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9
Number of observations6305
Missing cells913
Missing cells (%)1.6%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449.6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73.0 B

Variable types

Categorical5
Text3
Numeric1

Dataset

Description한국문화정보원이 제공하는 기하 형태의 문양 데이터로 분류1, 분류2, 분류3, 코드, 데이터명, 제공 데이터 형태, 제공 데이터 설명, 저작권, 주소 컬럼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Author한국문화정보원
URLhttps://www.data.go.kr/data/15069765/fileData.do

Alerts

분류1 has constant value ""Constant
분류2 has constant value ""Constant
저작권 has constant value ""Constant
코드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데이터명High correlation
데이터명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코드High correlation
제공 데이터 형태 is highly imbalanced (72.3%)Imbalance
제공 데이터 설명 has 913 (14.5%) missing valuesMissing
코드 has unique valuesUnique
주소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3-12-12 21:51:27.995869
Analysis finished2023-12-12 21:51:29.396528
Duration1.4 second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분류1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49.4 KiB
형태별문양
6305 

Length

Max length5
Median length5
Mean length5
Min length5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형태별문양
2nd row형태별문양
3rd row형태별문양
4th row형태별문양
5th row형태별문양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형태별문양 6305
100.0%

Length

2023-12-13T06:51:29.49050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6:51:29.61819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형태별문양 6305
100.0%

분류2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49.4 KiB
기하문
6305 

Length

Max length3
Median length3
Mean length3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기하문
2nd row기하문
3rd row기하문
4th row기하문
5th row기하문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기하문 6305
100.0%

Length

2023-12-13T06:51:29.73499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6:51:29.84371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기하문 6305
100.0%
Distinct51
Distinct (%)0.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49.4 KiB
2023-12-13T06:51:30.00161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1
Median length2
Mean length3.2999207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0806
Distinct characters94
Distinct categories3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4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가는선문
2nd row가는선문
3rd row가는선문
4th row가는선문
5th row가는선문
ValueCountFrequency (%)
기타 3540
56.1%
동그라미문 387
 
6.1%
빗금문 297
 
4.7%
태극문 253
 
4.0%
물결문 237
 
3.8%
사각형문 208
 
3.3%
번개문 125
 
2.0%
번개문(雷文 107
 
1.7%
태극문(太極文 99
 
1.6%
가로줄문 94
 
1.5%
Other values (41) 958
 
15.2%
2023-12-13T06:51:30.34464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3545
17.0%
3540
17.0%
2765
 
13.3%
) 723
 
3.5%
( 723
 
3.5%
711
 
3.4%
517
 
2.5%
446
 
2.1%
425
 
2.0%
425
 
2.0%
Other values (84) 6986
33.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9360
93.1%
Close Punctuation 723
 
3.5%
Open Punctuation 723
 
3.5%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545
18.3%
3540
18.3%
2765
14.3%
711
 
3.7%
517
 
2.7%
446
 
2.3%
425
 
2.2%
425
 
2.2%
400
 
2.1%
366
 
1.9%
Other values (82) 6220
32.1%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23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23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7283
83.1%
Han 2077
 
10.0%
Common 1446
 
6.9%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545
20.5%
3540
20.5%
2765
16.0%
517
 
3.0%
446
 
2.6%
425
 
2.5%
425
 
2.5%
400
 
2.3%
366
 
2.1%
366
 
2.1%
Other values (50) 4488
26.0%
Han
ValueCountFrequency (%)
711
34.2%
133
 
6.4%
111
 
5.3%
111
 
5.3%
107
 
5.2%
99
 
4.8%
82
 
3.9%
79
 
3.8%
74
 
3.6%
69
 
3.3%
Other values (22) 501
24.1%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723
50.0%
( 723
5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7283
83.1%
CJK 1911
 
9.2%
ASCII 1446
 
6.9%
CJK Compat Ideographs 166
 
0.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545
20.5%
3540
20.5%
2765
16.0%
517
 
3.0%
446
 
2.6%
425
 
2.5%
425
 
2.5%
400
 
2.3%
366
 
2.1%
366
 
2.1%
Other values (50) 4488
26.0%
ASCII
ValueCountFrequency (%)
) 723
50.0%
( 723
50.0%
CJK
ValueCountFrequency (%)
711
37.2%
133
 
