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31
Number of observations120
Missing cells0
Missing cells (%)0.0%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29.8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254.1 B

Variable types

Numeric5
Text7
Categorical19

Dataset

Description제주특별자치도에서 제공하는 제주역사문화 일반정보와 관련한 데이터로 장소명, 분류, 내용, 자료형태, 참고문헌, 링크 등 정보를 제공합니다.
Author제주특별자치도
URLhttps://www.data.go.kr/data/15109587/fileData.do

Alerts

저작권파일URL has constant value ""Constant
내레이션 has constant value ""Constant
데이터기준일자 has constant value ""Constant
부제목 is highly imbalanced (81.3%)Imbalance
출처 is highly imbalanced (55.7%)Imbalance
기여자 is highly imbalanced (68.7%)Imbalance
참고문헌 is highly imbalanced (73.1%)Imbalance
데이터 고유번호 has unique valuesUnique
장소명 has unique valuesUnique
위도 has unique valuesUnique
경도 has unique valuesUnique
제목 has unique valuesUnique
저작권이미지폴더 has unique valuesUnique
이관전번호 has unique valuesUnique
링크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3-12-12 16:41:01.918453
Analysis finished2023-12-12 16:41:03.662306
Duration1.74 second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데이터 고유번호
Real number (ℝ)

UNIQUE 

Distinct12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2189.8833
Minimum367
Maximum4745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2 KiB
2023-12-13T01:41:03.73124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367
5-th percentile487.15
Q1857.5
median2540
Q32989
95-th percentile4115.45
Maximum4745
Range4378
Interquartile range (IQR)2131.5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1264.2284
Coefficient of variation (CV)0.57730401
Kurtosis-1.2273822
Mean2189.8833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1185.5
Skewness0.044942753
Sum262786
Variance1598273.5
MonotonicityStrictly increasing
2023-12-13T01:41:03.87936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367 1
 
0.8%
2611 1
 
0.8%
2988 1
 
0.8%
2975 1
 
0.8%
2960 1
 
0.8%
2959 1
 
0.8%
2949 1
 
0.8%
2945 1
 
0.8%
2941 1
 
0.8%
2938 1
 
0.8%
Other values (110) 110
91.7%
ValueCountFrequency (%)
367 1
0.8%
427 1
0.8%
428 1
0.8%
433 1
0.8%
447 1
0.8%
452 1
0.8%
489 1
0.8%
491 1
0.8%
519 1
0.8%
521 1
0.8%
ValueCountFrequency (%)
4745 1
0.8%
4618 1
0.8%
4602 1
0.8%
4495 1
0.8%
4392 1
0.8%
4390 1
0.8%
4101 1
0.8%
4023 1
0.8%
3868 1
0.8%
3857 1
0.8%

장소명
Text

UNIQUE 

Distinct12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2023-12-13T01:41:04.20645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7
Median length16
Mean length5.3333333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640
Distinct characters220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20 ?
Unique (%)100.0%

Sample

1st row세심재
2nd row고봉례묘
3rd row용담동 고분유적
4th row하원리 분묘군
5th row예래동 고인돌군
ValueCountFrequency (%)
해안 3
 
1.9%
귀덕리 2
 
1.2%
일제 2
 
1.2%
베릿내 2
 
1.2%
서림물 1
 
0.6%
알오름군락 1
 
0.6%
오조리철새도래지 1
 
0.6%
온평리 1
 
0.6%
용수리 1
 
0.6%
해안도로 1
 
0.6%
Other values (147) 147
90.7%
2023-12-13T01:41:04.60753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42
 
6.6%
18
 
2.8%
14
 
2.2%
14
 
2.2%
13
 
2.0%
12
 
1.9%
12
 
1.9%
11
 
1.7%
11
 
1.7%
11
 
1.7%
Other values (210) 482
75.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593
92.7%
Space Separator 42
 
6.6%
Open Punctuation 2
 
0.3%
Close Punctuation 2
 
0.3%
Decimal Number 1
 
0.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8
 
3.0%
14
 
2.4%
14
 
2.4%
13
 
2.2%
12
 
2.0%
12
 
2.0%
11
 
1.9%
11
 
1.9%
11
 
1.9%
11
 
1.9%
Other values (206) 466
78.6%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42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5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593
92.7%
Common 47
 
7.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8
 
3.0%
14
 
2.4%
14
 
2.4%
13
 
2.2%
12
 
2.0%
12
 
2.0%
11
 
1.9%
11
 
1.9%
11
 
1.9%
11
 
1.9%
Other values (206) 466
78.6%
Common
ValueCountFrequency (%)
42
89.4%
( 2
 
4.3%
) 2
 
4.3%
5 1
 
2.1%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593
92.7%
ASCII 47
 
7.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42
89.4%
( 2
 
4.3%
) 2
 
4.3%
5 1
 
2.1%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8
 
3.0%
14
 
2.4%
14
 
2.4%
13
 
2.2%
12
 
2.0%
12
 
2.0%
11
 
1.9%
11
 
1.9%
11
 
1.9%
11
 
1.9%
Other values (206) 466
78.6%

위도
Real number (ℝ)

UNIQUE 

Distinct12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33.381622
Minimum33.205605
Maximum33.548289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2 KiB
2023-12-13T01:41:04.73527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33.205605
5-th percentile33.227851
Q133.252924
median33.398175
Q333.501959
95-th percentile33.524746
Maximum33.548289
Range0.342684
Interquartile range (IQR)0.249034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0.11791491
Coefficient of variation (CV)0.0035323302
Kurtosis-1.6786018
Mean33.381622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0.1145165
Skewness-0.099429182
Sum4005.7946
Variance0.013903926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3T01:41:04.86078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33.501626 1
 
0.8%
33.446615 1
 
0.8%
33.477139 1
 
0.8%
33.272478 1
 
0.8%
33.238979 1
 
0.8%
33.3624 1
 
0.8%
33.323724 1
 
0.8%
33.415988 1
 
0.8%
33.463143 1
 
0.8%
33.329988 1
 
0.8%
Other values (110) 110
91.7%
ValueCountFrequency (%)
33.205605 1
0.8%
33.206047 1
0.8%
33.206526 1
0.8%
33.211302 1
0.8%
33.214404 1
0.8%
33.220147 1
0.8%
33.228256 1
0.8%
33.228259 1
0.8%
33.232636 1
0.8%
33.233125 1
0.8%
ValueCountFrequency (%)
33.548289 1
0.8%
33.548239 1
0.8%
33.540108 1
0.8%
33.529296 1
0.8%
33.526674 1
0.8%
33.52618 1
0.8%
33.524671 1
0.8%
33.523247 1
0.8%
33.521686 1
0.8%
33.521261 1
0.8%

경도
Real number (ℝ)

UNIQUE 

Distinct12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126.5065
Minimum126.16438
Maximum126.91997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2 KiB
2023-12-13T01:41:04.99207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126.16438
5-th percentile126.2255
Q1126.34914
median126.50136
Q3126.60836
95-th percentile126.9004
Maximum126.91997
Range0.755584
Interquartile range (IQR)0.25921475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0.20387134
Coefficient of variation (CV)0.0016115483
Kurtosis-0.45596347
Mean126.5065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0.125714
Skewness0.44970263
Sum15180.78
Variance0.041563521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3T01:41:05.13224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126.514125 1
 
0.8%
126.291371 1
 
0.8%
126.612434 1
 
0.8%
126.483071 1
 
0.8%
126.22853 1
 
0.8%
126.345292 1
 
0.8%
126.166017 1
 
0.8%
126.910528 1
 
0.8%
126.915385 1
 
0.8%
126.777995 1
 
0.8%
Other values (110) 110
91.7%
ValueCountFrequency (%)
126.164381 1
0.8%
126.164941 1
0.8%
126.165148 1
0.8%
126.166017 1
0.8%
126.167724 1
0.8%
126.167904 1
0.8%
126.22853 1
0.8%
126.24332 1
0.8%
126.247815 1
0.8%
126.251742 1
0.8%
ValueCountFrequency (%)
126.919965 1
0.8%
126.915385 1
0.8%
126.911145 1
0.8%
126.910528 1
0.8%
126.906457 1
0.8%
126.906103 1
0.8%
126.900095 1
0.8%
126.895331 1
0.8%
126.893463 1
0.8%
126.891896 1
0.8%

분류
Categorical

Distinct2
Distinct (%)1.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확장분야
63 
민속
57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3.05
Min length2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민속
2nd row민속
3rd row민속
4th row민속
5th row민속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확장분야 63
52.5%
민속 57
47.5%

Length

2023-12-13T01:41:05.27904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1:41:05.40452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확장분야 63
52.5%
민속 57
47.5%

디렉토리1
Categorical

Distinct14
Distinct (%)11.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자연
21 
사회
19 
의식주
16 
기타
16 
관광
12 
Other values (9)
36 

Length

Max length5
Median length2
Mean length2.3583333
Min length2

Unique

Unique3 ?
Unique (%)2.5%

Sample

1st row의식주
2nd row통과의례
3rd row통과의례
4th row통과의례
5th row의식주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자연 21
17.5%
사회 19
15.8%
의식주 16
13.3%
기타 16
13.3%
관광 12
10.0%
무속 11
9.2%
역사 8
 
6.7%
생산기술 5
 
4.2%
통과의례 3
 
2.5%
민간신앙 3
 
2.5%
Other values (4) 6
 
5.0%

Length

2023-12-13T01:41:05.51831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자연 21
17.5%
사회 19
15.8%
의식주 16
13.3%
기타 16
13.3%
관광 12
10.0%
무속 11
9.2%
역사 8
 
6.7%
생산기술 5
 
4.2%
통과의례 3
 
2.5%
민간신앙 3
 
2.5%
Other values (4) 6
 
5.0%

디렉토리2
Categorical

Distinct21
Distinct (%)17.5%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해당없음
29 
지리
18 
사회
13 
신당
11 
관광
Other values (16)
40 

Length

Max length7
Median length6.5
Mean length3.125
Min length2

Unique

Unique6 ?
Unique (%)5.0%

Sample

1st row식생활
2nd row장례
3rd row장례
4th row장례
5th row해당없음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29
24.2%
지리 18
15.0%
사회 13
10.8%
신당 11
 
9.2%
관광 9
 
7.5%
풍속/민속학 6
 
5.0%
어로기술 5
 
4.2%
일제강점기 4
 
3.3%
주생활 3
 
2.5%
장례 3
 
2.5%
Other values (11) 19
15.8%

Length

2023-12-13T01:41:05.63798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29
24.2%
지리 18
15.0%
사회 13
10.8%
신당 11
 
9.2%
관광 9
 
7.5%
풍속/민속학 6
 
5.0%
어로기술 5
 
4.2%
일제강점기 4
 
3.3%
지구과학 3
 
2.5%
근대 3
 
2.5%
Other values (11) 19
15.8%

제목
Text

UNIQUE 

Distinct12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2023-12-13T01:41:05.83204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35
Median length19
Mean length9.1333333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096
Distinct characters284
Distinct categories6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20 ?
Unique (%)100.0%

Sample

1st row제주의 전통음식문화를 찾아서
2nd row탐라성주 고봉례묘 추정지
3rd row용담동 옹관묘 발굴보고
4th row제주 하원동 분묘군
5th row예래동 고인돌군 · 영천관지 · 법정사지
ValueCountFrequency (%)
통권 7
 
3.2%
제주도 6
 
2.7%
· 5
 
2.3%
제주 5
 
2.3%
제주의 3
 
1.4%
한라산의 3
 
1.4%
유적 3
 
1.4%
보고서 3
 
1.4%
제주시 2
 
0.9%
마을 2
 
0.9%
Other values (180) 181
82.3%
2023-12-13T01:41:06.16835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00
 
9.1%
40
 
3.6%
27
 
2.5%
26
 
2.4%
26
 
2.4%
20
 
1.8%
19
 
1.7%
18
 
1.6%
) 16
 
1.5%
16
 
1.5%
Other values (274) 788
71.9%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930
84.9%
Space Separator 100
 
9.1%
Decimal Number 25
 
2.3%
Close Punctuation 17
 
1.6%
Open Punctuation 17
 
1.6%
Other Punctuation 7
 
0.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0
 
4.3%
27
 
2.9%
26
 
2.8%
26
 
2.8%
20
 
2.2%
19
 
2.0%
18
 
1.9%
16
 
1.7%
13
 
1.4%
12
 
1.3%
Other values (257) 713
76.7%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7
28.0%
4 4
16.0%
0 4
16.0%
9 4
16.0%
6 2
 
8.0%
2 1
 
4.0%
7 1
 
4.0%
5 1
 
4.0%
3 1
 
4.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
71.4%
/ 1
 
14.3%
. 1
 
14.3%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6
94.1%
1
 
5.9%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6
94.1%
1
 
5.9%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00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930
84.9%
Common 166
 
15.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0
 
4.3%
27
 
2.9%
26
 
2.8%
26
 
2.8%
20
 
2.2%
19
 
2.0%
18
 
1.9%
16
 
1.7%
13
 
1.4%
12
 
1.3%
Other values (257) 713
76.7%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00
60.2%
) 16
 
9.6%
( 16
 
9.6%
1 7
 
4.2%
· 5
 
3.0%
4 4
 
2.4%
0 4
 
2.4%
9 4
 
2.4%
6 2
 
1.2%
1
 
0.6%
Other values (7) 7
 
4.2%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930
84.9%
ASCII 159
 
14.5%
None 7
 
0.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00
62.9%
) 16
 
10.1%
( 16
 
10.1%
1 7
 
4.4%
4 4
 
2.5%
0 4
 
2.5%
9 4
 
2.5%
6 2
 
1.3%
/ 1
 
0.6%
. 1
 
0.6%
Other values (4) 4
 
2.5%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0
 
4.3%
27
 
2.9%
26
 
2.8%
26
 
2.8%
20
 
2.2%
19
 
2.0%
18
 
1.9%
16
 
1.7%
13
 
1.4%
12
 
1.3%
Other values (257) 713
76.7%
None
ValueCountFrequency (%)
· 5
71.4%
1
 
14.3%
1
 
14.3%

부제목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10
Distinct (%)8.3%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해당없음
111 
화북동 분묘유적 발굴조사 보고서(제주대학교박물관 조사보고 제17집)
 
1
서귀포시 비지정 문화재 지정 · 보호를 위한 학술조사
 
1
제주대학교박물관조사보고 제21집 종달리패총 1지구 발굴조사보고서
 
1
1987년도
 
1
Other values (5)
 
5

Length

Max length37
Median length4
Mean length4.975
Min length4

Unique

Unique9 ?
Unique (%)7.5%

Sample

1st row해당없음
2nd row화북동 분묘유적 발굴조사 보고서(제주대학교박물관 조사보고 제17집)
3rd row해당없음
4th row해당없음
5th row서귀포시 비지정 문화재 지정 · 보호를 위한 학술조사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111
92.5%
화북동 분묘유적 발굴조사 보고서(제주대학교박물관 조사보고 제17집) 1
 
0.8%
서귀포시 비지정 문화재 지정 · 보호를 위한 학술조사 1
 
0.8%
제주대학교박물관조사보고 제21집 종달리패총 1지구 발굴조사보고서 1
 
0.8%
1987년도 1
 
0.8%
한라산총서3 1
 
0.8%
한라산총서2 1
 
0.8%
서재철 제주 기생화산 사진집 1
 
0.8%
섬 동남부의 중심마을 1
 
0.8%
한라산총서 11 1
 
0.8%

Length

2023-12-13T01:41:06.31673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1:41:06.43297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111
78.2%
화북동 1
 
0.7%
한라산총서 1
 
0.7%
중심마을 1
 
0.7%
동남부의 1
 
0.7%
1
 
0.7%
사진집 1
 
0.7%
기생화산 1
 
0.7%
제주 1
 
0.7%
서재철 1
 
0.7%
Other values (22) 22
 
15.5%

저작자
Categorical

Distinct38
Distinct (%)31.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제주특별자치도
58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제주도
강병수
 
4
서귀포시
 
3
Other values (33)
40 

Length

Max length28
Median length27
Mean length7.5416667
Min length3

Unique

Unique28 ?
Unique (%)23.3%

Sample

1st row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nd row제주시
3rd row제주시/제주대학교박물관
4th row고창석/강창화/김동전
5th row서귀포시/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제주특별자치도 58
48.3%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8
 
6.7%
제주도 7
 
5.8%
강병수 4
 
3.3%
서귀포시 3
 
2.5%
제주시 3
 
2.5%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3
 
2.5%
오성찬 2
 
1.7%
제주100년 2
 
1.7%
북제주군 2
 
1.7%
Other values (28) 28
23.3%

Length

2023-12-13T01:41:06.57661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제주특별자치도 58
45.0%
제주특별자치도관광협회 8
 
6.2%
제주도 7
 
5.4%
강병수 4
 
3.1%
서귀포시 4
 
3.1%
제주시 3
 
2.3%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3
 
2.3%
탐라문화연구소 2
 
1.6%
북제주군 2
 
1.6%
제주100년 2
 
1.6%
Other values (35) 36
27.9%

주제
Text

Distinct115
Distinct (%)95.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2023-12-13T01:41:06.82765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37
Median length24
Mean length14.141667
Min length5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697
Distinct characters276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14 ?
Unique (%)95.0%

Sample

1st row제주.전통음식.음식문화.제주의 술.관광상품화
2nd row고봉례.성주.분묘.유적.출토유물
3rd row용담동.옹관묘.발굴조사.유물.유구
4th row하원동.분묘.왕자묘.출토유물
5th row상예동.고인돌.영천관지.법정사지.지석묘군.예래동.영천관지
ValueCountFrequency (%)
제주무속.무속.당.당제.신당 7
 
