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8
Number of observations6627
Missing cells859
Missing cells (%)1.6%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420.8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65.0 B

Variable types

Categorical5
Numeric1
Text2

Dataset

Description한국문화정보원 도자기용 문양 데이터로 분류1, 분류2, 문양명칭, 데이터명, 제공 데이터 형태, 제공 데이터 설명, 저작권, 주소 컬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uthor한국문화정보원
URLhttps://www.data.go.kr/data/15069626/fileData.do

Alerts

분류1 has constant value ""Constant
저작권 has constant value ""Constant
코드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명 and 1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Data명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코드High correlation
제공 Data 형태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코드High correlation
분류2 is highly imbalanced (89.5%)Imbalance
제공 Data 설명 has 859 (13.0%) missing valuesMissing
코드 has unique valuesUnique
URL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3-12-12 04:40:07.613920
Analysis finished2023-12-12 04:40:09.414421
Duration1.8 second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분류1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51.9 KiB
용도별문양
6627 

Length

Max length5
Median length5
Mean length5
Min length5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용도별문양
2nd row용도별문양
3rd row용도별문양
4th row용도별문양
5th row용도별문양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용도별문양 6627
100.0%

Length

2023-12-12T13:40:09.51591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3:40:09.78229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용도별문양 6627
100.0%

분류2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5
Distinct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51.9 KiB
도자기
6391 
도자기,길상
 
211
도자기,떡살
 
19
도자기,길상,벽사
 
4
도자기,벽사
 
2

Length

Max length9
Median length3
Mean length3.1086464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도자기
2nd row도자기
3rd row도자기
4th row도자기
5th row도자기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도자기 6391
96.4%
도자기,길상 211
 
3.2%
도자기,떡살 19
 
0.3%
도자기,길상,벽사 4
 
0.1%
도자기,벽사 2
 
< 0.1%

Length

2023-12-12T13:40:09.98763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3:40:10.20896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도자기 6391
96.4%
도자기,길상 211
 
3.2%
도자기,떡살 19
 
0.3%
도자기,길상,벽사 4
 
0.1%
도자기,벽사 2
 
< 0.1%

코드
Real number (ℝ)

HIGH CORRELATION  UNIQUE 

Distinct6627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26181.621
Minimum149
Maximum82859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58.4 KiB
2023-12-12T13:40:10.38837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149
5-th percentile4132.3
Q111557
median20438
Q333777.5
95-th percentile70459.7
Maximum82859
Range82710
Interquartile range (IQR)22220.5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20344.413
Coefficient of variation (CV)0.7770494
Kurtosis0.63661245
Mean26181.621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10721
Skewness1.250455
Sum1.735056 × 108
Variance4.1389515 × 108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2T13:40:10.55250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149 1
 
< 0.1%
31211 1
 
< 0.1%
31228 1
 
< 0.1%
31227 1
 
< 0.1%
31226 1
 
< 0.1%
31225 1
 
< 0.1%
31224 1
 
< 0.1%
31223 1
 
< 0.1%
31215 1
 
< 0.1%
31214 1
 
< 0.1%
Other values (6617) 6617
99.8%
ValueCountFrequency (%)
149 1
< 0.1%
150 1
< 0.1%
151 1
< 0.1%
159 1
< 0.1%
186 1
< 0.1%
187 1
< 0.1%
188 1
< 0.1%
190 1
< 0.1%
191 1
< 0.1%
357 1
< 0.1%
ValueCountFrequency (%)
82859 1
< 0.1%
82858 1
< 0.1%
82857 1
< 0.1%
82856 1
< 0.1%
82855 1
< 0.1%
82854 1
< 0.1%
82653 1
< 0.1%
82652 1
< 0.1%
82651 1
< 0.1%
81920 1
< 0.1%

Data명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51.9 KiB
개별문양
4405 
원시문양
2222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4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원시문양
2nd row원시문양
3rd row원시문양
4th row원시문양
5th row원시문양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개별문양 4405
66.5%
원시문양 2222
33.5%