7.0%
111
 
5.8%
111
 
5.8%
99
 
5.2%
82
 
4.3%
79
 
4.1%
74
 
3.9%
69
 
3.6%
69
 
3.6%
Other values (18) 373
19.5%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07
64.5%
39
 
23.5%
16
 
9.6%
4
 
2.4%

코드
Real number (ℝ)

HIGH CORRELATION  UNIQUE 

Distinct6305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43563.744
Minimum148
Maximum83021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55.5 KiB
2023-12-13T06:51:30.49992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148
5-th percentile4949.2
Q113769
median43047
Q372003
95-th percentile81095.8
Maximum83021
Range82873
Interquartile range (IQR)58234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28658.887
Coefficient of variation (CV)0.65786096
Kurtosis-1.6621608
Mean43563.744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29101
Skewness-0.048561395
Sum2.7466941 × 108
Variance8.2133179 × 108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3T06:51:30.64975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24565 1
 
< 0.1%
78536 1
 
< 0.1%
58335 1
 
< 0.1%
79684 1
 
< 0.1%
78534 1
 
< 0.1%
79677 1
 
< 0.1%
79683 1
 
< 0.1%
79680 1
 
< 0.1%
79679 1
 
< 0.1%
79678 1
 
< 0.1%
Other values (6295) 6295
99.8%
ValueCountFrequency (%)
148 1
< 0.1%
150 1
< 0.1%
155 1
< 0.1%
156 1
< 0.1%
157 1
< 0.1%
158 1
< 0.1%
161 1
< 0.1%
162 1
< 0.1%
163 1
< 0.1%
164 1
< 0.1%
ValueCountFrequency (%)
83021 1
< 0.1%
83020 1
< 0.1%
83019 1
< 0.1%
83018 1
< 0.1%
83014 1
< 0.1%
83013 1
< 0.1%
83012 1
< 0.1%
83011 1
< 0.1%
83010 1
< 0.1%
83009 1
< 0.1%

데이터명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49.4 KiB
개별문양
4188 
원시문양
2117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4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원시문양
2nd row원시문양
3rd row원시문양
4th row원시문양
5th row원시문양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개별문양 4188
66.4%
원시문양 2117
33.6%

Length

2023-12-13T06:51:30.81126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6:51:30.90098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개별문양 4188
66.4%
원시문양 2117
33.6%

제공 데이터 형태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2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49.4 KiB
2D 이미지파일(ai)
6003 
3D(WRL) 파일
 
302

Length

Max length12
Median length12
Mean length11.904203
Min length10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2D 이미지파일(ai)
2nd row2D 이미지파일(ai)
3rd row2D 이미지파일(ai)
4th row2D 이미지파일(ai)
5th row2D 이미지파일(ai)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2D 이미지파일(ai) 6003
95.2%
3D(WRL) 파일 302
 
4.8%

Length

2023-12-13T06:51:31.30682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6:51:31.40313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2d 6003
47.6%
이미지파일(ai 6003
47.6%
3d(wrl 302
 
2.4%
파일 302
 
2.4%
Distinct2321
Distinct (%)43.0%
Missing913
Missing (%)14.5%
Memory size49.4 KiB
2023-12-13T06:51:31.62756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635
Mean length159.68398
Min length6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861016
Distinct characters1450
Distinct categories15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1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015 ?
Unique (%)37.4%

