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6
Number of observations199
Missing cells56
Missing cells (%)4.7%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9.6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49.6 B

Variable types

Numeric1
Text3
Categorical2

Dataset

Description전북특별자치도 음식문화플라자 음식유물정보(유물명,크기,설명,재질 등)음식문화플라자에 소개되는 유물의 명칭, 전북특별자치도 음식문화플라자의 음식유물의 상세한 설명
Author전북특별자치도
URLhttps://www.data.go.kr/data/15050020/fileData.do

Alerts

크기 has 56 (28.1%) missing valuesMissing
고유값(X)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4-03-14 12:31:32.274686
Analysis finished2024-03-14 12:31:34.198023
Duration1.92 second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고유값(X)
Real number (ℝ)

UNIQUE 

Distinct199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100.91457
Minimum1
Maximum200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9 KiB
2024-03-14T21:31:34.41261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1
5-th percentile10.9
Q151.5
median101
Q3150.5
95-th percentile190.1
Maximum200
Range199
Interquartile range (IQR)99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57.726696
Coefficient of variation (CV)0.57203528
Kurtosis-1.1927821
Mean100.91457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50
Skewness-0.0068720405
Sum20082
Variance3332.3715
MonotonicityStrictly increasing
2024-03-14T21:31:34.86826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1 1
 
0.5%
139 1
 
0.5%
129 1
 
0.5%
130 1
 
0.5%
131 1
 
0.5%
132 1
 
0.5%
133 1
 
0.5%
134 1
 
0.5%
135 1
 
0.5%
136 1
 
0.5%
Other values (189) 189
95.0%
ValueCountFrequency (%)
1 1
0.5%
2 1
0.5%
3 1
0.5%
4 1
0.5%
5 1
0.5%
6 1
0.5%
7 1
0.5%
8 1
0.5%
9 1
0.5%
10 1
0.5%
ValueCountFrequency (%)
200 1
0.5%
199 1
0.5%
198 1
0.5%
197 1
0.5%
196 1
0.5%
195 1
0.5%
194 1
0.5%
193 1
0.5%
192 1
0.5%
191 1
0.5%
Distinct198
Distinct (%)99.5%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7 KiB
2024-03-14T21:31:36.07463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9
Median length8
Mean length3.7286432
Min length1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742
Distinct characters206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97 ?
Unique (%)99.0%

Sample

1st row갈돌
2nd row갈판
3rd row고소리
4th row공이
5th row나무절구
ValueCountFrequency (%)
백자사발 2
 
1.0%
뒤주 1
 
0.5%
젓항아리 1
 
0.5%
술통 1
 
0.5%
목단지 1
 
0.5%
바가지 1
 
0.5%
바구니 1
 
0.5%
백자호 1
 
0.5%
백자호로병 1
 
0.5%
1
 
0.5%
Other values (189) 189
94.5%
2024-03-14T21:31:37.71250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69
 
9.3%
33
 
4.4%
23
 
3.1%
15
 
2.0%
13
 
1.8%
13
 
1.8%
12
 
1.6%
11
 
1.5%
11
 
1.5%
11
 
1.5%
Other values (196) 531
71.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655
88.3%
Space Separator 69
 
9.3%
Open Punctuation 8
 
1.1%
Close Punctuation 8
 
1.1%
Decimal Number 2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3
 
5.0%
23
 
3.5%
15
 
2.3%
13
 
2.0%
13
 
2.0%
12
 
1.8%
11
 
1.7%
11
 
1.7%
11
 
1.7%
11
 
1.7%
Other values (191) 502
76.6%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2 1
50.0%
1 1
5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69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39
86.1%
Common 87
 
11.7%
Han 16
 
2.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3
 
5.2%
23
 
3.6%
15
 
2.3%
13
 
2.0%
13
 
2.0%
12
 
1.9%
11
 
1.7%
11
 
1.7%
11
 
1.7%
11
 
1.7%
Other values (180) 486
76.1%
Han
ValueCountFrequency (%)
4
25.0%
2
12.5%
2
12.5%
1
 
6.2%
1
 
6.2%
1
 
6.2%
1
 
6.2%
1
 
6.2%
1
 
6.2%
1
 
6.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69
79.3%
( 8
 
9.2%
) 8
 
9.2%
2 1
 
1.1%
1 1
 
1.1%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39
86.1%
ASCII 87
 
11.7%
CJK 16
 
2.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69
79.3%
( 8
 
9.2%
) 8
 
9.2%
2 1
 
1.1%
1 1
 
1.1%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3
 
5.2%
23
 
3.6%
15
 
2.3%
13
 
2.0%
13
 
2.0%
12
 
1.9%
11
 
1.7%
11
 
1.7%
11
 
1.7%
11
 
1.7%
Other values (180) 486
76.1%
CJK
ValueCountFrequency (%)
4
25.0%
2
12.5%
2
12.5%
1
 