5.6%
술.관광상품화 1
 
0.8%
송악산.올인촬영지 1
 
0.8%
오름.칡오름 1
 
0.8%
녹차.명차.다원 1
 
0.8%
해변.일과리.대정.생활용수 1
 
0.8%
오름.이달봉 1
 
0.8%
해변.용수리 1
 
0.8%
해안.용수리 1
 
0.8%
오조리.철새도래지 1
 
0.8%
Other values (108) 108
87.1%
2023-12-13T01:41:07.27429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 346
 
20.4%
49
 
2.9%
39
 
2.3%
35
 
2.1%
32
 
1.9%
26
 
1.5%
22
 
1.3%
22
 
1.3%
21
 
1.2%
20
 
1.2%
Other values (266) 1085
63.9%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334
78.6%
Other Punctuation 347
 
20.4%
Decimal Number 11
 
0.6%
Space Separator 4
 
0.2%
Uppercase Letter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9
 
3.7%
39
 
2.9%
35
 
2.6%
32
 
2.4%
26
 
1.9%
22
 
1.6%
22
 
1.6%
21
 
1.6%
20
 
1.5%
20
 
1.5%
Other values (256) 1048
78.6%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3
27.3%
0 2
18.2%
4 2
18.2%
3 2
18.2%
6 1
 
9.1%
5 1
 
9.1%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46
99.7%
· 1
 
0.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4
100.0%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U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334
78.6%
Common 362
 
21.3%
Latin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9
 
3.7%
39
 
2.9%
35
 
2.6%
32
 
2.4%
26
 
1.9%
22
 
1.6%
22
 
1.6%
21
 
1.6%
20
 
1.5%
20
 
1.5%
Other values (256) 1048
78.6%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346
95.6%
4
 
1.1%
1 3
 
0.8%
0 2
 
0.6%
4 2
 
0.6%
3 2
 
0.6%
· 1
 
0.3%
6 1
 
0.3%
5 1
 
0.3%
Latin
ValueCountFrequency (%)
U 1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334
78.6%
ASCII 362
 
21.3%
None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 346
95.6%
4
 
1.1%
1 3
 
0.8%
0 2
 
0.6%
4 2
 
0.6%
3 2
 
0.6%
6 1
 
0.3%
5 1
 
0.3%
U 1
 
0.3%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9
 
3.7%
39
 
2.9%
35
 
2.6%
32
 
2.4%
26
 
1.9%
22
 
1.6%
22
 
1.6%
21
 
1.6%
20
 
1.5%
20
 
1.5%
Other values (256) 1048
78.6%
None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내용
Text

Distinct118
Distinct (%)98.3%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2023-12-13T01:41:07.60540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251
Mean length322.81667
Min length46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38738
Distinct characters995
Distinct categories15 ?
Distinct scripts5 ?
Distinct blocks9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16 ?
Unique (%)96.7%

Sample

1st row제주도는 농사짓는 땅이 적어 가정의 식량은 겨우 대는 정도이고 . 밭곡식은 조. 피. 보리. 메밀. 콩. 팥. 녹두. 깨 등 잡곡이 주가 되고. 감자·고구마의 생산이 많다. 채소와 된장 해조류가 찬의 재료가 되고 바닷고기도 말려서 두고 쓰고 수육은 주로 돼지고기이고 닭을 쓰는 음식 대부분이다.(중략)쌀이 귀하므로 평소에는 보리. 조. 팥등의 잡곡밥을 많이 짓고 제삿날이나 비념에 고은밥(쌀밥)을 지어 먹는데. 쌀의 80%를 육지에서 들어와야 하는 형편에 있었다. 물론 근 30년간 외지사람의 이주로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옛날의 식사는 잡곡밥에 된장을 푼 배추국. 콩잎국. 무국. 파국. 호박국. 미역국. 생선국을 반드시 끓이고 반찬은 자리젓. 갈치자반. 정갱이자반. 고등어자반. 건어를 쓰고 회는 생것이 손에 들어오면 먹게 되고 자리회를 먹는 것이 큰 즐거움이라 하였다.(중략) 또 점심에 먼 곳에 나가서 일하는 사람은 대로 엮은 도시락이 있어 잡곡밥을 담고 찬은 된장과 자리젓을 옆에 담고 밭에서 연한 콩잎을 따서 쌈을 싸면 일품이라고 한다. 부지런하고 소박한 성품이 음식에서도 소박하고 꾸밈이 없고 질박한 식생활이었으나 건강하고 일을 잘하기로 칭송을 받는 주민들이었다. 곡식음식은 바다 것을 넣은 죽이 사치스럽게도 맛이 있고. 메밀로 만든 만두나 수제비를 잘 만들고 미역죽. 닭죽도 잘 만든다.
2nd row영산 한라의 맥이 흘러든 자락에 자리한 우리들의 삶터 제주시는 오늘날 제주도의 행정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탐라국 시대에도 으뜸 도시였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탐라국의 실체를 뚜렷하게 찾아내지 못하고 있음은 실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만큼 '탐라사'는 굴곡이 깊었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지방화 시대는 우리들의 일을 우리들 스스로 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이는 우리들 역사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탐라사는 곧 하나의 '지방사'라는 수동적인 '사관'에서 벗어나. 주체적으로 '탐라사'를 세워나가야 함은 우리들 앞에 놓인 엄숙한 과제이기도 합니다. 주체적으로 '탐라사'를 세우는 일은 여러 가지가 있겠습니다만. 탐라국사의 상징적 존재인 '성주'의 실체를 우선 실증적으로 찾아내야 할 것입니다. 성주의 실체가 상실된 것은 1404년(조선 태종 4) 성주 . 왕자직이 없어지면서부터이며. 이와 동시에 탐라국도 소멸되었습니다. 따라서 주체적인 탐라사 정립을 위해서는 우선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던 거로 마을의 '능동산'에 있는 탐라 마지막 성주인 고봉례의 묘를 발굴. 조사하는 일입니다. 이는 다름 아닌 '탐라사'의 기둥을 세우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시에서는 제주대학교 박물관에 발굴 조사를 의뢰하여. 그 결과 분묘의 성격. 축조 방법. 축조 시기. 출토 유물 등을 들춰내 「탐라성주 고봉례묘추정지」라는 이름으로 학계에 내놓을 수가 있었습니다. 부디 이 조사보고서가 굽어진 탐라사를 올곧게 세우는데 자그마한 보탬이 된다면 더 이상의 바람이 없겠습니다.
3rd row금번 보고서로 내는 제주시 용담동 고분 유적은 기원 전후한 제주 역사 여명기를 밝혀주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이 유적의 조사를 통해서 고대 탐라국의 형성기에 어떠한 문화적 변동이 있었는가에 대해서 완전히 새로운 사실들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비록 장기적인 조사 계획에 바탕을 두고. 충분한 여건이 주어진 가운데 발굴조사가 이루 어진 것은 아닙니다만. 자칫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채. 영원히 파괴되었을지도 모를 이 중요한 유적이 지역주민의 투철한 문화재 의식으로 그나마 조사된 것은 정말 다행한 일입니다. 아무쪼록 이 유적과 같은 긴급구제발굴조사가. 근래에 들어 개발을 급하게 서두르고 있는 제주도에서 하나의 시금석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이번의 발굴조사 보고서가 제주도 탐라 상고사의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 전체 상고사 연구에 잘 활용이 되기를 바랍니다.
4th row 하원동 분묘군은 일찍부터 '왕자묘(王子基)' 라는 이름으로 세간에 알려져 있었다. 이 묘는 1914년(대정3)에 일본인들에 의해 묘가 도굴된 바 있어 더더욱 주목되어왔다. 이 묘는 탐라국의 왕자(王子)와 관련된 왕자묘라는 주장과 원나라 백백태자(伯伯太子)의 묘일 가능성이 있다는 두 설이 있다. 이원조 제주목사(1842~45)가 지은 『탐라지초본』 대정현 '고적' 에 따르면 "왕자묘는 대정현 동쪽 45리에 있다. 궁산 옆 두 하천 사이에 3기묘의 계천이 아직도 남아있다. 두 모퉁이에는 백작약들이 자라고 있다. 가래촌에는 또한 궁궐 유적으로 보이는 초석들이 남아 있는데 이곳이 탐라의 도읍처가 아닌가 의심된다. 전해 오는 바에 의하면 산방을 이도라고도 하였다.(王子墓在縣東四十五里弓山兩川之間 三墓階喘尙在兩隅有白灼藥 加來村裏 又有宮闕遺礎 疑是旱羅都處 俗傅山房爲第二徒云)" 이 묘가 두 하천 사이에 자리하고 있고. 3기묘의 묘역이 남아있다는 기록은 현재에 현황과 일치한다. 본 조사는 이러한 여러 가지 설을 입증하고 일제시대 도굴된 묘의 성격을 재 규명하기 위해 조사에 착수하였다. 조사 목적은 문헌과 구전을 통해 알려진 동 묘제를 발굴하여 탐라말기 지배층 묘제양식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나아가 밝혀 질 이들 묘제의 양식과 성격 파악을 통해 탐라국 말기의 사회상을 복원하여 인문·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5th row이 조사의 목적은 서귀포시 비지정 향토 유형 문화유산 중 제주도 지정문화재로 지정할 만한 가치가 있는 예래동 고인돌군. 영천관지. 법정사지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재 지정에 필요한 근거자료와 역사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유물산포지를 통해서 확인될 수 있는 것은 사람이 살던 생활터의 입지적 조건이다. 그리고 각 유물산포지 단위의 범위와 밀집도가 거주 양식과 기간과도 관계가 되겠지만. 인구 규모와도 정비례의 상관관계가 있다고도 생각이 되므로. 개략적으로 마을의 크고 작음을 구분하여 그 분포를 살필 수가 있다. 탐라시대 전기에는 앞선 단계보다 훨씬 많은 유물 산포지 유적이 확인된다. 무문토기 시기에는 불과 10개 지점 미만이 확인되었는데 비해 이 시기에 오면 수십여 개 지점에 이른다. 그리고 곽지리나 광령리 등 단위 유적 하나가 직경이 수백 미터 이상 되는 규모의 것도 있다. 따라서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고인돌 유적을 구태여 들지 않더라도 이 시기에 이러한 정도의 유적 상황만으로도 제주도 곳곳에 모양을 갖춘 마을이 들어섰음이 어렵지 않게 추정될 수 있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92
 
1.0%
있는 76
 
0.9%
70
 
0.8%
60
 
0.7%
49
 
0.6%
발췌 45
 
0.5%
44
 
0.5%
제주 41
 
0.5%
한다 31
 
0.4%
우리 28
 
0.3%
Other values (5895) 8317
93.9%
2023-12-13T01:41:08.04026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8738
 
22.6%
. 1021
 
2.6%
994
 
2.6%
743
 
1.9%
628
 
1.6%
613
 
1.6%
587
 
1.5%
557
 
1.4%
483
 
1.2%
467
 
1.2%
Other values (985) 23907
61.7%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27320
70.5%
Space Separator 8740
 
22.6%
Other Punctuation 1240
 
3.2%
Decimal Number 904
 
2.3%
Math Symbol 128
 
0.3%
Open Punctuation 107
 
0.3%
Close Punctuation 104
 
0.3%
Lowercase Letter 101
 
0.3%
Uppercase Letter 53
 
0.1%
Initial Punctuation 12
 
< 0.1%
Other values (5) 29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994
 
3.6%
743
 
2.7%
628
 
2.3%
613
 
2.2%
587
 
2.1%
557
 
2.0%
483
 
1.8%
467
 
1.7%
465
 
1.7%
418
 
1.5%
Other values (925) 21365
78.2%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23
22.8%
e 14
13.9%
o 12
11.9%
c 9
 
8.9%
t 9
 
8.9%
l 6
 
5.9%
a 5
 
5.0%
k 5
 
5.0%
n 4
 
4.0%
g 3
 
3.0%
Other values (7) 11
10.9%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70
18.8%
0 159
17.6%
2 122
13.5%
9 96
10.6%
5 73
8.1%
7 68
 
7.5%
3 65
 
7.2%
4 58
 
6.4%
8 47
 
5.2%
6 46
 
5.1%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021
82.3%
' 109
 
8.8%
: 45
 
3.6%
· 39
 
3.1%
" 20
 
1.6%
% 5
 
0.4%
/ 1
 
0.1%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P 42
79.2%
W 5
 
9.4%
T 2
 
3.8%
V 2
 
3.8%
B 2
 
3.8%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8
82.2%
16
 
15.0%
2
 
1.9%
[ 1
 
0.9%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6
82.7%
15
 
14.4%
2
 
1.9%
] 1
 
1.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56
43.8%
> 55
43.0%
~ 17
 
13.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8738
> 99.9%
  2
 
< 0.1%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0
83.3%
2
 
16.7%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8
80.0%
2
 
20.0%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8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
100.0%
Connecto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_ 3
10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3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7176
70.2%
Common 11264
29.1%
Latin 154
 
0.4%
Han 143
 
0.4%
Hiragana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994
 
3.7%
743
 
2.7%
628
 
2.3%
613
 
2.3%
587
 
2.2%
557
 
2.0%
483
 
1.8%
467
 
1.7%
465
 
1.7%
418
 
1.5%
Other values (810) 21221
78.1%
Han
ValueCountFrequency (%)
5
 
3.5%
4
 
2.8%
4
 
2.8%
3
 
2.1%
2
 
1.4%
2
 
1.4%
2
 
1.4%
2
 
1.4%
2
 
1.4%
2
 
1.4%
Other values (104) 115
80.4%
Common
ValueCountFrequency (%)
8738
77.6%
. 1021
 
9.1%
1 170
 
1.5%
0 159
 
1.4%
2 122
 
1.1%
' 109
 
1.0%
9 96
 
0.9%
( 88
 
0.8%
) 86
 
0.8%
5 73
 
0.6%
Other values (28) 602
 
5.3%
Latin
ValueCountFrequency (%)
P 42
27.3%
m 23
14.9%
e 14
 
9.1%
o 12
 
7.8%
c 9
 
5.8%
t 9
 
5.8%
l 6
 
3.9%
a 5
 
3.2%
W 5
 
3.2%
k 5
 
3.2%
Other values (12) 24
15.6%
Hiragana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7174
70.1%
ASCII 11317
29.2%
CJK 138
 
0.4%
None 76
 
0.2%
Punctuation 22
 
0.1%
CJK Compat Ideographs 5
 
< 0.1%
CJK Compat 3
 
< 0.1%
Compat Jamo 2
 
< 0.1%
Hiragana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8738
77.2%
. 1021
 
9.0%
1 170
 
1.5%
0 159
 
1.4%
2 122
 
1.1%
' 109
 
1.0%
9 96
 
0.8%
( 88
 
0.8%
) 86
 
0.8%
5 73
 
0.6%
Other values (39) 655
 
5.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994
 
3.7%
743
 
2.7%
628
 
2.3%
613
 
2.3%
587
 
2.2%
557
 
2.0%
483
 
1.8%
467
 
1.7%
465
 
1.7%
418
 
1.5%
Other values (809) 21219
78.1%
None
ValueCountFrequency (%)
· 39
51.3%
16
21.1%
15
 
19.7%
  2
 
2.6%
2
 
2.6%
2
 
2.6%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0
45.5%
8
36.4%
2
 
9.1%
2
 
9.1%
CJK
ValueCountFrequency (%)
5
 
3.6%
4
 
2.9%
4
 
2.9%
3
 
2.2%
2
 
1.4%
2
 
1.4%
2
 
1.4%
2
 
1.4%
2
 
1.4%
2
 
1.4%
Other values (100) 110
79.7%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3
100.0%
Compat Jamo
ValueCountFrequency (%)
2
100.0%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2
40.0%
1
20.0%
1
20.0%
1
20.0%
Hiragana
ValueCountFrequency (%)
1
100.0%

목차
Categorical

Distinct50
Distinct (%)41.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해당없음
70 
<NA>
 
2
● 도면목차 ● 사진목차 머리말 Ⅰ. 유적(遺蹟)의 위치(位置)와 환경(環境) Ⅱ. 주변(周邊)의 유적(遺蹟) Ⅲ. 시굴조사(試掘調査) Ⅳ. 발굴조사(發掘調査) Ⅴ. 출토유물(出土遺物) Ⅵ. 고찰(考察) 맺음말
 
1
화 보 발간사 Ⅰ. 머리말 Ⅱ. 유적의 위치와 현상 Ⅲ. 역사적 배경 Ⅳ 조사경위와 경과 Ⅴ. 조사내용 Ⅵ. 출토유물 Ⅶ. 고 찰 Ⅷ. 맺음말
 
1
□ 발간사(發刊辭) □ 도면목차(圖面目次) □ 도판목차(圖版目次) Ⅰ. 조사개요(調査槪要) 1. 조사경위(調査經緯) 2. 조사방법(調査方法) Ⅱ. 유적(遺蹟)의 입지환경(入地環境) 및 주변유적(周邊遺蹟) 1. 유적의(遺蹟) 입지환경(入地環境) 2. 주변유적(周邊遺蹟) Ⅲ. 조사내용(調査內容) 1. 시굴조사(試掘調査) (1) A지구(地區) (2) B지구(地區) 2. 발굴조사(發掘調査) (1) 발굴전(發掘前)) 상황(狀況) (2) 층위(層位) (3) 출토유물(出土遺物) Ⅳ. 고찰(考察) Ⅴ. 맺음말
 