Sample

1st row주름이 진 몸체에는 음각으로 모란문을 각 면마다 배치하였다. 커다란 모란문의 위로 연잎문을 음각하였는데 사이잎이 있고 개개 연잎에는 어린잎도 표현하였다.
2nd row매병의 어깨부분과 몸체의 아랫부분에는 연꽃문양을 둘렀다. 꽃잎은 여러 개의 선을 겹쳐 표현하였다. 매병의 몸체 윗부분에는 줄기가 위를 향한 꽃을 흑백으로 상감하였다. 꽃잎은 석류모양이다. 줄기의 끝마다 꽃을 표현하였다.
3rd row뚜껑에 가로줄문을 그어 문양대를 구획하였다. 2단의 문양대에 음각선으로 ‘X’문을 그어 장식하였다.
4th row어깨부분에 꽃잎을 점문으로 장식한 도식화된 연꽃문을 두르고 상하로 가는 선문을 둘렀다. 동체부에는 하나의 줄기에 7개의 꽃잎이 달린 커다란 연꽃 한 송이가 있다. 꽃잎의 주름을 선으로 표현한 점이 독특하다. 하부에는 가는 선문을 두 줄 두르고 어깨 부분과는 다른 도식화된 연꽃문을 둘렀다.
5th row어깨부분에 꽃잎을 점문으로 장식한 도식화된 연꽃문을 두르고 상하로 가는 선문을 둘렀다. 동체부에는 하나의 줄기에 작은 국화 세 송이가 붙은 국덩굴문이 새겨졌다. 하부에는 가는 선문을 두 줄 두르고 어깨 부분과는 다른 도식화된 연꽃문을 둘렀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1955
 
1.0%
1154
 
0.6%
않는 1137
 
0.6%
무늬 1073
 
0.6%
있는 1059
 
0.5%
해당한다 1044
 
0.5%
여기에 1030
 
0.5%
표현이 1028
 
0.5%
들어가지 1023
 
0.5%
기타의 1023
 
0.5%
Other values (11981) 182791
94.1%
2023-12-13T06:51:32.05392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89311
 
22.0%
21969
 
2.6%
18108
 
2.1%
18057
 
2.1%
. 17149
 
2.0%
16888
 
2.0%
16230
 
1.9%
13944
 
1.6%
13675
 
1.6%
11365
 
1.3%
Other values (1440) 524320
60.9%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626535
72.8%
Space Separator 189311
 
22.0%
Other Punctuation 29360
 
3.4%
Open Punctuation 6519
 
0.8%
Close Punctuation 6518
 
0.8%
Decimal Number 1238
 
0.1%
Initial Punctuation 487
 
0.1%
Final Punctuation 483
 
0.1%
Lowercase Letter 234
 
< 0.1%
Uppercase Letter 112
 
< 0.1%
Other values (5) 219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1969
 
3.5%
18108
 
2.9%
18057
 
2.9%
16888
 
2.7%
16230
 
2.6%
13944
 
2.2%
13675
 
2.2%
11365
 
1.8%
11292
 
1.8%
10397
 
1.7%
Other values (1362) 474610
75.8%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51
21.8%
m 20
 
8.5%
d 18
 
7.7%
t 18
 
7.7%
s 17
 
7.3%
i 17
 
7.3%
w 16
 
6.8%
k 16
 
6.8%
c 11
 
4.7%
n 11
 
4.7%
Other values (9) 39
16.7%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393
31.7%
2 178
14.4%
3 155
 
12.5%
4 122
 
9.9%
5 110
 
8.9%
7 89
 
7.2%
6 69
 
5.6%
0 69
 
5.6%
8 45
 
3.6%
9 8
 
0.6%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X 41
36.6%
S 22
19.6%
Y 13
 
11.6%
C 11
 
9.8%
A 11
 
9.8%
B 9
 
8.0%
U 2
 
1.8%
O 1
 
0.9%
V 1
 
0.9%
T 1
 
0.9%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7149
58.4%
, 9837
33.5%
· 1828
 
6.2%
: 293
 
1.0%
' 215
 
0.7%
30
 
0.1%
* 4
 
< 0.1%
" 2
 
< 0.1%
; 2
 
< 0.1%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32
62.7%
+ 12
 
23.5%
× 3
 
5.9%
< 1
 
2.0%
> 1
 
2.0%
1
 
2.0%
1
 
2.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349
97.4%
74
 
1.1%
66
 
1.0%
[ 26
 
0.4%
4
 
0.1%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348
97.4%
74
 
1.1%
66
 
1.0%
] 26
 
0.4%
4
 
0.1%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9
81.8%
1
 
9.1%
1
 
9.1%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448
92.0%
39
 
8.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445
92.1%
38
 
7.9%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0
72.9%
26
 
27.1%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8
88.9%
˚ 1
 
11.1%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89311
100.0%
Format
ValueCountFrequency (%)
­ 5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14655
71.4%
Common 234135
 