Length

2023-12-12T13:40:10.76154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3:40:10.91414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개별문양 4405
66.5%
원시문양 2222
33.5%

제공 Data 형태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51.9 KiB
2D 이미지파일(AI)
5423 
3D(WRL) 파일
1204 

Length

Max length12
Median length12
Mean length11.636638
Min length10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2D 이미지파일(AI)
2nd row2D 이미지파일(AI)
3rd row2D 이미지파일(AI)
4th row2D 이미지파일(AI)
5th row2D 이미지파일(AI)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2D 이미지파일(AI) 5423
81.8%
3D(WRL) 파일 1204
 
18.2%

Length

2023-12-12T13:40:11.10942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3:40:11.24747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2d 5423
40.9%
이미지파일(ai 5423
40.9%
3d(wrl 1204
 
9.1%
파일 1204
 
9.1%

제공 Data 설명
Text

MISSING 

Distinct2173
Distinct (%)37.7%
Missing859
Missing (%)13.0%
Memory size51.9 KiB
2023-12-12T13:40:11.65338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794
Mean length284.08582
Min length1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638607
Distinct characters1554
Distinct categories16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10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753 ?
Unique (%)30.4%

Sample

1st row내저에 하나의 국화를 둘러싸고 중원이 새겨져 있으며 그 바깥쪽으로 여의두문대가 둘러져있다. 기벽에는 3개의 여지문과 국화문이 교대로 둘러져 있다.
2nd row구연부 주위에는 연판문이 돌려져 있고, 그 아래 부분에는 운문이 둘러져 있다.
3rd row구연부와 맞닿은 동체의 위쪽에는 회문의 일종이 연속적으로 둘러져 있고, 동체의 가운데 부분에는 초화문이 시문되어 있다.
4th row구연부 둘레에 간소화된 당초문이 굵은 선으로 시문되어 있다. 당초문은 겨울에도 얼지 않는 덩굴식물 인동(忍冬)이 뻗어나가는 모양으로 끈기를 상징하며 능동적이고 강한 삶을 표현한다.
5th row상감기법으로 포도송이가 시문되어 있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3170
 
0.8%
2622
 
0.7%
2297
 
0.6%
있는 1876
 
0.5%
또한 1604
 
0.4%
한다 1432
 
0.4%
것으로 1427
 
0.4%
상징한다 1420
 
0.4%
상징하는 1388
 
0.4%
많이 1375
 
0.4%
Other values (13273) 358101
95.1%
2023-12-12T13:40:12.44159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372207
 
22.7%
37337
 
2.3%
37134
 
2.3%
35705
 
2.2%
30720
 
1.9%
. 28793
 
1.8%
25774
 
1.6%
25408
 
1.6%
24649
 
1.5%
22228
 
1.4%
Other values (1544) 998652
60.9%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186749
72.4%
Space Separator 372207
 
22.7%
Other Punctuation 49767
 
3.0%
Open Punctuation 10910
 
0.7%
Close Punctuation 10901
 
0.7%
Decimal Number 3594
 
0.2%
Initial Punctuation 1423
 
0.1%
Final Punctuation 1414
 
0.1%
Lowercase Letter 1247
 
0.1%
Uppercase Letter 203
 
< 0.1%
Other values (6) 19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7337
 
3.1%
37134
 
3.1%
35705
 
3.0%
30720
 
2.6%
25774
 
2.2%
25408
 
2.1%
24649
 
2.1%
22228
 
1.9%
19631
 
1.7%
18560
 
1.6%
Other values (1479) 909603
76.6%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245
19.6%
d 230
18.4%
n 143
11.5%
h 129
10.3%
u 128
10.3%
r 128
10.3%
m 111
8.9%
e 40
 
3.2%
t 15
 
1.2%
i 15
 
1.2%
Other values (8) 63
 
5.1%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551
43.2%
2 556
 
15.5%
3 363
 
10.1%
0 265
 
7.4%
5 251
 
7.0%
7 189
 
5.3%
6 178
 
5.0%
4 154
 
4.3%
8 58
 
1.6%
9 29
 
0.8%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8793
57.9%
, 17057
34.3%
· 1812
 