1
Other values (45)
45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4
Mean length192.26667
Min length4

Unique

Unique48 ?
Unique (%)40.0%

Sample

1st row1. 한국음식문화에서 제주 전통음식의 위치 / 주영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 제주 전통음식의 사회문화적 의미 / 허남춘 (제주대학교) 3. 제주 전통음식의 관광상품화·세계화 전략 / 오영주 (제주한라대학) 4. 제주 전통음식(일상식)의 영양학적 의미 / 고양숙 (제주대학교) 5. 제주의 술 / 고정삼 (제주대학교)
2nd row화 보 발간사 Ⅰ. 머리말 Ⅱ. 유적의 위치와 현상 Ⅲ. 역사적 배경 Ⅳ 조사경위와 경과 Ⅴ. 조사내용 Ⅵ. 출토유물 Ⅶ. 고 찰 Ⅷ. 맺음말
3rd row발간사 / 제주대학교 박물관장 강통원(姜通源) 제주시 용담동 유적 발굴조사보고 / 이청규(李淸圭) 제1장 머리말 제2장 제주도의 지리적 배경 제3장 발굴의 절차와 유적의 현상 1. 발굴의 절차 2. 유적의 층위 3. 유구의 배치 제4장 남쪽 묘역 1. 유 적 2. 유 물 제5장 북쪽 묘역 1. 유 적 2. 유 물 제6장 종합고찰 1. 남쪽 묘역의 무덤과 유물 2. 북쪽 묘역의 무덤과 출토유물 3. 북쪽과 남쪽 묘역의 관계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사 진 제주시 용담동 출토 금속유물의 보존복원처리 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Ⅰ. 머리말 Ⅱ. 금속유물의 일반적인 보존복원처리과정 Ⅲ. 실제적인 보존복원처리 Ⅳ. 맺는 말 Ⅴ. X-선 사진의 판독 사 진
4th row머리말 Ⅰ. 유적의 위치와 현상 Ⅱ. 하원동 속칭 '왕자묘(王子墓)'의 역사적(歷史的) 배경(背景) Ⅲ. 조사 경위와 경과 Ⅳ. 조사 내용 Ⅴ. 출토 유물 Ⅵ. 종합고찰(綜合考察) 맺음말
5th rowⅠ. 조사개요 Ⅱ. 상예동(上猊洞) 지석묘군(支石墓群) 1. 선사시대 예래동 마을의 입지 2. 상예동 고인돌의 조사와 성격 Ⅲ. 영천관지(靈天館址) 1. 위치와 고고학적 환경 2. 영천관 건립의 역사적 배경과 그 주변경관 3. 문화재 지정 필요성 Ⅳ. 법정사지(法井寺址) 1. 위치와 주변 자연환경 2. 현 법정사와 구 법정사지 고고학적 환경조사 3. 역사성과 문화재 지정 필요성 조사단 의견서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70
58.3%
<NA> 2
 
1.7%
● 도면목차 ● 사진목차 머리말 Ⅰ. 유적(遺蹟)의 위치(位置)와 환경(環境) Ⅱ. 주변(周邊)의 유적(遺蹟) Ⅲ. 시굴조사(試掘調査) Ⅳ. 발굴조사(發掘調査) Ⅴ. 출토유물(出土遺物) Ⅵ. 고찰(考察) 맺음말 1
 
0.8%
화 보 발간사 Ⅰ. 머리말 Ⅱ. 유적의 위치와 현상 Ⅲ. 역사적 배경 Ⅳ 조사경위와 경과 Ⅴ. 조사내용 Ⅵ. 출토유물 Ⅶ. 고 찰 Ⅷ. 맺음말 1
 
0.8%
□ 발간사(發刊辭) □ 도면목차(圖面目次) □ 도판목차(圖版目次) Ⅰ. 조사개요(調査槪要) 1. 조사경위(調査經緯) 2. 조사방법(調査方法) Ⅱ. 유적(遺蹟)의 입지환경(入地環境) 및 주변유적(周邊遺蹟) 1. 유적의(遺蹟) 입지환경(入地環境) 2. 주변유적(周邊遺蹟) Ⅲ. 조사내용(調査內容) 1. 시굴조사(試掘調査) (1) A지구(地區) (2) B지구(地區) 2. 발굴조사(發掘調査) (1) 발굴전(發掘前)) 상황(狀況) (2) 층위(層位) (3) 출토유물(出土遺物) Ⅳ. 고찰(考察) Ⅴ. 맺음말 1
 
0.8%
발간사 / 제주대학교 박물관장 강통원(姜通源) 제주시 용담동 유적 발굴조사보고 / 이청규(李淸圭) 제1장 머리말 제2장 제주도의 지리적 배경 제3장 발굴의 절차와 유적의 현상 1. 발굴의 절차 2. 유적의 층위 3. 유구의 배치 제4장 남쪽 묘역 1. 유 적 2. 유 물 제5장 북쪽 묘역 1. 유 적 2. 유 물 제6장 종합고찰 1. 남쪽 묘역의 무덤과 유물 2. 북쪽 묘역의 무덤과 출토유물 3. 북쪽과 남쪽 묘역의 관계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사 진 제주시 용담동 출토 금속유물의 보존복원처리 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Ⅰ. 머리말 Ⅱ. 금속유물의 일반적인 보존복원처리과정 Ⅲ. 실제적인 보존복원처리 Ⅳ. 맺는 말 Ⅴ. X-선 사진의 판독 사 진 1
 
0.8%
머리말 Ⅰ. 유적의 위치와 현상 Ⅱ. 하원동 속칭 '왕자묘(王子墓)'의 역사적(歷史的) 배경(背景) Ⅲ. 조사 경위와 경과 Ⅳ. 조사 내용 Ⅴ. 출토 유물 Ⅵ. 종합고찰(綜合考察) 맺음말 1
 
0.8%
Ⅰ. 조사개요 Ⅱ. 상예동(上猊洞) 지석묘군(支石墓群) 1. 선사시대 예래동 마을의 입지 2. 상예동 고인돌의 조사와 성격 Ⅲ. 영천관지(靈天館址) 1. 위치와 고고학적 환경 2. 영천관 건립의 역사적 배경과 그 주변경관 3. 문화재 지정 필요성 Ⅳ. 법정사지(法井寺址) 1. 위치와 주변 자연환경 2. 현 법정사와 구 법정사지 고고학적 환경조사 3. 역사성과 문화재 지정 필요성 조사단 의견서 1
 
0.8%
1. 과업명 2. 조사목적 3. 조사범위 4. 조사방법 5. 조사결과 가. 조사지의 개요 나. 식산봉의 기후 다. 식산봉의 지형·지질 라. 식산봉의 토양 마. 식물상 조사결과 바. 식생 조사결과 사. 황근의 분포와 생육 상태 아. 식산봉의 보호방안 참고문헌 부 록 1
 
0.8%
제1장 마을계획의 개요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2. 계획의 범위 및 내용 3. 계획의 수립과정 제2장 마을현황 및 과제 1. 마을의 자원현황 2. 국내외 사례 3. 관련계획 및 법규검토 4. 지역주민 의견 5. 분석의 종합 제3장 마을 발전전략 1. 마을 가꾸기의 이해 2. 마을 가꾸기의 목표 3. 마을 가꾸기의 기본전략 4. 마을 발전 공간구상 제4장 마을 중점사업 계획 1. 테마가 있는 잠( )녀 거리 만들기 2. 살아 숨쉬는 잠( )녀 문화 만들기 3. 활기 넘치는 잠( )녀 마을 만들기 제5장 사업추진계획 1. 사업추진계획 2. 투자계획 1
 
0.8%
Other values (40) 40
33.3%

Length

2023-12-13T01:41:08.16316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500
 
9.3%
1 104
 
1.9%
2 97
 
1.8%
3 75
 
1.4%
해당없음 70
 
1.3%
55
 
1.0%
4 51
 
1.0%
5 42
 
0.8%
32
 
0.6%
30
 
0.6%
Other values (3030) 4301
80.3%

초록
Text

Distinct118
Distinct (%)98.3%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2023-12-13T01:41:08.48165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344.5
Mean length214.925
Min length1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5791
Distinct characters849
Distinct categories11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5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16 ?
Unique (%)96.7%

Sample

1st row제주의 전통음식문화를 찾아서(세미나) 일 시 : 2004. 10. 8(금) 10:00~15:00 장 소 : 세심재 주 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nd row이 분묘는 일찍부터 알려진 방형의 쌍묘이다. 쌍묘가 있는 지경을 '능동산'이라고 하고. 제주의 고위 계층의 무덤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고씨세보(高氏世饍)에 기록된 내용에 보면. 좌도지관(左都知管) 고봉례의 묘가 화북·거로 지경에 부부 합장묘로 안치했다는 내용이 있어. 이 능동산에 위치한 묘가 고봉례 부부의 묘역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조선왕조실록》 등 문헌기록에 의하면. 탐라의 마지막 성주인 고봉례(高鳳禮)의 서거연도가 조선 태종 11년(1411)으로 나타나 있다. 30여년 전. 현장을 답사한 고봉만씨에 의하면 이 방형의 쌍묘는 일인들에 의해 처음 도굴되었고. 그 후에도 전문적인 도굴꾼에 의해 두세 번 더 도굴된 사실을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알았다고 한다. 이처럼 수차례의 도굴 흔적은 조사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것도 곽의 내부는 마치 벌집을 연상케하는 도굴침 흔적이 남아 있었다. 중앙에 곽이 있었던 자리는 이미 완전하게 파헤쳐져 직경 1.5m. 깊이 1.5m 이상 되는 구덩이가 만들어져 있고 이 구덩이에서 퍼올린 흙이 봉토 상면을 덮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 묘는 제주도에서는 흔치 않은 방형의 묘이고. 구전과 문헌에 전하는 마지막 성주묘에 대한 사적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조사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중앙의 문화재위원들이 현장을 답사하게 되었고. 제주대학교박물관에 의해 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발굴 조사를 하게 된 목적은 해당 봉분에 대한 조사를 통해 분묘의 주인공과 그 성격을 밝혀. 그에 따른 해당 분묘의 보존 여부를 거론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발굴은 원래 9월경에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겨울에 시작되었다.
3rd row이번에 발굴된 용담동 무덤의 유적은 기원 전후의 제주도 역사 여명기에 있었던 문화변천의 모습을 밝히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탐라 상고시대에 공렬토기를 사용하는 무문토기 문화집단으로부터 중국 한대 철기를 사용하는 곽지식 토기문화 집단으로의 이행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밝혀 주었음은 물론이거니와. 그 이행 혹은 변동의 원인과 과정을 밝히는 데. 더 없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주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제주도에서의 초기 금속기문화의 실상을 밝혀주는 풍부한 철제 유물이 출토됨으로써. 제주도는 물론 우리나라 전체의 원사시대 철기문화의 전개과정을 밝혀주는데 큰 보탬이 되고 있다. 이처럼 제주도사 여명기를 밝혀주는 중요한 유적인데도 불구하고. 충분한 여건이 마련되지 않은 채 긴급 구제 발굴되고. 서둘러 마쳐질 수밖에 없었음에 아쉬움이 남는다.
4th row동 하원리 소재 분묘군은 해발 225m의 능선상에 3단 구성으로 이루어진 묘역 안에 판석형 혹은 할석형 석곽을 둔 계단식 방대형 석곽분이다. 직경 84m 안에 동일한 형태의 석곽묘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분명 누대에 걸쳐 조영된 분묘군이다. 더불어 석곽 주변으로 둘린 돌담 형태의 곡장은 지금까지는 확인된 묘역 중 분명 제주도 최고의 묘역이다. 이러한 할석형 · 판석형 방형석곽묘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기에 이르기까지 일반적인 무덤양식으로 쓰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바. 원묘 이전의 제주도 분묘 양식을 파악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제주도 내에 있는 방형석곽묘는 동 하원동분묘군 외에 화북동 거로마을의 탐라의 마지막 성주 고봉례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분묘. 청주한씨 입도주 분묘. 김해김씨 선흘리 소재 분묘 등 그렇게 많지는 않은 실정이다. 특히 화북동 분묘는 부부묘역으로 쌍분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축조방법과 장법이 하원동 분묘군과 동일하였으며 우물도 조선초기의 백자가 출토된 바 있다. 이러한 조사 자료는 하원동 분묘군과 상호 비교연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분묘는 고려말-조선초의 방묘의 축조양식. 묘제형태. 이장방법 등의 해명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할 것이다. 결국 이들 분묘는 제주도의 묘제변천사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할 것이다. 어쩌면 이들 분묘들은 얼마 없어 모두 사라져 버릴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이들 분묘를 일괄적으로 '제주도의 방형분' 이라는 명칭으로라도 제주도 문화재로 지정하여. 한 가문만의 무덤이 아니라. 제주도 문화유산의 하나라는 인식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더구나 제주도 문화유산의 하나인 무덤은 매우 독특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미래를 예단할 수는 없지만. 매장 방법 및 풍속은 급속도로 변화할 처지에 놓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의미에서 제주 내에 산재해 있는 방묘를 제주도 지정문화재로 지정하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해 줄 것을 제의한다.
5th row예래동 고인돌은 6기의 고인돌이 능선을 따라 해안으로 내려오면서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제주도 고인돌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어 왔으나 이곳 예래동 고인돌은 직겨 10m 이내에 3기가 군집해 있음이 확인된다. 더불어 고인돌이 자리한 지형은 능선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6호 고인돌인 경우 한라산 남쪽지역에서 발견된 바 없는 성혈(性穴. cup mark)이 20여 개 이상 확인된다. 수년전만 해도 상예동 일대에 11기의 고인돌군 보다 단위 면적당 높은 군집 양상을 보인다. 더구나 남아있는 6기의 고인돌이 각기 다른 형식을 취하고 있어 제주도 지방 고인돌 연구에 중요한 연구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게다가 주변 유물산포지를 끼고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어 생활공간과 무덤공간. 제의공간의 비교연구에도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들 고인돌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6기의 고인돌 전체를 시급히 문화재로 지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59
 
1.0%
47
 
0.8%
있는 42
 
0.7%
41
 
0.7%
32
 
0.5%
것이다 23
 
0.4%
제주도 22
 
0.4%
것으로 19
 
0.3%
우리 19
 
0.3%
17
 
0.3%
Other values (4175) 5501
94.5%
2023-12-13T01:41:08.93575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703
 
22.1%
. 766
 
3.0%
651
 
2.5%
484
 
1.9%
450
 
1.7%
409
 
1.6%
380
 
1.5%
325
 
1.3%
320
 
1.2%
316
 
1.2%
Other values (839) 15987
62.0%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8738
72.7%
Space Separator 5703
 
22.1%
Other Punctuation 860
 
3.3%
Decimal Number 275
 
1.1%
Close Punctuation 74
 
0.3%
Open Punctuation 74
 
0.3%
Lowercase Letter 37
 
0.1%
Math Symbol 12
 
< 0.1%
Uppercase Letter 10
 
< 0.1%
Modifier Symbol 6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651
 
3.5%
484
 
2.6%
450
 
2.4%
409
 
2.2%
380
 
2.0%
325
 
1.7%
320
 
1.7%
316
 
1.7%
314
 
1.7%
269
 
1.4%
Other values (792) 14820
79.1%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8
21.6%
a 5
13.5%
u 3
 
8.1%
p 3
 
8.1%
n 3
 
8.1%
e 3
 
8.1%
r 2
 
5.4%
k 2
 
5.4%
i 2
 
5.4%
l 2
 
5.4%
Other values (3) 4
10.8%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69
25.1%
0 51
18.5%
3 33
12.0%
2 32
11.6%
6 21
 
7.6%
4 21
 
7.6%
5 13
 
4.7%
9 13
 
4.7%
7 12
 
4.4%
8 10
 
3.6%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B 2
20.0%
V 2
20.0%
T 2
20.0%
S 2
20.0%
K 1
10.0%
N 1
10.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66
89.1%
' 70
 
8.1%
· 17
 
2.0%
: 7
 
0.8%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6
75.7%
14
 
18.9%
3
 
4.1%
] 1
 
1.4%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6
75.7%
14
 
18.9%
3
 
4.1%
[ 1
 
1.4%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5
41.7%
> 4
33.3%
~ 3
25.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5703
100.0%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6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8648
72.3%
Common 7006
 
27.2%
Han 90
 
0.3%
Latin 47
 
0.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651
 
3.5%
484
 
2.6%
450
 
2.4%
409
 
2.2%
380
 
2.0%
325
 
1.7%
320
 
1.7%
316
 
1.7%
314
 
1.7%
269
 
1.4%
Other values (721) 14730
79.0%
Han
ValueCountFrequency (%)
4
 
4.4%
3
 
3.3%
3
 
3.3%
3
 
3.3%
2
 
2.2%
2
 
2.2%
2
 
2.2%
2
 
2.2%
2
 
2.2%
2
 
2.2%
Other values (61) 65
72.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5703
81.4%
. 766
 
10.9%
' 70
 
1.0%
1 69
 
1.0%
) 56
 
0.8%
( 56
 
0.8%
0 51
 
0.7%
3 33
 
0.5%
2 32
 
0.5%
6 21
 
0.3%
Other values (18) 149
 
2.1%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8
17.0%
a 5
 
10.6%
u 3
 
6.4%
p 3
 
6.4%
n 3
 
6.4%
e 3
 
6.4%
r 2
 
4.3%
B 2
 
4.3%
V 2
 
4.3%
T 2
 
4.3%
Other values (9) 14
29.8%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8648
72.3%
ASCII 7002
 
27.1%
CJK 86
 
0.3%
None 51
 
0.2%
CJK Compat Ideographs 4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5703
81.4%
. 766
 
10.9%
' 70
 
1.0%
1 69
 
1.0%
) 56
 
0.8%
( 56
 
0.8%
0 51
 
0.7%
3 33
 
0.5%
2 32
 
0.5%
6 21
 
0.3%
Other values (32) 145
 
2.1%
Hangul
ValueCountFrequency (%)
651
 
3.5%
484
 
2.6%
450
 
2.4%
409
 
2.2%
380
 
2.0%
325
 
1.7%
320
 
1.7%
316
 
1.7%
314
 
1.7%
269
 
1.4%
Other values (721) 14730
79.0%
None
ValueCountFrequency (%)
· 17
33.3%
14
27.5%
14
27.5%
3
 