27.2%
Han 11880
 
1.4%
Latin 346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1969
 
3.6%
18108
 
2.9%
18057
 
2.9%
16888
 
2.7%
16230
 
2.6%
13944
 
2.3%
13675
 
2.2%
11365
 
1.8%
11292
 
1.8%
10397
 
1.7%
Other values (858) 462730
75.3%
Han
ValueCountFrequency (%)
487
 
4.1%
366
 
3.1%
341
 
2.9%
340
 
2.9%
328
 
2.8%
328
 
2.8%
314
 
2.6%
302
 
2.5%
260
 
2.2%
251
 
2.1%
Other values (494) 8563
72.1%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89311
80.9%
. 17149
 
7.3%
, 9837
 
4.2%
( 6349
 
2.7%
) 6348
 
2.7%
· 1828
 
0.8%
448
 
0.2%
445
 
0.2%
1 393
 
0.2%
: 293
 
0.1%
Other values (39) 1734
 
0.7%
Latin
ValueCountFrequency (%)
a 51
14.7%
X 41
 
11.8%
S 22
 
6.4%
m 20
 
5.8%
d 18
 
5.2%
t 18
 
5.2%
s 17
 
4.9%
i 17
 
4.9%
w 16
 
4.6%
k 16
 
4.6%
Other values (19) 110
31.8%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14568
71.4%
ASCII 231270
 
26.9%
CJK 11198
 
1.3%
None 2201
 
0.3%
Punctuation 996
 
0.1%
CJK Compat Ideographs 682
 
0.1%
Compat Jamo 87
 
< 0.1%
CJK Compat 9
 
< 0.1%
Misc Symbols 2
 
< 0.1%
Math Operators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89311
81.9%
. 17149
 
7.4%
, 9837
 
4.3%
( 6349
 
2.7%
) 6348
 
2.7%
1 393
 
0.2%
: 293
 
0.1%
' 215
 
0.1%
2 178
 
0.1%
3 155
 
0.1%
Other values (47) 1042
 
0.5%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1969
 
3.6%
18108
 
2.9%
18057
 
2.9%
16888
 
2.7%
16230
 
2.6%
13944
 
2.3%
13675
 
2.2%
11365
 
1.8%
11292
 
1.8%
10397
 
1.7%
Other values (849) 462643
75.3%
None
ValueCountFrequency (%)
· 1828
83.1%
74
 
3.4%
74
 
3.4%
66
 
3.0%
66
 
3.0%
­ 52
 
2.4%
30
 
1.4%
4
 
0.2%
4
 
0.2%
× 3
 
0.1%
CJK
ValueCountFrequency (%)
487
 
4.3%
366
 
3.3%
341
 
3.0%
340
 
3.0%
328
 
2.9%
328
 
2.9%
314
 
2.8%
302
 
2.7%
260
 
2.3%
251
 
2.2%
Other values (466) 7881
70.4%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448
45.0%
445
44.7%
39
 
3.9%
38
 
3.8%
26
 
2.6%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77
26.0%
168
24.6%
70
 
10.3%
61
 
8.9%
41
 
6.0%
41
 
6.0%
41
 
6.0%
13
 
1.9%
9
 
1.3%
8
 
1.2%
Other values (18) 53
 
7.8%
Compat Jamo
ValueCountFrequency (%)
39
44.8%
18
20.7%
14
 
16.1%
5
 
5.7%
3
 
3.4%
3
 
3.4%
2
 
2.3%
2
 
2.3%
1
 
1.1%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9
100.0%
Misc Symbols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Modifier Letters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저작권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 0.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49.4 KiB
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6305 

Length

Max length18
Median length18
Mean length18
Min length18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2nd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3rd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4th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5th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6305
100.0%

Length

2023-12-13T06:51:32.16933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6:51:32.24956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6305
100.0%

주소
Text

UNIQUE 

Distinct6305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49.4 KiB
2023-12-13T06:51:32.51382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91
Median length90
Mean length87.681364
Min length8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552831
Distinct characters39
Distinct categories6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6305 ?
Unique (%)100.0%

