5th row
ValueCountFrequency (%)
16
 
2.1%
찹쌀 8
 
1.1%
인삼 8
 
1.1%
7
 
0.9%
소금 7
 
0.9%
구기자 7
 
0.9%
6
 
0.8%
대추 6
 
0.8%
있다 6
 
0.8%
5
 
0.7%
Other values (560) 672
89.8%
2023-12-13T04:11:22.17891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98
 
19.1%
, 300
 
9.6%
42
 
1.3%
38
 
1.2%
38
 
1.2%
34
 
1.1%
32
 
1.0%
31
 
1.0%
31
 
1.0%
31
 
1.0%
Other values (424) 1951
62.4%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2064
66.0%
Space Separator 598
 
19.1%
Other Punctuation 336
 
10.7%
Decimal Number 42
 
1.3%
Lowercase Letter 34
 
1.1%
Close Punctuation 21
 
0.7%
Open Punctuation 21
 
0.7%
Math Symbol 6
 
0.2%
Uppercase Letter 4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2
 
2.0%
38
 
1.8%
38
 
1.8%
34
 
1.6%
32
 
1.6%
31
 
1.5%
31
 
1.5%
31
 
1.5%
31
 
1.5%
31
 
1.5%
Other values (385) 1725
83.6%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4
11.8%
s 4
11.8%
t 4
11.8%
e 3
8.8%
m 3
8.8%
r 3
8.8%
o 3
8.8%
i 2
 
5.9%
g 2
 
5.9%
l 1
 
2.9%
Other values (5) 5
14.7%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12
28.6%
1 10
23.8%
5 5
11.9%
9 3
 
7.1%
6 3
 
7.1%
8 2
 
4.8%
3 2
 
4.8%
7 2
 
4.8%
2 2
 
4.8%
4 1
 
2.4%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00
89.3%
. 21
 
6.2%
: 4
 
1.2%
· 4
 
1.2%
% 3
 
0.9%
' 2
 
0.6%
/ 2
 
0.6%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3
50.0%
× 3
50.0%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C 3
75.0%
T 1
 
25.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598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1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064
66.0%
Common 1024
32.8%
Latin 38
 
1.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2
 
2.0%
38
 
1.8%
38
 
1.8%
34
 
1.6%
32
 
1.6%
31
 
1.5%
31
 
1.5%
31
 
1.5%
31
 
1.5%
31
 
1.5%
Other values (385) 1725
83.6%
Common
ValueCountFrequency (%)
598
58.4%
, 300
29.3%
. 21
 
2.1%
) 21
 
2.1%
( 21
 
2.1%
0 12
 
1.2%
1 10
 
1.0%
5 5
 
0.5%
: 4
 
0.4%
· 4
 
0.4%
Other values (12) 28
 
2.7%
Latin
ValueCountFrequency (%)
a 4
10.5%
s 4
10.5%
t 4
10.5%
e 3
7.9%
m 3
7.9%
r 3
7.9%
o 3
7.9%
C 3
7.9%
i 2
 
5.3%
g 2
 
5.3%
Other values (7) 7
18.4%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064
66.0%
ASCII 1052
33.7%
None 7
 
0.2%
Math Operators 3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598
56.8%
, 300
28.5%
. 21
 
2.0%
) 21
 
2.0%
( 21
 
2.0%
0 12
 
1.1%
1 10
 
1.0%
5 5
 
0.5%
: 4
 
0.4%
a 4
 
0.4%
Other values (26) 56
 
5.3%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2
 
2.0%
38
 
1.8%
38
 
1.8%
34
 
1.6%
32
 
1.6%
31
 
1.5%
31
 
1.5%
31
 
1.5%
31
 
1.5%
31
 
1.5%
Other values (385) 1725
83.6%
None
ValueCountFrequency (%)
· 4
57.1%
× 3
42.9%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3
100.0%

분포및생산조건
Text

MISSING 

Distinct152
Distinct (%)100.0%
Missing12
Missing (%)7.3%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22.49654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923
Median length170.5
Mean length157.03947
Min length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3870
Distinct characters702
Distinct categories11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8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52 ?
Unique (%)100.0%

Sample

1st row밀알영농조합법인에서 생산되고 있는 거봉포도식초는 백퍼센트 입장산 거봉포도를 사용한다. 입장은 토질이 척박하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토양이면서 일조량이 많고 강우량이 알맞아 포도생육의 최적조건을 가진 지역이다. 이러한 자연조건은 이 지역농민들의 포도재배기술과 결합하여 해마다 우수한 품질의 거봉포도를 생산하는 토대가 되고 있다.
2nd row까나리 액젓은 서해 최북단인 백령도에서부터 서해안 전역에 걸쳐 수심 3-4m의 얕은 바다에서 4-6월경 잡히는 까나리를 숙성시켜 만든다. 까나리는 까나리과에 속하는 몸통이 가늘고 긴 어류로 까나리 액젓은 13-15cm크기의 1년 생 까나리를 원료로 사용한다. 뼈가 연하고 내장이 발달하지 않아 액젓을 담그기에 좋기 때문이다. 까나리는 1년 내내 잡히지만 4-6월이 지나면 뼈도 단단해지고 몸체가 커 액젓 원료로는 적합치 않다. 해인수산의 향토 까나리 액젓은 비인 반도 근해 청정해역에서 막 잡은 10cm정도의 작은 까나리와 1년 묵은 천일염 외에는 일체의 첨가물 없이 절여 하나하나 정성 들여 발효시킨다.
3rd row광덕호도는 맑고 깨끗한 차령산맥 청정지역인 광덕산자락 사질토양에서 일조량이 적은 최적의 자연조건에서 생산되고 있다. 광덕호도나무는 광덕산 뿐만아니라 광덕면 일대의 어느 마을에서나 재배되고 있다. 광덕면 일대는 전국 호도생산량의 40%가 생산되는 우리나라 호도의 주산지이다.
4th row대나무는 3-5년 이상 된 것 중에서 음력 7월 15일 전후 1개월 동안에 벤 대나무나, 9월 그믐께부터 이듬해 2월까지의 한산 일대에서 생산되는 대나무를 사용하는데 이는 이 시기의 대나무가 벌레가 슬지 않고 질이 좋기 때문이다. 한지는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한지공장에서 제작 및 주문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그곳에서 생산된 한지가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한지보다 공작선을 만들 수 있는 크기에 맞춰 크게 나오기 때문이다. 나무는 단단한 나무를 사용하는데 괴목나무와 박달나무는 서울에서 구입해 오며 그 외는 한산면 일대에서 구입한다.
5th row서천의 쌀은 서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바다를 막아 염기를 제거한 부사간척지에서 최고의 기술로 시험영농을 거쳐 재배된 쌀이다. 농약이나 비료 등을 최저로 살포하고 벼의 품종 중 밥맛 면에서 가장 우수한 일품벼를 재배하여 동서천농협에서 계약수매하고 있다. 예로부터 임금님 진상미 생산지로 알려진 내포평야의 간척지 점질토양에서 철저한 일품벼 계약재배에 의해 지도지원 및 엄격한 품질검사와 저공해 생산재배를 거친다. 이렇게 생산된 벼 중에서 냉각쌀의 조건은 저공해농사기법을 갖추어 생산되고 만생종(일품벼 100%) 수분함유 정도가 16%-17% 상태인 벼만을 농산물품질관리원의 지도감독 하에 엄격한 자체검사를 거쳐 수매한 것이어야 한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129
 
2.3%
있는 36
 
0.6%
한다 31
 
0.6%
31
 
0.6%
직접 26
 
0.5%
25
 
0.5%
있으며 25
 
0.5%
것을 23
 
0.4%
많이 22
 
0.4%
때문에 21
 
0.4%
Other values (3479) 5170
93.3%
2023-12-13T04:11:23.00893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429
 
22.7%
529
 
2.2%
525
 
2.2%
509
 
2.1%
507
 
2.1%
454
 
1.9%
. 413
 
1.7%
396
 
1.7%
343
 
1.4%
329
 
1.4%
Other values (692) 14436
60.5%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7248
72.3%
Space Separator 5429
 
22.7%
Other Punctuation 668
 
2.8%
Decimal Number 386
 
1.6%
Lowercase Letter 45
 
0.2%
Open Punctuation 18
 
0.1%
Close Punctuation 18
 
0.1%
Math Symbol 17
 
0.1%
Other Symbol 16
 
0.1%
Dash Punctuation 15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529
 
3.1%
525
 
3.0%
509
 
3.0%
507
 
2.9%
454
 
2.6%
396
 
2.3%
343
 
2.0%
329
 
1.9%
289
 
1.7%
286
 
1.7%
Other values (644) 13081
75.8%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15
33.3%
a 6
 
13.3%
g 4
 
8.9%
k 3
 
6.7%
t 2
 
4.4%
r 2
 
4.4%
c 2
 
4.4%
i 2
 
4.4%
l 2
 
4.4%
h 2
 
4.4%
Other values (5) 5
 
11.1%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120
31.1%
1 77
19.9%
2 42
 
10.9%
5 34
 
8.8%
3 29
 
7.5%
4 22
 
5.7%
9 21
 
5.4%
7 16
 
4.1%
6 16
 
4.1%
8 9
 
2.3%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13
61.8%
, 211
31.6%
% 19
 
2.8%
' 9
 
1.3%
" 6
 
0.9%
5
 
0.7%
3
 
0.4%
· 2
 
0.3%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C 4
40.0%
A 2
20.0%
H 1
 
10.0%
T 1
 
10.0%
O 1
 
10.0%
N 1
 
1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1
68.8%
2
 
12.5%
2
 
12.5%
° 1
 
6.2%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5429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8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8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7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5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7239
72.2%
Common 6567
 
27.5%
Latin 55
 
0.2%
Han 9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529
 
3.1%
525
 
3.0%
509
 
3.0%
507
 
2.9%
454
 
2.6%
396
 
2.3%
343
 
2.0%
329
 
1.9%
289
 
1.7%
286
 
1.7%
Other values (635) 13072
75.8%
Common
ValueCountFrequency (%)
5429
82.7%
. 413
 
6.3%
, 211
 
3.2%
0 120
 
1.8%
1 77
 
1.2%
2 42
 
0.6%
5 34
 
0.5%
3 29
 
0.4%
4 22
 
0.3%
9 21
 
0.3%
Other values (17) 169
 
2.6%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15
27.3%
a 6
 
10.9%
g 4
 
7.3%
C 4
 
7.3%
k 3
 
5.5%
t 2
 
3.6%
r 2
 
3.6%
A 2
 
3.6%
c 2
 
3.6%
i 2
 
3.6%
Other values (11) 13
23.6%
Han
ValueCountFrequency (%)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7238
72.2%
ASCII 6579
 
27.6%
Math Operators 17
 
0.1%
Letterlike Symbols 11
 
< 0.1%
None 11
 
< 0.1%
CJK 9
 
< 0.1%
CJK Compat 4
 
< 0.1%
Compat Jamo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5429
82.5%
. 413
 
6.3%
, 211
 
3.2%
0 120
 
1.8%
1 77
 
1.2%
2 42
 
0.6%
5 34
 
0.5%
3 29
 
0.4%
4 22
 
0.3%
9 21
 
0.3%
Other values (30) 181
 
2.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529
 
3.1%
525
 
3.0%
509
 
3.0%
507
 
2.9%
454
 
2.6%
396
 
2.3%
343
 
2.0%
329
 
1.9%
289
 
1.7%
286
 
1.7%
Other values (634) 13071
75.8%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17
100.0%
Letterlike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11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5
45.5%
3
27.3%
· 2
 
18.2%
° 1
 
9.1%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2
50.0%
2
50.0%
CJK
ValueCountFrequency (%)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Compat Jamo
ValueCountFrequency (%)
1
100.0%

내용
Text

MISSING 

Distinct12
Distinct (%)100.0%
Missing152
Missing (%)92.7%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23.40177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430
Mean length477.58333
Min length161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5731
Distinct characters527
Distinct categories11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7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2 ?
Unique (%)100.0%

Sample

1st row토굴새우젓은 소금에 절여져 있는 새우를 구입하여 2차로 새우젓을 담은 용기 맨 위에 방충망으로 주머니를 만든 다음 그 안에 소금을 넣어 다시 절임에 들어간다. 그리고 7m이하의 토굴을 파고 발효온도를 13℃∼16℃를 자연스럽게 무 동력으로 유지시켜 3∼4개월을 저장, 숙성시켜 그 맛과 향이 타지방보다 월등하다. 조선김은 바다속 갯벌에 말뚝을 박고 대나무를 쪼개 엮어 음력 8월 중순을 기해 매어두면 밀물 때는 바닷물에 잠기고 썰물 때 태양빛을 쬐어지면서 김을 직사각형의 틀에 넣어 태양빛으로 말려 만들어 맛이 좋고 씹을수록 그 향이 입안에 감도는 것이 특징으로 소비자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위 두가지 특산품 뿐만아니라 그 외 여러 가지 젓갈류도 판매하며, 토굴새우젓의 판매가격은 종류별로 다양하나 대략 ㎏당 육젓(6월에 담그는 새우젓) 1만∼1만5천원, 추젓(가을에 잡히는 젓갈) 2천∼1만원, 멸치액젓 1천500∼2천원에 거래되고 있다. 철도청이 이곳에 젓갈관광열차를 운행키로 했으며, 여행사에서도 젓갈구입과 주변관광을 묶은 패키지상품을 기획하고 있다. 향토문화답사회는 광천토굴새우젓생산지탐방과 주변관광을 하는 당일여행상품을 개발했다.
2nd row꺼꾸리화분의 가장 큰 특징은 입구를 좁게 하여 함수율을 극대화 시켜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화분 본체의 하단부보다 상단부를 좁게 형성하면서, 화분본체의 내측 하부에는 화분본체와 분리되는 받침대가 놓여지게 되고 상기 받침대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수단을 형성시켰다. 고정수단은 화분본체의 내측 면에서 받침면이 놓여지는 위치의 아래쪽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홈에 이탈가능하게 지워지는 고정구로 구성되어 있다. 화분 본체의 하단부에는 배출되는 물이 흘러나오고 환기를 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면에는 받침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되는 고정홈을 형성하였다. 중앙에는 물이 배출 될 수 있는 배수공도 마련되어 있다. 더욱 자세한 기술 내용은 성두진씨만의 노하우로 남겨져 있다.
3rd row오랜 역사와 함께 자리를 지켜온 사적 제 231호인 홍주읍성은 전쟁과 산업화로 인하여 많이 파괴되어 1,400m였던 성벽은 700여 m 밖에 남아 있지 않다. 이 가운데 동쪽 성벽의 북쪽 부분은 파괴되어 약 250m 가량의 성벽만이 잔존해 있다. 이 성벽의 높이는 4∼5m 정도이고, 부분적으로 보수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 성벽의 돌을 쌓은 모습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밑부분의 제 1단 기단석을 밖으로 10∼20㎝ 정도 내밀어 깔고 그 위에 나머지 성벽을 축조한 모습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성벽 중에 가장 잘 남아 있는 부분에서는 15단∼20단 까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동벽과 남벽이 교차하는 곳에는 치성이 만들어져 있는데, 이 치성은 길이가 6m이며 폭도 6m인 정사각형모양이다. 그 다음으로 남벽이 있는데, 직사각형의 큰돌을 사용하여 축조되어 있다. 지금은 150m 가량으로 늘어서 있으며, 성벽의 중간부분으로 3단∼4단만이 본래의 성벽에 사용되었던 석축이고 나머지는 최근에 복원하여 놓은 것이다. 이 성벽은 밖에서 요철을 두면서 군데군데 쐐기돌을 박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조선시대에 쓰이던 축조방법으로 알려져 있어, 그 시대에 수리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서쪽 벽은 군청 뒤로 이어져 있으며 가장 길게 남아 있는 성벽이다. 현재 잔존하는 길이가 300m 정도이다. 이 성벽은 25단∼30단까지는 일차 가공된 자연 활석을 사용하여 거의 수직으로 축조되어 있다. 그리고 이곳은 순교자들의 시체가 버려지던 장소이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큰 성벽이다. 나머지 북쪽 성벽은 모두 파괴되어 잔존해 있지 않다. 이렇듯 전체 성벽의 약 50%가 전쟁과 산업화로 인하여 파괴되어 역사와 함께 사라져 아쉬움을 자아낸다. 이 홍주읍성의 성문은 조선조 문종 대의 기록에 의하면 4개가 지어진 것으로 나와 있지만, 실제로 조영(造營)한 것은 남문을 제외한 3개의 성문뿐이었다. 이들 성문 중에 북문은 나머지 두 문과는 달리 문루(門樓)(지방관청 등의 밖의 문 위에 세워진 다락집 모양의 건물)가 설치되어 있지
4th row전의지역은 지형적으로 토질이 고추 농사에 적합해서 고추품질이 뛰어나고 맛이 좋다. 이처럼 좋은 땅에서 자란 고추를 불에 말리지 않고 박스건조와 태양에 의한 건조를 하기에 빛깔도 곱고 매콤한 맛을 낼 수 있다. 밭에서 정성들여 생산된 물고추는 수확한 후 우선 48시간 동안 박스에 담아 바람건조를 시키게 된다. 이틀동안 건조시킨 후 맑은 날을 골라 햇빛아래에다 바짝 말리게 된다. 특히 말리는 과정에서 고추에 대한 손질을 자주 해 주어야 손실이 적고 고르게 마르며, 건고추가 윤이 나고 색깔이 진하게 나온다. 이렇게 생산된 건고추는 다른 고추와 달리 비가 많이 와 습기가 차더라도 10일 이상이나 곰팡이가 생기지 않는 좋은 고추로 알려졌다. 전의건고추의 포장 겉면에는 건고추를 먹은 후 맛이 없으면 반품해도 좋다는 내용이 실릴만큼 제품의 질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전의 건고추는 서울 농산물 시장, 양재동 농협으로 판매되며 각 지역에서 주문 판매를 한다.
5th row메주는 콩을 발효해서 만든 것으로 고혈압 방지, 항돌연변이성, 항암성, 혈전용해, 혈중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효과가 있다. 특히 우리의 재래식 된장에는 피의 응고를 막아주는 미생물이 있어 된장을 많이 먹게 되면 피가 맑아져 혈액순환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있어 우리 나라 전통 발효식품의 우수성이 확인되었다. 전통메주를 만드는 순서를 보면 지역에서 재배하거나 서산, 태안 등지에서 구입하여 하루동안 불린 후 깨끗하게 씻고 3-4시간 동안 삶는다. 삶은 콩은 예전에는 절구에 찧어서 했지만 지금은 동력을 이용한 분쇄기에 넣고 빻는다. 빻은 콩을 쪄서 직사각형의 메주모양으로 만들어 햇볕에 1달 동안 건조시키거나 건조기에 넣고 3일을 말린다. 잘 말린 메주를 발효실에서 20-30일간 발효를 시킨 후 꺼내어 포장한다. 이렇게 잘 만들어진 전의 전통 메주는 식품허가를 받았으며 경기도, 서울 지역 백화점, 농협 등으로 판매가 되고 있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24
 
1.8%
10
 
0.7%
딸기 9
 
0.7%
9
 
0.7%
9
 
0.7%
8
 
0.6%
· 6
 
0.4%
있는 6
 
0.4%
성벽의 5
 
0.4%
그리고 5
 
0.4%
Other values (1080) 1270
93.3%
2023-12-13T04:11:23.92757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352
 
23.6%
121
 
2.1%
107
 
1.9%
104
 
1.8%
92
 
1.6%
88
 
1.5%
. 84
 
1.5%
77
 
1.3%
76
 
1.3%
76
 
1.3%
Other values (517) 3554
62.0%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4053
70.7%
Space Separator 1352
 
23.6%
Other Punctuation 146
 
2.5%
Decimal Number 119
 
2.1%
Lowercase Letter 13
 
0.2%
Math Symbol 10
 
0.2%
Close Punctuation 9
 
0.2%
Open Punctuation 9
 
0.2%
Uppercase Letter 9
 
0.2%
Other Symbol 7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21
 
3.0%
107
 
2.6%
104
 
2.6%
92
 
2.3%
88
 
2.2%
77
 
1.9%
76
 
1.9%
76
 
1.9%
73
 
1.8%
68
 
1.7%
Other values (482) 3171
78.2%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29
24.4%
1 26
21.8%
3 13
10.9%
2 13
10.9%
5 11
 
9.2%
4 10
 
8.4%
6 8
 
6.7%
8 5
 
4.2%
7 2
 
1.7%
9 2
 
1.7%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S 1
11.1%
P 1
11.1%
K 1
11.1%
G 1
11.1%
M 1
11.1%
Y 1
11.1%
I 1
11.1%
D 1
11.1%
A 1
11.1%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4
57.5%
, 52
35.6%
· 6
 
4.1%
" 2
 
1.4%
1
 
0.7%
% 1
 
0.7%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5
71.4%
1
 
14.3%
1
 
14.3%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12
92.3%
c 1
 
7.7%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352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0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048
70.6%
Common 1656
28.9%
Latin 22
 
0.4%
Han 5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21
 
3.0%
107
 
2.6%
104
 
2.6%
92
 
2.3%
88
 
2.2%
77
 
1.9%
76
 
1.9%
76
 
1.9%
73
 
1.8%
68
 
1.7%
Other values (477) 3166
78.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352
81.6%
. 84
 
5.1%
, 52
 
3.1%
0 29
 
1.8%
1 26
 
1.6%
3 13
 
0.8%
2 13
 
0.8%
5 11
 
0.7%
4 10
 
0.6%
10
 
0.6%
Other values (14) 56
 
3.4%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12
54.5%
S 1
 
4.5%
P 1
 
4.5%
K 1
 
4.5%
G 1
 
4.5%
M 1
 
4.5%
Y 1
 
4.5%
c 1
 
4.5%
I 1
 
4.5%
D 1
 
4.5%
Han
ValueCountFrequency (%)
1
20.0%
1
20.0%
1
20.0%
1
20.0%
1
2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048
70.6%
ASCII 1654
28.9%
Math Operators 10
 
0.2%
None 7
 
0.1%
Letterlike Symbols 5
 
0.1%
CJK 5
 
0.1%
CJK Compat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352
81.7%
. 84
 
5.1%
, 52
 
3.1%
0 29
 
1.8%
1 26
 
1.6%
3 13
 
0.8%
2 13
 
0.8%
m 12
 
0.7%
5 11
 
0.7%
4 10
 
0.6%
Other values (19) 52
 
3.1%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21
 
3.0%
107
 
2.6%
104
 
2.6%
92
 
2.3%
88
 
2.2%
77
 
1.9%
76
 
1.9%
76
 
1.9%
73
 
1.8%
68
 
1.7%
Other values (477) 3166
78.2%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10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 6
85.7%
1
 
14.3%
Letterlike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5
100.0%
CJK
ValueCountFrequency (%)
1
20.0%
1
20.0%
1
20.0%
1
20.0%
1
2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특성
Text

MISSING 

Distinct152
Distinct (%)100.0%
Missing12
Missing (%)7.3%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24.38159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647.5
Mean length615.03947
Min length8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93486
Distinct characters1080
Distinct categories14 ?
Distinct scripts5 ?
Distinct blocks10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52 ?
Unique (%)100.0%