5.9%
3
 
5.9%
CJK
ValueCountFrequency (%)
4
 
4.7%
3
 
3.5%
3
 
3.5%
3
 
3.5%
2
 
2.3%
2
 
2.3%
2
 
2.3%
2
 
2.3%
2
 
2.3%
2
 
2.3%
Other values (57) 61
70.9%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
25.0%
1
25.0%
1
25.0%
1
25.0%

발행자
Categorical

Distinct32
Distinct (%)26.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제주특별자치도
73 
제주도
 
6
제주시
 
4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3
북제주군
 
3
Other values (27)
31 

Length

Max length28
Median length7
Mean length7.15
Min length3

Unique

Unique24 ?
Unique (%)20.0%

Sample

1st row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nd row제주시
3rd row제주시
4th row제주사정립사업추진위원회
5th row서귀포시/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제주특별자치도 73
60.8%
제주도 6
 
5.0%
제주시 4
 
3.3%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3
 
2.5%
북제주군 3
 
2.5%
서귀포시 3
 
2.5%
남제주군 2
 
1.7%
서귀포문화원 2
 
1.7%
제주문화예술재단 1
 
0.8%
도서출판 반석 1
 
0.8%
Other values (22) 22
 
18.3%

Length

2023-12-13T01:41:09.06420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제주특별자치도 73
58.4%
제주도 6
 
4.8%
제주시 4
 
3.2%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3
 
2.4%
북제주군 3
 
2.4%
서귀포시 3
 
2.4%
남제주군 2
 
1.6%
서귀포문화원 2
 
1.6%
도서출판 2
 
1.6%
용담동지편찬위원회 1
 
0.8%
Other values (26) 26
 
20.8%

발행일
Categorical

Distinct42
Distinct (%)35.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2007-09-21
47 
2006-10-01
23 
2006-04-05
 
3
2001-01-01
 
3
2000-01-01
 
3
Other values (37)
41 

Length

Max length10
Median length10
Mean length10
Min length10

Unique

Unique33 ?
Unique (%)27.5%

Sample

1st row2004-10-08
2nd row1997-04-30
3rd row1989-12-13
4th row2000-03-10
5th row2002-05-01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2007-09-21 47
39.2%
2006-10-01 23
19.2%
2006-04-05 3
 
2.5%
2001-01-01 3
 
2.5%
2000-01-01 3
 
2.5%
2007-09-30 2
 
1.7%
2006-01-01 2
 
1.7%
1996-01-01 2
 
1.7%
2005-01-01 2
 
1.7%
1997-04-30 1
 
0.8%
Other values (32) 32
26.7%

Length

2023-12-13T01:41:09.16606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2007-09-21 47
39.2%
2006-10-01 23
19.2%
2006-04-05 3
 
2.5%
2001-01-01 3
 
2.5%
2000-01-01 3
 
2.5%
2007-09-30 2
 
1.7%
2006-01-01 2
 
1.7%
1996-01-01 2
 
1.7%
2005-01-01 2
 
1.7%
2007-09-28 1
 
0.8%
Other values (32) 32
26.7%

자료유형
Categorical

Distinct10
Distinct (%)8.3%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기타:이미지
72 
기타
19 
보고서
11 
연속간행물
도판
 
2
Other values (5)
 
7

Length

Max length11
Median length6
Mean length4.9083333
Min length2

Unique

Unique3 ?
Unique (%)2.5%

Sample

1st row세미나
2nd row보고서
3rd row보고서
4th row보고서
5th row보고서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기타:이미지 72
60.0%
기타 19
 
15.8%
보고서 11
 
9.2%
연속간행물 9
 
7.5%
도판 2
 
1.7%
기타(해당사항 없음) 2
 
1.7%
총서 2
 
1.7%
세미나 1
 
0.8%
전집 1
 
0.8%
기타;이미지 1
 
0.8%

Length

2023-12-13T01:41:09.26927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1:41:09.40784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기타:이미지 72
59.0%
기타 19
 
15.6%
보고서 11
 
9.0%
연속간행물 9
 
7.4%
도판 2
 
1.6%
기타(해당사항 2
 
1.6%
없음 2
 
1.6%
총서 2
 
1.6%
세미나 1
 
0.8%
전집 1
 
0.8%

자료형태
Categorical

Distinct2
Distinct (%)1.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사진.이미지
73 
전자책
47 

Length

Max length6
Median length6
Mean length4.825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전자책
2nd row전자책
3rd row전자책
4th row전자책
5th row전자책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사진.이미지 73
60.8%
전자책 47
39.2%

Length

2023-12-13T01:41:09.54563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1:41:09.64777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사진.이미지 73
60.8%
전자책 47
39.2%

언어
Categorical

Distinct2
Distinct (%)1.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한국어
103 
korean
17 

Length

Max length6
Median length3
Mean length3.425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korean
2nd row한국어
3rd row한국어
4th row한국어
5th row한국어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한국어 103
85.8%
korean 17
 
14.2%

Length

2023-12-13T01:41:09.74533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1:41:09.88777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한국어 103
85.8%
korean 17
 
14.2%

범위
Categorical

Distinct30
Distinct (%)25.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제주특별자치도
73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
 
4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4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4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법환동
 
3
Other values (25)
32 

Length

Max length20
Median length7
Mean length10.225
Min length7

Unique

Unique19 ?
Unique (%)15.8%

Sample

1st row제주특별자치도
2nd row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화북동
3rd row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용담동
4th row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하원동
5th row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예례동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제주특별자치도 73
60.8%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 4
 
3.3%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4
 
3.3%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4
 
3.3%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법환동 3
 
2.5%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조천읍 3
 
2.5%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대정읍 2
 
1.7%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화북동 2
 
1.7%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구좌읍/하도리 2
 
1.7%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중문동 2
 
1.7%
Other values (20) 21
 
17.5%

Length

2023-12-13T01:41:10.01147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제주특별자치도 73
60.8%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4
 
3.3%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 4
 
3.3%
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 4
 
3.3%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법환동 3
 
2.5%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조천읍 3
 
2.5%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구좌읍/하도리 2
 
1.7%
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중문동 2
 
1.7%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용담3동 2
 
1.7%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화북동 2
 
1.7%
Other values (20) 21
 
17.5%

출처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13
Distinct (%)10.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해당없음
81 
<NA>
24 
제주특별자치도(https://www.jeju.go.kr/culture/index.htm)
 
3
문화유적분포지도
 
2
제주관광메뉴얼 P 55. 제주도
 
2
Other values (8)
 
8

Length

Max length49
Median length4
Mean length6.2666667
Min length4

Unique

Unique8 ?
Unique (%)6.7%

Sample

1st row해당없음
2nd row해당없음
3rd row해당없음
4th row해당없음
5th row해당없음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81
67.5%
<NA> 24
 
20.0%
제주특별자치도(https://www.jeju.go.kr/culture/index.htm) 3
 
2.5%
문화유적분포지도 2
 
1.7%
제주관광메뉴얼 P 55. 제주도 2
 
1.7%
ISBN 8989719755 1
 
0.8%
ISBN 8939719747 1
 
0.8%
ISBN 8990467160 1
 
0.8%
ISBN 8989719801 1
 
0.8%
서귀포 문화유적분포지도 P147. 2000년 1
 
0.8%
Other values (3) 3
 
2.5%

Length

2023-12-13T01:41:10.19043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81
57.0%
na 24
 
16.9%
isbn 4
 
2.8%
문화유적분포지도 3
 
2.1%
제주특별자치도(https://www.jeju.go.kr/culture/index.htm 3
 
2.1%
제주관광메뉴얼 2
 
1.4%
p 2
 
1.4%
55 2
 
1.4%
제주도 2
 
1.4%
2007년 2
 
1.4%
Other values (16) 17
 
12.0%

기여자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20
Distinct (%)16.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해당없음
100 
제주대학교 박물관
 
2
김문홍(제주대학교 교수)/송관필/송국만
 
1
(주)지역활성화센터
 
1
신태균/제주대학교 수의학과
 
1
Other values (15)
15 

Length

Max length21
Median length4
Mean length5.1083333
Min length3

Unique

Unique18 ?
Unique (%)15.0%

Sample

1st row해당없음
2nd row제주대학교 박물관
3rd row제주대학교 박물관
4th row해당없음
5th row해당없음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100
83.3%
제주대학교 박물관 2
 
1.7%
김문홍(제주대학교 교수)/송관필/송국만 1
 
0.8%
(주)지역활성화센터 1
 
0.8%
신태균/제주대학교 수의학과 1
 
0.8%
서귀포문화원 향토사연구소 1
 
0.8%
강태훈/부태형/현춘식/고길홍 1
 
0.8%
김창희/고재원 1
 
0.8%
이청규/배기동 1
 
0.8%
조사단 강통원 외 다수 1
 
0.8%
Other values (10) 10
 
8.3%

Length

2023-12-13T01:41:10.34286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100
70.9%
6
 
4.3%
제주대학교 3
 
2.1%
박물관 2
 
1.4%
탐라문화연구소 1
 
0.7%
1인 1
 
0.7%
신철주 1
 
0.7%
현용준 1
 
0.7%
정수남 1
 
0.7%
5인 1
 
0.7%
Other values (24) 24
 
17.0%

참고문헌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17
Distinct (%)14.2%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해당없음
104 
제주도. 1973. 제주도문화재 및 유적조사보고서/제주도. 1984. 제주도통계연보/문화재관리국. 1984.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주)/외 74권
 
1
보존사학연구외 다수
 
1
문경현.「탐라국 성주·왕자고」.『용암거문섭교수 화갑기념 사학론총』.신서원.1989.p.261./김석익『심재집』(영인.도서출판제주문화.1990)/문경현.『탐라기년』.권2.태종2년.외 다수
 
1
강수헌. 1996. 제주의 오름. 대신사. 522 pp. /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408 pp. / 남제주군. 2003. 남제주군의 희귀식물. 진애드. pp. 75~79. 외 9권
 
1
Other values (12)
12 

Length

Max length230
Median length4
Mean length14
Min length4

Unique

Unique16 ?
Unique (%)13.3%

Sample

1st row김호.「오주 이규경의 신 체관 및 의학론」.한국정신문화연구원2003년원내과제연구결과보고서. 2003.이어령.「한국 음식문화의 특징」.『환경을 생각하는 음식이야기』. 과천:환경부. 2002.정구복·주영하.「고려시대 세시풍속 연구」.『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외 다수
2nd row해당없음
3rd row보존사학연구외 다수
4th row문경현.「탐라국 성주·왕자고」.『용암거문섭교수 화갑기념 사학론총』.신서원.1989.p.261./김석익『심재집』(영인.도서출판제주문화.1990)/문경현.『탐라기년』.권2.태종2년.외 다수
5th row해당없음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104
86.7%
제주도. 1973. 제주도문화재 및 유적조사보고서/제주도. 1984. 제주도통계연보/문화재관리국. 1984.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제주)/외 74권 1
 
0.8%
보존사학연구외 다수 1
 
0.8%
문경현.「탐라국 성주·왕자고」.『용암거문섭교수 화갑기념 사학론총』.신서원.1989.p.261./김석익『심재집』(영인.도서출판제주문화.1990)/문경현.『탐라기년』.권2.태종2년.외 다수 1
 
0.8%
강수헌. 1996. 제주의 오름. 대신사. 522 pp. /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408 pp. / 남제주군. 2003. 남제주군의 희귀식물. 진애드. pp. 75~79. 외 9권 1
 
0.8%
강면희. 한국재래마에 관한 역사적 및 형태학적 연구. 한국축산학회지 1969.11:26~80. / 제주대학교박물관. 종달리 패총. 제주대학교 박물관조사보고 제21집. / 이기만. 제주도마 체형에 관한 생물측정학적 연구. 학축지 1961:63-73 외 21권 1
 
0.8%
제주대 박물관<1985>. 제주도유적. 제주대 박물관 조사보고2 외 다수 1
 
0.8%
제주대학교박물관. 1988. <북촌리유적>/임효재.1995 1
 
0.8%
김옥준. 손치무. 이대성. 이상만. 남기영. 윤 선. 길영준. 홍충식. 1965. 제주도 지하수탐색 지질조사보고서. 건설부·(주)한국지하자원조사소.p.1~82.4 도면. / 남기영. 1966. 제주도의 지질과 지하수. 국립지질조사소. 지하수원조사보고.3.p.109~133.2 도판. 외 92권 1
 
0.8%
김호.「오주 이규경의 신 체관 및 의학론」.한국정신문화연구원2003년원내과제연구결과보고서. 2003.이어령.「한국 음식문화의 특징」.『환경을 생각하는 음식이야기』. 과천:환경부. 2002.정구복·주영하.「고려시대 세시풍속 연구」.『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외 다수 1
 
0.8%
Other values (7) 7
 
5.8%

Length

2023-12-13T01:41:10.80330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104
37.0%
7
 
2.5%
다수 7
 
2.5%
6
 
2.1%
1984 4
 
1.4%
제주도 3
 
1.1%
pp 3
 
1.1%
3
 
1.1%
제주대 2
 
0.7%
9 2
 
0.7%
Other values (135) 140
49.8%
Distinct12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2023-12-13T01:41:11.10237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
Median length10
Mean length10
Min length10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200
Distinct characters52
Distinct categories3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20 ?
Unique (%)100.0%

Sample

1st row/media/tjO
2nd row/media/tkH
3rd row/media/tkJ
4th row/media/tkC
5th row/media/tlp
ValueCountFrequency (%)
media/ytz 2
 
1.7%
media/ygs 2
 
1.7%
media/yos 2
 
1.7%
media/yyf 2
 
1.7%
media/tjo 1
 
0.8%
media/yds 1
 
0.8%
media/ygi 1
 
0.8%
media/ygr 1
 
0.8%
media/ygq 1
 
0.8%
media/yfm 1
 
0.8%
Other values (106) 106
88.3%
2023-12-13T01:41:11.58976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 240
20.0%
d 127
10.6%
i 125
10.4%
e 123
10.2%
a 123
10.2%
m 123
10.2%
y 73
 
6.1%
t 57
 
4.8%
z 11
 
0.9%
g 9
 
0.8%
Other values (42) 189
15.8%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853
71.1%
Other Punctuation 240
 
20.0%
Uppercase Letter 107
 
8.9%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d 127
14.9%
i 125
14.7%
e 123
14.4%
a 123
14.4%
m 123
14.4%
y 73
8.6%
t 57
6.7%
z 11
 
1.3%
g 9
 
1.1%
o 9
 
1.1%
Other values (16) 73
8.6%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T 8
 
7.5%
A 8
 
7.5%
V 8
 
7.5%
Q 7
 
6.5%
W 6
 
5.6%
Z 6
 
5.6%
Y 6
 
5.6%
F 5
 
4.7%
N 5
 
4.7%
R 5
 
4.7%
Other values (15) 43
40.2%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40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Latin 960
80.0%
Common 240
 
2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d 127
13.2%
i 125
13.0%
e 123
12.8%
a 123
12.8%
m 123
12.8%
y 73
7.6%
t 57
 
5.9%
z 11
 
1.1%
g 9
 
0.9%
o 9
 
0.9%
Other values (41) 180
18.8%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240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1200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 240
20.0%
d 127
10.6%
i 125
10.4%
e 123
10.2%
a 123
10.2%
m 123
10.2%
y 73
 
6.1%
t 57
 
4.8%
z 11
 
0.9%
g 9
 
0.8%
Other values (42) 189
15.8%

저작권파일URL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0.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해당없음
120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4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해당없음
2nd row해당없음
3rd row해당없음
4th row해당없음
5th row해당없음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120
100.0%

Length

2023-12-13T01:41:11.74095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1:41:11.84662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120
100.0%

전자책링크
Categorical

Distinct48
Distinct (%)4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해당없음
73 
C_CL_5_3_0105
 
1
C_CL_5_3_0097
 
1
C_CL_5_3_0010
 
1
C_CL_5_3_0014
 
1
Other values (43)
43 

Length

Max length13
Median length4
Mean length7.525
Min length4

Unique

Unique47 ?
Unique (%)39.2%

Sample

1st rowC_CL_5_3_0105
2nd rowC_CL_5_3_0008
3rd rowC_CL_5_3_0010
4th rowC_CL_5_3_0014
5th rowC_CL_5_3_0027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73
60.8%
C_CL_5_3_0105 1
 
0.8%
C_CL_5_3_0097 1
 
0.8%
C_CL_5_3_0010 1
 
0.8%
C_CL_5_3_0014 1
 
0.8%
C_CL_5_3_0027 1
 
0.8%
C_CL_5_3_0054 1
 
0.8%
C_CL_5_3_0044 1
 
0.8%
C_CL_5_3_0023 1
 
0.8%
C_CL_0_3_0084 1
 
0.8%
Other values (38) 38
31.7%

Length

2023-12-13T01:41:11.95425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73
60.8%
c_cl_5_3_0105 1
 
0.8%
c-cl-7-3-0003 1
 
0.8%
m-md-7-3-0016 1
 
0.8%
c_cl_7_3_0047 1
 
0.8%
c_cl_2_3_0189 1
 
0.8%
c_cl_2_3_0186 1
 
0.8%
c_cl_2_3_0177 1
 
0.8%
c_cl_2_3_0040 1
 
0.8%
c_cl_0_3_0113 1
 
0.8%
Other values (38) 38
31.7%

출처페이지
Real number (ℝ)

Distinct42
Distinct (%)35.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90.708333
Minimum1
Maximum1572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2 KiB
2023-12-13T01:41:12.09119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1
5-th percentile1
Q11
median1
Q3133
95-th percentile310.9
Maximum1572
Range1571
Interquartile range (IQR)132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180.25549
Coefficient of variation (CV)1.9871987
Kurtosis38.230537
Mean90.708333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0
Skewness5.1218042
Sum10885
Variance32492.04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3T01:41:12.27921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42)
ValueCountFrequency (%)
1 73
60.8%
124 4
 