6.2%
1
 
6.2%
1
 
6.2%
1
 
6.2%
1
 
6.2%
1
 
6.2%
1
 
6.2%

크기
Text

MISSING 

Distinct137
Distinct (%)95.8%
Missing56
Missing (%)28.1%
Memory size1.7 KiB
2024-03-14T21:31:38.37764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02
Median length99
Mean length52.895105
Min length1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7564
Distinct characters52
Distinct categories7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33 ?
Unique (%)93.0%

Sample

1st row너비 : 8 cm / 길이 : 69 cm
2nd row높이 : 49 cm / 지름 : 59 츠
3rd row높이 : 5.2 cm / 세로 : 4.7 cm / 가로 : 35.2 cm
4th row높이 : 22.4 cm / 세로 : 63 cm / 가로 : 134.5 cm
5th row높이 : 31 cm / 너비 : 61 cm
ValueCountFrequency (%)
827
36.4%
cm 478
21.0%
높이 121
 
5.3%
바닥지름 52
 
2.3%
입지름 37
 
1.6%
최대지름(最大지름 32
 
1.4%
입지름(입지름 31
 
1.4%
가로 27
 
1.2%
세로 26
 
1.1%
높이(높이 24
 
1.1%
Other values (266) 617
27.2%
2024-03-14T21:31:39.52199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282
30.2%
: 482
 
6.4%
m 478
 
6.3%
c 478
 
6.3%
/ 345
 
4.6%
. 342
 
4.5%
310
 
4.1%
310
 
4.1%
224
 
3.0%
1 215
 
2.8%
Other values (42) 2098
27.7%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Space Separator 2282
30.2%
Other Letter 1739
23.0%
Other Punctuation 1169
15.5%
Decimal Number 1166
15.4%
Lowercase Letter 956
12.6%
Open Punctuation 126
 
1.7%
Close Punctuation 126
 
1.7%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10
17.8%
310
17.8%
224
12.9%
197
11.3%
99
 
5.7%
84
 
4.8%
84
 
4.8%
57
 
3.3%
32
 
1.8%
32
 
1.8%
Other values (24) 310
17.8%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215
18.4%
2 168
14.4%
5 139
11.9%
3 137
11.7%
8 110
9.4%
4 108
9.3%
7 90
7.7%
6 88
7.5%
9 66
 
5.7%
0 45
 
3.9%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82
41.2%
/ 345
29.5%
. 342
29.3%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478
50.0%
c 478
5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282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26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26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Common 4869
64.4%
Hangul 1675
 
22.1%
Latin 956
 
12.6%
Han 64
 
0.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10
18.5%
310
18.5%
224
13.4%
197
11.8%
99
 
5.9%
84
 
5.0%
84
 
5.0%
57
 
3.4%
32
 
1.9%
32
 
1.9%
Other values (22) 246
14.7%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282
46.9%
: 482
 
9.9%
/ 345
 
7.1%
. 342
 
7.0%
1 215
 
4.4%
2 168
 
3.5%
5 139
 
2.9%
3 137
 
2.8%
( 126
 
2.6%
) 126
 
2.6%
Other values (6) 507
 
10.4%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478
50.0%
c 478
50.0%
Han
ValueCountFrequency (%)
32
50.0%
32
5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5825
77.0%
Hangul 1675
 
22.1%
CJK 64
 
0.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282
39.2%
: 482
 
8.3%
m 478
 
8.2%
c 478
 
8.2%
/ 345
 
5.9%
. 342
 
5.9%
1 215
 
3.7%
2 168
 
2.9%
5 139
 
2.4%
3 137
 
2.4%
Other values (8) 759
 
13.0%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10
18.5%
310
18.5%
224
13.4%
197
11.8%
99
 
5.9%
84
 
5.0%
84
 
5.0%
57
 
3.4%
32
 
1.9%
32
 
1.9%
Other values (22) 246
14.7%
CJK
ValueCountFrequency (%)
32
50.0%
32
50.0%
Distinct195
Distinct (%)98.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7 KiB
2024-03-14T21:31:40.83482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345
Mean length241.68844
Min length6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48096
Distinct characters1309
Distinct categories14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10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92 ?
Unique (%)96.5%