Sample

1st row우리나라에서 포도식초가 언제부터 제조되었는가는 분명하지 않지만, 시중에서 판매되는 상품으로 본격적인 선을 보인 것은 1995년 밀알영농조합이 생산한 제품인 거봉포도식초가 그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밀알영농조합법인이 결성되기 이전에도 이 법인의 조합원들(당시는 작목반원)에 의해 소량의 포도식초가 생산되어 온 것은 사실이다. 포도식초는 2년간 발효를 시켜야 제대로 된 제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제품생산에 큰 애로점이 있었고, 이런 점에서 보면 법인이 만들어지기 이전까지는 보다 좋은 포도식초를 제조하기 위한 준비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토대로 밀알영농조합법인에서는 양질의 거봉포도식초를 생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포도생육에 알맞은 천혜의 자연조건과 오랜 노하우가 결합하여 생산된 입장거봉포도만을 원료로 한 무색소, 무방부제, 무알콜의 자연발효 거봉포도식초는 상쾌하고 독특한 맛이 일품이다. 거봉포도식초는 알카리성 식품으로 체질개선에 좋고, 피로회복에 효과가 크며 피를 깨끗이 정화시키고 변비, 감기 등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항암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져 학계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는 식품이다. 거봉포도식초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거봉포도를 깨끗이 세척한 뒤 부패된 것을 가려내어 파쇄하고 항아리에 담아 1차 발효(알콜발효)시킨다. 즉, 먼저 포도주를 만드는 것이다. 그 다음 3개월간의 숙성기간을 거친 포도주를 깨끗하게 여과하여 주액만을 새항아리에 담아 다시 9개월간 2차 발효(초산발효) 시킨다. 이렇게 만들어진 거봉포도식초는 여과-살균과정을 통해 포장용기에 넣어 상품으로 만든다. 이렇게 생산된 거봉포도는 농협을 통해 전국농협에서 판매되고 있다.
2nd row예로부터 비인반도는 바다가 맑고 어종이 풍부하기로 이름난 곳으로, 해인수산의 제품은 전량 이곳에서 잡히는 신선한 까나리와 멸치 및 새우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까나리 액젓의 특징은 다른 액젓과 달리 생선 특유의 비린내가 거의 없으면서 담백한 맛과 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까나리 액젓을 만드는 방법은 지극히 간단하다. 하루에 2번 간조와 만조 때 미리 쳐놓은 그물에 걸린 1년생 까나리를 통째로 소금과 7:3의 비율로 고루 섞어 발효통에 담아 발효실에서 6개월, 숙성실에서 1년을 보내며, 숙성이 진전되면 까나리의 형체는 완전 분해해 가라앉고 맑은 젓만 용기 위로 뜨는데 이것이 까나리 액젓이다. 이를 가공탱크로 모아 침전물이 섞이지 않게 2-3차례 가는 체로 거른 뒤 소포장 단위로 포장, 상품화한다. 해인수산에서는 까나리 액젓에 새우를 첨가한 까나리 액젓 골드를 만들어 냈는데, 예로부터 김치를 담글 때 육젓을 넣어서 김치를 담가온 것에 착안해 처음부터 까나리에 새우를 넣어 액젓을 만들면 비싼 새우를 소매로 사는부담을 줄이고 구하기 힘든 생새우를 어렵게 구하여 쓰는 불편함을 덜어 줄 수 있어 경제성이 있겠다는 생각에서 제품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까나리 액젓 골드는 까나리 61%에 새우15%, 정제염 24%를 배합해 만든다. 많은 실험과 시행착오 끝에 새우를 15% 넣어야 김치를 담갔을 때 가장 맛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화학조미료나 다른 양념을 넣지 않고 자연 그대로 제조되며 섞는 소금도 서해안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이어서 말 그대로 100% 무공해식품이다. 대부분의 젓갈이 김치 담그기에 들어가거나 젓갈 자체로 식용화 되지만 까나리 액젓은 김치뿐 아니라 간장을 대신하기도 한다. 김치에 넣으면 비린내가 나지 않고 익었을 때 시원한 맛과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나물을 무칠 때나 국을 끓일 때 넣는 간장이나 조미료 대신 액젓을 넣으면 감칠맛이 난다. 특히 불고기를 잴 때 넣으면 고기가 연해지고 육고기 특유의 역겨운 냄새가 사라진다. 특히 간장과 까나리 액젓을 5:5비율로 섞
3rd row이곳 광덕면은 토질과 여러환경(일조량) 조건이 호도나무를 재배하는데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어 지금까지 별다른 어려움 없이 호도주산지로서의 명성을 유지해 오고 있다. 호도나무는 가래나무과 가래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서 높이가 20m 까지 자란다. 우리나라에는 가래나무와 호도나무 2종이 자라고 있으나 자생종은 가래나무뿐이며, 호도나무는 중국에서 도입된 것이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밋밋하지만 나무가 클 수록 점차 길게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개화하고 6월에 성숙하며 호도열매는 둥글고 털이 없으며 단단한 과실의 내부는 4개의 방으로 나누어져 있다. 호도수확은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두 사람손으로 일일이 따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호도 수확기가 되면 마을사람들이 품앗이 형태로 집집마다 돌아가며 협동으로 수확작업을 한다. 호도는 윈래 병충에 강해서 특별히 별도의 방제가 필요 없지만, 특히 광덕호도는 농약을 치지 않고 자연 상태 그대로 자란 것이다. 수확한 호도는 약간의 수분을 제거한 뒤 수동으로 호도의 겉피를 제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겉피를 제거한 호도알을 가지런히 햇살에 말린 후 판매한다. 이렇게 생산되는 광덕호도는 다른 고장의 호도보다 껍질이 얇고 내용이 실한 것이 장점이다. 생산량의 3분의 1정도는 과자제조 원료로 이용되며 나머지는 간식용, 의약품, 한약재 원료 등으로 사용된다.
4th row마치 날개를 활짝 편 모습을 연상케 하여 그야말로 고풍스런 멋을 자아내는 공작선은 만드는 모든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가장 질이 좋은 괴목나무나 박달나무로 공작의 머리모양으로 자루를 깎고 대나무를 하나하나 손으로 깍아 살을 만들어 까칠한 부분을 잘 손질한다. 공작모양자루에 톱으로 살이 들어갈 부분을 켜서 대나무 살을 박아 불에 구워 꼬리 모양대로 구부려 놓고, 이때 살이 틀어지지 않게 벽돌 같은 무거운 것으로 눌러 놓는다. 전체적인 공작모양이 만들어지면 염색한 한지를 붙이며 이것에 사용하는 한지는 이한규씨가 직접 염색을 한다. 염색한 한지와 무명천을 번갈아 가면서 살에 붙이는데 한지를 겉쪽에, 무명은 안쪽에 각각 2겹씩 붙인다. 잘 붙인 다음 스폰지나 천을 이용하여 틈새가 생기지 않게 발로 밟아 주고, 강하지 않은 햇볕에 잘 말려 재벌 풀칠을 하면 시원한 부채 모양이 거의 나온다. 이곳에 습기나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처리를 하며 공작의 꼬리 모양에 대고 칼로 잘라 공작부채 모양을 만들어 준다. 공작선을 만드는 마지막 과정은 부채 끝 테두리를 검정 한지로 붙여 마무리하고 붓으로 공작의 깃털 모양을 그려 넣어 주면 된다. 하나의 공작선이 만들어지는데 3-4일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작선은 '이한규'라는 낙관이 찍혀 여러 골동품 가게에서 외국인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다.
5th row엄격한 선별과정을 통해 수매된 일품벼를 저장저온시설에 저장하여 냉각쌀이 만들어지는데 그 비결은 냉각기이다. 동서천농협 미곡종합처리장에 설치된 냉각기는 한국식품개발연구원과 한성공업(주)이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로 컴퓨터에 의해 말리지 않은 상태의 산물벼를 저장한 탱크에 찬 공기를 주기적으로 불어넣어 탱크 아래부터 위까지 일정온도(3-5℃)와 습도 (16-17%)를 자동으로 유지시켜 준다. 이렇게 하면 벼의 호흡작용이 멈춰 산화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영양이 파손되지 않고 각종 미생물과 해충의 활동도 멈춰 감모율도 크게 줄일 수 있고, 가을철 햅쌀밥맛을 그대로 유지, 보관할 수 있다. 한국식품연구원 김동철 박사의 중저온 건조저장기법을 활용한 고품위쌀 생산기술의 개발이라는 보고서에서 189일 동안 저온저장한 벼와 상온저장한 벼를 동일 조건하에서 가공하여 식미 검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저온으로 저장한 시료가 상온으로 저장한 시료에 비해 윤기의 정도, 색의 감도, 외관의 품질, 맛의 품질 및 전체적인 품질평가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동서천농협은 이 방법을 택해 냉각기를 활용하여 저온저장, 보관하는 방법으로 냉각쌀을 만들어낸 것이다. 두 번의 시식회를 통해 찹쌀을 섞은 듯 차지고 윤기가 흐르고 맛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직접 밥을 지어본 사람들은 물에 담그지도 않았는데 찰기가 가을철 막 수확해 찧어 지은 밥 같다는 평가를 하기도 했다. 생산 수매되는 일품벼 만을 선정해 800t을 냉각기에 보관, 주문 때마다 도정해 판매하고 있고 인터넷이나 동서천농협에 전화로 언제든지 주문하면 받아볼 수 있다. 가격은 다른 쌀에 비해 5천원 정도가 비싸지만 품질만큼은 최고라고 자신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후회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냉각쌀을 주문하여 밥을 짓고 서천의 특산품인 자하젓과 서천김을 반찬 삼아 저녁상을 차린다면 풍성하고 맛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278
 
1.3%
한다 171
 
0.8%
170
 
0.8%
123
 
0.6%
108
 
0.5%
있는 86
 
0.4%
82
 
0.4%
그리고 73
 
0.3%
된다 68
 
0.3%
때문에 63
 
0.3%
Other values (11361) 20991
94.5%
2023-12-13T04:11:25.10622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2121
 
23.7%
2074
 
2.2%
2069
 
2.2%
1707
 
1.8%
1699
 
1.8%
. 1567
 
1.7%
1519
 
1.6%
1475
 
1.6%
1287
 
1.4%
1080
 
1.2%
Other values (1070) 56888
60.9%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66215
70.8%
Space Separator 22121
 
23.7%
Other Punctuation 2620
 
2.8%
Decimal Number 1715
 
1.8%
Lowercase Letter 220
 
0.2%
Open Punctuation 115
 
0.1%
Close Punctuation 114
 
0.1%
Math Symbol 113
 
0.1%
Other Symbol 91
 
0.1%
Dash Punctuation 81
 
0.1%
Other values (4) 8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074
 
3.1%
2069
 
3.1%
1707
 
2.6%
1699
 
2.6%
1519
 
2.3%
1475
 
2.2%
1287
 
1.9%
1080
 
1.6%
1068
 
1.6%
966
 
1.5%
Other values (983) 51271
77.4%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46
20.9%
g 26
11.8%
c 18
 
8.2%
a 17
 
7.7%
i 14
 
6.4%
k 14
 
6.4%
l 9
 
4.1%
s 9
 
4.1%
n 8
 
3.6%
o 8
 
3.6%
Other values (13) 51
23.2%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C 11
14.7%
A 9
12.0%
S 6
 
8.0%
P 6
 
8.0%
E 5
 
6.7%
L 5
 
6.7%
R 5
 
6.7%
Y 5
 
6.7%
H 4
 
5.3%
M 4
 
5.3%
Other values (8) 15
20.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567
59.8%
, 846
32.3%
% 74
 
2.8%
' 61
 
2.3%
: 23
 
0.9%
· 18
 
0.7%
" 16
 
0.6%
* 7
 
0.3%
4
 
0.2%
2
 
0.1%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389
22.7%
1 344
20.1%
2 238
13.9%
5 198
11.5%
3 181
10.6%
4 104
 
6.1%
6 86
 
5.0%
7 61
 
3.6%
8 60
 
3.5%
9 54
 
3.1%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63
69.2%
15
 
16.5%
6
 
6.6%
2
 
2.2%
2
 
2.2%
1
 
1.1%
1
 
1.1%
1
 
1.1%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04
92.0%
× 3
 
2.7%
= 2
 
1.8%
< 1
 
0.9%
> 1
 
0.9%
1
 
0.9%
± 1
 
0.9%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13
98.3%
2
 
1.7%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12
98.2%
2
 
1.8%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3
75.0%
` 1
 
25.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2121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1
100.0%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6169
70.8%
Common 26978
28.9%
Latin 291
 
0.3%
Han 46
 
< 0.1%
Greek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074
 
3.1%
2069
 
3.1%
1707
 
2.6%
1699
 
2.6%
1519
 
2.3%
1475
 
2.2%
1287
 
1.9%
1080
 
1.6%
1068
 
1.6%
966
 
1.5%
Other values (945) 51225
77.4%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2121
82.0%
. 1567
 
5.8%
, 846
 
3.1%
0 389
 
1.4%
1 344
 
1.3%
2 238
 
0.9%
5 198
 
0.7%
3 181
 
0.7%
( 113
 
0.4%
) 112
 
0.4%
Other values (37) 869
 
3.2%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46
 
15.8%
g 26
 
8.9%
c 18
 
6.2%
a 17
 
5.8%
i 14
 
4.8%
k 14
 
4.8%
C 11
 
3.8%
l 9
 
3.1%
s 9
 
3.1%
A 9
 
3.1%
Other values (29) 118
40.5%
Han
ValueCountFrequency (%)
4
 
8.7%
3
 
6.5%
2
 
4.3%
2
 
4.3%
2
 
4.3%
1
 
2.2%
1
 
2.2%
1
 
2.2%
1
 
2.2%
1
 
2.2%
Other values (28) 28
60.9%
Greek
ValueCountFrequency (%)
β 2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6169
70.8%
ASCII 27034
28.9%
Math Operators 104
 
0.1%
Letterlike Symbols 65
 
0.1%
CJK 44
 
< 0.1%
None 35
 
< 0.1%
CJK Compat 28
 
< 0.1%
Modifier Letters 3
 
< 0.1%
CJK Compat Ideographs 2
 
< 0.1%
Punctuation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2121
81.8%
. 1567
 
5.8%
, 846
 
3.1%
0 389
 
1.4%
1 344
 
1.3%
2 238
 
0.9%
5 198
 
0.7%
3 181
 
0.7%
( 113
 
0.4%
) 112
 
0.4%
Other values (55) 925
 
3.4%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074
 
3.1%
2069
 
3.1%
1707
 
2.6%
1699
 
2.6%
1519
 
2.3%
1475
 
2.2%
1287
 
1.9%
1080
 
1.6%
1068
 
1.6%
966
 
1.5%
Other values (945) 51225
77.4%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104
100.0%
Letterlike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63
96.9%
2
 
3.1%
None
ValueCountFrequency (%)
· 18
51.4%
4
 
11.4%
× 3
 
8.6%
β 2
 
5.7%
2
 
5.7%
2
 
5.7%
2
 
5.7%
1
 
2.9%
± 1
 
2.9%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15
53.6%
6
 
21.4%
2
 
7.1%
2
 
7.1%
1
 
3.6%
1
 
3.6%
1
 
3.6%
CJK
ValueCountFrequency (%)
4
 
9.1%
3
 
6.8%
2
 
4.5%
2
 
4.5%
2
 
4.5%
1
 
2.3%
1
 
2.3%
1
 
2.3%
1
 
2.3%
1
 
2.3%
Other values (26) 26
59.1%
Modifier Letters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상표
Text

MISSING 

Distinct128
Distinct (%)100.0%
Missing36
Missing (%)22.0%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25.48667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476
Median length75
Mean length52.054688
Min length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6663
Distinct characters488
Distinct categories12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6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28 ?
Unique (%)100.0%

Sample

1st row거봉포도식초
2nd row향토 까나리 골드 액젓, 향토 까나리 액젓, 향토 멸치액젓 등이 있다.
3rd row천안광덕호도
4th row공작선 손잡이 뒷면에 '산암 이한규'라는 철인낙관을 찍는다.
5th row서천 냉각쌀, 서천 철새도래지쌀, 서천 동백쌀이라는 상표가 있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63
 
4.4%
상표는 20
 
1.4%
사용하고 17
 
1.2%
그려져 14
 
1.0%
있고 12
 
0.8%
있는 11
 
0.8%
상표가 10
 
0.7%
현재 9
 
0.6%
되어 8
 
0.6%
있으며 8
 
0.6%
Other values (1006) 1267
88.0%
2023-12-13T04:11:26.10940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332
 
20.0%
164
 
2.5%
158
 
2.4%
148
 
2.2%
142
 
2.1%
132
 
2.0%
. 129
 
1.9%
120
 
1.8%
95
 
1.4%
81
 
1.2%
Other values (478) 4162
62.5%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4926
73.9%
Space Separator 1332
 
20.0%
Other Punctuation 283
 
4.2%
Decimal Number 38
 
0.6%
Close Punctuation 25
 
0.4%
Open Punctuation 25
 
0.4%
Uppercase Letter 22
 
0.3%
Lowercase Letter 5
 
0.1%
Dash Punctuation 3
 
< 0.1%
Other Symbol 2
 
< 0.1%
Other values (2)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64
 
3.3%
158
 
3.2%
148
 
3.0%
142
 
2.9%
132
 
2.7%
120
 
2.4%
95
 
1.9%
81
 
1.6%
79
 
1.6%
79
 
1.6%
Other values (431) 3728
75.7%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G 3
13.6%
E 3
13.6%
L 3
13.6%
M 2
 
9.1%
O 1
 
4.5%
D 1
 
4.5%
U 1
 
4.5%
C 1
 
4.5%
P 1
 
4.5%
T 1
 
4.5%
Other values (5) 5
22.7%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3 5
13.2%
5 5
13.2%
6 5
13.2%
0 5
13.2%
1 4
10.5%
9 4
10.5%
4 3
7.9%
7 3
7.9%
2 3
7.9%
8 1
 
2.6%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29
45.6%
' 61
21.6%
, 59
20.8%
" 32
 
11.3%
/ 1
 
0.4%
: 1
 
0.4%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2
40.0%
v 1
20.0%
i 1
20.0%
r 1
2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3
92.0%
1
 
4.0%
1
 
4.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3
92.0%
1
 
4.0%
1
 
4.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
50.0%
° 1
5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332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924
73.9%
Common 1710
 
25.7%
Latin 27
 
0.4%
Han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64
 
3.3%
158
 
3.2%
148
 
3.0%
142
 
2.9%
132
 
2.7%
120
 
2.4%
95
 
1.9%
81
 
1.6%
79
 
1.6%
79
 
1.6%
Other values (429) 3726
75.7%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332
77.9%
. 129
 
7.5%
' 61
 
3.6%
, 59
 
3.5%
" 32
 
1.9%
) 23
 
1.3%
( 23
 
1.3%
3 5
 
0.3%
5 5
 
0.3%
6 5
 
0.3%
Other values (18) 36
 
2.1%
Latin
ValueCountFrequency (%)
G 3
 
11.1%
E 3
 
11.1%
L 3
 
11.1%
M 2
 
7.4%
a 2
 
7.4%
O 1
 
3.7%
D 1
 
3.7%
U 1
 
3.7%
v 1
 
3.7%
i 1
 
3.7%
Other values (9) 9
33.3%
Han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924
73.9%
ASCII 1729
 
25.9%
None 5
 
0.1%
CJK 2
 
< 0.1%
Punctuation 2
 
< 0.1%
CJK Compat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332
77.0%
. 129
 
7.5%
' 61
 
3.5%
, 59
 
3.4%
" 32
 
1.9%
) 23
 
1.3%
( 23
 
1.3%
3 5
 
0.3%
5 5
 
0.3%
6 5
 
0.3%
Other values (29) 55
 
3.2%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64
 
3.3%
158
 
3.2%
148
 
3.0%
142
 
2.9%
132
 
2.7%
120
 
2.4%
95
 
1.9%
81
 
1.6%
79
 
1.6%
79
 
1.6%
Other values (429) 3726
75.7%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1
100.0%
CJK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None
ValueCountFrequency (%)
° 1
20.0%
1
20.0%
1
20.0%
1
20.0%
1
20.0%

포장
Text

MISSING 

Distinct124
Distinct (%)97.6%
Missing37
Missing (%)22.6%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26.56982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312
Median length103
Mean length68.165354
Min length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8657
Distinct characters479
Distinct categories11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7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21 ?
Unique (%)95.3%

Sample

1st rowPET팩, 유리병, 종이박스. 200㎖의 PET팩은 1일용, 500㎖ 청색병에 담긴 슈퍼용, 500㎖ 백색병에 담긴 백화점용이 있다. 그리고 종이박스는 500㎖짜리가 3병 담긴 선물용이다.
2nd row까나리 골드 액젓, 까나리 액젓, 멸치 액젓 모두 1.1kg / 2.2kg PET병으로 포장 판매되고 있다.
3rd row4㎏, 2㎏, 1㎏ 단위로 box에 넣어 판매되며, 포장용기 재질은 종이이다. 가격은 4㎏ : 6만원, 2㎏ : 3만원, 1㎏ : 1만 5천원
4th row서천냉각쌀 : 4㎏ 비닐포장, 20㎏ 지대포장서천철새도래지쌀, 동백쌀 : 10㎏ 비닐포장, 20㎏ 지대포장
5th row유리병, 종이박스 (기름을 담는 용기는 유리로 된 병제품이고, 겉포장 용기는 직사각형의 box로서 재질은 종이이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67
 
3.6%
있으며 16
 
0.9%
포장용기는 16
 
0.9%
15
 
0.8%
재질은 14
 
0.8%
박스 14
 
0.8%
12
 
0.6%
포장은 12
 
0.6%
넣어 11
 
0.6%
있고 11
 
0.6%
Other values (1162) 1664
89.8%
2023-12-13T04:11:27.24323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742
 
20.1%
229
 
2.6%
0 212
 
2.4%
, 198
 
2.3%
. 190
 
2.2%
170
 
2.0%
146
 
1.7%
137
 
1.6%
135
 
1.6%
133
 
1.5%
Other values (469) 5365
62.0%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5198
60.0%
Space Separator 1742
 
20.1%
Decimal Number 709
 
8.2%
Other Punctuation 416
 
4.8%
Lowercase Letter 324
 
3.7%
Uppercase Letter 97
 
1.1%
Other Symbol 68
 
0.8%
Math Symbol 33
 
0.4%
Close Punctuation 30
 
0.3%
Open Punctuation 30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29
 
4.4%
170
 
3.3%
146
 
2.8%
137
 
2.6%
135
 
2.6%
133
 
2.6%
125
 
2.4%
124
 
2.4%
122
 
2.3%
101
 
1.9%
Other values (403) 3776
72.6%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P 31
32.0%
E 17
17.5%
C 10
 
10.3%
T 9
 
9.3%
O 4
 
4.1%
L 3
 
3.1%
3
 
3.1%
3
 
3.1%
V 2
 
2.1%
B 2
 
2.1%
Other values (12) 13
13.4%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g 103
31.8%
k 70
21.6%
m 57
17.6%
c 33
 
10.2%
x 20
 
6.2%
l 16
 
4.9%
7
 
2.2%
5
 
1.5%
o 4
 
1.2%
b 3
 
0.9%
Other values (5) 6
 
1.9%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212
29.9%
1 124
17.5%
5 98
13.8%
2 93
13.1%
3 61
 
8.6%
4 43
 
6.1%
6 32
 
4.5%
7 23
 
3.2%
8 17
 
2.4%
9 6
 
0.8%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98
47.6%
. 190
45.7%
: 14
 
3.4%
' 8
 
1.9%
/ 3
 
0.7%
2
 
0.5%
1
 
0.2%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42
61.8%
13
 
19.1%
8
 
11.8%
5
 
7.4%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24
72.7%
4
 
12.1%
+ 4
 
12.1%
1
 
3.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742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0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0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0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5195
60.0%
Common 3043
35.2%
Latin 416
 
4.8%
Han 3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29
 
4.4%
170
 
3.3%
146
 
2.8%
137
 
2.6%
135
 
2.6%
133
 
2.6%
125
 
2.4%
124
 
2.4%
122
 
2.3%
101
 
1.9%
Other values (400) 3773
72.6%
Latin
ValueCountFrequency (%)
g 103
24.8%
k 70
16.8%
m 57
13.7%
c 33
 
7.9%
P 31
 
7.5%
x 20
 
4.8%
E 17
 
4.1%
l 16
 
3.8%
C 10
 
2.4%
T 9
 
2.2%
Other values (26) 50
12.0%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742
57.2%
0 212
 
7.0%
, 198
 
6.5%
. 190
 
6.2%
1 124
 
4.1%
5 98
 
3.2%
2 93
 
3.1%
3 61
 
2.0%
4 43
 
1.4%
42
 
1.4%
Other values (20) 240
 
7.9%
Han
ValueCountFrequency (%)
1
33.3%
1
33.3%
1
33.3%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5195
60.0%
ASCII 3337
38.5%
CJK Compat 68
 
0.8%
None 45
 
0.5%
Letterlike Symbols 5
 
0.1%
Math Operators 4
 
< 0.1%
CJK 3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742
52.2%
0 212
 
6.4%
, 198
 
5.9%
. 190
 
5.7%
1 124
 
3.7%
g 103
 
3.1%
5 98
 
2.9%
2 93
 
2.8%
k 70
 
2.1%
3 61
 
1.8%
Other values (39) 446
 
13.4%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29
 
4.4%
170
 
3.3%
146
 
2.8%
137
 
2.6%
135
 
2.6%
133
 
2.6%
125
 
2.4%
124
 
2.4%
122
 
2.3%
101
 
1.9%
Other values (400) 3773
72.6%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42
61.8%
13
 