3.3%
200 2
 
1.7%
284 2
 
1.7%
128 2
 
1.7%
78 1
 
0.8%
180 1
 
0.8%
352 1
 
0.8%
216 1
 
0.8%
204 1
 
0.8%
Other values (32) 32
26.7%
ValueCountFrequency (%)
1 73
60.8%
52 1
 
0.8%
64 1
 
0.8%
68 1
 
0.8%
78 1
 
0.8%
84 1
 
0.8%
92 1
 
0.8%
94 1
 
0.8%
96 1
 
0.8%
114 1
 
0.8%
ValueCountFrequency (%)
1572 1
0.8%
612 1
0.8%
436 1
0.8%
374 1
0.8%
352 1
0.8%
328 1
0.8%
310 1
0.8%
284 2
1.7%
272 1
0.8%
266 1
0.8%

이관전번호
Real number (ℝ)

UNIQUE 

Distinct12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2812.9333
Minimum515
Maximum5445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2 KiB
2023-12-13T01:41:12.44551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515
5-th percentile655.75
Q11186.25
median3399
Q33899.25
95-th percentile4816.55
Maximum5445
Range4930
Interquartile range (IQR)2713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1480.3132
Coefficient of variation (CV)0.52625252
Kurtosis-1.4057743
Mean2812.9333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1221.5
Skewness-0.14085233
Sum337552
Variance2191327.3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3T01:41:12.65561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586 1
 
0.8%
3547 1
 
0.8%
3929 1
 
0.8%
3916 1
 
0.8%
3900 1
 
0.8%
3899 1
 
0.8%
3889 1
 
0.8%
3885 1
 
0.8%
3881 1
 
0.8%
3878 1
 
0.8%
Other values (110) 110
91.7%
ValueCountFrequency (%)
515 1
0.8%
586 1
0.8%
625 1
0.8%
626 1
0.8%
631 1
0.8%
651 1
0.8%
656 1
0.8%
688 1
0.8%
708 1
0.8%
753 1
0.8%
ValueCountFrequency (%)
5445 1
0.8%
5355 1
0.8%
5353 1
0.8%
5065 1
0.8%
4985 1
0.8%
4827 1
0.8%
4816 1
0.8%
4801 1
0.8%
4781 1
0.8%
4772 1
0.8%

내레이션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0.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해당없음
120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4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해당없음
2nd row해당없음
3rd row해당없음
4th row해당없음
5th row해당없음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120
100.0%

Length

2023-12-13T01:41:12.82236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1:41:12.93748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해당없음 120
100.0%

링크
Text

UNIQUE 

Distinct12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2023-12-13T01:41:13.24922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13
Median length113
Mean length112.69167
Min length11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3523
Distinct characters41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20 ?
Unique (%)100.0%

Sample

1st row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367
2nd row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27
3rd row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28
4th row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33
5th row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47
ValueCountFrequency (%)
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367 1
 
0.8%
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27 1
 
0.8%
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2975 1
 
0.8%
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2960 1
 
0.8%
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2959 1
 
0.8%
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2949 1
 
0.8%
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2945 1
 
0.8%
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2941 1
 
0.8%
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2938 1
 
0.8%
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2937 1
 
0.8%
Other values (110) 110
91.7%
2023-12-13T01:41:13.78685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t 1320
 
9.8%
i 1200
 
8.9%
s 960
 
7.1%
e 720
 
5.3%
c 720
 
5.3%
a 720
 
5.3%
/ 600
 
4.4%
o 600
 
4.4%
w 480
 
3.5%
. 480
 
3.5%
Other values (31) 5723
42.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10680
79.0%
Other Punctuation 1680
 
12.4%
Math Symbol 480
 
3.5%
Decimal Number 443
 
3.3%
Uppercase Letter 240
 
1.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t 1320
12.4%
i 1200
 
11.2%
s 960
 
9.0%
e 720
 
6.7%
c 720
 
6.7%
a 720
 
6.7%
o 600
 
5.6%
w 480
 
4.5%
u 480
 
4.5%
n 480
 
4.5%
Other values (14) 3000
28.1%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2 67
15.1%
3 51
11.5%
9 51
11.5%
4 48
10.8%
8 42
9.5%
1 40
9.0%
7 39
8.8%
6 38
8.6%
0 35
7.9%
5 32
7.2%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00
35.7%
. 480
28.6%
& 360
21.4%
: 120
 
7.1%
? 120
 
7.1%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480
100.0%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C 240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Latin 10920
80.8%
Common 2603
 
19.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t 1320
12.1%
i 1200
 
11.0%
s 960
 
8.8%
e 720
 
6.6%
c 720
 
6.6%
a 720
 
6.6%
o 600
 
5.5%
w 480
 
4.4%
u 480
 
4.4%
n 480
 
4.4%
Other values (15) 3240
29.7%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600
23.1%
. 480
18.4%
= 480
18.4%
& 360
13.8%
: 120
 
4.6%
? 120
 
4.6%
2 67
 
2.6%
3 51
 
2.0%
9 51
 
2.0%
4 48
 
1.8%
Other values (6) 226
 
8.7%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13523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t 1320
 
9.8%
i 1200
 
8.9%
s 960
 
7.1%
e 720
 
5.3%
c 720
 
5.3%
a 720
 
5.3%
/ 600
 
4.4%
o 600
 
4.4%
w 480
 
3.5%
. 480
 
3.5%
Other values (31) 5723
42.3%

데이터기준일자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0.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1 KiB
2022-12-09
120 

Length

Max length10
Median length10
Mean length10
Min length10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2022-12-09
2nd row2022-12-09
3rd row2022-12-09
4th row2022-12-09
5th row2022-12-09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2022-12-09 120
100.0%

Length

2023-12-13T01:41:13.95811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1:41:14.06939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2022-12-09 120
100.0%