Sample

1st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4565&reffer=use&dpid=&sType=01
2nd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4615&reffer=use&dpid=&sType=01
3rd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3072&reffer=use&dpid=&sType=01
4th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2146&reffer=use&dpid=&sType=01
5th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2147&reffer=use&dpid=&sType=01
ValueCountFrequency (%)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4565&reffer=use&dpid=&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58335&reffer=use&dpid=&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78534&reffer=use&dpid=&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79677&reffer=use&dpid=&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79683&reffer=use&dpid=&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79680&reffer=use&dpid=&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79679&reffer=use&dpid=&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79678&reffer=use&dpid=&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78803&reffer=use&dpid=&stype=01 1
 
< 0.1%
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78802&reffer=use&dpid=&stype=01 1
 
< 0.1%
Other values (6295) 6295
99.8%
2023-12-13T06:51:32.90785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t 44135
 
8.0%
e 42018
 
7.6%
r 39947
 
7.2%
d 37830
 
6.8%
i 33642
 
6.1%
p 27920
 
5.1%
= 25220
 
4.6%
/ 25220
 
4.6%
. 25220
 
4.6%
w 23103
 
4.2%
Other values (29) 228576
41.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381629
69.0%
Other Punctuation 81965
 
14.8%
Decimal Number 51399
 
9.3%
Math Symbol 25220
 
4.6%
Uppercase Letter 12610
 
2.3%
Dash Punctuation 8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t 44135
11.6%
e 42018
11.0%
r 39947
10.5%
d 37830
9.9%
i 33642
8.8%
p 27920
 
7.3%
w 23103
 
6.1%
o 18915
 
5.0%
u 16215
 
4.2%
a 15310
 
4.0%
Other values (9) 82594
21.6%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1144
21.7%
0 8995
17.5%
7 5622
10.9%
4 5527
10.8%
5 4669
9.1%
6 3462
 
6.7%
3 3330
 
6.5%
8 3102
 
6.0%
2 3066
 
6.0%
9 2482
 
4.8%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5220
30.8%
. 25220
30.8%
& 18915
23.1%
? 6305
 
7.7%
: 6305
 
7.7%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T 6305
50.0%
V 4188
33.2%
O 2117
 
16.8%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25220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Latin 394239
71.3%
Common 158592
28.7%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t 44135
11.2%
e 42018
10.7%
r 39947
10.1%
d 37830
 
9.6%
i 33642
 
8.5%
p 27920
 
7.1%
w 23103
 
5.9%
o 18915
 
4.8%
u 16215
 
4.1%
a 15310
 
3.9%
Other values (12) 95204
24.1%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25220
15.9%
/ 25220
15.9%
. 25220
15.9%
& 18915
11.9%
1 11144
7.0%
0 8995
 
5.7%
? 6305
 
4.0%
: 6305
 
4.0%
7 5622
 
3.5%
4 5527
 
3.5%
Other values (7) 20119
12.7%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552831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t 44135
 
8.0%
e 42018
 
7.6%
r 39947
 
7.2%
d 37830
 
6.8%
i 33642
 
6.1%
p 27920
 
5.1%
= 25220
 
4.6%
/ 25220
 
4.6%
. 25220
 
4.6%
w 23103
 
4.2%
Other values (29) 228576
41.3%

Interactions

2023-12-13T06:51:29.06601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Correlations

2023-12-13T06:51:32.99752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분류3코드데이터명제공 데이터 형태
분류31.0000.6670.0510.412
코드0.6671.0000.6970.566
데이터명0.0510.6971.0000.000
제공 데이터 형태0.4120.5660.0001.000
2023-12-13T06:51:33.07300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제공 데이터 형태데이터명
제공 데이터 형태1.0000.000
데이터명0.0001.000
2023-12-13T06:51:33.15690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코드데이터명제공 데이터 형태
코드1.0000.5430.436
데이터명0.5431.0000.000
제공 데이터 형태0.4360.0001.000

Missing values

2023-12-13T06:51:29.18405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3-12-13T06:51:29.32883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Sample