3.6%
: 1669
 
3.4%
' 367
 
0.7%
? 58
 
0.1%
" 10
 
< 0.1%
/ 1
 
< 0.1%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142
70.0%
S 24
 
11.8%
C 20
 
9.9%
X 8
 
3.9%
B 7
 
3.4%
O 2
 
1.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0422
95.5%
260
 
2.4%
173
 
1.6%
[ 55
 
0.5%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0413
95.5%
260
 
2.4%
173
 
1.6%
] 55
 
0.5%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23
85.2%
+ 2
 
7.4%
1
 
3.7%
1
 
3.7%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019
71.6%
404
 
28.4%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015
71.8%
399
 
28.2%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8
71.8%
11
 
28.2%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372207
10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94
100.0%
Format
ValueCountFrequency (%)
­ 20
100.0%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11
100.0%
Other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163608
71.0%
Common 450408
 
27.5%
Han 23141
 
1.4%
Latin 1450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7337
 
3.2%
37134
 
3.2%
35705
 
3.1%
30720
 
2.6%
25774
 
2.2%
25408
 
2.2%
24649
 
2.1%
22228
 
1.9%
19631
 
1.7%
18560
 
1.6%
Other values (872) 886462
76.2%
Han
ValueCountFrequency (%)
1541
 
6.7%
844
 
3.6%
593
 
2.6%
562
 
2.4%
548
 
2.4%
474
 
2.0%
436
 
1.9%
432
 
1.9%
431
 
1.9%
360
 
1.6%
Other values (597) 16920
73.1%
Common
ValueCountFrequency (%)
372207
82.6%
. 28793
 
6.4%
, 17057
 
3.8%
( 10422
 
2.3%
) 10413
 
2.3%
· 1812
 
0.4%
: 1669
 
0.4%
1 1551
 
0.3%
1019
 
0.2%
1015
 
0.2%
Other values (31) 4450
 
1.0%
Latin
ValueCountFrequency (%)
a 245
16.9%
d 230
15.9%
n 143
9.9%
A 142
9.8%
h 129
8.9%
u 128
8.8%
r 128
8.8%
m 111
7.7%
e 40
 
2.8%
S 24
 
1.7%
Other values (14) 130
9.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163578
71.0%
ASCII 446215
 
27.2%
CJK 22517
 
1.4%
Punctuation 2848
 
0.2%
None 2699
 
0.2%
CJK Compat Ideographs 624
 
< 0.1%
CJK Compat 94
 
< 0.1%
Compat Jamo 30
 
< 0.1%
Math Operators 1
 
< 0.1%
Number Forms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372207
83.4%
. 28793
 
6.5%
, 17057
 
3.8%
( 10422
 
2.3%
) 10413
 
2.3%
: 1669
 
0.4%
1 1551
 
0.3%
2 556
 
0.1%
' 367
 
0.1%
3 363
 
0.1%
Other values (40) 2817
 
0.6%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7337
 
3.2%
37134
 
3.2%
35705
 
3.1%
30720
 
2.6%
25774
 
2.2%
25408
 
2.2%
24649
 
2.1%
22228
 
1.9%
19631
 
1.7%
18560
 
1.6%
Other values (866) 886432
76.2%
None
ValueCountFrequency (%)
· 1812
67.1%
260
 
9.6%
260
 
9.6%
173
 
6.4%
173
 
6.4%
­ 20
 
0.7%
1
 
< 0.1%
CJK
ValueCountFrequency (%)
1541
 
6.8%
844
 
3.7%
593
 
2.6%
562
 
2.5%
548
 
2.4%
474
 
2.1%
436
 
1.9%
432
 
1.9%
431
 
1.9%
360
 
1.6%
Other values (573) 16296
72.4%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019
35.8%
1015
35.6%
404
 
14.2%
399
 
14.0%
11
 
0.4%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28
20.5%
115
18.4%
106
17.0%
47
 