Sample

데이터 고유번호장소명위도경도분류디렉토리1디렉토리2제목부제목저작자주제내용목차초록발행자발행일자료유형자료형태언어범위출처기여자참고문헌저작권이미지폴더저작권파일URL전자책링크출처페이지이관전번호내레이션링크데이터기준일자
0367세심재33.501626126.514125민속의식주식생활제주의 전통음식문화를 찾아서해당없음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제주.전통음식.음식문화.제주의 술.관광상품화제주도는 농사짓는 땅이 적어 가정의 식량은 겨우 대는 정도이고 . 밭곡식은 조. 피. 보리. 메밀. 콩. 팥. 녹두. 깨 등 잡곡이 주가 되고. 감자·고구마의 생산이 많다. 채소와 된장 해조류가 찬의 재료가 되고 바닷고기도 말려서 두고 쓰고 수육은 주로 돼지고기이고 닭을 쓰는 음식 대부분이다.(중략)쌀이 귀하므로 평소에는 보리. 조. 팥등의 잡곡밥을 많이 짓고 제삿날이나 비념에 고은밥(쌀밥)을 지어 먹는데. 쌀의 80%를 육지에서 들어와야 하는 형편에 있었다. 물론 근 30년간 외지사람의 이주로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옛날의 식사는 잡곡밥에 된장을 푼 배추국. 콩잎국. 무국. 파국. 호박국. 미역국. 생선국을 반드시 끓이고 반찬은 자리젓. 갈치자반. 정갱이자반. 고등어자반. 건어를 쓰고 회는 생것이 손에 들어오면 먹게 되고 자리회를 먹는 것이 큰 즐거움이라 하였다.(중략) 또 점심에 먼 곳에 나가서 일하는 사람은 대로 엮은 도시락이 있어 잡곡밥을 담고 찬은 된장과 자리젓을 옆에 담고 밭에서 연한 콩잎을 따서 쌈을 싸면 일품이라고 한다. 부지런하고 소박한 성품이 음식에서도 소박하고 꾸밈이 없고 질박한 식생활이었으나 건강하고 일을 잘하기로 칭송을 받는 주민들이었다. 곡식음식은 바다 것을 넣은 죽이 사치스럽게도 맛이 있고. 메밀로 만든 만두나 수제비를 잘 만들고 미역죽. 닭죽도 잘 만든다.1. 한국음식문화에서 제주 전통음식의 위치 / 주영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 제주 전통음식의 사회문화적 의미 / 허남춘 (제주대학교) 3. 제주 전통음식의 관광상품화·세계화 전략 / 오영주 (제주한라대학) 4. 제주 전통음식(일상식)의 영양학적 의미 / 고양숙 (제주대학교) 5. 제주의 술 / 고정삼 (제주대학교)제주의 전통음식문화를 찾아서(세미나) 일 시 : 2004. 10. 8(금) 10:00~15:00 장 소 : 세심재 주 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2004-10-08세미나전자책korean제주특별자치도해당없음해당없음김호.「오주 이규경의 신 체관 및 의학론」.한국정신문화연구원2003년원내과제연구결과보고서. 2003.이어령.「한국 음식문화의 특징」.『환경을 생각하는 음식이야기』. 과천:환경부. 2002.정구복·주영하.「고려시대 세시풍속 연구」.『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외 다수/media/tjO해당없음C_CL_5_3_010578586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3672022-12-09
1427고봉례묘33.506644126.563633민속통과의례장례탐라성주 고봉례묘 추정지화북동 분묘유적 발굴조사 보고서(제주대학교박물관 조사보고 제17집)제주시고봉례.성주.분묘.유적.출토유물영산 한라의 맥이 흘러든 자락에 자리한 우리들의 삶터 제주시는 오늘날 제주도의 행정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탐라국 시대에도 으뜸 도시였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탐라국의 실체를 뚜렷하게 찾아내지 못하고 있음은 실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만큼 '탐라사'는 굴곡이 깊었다는 반증이기도 합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지방화 시대는 우리들의 일을 우리들 스스로 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이는 우리들 역사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탐라사는 곧 하나의 '지방사'라는 수동적인 '사관'에서 벗어나. 주체적으로 '탐라사'를 세워나가야 함은 우리들 앞에 놓인 엄숙한 과제이기도 합니다. 주체적으로 '탐라사'를 세우는 일은 여러 가지가 있겠습니다만. 탐라국사의 상징적 존재인 '성주'의 실체를 우선 실증적으로 찾아내야 할 것입니다. 성주의 실체가 상실된 것은 1404년(조선 태종 4) 성주 . 왕자직이 없어지면서부터이며. 이와 동시에 탐라국도 소멸되었습니다. 따라서 주체적인 탐라사 정립을 위해서는 우선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던 거로 마을의 '능동산'에 있는 탐라 마지막 성주인 고봉례의 묘를 발굴. 조사하는 일입니다. 이는 다름 아닌 '탐라사'의 기둥을 세우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시에서는 제주대학교 박물관에 발굴 조사를 의뢰하여. 그 결과 분묘의 성격. 축조 방법. 축조 시기. 출토 유물 등을 들춰내 「탐라성주 고봉례묘추정지」라는 이름으로 학계에 내놓을 수가 있었습니다. 부디 이 조사보고서가 굽어진 탐라사를 올곧게 세우는데 자그마한 보탬이 된다면 더 이상의 바람이 없겠습니다.화 보 발간사 Ⅰ. 머리말 Ⅱ. 유적의 위치와 현상 Ⅲ. 역사적 배경 Ⅳ 조사경위와 경과 Ⅴ. 조사내용 Ⅵ. 출토유물 Ⅶ. 고 찰 Ⅷ. 맺음말이 분묘는 일찍부터 알려진 방형의 쌍묘이다. 쌍묘가 있는 지경을 '능동산'이라고 하고. 제주의 고위 계층의 무덤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고씨세보(高氏世饍)에 기록된 내용에 보면. 좌도지관(左都知管) 고봉례의 묘가 화북·거로 지경에 부부 합장묘로 안치했다는 내용이 있어. 이 능동산에 위치한 묘가 고봉례 부부의 묘역이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조선왕조실록》 등 문헌기록에 의하면. 탐라의 마지막 성주인 고봉례(高鳳禮)의 서거연도가 조선 태종 11년(1411)으로 나타나 있다. 30여년 전. 현장을 답사한 고봉만씨에 의하면 이 방형의 쌍묘는 일인들에 의해 처음 도굴되었고. 그 후에도 전문적인 도굴꾼에 의해 두세 번 더 도굴된 사실을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알았다고 한다. 이처럼 수차례의 도굴 흔적은 조사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것도 곽의 내부는 마치 벌집을 연상케하는 도굴침 흔적이 남아 있었다. 중앙에 곽이 있었던 자리는 이미 완전하게 파헤쳐져 직경 1.5m. 깊이 1.5m 이상 되는 구덩이가 만들어져 있고 이 구덩이에서 퍼올린 흙이 봉토 상면을 덮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 묘는 제주도에서는 흔치 않은 방형의 묘이고. 구전과 문헌에 전하는 마지막 성주묘에 대한 사적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조사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중앙의 문화재위원들이 현장을 답사하게 되었고. 제주대학교박물관에 의해 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발굴 조사를 하게 된 목적은 해당 봉분에 대한 조사를 통해 분묘의 주인공과 그 성격을 밝혀. 그에 따른 해당 분묘의 보존 여부를 거론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발굴은 원래 9월경에 실시할 예정이었으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겨울에 시작되었다.제주시1997-04-30보고서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화북동해당없음제주대학교 박물관해당없음/media/tkH해당없음C_CL_5_3_000884625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272022-12-09
2428용담동 고분유적33.501738126.509924민속통과의례장례용담동 옹관묘 발굴보고해당없음제주시/제주대학교박물관용담동.옹관묘.발굴조사.유물.유구금번 보고서로 내는 제주시 용담동 고분 유적은 기원 전후한 제주 역사 여명기를 밝혀주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이 유적의 조사를 통해서 고대 탐라국의 형성기에 어떠한 문화적 변동이 있었는가에 대해서 완전히 새로운 사실들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비록 장기적인 조사 계획에 바탕을 두고. 충분한 여건이 주어진 가운데 발굴조사가 이루 어진 것은 아닙니다만. 자칫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채. 영원히 파괴되었을지도 모를 이 중요한 유적이 지역주민의 투철한 문화재 의식으로 그나마 조사된 것은 정말 다행한 일입니다. 아무쪼록 이 유적과 같은 긴급구제발굴조사가. 근래에 들어 개발을 급하게 서두르고 있는 제주도에서 하나의 시금석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이번의 발굴조사 보고서가 제주도 탐라 상고사의 연구뿐만 아니라. 한국 전체 상고사 연구에 잘 활용이 되기를 바랍니다.발간사 / 제주대학교 박물관장 강통원(姜通源) 제주시 용담동 유적 발굴조사보고 / 이청규(李淸圭) 제1장 머리말 제2장 제주도의 지리적 배경 제3장 발굴의 절차와 유적의 현상 1. 발굴의 절차 2. 유적의 층위 3. 유구의 배치 제4장 남쪽 묘역 1. 유 적 2. 유 물 제5장 북쪽 묘역 1. 유 적 2. 유 물 제6장 종합고찰 1. 남쪽 묘역의 무덤과 유물 2. 북쪽 묘역의 무덤과 출토유물 3. 북쪽과 남쪽 묘역의 관계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사 진 제주시 용담동 출토 금속유물의 보존복원처리 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Ⅰ. 머리말 Ⅱ. 금속유물의 일반적인 보존복원처리과정 Ⅲ. 실제적인 보존복원처리 Ⅳ. 맺는 말 Ⅴ. X-선 사진의 판독 사 진이번에 발굴된 용담동 무덤의 유적은 기원 전후의 제주도 역사 여명기에 있었던 문화변천의 모습을 밝히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탐라 상고시대에 공렬토기를 사용하는 무문토기 문화집단으로부터 중국 한대 철기를 사용하는 곽지식 토기문화 집단으로의 이행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밝혀 주었음은 물론이거니와. 그 이행 혹은 변동의 원인과 과정을 밝히는 데. 더 없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주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제주도에서의 초기 금속기문화의 실상을 밝혀주는 풍부한 철제 유물이 출토됨으로써. 제주도는 물론 우리나라 전체의 원사시대 철기문화의 전개과정을 밝혀주는데 큰 보탬이 되고 있다. 이처럼 제주도사 여명기를 밝혀주는 중요한 유적인데도 불구하고. 충분한 여건이 마련되지 않은 채 긴급 구제 발굴되고. 서둘러 마쳐질 수밖에 없었음에 아쉬움이 남는다.제주시1989-12-13보고서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용담동해당없음제주대학교 박물관보존사학연구외 다수/media/tkJ해당없음C_CL_5_3_0010170626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282022-12-09
3433하원리 분묘군33.277524126.470685민속통과의례장례제주 하원동 분묘군해당없음고창석/강창화/김동전하원동.분묘.왕자묘.출토유물하원동 분묘군은 일찍부터 '왕자묘(王子基)' 라는 이름으로 세간에 알려져 있었다. 이 묘는 1914년(대정3)에 일본인들에 의해 묘가 도굴된 바 있어 더더욱 주목되어왔다. 이 묘는 탐라국의 왕자(王子)와 관련된 왕자묘라는 주장과 원나라 백백태자(伯伯太子)의 묘일 가능성이 있다는 두 설이 있다. 이원조 제주목사(1842~45)가 지은 『탐라지초본』 대정현 '고적' 에 따르면 "왕자묘는 대정현 동쪽 45리에 있다. 궁산 옆 두 하천 사이에 3기묘의 계천이 아직도 남아있다. 두 모퉁이에는 백작약들이 자라고 있다. 가래촌에는 또한 궁궐 유적으로 보이는 초석들이 남아 있는데 이곳이 탐라의 도읍처가 아닌가 의심된다. 전해 오는 바에 의하면 산방을 이도라고도 하였다.(王子墓在縣東四十五里弓山兩川之間 三墓階喘尙在兩隅有白灼藥 加來村裏 又有宮闕遺礎 疑是旱羅都處 俗傅山房爲第二徒云)" 이 묘가 두 하천 사이에 자리하고 있고. 3기묘의 묘역이 남아있다는 기록은 현재에 현황과 일치한다. 본 조사는 이러한 여러 가지 설을 입증하고 일제시대 도굴된 묘의 성격을 재 규명하기 위해 조사에 착수하였다. 조사 목적은 문헌과 구전을 통해 알려진 동 묘제를 발굴하여 탐라말기 지배층 묘제양식과 그 성격을 규명하고. 나아가 밝혀 질 이들 묘제의 양식과 성격 파악을 통해 탐라국 말기의 사회상을 복원하여 인문·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었다.머리말 Ⅰ. 유적의 위치와 현상 Ⅱ. 하원동 속칭 '왕자묘(王子墓)'의 역사적(歷史的) 배경(背景) Ⅲ. 조사 경위와 경과 Ⅳ. 조사 내용 Ⅴ. 출토 유물 Ⅵ. 종합고찰(綜合考察) 맺음말동 하원리 소재 분묘군은 해발 225m의 능선상에 3단 구성으로 이루어진 묘역 안에 판석형 혹은 할석형 석곽을 둔 계단식 방대형 석곽분이다. 직경 84m 안에 동일한 형태의 석곽묘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분명 누대에 걸쳐 조영된 분묘군이다. 더불어 석곽 주변으로 둘린 돌담 형태의 곡장은 지금까지는 확인된 묘역 중 분명 제주도 최고의 묘역이다. 이러한 할석형 · 판석형 방형석곽묘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초기에 이르기까지 일반적인 무덤양식으로 쓰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바. 원묘 이전의 제주도 분묘 양식을 파악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제주도 내에 있는 방형석곽묘는 동 하원동분묘군 외에 화북동 거로마을의 탐라의 마지막 성주 고봉례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분묘. 청주한씨 입도주 분묘. 김해김씨 선흘리 소재 분묘 등 그렇게 많지는 않은 실정이다. 특히 화북동 분묘는 부부묘역으로 쌍분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축조방법과 장법이 하원동 분묘군과 동일하였으며 우물도 조선초기의 백자가 출토된 바 있다. 이러한 조사 자료는 하원동 분묘군과 상호 비교연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들 분묘는 고려말-조선초의 방묘의 축조양식. 묘제형태. 이장방법 등의 해명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자료라 할 것이다. 결국 이들 분묘는 제주도의 묘제변천사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할 것이다. 어쩌면 이들 분묘들은 얼마 없어 모두 사라져 버릴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이들 분묘를 일괄적으로 '제주도의 방형분' 이라는 명칭으로라도 제주도 문화재로 지정하여. 한 가문만의 무덤이 아니라. 제주도 문화유산의 하나라는 인식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더구나 제주도 문화유산의 하나인 무덤은 매우 독특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미래를 예단할 수는 없지만. 매장 방법 및 풍속은 급속도로 변화할 처지에 놓여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의미에서 제주 내에 산재해 있는 방묘를 제주도 지정문화재로 지정하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해 줄 것을 제의한다.제주사정립사업추진위원회2000-03-10보고서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하원동해당없음해당없음문경현.「탐라국 성주·왕자고」.『용암거문섭교수 화갑기념 사학론총』.신서원.1989.p.261./김석익『심재집』(영인.도서출판제주문화.1990)/문경현.『탐라기년』.권2.태종2년.외 다수/media/tkC해당없음C_CL_5_3_0014130631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332022-12-09
4447예래동 고인돌군33.254677126.390212민속의식주해당없음예래동 고인돌군 · 영천관지 · 법정사지서귀포시 비지정 문화재 지정 · 보호를 위한 학술조사서귀포시/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상예동.고인돌.영천관지.법정사지.지석묘군.예래동.영천관지이 조사의 목적은 서귀포시 비지정 향토 유형 문화유산 중 제주도 지정문화재로 지정할 만한 가치가 있는 예래동 고인돌군. 영천관지. 법정사지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재 지정에 필요한 근거자료와 역사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유물산포지를 통해서 확인될 수 있는 것은 사람이 살던 생활터의 입지적 조건이다. 그리고 각 유물산포지 단위의 범위와 밀집도가 거주 양식과 기간과도 관계가 되겠지만. 인구 규모와도 정비례의 상관관계가 있다고도 생각이 되므로. 개략적으로 마을의 크고 작음을 구분하여 그 분포를 살필 수가 있다. 탐라시대 전기에는 앞선 단계보다 훨씬 많은 유물 산포지 유적이 확인된다. 무문토기 시기에는 불과 10개 지점 미만이 확인되었는데 비해 이 시기에 오면 수십여 개 지점에 이른다. 그리고 곽지리나 광령리 등 단위 유적 하나가 직경이 수백 미터 이상 되는 규모의 것도 있다. 따라서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는 고인돌 유적을 구태여 들지 않더라도 이 시기에 이러한 정도의 유적 상황만으로도 제주도 곳곳에 모양을 갖춘 마을이 들어섰음이 어렵지 않게 추정될 수 있다.Ⅰ. 조사개요 Ⅱ. 상예동(上猊洞) 지석묘군(支石墓群) 1. 선사시대 예래동 마을의 입지 2. 상예동 고인돌의 조사와 성격 Ⅲ. 영천관지(靈天館址) 1. 위치와 고고학적 환경 2. 영천관 건립의 역사적 배경과 그 주변경관 3. 문화재 지정 필요성 Ⅳ. 법정사지(法井寺址) 1. 위치와 주변 자연환경 2. 현 법정사와 구 법정사지 고고학적 환경조사 3. 역사성과 문화재 지정 필요성 조사단 의견서예래동 고인돌은 6기의 고인돌이 능선을 따라 해안으로 내려오면서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제주도 고인돌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어 왔으나 이곳 예래동 고인돌은 직겨 10m 이내에 3기가 군집해 있음이 확인된다. 더불어 고인돌이 자리한 지형은 능선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6호 고인돌인 경우 한라산 남쪽지역에서 발견된 바 없는 성혈(性穴. cup mark)이 20여 개 이상 확인된다. 수년전만 해도 상예동 일대에 11기의 고인돌군 보다 단위 면적당 높은 군집 양상을 보인다. 더구나 남아있는 6기의 고인돌이 각기 다른 형식을 취하고 있어 제주도 지방 고인돌 연구에 중요한 연구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게다가 주변 유물산포지를 끼고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어 생활공간과 무덤공간. 제의공간의 비교연구에도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들 고인돌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6기의 고인돌 전체를 시급히 문화재로 지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져야 할 것이다.서귀포시/제주문화예술재단 문화재연구소2002-05-01보고서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예례동해당없음해당없음해당없음/media/tlp해당없음C_CL_5_3_002768651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472022-12-09