분류1분류2분류3코드데이터명제공 데이터 형태제공 데이터 설명저작권주소
0형태별문양기하문가는선문24565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주름이 진 몸체에는 음각으로 모란문을 각 면마다 배치하였다. 커다란 모란문의 위로 연잎문을 음각하였는데 사이잎이 있고 개개 연잎에는 어린잎도 표현하였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4565&reffer=use&dpid=&sType=01
1형태별문양기하문가는선문24615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매병의 어깨부분과 몸체의 아랫부분에는 연꽃문양을 둘렀다. 꽃잎은 여러 개의 선을 겹쳐 표현하였다. 매병의 몸체 윗부분에는 줄기가 위를 향한 꽃을 흑백으로 상감하였다. 꽃잎은 석류모양이다. 줄기의 끝마다 꽃을 표현하였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4615&reffer=use&dpid=&sType=01
2형태별문양기하문가는선문23072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뚜껑에 가로줄문을 그어 문양대를 구획하였다. 2단의 문양대에 음각선으로 ‘X’문을 그어 장식하였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3072&reffer=use&dpid=&sType=01
3형태별문양기하문가는선문22146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어깨부분에 꽃잎을 점문으로 장식한 도식화된 연꽃문을 두르고 상하로 가는 선문을 둘렀다. 동체부에는 하나의 줄기에 7개의 꽃잎이 달린 커다란 연꽃 한 송이가 있다. 꽃잎의 주름을 선으로 표현한 점이 독특하다. 하부에는 가는 선문을 두 줄 두르고 어깨 부분과는 다른 도식화된 연꽃문을 둘렀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2146&reffer=use&dpid=&sType=01
4형태별문양기하문가는선문22147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어깨부분에 꽃잎을 점문으로 장식한 도식화된 연꽃문을 두르고 상하로 가는 선문을 둘렀다. 동체부에는 하나의 줄기에 작은 국화 세 송이가 붙은 국덩굴문이 새겨졌다. 하부에는 가는 선문을 두 줄 두르고 어깨 부분과는 다른 도식화된 연꽃문을 둘렀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22147&reffer=use&dpid=&sType=01
5형태별문양기하문가는선문28447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가는 선을 그어 장식한 무늬로 다른 무늬와 복합적으로 표현하였다. 신석기시대 토기 등 고대 미술에서 나타나고 있는 고식무늬로서 청동기를 비롯해 토기, 석기, 골각기 등에 장식된 의장 요소이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28447&reffer=use&dpid=&sType=01
6형태별문양기하문가는선문28448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불교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연꽃은 다양한 불교 관련 유물에 장식되었다. 그러나 연꽃은 세계 각지에 자생하는 식물로서 불교 발생 이전부터 이집트, 중국, 인도 등에서 건축물이나 미술품의 장식 무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 연꽃문은 삼국시대 불교의 유입 이후로 우리나라의 많은 예술품과 생활도구에 연꽃이 표현되었다. 유교에서도 연꽃은 군자의 청빈과 고고함에 비유하였다. 도교에서는 팔선(八仙) 가운데 하나인 하선고(荷仙姑)가 가지고 다니는 신령스러운 꽃으로 받아들였다. 연꽃문양은 비단 종교미술에서만 나타난 것은 아니었다. 여성과 관련된 물품들에 새겨진 연꽃은 생명의 창조와 생식 번영의 상징이다. 연꽃을 나타낸 문양에는 종종 연꽃을 쪼고 있는 물새가 같이 나타나는데, 이는 생명의 씨앗을 획득한다는 것으로 곧 잉태를 의미하고 또한 득남(得男)을 뜻하기도 한다. 선비들이 사용하는 물건에 연꽃과 물새가 같이 나타날 때는 과거 급제를 기원하는 것이다. 즉 씨앗을 나타내는 한자어 과(顆)와 과거의 과(科)자를, 연꽃의 연(蓮)과 연달아를 의미하는 연(連)을 연결 시켜서 과거에 연달아 급제한다는 뜻이 된다. 이외에도 연꽃과 물고기가 같이 나타나는 문양은 생활의 여유로움을 의미하기도 한다. 연꽃문은 중심 무늬 외에 보조 무늬로도 많이 사용하였다. 보조무늬로 사용되는 연꽃무늬는 형태가 다양하여 단순하게 한 줄로만 배열한 것, 뒤쪽의 꽃잎이 보이도록 이중으로 표현한 것, 꽃잎의 모양을 완전히 변형시켜 사각 모양으로 도안한 것 등이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28448&reffer=use&dpid=&sType=01