19.1%
8
 
11.8%
5
 
7.4%
None
ValueCountFrequency (%)
× 24
53.3%
7
 
15.6%
3
 
6.7%
3
 
6.7%
2
 
4.4%
1
 
2.2%
1
 
2.2%
1
 
2.2%
1
 
2.2%
1
 
2.2%
Letterlike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5
100.0%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4
100.0%
CJK
ValueCountFrequency (%)
1
33.3%
1
33.3%
1
33.3%

찾아가는길
Text

UNIQUE 

Distinct164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4 KiB
2023-12-13T04:11:27.97756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419
Mean length393.09146
Min length8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64467
Distinct characters816
Distinct categories13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7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64 ?
Unique (%)100.0%

Sample

1st row천안역에서 좌회전하여 천안터미널을 지나 시내를 벗어나서 성환·안성방면으로 339번 국도를 따라 가다 보면 우측으로 경부고속도로 진입로가 나오며 이곳을 지나 바로 좌측으로 평화로운 안서저수지를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수질이 악화되어 많이 줄긴 했지만 아직도 이 저수지에는 매년 많은 철새들이 찾아 온다. 안서저수지를 지나 계속 가다 보면 천안일대에서는 가장 큰 '중부농축산물물류센타'를 지나게 되고 곧 바로 성거읍이 나온다. 이 일대는 거봉포도의 주산지답게 도로 양편으로 포도밭이 즐비하게 펼쳐져 있어, 포도수확기에는 장관을 이룬다. 탐스럽게 열린 포도송이를 손질하며 열심히 일하는 농민들의 모습을 보면서 약 10분 정도를 더 가면 거봉포도의 본고장인 입장에 도착할 수 있다. 수확기가 되면 포도밭 한 켠에 원두막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곳을 찾는 외지의 손님들도 싱싱한 포도를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포도밭의 정취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2nd row버스를 타고 까나리 액젓의 깔끔하고 담백한 맛을 보러 가보자. 서천의 유명한 관광지 중의 하나인 춘장대 해수욕장과 마량리 일출이 있는 비인면으로 대천방면의 직행버스와 비인 방면의 일반버스를 타고 국도 21번을 따라 약 30분을 가면 도로변에 자리한 해인수산을 만날 수 있다. 비인면을 가는 길에는 역시 서천 특유의 해안선과 연계된 들판을 감상할 수 있고 비릿한 바다 내음을 즐기며 춘장대 해수욕장에서 시원한 해수욕을 즐길 수도 있다. 비인에서 서면방면으로 20분을 가다보면 해안선을 따라 영양이 풍부한 어민들의 삶의 터전인 갯벌을 만날 수 있고, 해안선을 따라 빨갛게 피어있는 동백꽃도 감상할 수 있다. 이렇게 자연으로부터 받은 선물이 많은 서천군 앞바다에서 잡아 올린 까나리로 만든 액젓이 생산되는 곳이 바로 해인수산이다.
3rd row천안역에서 623번 국도를 따라 풍세·광덕방향으로 가다보면 좌측으로 풍세천이 흐르고 있는데 그 수질이 깨끗하여 여름이면 아이들이 물놀이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풍세면을 지나 광덕 방향으로 가는 중간에는 양옆으로 포도밭과 한가로운 농촌풍경이 펼쳐진다. 광덕면은 호도의 원산지로 유명한 곳이며, 산세가 수려한 광덕산과 광덕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광덕사가 있다. 광덕사에 가까워지면서 길가에는 수령이 오래된 호도나무가 듬성듬성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근처에는 호도나무 집단재배지가 있다. 이 호도나무들은 6월경에 꽃과 열매를 맺어 8월 중순경에 완전히 자라게 된다. 호도수확이 한창인 7∼8월에 이곳을 찾으면 호도를 마음껏 맛볼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도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터미널에서 광덕방향으로 가는 시내버스나 좌석버스를 타면 되는데 배차간격은 40분이다.
4th row한산 부채(공작선)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산에서 만들어져 나오는 제품이다. 한산은 너무나 유명한 것이 많아 찾아가는 길 또한 많이 알려져 있다. 서천읍에서 버스를 타고 한산 방면으로 24번 지방도와 29번 국도를 같이 이용하면 한산면에 도착한다. 한산면내에서 이한규씨 댁을 찾아가려면 한산교회를 찾으면 된다. 한산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한규씨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에 찾는데는 무리가 없을 것이다. 우뚝 솟은 한산교회 옆으로 돌아가면 두 번째 집이 바로 이한규씨의 집이다. 집안에 들어서면 공작선을 만드는 작은 간이 작업실이 있어 공작선을 만드는 장면을 직접 볼 수 있다.
5th row파란 가을하늘과 아주 잘 어울리는 것은 황금색 벼들이 익어 있는 들녘일 것이다. 서천쌀의 주생산지 내포평야, 그 들녘 한 복판에 냉각쌀을 생산해 내는 동서천 미곡처리장이 자리하고 있다. 서천읍에서 10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금당, 화양 방면의 버스를 이용하여 찾아갈 수 있다. 한산 방면으로 23번 군도를 가다보면 우측으로 8번 군도가 금당, 화양 이정표와 함께 있다. 도로 양쪽으로 황금색으로 물들어 가는 벼들과 군데군데 자리하고 있는 한가로와 보이는 농가들이 전형적인 농촌풍경을 자아낸다. 이곳 내포 평야에서 피부로 직접 땅의 기운을 느끼며 깨끗하고 시원한 공기와 함께 천천히 시골의 풍경을 감상해 보기 바란다. 특히 봄과 가을에는 농촌의 부지런함과 따뜻한 인정, 싱그러움과 아름다운 색의 조화, 자연의 풍성함을 함께 느낄 수 있을 것이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321
 
2.1%
가면 198
 
1.3%
166
 
1.1%
나온다 138
 
0.9%
있는 136
 
0.9%
정도 132
 
0.9%
타고 120
 
0.8%
따라 117
 
0.8%
된다 108
 
0.7%
버스를 108
 
0.7%
Other values (6143) 13648
89.8%
2023-12-13T04:11:28.59792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5071
 
23.4%
1535
 
2.4%
1514
 
2.3%
1413
 
2.2%
1260
 
2.0%
. 1175
 
1.8%
1172
 
1.8%
1149
 
1.8%
1059
 
1.6%
972
 
1.5%
Other values (806) 38147
59.2%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46158
71.6%
Space Separator 15071
 
23.4%
Other Punctuation 1560
 
2.4%
Decimal Number 1350
 
2.1%
Lowercase Letter 139
 
0.2%
Other Symbol 45
 
0.1%
Open Punctuation 39
 
0.1%
Close Punctuation 39
 
0.1%
Uppercase Letter 33
 
0.1%
Math Symbol 16
 
< 0.1%
Other values (3) 17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535
 
3.3%
1514
 
3.3%
1413
 
3.1%
1260
 
2.7%
1172
 
2.5%
1149
 
2.5%
1059
 
2.3%
972
 
2.1%
822
 
1.8%
793
 
1.7%
Other values (752) 34469
74.7%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90
64.7%
k 27
 
19.4%
6
 
4.3%
s 3
 
2.2%
e 2
 
1.4%
i 2
 
1.4%
n 2
 
1.4%
b 1
 
0.7%
c 1
 
0.7%
a 1
 
0.7%
Other values (4) 4
 
2.9%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C 7
21.2%
K 6
18.2%
I 6
18.2%
T 4
12.1%
S 3
9.1%
U 1
 
3.0%
G 1
 
3.0%
Y 1
 
3.0%
A 1
 
3.0%
P 1
 
3.0%
Other values (2) 2
 
6.1%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320
23.7%
1 267
19.8%
2 210
15.6%
5 174
12.9%
3 133
9.9%
4 96
 
7.1%
6 59
 
4.4%
9 42
 
3.1%
7 31
 
2.3%
8 18
 
1.3%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175
75.3%
, 279
 
17.9%
' 60
 
3.8%
· 27
 
1.7%
" 10
 
0.6%
/ 5
 
0.3%
! 2
 
0.1%
% 1
 
0.1%
1
 
0.1%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5
93.8%
1
 
6.2%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5071
10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45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9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9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3
100.0%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2
100.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6158
71.6%
Common 18137
 
28.1%
Latin 172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535
 
3.3%
1514
 
3.3%
1413
 
3.1%
1260
 
2.7%
1172
 
2.5%
1149
 
2.5%
1059
 
2.3%
972
 
2.1%
822
 
1.8%
793
 
1.7%
Other values (752) 34469
74.7%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5071
83.1%
. 1175
 
6.5%
0 320
 
1.8%
, 279
 
1.5%
1 267
 
1.5%
2 210
 
1.2%
5 174
 
1.0%
3 133
 
0.7%
4 96
 
0.5%
' 60
 
0.3%
Other values (18) 352
 
1.9%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90
52.3%
k 27
 
15.7%
C 7
 
4.1%
K 6
 
3.5%
I 6
 
3.5%
6
 
3.5%
T 4
 
2.3%
s 3
 
1.7%
S 3
 
1.7%
e 2
 
1.2%
Other values (16) 18
 
10.5%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6158
71.6%
ASCII 18210
 
28.2%
CJK Compat 45
 
0.1%
None 34
 
0.1%
Math Operators 15
 
< 0.1%
Punctuation 4
 
< 0.1%
Arrows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5071
82.8%
. 1175
 
6.5%
0 320
 
1.8%
, 279
 
1.5%
1 267
 
1.5%
2 210
 
1.2%
5 174
 
1.0%
3 133
 
0.7%
4 96
 
0.5%
m 90
 
0.5%
Other values (36) 395
 
2.2%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535
 
3.3%
1514
 
3.3%
1413
 
3.1%
1260
 
2.7%
1172
 
2.5%
1149
 
2.5%
1059
 
2.3%
972
 
2.1%
822
 
1.8%
793
 
1.7%
Other values (752) 34469
74.7%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45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 27
79.4%
6
 
17.6%
1
 
2.9%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15
100.0%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2
50.0%
2
50.0%
Arrows
ValueCountFrequency (%)
1
100.0%

Correlations

2023-12-13T04:11:28.72171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분류지역명내용
분류1.0000.2291.000
지역명0.2291.0001.000
내용1.0001.0001.000
2023-12-13T04:11:28.82935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지역명분류
지역명1.0000.091
분류0.0911.000
2023-12-13T04:11:28.92279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분류지역명
분류1.0000.091
지역명0.0911.000

Missing values

2023-12-13T04:11:15.99642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3-12-13T04:11:16.51083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2023-12-13T04:11:16.66526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The correlation heatmap measures nullity correlation: how strong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variable affects the presence of another.