5452식산봉33.465678126.919965민속기타해당없음식산봉 생태학술조사 보고서해당없음남제주군/제주대학교식산봉.기후.토양.식물상.식생.황근제주도 기념물 제47호 식산보의 황근자생지 및 상록활엽수림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 식산봉 일원에 대하여 유관속식물상. 현존식생과 군락구조 및 현존식생의 분포 등을 조사하고.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는 황근의 분포 및 생육상황을 조사하여 건전한 식생의 유지를 위한 장기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본 조사의 목적이 있다. 식물상의 조사는 조사지를 답사하면서 출현하는 유관속식물을 동정하여 식물상 목록을 이(1989)에 의하여 작성하였다. 식생조사는 식물사회학적인 방법(Braun-Blanquet. 1964)에 의하였으며. 조사지의 입지는 해발고. 미지형. 사면방위. 경사도 등을 기록하였다. 조사지내의 전 출현종에 대하여 계층별로 기록하고. 각 층에 출현하는 종의 우점도와 군도를 기록하였다.1. 과업명 2. 조사목적 3. 조사범위 4. 조사방법 5. 조사결과 가. 조사지의 개요 나. 식산봉의 기후 다. 식산봉의 지형·지질 라. 식산봉의 토양 마. 식물상 조사결과 바. 식생 조사결과 사. 황근의 분포와 생육 상태 아. 식산봉의 보호방안 참고문헌 부 록식산봉(食山峰)은 오름의 정상부에 큰 바위가 있다하여 바우오름. 바위오름 또는 바오름으로도 불려왓으며. 성산포항과 오조리 양식장 사이에 설치된 갑문 가까이에 있다. 오름은 화산암재. 화산사. 화산탄. 화산력 화산암 등으로 이루어진 원추형 화산체이며 봉우리 주변에는 장군석이라 부르는 커다란 바위가 있다. 오름의 서측은 농경지와 인접되어 있고. 동측은 오름과 양어장과의 사이에 인도가 개설되어 있으며. 오름 동측으로는 정상으로 이어지는 좁은 산책로가 개설되어 있다. 현존하는 식생은 해송이 우점하며. 일부 지역은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으나 과거에 식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왕대가 넓은 면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오름의 동측 도로와의 경계면을 따라서는 법정보호식물인 황근이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다.남제주군2004-12-01보고서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해당없음김문홍(제주대학교 교수)/송관필/송국만강수헌. 1996. 제주의 오름. 대신사. 522 pp. / 김무열. 2004. 한국의 특산식물. 솔과학. 408 pp. / 남제주군. 2003. 남제주군의 희귀식물. 진애드. pp. 75~79. 외 9권/media/tlg해당없음C_CL_5_3_005492656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522022-12-09
6489법환 잠녀 문화마을33.235212126.514523민속의식주해당없음법환동 「문화 · 역사마을 가꾸기」 마을 현황 조사 및 기본계획해당없음문화 · 역사마을 가꾸기 서귀포시 추진위원회법환동.문화마을.역사마을.잠녀.해녀· 법환 잠녀 문화마을은 1.500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마을로서 이 마을앞에 자리잡고 있는 범섬은 고려시대 최영장군이 목호들을 토벌하던 전적지임 · 문화유적으로는 신앙유적인 신당. 생활유적인 물 · 멜통 · 바다밭 · 김치통 · 카름물 등을 가지고 있으며. 제주도의 가장 오래된 생활문화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해녀작업이 오늘날까지도 왕성하게 행해지는 지역임 · 법환 잠녀 문화마울이 가지는 자원들의 장단점 분석을 통해 쾌적한 자연 및 생태공간·전통문화 등 어촌의 강점을 최대한 살린 법환 잠녀 문화마을 발전계획을 수립하여 도시민에게는 건전한 여가선용공간과 주민들에게는 소득증대와 삶의 질 향상. 전통과 문화가 보존되어 후세에게 귀중한 유산을 물려줄 수 있는 마을을 조성함제1장 마을계획의 개요 1. 계획의 배경 및 목적 2. 계획의 범위 및 내용 3. 계획의 수립과정 제2장 마을현황 및 과제 1. 마을의 자원현황 2. 국내외 사례 3. 관련계획 및 법규검토 4. 지역주민 의견 5. 분석의 종합 제3장 마을 발전전략 1. 마을 가꾸기의 이해 2. 마을 가꾸기의 목표 3. 마을 가꾸기의 기본전략 4. 마을 발전 공간구상 제4장 마을 중점사업 계획 1. 테마가 있는 잠( )녀 거리 만들기 2. 살아 숨쉬는 잠( )녀 문화 만들기 3. 활기 넘치는 잠( )녀 마을 만들기 제5장 사업추진계획 1. 사업추진계획 2. 투자계획· 법환 잠녀 문화마을은 최영장군 전적지. 해녀 생활문화. 신당 유적(신당 등) 등 마을만이 가지고 있는 자연 및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방문객에게 찾아오고 싶은 테마형 어촌마을 조성 ·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주거환경 및 마을 기반시설 정비 및 소득확대를 통해 마을 주민의 자립기반을 구축하고 생활의 질 향상 · 해녀 생활문화자원을 개발의 자원으로 활용하여 환경 친화적이고 저비용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을 개발하여 아름다운 어촌 테마마을로 조성서귀포문화원2006-01-01보고서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법환동해당없음(주)지역활성화센터해당없음/media/tlM해당없음C_CL_5_3_0044220688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892022-12-09
7491종달리패총33.494381126.893463민속의식주해당없음제주종달리패총제주대학교박물관조사보고 제21집 종달리패총 1지구 발굴조사보고서북제주군/제주대학교박물관종달리.패총.층위.피트.유물.동물뼈이 보고서는 제주 종달리패총 제1지구 발굴조사 결과를 요약 · 정리한 것이다. 행정구역상의 조사지 위치는 북제주군 구좌읍 종달리 1707번지이다. 1991년 9월. 북제주군은 종달리 지미봉 해안을 돌아가는 해안 일주도로를 건설하면서 패총부분을 파괴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조사는 이미 뒤집어 진 패각층과 남아있는 패총을 조사하는 긴급한 수습발굴조사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비록 패총이 파괴되었다 하더라도 그동안 제주 동북부지역에서 선사유적이 확인된 바 없었던 터라.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우선 지표조사를 통해 유물 산포지를 중심으로 3개소의 패총구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패총과 유물산포지에서 제주도에서는 그동안 출토가 거의 되지 않았던 점토대토기가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확인된 유적의 범위는 동서 700m. 남북 250m로. 지미봉을 축으로 길게 장타원형을 이루었다. 그후 이 유적에서 10km남짓 떨어진 김녕리 '궤내기' 동굴입구집자리에서 단면 원형 · 삼각형 점토대토기가 출토되었고. 유적 바로 인근에 자리한 종달1리 포구에서 말기형태의 주형동검이 수습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공렬토기가 출토되는 다른 제주 지역과 구별되는. 제주 동북부지역의 선사문화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좋은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현장조사는 다음과 같이 팀을 구성하여 발굴을 하였다. 조사단장에는 당시 제주대학교박물관장이었던 강통원 교수. 조사책임자에 이청규(당시 제주대 교수. 현재 영남대 교수). 조사원에 고광민(제주대박물관 학예연구사) · 강창화(제주대박물관 학예연구원) · 강창언(제주대박물관 학예연구원). 조사보조원에 오연숙(현재 한양대 대학원생) · 강성호 · 박완종 · 이병계 · 강경의 · 김미성 · 강선희(당시 제주대 사학과 학생)가 수고하였다. 발굴 행정은 박경홍(제주대박물관)이 맡아 진행하였다. 보고서 작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도면 실측과 유물 촬영은 김경주 · 오연숙이 하였고 현장사진 촬영과 패총 단면 실측은 강창화가 하였다. 도면 작성은 오연숙 · 박근태 · 김정선이 하였다. 본문의 모든 원고는머리말 Ⅰ. 제주 동북부지역의 고고학적 배경 Ⅱ. 조사지 현황·조사 경과 Ⅲ. 층위 · 피트별 조사 내용 Ⅳ. 출토 유물 맺음말 부 록 종달리 유적에서 출토된 동물뼈의 분류 종달리 패총 주변의 바다밭 사정종달리 일대의 지표조사를 통해 유물산포지를 중심으로 3개소의 패총구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달리 1707번지. 1131번지. 1125번지는 패총구역이고. 그 주변으로는 유물물산포지가 확인되어 제주 동북부 지방에서는 가장 넓은 초기절기시대·원삼국시대(탐라전기)의 생활공간으로 여겨진다. 이번에 발굴한 종달리 1707번지 내 패총은 이미 전복된 패총유구의 수습조사였다. 점토대토기. 삼각형철촉. 곽지패총에서 발견되는 탐라전기의 경질무문토기(곽지1식토기)와는 다른 기형의 토기. 마연토기 등 육지산 토기가 발견됨으로서 한반도 남부지방과의 교류일면을 제시하였다. 남아있는 패총유구에 대한 조사를 통해 두 번에 걸친 문화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들은 제주도 전체의 토기연구에 있어 앞으로 중요한 자료로 제시될 것으로 여겨지는 바. 곽지1식토기 보다 선행하는 단계의 제주도 경질무문토기의 한 유형으로 파악된다. 또한 이곳에서 출토되는 점토대토기는 한반도 삼각형점토대토기의 하한년대를 잡아줄 수 있는 유적으로 파악된다. 차후 이러한 자료가 더욱 모아지기 위해서는 이 유적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있어야 할 것이다.북제주군1997-12-21보고서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구좌읍/종달리해당없음신태균/제주대학교 수의학과강면희. 한국재래마에 관한 역사적 및 형태학적 연구. 한국축산학회지 1969.11:26~80. / 제주대학교박물관. 종달리 패총. 제주대학교 박물관조사보고 제21집. / 이기만. 제주도마 체형에 관한 생물측정학적 연구. 학축지 1961:63-73 외 21권/media/tzw해당없음C_CL_5_3_0023124708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912022-12-09
8519하논33.252969126.545738민속의식주해당없음우리고장 바로알기해당없음서귀포문화원범섬.천지연.수모루.왕자묘.칠십리서귀포 바다의 아름다움은 범섬에서 부터 시작된다. 범섬이 숲섬. 새섬. 문섬 다음으로 크면서도 가장 크고 웅대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모습 그대로 범이 포효하는 듯 한 섬의 웅장함에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는 지금 우리만의 느끼는 감정이 아니다. 여느 고지도에 보더라도 서귀포 바다의 다른 섬에 비해 범섬이 크게 표기된 것으로 보아. 옛 선인들께서도 같은 감흥으로 섬을 지켜본 듯하다. 전설 속에 범섬의 탄생은. 오랜 옛날 사냥꾼이 실수로부터 시작된다. 사냥 나갔던 사냥꾼이 잘못하여 옥황상제의 배를 건드리니. 상제가 크게 노하여 한라산 봉우리를 뽑아 던진 것이 제주의 섬들이 생겨나게 된 원인이 되었다고 전한다. 또한 제주섬의 수호신 설문대 할망 전설이 이 섬에도 남아 있다. 설문대 할망이 얼마나 크셨는지 잠을 잘 때는 백록담을 베개로 삼아 누우면 고근산이 허리가 되었고. 할머니가 뻗은 발은 범섬에 닿았다고 한다. 아울러 범섬은 그 모습이 호랑이처럼 생겼다 하여 범섬이라 불렸다 하며. 지난날 이곳에 사람이 살 때에도 범의 형세이기 때문에 고양이는 기르지 못했었다고 전한다. 범섬은 서귀포시 법환동 산 1.2.3번지로서 지목 임야. 대지. 면적 84298 평방미터이며. 사유지이다.1. 범섬 2. 천지연 3. 노인성 4. 하원마을 구산 봉수 5. 염 둔 과원 6. 수모루 7. 영천관 8. 서귀포칠십리 9. 하논 10. 보목 연대 11. 왕자묘 12. 서귀성 13. 삼매양 봉수 14. 대궐터 15. 동해성과 방호소 16. 대포 연대 17. 영천사지(靈泉寺址) 18. 존자암지 19. 법화사지도내 사찰중에서 규모가 가장 컷을 것으로 짐작되는 법화사지 서귀포시 하원동 1071번지에 있다. 1982년 명지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차 발굴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6차에 걸쳐 발굴된 법화사지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렇게 연중사업으로 계속되는 법화사지에는 무엇이 발굴되었고. 어떻게 보존되어 질것인가는 행정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삼보를 수호하겠다는 승도들의 결연한 의지가 필요하다고 본다. 명상대찰이라 하여 물이 있는 곳에는 마을이 이뤄지듯. 산이 깊고 아늑한 곳에는 반드시 범종소리가 울려 나온다. 법화사도 그 중 하나이다. 그러면 왜 많은 사찰 이름 중에서 하필이면 법화사라고 했을까 . 그리고 법화사는 처음에 건립되면서 부터도 사찰 명칭이 법화사였을까 여러 가지의 의문이 남는다. 그러나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법화(法華)라는 것이다. 법화라는 어원은 부처님의 최후 설법이라 일컬어지는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에서 비롯된다. 이 묘법연화경을 법화경(法華經)이라고도 하는데. 이로 인해 수나라 때는 천태대사(538년)에 의해 법화종 즉 천태종이 시작되었다. 고려시대에도 의천대각국사(1101년)에 이르러서는 법화경의 교리를 근본으로 천태종의 체계를 갖추게 된다. 이렇듯 법화경은 부처님이 처음 설법하셨다는 화엄경(華嚴經)과 더불어 불교의 대승사상을 대표하는 최상의 경전으로 평가되고 있다.서귀포문화원1999-12-28기타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해당없음서귀포문화원 향토사연구소해당없음/media/tzR해당없음C_CL_0_3_008452753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5192022-12-09
9521가시오름33.24703126.24332민속신화/전설제주신화.전설제주도전설지해당없음제주도전설.설화.민담정기어린 한라산이 사면의 바다와 조화를 이루어. 풍광이 빼어나고 인심이 곱고 풍속이 보배로운 제주는. 바야흐로 온 겨레의 가슴속에 살아 숨쉬는 마음의 고향이 되어. 세계 속에 찬연히 빛나는 매혹의 섬으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일찍이. 이처럼 거룩한 터전에 삶의 보금자리를 마련하고 살아온 제주 사람들은. 돌 많고 거친 바람의 고난을 이겨내면서. 아름다운 삼무의 전통을 꽃 피우고 수많은 전설들을 빚어내며 신화 어린 긴 역사를 영위해 왔습니다. 지금도 제주도에서는. 한라산에서부터 마을에 이르기까지 어디를 가나 「전설의 섬」이라고 부를 만큼 풍부한 설화들이 살아 숨 쉬면서 신비로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그러기에. 이러한 전설 속에는 제주만이 지닌 풍토적 조건과 그 위에 흘러간 역사를 엮어온 제주인들의 꿈이 깃들어 있으며. 우리는 이를 통해 선인들의 이상과 세계관과 생활의 양식을 읽어낼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 도에서는 도내 곳곳에 숨겨진 전설들을 캐어 내고 구슬처럼 꿰매어 이 고장 기층문화의 원류를 보존하고 후대에까지 전승시킴과 아울러 신비로운 제주의 참모습을 내외에 널리 선양하기 위해 이번에 이 「제주도 전설지」를 펴내게 되었습니다. 아무쪼록. 이 책자가 제주인들이 향유했던 정신세계를 탐구하고 나아가서는 빛나는 내일을 엮어 가는 정신적 밑거름을 창출하는데 활용되기를 기대하면서. 이 책을 발간하는데 애써 주신 조사위원을 비롯한 관계자들에게 심심한 사의를 표합니다.제1장 한라산전설 신비어린 영산 한라산 신선들의 놀이터 백록담 오백나한이 즐비한 영실기암 석주가 숲이룬 아흔아홉골 한라산편 Ⅰ. 한라산. 그 경승의 형성 1. 선문대할망의 한라산 창조 2. 백록담과 산방산의 형성 3. 신선(神仙)의 놀이터 4. 영실기암의 형성 5. 아흔아홉골 6. 한라산의 고려장 Ⅱ. 한라산에서 태어난 신들 1. 세화본향당신(細花本鄕堂神) 2. 호근본향당신(好根本鄕堂神) 3. 사계(沙溪)큰물당신(神) 4. 예촌·보목본향당신(禮村·甫木本鄕堂神) 5. 상창(上倉)하르방당신(堂神) 6. 중문본향당신(中文本鄕堂神) 7. 광양당신(廣壤堂神)과 호종단(胡宗旦) 8. 한라산신(漢拏山神)과 이태조(李太祖) 제2장 제주시전설 신인용출신화 깃든 삼성혈 신룡들이 놀던 호수 용연 진달래의 꽃바다 영구춘화 제주사 증언의 보물 관덕정 제주시편 Ⅰ. 자연전설 1. 삼성혈(三姓穴) 2. 관덕정(觀德亭) 3. 말머리 4. 베락구룽 5. 백록담(白鹿潭) 6. 방선문(訪仙門) 7. 이여도 8. 선문대할망(1) 선문대할망(2) 선문대할망(3) 선문대할망(4) 9. 용연(龍淵) Ⅱ. 역사전설 1. 김참봉과 고전적 2. 고전적(高典籍) 3. 문곡성(文曲城)과 명인들 4. 날개 돋친 밀양 박씨(密陽朴氏) 5. 양판관 Ⅲ. 신앙전설 1. 당 오백 절 오백 2. 변씨 입도선묘(邊氏 入島先墓) 3. 각시당 4. 노형동 광평당(老衡洞 廣坪堂) 5. 별도봉(別刀峰) 오씨 선묘 6. 제주 6대 명혈(名穴)과 주자(朱子) 아버지의 묘 7. 고전적 부친묘 8. 변댁 입도선묘(邊宅 入島先墓) 제3장 서귀포시 전설 서불과차 전설 어린 정방폭포 희귀식물의 자연식물원 임도 선녀들이 목욕하던 천제연폭포 비단폭이 걸린 듯한 천지연폭포 서귀시편 Ⅰ. 자연전설 1. 천지연(天池淵) 2. 섶섬과 뱀 3. 정방폭포와 서불과차(徐 過次) 4. 천제연과 효자청년 5. 고종달의 단혈 6. 열녀바위 7. 막숙이 지명 유래 8. 여우물 9. 이청장물 여우귀신 10. 새당할망 Ⅱ. 역사전설 1. 현유학(玄幼學) 2. 대포리(大甫里) 설촌이야기 3. 힘과 기예가수록된 전설은 1983년도에 수집된 것으로서 제보자의 언어 그대로 채집된 것이나. 독해의 편의를 위하여 표준어 문장으로 바꾸어 기술하였다. 전설의 수록순서는 한라산전설. 제주시전설. 서귀포시전설. 북제주군전설. 남제주군전설 순으로 지역별 배열을 하고 각 군의 전설은 다시 읍 · 면별로 나누었으며. 전설의 분류는 자연전설. 역사전설. 신앙전설 순으로 배열하였다. 같은 소재의 전설이 다른 제보자에게서 여러 편이 수집된 경우. 번호를 붙여 연속 수록하였고. 각 편마다 소재지. 제보자의 성명. 성별. 나이 등을 기록하였다.제주도1985-06-28기타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한라산해당없음강태훈/부태형/현춘식/고길홍해당없음/media/tzY해당없음C_CL_0_3_03214362328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5212022-12-09
데이터 고유번호장소명위도경도분류디렉토리1디렉토리2제목부제목저작자주제내용목차초록발행자발행일자료유형자료형태언어범위출처기여자참고문헌저작권이미지폴더저작권파일URL전자책링크출처페이지이관전번호내레이션링크데이터기준일자
1103857마이못 해안33.493345126.427501확장분야관광관광제주생태기행/제주시권해당없음제주시/제주참여환경연대한라산.오름.습지.해안.하천.천연기념물.자연학습장우리 제주도는 예로부터 한라산 주변일대가 식물의 보고라고 할 만큼 다양한 식물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노루 등 야생동물들이 많이 서식하고 있는 천해의 자연을 그대로 간직한 고장입니다. 제주생태기행은 '식물 및 화산연구의 보고' 라고 할 수 있는 한라산의 자생식물 등을 비롯하여 '바람의 고향' 오류. '생태계의 요람' 습지. '제주 바다의 깊고 푸른빛' 제주해안. '제주 생명의 원류' 하천. '산신 같은 산천단 곰솔' 등 천연기념물과 자연학습장을 총망라한 자연 그대로의 세계를 담은 지침서로써 매우 소중한 자료라고 생각합니다.발간사 한라산 / 식물의 보고이자 화산연구의 교과서 1. 관음사 탐방로 2. 어승생악 3. 아흔아홉골 오름 / 바람의 고향 오름에서 대륙을 느낀다 1. 절물오름 2. 도들오름 3. 별도봉 습지 / 생태계의 요람. 그 속에 생명이 깃들다 1. 물장오리 2. 조리새미 3. 마이못 해안 / 생명의 울림. 제주바다의 깊고 푸른 빛 1. 삼양 해안 2. 용담해안도로 3. 이호 해안 하천 / 생명의 원류. 깊이 스미어 생명으로 솟다 1. 산지천 2. 한천 3. 외도천 천연기념물 . 자연학습장 1. 산천단 곰솔 2.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 3.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4. 제주마방목지 5. 한라수목원 부록 / 자연생명에 대한 예의. 생태기행제주참여환경연대가 2003년 1월에 펴냈던 제주생태기행 안내책자 '빛과 그림자의섬. 제주이야기'에 이어 두번째 생태기행 안내책자인 '제주시 생태기행'을 세상에 내놓는다. 처음에 만든 책자가 제주도 전체의 생태유산을 개괄적으로 다룬 거라면. 이번에 내는 책자는 제호가 그러하듯 제주시 지역의 자연생태를 담고 있다. 이 책은 연구자들의 보고서처럼 전문적이지도 않으나. 그렇다고 기존에 나와 있는 관광책자처럼 단순하게 관광지를 알리는 관광안내서도 아니다. 늘 우리 곁에 두고 있지만 그 소중함을 제대로 깨닫지 못하는 자연유산을 소개하고. 무심코 지나 쳤던 작은 생명들에 대한 관심을 부추기기 위해 이 책은 만들어졌다.제주시/제주참여환경연대2005-01-01기타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해당없음해당없음해당없음/media/yYE해당없음M-MR-7-3-00061244816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38572022-12-09