7형태별문양기하문가는선문28449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가는 선을 그어 장식한 무늬로 다른 무늬와 복합적으로 표현하였다. 신석기시대 토기 등 고대 미술에서 나타나고 있는 고식무늬로서 청동기를 비롯해 토기, 석기, 골각기 등에 장식된 의장 요소이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28449&reffer=use&dpid=&sType=01
8형태별문양기하문가는선문28450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국화와 덩굴을 함께 표현한 무늬이다. 덩굴문의 경우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주로 줄기가 꽃이나 꽃잎에 덩굴처럼 얽혀져 꽃문양을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하거나 다른 무늬를 연결하는 연결고리로 사용되었다. 덩굴문은 고대 이집트에서 발생하여 그리스에서 완성되었으며 북아프리카,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서아시아, 페르시아 등의 제국과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이 덩굴은 겨울을 견뎌낼 뿐만 아니라 덩굴을 이루면서 끊임없이 뻗어나가기 때문에 장수를 상징하게 되었다. 도자기, 회화 등에 장식하였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28450&reffer=use&dpid=&sType=01
9형태별문양기하문가는선문28451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가는 선을 그어 장식한 무늬로 다른 무늬와 복합적으로 표현하였다. 신석기시대 토기 등 고대 미술에서 나타나고 있는 고식무늬로서 청동기를 비롯해 토기, 석기, 골각기 등에 장식된 의장 요소이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28451&reffer=use&dpid=&sType=01
분류1분류2분류3코드데이터명제공 데이터 형태제공 데이터 설명저작권주소
6295형태별문양기하문팔괘문(八卦文)14992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팔괘(八卦)는 중국 상고시대 복희씨가 천문지리를 관찰해서 지었다고 전한다. 자연계(自然界)와 인사계(人事界)의 모든 현상을 여덟 가지 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 괘 두 개씩을 겹쳐 육십사계를 만들고 이것으로 사람의 길흉화복을 점치게 되었다. 팔괘의 ‘건(乾)’은 하늘, ‘태(兌)’는 못, ‘이(離)’는 불, ‘진(震)’은 눈, ‘손(巽)’은 바람, ‘감(坎)’은 물, ‘간(艮)’은 산, ‘곤(坤)’은 땅을 일컫는다. 음양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의 부호를 ‘효(爻)’라 하며, 양효(陽爻)를 표현하는 부호로 ‘―’, 음효(陰爻)를 표현하는 부호로 ‘­­’를 사용한다. 양은 하늘을 근본으로 하고, 음은 땅을 본체로 한다. 천지 창조의 과정에 있어서 하늘이 시초이므로, 하나를 의미하는 ‘―’로 양을 표시하고, 땅은 하늘 다음으로 둘째이므로 둘을 의미하는 ‘­­’로 음을 표시한다고 한다. 하나의 괘를 만든 것은 천, 지, 인의 삼재를 의미한 것이라 한다. 효가 셋 거듭하면 소성괘(小成卦)가 성립되는데, 팔괘는 소성괘 여덟 개로 구성된다. 옛 사람들은 천지자연과 인생의 도가 팔괘에 포함되어 있어서 그것을 생활에 실천함으로 인간의 흥망성쇠와 길흉화복이 자연의 도와 합하여질 수 있다고 믿었다. 팔괘는 하늘과 땅을 비롯하여 천지자연의 현상을 상징하며, 동시에 모든 길흉화복을 상징한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14992&reffer=shape&dpid=145&sType=07
6296형태별문양기하문팔괘문(八卦文)14993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팔괘(八卦)는 중국 상고시대 복희씨가 천문지리를 관찰해서 지었다고 전한다. 자연계(自然界)와 인사계(人事界)의 모든 현상을 여덟 가지 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 괘 두 개씩을 겹쳐 육십사계를 만들고 이것으로 사람의 길흉화복을 점치게 되었다. 팔괘의 ‘건(乾)’은 하늘, ‘태(兌)’는 못, ‘이(離)’는 불, ‘진(震)’은 눈, ‘손(巽)’은 바람, ‘감(坎)’은 물, ‘간(艮)’은 산, ‘곤(坤)’은 땅을 일컫는다. 음양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의 부호를 ‘효(爻)’라 하며, 양효(陽爻)를 표현하는 부호로 ‘―’, 음효(陰爻)를 표현하는 부호로 ‘­­’를 사용한다. 양은 하늘을 근본으로 하고, 음은 땅을 본체로 한다. 