Sample

1st row갈돌과 갈판은 곡식을 빻는데 쓰이는 도구로, 갈판에 곡식을 어느 정도 놓고 갈돌로 밀면 곡식의 껍질이 벗겨진다. 이 갈돌과 갈판은 농업의 시작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2nd row갈돌과 갈판은 곡식을 빻는데 쓰이는 도구로, 갈판에 곡식을 어느 정도 놓고 갈돌로 밀면 곡식의 껍질이 벗겨진다. 이 갈돌과 갈판은 농업의 시작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3rd row소주를 고아내는 소줏고리를 말한다.
4th row나무로 만든 공이. 주로 곡식을 찧거나 빻는 데 쓰며, 떡을 치기도 한다. 절구와 같이 쓰이는 것으로 이것 역시 곡식을 재배하였을 때부터 사용된 것으로 고대이후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br>일반적으로 돌절구에는 돌공이 쇠절구에는 쇠절구를 나무절구에는 나무공이를 사용한다.<br>공이의 재료나 모양도 절구에 못지 않게 다양하다. 나무공이는 위아래가 둥글고 손에 쥘 부분만 파내었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공이의 끝부분에 돌을 박아서 쓰기도 한다. 돌공이는 공이 끝에 나무자루를 박으므로 자루와 몸이 직각을 이룬다. 쇠공이 중에도 이러한 것이 있다.<br>
5th row사람의 힘으로 곡식을 찧거나, 양념을 빻을 때, 또는 메주를 찧거나 떡을 찧을 때에 쓰는 매이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134
 
1.3%
것으로 73
 
0.7%
70
 
0.7%
68
 
0.6%
만든 65
 
0.6%
60
 
0.6%
따라 52
 
0.5%
담는 50
 
0.5%
주로 45
 
0.4%
있는 42
 
0.4%
Other values (5523) 9951
93.8%
2024-03-14T21:31:42.37145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0463
 
21.8%
1251
 
2.6%
1122
 
2.3%
1020
 
2.1%
. 862
 
1.8%
793
 
1.6%
746
 
1.6%
697
 
1.4%
666
 
1.4%
) 596
 
1.2%
Other values (1299) 29880
62.1%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33717
70.1%
Space Separator 10464
 
21.8%
Other Punctuation 1527
 
3.2%
Close Punctuation 614
 
1.3%
Open Punctuation 614
 
1.3%
Lowercase Letter 428
 
0.9%
Math Symbol 419
 
0.9%
Decimal Number 229
 
0.5%
Modifier Symbol 36
 
0.1%
Dash Punctuation 15
 
< 0.1%
Other values (4) 33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251
 
3.7%
1122
 
3.3%
1020
 
3.0%
793
 
2.4%
746
 
2.2%
697
 
2.1%
666
 
2.0%
524
 
1.6%
521
 
1.5%
493
 
1.5%
Other values (1253) 25884
76.8%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60
26.2%
0 33
14.4%
2 31
13.5%
3 29
12.7%
5 21
 
9.2%
4 17
 
7.4%
9 13
 
5.7%
7 11
 
4.8%
8 9
 
3.9%
6 5
 
2.2%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62
56.5%
, 455
29.8%
· 191
 
12.5%
" 16
 
1.0%
1
 
0.1%
; 1
 
0.1%
: 1
 
0.1%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96
97.1%
] 9
 
1.5%
4
 
0.7%
4
 
0.7%
1
 
0.2%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96
97.1%
[ 9
 
1.5%
4
 
0.7%
4
 
0.7%
1
 
0.2%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205
48.9%
> 204
48.7%
4
 
1.0%
3
 
0.7%
3
 
0.7%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r 200
46.7%
b 200
46.7%
m 16
 
3.7%
c 12
 
2.8%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8
80.0%
1
 
10.0%
° 1
 
1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0463
> 99.9%
  1
 
< 0.1%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36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5
100.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1
100.0%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1
100.0%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X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32239
67.0%
Common 13950
29.0%
Han 1478
 
3.1%
Latin 429
 
0.9%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251
 
3.9%
1122
 
3.5%
1020
 
3.2%
793
 
2.5%
746
 
2.3%
697
 
2.2%
666
 
2.1%
524
 
1.6%
521
 
1.6%
493
 
1.5%
Other values (786) 24406
75.7%
Han
ValueCountFrequency (%)
72
 
4.9%
48
 
3.2%
40
 
2.7%
32
 
2.2%
28
 
1.9%
28
 
1.9%
28
 
1.9%
26
 
1.8%
24
 
1.6%
19
 
1.3%
Other values (457) 1133
76.7%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0463
75.0%
. 862
 