1113868거믄여해안경승지33.243349126.58115확장분야문화생활문화그리운 서귀포칠십리여행해당없음서귀포시서귀포.칠십리.테마여행이 책은 2002년 8월 23일 부터 11월 20일까지 전국민을 대상으로 공모한 자원 가운데 [서귀포칠십리 70경 자원선정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한 서귀포 70경 관광화보집이다. 서귀포시에 오면 70가지의 독특한 아름다움과 만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레저체험과 휴양관광을 함께 즐기며 평생에 잊지 못할 소중한 추억거리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서귀포시의 70가지의 아름다움을 코스별로 4코스로 분류해 `칠십리 여행`으로 엮었다. 백록담과 돈내코. 서귀포 자연 휴양림. 영실기암. 예래동 환해장성. 서귀포 잠녀. 천제연 폭포. 칠선녀 축제. 법화사지. 강정천. 이중섭 문화의 거리. 자리테우. 서귀포 칠십리 축제. 정방폭포. 거믄여해안경승지. 쇠소깍. 서귀포 감귤. 향토 오일시장에 이르기까지 테마별 여행을 화보와 함께 소개 한다.제1코스 백록담 선돌 영천관지 돈내코 한란 제2산록도로 서귀포녹차재배단지 무오법정사항일운동발상지 거린사슴전망대 서귀포자연휴양림 존자암지 영실기암 한라산영실숲 제2코스 군산 제주전통초가모형제작가 송기홍 서귀포돌담 예래동환해장성 서귀포연대방어유적 서귀포잠녀 색달해안갯깍주상절리대 쉬리의언덕 중문해수욕장 겨울바다펭귄수영대회 중문민속박물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중문대포해안주상절리대 여미지제주관광식물원 천제연폭포 칠선녀축제 제3코스 법화사지 하원동탐라왕자묘 도순동녹나무자생지군락 엉또폭포 고근산 각시바위 갈옷 서귀포시립제주월드컵경기장 약천사 월평해안경승지 당굿 강정천 막숙 황우지해안열두굴 외돌개 삼매봉 하논 솜반내 제4코스 이중섭문화의 거리 서귀진지 서귀포담팔수나무자생지 천지연폭포 자리테우 서귀포칠십리축제 서귀포층의패류화석 서귀포시립해양공원 관광유람선 섬속의섬 서귀포칠십리해안경승지 서귀포해안산호군락 서귀포자리물회 소남머리 정방폭포 서불과지 백중날물맞이 소정방폭포 거믄여해안경승지 제지기오름 쇠소깍 서귀포감귤 향토오일시장 지장샘 ●서귀포70경 테마여행 ●서귀포70경 여행안내도천혜의 자연경관과 남국의 정취를 자랑하는 아름다운 꿈의 도시 서귀포. 장엄한 한라산과 광활한 초원. 신이 조각한 듯한 기암절벽과 청정한 바다가 서로 조화를 이루며 세계인들에게 무한한 감동을 안겨 주는 곳.다양한 레저. 휴양관광과 함께 인류 평화와 대화합을 다짐하는 세기의 대제전인 2002월드컵 축구대회가 열렸던 스포츠의 파라다이스. 역사가 문화가 살아 숨쉬는 도시. 신명나는 축제가 사계절 개최되어 내외국인들에게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해 주는 서귀포시로 초대한다.서귀포시2003-01-01기타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해당없음해당없음해당없음/media/yYF해당없음K-KA-7-3-00051244827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38682022-12-09
1124023만수사터33.515655126.532331확장분야사회풍속/민속학건입동지해당없음건입동마을회향토지.산천서당.산지천.제주항제주의 건입동은 많은 유적들이 널려있고 산지항 즉 제주항은 또한 중국과 무역의 관문이었습니다. 중요 유적으로는 산천서당. 연무장. 괘승정. 연교정. 영은정. 좌연각. 번길당. 홍예교 등이 있고 일제강점기에는 `산지용진회`라는 항일단체를 결사하여 독립운동에 앞장서기도 하였습니다.◈발 간 사 ◈축하의 말씀 □ 건입동 개황 1. 일반적 개황 2. 역사적 고찰 3. 설촌유래 및 연혁 4. 건입동 관내 도로 명 부여현황 5. 일제항일운동의 본산 「산지 용진회」 <참 고> (1) 용진회의 활약 (2) 용진회의 육상 (3) 용진회의 축구 (4) 용진회의 야구 6. 용진회의 맥을 이은 친목단체 우리 고장 `山地` <사진 자료> □ 관내 주요기관 1. 건입동사무소 2. 국향인들의 요람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3. 제주동초등학교 4. 주민과 함께 하는 산지파출소 5. 제주지 방해양수 산청 6. 제주중앙새마을금고 7. 건입동 어린이집 8. 측후소(제주지방기상청) 9. 제주은행 건입동지점 10. 산지항로표지관리소(산지등대) 11. 제주해양경찰서 12. 제주해양경찰서 제주지서 13. 제주시수산업협동조합 14. (구)건입동 농업협동조합 15. 출입 국관리 사무소 16. 국립제주박물관 17. 제주도항운노동조합 18. 제주도항운노동조합 새마을금고 19. 노동의원 □「특집」 2000년을 여는 3대 개발 1. 산지천의 복원 2. 제주항이 달라진다 3. 스포츠센터 건립공사 □ 제주의 관문 - 제주항 1. 연혁(沿革) 2. 항만 개 발(港灣開發) 3. 여객수송(旅客輸送) □ 명승지 1. 사라봉(紗羅峯 . 부(附). 사라봉수(紗羅烽燧)) 2. 산저천(山低川 . 부(附). 산저교(山低矯)) 3. 건입포(健入浦 . 부(附). 건입포수전소(巾入浦水戰所)) □ 유적 . 유물 1. 읍성(邑城. 주성(州城)) 터 2. 동문지(東門址. 연상루(延祥樓). 제중루(濟衆樓)) 3. 연 당(蓮堂) 4. 공진루(拱辰樓. 공진정(拱辰亭)) 5. 죽서루(竹西樓) 6. 연무정 (演武亭) 7. 쾌승정(快勝亭. 해산대(海山臺)) 8. 연 교정 (延敎亭) 9. 천일정(天一亭) 10. 영은정(泳恩亭). 금산(禁山) 11. 좌연각(左演閣) 12. 심고당(審固堂) 13. 고마장(雇馬場) 14. 고서흥(高瑞興) 공덕비(功德碑) 15. 만수사터 (萬壽寺址) 16. 살천서당(三泉書堂) 17. 모충사(慕忠祠) 18. 김만덕 묘(金萬德 墓) 19. 칠 머리당건입동지에는 건입동의 설촌유래로부터 일제 항일운동의 활약의 하나인 `산지용진회`의 활동그리고 관내의 주요시설들을 소개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2000년을 여는 3대개발인 1. 산지천 복원. 2. 제주항이 달라진다. 3. 스포츠센터 건립공사의 취지 또한 실려 있다. 그래서 건입동지 하나만으로도 건입동의 역사와 민속. 유물과 유적 인물등을 소상히 살필 수 있다.건입동마을회2001-01-01기타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해당없음해당없음해당없음/media/yOA해당없음C-CL-7-3-00613744985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0232022-12-09
1134101인성리 방사탑33.241599126.282581확장분야역사근대널개오름을 등진 섬마을해당없음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촌락.실태조사.우리문화.산업화.도시화주로 300~500년 전 에 이루어진 `제주의 마을`들에는 마을마다 특이한 형성과정이 있다. 귀양으로 혹은 정치적 망명으로 목숨을 걸고 거친 바다를 건너와서 부평초처럼 정착했던 태초의 마을 사람들.우리의 이 작업은 이들에 대한 애뜻한 한가닥 애정에서 비롯된 것 이다. 정착후 이들은 숱한 전설과 일화를 남겼다. 거친한숨. 고뇌의 숨결은 그대로 민요가 되었다. 지어지는데로 붙인 밭이름. 바다 이름. 언덕 이름들이 그마을의 역사와 삶의 자취들을 짐작케 하며 오늘날까지도 밭이랑의 돌멩이만큼이나 널려 있다.□ 간행사 □ 축사 □ 책머리에 □ 설촌 유래와 변천사 □ 자연환경 □ 사회적 배경 □ 인구의 이동 □ 지명 유래 동네 이름 물 이름 밭과 언덕의 이름 오름의 이름 여와 바다의 이름 기타 □ 전설 망오름으로 망을 옮기게 된 내력 명당자리 찾아 「가마귀다 르」로 자손 발복 위해 아버지 묘자리 뺏아 해변 불발래기 . 소금잘래기 엄수개에 정착한 邊씨 16명이나 죽은 「庚申年 차단」 「참매둥이」도 이긴 朴씨 장사 판포교 정문 앞의 「방사탑」 판포와 금 등의 분향 일제시대의 보리 공출 4.3관련 여러 사건들 ``반동은 2키로 떨어진 곳에`` 월령리의 선인장 내력 월계 진좌수( 1 ) □ 언어 농기구 정미 기구 부엌용구 가옥 머리장식 옷감(무명) 짤 때 쓰는 기구 불 혼례복 어구 및 기타 낱말 어류 바람 돗대 수에 따른 배 명칭 노 약용식물. 나무. 풀 이름 속담 □ 민속 □ 신앙 □ 민요 □ 교육 □ 유물.유적 □ 향약.계 활동 판포리의 어로 방법 `원(개)`에 대한 일고(一考)우리가 살고 있는 고장마다 고유한 촌락문화가 존재하며. 이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기록.보존. 발전시키는 것은 우리의 시급한 과제로 대두된다. 일제강점기 우리문화의 말살정책과 1970년대 이후의 산업화.도시화 과정에서 민족생활양식의 기반인 우리의 촌락사회가 파괴. 멸실. 훼손. 변형되어 그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게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촌락사회의 실태. 그 역사와 문화를 조사.보존하는 일은 우리가 해야할 당연한 책무이다. 이 책자의 발간이 계기가 되어 전국촌락 실태조사로 확대되고 이자료가 널리 활용될 수 있기 바란다.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문화체육부1996-01-01기타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해당없음해당없음해당없음/media/yAa해당없음C-CL-7-3-00711745065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1012022-12-09
1144390구엄리 돌염전33.483407126.376488확장분야사회사회구엄리돌염전해당없음제주특별자치도구엄리.돌염전.염전커다란 암반 위에 마치 거북이 등처럼 흙으로 경계선을 만들며 바닷물을 퍼 올려 여러 번의 손을 거쳐 염도를 높였으며 마지막으로 염분을 졸여서 소금을 만들었다. 빌레에서 생산된 소금은 당시 제주에서 귀하기로 소문나 육지 염전의 열 배 가격으로 거래되었으며. 그 맛과 품질이 뛰어나 나라님에게까지 진상할 정도였다. <발췌 : 즐거운 제주 (제주넷)_p.99>해당없음커다란 암반 위에 마치 거북이 등처럼 흙으로 경계선을 만들며 바닷물을 퍼 올려 여러 번의 손을 거쳐 염도를 높였으며 마지막으로 염분을 졸여서 소금을 만들었다.제주특별자치도2007-09-30기타:이미지사진.이미지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해당없음해당없음해당없음/media/yHS해당없음해당없음15353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3902022-12-09
1154392단산33.242848126.288344확장분야자연지구과학박쥐모양의단산해당없음제주특별자치도단산.오름.산박쥐형상을 하고 있는 <단산>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구명수의 전설이 있는 곳이다. 아득한 옛날 이 지역에 괴질이 번지고 있었는데 현감의 선몽대로 마침내 석양에 붉게 타오르는 박쥐가 눈앞에 보이는 단산의 형상이 바로 그것이었다고 한다. <발췌 : 즐거운 제주 (제주넷)_p.241>해당없음박쥐형상을 하고 있는 <단산>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구명수의 전설이 있는 곳이다. 아득한 옛날 이 지역에 괴질이 번지고 있었는데 현감의 선몽대로 마침내 석양에 붉게 타오르는 박쥐가 눈앞에 보이는 단산의 형상이 바로 그것이었다고 한다.제주특별자치도2007-09-30기타;이미지사진.이미지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해당없음해당없음해당없음/media/yHF해당없음해당없음15355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3922022-12-09
1164495불탑사5층석탑33.529296126.598174확장분야관광관광즐거운 제주(숨어있는 제주의 설화.전설을 따라)해당없음㈜제주넷설화.전설.제주체험여행옛날 한라산 기슭에 한 효성이 지극한 사냥꾼이 아픈 어머니와 살고 있었다. 어느날 그는 나그네로부터 어머니 병에 사슴피가 특효라는 말을 듣고 다음날 일찍 일어나 사슴 사냥에 나섰다. 한라산 정상은 짙은 안개로 덮여 앞을 분간하기 어려웠다. 안개 속을 헤매던 그는 마침내 사슴 한 마리를 발견했다. 바로 흰 사슴이었다. 화살을 쏘려던 순간. 어디선가 백발의 노인이 나타나 백록을 막아서더니 사슴을 안고 짙은 안개 속으로 사라졌다. 노인과 백록이 사라진 곳에는 큰 연못만이 있을 뿐이었다. 사냥을 포기한 그는 대신 연못물을 떠가지고 돌아와 어머니께 그 물을 드렸다. 그러자 어머니 병이 하루아침에 말끔히 나았다. 이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은 훗날 이 연못을 ‘백록담‘ 이라고 불렀다 한다.한라산 영실계곡 한라산 등반 ◇ 제주시. 동쪽 삼성혈 관덕정·제주목관아 | 제주성지 | 제주향교 | 오현단 용두암 도두봉 | 이호해수욕장 | 해안도로 카페촌 | 서자복·동자복 용연 국립제주박물관 제주민속박물관 | 자연사박물관 | 산지천 | 동문재래시장 사라봉 별도봉 | 산지등대 | 모충사 | 탐라목석원 삼양검은모래해수욕장 삼양선사유적지 | 불탑사5층석탑 | 함덕해수욕장 | 다려도 절물오름 한화테라피 | 고수목마 | 1112번도로 아름다운 숲길 물장오리오름 산굼부리 제주미니미니랜드 동부레져 | 코끼리랜드 | 돌문화공원 | 명도암관광휴양목장 비자림 다랑쉬오름 | 김녕미로공원 | 만장굴 | 용눈이오름 김녕사굴 우도 우도등대공원 | 해빈백사장 | 검멀레해수욕장 | 우도박물관 황토마을펜션 | 마리나호텔 | 숲속의하얀집 해룡식당 | 김녕해녀촌 | 선흘방주할머니식당 | 돈지개횟집 아구대감꽃게마님 ◇ 제주시. 서쪽 한라수목원 신비의 도로 | 1100고지 습지 | 관음사 | 산천단 새별오름 납읍금산공원 구엄리돌염전 | 애월해안도로 | 항몽유적지 | 곽지해수욕장 팽나무 군락 제주돌마을공원 명월진성 | 한림공원 | 협재해수욕장 | 금릉식물원 대림리선돌 | 수원리 | 라신동 | 대림하동 수월봉 고산선사유적지 | 김대건표착지 | 신창풍차마을 | 나비레전시관 차귀도 아라포레휴양팬션 | 돌과바람휴향팬션 | 제주푸른밤 노인과바다 | 이가네흑도야지 | 한림항횟집 ◇ 서귀포시. 동쪽 외돌개 황우지열두굴 | 엉또폭포 | 천연해수풀장 | 걸매생태공원 정방폭포 | 섶섬 | 제지기오름 | 서귀본향당 쇠소깍 신영영화박물관 | 남원큰엉해안경승지 신천리 백록ATV | 일출랜드 | 제주민속촌박물관 성읍민속마을 조랑말타운 영주산 | 정석항공관 | 따라비오름 | 자연사랑갤러리 휴애리 | 김영갑걜러리 | 아부오름 섭지코지 신양해수욕장 | 환해장성 | 하도리철새도래지 | 종달리조개체험어장 온평리 | 혼인지 성산일출봉 성산잠수함 조가비박물관 | 한라ATV | 토끼섬 | 고망난돌쉼터 청룡수산 | 녹산장 성읍칠십리주막 | 그린식당 | 내고향해녀의집 ◇ 서귀포시제주를 찾는 관광객이나 자유여행객에게 제주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사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제주의 모습은 개개인마다 조금씩 다르겠지만 제주에 살고 있는 주민에게도 생소한 이야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제주의 문화를 접하지 못했던 여행자들이나 외국인들에게는 또 다른 새로운 볼거리로 신비롭게 다가갈 수 있다. 어디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없는 자연경관과 독특한 생활문화. 지리적 폐쇄성으로 인해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 또한 외부인의 호기심을 끄는데 충분하다. 이번 책자에 담겨있는 제주의 관광지 주변의 설화. 전설지 소개는 관광지에 볼거리와 더불어 그 속에 어떤 의미가 담겨져 있는지를 느끼게 해줄 것이다.㈜제주넷2007-01-01기타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해당없음해당없음해당없음/media/yKY해당없음M-MR-7-3-00372845445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4952022-12-09
1174602구억리 검은굴33.281606126.285685민속민속공예도기공예검은굴해당없음제주특별자치도돌가마.검은굴검은 굴에서는 기물들이 대략 1000도 내에서 소성되었다. 불때기에서 연기가 기물에 들어가 회색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가마 이름을 '검은 굴'이라 한다. <발췌 : 제주의 민속 2권 P538. 1994년> <발췌 : 제주도 전통 사회의 옹기 생산과 유통에 관한 연구 P 72. 2002년>해당없음불때기에서 연기가 기물에 들어가 회색으로 나타나 가마 이름을 '검은 굴'이라 한다.제주특별자치도2006-10-01기타:이미지사진.이미지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서귀포시/대정읍해당없음해당없음해당없음/media/yZI해당없음해당없음1515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6022022-12-09
1184618하도리별방진33.52618126.884378민속의식주해당없음별방진 지표조사 보고서해당없음북제주군별방진.유적지.성곽북제주군에서는 현대사를 맞이하여 날로 훼손이 심화되어가는 문화재를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연초에 별방진에 대한 종합적인 정비계획을 수립하여 유적지 지표조사를 위해 지난 6월 (주) 금성종합건축사 사무소와 용역 계약이 이루어졌다. 지표조사는 현장답사가 선행되어 전반적인 보존 상태를 확인하고 날로 훼손이 심화 되어가는 성곽을 주요대상으로 삼았으며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성곽을 중점적으로 조사하면서 성내 유적지와 유구 조사를 병행하여 추후 복원보수사업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조사 작업을 진행시켰다. 본보고서에서는 성곽의 보존 상태를 구간별로 설명. 특징과 현장을 설명하였으며 형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측도면과 구간별 현황사진을 함께 실었고 각계전문가의 자문을 구하여 별방진에 대한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고 문화재위원의 글을 함께 실어 문화재적 가치와 역사적 의미를 부각시키려는 노력도 소홀히 하지 않았다. 차제에 성지 전반에 걸친 보다 정밀한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성지의 전반적인 규모와 건물지 및 기타 유구 위치 등을 확인하여 복원보수사업이 진행됨이 타당하리라 사료된다.제출문(提出文) 머리말 목 차(目次) 제1장 서언(序言) 1. 조사(調査)의 경위(經緯) 1) 개요(槪要) 2) 조사 기간(調査 期間) 3) 조사대상(調査對象) 및 과정(科程) 4) 실측 방법(實測 方法) 제2장 별방진(別防鎭)의 성립(成立)과 현상(現狀) 1. 별방진(別防鎭)의 역사적(歷史的) 의의(意義) 2. 지리적(地理的) 자연환경(自然環境) 1) 위치(位置) 2) 지형(地形) 및 지세(地勢) 3) 기후(氣候) 및 기상(氣象) 4) 강우량(降雨量) 5) 풍속(豊速)과 풍향(豊向) 3. 인문(人文)·사회적(社會的) 환경(環境) 4. 토지(土地) 이용(利用) 현황(現況) 5. 유적지(遺跡地) 현황(現況) 1) 개요(槪要) 2) 구간별(區間別) 현황(現況) 6. 종합 분석(綜合 分析) * 별방진(別防鎭) * 성곽(城郭)에 관(關)한 용어(用語) 제3장 화보(畵報) 및 도면(圖面) 1. 사진목록(寫眞目錄) 2. 도면목록(圖面目錄)별방진에 대한 지표조사는 성곽의 보존상태가 다소 양호한 구간을 중점적으로 실측조사하였고. 기타 구간은 현장확인 및 사진촬영을 하였다. 금번 지표조사의 중점구간은 서문지 반시계 방향 60m지점에서부터 동문지 부근까지 실시하였다. 본쇄의 서문지와 동문지를 잇는 해안 쪽 성곽은 대부분 소멸되어 없어지고 변형되었지만 동쪽의 치성 1개소와 인접한 성곽 일부는 그 윤곽을 잘 드러내고 있다. 쇄내 외로 통하는 문루는 서문 동문 남문 3개소가 있으며 문루에는 각각 옹성을 설치하여 방어하였다. 3개소의 옹성중 서문지와 동문지 옹성은 소멸되거나 변형되어 옹성의 윤곽만 남아 있다. 남문지 옹성의 외탁은 잘 남아 있으나 내탁은 붕괴 및 변형이 심한 상태이며 문루의 흔적은 어느 곳에서도 발견하지 못했다. 성곽은 평지에 내축으로 축성하고 내외택 면석은 부정형의 제주자연석을 쌓아 올리면서 성벽의 틈새는 작은 돌을 괴어 견고하게 축성하였으며 내택성벽의 경사는 0.5~1:10의 기울기를 갖고 있다. 내택의 축성은 서문지와 남문지 사이 일부구간에서 2단으로 축조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고 남문지와 동문지 사이 구간에도 2단식 축조의 흔적을 엿볼 수 있으니 2단식 축조의 진리는 좀더 정밀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밝혀져야 하리라보며 본서에서는 현상만 고찰했다. 속채움석은 돌만 사용한 구간이 있고 돌과 흙을 혼용한 구간이 있다. 성곽 상부는 종벽하게 남아 있는 구간이 없어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으나 미석과 여장이 있었다고 마을 주민(부영성 77 일구좌읍지발간)은 증언한다. 옹성의 축조는 성곽과 일체식으로 하였으나 치성의 축조는 성곽을 먼저 축조한 후 덧쌓은 방법으로 축조하였다. 탐라순력도 별방조점도를 참고하여 보면 쇄내에는 많은 건물들이 있으나 지금은 그 유적들을 찾아 볼 수 없고 오랜 옛날부터 내려온 우물터만이 현존하고 있다.북제주군1993-09-01보고서전자책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구좌읍/하도리해당없음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해당없음/media/yZB해당없음C_CL_5_3_008064771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6182022-12-09
1194745한림읍 명월진성33.400293126.263205민속의식주주생활명월진성 성벽위해당없음제주특별자치도성.진성.명월진성.방어유적이 명월진성은 한림읍 명월리와 동명리에 걸쳐 있다. 둘레가 2천 20자. 높이가 8자였으며. 동쪽과 남쪽 및 서쪽에 각각 문이 있었다. 성 안에는 샘이 있어 가뭄에도 마르지 않았으며. 건물로는 객사. 별창. 군기고 등이 있었다. 원래 이곳에는 원래 성이 없었으나 조선 중종 5년(1510)에 장림 목사가 이곳은 비양도로 왜선이 가까이 대일 수 있는 곳이라 하여 목성을 쌓았었는데. 선조 25년 (1592)에 이경록 목사가 석성으로 개축하였으며. 영조 40년(1764)에는 이수봉 어사가 조정에 아뢰어 조방장을 만호로 승격시켰다. <발췌 : 북제주군 문화유적분포지도 P219. 2002년>해당없음이 명월진성은 한림읍 명월리와 동명리에 걸쳐 있다. 둘레가 2천 20자. 높이가 8자였으며. 동쪽과 남쪽 및 서쪽에 각각 문이 있었다.제주특별자치도2006-10-01기타:이미지사진.이미지한국어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한림읍해당없음해당없음해당없음/media/yVx해당없음해당없음12514해당없음https://www.jeju.go.kr/culture/digitalContents/directory.htm?classification=&subClassification=&act=view&seq=4745202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