Sample

분류지역명명칭생산자명칭의유래형성배경경위자원분포및생산조건내용특성상표포장찾아가는길
0식생활분야천안시거봉포도식초밀알영농조합(대표:조동업)우리나라에 오늘날과 같은 개량종 포도가 처음 도입된 것은 1906년 경이지만, 거봉이라는 품종이 도입된 것은 1960년 말로 비교적 최근이다. 포도는 재배하기가 용이해서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되고 있지만 천안입장지역은 전체 포도재배 면적의 72% 정도를 거봉포도만 재배하는, 단일지역으로는 전국 최대의 거봉포도 주산지이다. 입장일대에서 생산되는 거봉포도는 알이 굵고 당도가 높으며 다른 곳보다 품질이 뛰어나다. 각 농가들은 품질이 뛰어난 거봉포도만을 상품으로 출하하고 남은 포도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가공식품들을 생각하게 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거봉포도식초'이다. 1990년대 초부터 거봉포도를 생산하는 작목반들이 중심이 되어 생과(生果) 형태로 출하하고 남는 포도나 혹은 상품가치나 낮은 하품의 포도를 부가가치가 더 높은 제품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실험과 시장조사를 실시해 왔다. 어느 제품이 소비자에게 가장 필요하며 꾸준히 판매될 수 있는지, 또 포도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상품이 무엇인지 등을 면밀히 조사해 본 결과를 토대로 거봉포도를 이용한 식초개발에 착수했다. 예로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건강을 유지하고 보조하는 식품으로 널리 이용되어온 것이 식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생산된 것이 '입장거봉포도식초'이다. 현재, 이 거봉포도식초를 생산하고 있는 밀알영농조합법인은 1995년 1월에 설립되었으며 조합원수는 250명이다. 이 법인의 조합원들은 입장지역의 포도재배농가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기술수준이 높아서 알이 굵고 당도가 높은 거봉포도를 생산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으며, 자체적인 유통시설을 갖추는 등 생산은 물론 유통합리화에도 노력하고 있다. 밀알영농조합법인에서는 그동안 소규모로 이루어져 오던 포도식초를 좀더 과학적이고 상품가치가 높은 제품으로 개발함으로써 현재는 거봉포도식초의 대표적인 생산자로 자리잡게 되었다.1990년 초부터 개별농민이나 작목반을 중심으로 상품으로 출하하고 남은 거봉포도를 처리하는 방안을 연구하던 중 자체 가공을 통한 부가가치 증대를 도모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여러 가지 가공식품을 고려하였으나, 자체적인 시장조사결과를 토대로 농가들의 의견을 모은 뒤 '거봉포도식초'를 생산하게 되었다. 이 때 포도식초가공에 참여했던 농민들이 중심이 되어 1995년 밀알영농조합법인을 결성하였고, 현재는 이 영농조합법인이 직접 거봉포도식초를 생산하고 있다.거봉포도식초의 주원료가 되는 거봉포도는 밀알영농조합법인의 조합원들이 5천평의 부지에서 직접 재배하는 거봉포도만을 사용하고 있다. 원래, 거봉포도는 1937년 일본에서 처음 개발된 품종으로 1968년에 국내에 도입되어 입장과 성거지역을 중심으로 뿌리를 내린 후 현재는 천안의 성환, 직산지역과 함께 천안지역의 명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입장에서는 총 재배면적의 72%가 거봉포도 재배면적이다. 대부분의 농가가 작목반 형태로 거봉포도를 재배하고 있는데 현재 밀알영농조합법인에서 생산하고 있는 거봉포도식초는, 법인이 만들어지기 훨씬 전부터 몇몇 농가들에 의해 자체적으로 생산되어 왔다. 즉, 생과형태로 출하하고 남은 포도나 혹은 시장출하가 불가능한 하품의 포도를 가지고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얻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던 농가들이 거봉포도를 이용한 포도식초를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개별농가 단위에서 소규모로 생산되어 오던 거봉포도식초는 1993년 충남 제26호 전통식품으로 지정받은 후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가게 되었다. 동년 9월에는 농협의 지원을 받아 기로리에 공장을 준공하였다. 그리고 포도가공기계, 주입기, 포장기, 살균기, 세병기, 각종실험장비 등을 갖추고 본격적으로 거봉포도식초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95년에 밀알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하였다. 조합원수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 지금은 260명이나 된다. 이곳은 1,397㎡의 발효시설, 집하장, 창고, 작업장, 실험실 및 부대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밀알영농조합법인에서 생산되는 거봉포도식초는 연간 약 1백50톤정도이며 이것은 입장농협을 통해 전국 농협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그동안 이 법인에서는 해마다 좋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대가로서 1997년 2월에는 농협중앙회 협동조직대상을 받기도 하였다.거봉포도밀알영농조합법인에서 생산되고 있는 거봉포도식초는 백퍼센트 입장산 거봉포도를 사용한다. 입장은 토질이 척박하고 배수가 잘 되는 사질토양이면서 일조량이 많고 강우량이 알맞아 포도생육의 최적조건을 가진 지역이다. 이러한 자연조건은 이 지역농민들의 포도재배기술과 결합하여 해마다 우수한 품질의 거봉포도를 생산하는 토대가 되고 있다.<NA>우리나라에서 포도식초가 언제부터 제조되었는가는 분명하지 않지만, 시중에서 판매되는 상품으로 본격적인 선을 보인 것은 1995년 밀알영농조합이 생산한 제품인 거봉포도식초가 그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밀알영농조합법인이 결성되기 이전에도 이 법인의 조합원들(당시는 작목반원)에 의해 소량의 포도식초가 생산되어 온 것은 사실이다. 포도식초는 2년간 발효를 시켜야 제대로 된 제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제품생산에 큰 애로점이 있었고, 이런 점에서 보면 법인이 만들어지기 이전까지는 보다 좋은 포도식초를 제조하기 위한 준비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토대로 밀알영농조합법인에서는 양질의 거봉포도식초를 생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포도생육에 알맞은 천혜의 자연조건과 오랜 노하우가 결합하여 생산된 입장거봉포도만을 원료로 한 무색소, 무방부제, 무알콜의 자연발효 거봉포도식초는 상쾌하고 독특한 맛이 일품이다. 거봉포도식초는 알카리성 식품으로 체질개선에 좋고, 피로회복에 효과가 크며 피를 깨끗이 정화시키고 변비, 감기 등에도 효과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항암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져 학계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는 식품이다. 거봉포도식초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거봉포도를 깨끗이 세척한 뒤 부패된 것을 가려내어 파쇄하고 항아리에 담아 1차 발효(알콜발효)시킨다. 즉, 먼저 포도주를 만드는 것이다. 그 다음 3개월간의 숙성기간을 거친 포도주를 깨끗하게 여과하여 주액만을 새항아리에 담아 다시 9개월간 2차 발효(초산발효) 시킨다. 이렇게 만들어진 거봉포도식초는 여과-살균과정을 통해 포장용기에 넣어 상품으로 만든다. 이렇게 생산된 거봉포도는 농협을 통해 전국농협에서 판매되고 있다.거봉포도식초PET팩, 유리병, 종이박스. 200㎖의 PET팩은 1일용, 500㎖ 청색병에 담긴 슈퍼용, 500㎖ 백색병에 담긴 백화점용이 있다. 그리고 종이박스는 500㎖짜리가 3병 담긴 선물용이다.천안역에서 좌회전하여 천안터미널을 지나 시내를 벗어나서 성환·안성방면으로 339번 국도를 따라 가다 보면 우측으로 경부고속도로 진입로가 나오며 이곳을 지나 바로 좌측으로 평화로운 안서저수지를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수질이 악화되어 많이 줄긴 했지만 아직도 이 저수지에는 매년 많은 철새들이 찾아 온다. 안서저수지를 지나 계속 가다 보면 천안일대에서는 가장 큰 '중부농축산물물류센타'를 지나게 되고 곧 바로 성거읍이 나온다. 이 일대는 거봉포도의 주산지답게 도로 양편으로 포도밭이 즐비하게 펼쳐져 있어, 포도수확기에는 장관을 이룬다. 탐스럽게 열린 포도송이를 손질하며 열심히 일하는 농민들의 모습을 보면서 약 10분 정도를 더 가면 거봉포도의 본고장인 입장에 도착할 수 있다. 수확기가 되면 포도밭 한 켠에 원두막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곳을 찾는 외지의 손님들도 싱싱한 포도를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포도밭의 정취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1식생활분야서천군까나리 액젓<NA>까나리는 까나리과에 속하는 생선으로 학명은 `AMMODYTES PERSONATUS GIRAD` 이며, 영명은 `SAND LANCE`로서 수명은 약 3년으로 전장 25cm까지 자란다. 몸의 모양은 원통형으로 길고 머리는 작으며 눈은 머리의 옆면 중앙에 있다. 주둥이는 길고 끝은 뾰족하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어서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지느러미가 없으며 피부 주름이 수평으로 나타난다. 몸의 등쪽은 짙은 황갈색이고 배쪽은 은백색이며 몸의 옆면에 특별한 반문은 없다. 꼬리지느러미만 짙은 갈색을 띠고 다른 지느러미는 무색 투명하다. 생활습성이나 분포를 보면 가까운 바다에 살며 여름에는 모래바닥에서 여름잠을 자는 습성이 있다. 특히 산란기인 봄철에는 서해안에서 많이 잡히며, 서해 안쪽 바다에서부터 북상해가며 서서히 자라기 시작한다. 따라서 서천 앞바다에서는 예로부터 5-10cm정도의 작은 까나리가 많이 잡혀왔으며, 어민들이 삶아 말려서 반찬용이나 안주용으로 팔아 소득원이 되어왔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소득이 증가하고 먹거리가 다양해지면서 건조 까나리를 찾는 양이 줄자 어민들은 젓갈로 담가 먹기도 하고 팔기도 하게 되었다. 맛이 담백해 인기가 있게 되자 1990년대에 들어서는 대기업들과 많은 자본가가 공장화하여 대량생산에 접어들게 된 것이다.서울과 대구에서 태어나 고려대 생물학과와 이화여대 생물학과를 졸업한 박규갑씨와 이영옥 부부는 약 7년 전 서울의 대신생명의 특수영업부장으로 있던 중 부친과 장인의 별세로 평소 시골을 동경하던 참에 서울을 떠나기로 결심, 바다낚시 차 몇 번 와본 적 있는 서천으로 이사했다. 그리고 해인수산이라는 조그마한 액젓회사를 만들었다.'올바르고 진실한 제품으로 제값을 받으며 소비자에게 신뢰를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을 바탕에 둔 해인수산은 1994년 액젓 사업을 처음 시작했다. 고려대 생물학과를 졸업한 박규갑씨는 전공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학술적인 제품개발을 시도해 액젓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순수한 전통 자연 발효방식과 철저한 위생관리로 발효 및 숙성과정의 이원화와 그에 따른 공정의 장기화로 100% 원액젓으로 천연의 무공해 식품을 생산해 내는데 성공했다. 또한 부인 이영옥씨와 함께 끊임없는 액젓 연구에 주력한 결과 주부들에게 크게 인기를 얻고 있는 까나리에 새우를 첨가한 까나리 액젓 골드를 생산했다. 탄탄한 기술력과 위생적인 공정을 통해 첨가물을 전혀 넣지 않아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은 까나리 액젓은 주부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다. 이에 98년 8월에는 우편판매 선정업체로 선정되었고, 바른먹거리운동단체, 한살림공급업체, 민우회, 생협중앙회 등 제품품질 선정이 까다로운 단체 등에서 주문하기도 했다. 1998년에는 해양수산부장관 전통식품 품질인증을 획득했으며 94년 서울사무소와 함께 2000년 경인사무소를 개소했다. 금년 2000년에는 99년 축협중앙회 공급계약체결에 이어 농협중앙회에도 공급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인수산에서 만들어지는 까나리 액젓은 맛과 향이 뛰어난 고품질액젓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고유의 발명품을 개발하여 특허를 출원한 회사로서 이웃의 건강을 염려하는 마음으로 정성을 다하고 있다.까나리, 천일염, 새우, 멸치까나리 액젓은 서해 최북단인 백령도에서부터 서해안 전역에 걸쳐 수심 3-4m의 얕은 바다에서 4-6월경 잡히는 까나리를 숙성시켜 만든다. 까나리는 까나리과에 속하는 몸통이 가늘고 긴 어류로 까나리 액젓은 13-15cm크기의 1년 생 까나리를 원료로 사용한다. 뼈가 연하고 내장이 발달하지 않아 액젓을 담그기에 좋기 때문이다. 까나리는 1년 내내 잡히지만 4-6월이 지나면 뼈도 단단해지고 몸체가 커 액젓 원료로는 적합치 않다. 해인수산의 향토 까나리 액젓은 비인 반도 근해 청정해역에서 막 잡은 10cm정도의 작은 까나리와 1년 묵은 천일염 외에는 일체의 첨가물 없이 절여 하나하나 정성 들여 발효시킨다.<NA>예로부터 비인반도는 바다가 맑고 어종이 풍부하기로 이름난 곳으로, 해인수산의 제품은 전량 이곳에서 잡히는 신선한 까나리와 멸치 및 새우를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까나리 액젓의 특징은 다른 액젓과 달리 생선 특유의 비린내가 거의 없으면서 담백한 맛과 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까나리 액젓을 만드는 방법은 지극히 간단하다. 하루에 2번 간조와 만조 때 미리 쳐놓은 그물에 걸린 1년생 까나리를 통째로 소금과 7:3의 비율로 고루 섞어 발효통에 담아 발효실에서 6개월, 숙성실에서 1년을 보내며, 숙성이 진전되면 까나리의 형체는 완전 분해해 가라앉고 맑은 젓만 용기 위로 뜨는데 이것이 까나리 액젓이다. 이를 가공탱크로 모아 침전물이 섞이지 않게 2-3차례 가는 체로 거른 뒤 소포장 단위로 포장, 상품화한다. 해인수산에서는 까나리 액젓에 새우를 첨가한 까나리 액젓 골드를 만들어 냈는데, 예로부터 김치를 담글 때 육젓을 넣어서 김치를 담가온 것에 착안해 처음부터 까나리에 새우를 넣어 액젓을 만들면 비싼 새우를 소매로 사는부담을 줄이고 구하기 힘든 생새우를 어렵게 구하여 쓰는 불편함을 덜어 줄 수 있어 경제성이 있겠다는 생각에서 제품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까나리 액젓 골드는 까나리 61%에 새우15%, 정제염 24%를 배합해 만든다. 많은 실험과 시행착오 끝에 새우를 15% 넣어야 김치를 담갔을 때 가장 맛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화학조미료나 다른 양념을 넣지 않고 자연 그대로 제조되며 섞는 소금도 서해안에서 생산되는 천일염이어서 말 그대로 100% 무공해식품이다. 대부분의 젓갈이 김치 담그기에 들어가거나 젓갈 자체로 식용화 되지만 까나리 액젓은 김치뿐 아니라 간장을 대신하기도 한다. 김치에 넣으면 비린내가 나지 않고 익었을 때 시원한 맛과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나물을 무칠 때나 국을 끓일 때 넣는 간장이나 조미료 대신 액젓을 넣으면 감칠맛이 난다. 특히 불고기를 잴 때 넣으면 고기가 연해지고 육고기 특유의 역겨운 냄새가 사라진다. 특히 간장과 까나리 액젓을 5:5비율로 섞향토 까나리 골드 액젓, 향토 까나리 액젓, 향토 멸치액젓 등이 있다.까나리 골드 액젓, 까나리 액젓, 멸치 액젓 모두 1.1kg / 2.2kg PET병으로 포장 판매되고 있다.버스를 타고 까나리 액젓의 깔끔하고 담백한 맛을 보러 가보자. 서천의 유명한 관광지 중의 하나인 춘장대 해수욕장과 마량리 일출이 있는 비인면으로 대천방면의 직행버스와 비인 방면의 일반버스를 타고 국도 21번을 따라 약 30분을 가면 도로변에 자리한 해인수산을 만날 수 있다. 비인면을 가는 길에는 역시 서천 특유의 해안선과 연계된 들판을 감상할 수 있고 비릿한 바다 내음을 즐기며 춘장대 해수욕장에서 시원한 해수욕을 즐길 수도 있다. 비인에서 서면방면으로 20분을 가다보면 해안선을 따라 영양이 풍부한 어민들의 삶의 터전인 갯벌을 만날 수 있고, 해안선을 따라 빨갛게 피어있는 동백꽃도 감상할 수 있다. 이렇게 자연으로부터 받은 선물이 많은 서천군 앞바다에서 잡아 올린 까나리로 만든 액젓이 생산되는 곳이 바로 해인수산이다.
2식생활분야천안시광덕호도<NA>광덕호도는 지금으로부터 약 700년전 고려 말 충렬왕 때(1290년경) 이 고장 출신인 영밀공 유청신이 원나라에 왕을 따라 사신으로 갔다가 그곳에서 맛본 호도에 매혹되어 다음 해 귀국할 때 묘목 3그루와 종자 5개를 얻어 가지고 와서 그의 고향인 천안의 봉화산(광덕)에 심은 것으로 부터 유래한다. 광덕면 일대는 호두 주산지답게 많은 호도나무가 있는데, 광덕산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광덕사의 보화루 앞에 남아 있는 6그루의 고목은 수령이 대부분 4백년이 넘은 것이고, 그중 둘레가 4m인 거목도 있다. 이 고목군은 처음 들여온 시조나무의 2대쯤 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호도나무는 국내 최고령이다. 유청신은 처음에 그 과실의 이름을 알지 못했는데, 적당한 이름을 찾다가 호지(원나라)에서 가져왔고 과실모양이 복숭아와 같다하여 호(胡)자와 도(挑)자를 따서 '호도'라고 부르게 되었다. '광덕호도'라는 명칭은 누구나 알수 있듯이 '호도'라는 명칭에 호도의 주산지인 '광덕'이라는 지명이 붙혀진 것이다.<NA><NA>광덕호도광덕호도는 맑고 깨끗한 차령산맥 청정지역인 광덕산자락 사질토양에서 일조량이 적은 최적의 자연조건에서 생산되고 있다. 광덕호도나무는 광덕산 뿐만아니라 광덕면 일대의 어느 마을에서나 재배되고 있다. 광덕면 일대는 전국 호도생산량의 40%가 생산되는 우리나라 호도의 주산지이다.<NA>이곳 광덕면은 토질과 여러환경(일조량) 조건이 호도나무를 재배하는데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어 지금까지 별다른 어려움 없이 호도주산지로서의 명성을 유지해 오고 있다. 호도나무는 가래나무과 가래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서 높이가 20m 까지 자란다. 우리나라에는 가래나무와 호도나무 2종이 자라고 있으나 자생종은 가래나무뿐이며, 호도나무는 중국에서 도입된 것이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밋밋하지만 나무가 클 수록 점차 길게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개화하고 6월에 성숙하며 호도열매는 둥글고 털이 없으며 단단한 과실의 내부는 4개의 방으로 나누어져 있다. 호도수확은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모두 사람손으로 일일이 따야 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호도 수확기가 되면 마을사람들이 품앗이 형태로 집집마다 돌아가며 협동으로 수확작업을 한다. 호도는 윈래 병충에 강해서 특별히 별도의 방제가 필요 없지만, 특히 광덕호도는 농약을 치지 않고 자연 상태 그대로 자란 것이다. 수확한 호도는 약간의 수분을 제거한 뒤 수동으로 호도의 겉피를 제거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겉피를 제거한 호도알을 가지런히 햇살에 말린 후 판매한다. 이렇게 생산되는 광덕호도는 다른 고장의 호도보다 껍질이 얇고 내용이 실한 것이 장점이다. 생산량의 3분의 1정도는 과자제조 원료로 이용되며 나머지는 간식용, 의약품, 한약재 원료 등으로 사용된다.천안광덕호도4㎏, 2㎏, 1㎏ 단위로 box에 넣어 판매되며, 포장용기 재질은 종이이다. 가격은 4㎏ : 6만원, 2㎏ : 3만원, 1㎏ : 1만 5천원천안역에서 623번 국도를 따라 풍세·광덕방향으로 가다보면 좌측으로 풍세천이 흐르고 있는데 그 수질이 깨끗하여 여름이면 아이들이 물놀이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풍세면을 지나 광덕 방향으로 가는 중간에는 양옆으로 포도밭과 한가로운 농촌풍경이 펼쳐진다. 광덕면은 호도의 원산지로 유명한 곳이며, 산세가 수려한 광덕산과 광덕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광덕사가 있다. 광덕사에 가까워지면서 길가에는 수령이 오래된 호도나무가 듬성듬성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근처에는 호도나무 집단재배지가 있다. 이 호도나무들은 6월경에 꽃과 열매를 맺어 8월 중순경에 완전히 자라게 된다. 호도수확이 한창인 7∼8월에 이곳을 찾으면 호도를 마음껏 맛볼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도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터미널에서 광덕방향으로 가는 시내버스나 좌석버스를 타면 되는데 배차간격은 40분이다.
3기타생활분야서천군공작선(부채)이한규공작선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사기의 견훤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경명왕 2년(918년)에 궁예의 부하 장수가 그를 퇴위시키고 왕건을 추대해 왕위에 오르게 하자 견훤은 이 소식을 듣고 일길찬 민극을 파견해 이에 하례하고 공작선과 지리산의 죽전을 보내 경축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은 10세기에 이미 부채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며 순 임금이 현인을 구하여 문견을 넓히고자 五明扇(오명선)을 만들었던 것과 같이 국교품으로서의 부채의 면모를 또한 알 수 있게 한다. 공작선은 부채 선(扇)자가 들어 있어 글자만 보아서는 부채의 이름 같지만 실은 조상 때부터 벽걸이 장식용으로 즐겨 쓰던 기물이다.조선말엽 조부인 이군중 옹이 공작선 2점을 가보로 물려주면서 “이 공작선은 고려때부터 전해 내려온 귀한 부채인데 이를 팔지도 말고 가업으로 이어가라”는 유언을 남겨 이한규씨는 물론 아들 이광구씨에 이르기까지 4대를 가업으로 잇고 있다.산암 이한규씨는 부여군 규암면 두리에서 태어나 부친 이을용씨 곁에서 잔일을 도우면서 기술을 터득, 20세에 이르러 혼자 공작선을 만들기 시작했다. 조선시대 때만 해도 다양한 용도에 수많은 종류의 부채를 사용해온 우리나라였으나 일제시대에 접어들면서 값싸고 가볍고 다소 편리한 일본 부채가 많이 들어옴에 따라 부채 제조업자들은 많은 타격을 받았다. 이런 와중에도 고집스럽게 공작선을 만들며 평생의 업으로 삼아 4대째 가업을 잇는 산암 이한규씨 일가는 조선시대의 장인 집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한규씨가 만든 공작선은 투박하면서도 우아하다. 우리 조상들의 솜씨를 그대로 이어온 전통비법의 부채라는 철인 낙관이 찍혀 그동안 서울 골동품 상가나 외국인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끌어 왔다. 그러나 시장개발에 따라 수요가 점차 줄어들고 있어 이한규씨에 의해 제작된 공작선은 관광상품의 하나로 남게 되어 아쉬움을 더해가고 있다. 이한규씨의 공작선은 미국LA에서 열린 부채 전시회에선 TV에 방영되기도 했고, 전국공예품 경진대회에서도 여러 차례 입상을 하기도 했다. 상패만 해도 8개나 된다. 기계를 도입하면 순식간에 수천 개의 부채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돈도 많이 벌 수 있지만 우리의 전통적인 고유한 맛을 느낄 수 없어 순수한 전통방법으로 맥을 이어가고 있다. 1999년 이한규씨의 뒤를 이어 아들 이광구, 유진손부부가 공작선 보유전수자로 지정됐으며, 4대의 가업을 잇기 위해 이광구씨의 딸 또한 기술을 배우고 있는 중이다. 현재 공작선은 여러 곳에 전시되어 있는데 서울 경복궁과 이태원의 천용상사(주), 민속당, 남대문 한누리상회에 전시판매 되고 있다. 구입을 원하는 소비자가 있으면 전시장이나 한산의 이한규씨에게 주문을 하면 우아한 전통적인 공작선을 받아 볼 수 있다.단단한 나무(박달나무, 괴목나무, 살구나무, 쭉나무, 대나무), 한지.대나무는 3-5년 이상 된 것 중에서 음력 7월 15일 전후 1개월 동안에 벤 대나무나, 9월 그믐께부터 이듬해 2월까지의 한산 일대에서 생산되는 대나무를 사용하는데 이는 이 시기의 대나무가 벌레가 슬지 않고 질이 좋기 때문이다. 한지는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한지공장에서 제작 및 주문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그곳에서 생산된 한지가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한지보다 공작선을 만들 수 있는 크기에 맞춰 크게 나오기 때문이다. 나무는 단단한 나무를 사용하는데 괴목나무와 박달나무는 서울에서 구입해 오며 그 외는 한산면 일대에서 구입한다.<NA>마치 날개를 활짝 편 모습을 연상케 하여 그야말로 고풍스런 멋을 자아내는 공작선은 만드는 모든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가장 질이 좋은 괴목나무나 박달나무로 공작의 머리모양으로 자루를 깎고 대나무를 하나하나 손으로 깍아 살을 만들어 까칠한 부분을 잘 손질한다. 공작모양자루에 톱으로 살이 들어갈 부분을 켜서 대나무 살을 박아 불에 구워 꼬리 모양대로 구부려 놓고, 이때 살이 틀어지지 않게 벽돌 같은 무거운 것으로 눌러 놓는다. 전체적인 공작모양이 만들어지면 염색한 한지를 붙이며 이것에 사용하는 한지는 이한규씨가 직접 염색을 한다. 염색한 한지와 무명천을 번갈아 가면서 살에 붙이는데 한지를 겉쪽에, 무명은 안쪽에 각각 2겹씩 붙인다. 잘 붙인 다음 스폰지나 천을 이용하여 틈새가 생기지 않게 발로 밟아 주고, 강하지 않은 햇볕에 잘 말려 재벌 풀칠을 하면 시원한 부채 모양이 거의 나온다. 이곳에 습기나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처리를 하며 공작의 꼬리 모양에 대고 칼로 잘라 공작부채 모양을 만들어 준다. 공작선을 만드는 마지막 과정은 부채 끝 테두리를 검정 한지로 붙여 마무리하고 붓으로 공작의 깃털 모양을 그려 넣어 주면 된다. 하나의 공작선이 만들어지는데 3-4일이라는 긴 시간이 필요하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작선은 '이한규'라는 낙관이 찍혀 여러 골동품 가게에서 외국인들에게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다.공작선 손잡이 뒷면에 '산암 이한규'라는 철인낙관을 찍는다.<NA>한산 부채(공작선)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산에서 만들어져 나오는 제품이다. 한산은 너무나 유명한 것이 많아 찾아가는 길 또한 많이 알려져 있다. 서천읍에서 버스를 타고 한산 방면으로 24번 지방도와 29번 국도를 같이 이용하면 한산면에 도착한다. 한산면내에서 이한규씨 댁을 찾아가려면 한산교회를 찾으면 된다. 한산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한규씨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에 찾는데는 무리가 없을 것이다. 우뚝 솟은 한산교회 옆으로 돌아가면 두 번째 집이 바로 이한규씨의 집이다. 집안에 들어서면 공작선을 만드는 작은 간이 작업실이 있어 공작선을 만드는 장면을 직접 볼 수 있다.