7.5%
45
 
7.2%
39
 
6.2%
19
 
3.0%
19
 
3.0%
17
 
2.7%
15
 
2.4%
Other values (14) 74
11.9%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94
100.0%
Compat Jamo
ValueCountFrequency (%)
22
73.3%
3
 
10.0%
2
 
6.7%
1
 
3.3%
1
 
3.3%
1
 
3.3%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1
100.0%
Number Forms
ValueCountFrequency (%)
1
100.0%

저작권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51.9 KiB
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6627 

Length

Max length18
Median length18
Mean length18
Min length18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2nd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3rd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4th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5th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6627
100.0%

Length

2023-12-12T13:40:12.63945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3:40:12.76787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6627
100.0%

URL
Text

UNIQUE 

Distinct6627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51.9 KiB
2023-12-12T13:40:13.06594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77
Median length77
Mean length76.325034
Min length7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505806
Distinct characters38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6627 ?
Unique (%)100.0%

Sample

1st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49&reffer=use&sType=01
2nd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50&reffer=use&sType=01
3rd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51&reffer=use&sType=01
4th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59&reffer=use&sType=01
5th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86&reffer=use&sType=01
ValueCountFrequency (%)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49&reffer=use&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1209&reffer=use&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1226&reffer=use&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1225&reffer=use&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1224&reffer=use&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1223&reffer=use&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1215&reffer=use&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1214&reffer=use&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1213&reffer=use&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1212&reffer=use&stype=01 1
 
< 0.1%
Other values (6617) 6617
99.8%
2023-12-12T13:40:13.63236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e 44167
 
8.7%
r 35357
 
7.0%
t 33135
 
6.6%
i 28730
 
5.7%
d 26508
 
5.2%
/ 26508
 
5.2%
. 26508
 
5.2%
w 24286
 
4.8%
u 23413
 
4.6%
s 19881
 
3.9%
Other values (28) 217313
43.0%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348611
68.9%
Other Punctuation 79524
 
15.7%
Decimal Number 44536
 
8.8%
Math Symbol 19881
 
3.9%
Uppercase Letter 13254
 
2.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e 44167
12.7%
r 35357
10.1%
t 33135
9.5%
i 28730
 
8.2%
d 26508
 
7.6%
w 24286
 
7.0%
u 23413
 
6.7%
s 19881
 
5.7%
o 19881
 
5.7%
p 16349
 
4.7%
Other values (9) 76904
22.1%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1130
25.0%
0 9040
20.3%
2 3859
 
8.7%
3 3777
 
8.5%
8 3096
 
7.0%
7 3036
 
6.8%
6 3029
 
6.8%
4 2910
 
6.5%
5 2654
 
6.0%
9 2005
 
4.5%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6508
33.3%
. 26508
33.3%
& 13254
16.7%
: 6627
 
8.3%
? 6627
 
8.3%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T 6627
50.0%
V 4405
33.2%
O 2222
 
16.8%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1988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Latin 361865
71.5%
Common 143941
 
28.5%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e 44167
12.2%
r 35357
 
9.8%
t 33135
 
9.2%
i 28730
 
7.9%
d 26508
 
7.3%
w 24286
 
6.7%
u 23413
 
6.5%
s 19881
 
5.5%
o 19881
 
5.5%
p 16349
 
4.5%
Other values (12) 90158
24.9%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26508
18.4%
. 26508
18.4%
= 19881
13.8%
& 13254
9.2%
1 11130
7.7%
0 9040
 
6.3%
: 6627
 
4.6%
? 6627
 
4.6%
2 3859
 
2.7%
3 3777
 
2.6%
Other values (6) 16730
11.6%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505806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e 44167
 
8.7%
r 35357
 
7.0%
t 33135
 
6.6%
i 28730
 
5.7%
d 26508
 
5.2%
/ 26508
 
5.2%
. 26508
 
5.2%
w 24286
 
4.8%
u 23413
 
4.6%
s 19881
 
3.9%
Other values (28) 217313
43.0%

Interactions

2023-12-12T13:40:09.00038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Correlations