천지 창조의 과정에 있어서 하늘이 시초이므로, 하나를 의미하는 ‘―’로 양을 표시하고, 땅은 하늘 다음으로 둘째이므로 둘을 의미하는 ‘­­’로 음을 표시한다고 한다. 하나의 괘를 만든 것은 천, 지, 인의 삼재를 의미한 것이라 한다. 효가 셋 거듭하면 소성괘(小成卦)가 성립되는데, 팔괘는 소성괘 여덟 개로 구성된다. 옛 사람들은 천지자연과 인생의 도가 팔괘에 포함되어 있어서 그것을 생활에 실천함으로 인간의 흥망성쇠와 길흉화복이 자연의 도와 합하여질 수 있다고 믿었다. 팔괘는 하늘과 땅을 비롯하여 천지자연의 현상을 상징하며, 동시에 모든 길흉화복을 상징한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14993&reffer=shape&dpid=145&sType=07
6297형태별문양기하문팔괘문(八卦文)14988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팔괘(八卦)는 중국 상고시대 복희씨가 천문지리를 관찰해서 지었다고 전한다. 자연계(自然界)와 인사계(人事界)의 모든 현상을 여덟 가지 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이 괘 두 개씩을 겹쳐 육십사계를 만들고 이것으로 사람의 길흉화복을 점치게 되었다. 팔괘의 ‘건(乾)’은 하늘, ‘태(兌)’는 못, ‘이(離)’는 불, ‘진(震)’은 눈, ‘손(巽)’은 바람, ‘감(坎)’은 물, ‘간(艮)’은 산, ‘곤(坤)’은 땅을 일컫는다. 음양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의 부호를 ‘효(爻)’라 하며, 양효(陽爻)를 표현하는 부호로 ‘―’, 음효(陰爻)를 표현하는 부호로 ‘­­’를 사용한다. 양은 하늘을 근본으로 하고, 음은 땅을 본체로 한다. 천지 창조의 과정에 있어서 하늘이 시초이므로, 하나를 의미하는 ‘―’로 양을 표시하고, 땅은 하늘 다음으로 둘째이므로 둘을 의미하는 ‘­­’로 음을 표시한다고 한다. 하나의 괘를 만든 것은 천, 지, 인의 삼재를 의미한 것이라 한다. 효가 셋 거듭하면 소성괘(小成卦)가 성립되는데, 팔괘는 소성괘 여덟 개로 구성된다. 옛 사람들은 천지자연과 인생의 도가 팔괘에 포함되어 있어서 그것을 생활에 실천함으로 인간의 흥망성쇠와 길흉화복이 자연의 도와 합하여질 수 있다고 믿었다. 팔괘는 하늘과 땅을 비롯하여 천지자연의 현상을 상징하며, 동시에 모든 길흉화복을 상징한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View.do?did=14988&reffer=shape&dpid=145&sType=07
6298형태별문양기하문팔괘문(八卦文)16226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NA>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16226&reffer=use&dpid=&sType=01
6299형태별문양기하문팔괘문(八卦文)16378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NA>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16378&reffer=use&dpid=&sType=01
6300형태별문양기하문팔괘문(八卦文)16673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NA>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16673&reffer=use&dpid=&sType=01
6301형태별문양기하문팔괘문(八卦文)18046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NA>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18046&reffer=use&dpid=&sType=01
6302형태별문양기하문팔괘문(八卦文)18799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NA>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18799&reffer=use&dpid=&sType=01
6303형태별문양기하문팔괘문(八卦文)17820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NA>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17820&reffer=use&dpid=&sType=01
6304형태별문양기하문팔괘문(八卦文)19011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NA>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patternOrigin.do?did=19011&reffer=use&dpid=&sType=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