4식생활분야서천군냉각쌀차돈희(동서천농협)냉각쌀이란 쌀의 영양분과 맛이 그대로 유지되는 3℃-5℃의 온도로 저온저장하여 1년 내내 햅쌀 밥맛을 유지하는 고품위 쌀이다. 벼의 수분이 16%-17%인 상태의 벼를 건조 과정 없이 냉각기를 활용하여 쌀 속의 영양분과 맛이 그대로 유지되는 3℃-5℃의 온도로 저온 저장하여 가을철 햅쌀밥맛을 그대로 유지하는 보관과정을 거친 쌀이다. 언뜻 생각하기엔 쌀을 얼리는 것이 아닌가 하겠지만 중저온 건조저장기법을 활용하여 냉동기를 설비한 저온저장시설에서 저장하는 쌀이기 때문에 '냉각쌀'이라는 이름을 붙였다.최고의 품종만을 엄선, 일반수매 가격보다 더 비싸게 수매하여 농민소득에 보탬이 되고 영양과 맛을 그대로 유지하는 냉각저장시설을 도입해 365일 한결같이 햅쌀 밥맛을 볼 수 있는 다른 쌀과의 차별화 된 고품질 쌀의 생산에 주력하고자 함이다.서천쌀, 서천철새도래지쌀, 동백쌀로 알려진 서천에서 생산되는 쌀은 서천의 비옥한 간척지인 내포 평야와 바다를 막아 만든 부사간척지 등에서 생산되는 쌀이다. 동서천농협은 이곳에서 생산되는 쌀을 엄선하여 햅쌀밥맛을 1년 내내 맛볼 수 있는 냉각쌀을 개발해 냈다. 서천군 화양면에 위치한 미곡종합 처리장에서 산물 수매한 벼를 3-5℃의 저온으로 저장, 수분16-17%의 촉촉한 상태에서 영양과 맛을 그대로 유지하는 냉각시설을 도입해 본격적으로 고품질 냉각쌀을 생산해 내고 있는 것이다. 일품쌀 800t을 엄선해 수분과 온도를 자동조절하는 첨단 저장시설에 저장, 주문 때마다 도정해 판매하고 있고, 각 지역의 농협은 물론 2000년 3월부터는 소비지물류센터와 대도시 백화점 등에도 판매하고 있다. 미곡종합처리장 냉각저장시설은 400t 규모 2개 동의 저장고와 온도조절용 냉각기로 구성돼 있는데 보조와 융자금 3억 6천만원을 포함해 모두 7억원을 들여 1999년 6월에 설치했다. 동서천농협이 2년여의 준비 끝에 2000년 4월부터 시판된 서천냉각쌀은 상표와 의장을 출원, 등록해 서천철새도래지쌀, 서천쌀과 함께 서천의 주 특산품이 되고 있다. 한국식품개발원에 의뢰해 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상온에서 건조, 저장, 보관한 일반 쌀보다 윤기가 높고 맛과 영양 등 품질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서천의 쌀은 서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바다를 막아 염기를 제거한 부사간척지에서 최고의 기술로 시험영농을 거쳐 재배된 쌀이다. 농약이나 비료 등을 최저로 살포하고 벼의 품종 중 밥맛 면에서 가장 우수한 일품벼를 재배하여 동서천농협에서 계약수매하고 있다. 예로부터 임금님 진상미 생산지로 알려진 내포평야의 간척지 점질토양에서 철저한 일품벼 계약재배에 의해 지도지원 및 엄격한 품질검사와 저공해 생산재배를 거친다. 이렇게 생산된 벼 중에서 냉각쌀의 조건은 저공해농사기법을 갖추어 생산되고 만생종(일품벼 100%) 수분함유 정도가 16%-17% 상태인 벼만을 농산물품질관리원의 지도감독 하에 엄격한 자체검사를 거쳐 수매한 것이어야 한다.<NA>엄격한 선별과정을 통해 수매된 일품벼를 저장저온시설에 저장하여 냉각쌀이 만들어지는데 그 비결은 냉각기이다. 동서천농협 미곡종합처리장에 설치된 냉각기는 한국식품개발연구원과 한성공업(주)이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로 컴퓨터에 의해 말리지 않은 상태의 산물벼를 저장한 탱크에 찬 공기를 주기적으로 불어넣어 탱크 아래부터 위까지 일정온도(3-5℃)와 습도 (16-17%)를 자동으로 유지시켜 준다. 이렇게 하면 벼의 호흡작용이 멈춰 산화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영양이 파손되지 않고 각종 미생물과 해충의 활동도 멈춰 감모율도 크게 줄일 수 있고, 가을철 햅쌀밥맛을 그대로 유지, 보관할 수 있다. 한국식품연구원 김동철 박사의 중저온 건조저장기법을 활용한 고품위쌀 생산기술의 개발이라는 보고서에서 189일 동안 저온저장한 벼와 상온저장한 벼를 동일 조건하에서 가공하여 식미 검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저온으로 저장한 시료가 상온으로 저장한 시료에 비해 윤기의 정도, 색의 감도, 외관의 품질, 맛의 품질 및 전체적인 품질평가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동서천농협은 이 방법을 택해 냉각기를 활용하여 저온저장, 보관하는 방법으로 냉각쌀을 만들어낸 것이다. 두 번의 시식회를 통해 찹쌀을 섞은 듯 차지고 윤기가 흐르고 맛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직접 밥을 지어본 사람들은 물에 담그지도 않았는데 찰기가 가을철 막 수확해 찧어 지은 밥 같다는 평가를 하기도 했다. 생산 수매되는 일품벼 만을 선정해 800t을 냉각기에 보관, 주문 때마다 도정해 판매하고 있고 인터넷이나 동서천농협에 전화로 언제든지 주문하면 받아볼 수 있다. 가격은 다른 쌀에 비해 5천원 정도가 비싸지만 품질만큼은 최고라고 자신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후회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냉각쌀을 주문하여 밥을 짓고 서천의 특산품인 자하젓과 서천김을 반찬 삼아 저녁상을 차린다면 풍성하고 맛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서천 냉각쌀, 서천 철새도래지쌀, 서천 동백쌀이라는 상표가 있다.서천냉각쌀 : 4㎏ 비닐포장, 20㎏ 지대포장서천철새도래지쌀, 동백쌀 : 10㎏ 비닐포장, 20㎏ 지대포장파란 가을하늘과 아주 잘 어울리는 것은 황금색 벼들이 익어 있는 들녘일 것이다. 서천쌀의 주생산지 내포평야, 그 들녘 한 복판에 냉각쌀을 생산해 내는 동서천 미곡처리장이 자리하고 있다. 서천읍에서 10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금당, 화양 방면의 버스를 이용하여 찾아갈 수 있다. 한산 방면으로 23번 군도를 가다보면 우측으로 8번 군도가 금당, 화양 이정표와 함께 있다. 도로 양쪽으로 황금색으로 물들어 가는 벼들과 군데군데 자리하고 있는 한가로와 보이는 농가들이 전형적인 농촌풍경을 자아낸다. 이곳 내포 평야에서 피부로 직접 땅의 기운을 느끼며 깨끗하고 시원한 공기와 함께 천천히 시골의 풍경을 감상해 보기 바란다. 특히 봄과 가을에는 농촌의 부지런함과 따뜻한 인정, 싱그러움과 아름다운 색의 조화, 자연의 풍성함을 함께 느낄 수 있을 것이다.
5식생활분야천안시삼거리참기름정남섭옛부터 천안일대에서는 참깨와 들깨를 많이 재배해 왔다. 하지만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참깨와 들깨는 생산물 그대로 판매해 왔을 뿐 가공해서 판매하는 시설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참깨와 들깨를 가공하는 공장이 많이 생겨났다. 1990년대 초반, 참깨와 들깨재배가 늘어나고 생산량이 많아지면서 '불당동'에 처음으로 가공공장이 생겨났다. 그 당시만 해도 천안 인근에서 재배되는 참깨의 생산량이 많았기 때문에 가공공장에서 필요로 하는 원료 참깨를 거의 대부분 지역내에서 조달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지역의 참깨생산량이 줄어들어 전국의 여러 곳에서 원료 참깨를 구입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삼거리참기름'이라는 명칭은 1990년 당시 '참기름 가공사업'을 추진하던 천안군 '농촌지도소'에서 상품명을 생각하던 중 '천안삼거리'가 유명하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어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삼거리라는 이름을 따서 붙여진 것이다.1990년, 천안군 농촌지도소에서는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사업을 펼치고 있었다. 천안이 고향인 정남섭씨는 농촌지도소와의 상담을 통해 천안일대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참깨와 들깨를 이용한 가공사업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삼거리참기름'은 이렇게 하여 탄생하게 되었다.일찍부터 자신의 고향인 천안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이용한 사업을 구상해 오고 있던 정남섭씨는 1990년대 초, 당시 천안지도소에서 발표한 몇몇 사업아이템을 보고 지도소사업과 연계하여 참기름가공공장을 설립하였다. 공장을 시작할 당시 정남섭씨의 포부는 대단했다고 한다. 고향의 농산물을 이용한 사업이어서 그의 정성도 남달랐던 것이다. 보다 질좋은 제품을 값싸게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밤을 새워가며 기름을 짜기도 하였다. 전국적인 판매에도 노력을 기울여 여러 지역의 농협연쇄점과 대형슈퍼에서도 납품하였다. 그 당시에는 아직 대기업에서 참기름 시장에 본격적으로 참여하지도 않았고 또 외국의 값싼 참깨나 들깨가 들어오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생산량도 많았고, 납품을 할 수 있는 곳도 많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어려움이 가중되었다. 몇몇 대기업에서 참기름과 들기름을 대량생산하기 시작함으로써 소규모의 지역농산물 가공공장인 '삼거리참기름'은 설자리가 점차 좁아진 것이다. 우선 생산단가와 유통구조에서 경쟁이 될 수 없었다. 1994년부터는 점차 생산량도 줄어 들었고, 거래처도 줄게 되었다. 그 결과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연간 5,000만원에 달했던 매출액이 1997년부터는 3천만원 이하로 떨어졌다. 하지만 아직도 '삼거리참기름'을 꾸준히 찾고 있는 단골소비자들이 있기 때문에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고 한다. 지금은 천안지역의 몇몇 농협과 슈퍼마켓에 납품을 하고 있다.천안시 병천면 일대에서 생산되는 천안참깨, 천안들깨'삼거리참기름'은 병천일대에서 생산된 참깨를 구입하여 사용해 왔으나 점차 그 생산량이 줄어들어 최근에는 경기도 평택, 화성지역에서 생산되는 참깨를 조달해 원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들깨 또한 천안지역에서 생산되는 것을 원료로 사용해 왔지만 근래에는 청양(정산농협)에서 생산되는 들깨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아프리카와 인도가 원산지인 참깨는 척박한 토양에서도 비교적 잘 자라며, 특히 물빠짐이 좋은 경사지에 적합한 농작물이다.<NA>참깨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고대 중국 한나라로부터 도입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며, 일본에서는 서기 538년 백제로부터 전래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우리 나라가 일본에 앞서 중국으로부터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참깨는 식물성 기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그래서 가공하여 기름으로 생산하는데 유리한 농작물이다. 따라서 옛부터 참깨를 이용한 참기름을 많이 활용해 온 것으로 보이며, 가공공정도 비교적 단순하다. 처음 이 공장을 설립하였을 때는 손으로 하는 수작업이 많았지만 지금은 기계화에 의해 생산공정이 자동화되어 있다. 생산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참깨를 '선별기'에서 넣어 선별하고, 다음 '석발기'에서 돌과 이물질을 골라 낸다. 그 다음 참깨'볶음솥'에서 기름을 짜기에 알맞게 참깨를 볶은 후에 '훈풍기'에서 적당히 김(수증기)을 제거 한 후, '착유기'에 넣고 압착하여 기름을 짜낸다. 그리고 유리병에 '자동주입기'를 이용하여 주입을 하고 '캠핑기'를 이용하여 뚜껑을 막은 다음 실링을 하고 포장을 한다. 최종단계인 포장과정에서 변질된 상품과 불량품도 함께 가려내는 작업을 한다. 마지막 포장은 수작업으로 이루어 진다.삼거리참기름'유리병, 종이박스 (기름을 담는 용기는 유리로 된 병제품이고, 겉포장 용기는 직사각형의 box로서 재질은 종이이다)천안에서 온양방면으로 가다보면 새롭게 조성된 주택단지인 신방동과 쌍용동을 지나게 된다. 이곳 쌍용동 한국까르프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약 5분 정도 직진하면 막다른 도로가 나오는데, 여기서 좌측(천안공원묘지쪽)으로 좁은 길을 따라 다시 5분 정도 가면 삼거리참기름 공장을 찾을 수 있다. 그리 크지 않은 공장이지만 그래도 사장님 나름대로의 소신을 가지고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천안터미날에서 시내버스 104번을 타고 쌍용동 용암마을 APT에서 내려 약 10분정도 천안공원묘지 쪽으로 걸어가면 공장에 도착할 수 있다.
6식생활분야서천군서천김(삼육맛김)이명원김은 식용으로 널리 양식하는데 한자로 海苔(해태), 甘苔(감태), 靑苔(청태), 乾苔(건태)라고도 한다. 바다의 암초에 이끼처럼 붙어서 자라는데 긴 타원형 또는 선상 난형이며 가장자리에 주름이 있다. 길이는 14-25cm, 너비는 5-12cm이며 몸 상부는 적갈색이고 하부는 청록색이다. 한국의 연안에서는 10월경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겨울에서 봄에 걸쳐 번식하고, 그 후는 차차 줄어들어 여름에는 보이지 않는다. 김에는 탄수화물인 한천이 가장 많이 들어 있으며 지방은 거의 없고 단백질은 30-40%가 함유되어 있다. 또 비타민C와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많고, 비타민A의 좋은 공급원이 된다. 홍색색조인 푸코에리트로빈이 있어 특유의 빛깔을 내며, 디메틸술파이드에 의하여 독특한 맛과 냄새를 낸다. 이렇게 영양이 풍부하고 맛있는 김은 바다에서 최초로 김씨 성을 가진 사람이 김을 채취했다 하여 그 사람의 성을 따서 '김'이라 명칭했다는 재미있는 얘기도 내려오고 있다.이명원 씨는 7년 전, 근 10년만에 군대를 제대해 당시 사회실정에 대해 잘 몰랐다고 한다. 그러던 중 서천에서 김 양식을 하고 있던 매형 김문호씨의 권유로 3년 동안 두유대리점으로 사회경험과 유통관리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익힌 다음, 4년 전부터 김문호씨와 함께 본격적으로 맛김 사업에 뛰어들기 시작하였다. 1년 전부터는 이명원씨 혼자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순수 자력만으로 사업을 시작한 이명원씨는 1996년, 처음 맛김을 만들었던 매형 김문호씨의 도움으로 건해태와 맛김을 시중에 선보이게 되었다. 김문호씨의 건해태는 서천군 내에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있었기 때문에 그 틈새를 이용해 맛김을 선보이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서천군내에서 생산되는 김 중 90%는 중개도매인을 통해서 구입하고 나머지 10%는 직접 구매하여 맛김을 생산했다. 1997년부터 군산, 대전의 롯데햄, 백설햄 등에 위탁판매를 시작하면서 맛김의 맛에 대한 인지도가 점점 올라갔고, 2년 뒤인 1999년에는 해태 백화점, 해태 마트에 납품을 하였으며, 이때 맛김의 우편판매도 시작되었다. 또한 서천군 우체국에서 서천의 특산품으로 추천하여 우편판매를 시작하였으나 건해태는 품질인증마크가 없다는 이유로 우편판매에서 제외되었다. 올해 다시 우편판매를 위해 품질인증마크를 신청하였으나 장항 수산물 검사소에서 맛김과 건해태를 동시에 하면 주변환경이 안 좋다는 알 수 없는 결과가 나와 우편판매는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명원씨는 어려운 판매망에도 좌절하지 않고 2000년 올해 2001아울렛과 신세계 백화점에서 판매 사원을 동원, 소비자들과 직접 부딪쳐 시식회 등을 통해 맛김의 품질과 맛을 보여줌으로써 오히려 매출액을 올렸다. 내년 2001년부터는 비록 품질인증 마크를 획득하지 못하더라도 품질면에서 뛰어난 업체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여 우편판매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될 계획이어서 다시 한번 서천의 우수한 건해태의 우편판매를 시도할 예정이다. 김은 소비성이 아주 강한 식품이다. 이런 장점을 이용하여 좀더 맛있고 좋은 품질로 소비자에게 가까이 다가 가고자 이명원씨는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있다.건해태, 소금, 옥수수기름, 참기름, 들기름김은 우리나라 서해안 일대와 남해안 일대에 분포되어 있다. 전남 완도의 김이 유명하지만 서해안 서천군 앞바다에서 생산되는 김 또한 전국에서 알아주는 김이다. 김은 삼한사온(三寒四溫)의 기후를 가지고 있는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한다. 김이 성장했다 멈췄다 하면서 영양이 풍부해지며 밀물과 썰물이 들어왔다 나갔다 하면서 적당한 햇볕을 쬐어 주어야 빛깔이 좋고, 민물과 만나는 지역에서 자라는 김이 맛이 좋다. 이런 조건을 갖춘 곳이 서천군 일대 앞바다이며 이곳에서 생산되는 김으로 삼육맛김이 만들어진다.<NA>우리들이 식탁에서 맛 볼 수 있는 김은 두 가지가 있는데 마른 김으로 먹는 건해태와 기름과 소금으로 조미해 먹는 맛김이 있다. 예전에는 자연적으로 번식하는 것만 채취했지만 지금은 수요가 늘어 자연 번식만으로는 충족할 수 없어 인공양식이 증가했다. 인공양식은 지주식 양식과 부류식 양식 두 가지가 있는데, 지주식은 나뭇가지를 바다표면 군데군데 박아 그 곳에 포자를 심어 성장하면 채취하는 방법이고 부류식은 대나무 쪽을 엮은 대발과 합성섬유로 된 그물을 바다에 띄워 양식하는 방법이다. 맛있는 김을 채취하려면 8월 중순에 포자(씨앗)를 양식 그물에 심고 한달 후에 다른 곳에 한번 더 이식을 해준다. 김은 11월부터 첫 채취가 시작되어 이듬해 3월까지 생산되는데 11-12월까지 생산되는 김을 초벌김, 12월-1월에 생산되는 김을 두벌김이라 하며 2-3월에 생산되는 김을 끝물김이라고 한다. 그 중에 가장 맛있는 김은 12-1월에 생산되는 두벌김인데 그 김을 이용해 맛 김을 만들고 있다. 초벌김은 연하고 덜 익어 생김으로 먹는 것이 좋고, 끝물김은 억세고 질기기 때문에 파지김으로 많이 먹는다. 가장 좋은 시기에 채취된 김을 가지고 건해태를 만드는데 요즘은 자동화 서설이 아주 잘 돼 있기 때문에 사람의 손은 많이 필요치 않다. 탱크에 채취한 김을 넣으면 오물이 제거되고 기다란 김을 절단한 다음 세척이 되고 김발에 붙여 말리면 건해태가 된다. 이런 모든 공정에 걸리는 시간은 1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건해태를 가지고 맛있는 맛김을 만들어 보면 어떤 맛이 날까식 중 하나이다. 갓 구운 김을 밥과 함께 싸 먹으면 입맛이 없을 때 입맛을 되찾아 주고, 조리하지 않은 김은 불에 살짝 구워 양념간장과 함께 먹으면 김 특유의 맛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상식 하나, 건 해태를 보관 할 때는 냉동보관을 해야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다.품질이 우수한 맛김을 만들기 위해서는 건해태가 품질이 뛰어나야 한다. 엄격한 선별과정을 거치는데 일단 불순물이 전혀 없어야 하고 윤기가 나야 하며 색깔은 황갈색을 띄어야 한다. 먹어상표는 여러 가지로 쓰이고 있다. 하단부에 삼육맛김이라는 상호가 있으며 포장지에 인쇄된 상표는 서해재래김, 서해삼육맛김, 돌김, 서해파래김, 광천파래김 등으로 판매된다.전체적으로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비닐 포장지와 은박포장지가 있다. 비닐포장지와 은박포장지 모두 각각 도시락용 약 8cm, 식탁용 약 18cm, 돌김 약 30cm 등이 있다.삼육맛김은 서천군 마서면 송석리에 있는데 이 김의 맛을 보러 가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인데 서천에서 신송리 방향으로 14번 군도를 달려가는 것이다. 들판을 가로질러 낮으마한 산들을 지나 계속 직진을 하여 15분 정도를 달리면 서천 특유의 농사를 지으며 물고기를 잡는 송석어촌 체험마을이 나오는데 이곳이 바로 마서면 송석리이다. 바다 바람이 점점 불어오고 바다의 짠 내음이 콧속으로 들어오기 시작하면 삼육맛김의 건물이 보인다. 바로 도로 옆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찾기는 어렵지 않다. 두번째는 버스를 이용해 바다를 감상하며 갈 수 있는 길이다. 서천 터미널에서 1시간에 한 대씩있는 옥산, 월포, 한성, 송석 방면의 버스를 타고 가는 것이다. 버스를 타고 10분을 달려 종천면에 도착하기 전에 좌측으로 장항, 옥산 방면 21번 군도 또는 617번 지방도라고 써있는 이정표를 뒤로 달려가다 보면 눈에 들어오는 바다가 있는데 이곳이 바로 서해바다이다. 서해바다를 오른쪽으로 끼고 5분을 달리다 보면 다시 우측으로 14번 군도 송석리 방향의 길이 나온다. 마찬가지로 바다가 보일 때까지 들판을 달려 가다보면 길가에 고소한 김냄새가 난다. 시간은 자동차로 20분, 버스로는 30분 정도가 소요된다.
7놀이,여가생활분야천안시천안선인장유리선인장작목반한국산 선인장은 비옥한 토양 그리고 천혜의 기후조건 하에서 우수한 재배기술을 통해 생산되어 세계에서 그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는 선인장은 주로 경기도 고양군 일대와 천안에서 재배되고 있는 선인장으로 전체 생산량의 60%에 달하고 있다. 전세계에 수출하고 있으나, 중동지역만은 예외로 천안 선인장이 말라죽기 때문에 수출을 못 하고 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세계시장에서 일본 선인장의 시장점유율이 80%에 달하였으나 1988년을 분기점으로 하여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앞서게 되었다. 유리 선인장 작목반에서 재배되는 선인장은 선명한 색상과 광택이 뛰어나며, 또한 생명력이 강하고 품목이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유리선인장 작목반 농가들은 '91년 천안지역에 접목선인장 재배기술 및 수출기반을 조성하여 외화획득에 기여한 공적이 컸으며, 앞으로도 수출전망이 밝은 작목으로 집중 육성하여 농가소득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선도 농가로 선정하게 되었다. 그 규모는 4개의 농가로 총 면적은 3,400평이며, 생산량은 100만 본에 이르고 있다.허한열씨는 군을 제대하고 경기도 고양군에 있는 선인장 재배 농장에 구경 갔다가 겨울에도 농사를 지을 수 있다는 것에 매료되어 이 곳에서 일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하였다. 얼마 후 그 농장으로부터 연락을 받게 되었고, 그 이후로 지금까지 14년 동안 선인장을 재배하고 있다.허한열씨는 군을 제대하고 경기도 고양군에 있는 선인장 재배 농장에 구경 갔다가 겨울에도 농사를 지을 수 있다는 것에 매료되어 이 곳에서 일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하였다. 얼마 후 그 농장으로부터 연락을 받게 되었고, 그 이후로 지금까지 14년 동안 선인장을 재배하고 있다.비모란, 선취비모란과 선취는 수요가 가장 많은 품종으로 구색은 주로 적색계와 분홍계가 많다. 아메리카 대륙의 고원지대인 멕시코, 미국, 볼리비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을 중심으로 비가 적고 건조한 지대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유리선인장 작목반에서는 충남농촌진흥원에서 종묘를 보급받아 재배하고 있다.<NA>재배장소는 햇볕이 잘 드는 양지 바른 곳이 좋다. 생장기에는 적정 생육온도를 유지하고 적절히 관수한다. 휴면기에는 관수를 중단하여 휴면시킨다. 한여름에는 통풍과 환기가 잘되도록 천창, 측창은 열어주고, 특히 야간에는 최대한 온도를 낮춘다. 토질은 보수력이 있고 배수가 잘 되는 용토가 좋으며 주요 배합토는 모래, 적토, 부엽토, 퍼라이트, 훈탄, 피트 등의 재료를 배합한다. 일반적으로 배합 비율은 모래 : 부엽 : 훈탄은 7 : 2 : 1, 모래 : 돈분 : 폐톱밥 = 4 : 3 : 3, 모래 : 돈분 = 5 : 5 정도이다. 선인장의 시비는 배합토와 유기질 비료, 계분, 돈분, 우분 등으로 족하다. 추비가 필요한 경우 10a당 5㎏정도의 완료성 복비(홈그린등) 또는 하이포넥스 등을 뿌려준다. 관수시점은 주로 -50㎪에서 준다. 관수시기는 아침 또는 저녁으로 용토의 표토가 약간 건조했을 때 충분히 관수 한다. 겨울철 관수는 오전에 하되, 베드 밑바닥이 수분이 약간 남을 정도로 가볍게 준다. 한여름 관수는 대부분 일시적 휴면기이므로 과습이 안 되도록 건조하게 관리하고 표토가 마르면 관수한다. 접목은 번식, 생장촉진 및 지하부 발육촉진, 그리고 부패방지 등을 위해서 하는 작업이다. 삽목 및 식생번식에 의하며 비모란, 선취 등은 접목하여야 직경이 큰 대구로 키울 수 있고 관상가치를 높일 수 있어 접목용 대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른 봄과 가을이 접목하기 적당하며 3∼5월 맑은 날이 계속되면 접목이 잘 된다.<NA><NA>천안 I.C에서 입장 방면으로 가는 23번 국도를 이용하면 된다. 천안 I.C에서 선인장 재배 농가까지는 약 20∼30분 정도가 소요된다. 톨게이트를 지나면 왼쪽으로 단국대와 시원한 호수가 있고 조금 더 가면 단국대학 병원이 있다. 그리고 거기서 5분 정도를 더 가면 오른쪽으로 망향의 동산이 보인다. 이정표를 따라서 입장가는 방면으로 달리다 보면 드넓게 펼쳐진 거봉 포도밭을 볼 수 있다. 이제는 수확기에 접어든 검은 포도송이가 탐스럽게 달려 있어 보는 이를 즐겁게 한다. 입장사거리에서 안성방면으로 가다가 300m 지점에서 좌회전하면 입장중학교를 볼 수 있다. 입장중학교 옆에는 주유소가 있고 여기를 지나서 왼쪽으로 두 번째 비포장 길을 타고 들어가면 선인장 농원으로 갈 수 있다. 만약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고 싶다면 천안 터미널이나 역전 앞에서 70번 버스를 타고 입장에서 내린 다음 연곡리 가는 버스로 갈아 타면 된다. 그러나 하루에 두 번 밖에 운행을 안하므로 정확한 시간을 알아두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