2023-12-12T13:40:13.76293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분류2코드Data명제공 Data 형태
분류21.0000.2600.1050.128
코드0.2601.0000.7160.752
Data명0.1050.7161.0000.000
제공 Data 형태0.1280.7520.0001.000
2023-12-12T13:40:13.86713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분류2제공 Data 형태Data명
분류21.0000.1560.128
제공 Data 형태0.1561.0000.000
Data명0.1280.0001.000
2023-12-12T13:40:13.99619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코드분류2Data명제공 Data 형태
코드1.0000.1110.5590.591
분류20.1111.0000.1280.156
Data명0.5590.1281.0000.000
제공 Data 형태0.5910.1560.0001.000

Missing values

2023-12-12T13:40:09.16281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3-12-12T13:40:09.33959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Sample

분류1분류2코드Data명제공 Data 형태제공 Data 설명저작권URL
0용도별문양도자기149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내저에 하나의 국화를 둘러싸고 중원이 새겨져 있으며 그 바깥쪽으로 여의두문대가 둘러져있다. 기벽에는 3개의 여지문과 국화문이 교대로 둘러져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49&reffer=use&sType=01
1용도별문양도자기150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구연부 주위에는 연판문이 돌려져 있고, 그 아래 부분에는 운문이 둘러져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50&reffer=use&sType=01
2용도별문양도자기151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구연부와 맞닿은 동체의 위쪽에는 회문의 일종이 연속적으로 둘러져 있고, 동체의 가운데 부분에는 초화문이 시문되어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51&reffer=use&sType=01
3용도별문양도자기159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구연부 둘레에 간소화된 당초문이 굵은 선으로 시문되어 있다. 당초문은 겨울에도 얼지 않는 덩굴식물 인동(忍冬)이 뻗어나가는 모양으로 끈기를 상징하며 능동적이고 강한 삶을 표현한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59&reffer=use&sType=01
4용도별문양도자기186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상감기법으로 포도송이가 시문되어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86&reffer=use&sType=01
5용도별문양도자기187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2줄의 띠무늬 아래쪽으로 반으로 나뉜 국화무늬가 시문되어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87&reffer=use&sType=01
6용도별문양도자기188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구연부와 맞닿은 동체의 상단 부분에는 회문의 일종이 연속적으로 둘러져 있고, 동체의 가운데 부분에는 만자문(卍字文)이 시문되어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88&reffer=use&sType=01
7용도별문양도자기190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목을 따라 줄선이 둘러져 있고, 동체 중앙에 간소화된 초화문이 시문되어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90&reffer=use&sType=01
8용도별문양도자기191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동체의 중앙에 간소화된 초문이 시문되어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191&reffer=use&sType=01
9용도별문양도자기357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동체 상단에 칠보문이 둘러져 있다. 칠보문은 예로부터 상류사회에서 생활에 길리(吉利)를 추구하는 요소들을 상징물로 한 길상문이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357&reffer=use&sType=01
분류1분류2코드Data명제공 Data 형태제공 Data 설명저작권URL
6617용도별문양도자기,떡살6879개별문양3D(WRL) 파일<NA>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6879&reffer=shape&sType=
6618용도별문양도자기,떡살6880개별문양3D(WRL) 파일<NA>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6880&reffer=shape&sType=
6619용도별문양도자기,떡살6916개별문양3D(WRL) 파일떡살은 빙열 없이 정제된 흑갈색을 띠며, 손잡이는 상단으로 벌어져 올라가는 원통형이고 무늬판은 원형이다. 무늬판은 중앙에 기하학모양을 중심으로 주위에 굵은 빗살무늬를 음각(陰刻)하였다. 떡살 바닥면은 중앙부위가 볼록하게 곡면을 이룬 상태로 손잡이 바닥을 그대로 놓고 번조하였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6916&reffer=shape&sType=
6620용도별문양도자기,떡살6965개별문양3D(WRL) 파일떡살의 가운데에 둥근 원을 표현하고 그 안에 격자무늬를 새겼다. 그 바깥에는 둥근 원을 중심으로 해서 사방으로 빗살무늬를 나타내었다. 옛 사람들은 하늘은 둥글다고 믿었다. 때문에 둥근 형태는 언제나 하늘을 상징하는 것이다. 격자무늬는 연속무늬의 일종으로 장구함과 연면을 상징하는 것이다. 빗살무늬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 다기 보다는 장식적인 성격의 무늬이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6965&reffer=shape&sType=
6621용도별문양도자기,떡살7107개별문양3D(WRL) 파일둥근 모양으로 동심원 무늬가 여러겹 나타나고 있다. 옛사람들은 하늘은 둥글다고 믿었는데 때문에 둥근 형태는 하늘을 상징하는 것이다. 동심원 무늬는 하늘의 태양을 상징하는 무늬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7107&reffer=shape&sType=
6622용도별문양도자기,떡살7108개별문양3D(WRL) 파일떡살에 복(福)자를 새긴 것을 글자 뜻대로 행복해지기를 기원하고자 하는 것이다. 복자 아래에는 큰 구슬과 작은 구슬무늬를 새겨 놓았다. 장식적인 효과를 위해서이다. 태극은 하늘이고 우주이며 해와 달이기도 하다. 태극은 천지가 개벽하기 이전의 상태로서 우주 만물 구성의 가장 근원이 되는 본체를 일컫는다. 태초에 우주가 생성될 때에 태극이 생기더니, 이 태극이 둘로 갈라져 하나는 음이 되고 하나는 양이 되어 음양의 배합으로 천지의 모든 것이 이루어지고 음양이 변화하여 모든 것이 변화 생성되고 새로워져 발전과 번영을 영원히 계속한다고 한다. 태극무늬에는 태극과 하늘,땅,사람의 조화를 강조하는 삼태극이 나타나기도 하고 간혹 사태극 무늬도 보인다. 이 떡살에는 음양의 조화를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태극무늬가 보인다. 태극무늬 옆에는 별무늬가 새겨져 있다. 하늘을 나타내는 것이다. 맨 아랫단에는 우레무늬가 나타난다. 우레는 만물을 길러주는 요소인데다 그 형상이 연속되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최대의 길상을 나타내는 무늬이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7108&reffer=shape&sType=
6623용도별문양도자기,떡살7181개별문양3D(WRL) 파일팔괘는 온갖 천지 만물의 현상과 형태의 기본이 되는 여덟 가지를 나타낸 일종의 기하학적 상징 부호라고 할 수 있다. 옆으로 길게 한 것을 양효(一)라 하고 가운데가 끊긴 것을 음효(--)라고 한다. 이것을 기본으로 한 개의 양효와 두 개의 음효가 짝하기도 하고, 한 개의 음효가 두 개의 양효와 짝하기도 하여 하나의 괘를 이룬다. 팔괘에는 모든 자연 현상과 길흉화복이 설명되어 있다. 사람들은 천지 자연과 인생의 도가 그 안에 포함되어 있으니 천지 자연의 법칙을 본받아 생활에 실천한다면 인간의 흥망성쇠와 길흉화복 등의 자연의 도에 합치될 수 있다고 믿었다. 각각의 괘에는 음양의 상징, 자연, 동물, 인체, 가족 사항 등의 상징이 있다. 각각의 괘에는 음양의 상징, 자연, 동물, 인체, 가족 사항 등의 상징이 있다. 떡살의 아래면에는 수(壽)자 옆에 감괘가, 남(男)자 옆에는 이괘가, 복(福)자 옆에는 태괘가, 다(多)자 옆에는 진괘가 있다. 