8식생활분야서천군서천꽃게장참맛식품옛부터 조상들은 참게를 이용해 장을 담가 먹었다. 참게는 여러 문헌에도 나왔을 정도로 서민의 음식이다. 「동국여지승람」의 토산란을 보면 蟹(해)는 강원도를 제외한 7도 71개 고을의 토산품이었다. 이 해는 거의 모두 참게와 동남참게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전어지」에도 수수를 매달아 참게를 잡는 법이 기록되어 있고, 「규합총서」에는 적어도 20군데에 게가 나오는 데 거의 참게를 뜻하는 것이고, 「주사의」에서는 참게를 오래 두는 법, 술·초로 게젓을 담그는 법, 소금으로 게젓 담그는 법, 장으로 게젓 담그는 법, 게 굽는법, 게찜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렇게 참게는 고래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식용게였다. 요즈음에는 농약사용 때문에 참게를 찾아보기가 어려워 지금은 참게 대신 민꽃게와 꽃게를 이용하고 있다.나왕웅씨와 김영란씨는 서천시내에서 화장품 대리점을 했다. 그러던 중 서면 홍원항에서 나는 게가 육질이 좋고 최상의 상품가치를 받는다는 걸 알았다. 서면 홍원항 게가 중개인들에 의해 전국각지로 마땅한 이름없이 팔려나가는 걸 아쉬워했다. 이를 이용해 부가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서천의 지명도를 높이기 위해 이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사람들이 많이 찾는 꽃게가 너무 비싼데 비해 민꽃게는 값이 싸고 소비자에게 다가가기 쉬운 제품이기 때문에 옛날 조상들이 간장에만 담가 먹던 것을 꽃게와 같이 여러 양념류를 이용해 게장을 담기 시작했다. 6개월 동안 전국의 유명한 꽃게 음식점을 돌아다니며 게장의 맛을 보고 꽃게가 나는 곳을 찾아다녀 게의 품질을 따져 가며 꽃게장과 민꽃게장을 상품화 하기 위해 노력했다. 1999년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상품을 만들어 판매를 시작하였는데 직접 주문을 받기도 하고 식당에 판매를 하기도 했다. 서천, 대전, 서울 등지의 대형마트에 납품하였으나 나왕웅씨가 원하는 10℃환경조건이 만들어지지 않아 손해를 많이 보고 60%정도를 수거한 일도 있었다. 이와 동시에 홍보를 위한 텔레비전 방송을 시도하게 됐는데 기상이변으로 인해 꽃게가 잡히지 않아 실패로 돌아갔고 2000년 3월에도 마찬가지로 방송 녹화를 하지 못했다. 이렇게 홍보하는 면에서 힘들었던 나왕웅씨는 해양수산부에서 실시하는 전통지정식품을 승인 받기 위해 신청했으나 시설이 미비하다는 이유로 선정되지 못했다. 한 가지의 음식을 상품화하고 그것을 판매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우편판매 또한 선정되지 못했다. 지역의 특산품으로 우편판매를 할 수 있으려면 1년 이상된 업체여야하기 때문이다. 식품을 만드는 건 하루아침에 되질 않는다. 한 사업체도 그렇다. 여러 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시간이 해결해 주어야 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맛있는 게장을 만들어서 소비자들이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게장 전문 음식점을 준비중이기도 하다.꽃게, 바카지(민꽃게), 간장, 양파, 마늘, 홍고추, 대파, 생강, 감초, 당귀, 계피서면 홍원항에서 나는 걸 이용한다. 나왕웅씨가 직접 사오기도 하고 중간 상인들이 조달해주기도 한다. 현장에서 한 번에 몇 백㎏씩 구입해 선별하고 세척하여 급냉시킨다. 다른 지역의 것도 이용해 보았지만 서면의 것에 비하면 육질이 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조석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 것이 좋다고 하며 그 중에 서천 것을 최고로 친다. 꽃게는 섭씨 10℃이하면 깊은 바다로 들어가기 때문에 겨울엔 잡지 않고, 3월말에서 11월말 사이에 잡으나 7-8월에는 산란기이기 때문에 잡지 않는다.<NA>꽃게는 육질이 풍부하며 단백질, 칼슘, 인 등을 많이 함유한 식품으로 뼈를 튼튼하게 하고 노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지방의 함량이 적어 담백한 맛을 내고 있으며 참게, 꽃게 껍데기에 들어있는 카로티노이드 색소인 아스타크잔틴 때문에 익으면 빨갛게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충남지역 서해안 하단부에 위치한 서천은 수산물이 비교적 풍부한 지역이다. 자하젓이 그렇고 삼육맛김 또한 그렇다. 그 중에서도 서천산 꽃게, 민꽃게는 타·도시 사람들한테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요즈음 중국산 꽃게가 시중에 나도는 경우가 있는데 이곳 꽃게와는 질이나 맛의 차이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또한 꽃게나 민꽃게는 자망이나 통발로 잡은 것이라야 흠이 없다. 게는 잘못 구입하면 뻘이나 모래를 먹은 것이 있어 게장을 담갔을 때 낭패를 볼 수 있으므로 선별에 신경을 써야한다. 민꽃게장의 경우는 나름대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꽃게만큼은 아니다. 민꽃게는 달리 요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없고 거의 게장을 담가서 먹는다. 재래시장에서 종종 민꽃게를 간장에 담아 파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재료나 양념류 첨가 등의 차이가 있다. 어떤 것들은 허가를 받아 민꽃게장으로 상품화된 것도 있다.게장의 양념으로는 대추, 마늘, 양파, 고추, 생강에다가 감초, 당귀, 계피를 넣는다. 양식이나 수입게가 없고 순수하게 이곳 서해안 근처에서 잡은 게만 사용한다. 찜, 탕, 무침 등으로는 그 맛을 느낄 수 없고 간장에 담는 게장으로 맛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게장은 따뜻한 밥이 생각나는 겨울철이나 특히 입맛이 떨어지는 여름철에는 입맛을 돋군다. 그 동안은 주부들이 직접 담가 먹었지만 1㎏ 들이로 상품화하였기에 담가먹는 번거로움이 없어졌다. 담그는 순서로는 첫번째 민꽃게의 펄, 모래 등의 불순물을 깨끗이 씻어낸다. 간장과 물을 1:1비율로 혼합하여 양념류를 넣고 천천히 끓이는데 특히 비린 맛을 없애기 위해 양념류는 풍부히 사용해야 한다. 끓인 양념간장을 식인 후 민꽃게에 붓고 하루를 재운다. 재우는 걸 3회 반복하여 맛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한다. 게장을 삭뚜껑은 빨간색이고 가운데에 노란색 바탕에 빨간색으로 '참맛꽃게장', '민꽃게장'이라는 스티커가 지름 6.5㎝크기로 붙어있다.포장용기로 PE와 PP가 있다. 모양은 원통형과 사각모양 두 종류가 있다. 원통형은 투명하며 PE는 주문용으로, PP는 택배용으로 1㎏용기에 담아 판매하고 있다. 1㎏에 민꽃게는 10-11마리가, 꽃게는 3마리 정도가 들어가며 간장을 포함한 총 중량은 2.5㎏이다.서천군 종천면 지석리로 가는 길은 국도 4번을 이용한다. 터미널에서 참맛식품을 찾아가는 길에는 서천의 명물들이 많다. 서천읍내에서 보령, 홍성방면으로 가면 서해병원이 있다. 이곳은 서천군민을 위해 방문치료도 해주고 연말에는 악단을 초청하여 공연을 하는 등 지역사회에 많은 봉사를 하고 있다. 서해병원을 지나 서천의 외곽에 다다르면 동양주유소 사거리가 있는데 직진하면 보령, 홍성으로 가는 길이고 왼쪽으로는 서천외곽도로이다. 오른쪽으로 핸들을 돌려 4번국도 홍산, 부여방면으로 가다보면 서해안고속도로 진입할 수 있는 서천 톨케이트가 나오는데 서천을 찾는 이들에게는 서천의 관문이 될 것이다. 톨게이트를 지나 약 2분 정도 더 달리다보면 여우고개라는 작은 언덕이 나타나고 앞으로는 넓은 논이 펼쳐지며 띄엄띄엄 농가가 몇 채 있어 자연의 대장경이 눈에 들어온다. 흥림저수지가 바로 접해 있고 수로가 발달해 논농사가 주를 이룬다. 철도 건널목을 건너면 지석리로 향하는 작은 마을 입구가 나오는데 지석이 있다 하여 유래된 마을이다. 마을길을 따라가면 작은 간이역인 기동역이 있고 역 뒷편으로 깨끗하게 참맛식품이 터를 잡고 있다. 주변에는 흥림저수지와 종천농공단지가 있는데 그곳에는 서해병원장이 경영하는 의료기구 생산업체인 닥터리(주)를 포함한 20여 개의 크고 작은 기업이 서천지역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버스를 이용하자면 판교방면의 시내버스를 이용하며 소요시간은 약 20분 정도다.
9식생활분야천안시성환(천안)신고배성환배원예협동조합성환신고배는 1909년부터 성환지역에서 재배가 시작되어, 90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일제시대부터 배재배가 시작된 성환지역은 토양환경이 배재배에 알맞고 기온의 일교차가 커서 당도향상에 적합할 뿐만아니라 과원의 대부분이 완만한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는 등 재배에 유리한 조건을 고루 갖추고 있어 배주산지로 성장하였다. 현재, 성환신고배는 성환을 중심으로 직산, 성거, 입장지역에서 1,100여농가가 1,000여헥타를 재배하고 있다. 배는 여러 가지 품종(신고배, 장십랑, 만삼길, 황금배, 감천배등)이 있지만, 성환에서 재배되는 품종은 일본의 '국지추웅'이 '천지천'에 '금촌주'를 교배시켜 육성한 신고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래서 배 품종 중의 하나인 신고배가 성환배의 대명사로 되었고, '성환신고배'가 하나의 고유명사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곳 성환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배재배 역사가 길고 대를 이어 배를 재배하는 농가가 많아 배재배의 노하우가 축척되어 있다. 1957년에 만들어진 성환배원예협동조합(도농통합으로 성환이 천안에 합병됨으로써 지금의 '천안배원예협동조합'이 됨)은 배의 주산지로서 이 지역특징을 대변해 주고 있다. 성환과 그 주변지역의 배재배농가들이 중심이 되어 자율적으로 결성한 배원예협동조합은 성환배의 효율적인 관리와 판매는 물론이고 다양한 대외홍보활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일제시대 초기 금촌추, 장십랑이 처음으로 재배되었으나 1929년 일본에서 육성된 신고품종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성환지역에서 처음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신고배의 재배가 계속 확대되었고, 오늘날에는 성환을 대표하는 특산물이 되기에 이르렀다.배품종에는 장십랑, 만삼길, 금촌주, 황금배, 추황배, 감천배, 신고배 등이 있는데 1954년부터 성환지역에서는 신고배가 주로 재배·생산되고 있다. 다른 농작물과 마찬가지로 신고배재배에 있어서도 토양이나 기온, 강수량 등의 자연조건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자연적 조건 외에 좋은 품질의 배를 생산하기 위한 재배농가의 노력, 특히 봉지를 씌우는 작업이 중요하다. 봉지씌우기는 많은 손질이 필요한 작업이지만, 배의 빛깔과 당도를 높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보통의 경우에는 신문지로 만들어진 봉지를 사용하고 있으나, 요즈음은 보기 좋은 빛깔의 배를 생산하기 위해 일본에서 직수입된 안은 검고 겉은 흰 4중 특수봉지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일제시대 소수의 농가에서 시작된 성환신고배 재배는, 이제 원예협동조합에 참여하고 있는 조합원만해도 ,1100여농가에 1,000여헥타아르에 이르고 있으며, 비조합원까지 합하면 성환을 중심으로 한 천안 전지역의 배재배면적은 2,000헥타아르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재배되는 성환신고배는 서울, 경기, 충남 일대의 많은 소비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으며, 1986년 부터는 미국, 동남아, 호주 등에도 수출하고 있다. 보다 좋은 성환배를 생산하기 위해 배원예협동조합에서는 매년 정기적으로 조합원교육과 지도사업을 벌이고 있을 뿐만아니라, 생산농가의 소득안정을 위한 저장과 판매사업을 대행해 주고 있다. 그리고 성환신고배의 맛과 우수성을 천안지역 뿐만아니라 전국적으로 알리기 위해 해마다 배 출하시기에 맞추어 이틀간 신고배축제를 열고 있다.성환 신고배신고배는 성환을 중심으로 직산, 성거, 입장지역에서 생산되고 있는데 특히 성환지역이 배 주산단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곳은 연평균 기온이 12내외이고 연강수량도 1,200㎜정도이며, 배 재배 토양도 최고 50m 내외의 구릉지로 토심이 깊고 식양토로 땅심이 좋아 최적의 배생산조건을 갖추고 있다.<NA>성환신고배는 과육이 부드럽고 맛이 달며 과즙이 많다. 또한 석세포가 적고 변비예방에 효과적이며 심한 갈증이나 숙취에도 좋다. 이러한 성환신고배의 특성으로 인해 수요가 늘면서 재배하는 농가가 꾸준히 늘어나서 최근에는 구릉지 뿐만아니라 논까지도 배과수원으로 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신고배가 생산되기까지는 인공수분, 봉지씌우기, 적과, 수확 등 여러가지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이런 작업들은 기계화가 불가능해 한결같이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대부분 젊고 유능한 농촌노동력이 이농해버린 탓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성환신고배의 수형(樹型)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Y자형이 아니라 개방형이다. 개방형 수형은 과수원에 일정한 높이로 가로세로의 줄(철사)을 치고 나무가지를 이 줄에 묶어두는 형태로서 바람의 피해를 줄이고 작업이 용이다는 점이 장점이다. 뿐만아니라, 줄을 따라 파이프(관수시설)를 설치함으로써 제때에 많은 인력을 들이지 않고 손 쉽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배재배 농가들은 신고배의 품질을 높히기 위하여 거름에 효소제를 첨가하거나 썩은 배를 삭혀서 만든 액비를 토양에 줌으로써 유용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배의 색농도나 당도를 높이기 위해 코팅이 된 특수봉지를 일본에서 수입해 사용하기도 한다.포장박스에 '배도리'라는 이름을 가진 상표(스티커)를 부착.종이상자(Box) : 15㎏, 7.5㎏ 두 가지로 판매.천안시에서 1번 국도를 따라 직산방면으로 한가로운 농촌풍경을 감상하면서 15분 정도 가다보면 우측에 대형 할인점인 '메가마켓'이 보인다. 이곳(직산)을 지나 성환방면으로 들어서면 배 주산지답게 많은 배과수원을 볼 수 있다. 배꽃이 필 무렵이면 온통 하얀 눈으로 뒤덮힌 듯한 느낌을 준다. 성환읍에 접어 들어 성환터미널에서 시장방향으로 계속 내려가다보면 우체국과 파출소를 지나 우측 두번째 건물에 천안배원예농협이 위치해 있다. 배원예농협에서는 성환지역의 배원예조합 조합원이 생산하는 배 뿐만아니라 천안 전지역에서 생산되는 배의 판매·관리를 맡고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천안에서 성환까지 가는 직행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배차간격은 20분이며, 소요시간의 30분 정도이다.
분류지역명명칭생산자명칭의유래형성배경경위자원분포및생산조건내용특성상표포장찾아가는길
154식생활분야아산시아람 포크아람 양돈조합법인아람 포크의 '아람'이란 말은 순 우리말인데 흔히 잘 익은 밤을 보면 "이밤 아람 불었는데"라고 말한다. 아람의 사전적 의미는 꽉 찬, 풍만함 등의 뜻이다. 아람 포크의 대표이사 김세영씨는 아람포크의 뜻을 그렇게 말했다. 또한 질 좋은 고육질의 양돈 생산이 목표인만큼 아람양돈 조합의 의지를 대신 한다고도 한다.아람 양돈조합은 1993년 농축산물개방에 대비하여 국제 경쟁력 강화와 농민 소득 증대를 목표로 아산시 관내 16명의 양돈인이 모여 설립하게 되었다.아람 양돈조합의 시작은 199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지난 93년, 현재 아람 양돈의 대표이사를 맡고있는 김세영씨를 비롯한 15가구의 농가가 농축산물개방에 대비한 국제경쟁력 강화와 농민 소득증대를 위해 뭉치면서 아람 양돈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들 16명은 조합 설립 이전부터 철저한 계획수립을 하고 그 계획을 실행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돼지거름을 만지던 굵은 손들이 모인 까닭에, 자본이나 경험 등의 유통능력이 부족했었다. 하지만 그들의 궁극적인 목표였던 "질 좋은 돈육생산, 브랜드화하여 생산에서 소비까지 모든 것을 종합관리함은 물론 중간마진을 없애고 최소의 생산비로 최상의 돈육을 안정된 가격으로 공급, 소비자에게 만족을 준다."는 확고한 신념이 있었기에 마케팅능력 부족은 그리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그들은 일단계 목표로 대일 수출을 목표로 삼았다. 그리고 언제나 뜻이 있으면 길이 있다는 법칙을 확인이라도 하듯이 조합설립 7개월 만인 1994년 6월에 정부로부터 양돈 수출단지로 지정 받아 본격적인 생산체계와 유통체계를 구성했다. 먼저 유통사업부와 양돈단지 사업부로 조직을 세분화시킨 아람양돈 조합은 "좋은 환경에서만 깨끗하고 규격화된 돼지를 생산할 수 있다."는 철칙 아래 분뇨처리장을 최우선적으로 설치했다. 이어 95년 8월 모돈 1천 3백두 규모의 번식단지를 착공, 이듬해 5월에 완공시켰다. 또한 96년 8월에는 소비자와 직접 맞거래를 할 수 있는 육류 전문점 "아람 맛고을 1호점"을 아산시 온천동에 개점했다. 처음 목적대로 계단을 밟아 올라가듯 하나하나 자신들의 계획을 실천해 나간 것이다. 한편, 까다롭기로 소문난 일본의 양돈시장에서도 "아람"이라는 브랜드는 통용되기 시작했다. 95년 1만 5천두를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2만두를 돌파했다. 이러한 성과로 지난 96년도에는 대통령 산업 포장까지 수상하게 되었다. 수많은 고비를 거치며 특히 법인 설립 이후 최대 고비라는 이번 구제역 파동 까지 잘 견뎌내면서 매년 약 30억의 수입을 올리는 아람 양돈조합은 이제 양돈 업계의 선두 주자로서 양질의 돈육 생산돼지, 사료모든 돼지들은 아람양돈의 번식장에서 나오는 통일된 종돈이 회원농가들에게 공급되고 있으며, 사료들 또한 아람양돈을 경유하여 통일된 사료들이 회원농가들에게 공급된다.<NA>아람 양돈의 특징은 종돈통일과 사료통일에 의한 규격돈 생산에 있다. 이것은 깨끗한 환경에서 규격화된 돼지를 생산하는 것이 양돈 농가의 기본이라는 것을 입증한 셈이다. 또한 항생제라든지 기타 잔류물질의 첨가를 원천적으로 봉쇄하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람양돈에서 주목해야 할 또 하나의 특징은 전문 컨설턴트에 의한 컨설팅이다. 기존 의 전임 수의사를 채용해서 돼지들의 건강 관리를 해오던 기존의 방법에서 탈피, 좀더 나은 규격돈 생산을 위해 수의 및 환경, 방역 등의 전문가들에 의한 사양관리로 규격돈 생산에 더욱 노력을 기하고 있다.아람양돈은 현재 특허청에 등록된 "아람"이라는 상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아람 포크에서는 일반 기업에서처럼 포장육생산을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한예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돈육을 납품하고 있는데, 이렇게 전략적 제휴를 통해 판매되는 돼지고기의 상표명은 "아람양돈 뜨레포크"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다.<NA>아람 양돈조합 법인 사무실은 직영 육류 전문점인 아람 맛고을과 같은 건물에 있다. 아람 맛고을은 매우 찾기 쉬운 곳에 위치해 있었는데 아산시청에서 걸어서 약 5분 정도의 거리에 있었다. 아산 시청 정문에서 길을 건너서 좌측으로 가다보면 기아자동차 대리점이 있는데 기아자동차 대리점 바로 옆골목에서 그 길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계속 내려 가다보면 좌측 편에 아람 맛고을이 나온다.
155식생활분야아산시선장김치선장농협지금은 많은 김치가공업체들이 있지만 80년대까지만 해도 김치는 집에서 직접 담궈 먹는 것이었을 뿐 시중에 유통시킬 수 있는 가공식품이라고 생각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때에 선장농협에서는 농가소득증대를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김치가공판매사업을 시작하였고, 지역 농협의 이미지를 활용하기 위해 선장김치라는 상품명을 만들게 되었다.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농협사업으로 시작하게 되었다.선장 농협김치는 1991년 농림부 지정 전통식품 개발업체로 지정 받아 92년 가공공장을 준설한 이래 우리 전통의 맛을 지키고 세계에 널리 알리는데 앞장서 왔다. 무, 배추 등 원료 농산물을 농민 조합원과의 계약재배를 통하여 공급받음으로써 농민조합원에게 안정된 판로를 제공하고 소득증대를 이루기 위해 시작하였다. 그때만 해도 우리나라에서 김치를 가공해서 판매하는 업체들이 그리 많지 않았다. 간혹 영세규모의 가공업체들이 기업체 급식을 맡아서 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선장김치처럼 다양한 포장단위로 판매하는 경우는 드물었다고 한다. 그 이후 1994년 정부지원 산지계열 가공업체, 군 급식 지정업체, 병역특례업체로 지정 받고 실적을 쌓으며 이후 농산물, 가공농산물 수출업체로 등록하면서 해외 시장으로 눈길을 돌려 김치의 세계화에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그리하여 1996년 아틀란타 올림픽 공식김치 지정, 1998년 프랑스 월드컵 공식김치 지정, ISO9002(국제품질인증 시스템) 획득 등의 성과를 올렸으며, 충남도지사 추천 농특산물 지정, 우수상품 디자인 GD마크를 획득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며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이러한 결실로 해외수출의 길이 열려 본격적으로 해외시장 공략을 시작해 1998년도에는 수출 실적이 36톤, 1억2천여 만원에서 1999년도에는 221톤, 6억5천만원을 수출하여 김치수출증가 450%라는 비약적인 성장을 하였다. 올해는 신제품을 개발하여 일본에의 수출을 상담 중에 있어 앞으로 더 많은 김치수출증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선장 김치가공 공장에도 어려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선장김치가 처음 발매되었을 당시엔 그다지 많이 알려지지 않았고 거기에 경기 침체가겹쳐 공장 설립 이후 계속되는 적자를 벗어날 수가 없었다. 그래서 적자의 늪을 벗어나기 위한 자구책으로 감량경영, 소포장 제품의 공급비율 확대 및 김치수출을 통한 부가가치 증대, 생산성 향상, 생산품목 다양화, 가동률 증대 등 원가절감을 위한 여러 가지 대책을 추진해 왔다. 또한 IMF한파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다는 신념무, 배추, 고추가루, 젓갈김치의 주원료인 배추와 무는 선장지역의 농민들과 계약 재배를 통해 전량을 수매하고 있다. 그로 인해 지역농민들은 농산물의 판로 걱정을 안 해도 된다고 한다. 또한 같은 지역에서 서로 믿고 거래할 수가 있어 상호간의 신뢰도 구축에도 기여를 하고 있다.<NA>선장김치의 큰 장점은 좋은 재료 선택에 있다. 최상의 국산원료를 이용하고 화학조미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지하 150m 이상의 천연 광천수 또한 신선한 맛을 더해주고 있으며 농협 최초로 강원도 동해안 금강산 앞 바다 최북단 청정지역에서 갓 잡은 원료로 만든 농협 젓갈을 사용하여 김치를 담근다. 선장농협의 주요 생산 김치는 포기김치, 맛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총각김치, 백김치, 동치미, 고들빼기, 갓김치, 파김치, 오이소박이, 나박김치 등이 있으며 80g부터 30kg까지 또는 주문 희망량에 따른 다양한 포장의 일반시판용이 있고 군납용, 수출용의 별도포장규격이 있다. 선장김치는 첨단가공기술과 50여명의 숙련된 생산라인 직원들에 의해 만들어지며 철저한 위생관리와 생산에서 보관, 수송, 판매과정을 완전냉장처리화(cool chain system)해 항상 신선한 김치를 공급하고 있다. 홍고추는 직접 햇볕에 말려 사용하고 배추 다듬기부터 배추속 넣기까지 기계에 의한 작업이 아닌 분야별로 나누어진 직원들이 손수 모든 공정을 해내 정성과 사랑이 담긴 주부의 손맛이 그대로 배어있어 이것이 선장김치가 사랑을 받는 가장 큰 이유인 것 같다.선장김치라는 상표를 사용하고 있으며, 농림부 품질인증 마크가 함께 부착되어 유통된다.용기의 종류는 80g, 150g, 300g, 500g,1kg, 3kg, 5kg, 10kg, 20kg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이들은 일반시판용인데 포장용기의 재질은 AL팩, P.E+박스로 되어있다. 이외에도 수출용과 군납용도 있는데 군납용은 30kg짜리 한 종류이며 재질은 P.E로 되어있고 수출용은 200g,400g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이것은 유리병과 PET병으로 되어있다.선장 김치가공공장은 온양에서 약20분 정도의 위치에 있는데 온양역에서 21번 국도를 따라서 예산방면으로 5분 정도를 달리다 보면 멀리 순천향 대학교가 있는 신창면 읍내리가 보일 것이다. 