위아래에 음효가 있고 중간에 양효가 있는 감괘는 양(陽)이고 물과 돼지, 중간아들을 상징하는 것이다. 팔괘와 둥근 구멍을 투각하여 장식적인 효과와 향이 잘 퍼지도록 한 실용성도 가지고 있다. 이괘는 위아래에 양효가 있고 가운데에 음효가 있는 것으로 음(陰)이고 불과 꿩을 상징하는 것으로 가족에서는 중간딸을 상징하는 괘이다. 태괘는 하나의 음효가 위에 있고 두 개의 양효가 아래에 있는 형태로 음(陰)이고 동물로는 양을 상징하며 가족내에서는 작은 딸을 말한다. 진괘는 음효가 위로 두 개 이고 맨 아래에 양효가 있는 것으로 양(陽)이고 번개와 용을 상징하며 가족에서는 장남을 상징하는 괘이다. 떡살에 새겨진 수복다남의 글자무늬들은 글자가 뜻하는 바대로 인생이 이루어지기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새겨지는 것들이다. 옛사람들이 가장 바라는 것으로 장수(壽)와 행복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7181&reffer=shape&sType=
6624용도별문양도자기,떡살7182개별문양3D(WRL) 파일국화는 중국의 시인 도연명이 자신의 지조를 굽히지 않고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소나무와 국화를 벗하면서 살았다는 일화로 인해 군자의 맑은 아취와높은 절개를 지닌 꽃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늦은 서리를 견디면서 그 청초한 모습을 잃지 않는 국화의 생태는 길상의 징조 또는 상서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옹초(翁草, 나이든 식물), 천대견초(千代見草, 천대에 걸쳐서 볼 수 있는 식물)이라고도 하여 장수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생활도구에서 사용된 국화무늬는 대부분 장수를 상징한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7182&reffer=shape&sType=
6625용도별문양도자기,벽사7885개별문양3D(WRL) 파일말은 십이지의 일곱 번째 동물인데 방향으로는 정남쪽을 의미한다. 또한 말은 하늘을 상징하는 건괘(乾卦)에 해당하는 동물이다. 특히 날개 달린 천마(天馬)는 상제(上帝)가 타는 말로 신성시되었다. 때문에 태양과 관계가 있다는 천마의 신화는 유라시아 대륙의 동서에 걸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유사(三國遺事)』나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을 살펴보면, 말은 모두 신령스러운 동물로 작용을 해서 금와왕, 혁거세, 주몽 등 나라의 시조가 탄생할 때에는 어김없이 등장하였을 뿐만 아니라 백제가 망할 때에도 말이 나타나 흉조를 예시해서 신이한 존재로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가(道家)에서는 귀신을 몰아내는 벽사의 의미로 사용되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7885&reffer=shape&sType=
6626용도별문양도자기,벽사8001개별문양3D(WRL) 파일해태는 조선시대 말엽 대원군 때 경복궁, 창덕궁 등 궁궐을 재건하면서 화재(火災)나 재앙을 물리치는 신수(神獸) 또는 벽사의 의미로 장식되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광화문 앞에 서 있는 것이 있으며 그 밖에도 경복궁 근정전의 월대 난간 네 모퉁이와 자경전 굴뚝 십장생 전동 장식에서 볼 수 있다. 해태라는 말은 해치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해치는 요순(堯舜)시대에 이 세상에 태어났다는 상상의 동물로 그 이름도 해치, 신양(神羊), 식죄(識罪), 해타 등으로 불렸다. 해치의 모습과 성질에 대새 『논형(論衡)』「시응편(是應篇)」과 『이물지(異物志)』 등을 통해 알 수 있는데, 뿔을 하나 가진 동물로 모습은 양을 닮았으며 대단히 영물스럽고 사람의 시비곡직을 판단하는 신령스러운 재주가 있어 성군을 도와 현명한 일을 많이 하였고 만일 잘못한 사람이 있으면 그 뿔로 덤비어 받아넘기는 ‘정의의 동물’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대사헌(大司憲)의 흉배(胸背)에 쓰여 지기도 하였다. 흉배에 나타나는 해태의 모습은 鹿角과 같은 뿔이 달린 머리와 목덜미에는 용처럼 갈기가 돋았고 포효하는 듯한 크게 벌린 입, 경쾌한 몸집, 그리고 꼬리 끝에는 사자처럼 긴 털이 돋아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8001&reffer=shape&s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