여기서 대학교 앞까지 가지말고 우측에 623번 지방도로로 들어가는 길이 보이면 623번 국도를 타고 약 15분 정도를 달린다. 이 지점 좌측 편에 선장 김치공장이 보일 것이다. 선장김치공장은 한적한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찾는데 그리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156식생활분야아산시텃골(도고 쪽파)도고농협도고 쪽파는 언제부터 재배를 시작 한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수십년 전부터 인근 농민들이 재배를 시작하여 최근 354농가에서 112ha의 면적에 년 2,500톤의 쪽파를 생산하고 있으며, 도고농협에서 농산물산지유통센터를 개설하여 "텃골" 이라는 브랜드로 전국에 공급하고 있다수십년 전부터 재배하던 쪽파를 도고 농협에서 1994년부터 농산물산지유통센터를 개설하여 전국에 공급하고 있다.도고쪽파는 유황온천지대로 유명한 도고지방의 물빠짐이 좋은 점질양토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영양면이나 청결면에서 다른 쪽파와는 비교될 수 없다. 그래서 충청남도지사 추천 농특작물, 아산시장 추천농특작물, 표준규격품마크 사용승인 등의 품질인증을 받고 있으며, 도고농협 산하 농산물산지유통센터를 통해 가락동시장 및 전국의 물류센터로 유통 공급되고 있다. 도고 쪽파의 연중출하물량은 800여톤으로 청결 쪽파는 200g, 일반쪽파는 500g단위로 소비자의요구에 맞게 산지에서 가공, 소포장해 각지의 물류센터등에 출하된다. 도고쪽파를 공급하고 있는 도고농협은 97년에는 전국 유일의 쪽파 산지 유통시범농협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또한 "텃골"이라는 브랜드를 개발 상표 등록하는등 유통혁신을 위한 노력 끝에 이제는 도고농협 텃골쪽파가 전국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일반쪽파의 경우는 한단 중량이 일정치 않은데다 흙이 묻은 산물상태로 출하하는 것이 보통이나 도고쪽파는 수송, 저장, 출하 전과정을 예냉화하여 신선도가 높고 지하 100m암반수를 이용 세척과 건조를 완전 자동화하여 철결 상태로 공급된다. 이처럼 품질의 우수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수확한 쪽파는 곧바로 저온창고에 보관되고 정선-탈파-세척-예냉 처리한다. 그리고 냉동차량으로 운반, 물류센터의 진열대에 오르기까지 철저한 저온을 유지한다. 특히 청결쪽파는 최신 진공식 위생세척기계설비를 갖추고 있어 쪽파 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이나 잔류농약성분을 제거한다, 그리하여 안심하고 바로 조리해서 먹을수 있도록 소포장해 소비자들로부터 인기를 얻고 있다.쪽파쪽파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중국과 희랍이며 우리나라에는 지금부터 1천5백년 전 중국에서 전해졌다. 쪽파는 일명 당파 또는 자청파라고도 하며 가을에서 봄에 걸쳐 생육하고 여름에는 인경을 만들어 휴면을 하며, 잎이 가늘고 분열상태는 왕성하여 1포기에 20본이나 분열되고 드물게 추대한 적도 있으나 결실은 하지 않는다. 파에 비해서 내한성이 약하여 겨울에 햇빛을 다량 받을 수 있는 곳에서 양질의 쪽파를 생산할 수 있어 남부지방이 재배적지이다. 사방이 막힌 구릉지나 안개가 자주 낀 곳은 노균병 등 병해가 심하여 좋지 않고 여름철에도 스프링클러 등을 이용 관수를 하여주고 흑색비닐 멀칭 등으로 지온을 하강시켜주면 파종 후 40일이면 출하될 정도로 재배기간이 짧아 6∼7월을 제외하고는 1년에 몇 차례씩 재배할 수 있다.<NA>도고쪽파는 인근에서 재배된 쪽파를 도고농협에서 농산물산지유통센터를 건립하여 텃골쪽파라는 고유 브랜드로 개발하여 다른 지역의 농산물과 차별화전력에 성공했다. 특히 텃골 쪽파는 저온저장고와 자동탈파기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농산물 규격화를 위해 10kg단위로 박스 포장하여 전국의 물류센터와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도고쪽파의 특성은 타지역의 쪽파에 비해 잎이 맵고 줄기가 파랗고 단단하여 타지역의 쪽파에 비해 높은 가격을 받고 있다.도고농협에서 자체 개발한 "텃골"10kg, 2kg 종이상자도고온천까지의 교통편은 고속버스로 온양까지 이동한 뒤 이곳에서 직행버스를 타는 방법이 있고, 특히, 열차편으로 서울에서 도고까지 직행으로 가는 기차가 있다. 자가용을 이용할 시에는 천안톨게이트에서 온양온천쪽으로 약 20㎞ 간 후 아산시 좌측으로 뻗어있는 21번 국도를 타고 약 12㎞를 가면 도고온천이 나온다. 도고온천에서 대술방면으로 가다보면 좌측에 도고 저수지가 나오고 저수지에서 1∼2분정도 더 가면 도고농협 농산물 산지유통센타가 보인다.
157식생활분야논산시양촌곶감양촌농협곶감은 감 껍질을 벗기고 꼬챙이에 꿰어서 말린 감이다. 건시(乾枾) 또는 관시(串枾)라고 한다. 감은 감나무의 열매로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많이 먹으면 변이 굳어진다. 익기 전에는 빛깔이 푸르고 떫으나 익으면 붉고 달아 맛이 좋고 덜 익은 것도 소금물에 우리면 떫은 맛이 없어진다. '감고장 인심'이라는 속담이 있는데 인심이 퍽 순박하고 후함을 이르는 말이다. 양촌은 볕이 좋은 동네이다. 주위엔 대둔산이 둘러있고 마을 사이로는 인내천이 흐르고 있으니 임산배수의 지형으로 아름다운 마을을 이루고 있다. 양촌곶감은 양촌 지역에 있는 감만 깎아서 만든 곶감이라 붙여진 명칭이다.이 곳은 예로부터 감, 밤, 대추가 향토재배지로 조성이 되어 있었다. 선조 때부터 한가구당 3∼4그루 심은 것이 확산되었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감은 다른 지역의 감보다 과육이 단맛이 나고 단단하므로 고가로 유통되고 있다. 90년도에 특산단지로 조성된 후 특산품으로 육성되었다.감나무는 감나무과에 속하며 학명은 Diospyros kaki thunb이다. 전세계에 분포하는 감나무속(Diospyros L.)식물은 약 190여 종으로 낙엽성과 상록성 또는 관목성과 교목성으로 구분되며, 열대에서 온대지방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열대나 아열대에 분포되어 있고, 온대에 분포되어 있는 것은 비교적 적다. 이들 중 과수로서 이용되는 것은 4종인데 그 중에서도 재배가치가 있는 것은 감나무뿐이다. 고욤나무는 떫은 감 대목으로 이용되며, 과실은 약용이나 염료용으로 약간 이용되고 있지만 식용으로는 거의 가치가 없다. 식용으로서 재배가치가 있는 감나무의 원산지는 한국, 중국 및 일본이며, 단감의 경우는 일본에서 우량품종들이 많이 선발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감 분포는 서해안은 평안남도의 진남포, 용강의 해안까지, 내륙지방은 경기도 가평, 충청북도 제천, 경상북도 봉화북쪽, 동해안은 함경남도의 원산을 기점으로 북청해안을 잇는 이남지역이다. 그러나 중부이북지역은 거의 떫은감이고, 단감은 비교적 내한성이 약하기 때문에 연평균기온 12℃ 등 온대이하 지역에 분포하며 이보다 더 따뜻한 연평균기온 13℃이하 지역에서 경제적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감이 언제부터 재배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은 찾기 어려우나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고려 명종(1138년)때에 고욤에 대한 기록이 있고, 고려 원종(1284∼1354년) 때의 농상집요에 감에 대한 기록이 있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의 감에 대한 조사는 1920년대에 최초로 시작되었으며 고유단감은 지리산 남부에 산재하나 품질이 불량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으로 보아 현재 지리산 서남쪽 구례군 산동면 일대의 산골마을에 차랑품종과 비슷한 조생종 단감 노거수가 있어 이것이 우리나라의 자생단감이 아닌가 추정된다. 언제부터 감을 깎아 곶감을 만들어 왔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단지 제수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가을에 수확된 감을 다음해까지 보관하는 과정에서 곶감이 생겼을 것으로 예측된다.감생산 농가에서 자체적으로 곶감을 만들어 시장에 팔두리감, 월하감 등양촌지역은 주로 중, 산간지역이며 대둔산 기슭에 위치한 지역으로서 밤낮의 기온차가 심하고 양촌지역을 중심으로 인내천이 흐르고 있어 감의 산지로서 적합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옛날부터 대대로 밤, 감, 대추가 유명한 지역이기도 하다.<NA>양촌면 양화리, 임화리 주민들은 예로부터 조상 대대로 곶감을 만들어 내려와 지금까지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늦가을쯤 되면 하천과 제방일대는 곶감들로 뒤덮여 있어 단 냄새가 골짜기를 가득 메운다. 양촌감은 육질이 단단하고 당도가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며 감식초, 곶감, 화학시 등으로 널리 호평을 받고 있는 양촌지역의 특산품이다. 곶감은 한로가 넘어서 깎아야 제 맛이 나는데 한로 전에 깎으면 골아서 질 좋은 상품이 될 수 없다. 깎은 감은 가시덩굴이나 새끼줄, 또는 비닐 끈에 줄줄이 매달아 말리는데 보통 2개월 정도는 말려야 곶감이 된다. 전에는 마른 곶감에 밀가루를 바르기도 했지만 지금은 자체에서 나오는 분으로 그대로 두어 상품가치를 향상시키고 있다. 양촌곶감은 다른 지역의 곶감보다도 육질이 부드럽고 당도가 매우 높아 매년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으며 특히 비타민A와 C가 풍부하여 성인병 예방과 숙취에도 좋은 호평을 받고 있어 매년 수요가 급증하여 공급을 원활히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도 더욱 더 연구개발하면 양촌지역의 특산품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곶감은 비타민C가 사과의 5배를 함유하고 여성 피부미용에도 좋으며 특히 숙취해소나 정력 증진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한다.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펼쳐 보관하고 오랫동안 보관하려면 비닐봉지에 담아 냉장고 안 냉동실에 보관하면 오래도록 변질 없이 신선한 상태로 먹을 수 있고 맛이 더욱 좋아진다.캐릭터는 호랑이가 감을 먹고 있는 모습이고 상표명은 양촌곶감이다. 호랑이 캐릭터와 양촌곶감으로 의장등록 및 상표등록이 되어 있다. 옛날 이야기에 울던 아이가 곶감 소리에 울음을 그치자 호랑이가 이를 듣고 곶감이 무서워 달아났다는 민담이 있는데 이 이야기를 역으로 생각해 호랑이와 곶감의 친화성을 강조하여 나타낸 것이다.포장은 2kg용 오동나무상자와 4kg용 종이상자로 판매하고 있으며 재질은 골판지로 되어있다.국도 1호선(논산-대전)의 연산사거리에서 양촌방면으로 10km쯤 진행하면 건양 중고등학교가 보인다. 이곳을 지나면 양촌사거리가 나오는데 이곳에서 운주방면으로 500m쯤 진행하면 좌측으로 양촌농협이 위치해 있다. 전형적인 농촌 들녘인 양촌에 인내천이란 시내가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자아내고 차창 밖으로 내민 손에 만져지는 바람이 신선하게 느껴지는 곳으로, 곳곳에 보이는 감나무가 가을을 맞아 주홍빛으로 물들 때를 상상하면 왠지 모르게 가슴이 설레는 곳이다.
158식생활분야논산시연산 대추<NA>대추에 관련된 속담을 보면 이렇다. 「대추를 보고 먹지 않으면 늙는다」, 이는 대추가 노화방지에 효능이 있다는 말로 들린다. 대추는 실제 한의학에서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한데, 영양(營養)을 돕고 위를 편하게 한다고 전한다.「대추나무 방망이다」, 이는 사람이 단단하고 아주 야무지게 생겼거나 행동할 때 이르는 말로 대추나무가 그만하다는 뜻일 것이다.「대추나무에 연 걸리듯 한다」는 말도 있는데 이는 주로 여기저기 빚이 많을 때를 두고 하는 말로 대추나무가 크고 가지가 많다는 뜻도 담겨져 있다고 본다. 또 대추는 예로부터 '다산'을 의미하여 결혼 때에 시부모가 신부의 치마폭에 던져주는 풍습도 있다. 앞서 보듯 대추는 우리 생활 속에 깊이 연관되어 쓰여지고 있다. 젯상은 물론 아이 돌상에서 결혼(폐백), 상갓집, 한약재, 떡이나 삼계탕 등의 전통음식에 많이 쓰이고 있는데 대추나무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연대는 확실치 않다. 다만 고문헌 등에 '대조', '대초', '대최', '대쵸'등의 옛말로 쓰여 나오는 것과 제수용으로 쓰이는 것으로 보아 아주 오래 전부터 우리 민족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져 왔음을 짐작케 한다. 연산대추는 연산면 인근의 벌곡면, 양촌면, 전라북도 운주면 일대에서 많이 생산되는 것을 연산에 사들여와 타지방에 팔기 시작하면서부터 생긴 이름으로, 대추 구입을 위해 연산을 직접 찾는 소비자들에게 특별히 좋은 대추를 판매하려는 연산 대추 상인들의 노력에 힘입어 '좋은 품질의 대추는 연산대추'라는 이미지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양촌, 운주, 벌곡에서는 오래 전부터 재래품종을 많이 재배하고 있었다. 연산에는 5일장이 있었고, 거간상인(이남수 씨)이 있어 주변의 대추가 연산에 모였다. 즉, 금산의 인삼처럼 연산이 대추의 집산지가 되었다. 게다가 1980년도 후반에 소득차원에서 정부가 권장함으로써 많이 심기 시작했고 대추나무도 과수의 일종으로 수익성이 높았다. 다른 과종에 비해 소득이 많은 반면 경영비는 매우 적게 소요되는데 91%라는 높은 소득률을 가진 과수이다. 재배에 고도의 기술이나 노력이 소요되지 않으며 기후에 대한 적응범위가 넓고 토질을 별로 가리지 않으므로 산지를 이용한 대규모 재배가 가능했다. 또 연산이 대추집산지로 유명해지자 농협에서도 특산품을 개발하여 시판하기 시작했다.대추나무는 식물 분류학적으로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대추나무 속에 속하는 교목성 과수로서 중국계 대추와 인도계 대추 등 생태형이 전혀 다른 2종이 재배되고 있다. 중국계 대추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지역과 러시아 남부, 불가리아, 루마니아 등 유럽 및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한 미국 대륙의 중남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는 온대 낙엽 과수이다. 수익성이 높으며 기술이나 노력이 많이 소요되지 않고 기후에 대한 적응 범위가 넓고 토질을 별로 가리지 않아서 과거 논산지역일대에 재래품종이 많이 재배되고 있었다. 연산에서 제일 먼저 생겨난 한국상회의 1대 거간인 이남수 씨는 전국의 대추를 1960년대쯤 연산으로 모았다. 이것을 시작으로 대추를 집산하는 상회가 증가하기 시작했고 점차 대추 집산지로 연산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연산이 대추를 집산하는데 도움이 된 것은 5일장이었고, 그 후 기술적으로도 재래품종에서 신품종으로 개발이 이루어졌다. 산지로부터 생대추를 사들여 건조를 하거나 가공처리 하는데, 이때 분류와 등급화도 이루어지며 상품화되어 도매(개인)나 농협(소포장)으로 시판된다. 특히 연산농협에서도 1984년부터 대추를 특산품으로 개발하려는 노력을 했고 농협에서 규격박스를 만들어 상회의 대추를 사들여 농협의 이름으로 시판하고 있다. 그 결과 전국의 30-40%의 시장을 형성하게 되었다. 한국상회의 경우는 주요회사의 음료가공에 대규모 대추를 지급하기도 했다.연산대추주요 분포지는 연산면 신양리(이정준씨)와 양촌, 은진지역이다. 대추나무는 기후적응성이 매우 강한 과수로서 내한성, 내서성이 강하므로 우리나라 전지역에서 재배할 수 있다. 최저 기온이 영하 30℃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지역으로서 개화기인 6월 중ㆍ하순에 비가 적게 오고 태풍의 피해가 적은 내륙지방이 적합하다. 또한 토양적응성도 강하여 배수만 잘 되는 곳이라면 어떠한 토양에서도 양호하게 생육되지만 사양토가 최적지이다. 대추나무는 해마다 비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 결실과 수확이 가능하지만 많은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충분히 거름주어 가꾸기가 필요하다. 이정준씨도 퇴비를 사용하여 당도를 높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 따라서 대추는 대체로 논산지역에 퍼져 재배되고 있는데 원료의 조달방법은 각 농가로부터 상회가 대추를 사고 있고 농협은 산지 또는 상회로부터 원료를 구입하여 포장을 해서 전국에 판매하고 있다.<NA>대추는 새싹이 튼 후 6월이면 잎이 푸르러지고 황백색의 꽃이 피기 시작한다. 다른 과수에 비해 대추나무의 개화기는 장기적이다. 대추나무는 성목이 될수록 나무의 아랫부분에 햇빛과 통풍이 나빠져서 착과량이 적고 품질이 불량해지며 병충해의 발생이 심하게 된다. 나무의 골격을 튼튼히 하고 열매가 고르게 열리기 위해서는 잔가지로 뻗어나가는 가지의 뒷부분을 잘라주어 순치기를 한다. 즉, 나무의 아래쪽부터 튼튼한 가지가 자랄 수 있도록 가지 사이에 적절한 세력의 균형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꽃이 수분하여 착과 되면 과실의 횡경과 종경이 급격히 비대하다가 만개 후 50일경부터 완만하게 진행된다. 과실의 무게의 증가는 착과 후 80일까지는 꾸준히 증가한다. 많은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충분히 거름주어 가꾸기가 필요하다. 대추는 크게 두 가지 병충해를 입는데 빗자루병과 노랑쐐기나방이다. 특히 빗자루병은 걸릴 경우 나무를 통째로 베어내야 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대추는 착과 후 100일 경이면 과실이 연한 황색을 띄며 착과 후 110일 경이 되면 과실 표면이 암적갈색으로 변하여 완숙한다. 그러나 기간이 짧아서 수확할 때까지의 발육이 불충분한 과실은 과실 무게와 품질은 다소 떨어지지만 과실을 건조시킬 경우 착색에는 지장이 없으므로 모두 과실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건과용 과실은 생과용보다 10여일 일찍 수확해야 건조 중에 부패과실의 발생이 적고 건과의 품질도 좋다. 대추의 수확방법은 마른 과실용과 생과용으로 구분해서 수확하면 편리하다. 건과용은 나무 아래의 지면에 깔개를 깔아놓고 장대로 가지와 잎줄기를 때려서 떨어뜨린 다음 수확한다. 생과용은 과실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면장갑을 끼고 조심스럽게 수확한다. 이렇게 따진 대추는 큰 가지를 골라낸 다음 작은 잎사귀들과 함께 부대에 담겨진다. 우리나라 대추는 대부분 마른 과실로 사용하므로 대추 재배에서의 건조 과정은 거의 필수적인 작업이다. 대추를 건조시키기 위해 작은 구멍이 무수히 뚫린 플라스틱 깔판 위에다 대추를 담는다. 깔판 위에 대추가 담아지면 화력 건조기 안의 시렁합성비닐봉투로서 앞면 위로부터 왼쪽에 원산지 국산이 씌어있고 중앙 상단에 농협마크가 있으며 오른쪽에는 "신토불이"라는 글씨가 자주색바탕에 흰색으로 써있다. 앞면 중앙에는 "연산대추"라는 글씨가 씌어있는데 "연산"은 검은색, "대추"는 붉은색 글씨이며 "연산"글씨 밑바탕엔 갈색 원이, "대추"글씨 밑바탕엔 주황색 원이 그려져 있고 그 안에 대추가 하나 그려져 있다. 하단에는 대추 그림과 중량표시가 있고 가장 밑단에는 동부농협연산지소가 써있다. 뒷면을 보면 상단 왼쪽에 대추가 나무에 달려있는 그림이 있고 중앙 상단과 중앙은 앞면과 동일하다. 뒷면 하단에는 "우리 몸에는 우리농산물이 좋습니다" 와 "연산대추는 우리 몸에 좋은 명품만을 선별하여 가공하였습니다" 라는 글과 함께 제품명, 일자, 가공자, 유통기간, 제조원 등이 표시되었고 가장 하단에 바코드가 찍혀있다. 앞뒷면 모두 위아래의 테두리는 녹색, 흰색, 적색의 파도모양의 줄로 처리되어 있다.포장재질은 OPP+PE의 합성비닐이며 모양은 직사각형모양의 봉투고, 크기는 중량별로 500g, 300g, 200g, 150g으로 종류가 다양하다.시청에서 국도 1호선을 타고 대전방향으로 20분 정도 가 연산 신사거리에서 우회전한 후 약 5분을 가면 논산동부농협 연산지소가 나온다. 이곳에서 다시 대추총판 한국상회를 찾고자 하면 연산 신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연산시장을 거쳐 연산초등학교를 마주 건너면 대추향 가득한 한국상회를 만날 수 있다. 그 외에도 연산 시장 내에는 약 20여 채의 대추상회가 위치해 있다. 구경을 하다 시장할 경우 인근에 있는 유명한 연산순대국을 싼 가격에 맛볼 수도 있다.
159식생활분야논산시찰쌀보리<NA>보리는 포아풀과에 딸린 한 해 혹은 두해살이의 재배식물이다. 이 보리에는 봄보리와 가을보리가 있는데 서남아시아 혹은 이집트의 원산으로 세계 온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7천∼1만년의 재배 역사를 가진 보리의 줄기는 곧고 속이 비었으며 키는 1m가량이다. 잎은 어긋맞게 나는 긴 선형으로 겉이 매끄러우며 평행맥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가을보리를 많이 가꾸는데, 가을보리는 10월경 씨앗을 뿌리며 이듬해 5월쯤에 꽃줄기가 나와 5cm가량의 이삭이 생긴다. 이삭에는 긴 까락이 있고 6월에 여무는데, 여물어도 알이 껍질에 꼭 붙어서 잘 떨어지지 않는 것을 겉보리라 하고, 알이 껍질에서 잘 떨어지는 것을 쌀보리라 한다. 보리쌀은 쌀 다음가는 주식곡물로서 보리밥·맥주·된장·빵 등의 원료이고, 줄기는 여름모자·공예품·땔감·제지용·퇴비 등에 쓰인다. 찰쌀보리라는 명칭은 농촌진흥청에서 붙인 종자 이름으로 쌀보리가 매우 찰성이 강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올해부터는 찰쌀보리라는 발음이 어렵고 찹쌀과 혼돈이 될 수 있어 찰보리로 바꿀 계획이리고 한다.94년 농촌진흥청의 윤의병 연구관이 찰쌀보리를 연구하여 전국 5개 농협(충남 논산, 전남 영광, 경북 의성, 경주 건천, 전북 군산 등지)에 시험재배를 하게 되었다.94년 당시 논산에는 보리재배 농가가 없었다고 한다. 국가에서 쌀 위주의 정책을 시행해 나감에 따라 보리는 그 상품성을 잃었고 또 농촌인력이 노령화, 부녀화 되어 가면서 보리농사를 짓는 농가는 사라져 갔던 것이다. 이러한 때에 진흥청에서 찰쌀보리를 개발하게되었고 논산시 부적면에 찰쌀보리 시범포를 만들어 처음 육종하게 되면서 찰쌀보리는 빛을 발하기 시작한다. 부적농협에서 수확된 보리를 도정하여 밥을 지었는데, 보리를 먼저 삶아서 쌀에 섞는 불편을 없애고 그 맛이 매우 우수하여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하게 되었던 것이다.95년도 본격적인 찰쌀보리 계약재배에 들어갔다. 부적면 농가 중 노동인력이 고령화되고 부녀화된 농가를 중심으로 계약하여 종자와 소독약을 무상으로 지원하고 자체적으로 20-30ha에 달하는 채종포를 운영하여 종자의 순도를 유지하기에 힘썼다. 당시 부적의 일반토양에서는 딸기를 재배하였고 보리는 식양토에서 재배되었는데 부적을 비롯한 상월, 벌곡 등이 재배에 적합하였고 농협과의 계약재배를 통해 재배면적이 확대되어 갔다. 96년도부터는 수확에 필요한 클라스 콤바인이 도입되어 찰쌀보리재배가 한층 더 손쉽게 되었다. 농협과 시에서 지원하여 보리전용재배기인 클라스 콤바인을 구입하게 된 부적농협은 파종지원은 물론 비료살포기 무상임대, 수확기기 무료 이용 및 재배량 전량수매에서 판매까지 하게 됨으로써 논산을 찰쌀보리의 주산지로 만드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97년도 건조되지 않은 물보리를 산물로 수매하기 위해 농협에서 도청의 도움을 받아 건조저장시설을 97-98년도에 이어 완공하고 전국 최초로 산물수매을 하였다. 꾸준한 재배면적 확대로 인근의 공주, 부여에까지 재배농가가 계약되었으며 현재 약 400ha 파종, 455농가 재배, 전국농협에서 수매하는 2,000톤의 찰쌀보리 가운데 약 500톤을 수매하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찰쌀보리보리는 날씨가 추운 지방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 식물로 논산이 한국의 보리경작 재배의 한계점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식물은 날씨와 온도가 낮은 지점 즉, 한계점에서 자라는 것이 맛이 좋다고 하는데 논산 찰쌀보리도 맛과 찰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인근에 있는 부여나 공주 등지에 계약재배를 하여 부적농협에서 수매를 한다.<NA>보리가 몸에 좋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밥을 지을 때 불리거나 삶아야 되는 불편함과 먹을 때의 까실까실한 느낌, 색이 거무스름해지는 미관상의 문제 등의 이유로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다. 찰쌀보리는 일반보리의 단점을 개선하여 획기적인 보리로 바쁜 현대인에게 활력과 건강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보리는 추운 겨울동안 자라기 때문에 다른 작물에 비해 병해충이 심하지 않아 종자 소독약과 파종 후 잡초약 외에는 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찰쌀보리는 보리와 다르게 미리 불리거나 삶을 필요가 없다. 퍼짐성과 수분흡수율이 좋아 밥을 지을 때 불리거나 삶지 않고 쌀과 같이 바로 지을 수 있어 쉽고 간편하게 혼식할 수 있다. 밥이 된 후에도 보통보리밥보다 잘 굳지 않고, 윤기가 나고 차지며 촉촉한 감이 있어 밥맛이 좋다. 보리에는 베타글루겐(β-glucan)이 쌀의 5배, 밀의 7배 이상 함유되어 있어 과다한 영양섭취로 인한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며 비만을 방지하고 대장균에 의해 부티릭산(butyric acid)과 같은 저분자 지방산으로 분해되어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여 비만을 방지해 준다. 또 식이섬유소가 쌀의 7.2배, 밀의 2.3배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식이섬유소는 장의 운동과 소화를 도와 변비를 막아주어 대장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혈당과 뇨당의 증가를 막아 당뇨병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염분의 섭취를 줄여 혈압상승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보리는 스테미너를 증진시키고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켜 준다. 또 보통 식생활에서 부족하기 쉬운 여러 가지 비타민류, 무기성분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므로 쌀과 보리를 혼식하면 영양분을 균형적으로 섭취할 수 있어 각종 성인병에 더욱 효과적인 건강식품이다. 황산벌 옥토와 금강 맑은 물의 천혜적인 조건을 이용, 농가와 직접계약 재배하여 국립농산물검사소의 품질인증을 받아 부적 농협이 직접 가공하여 전국적으로 유통되는 찰쌀보리는 자가수정을 하며 일반벼를 심고 찹쌀을 심으면 멥쌀이 되는데 논산은 100% 찰보리청풍명월이란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뜻하며 예로부터 충청도 사람의 결백하고 온건한 성품 그리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선비정신을 나타내는 말이다.1kg씩 비닐팩으로 개별포장이 되어 있고, 5kg, 10kg, 20kg용으로 판매된다. 5kg은 선물용상자로 만들어져 일반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좋으며, 10kg, 20kg은 골판지상자로 식당 등에 대량판매 되고있다.국도1호선(대전-논산)을 타거나 호남고속도로를 타고 논산으로 직접 들어올 수 있다. 부적면은 논산시에서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일단 논산에 와서 찾아가는 것이 빠르다. 부적면 소재지에 부적농협과 농업기술센터가 위치하고 있어 찾아가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버스를 타고 올 경우 논산시청에서 5분, 대전에서 약 30분이 소요된다. 벼수확이 끝난 가을들녘은 황량하기 그지없다. 이 황량한 들녘을 초록으로 수놓는 보리는 그야말로 지역민들의 가슴에 청량제 역할을 한다. 자칫 사라질 위기에 놓였던 보리재배가 그 맥을 잇고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미소를 자아내게 한다.
160식생활분야논산시화학리오골계연산면 화악리 이래진 농장오골계는 눈빛깔, 깃털, 살색, 뼈 등이 흑색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천연기념물 265호로서 과거에 임금님께 매년 진상되어 수라상에 올랐다. 오골계는 연산면 화악리 이래진씨의 선조 때부터 수대에 걸쳐 사육해 왔으며 원산지가 동북 아시아라고만 알려졌고 당나라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들어 왔으나 다른 지방에서는 거의 멸종되었고 계룡산록인 연산지방에서만 사육조건이 알맞아 그 명맥을 이어오던 중 이 지방의 특산물로 지목되어 국왕에게 진상되어 왔다고 한다. 설화에 따르면 이조 연산군 때에는 일반 백성은 말할 것도 없고 정승까지도 오골계를 먹지 못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어기면 벼슬을 빼앗기고 심지어는 귀양까지 가게 되었다고 한다. 이조 숙종 임금께서 중병 후에 오골계로서 건강을 회복한 다음부터 역대 임금에게 계속 진상되었다고 한다. 초나라 여태수는 오골계탕을 먹고 70세에 득남하였고, 태수의 정력이 넘쳐 부인이 견디기 어렵게 되자 부인이 홧김에 오골계를 내던졌더니 닭이 그것을 쪼아먹고 정력이 넘쳐 머리털이 빠져 대머리가 되었다는 전설도 있다고 한다. 동의보감에도 여러 가지 효능(고혈압, 당뇨, 중풍)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다. 오골계는 저지방, 고단백 식품으로 소화흡수가 잘되므로 노약자, 수험생, 병후 허약체질자, 임산부 등에게 좋은 건강식품이다. 육식으로 인한 성인병이 우려되는 중,장년에게도 권장할 만 하다고 한다.농가에서 5대째 길러오다가 오골계의 좋은 점을 널리 알리기 위해 식당을 개업하여 일반인에게 선보이고 있다.익안대군 14대손 이형흠씨가 이 집안에서는 처음으로 오골계를 사육했으며 그 증손 이계순씨 대에 와서 거의 멸종되다시피 하여 남은 것을 그 장남인 이래진씨가 현재 계승하여 사육 중에 있으며 각처의 재래 오골계는 직접 간접으로 이 집에서 분양된 것이라 한다. 재래오골계와 서양오골계의 형태를 살펴보면 재래오골계의 발가락 수는 4개이고 서양오골계의 발가락은 5개이다. 깃털색은 흑색이 주종이나 아주 드물게 흰색(열성인자)이 있다고 한다. 정강이 깃털을 보면 재래 오골계의 경우 깃털이 없고 서양오골계는 바깥쪽으로 깃털이 나있다. 볏과 수염형태에 있어 재래오골계는 홑볏으로 6-8개의 굴곡이고 볏의 색깔은 주로 흑색, 적색, 적흑색이며 서양오골계는 털볏 앞에 딸기모양의 볏을 가지며 강미관인 것도 있다고 한다. 피부색의 주요색소는 멜라닌과 크산토필에 의하여 생긴다. 이 색소는 진피와 표피 양쪽에 포함되어 있다. 흑색 및 백색 오골계 모두 피부색은 청회색이다. 골막은 회흑색이며 뼈속의 골수도 병아리 때는 흑색을 띤다. 연산오골계 농장은 이미 5대째 사육하고 있던 것을 약 10년 전부터 식당을 개업하여 일반인에게 판매하고 있다. 이곳의 오골계탕은 한약재와 함께 푹 삶기 때문에 은은한 향과 끝맛이 매우 깔끔하다. 특히 오골계의 육질은 일반 닭과는 다르게 쫄깃한 맛을 느낄 수 있어 미식가의 호평을 받는다.오골계약 2,000수를 사육하고 있으며 그중 500수는 천연기념물 보존용이다.<NA>밤나무가 있는 곳에서 방목 형태로 사육해 야생벌레 등을 먹고 자란다. 방목사육으로 자란 오골계는 특히 육질이 맛있다고 한다. 한국 오골계의 깃은 정우성(正羽性)으로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모양의 닭깃이다. 깃빛, 몸색, 각 부분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 여러 잡종이 뒤섞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재래 오골계는 몸집이 크고 체중은 2.5kg정도이다. 또 눈빛이 검은색으로 오골계의 특징을 잘 표현하고 있다. 피부색도 대체로 검은색이다. 깃색은 거의 검은색이고 아주 극소수가 흰색 또는 갈색이다. 이래진 오골계의 경우 발가락 수는 모두 4개이고 다섯 개의 발가락을 가진 것은 없다. 모두 재래종이라는 것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생후 5-7개월이면 산란하기 시작하고 알을 잘 품으며 산란 수는 일년에 백여 개 정도이다. 재래오골계는 한정된 집단 및 근친교배에 의한 근교계수의 증가로 능력의 저하요인이 되었고 또한 사육농장 및 사육 집단간 여러 요인에 의하여 능력의 차이가 심하다. 초산일령은 평균 166.5일이고 산란 수는 연간 130-150개이며 수정율은 75-82%, 평균부화율은 50-60%이다. 산육능력에 있어 삼계용은 65-80일경 체중 650g의 것이고 성계는 90-100일경 1.2kg의 것이다. 오골계는 우리나라안에 7개도 6,000여 수가 있는데 그 중에서 재래 오골계가 4,000여 수, 서양 오골계가 1,000여 수, 두 종류의 잡종이 1,000여 수 등이다. 성장률은 30-50%정도로 일반 재래종 닭에 비하여 약하다. 재래종 닭에 비하여 병에 약하고 육축 성공률이 낮다. 재래 오골계의 용도는 약용으로 동의보감 탕액편에 적혀 있다. 오골계탕은 먼저 오골계를 깨끗이 씻어 내장을 꺼낸 후 손질해 놓는다. 뱃속에 인삼, 대추, 밤을 넣어 두꺼운 솥에서 2시간 정도 푹 끓여내고 찹쌀과 은행, 대추, 밤을 망에 넣어 찰밥을 한다. 잘 익은 닭을 그릇에 담고 다진파, 마늘, 소금, 후추가루를 곁들여 찰밥과 함께 낸다. 풍, 습증, 허약증에 특히 효과가 있다고 한다. 오골계황기탕은 앞의 오골계탕에 한약제인 황기를 넣는화악리 이래진 오골계 식당에서 판매되는 메뉴로는 오골계황기탕 대(3만원), 중(2만5천원) 등이 있다. 타지역에서는 오골계 구이, 오골계 도리탕, 오골계 백숙 등이 있다고 한다.<NA>논산 시청에서 4차선 국도 1호선을 타고 대전방면으로 진행하다 보면 약 15㎞지점에 연산사거리가 나오는데 이 사거리의 신호등에서 직진하여 연산검문소를 지나 개태사에 이른다. 개태사를 막 지나자마자 개태사 주유소가 있고 신호등에서 좌회전하면 충남 내수면 개발시험장이 눈앞에 들어오며 시험장을 지나 200m정도 지점에 식당과 농장이 있다.
161식생활분야청양군청양표고버섯청양 주민들요즘은 전국 각지에서 매우 많은 종류의 버섯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1970년대 초반에는 버섯재배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지금은 매우 흔한 버섯 중 하나인 표고버섯은 1970년에 청양에서 전국 최초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청양 표고버섯은 지금까지도 널리 알려진 특산품이다.농가소득증대를 위해 뜻 있는 농민들 5명이 실험적으로 재배를 시작한 것이 지금의 청양 표고버섯의 기원이 되었다.1970년대 초반에는 청양은 오지에 속하는 산간지역으로 뚜렷한 소득작물이 없는 지역이었다. 그리고 그 시절에는 버섯을 재배한다는 것은 다소 생소한 일이었다. 지금은 어느 곳에서나 표고버섯이나 느타리버섯을 흔히 볼 수 있지만, 당시에는 버섯을 재배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운 일이었으며, 시장에서 판매되는 버섯 또한 소량이며 매우 귀했다. 당시 국내에서는 버섯 종균이 전혀 생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1970년, 청양에서는 조병영, 복기상, 이병소씨 등 5명의 젊은 농민들이 산림조합을 통해 표고버섯종균을 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게 된다. 당시 산림조합을 통해 일본으로부터 표고버섯종균을 수입해 올 수 있다는 전망을 확인한 이들은 농가소득증대의 꿈에 부풀어 즉시 생산자 협동회를 조직하고 표고버섯종균을 들여와 재배를 시작하였다. 이것이 아마도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농가에서 표고버섯을 재배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물론 당시로서는 처음으로 시도되는 표고버섯 재배였으므로 생산자 협동회원들 스스로도 큰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다소의 기대감과 불안함을 동시에 느끼면서 조심스럽게 소규모로 출발한 표고버섯재배는 기대 이상으로 성공적이었다. 여기에는 칠갑산이 자리잡고 있어 충남에서는 예외적인 산간지형인 청양의 기후적 특질이 한몫을 단단히 한 것이다. 매우 귀한 표고버섯을 인공적으로 재배하여 시장에 내놓은 것은 고가에 판매되었고, 이러한 사례를 본 인근 농민들의 표고버섯재배 참여는 꾸준히 확대되었다. 그리하여 불과 십수년 만에 청양은 표고버섯의 본고장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지금도 청양에서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농가 수는 1,000여 농가에 이르며, 해마다 약 400톤 정도의 표고버섯이 생산된다. 표고버섯이 구기자, 청양고추와 더불어 청양 지역의 중요한 특산물로 자리매김 하기까지 청양 표고버섯 생산자 협동회의 역할은 지대한 것이었다. 표고버섯재배는 급속히 확산되어갔지만 그 모든 표고버섯은 일본, 대만, 홍콩 등지로 활발하게 수출되었다. 표고버섯의 내수시장이 매우 확장된 요즘에도 청양에서 생산되는 표고버섯의 50%15년 생 이상의 참나무, 표고버섯 종균과거에는 임목을 벌채하는 허가조건이 매우 까다로웠으나, 전국적으로 상당량의 임목축적이 이루어진 최근에는 참나무를 구하는 것이 한결 쉬워졌다. 표고버섯 종균은 국내 여러 곳에서 종균을 생산하는 업체들로부터 우수한 것들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는 산림청에서 공급을 받기도 한다. 대부분은 생산자 협동회가 공동으로 구매하여 농가들에 분배하지만 일부 농가들은 개별적으로 종균을 확보하기도 한다.<NA>표고버섯은 약 20℃ 이하의 온도와 다습한 조건에서 잘 자란다. 노지재배의 경우 3월하순경에 15년생 이상된 참나무 임목에 수 cm 간격으로 드릴로 구멍을 뚫고 거기에 종균을 식재함으로써 재배가 시작된다. 전통적으로 표고버섯 재배의 조건은 7한3온이라는 말로 표현되어왔다. 7일 정도는 서늘하고 3일 정도는 따뜻한 기후조건이 적당하다는 뜻으로 비닐하우스 등의 인위적인 조건을 형성시키지 않을 경우 지역의 기후적 특질에 큰 영향을 받는다. 청양은 칠갑산이 있어 비교적 깊은 산간지역으로 표고버섯 재배의 적지이다. 3월 하순경에 식재한 버섯 종균은 그대로 두면 잘 자라 약 1달 뒤인 4월 하순부터는 수확을 하게 된다. 수확한 표고버섯은 농가에서 햇볕에 또는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다음 선별과정을 거쳐 유통된다. 비닐하우스 재배를 할 경우 10월 한달 동안 재배된다.<NA><NA>청양군청 소재지인 청양읍 중심에는 오래된 시외버스터미널이 하나 있다. 그 시외버스터미널 남쪽으로 도로를 건너면 청양에서는 가장 알려진 숙박업소인 흥창모텔이 있으며 바로 뒷편에 청양 표고버섯 생산자 협동회의 표고선별장이 있다. 제법 큰 창고인 이 선별장이 바로 표고버섯 생산자 협동회의 사무실이기도 하다. 표고버섯 생산자 협동회는 청양의 이름난 특산물 중 하나인 표고버섯재배를 최초로 도입했던 유서 깊은 농민조직이다.
162식생활분야천안시구기자한방차, 생맥산김용남청양식품은 청양군의 특산물인 구기자를 가공한 음료를 생산, 판매하는 농기업이다. 이곳의 대표인 김용남씨는 이 사업을 시작하면서 제일 먼저 구기자와 다른 한약재를 함께 가공한 첫번째 음료를 만들면서 소비자 대중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구기자한방차'라는 상품명을 사용하였다. 얼마 후 구기자에 특별히 맥문동을 첨가하여 가공한 신상품을 개발할 때는 평이한 상품명 또는 '한방'이라는 단어를 상품명에 포함시켰을 때의 여러 불리함을 느끼고는 여러 날을 고민한 끝에 '생맥산'이라는 상품명을 만들게 되었다. 생맥산의 '생(生)'은 몸에 좋다는 점을 암시하는 글자이며, '맥(脈)'은 맥문동이 주원료라는 점, '산(山)'은 칠갑산의 이미지를 고려한 것이다.농가부업으로 시작한 구기자 가공음료 생산이 꾸준히 성장하여 이제는 오히려 주업이 되었다.전국 구기자 총생산량의 60-80%에 해당되는 물량이 재배되고 있으며, 구기자 재배의 역사도 거의 한 세기 이상 되는 청양에서는 구기자 가공상품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청양지역의 농민들,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에 의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김용남씨가 구기자를 가공한 음료를 생산, 판매하게 된 계기도 그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청양에서도 비교적 산촌에 속하는 정산면 대박리에 약간의 논과 밭을 경작하며 살던 평범한 농촌 주부에 지나지 않던 김용남씨와 같은 마을의 여러 아주머니들은 1990년대 초반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에 근무하며 '농촌여성 일감갖기' 사업을 담당하던 생활개선 지도사 김미숙씨를 우연한 계기로 알게 된다. 김미숙씨의 적극적인 권유로 대박리 부녀회의 아주머니들은 겨울에 작은 부업거리라도 해야겠다는 생각에서 마을 이장에게 부탁하여 마을 회관에 중탕기 등을 들여와 흑염소 중탕을 만드는 일을 시작하였다. 당시 부녀회 회장이었던 김용남씨는 농업기술센터의 김미숙씨의 열성적인 권유와 지원에 힘입어 아무것도 모르던 농촌 마을의 아주머니들이 작은 돈이라도 벌어보겠다고 엄동설한의 한 겨울에 밤늦도록 마을회관을 치우고 중탕기를 들여오곤 하던 일들을 매우 감동 깊은 추억으로 간직하고 있다. 이렇게 시작한 흑염소 엑기스 제조와 판매는 대박리 아주머니들의 소일거리이자 부업으로 한동안 진행되었다. 그저 농사일과 살림만 하는 것이 자신의 생활의 전부라고 여기고 있던 농촌 아주머니들의 이 작은 해프닝은 오히려 그들에게 더욱 큰 자신감과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1994년 어느 날 김용남씨와 대박리 부녀회원들은 농업기술센터의 한 회합에서 지도사 김미숙씨에게 '청양군에서는 구기자가 많이 생산되고 있고, 대박리에는 중탕기가 있으니 구기자를 가공한 음료를 만들어 판매하면 어떻겠느냐'라는 제안을 하게 된다. 원래 청양에서는 웬만한 농가들은 다 구기자를 직접 재배하고 있기 때문에 보리차처럼 구기자를 끓여 마시는 일이 흔히 있었다. 구기자 가공음료 사업의 아이디어는 이러한 일상사로부터 나온 것이었다. 이 제안에구기자, 생강, 대추, 계피, 맥문동, 오미자, 인삼 등음료 제조에 들어가는 모든 재료들은 직접 재배하거나 인근의 재배농가들로부터 직접 구입하고 있으며, 맥문동의 경우 청양군 비봉면의 재배 농가들에서 직접 구입한다.<NA>구기자 한방차와 생맥산의 제조과정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원료의 배합비율과 달일 때의 온도 등이 차이가 있으며, 가장 중요한 노하우이다. 생산과정을 일별하면 다음과 같다. 구입해 온 원료들을 깨끗이 세척한 후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저장해 둔다. 주문이 있을 경우 생산을 시작하게 되는데 저장된 구기자를 볶은 다음 다른 원료들과 일정한 배합비율대로 가마니에 넣은 다음 중탕기를 사용하여 1-2일간 쉬지않고 달인다. 이렇게 달인 음료는 파우치 진공포장기를 사용하여 포장된다. 구기자한방차의 경우, 구기자, 생강, 대추, 계피가 원료로 사용된다. 생맥산은 구기자, 맥문동, 오미자가 주원료로 사용된다.상호는 '청양식품'이며, 상표는 구기자한방차와 생맥산 두 가지이다.100ml들이 파우치 포장 30봉지가 디자인된 종이상자 한 박스에 담겨 판매되고 있다.청양군 동쪽으로 공주시가 있다. 구기자한방차, 생맥산 등 청양의 특산물인 구기자와 맥문동 등을 가공하여 음료로 만들어 판매하는 농기업인 청양식품을 찾아가려면 청양군청이 있는 청양읍에서 공주로 향하는 국도를 따라가야 한다. 청양읍을 빠져나와 공주방향 국도를 타고 10여분 지나면 칠갑산을 넘어가는 구불구불한 고갯길이 나온다. '콩밭 매는 아낙네야'라고 시작하는 향취가 물씬 어린 가요 '칠갑산'의 가사가 묘사하고 있는 그대로 풋풋한 산촌 풍경을 즐기면서 20분 정도를 지나면 어느덧 험한 산세는 사라지고 아늑하고 평온한 들판이 눈앞에 펼쳐지며 정산면사무소 소재지에 도착하게 된다. 정산면 읍내 언저리에 있는 삼거리에서 우회전하면 공주방향이고 좌회전하면 유구로 향하는 길이다. 여기에서 유구 방향으로 길을 틀어 1km 쯤 가면 화장품, 비누 등으로 널리 알려진 기업 애경의 공장이 눈에 들어온다. 애경의 비누공장 오른쪽으로 진입하는 마을길 저편 300m 앞에 논과 밭, 농촌마을이 눈에 들어온다. 그 마을이 정산면 대박리이며 마을 초입에 정미소와 나란히 청양식품 간판이 있는 가건물이 있다.
163식생활분야청양군칠갑산구기자한과영농조합법인 칠갑산구기자한과평범한 농가의 주부들이었던 관산리의 몇몇 농민여성들은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의 생활개선과 담당 지도사들과 여러 회합을 통해 농가부업을 물색하던 중 청양의 특산물인 구기자를 이용한 한과를 만들어 판매할 계획을 하고 구기자한과를 만들어 팔게 되었다. 처음에는 그저 조금씩 만들어 아는 사람들에게 재료비와 수고비를 받고 판매하던 것이 급격하게 그 규모가 커지면서 정식으로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하게 되었고, 상호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충남 청양의 명산인 칠갑산과 청양의 가장 중요한 특산물인 구기자의 이미지를 부각시키고자 칠갑산구기자한과라는 명칭으로 한과를 만들어 판매하게 되었다.청양군의 농업기술센터에서 추진하는 '농촌여성 일감갖기 운동'의 일환으로 부업으로 한과를 만들어 판매하게 되었다.전국 농촌에서 농촌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농업기술센터에는 생활개선 담당부서가 있어 농촌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농촌여성 일감갖기 운동'을 펼쳐온 지 오래되었다. 현재 영농조합법인 칠갑산구기자한과의 대표인 신춘자씨를 비롯한 관산리의 몇몇 아주머니들은 1990년부터 농업기술센터를 출입하면서 '농촌여성 일감갖기' 사업에 대해 알게 되었다. 마침 관산리에는 전통한과를 솜씨있게 만들기로 유명한 한 할머니께서 살고 계셨고, 농업기술센터의 생활개선과에서는 여러 설비를 갖추고 청양의 특산물인 구기자를 가공한 식품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었다. 이러한 여건들이 들어맞아 신춘자씨와 마을 아주머니들은 농업기술센터의 담당 지도사와 함께 구기자를 넣어 만든 한과를 개발하여 판매할 계획을 세우게 되었고 실천에 옮겼다. 농업기술센터에서 개발되어 있는 구기자 가공기술과 마을 할머니의 솜씨를 결합하여 만들기 시작한 구기자한과는 곧 주변 사람들로부터 호평을 받게 되었고, 알음알음으로 구기자한과를 찾는 이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그리하여 1995년부터는 부업차원에서 소규모로, 불규칙적으로 한과를 만들던 것을 본격적으로 생산하여 판매하기로 결정하고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하게 된다. 그러나 본격적인 기업경영은 농가에서 부업의 일환으로 할 때와는 다른 많은 난관들을 극복해야만 하는 것이었다. 무엇보다도 한과공장을 신축할 자본을 마련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었다. 공장을 설립하는 과정에 신춘자씨는 마을 아주머니들에게 출자를 할 수 있도록 설득하였으나 농촌에서 여성이 출자를 하여 제조에서 판매에 이르기까지의 기업경영을 한다는 것은 많은 오해와 반발을 불러일으킬 뿐이었다. 이런 어려운 과정을 겪으면서 겨우 자본금 4천만원을 마련하여 신춘자씨의 논을 메우고 가건물을 세울 수 있었다. 그러나 처음에 참여했던 마을 아주머니들은 8명에서 5명으로 줄어들게 되었다. 게다가 구기자한과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비가 필요했으며 그것을 확보하는 일 또한 어려운 일이었다. 그러나 신춘자씨의 남다른 의욕과 농업구기자, 찹쌀, 멥쌀, 참깨, 들깨, 흑임자, 대추, 은행한과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모든 재료는 관산리와 그 이웃마을의 농가들과 계약재배를 통해서 공급받고 있다. 관산리는 청양에서도 구기자가 집중적으로 재배되는 지역으로 원료수급의 문제는 거의 없는 편이다.<NA>칠갑산구기자한과의 특징은 일반적인 한과와는 달리 느끼한 맛이 적고, 달지 않으며, 고소하다는 점이다. 구기자한과는 몇 가지 자동화된 설비가 도입되었다는 점, 구기자를 가공하는 과정이 첨가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한과를 만드는 법과 거의 유사하다.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찹쌀과 멥쌀을 깨끗이 씻은 다음 1, 2주 정도 침지시킨다. 침지시키는 이유는 쌀이 불어서 분쇄가 더욱 쉽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온이 높은 여름에는 1주 정도, 겨울에는 2주 정도를 침지시킨다. 그렇게 침지시킨 쌀은 다시 건져내어 분쇄기에 넣고 잘게 분쇄시킨다. 분쇄시킨 쌀에 구기자가루, 소주, 콩물, 소금을 넣어 50분간 찌는 증자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의 재료 배합비율과 증자 온도 등 세부적인 내용이 칠갑산구기자한과의 맛을 결정짓는 중요한 노하우이다. 증자시킨 내용물들은 꽈리치기 반죽을 하여 성형을 하고,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시킨다. 절단된 한과의 기본 성형물들은 가온시설이 되어 있는 건조실에서 건조한 다음 비닐봉지에 밀봉하여 냉장실에 저장해둔다. 저장해두었던 성형물들은 주문이 있을 때에 다시 꺼내어 튀기고, 튀긴 것에서 기름을 빼내는 탈유과정을 거친다음 엿물을 입힌다. 이때의 엿물은 일반적으로 한과를 만들 때 사용하는 물엿과는 달리 청양군 농업기술센터에서 개발하여 특허출원중인 기술을 이전 받아 만든 엿물로 구기자가 함유된 것으로 칠갑산구기자한과의 품질을 결정짓는 두 번째의 노하우이다. 엿물을 입힌 뒤에 고물을 입히고 포장을 함으로써 완제품이 나온다.'칠갑산구기자한과'라는 용어와 마크를 포장용기에 붙여서 사용한다. 그리고 모든 상품에 농림부의 한국전통식품 품질인증마크가 같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품에 따라 도지사 추천특산물 마크와 청양군의 상징 마크가 부착되기도 한다.생산되는 상품의 크기와 용량,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포장용기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바구니와 한지로 포장한 선물세트가 4종(3호: 270x 270x160mm, 5호: 320x 320x170, 6호: 320x320x170, 7호: 430x350x130), 두꺼운 종이상자로 포장되어 있는 선물세트가 4종(1호: 285x215x185, 2호: 305x265x190, 대(L): 420x245x220, 4호: 365x305x75), 비닐용기에 포장한 200g들이 소포장 상품이 1종, 종이상자에 포장되어 있는 우편주문상품이 용량에 따라 5종이 있다.청양군은 서쪽으로 예산과 홍성, 동쪽으로는 공주와 연해 있는 지역으로 대중가요로도 잘 알려진 칠갑산이 군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청양군청에서 청양읍내 사거리를 나와 좌회전하면 예산, 홍성 방향으로 향하는 지방도로가 나온다. 지방도로를 따라 고즈넉하게 펼쳐진 낮은 산들과 그 앞에 자리잡은 농촌마을 풍경을 바라보며 20분 정도를 가면 어느덧 청양군의 제일 서쪽에 위치한 비봉면에 도착한다. 비봉면사무소 뒷 쪽으로 경지정리가 잘 되어있는 논이 펼쳐져 있으며, 그 너머로 마을이 보이는데 그곳이 영농조합법인 칠갑산구기자한과가 있는 관산리이다. 비봉면사무소 뒷 쪽에 나있는 좁은 진입로를 따라 10여분 정도 걸어가면 록평리를 지나 관산리에 이르게 된다. 진입로 옆에 보이는 밭들에는 예외 없이 구기자가 재배되고 있어 색다른 풍경을 보여준다. 논 한가운데 상당한 규모의 가건물이 있으며 '구기자한과 영농조합'이라고 써있는 간판이 있어 쉽게 찾아갈 수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청양 읍내에서 예산이나 홍성 방면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면 비봉면사무소 앞에서 내릴 수 있다. 다만 배차간격이 길어 한시간에 1대 꼴로 버스가 있으므로 사전에 운행시간을 알아두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