6.2%
) 596
 
4.3%
( 596
 
4.3%
, 455
 
3.3%
< 205
 
1.5%
> 204
 
1.5%
· 191
 
1.4%
1 60
 
0.4%
´ 36
 
0.3%
Other values (31) 282
 
2.0%
Latin
ValueCountFrequency (%)
r 200
46.6%
b 200
46.6%
m 16
 
3.7%
c 12
 
2.8%
X 1
 
0.2%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32216
67.0%
ASCII 14090
29.3%
CJK 1463
 
3.0%
None 248
 
0.5%
Compat Jamo 23
 
< 0.1%
Punctuation 22
 
< 0.1%
CJK Compat Ideographs 15
 
< 0.1%
Math Operators 10
 
< 0.1%
CJK Compat 8
 
< 0.1%
Geometric Shapes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0463
74.3%
. 862
 
6.1%
) 596
 
4.2%
( 596
 
4.2%
, 455
 
3.2%
< 205
 
1.5%
> 204
 
1.4%
r 200
 
1.4%
b 200
 
1.4%
1 60
 
0.4%
Other values (18) 249
 
1.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251
 
3.9%
1122
 
3.5%
1020
 
3.2%
793
 
2.5%
746
 
2.3%
697
 
2.2%
666
 
2.1%
524
 
1.6%
521
 
1.6%
493
 
1.5%
Other values (785) 24383
75.7%
None
ValueCountFrequency (%)
· 191
77.0%
´ 36
 
14.5%
4
 
1.6%
4
 
1.6%
4
 
1.6%
4
 
1.6%
1
 
0.4%
1
 
0.4%
  1
 
0.4%
1
 
0.4%
CJK
ValueCountFrequency (%)
72
 
4.9%
48
 
3.3%
40
 
2.7%
32
 
2.2%
28
 
1.9%
28
 
1.9%
28
 
1.9%
26
 
1.8%
24
 
1.6%
19
 
1.3%
Other values (447) 1118
76.4%
Compat Jamo
ValueCountFrequency (%)
23
100.0%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1
50.0%
11
5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8
100.0%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4
40.0%
3
30.0%
3
30.0%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4
26.7%
2
13.3%
2
13.3%
1
 
6.7%
1
 
6.7%
1
 
6.7%
1
 
6.7%
1
 
6.7%
1
 
6.7%
1
 
6.7%
Geometric Shapes
ValueCountFrequency (%)
1
100.0%

자료제공
Categorical

Distinct7
Distinct (%)3.5%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7 KiB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
78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김포다도박물관
37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전주박물관
28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원광대학교박물관
22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민속박물관
17 
Other values (2)
17 

Length

Max length23
Median length23
Mean length22.527638
Min length17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전주박물관
2nd row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전주박물관
3rd row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전주전통술박물관
4th row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
5th row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 78
39.2%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김포다도박물관 37
18.6%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전주박물관 28
 
14.1%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원광대학교박물관 22
 
11.1%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민속박물관 17
 
8.5%
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전주전통술박물관 15
 
7.5%
사진자료 제공 : 김포다도박물관 2
 
1.0%

Length

2024-03-14T21:31:42.60253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4-03-14T21:31:42.82701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제공 199
16.7%
199
16.7%
사진 197
16.6%
197
16.6%
설명자료 197
16.6%
우석대학교박물관 78
 
6.6%
김포다도박물관 39
 
3.3%
국립전주박물관 28
 
2.4%
원광대학교박물관 22
 
1.8%
국립민속박물관 17
 
1.4%
Other values (2) 17
 
1.4%

재질
Categorical

Distinct50
Distinct (%)25.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7 KiB
<NA>
55 
금속(金屬) 동합금제(銅合金製)
17 
나무(나무)
14 
토제(土製) 경질(硬質)
14 
도자기(陶磁器) 기타(其他)
10 
Other values (45)
89 

Length

Max length32
Median length24
Mean length11.58794
Min length4

Unique

Unique30 ?
Unique (%)15.1%

Sample

1st row<NA>
2nd row석(石) 화강암(花崗岩)
3rd row<NA>
4th row나무(나무) 소나무(소나무)
5th row나무(나무)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NA> 55
27.6%
금속(金屬) 동합금제(銅合金製) 17
 
8.5%
나무(나무) 14
 
7.0%
토제(土製) 경질(硬質) 14
 
7.0%
도자기(陶磁器) 기타(其他) 10
 
5.0%
토제(土製) 연질(軟質) 10
 
5.0%
도자기(陶磁器) 백자(白磁) 9
 
4.5%
금속(金屬) 5
 
2.5%
금속(金屬) 철제(鐵製) 5
 
2.5%
나무(나무) 소나무(소나무) 5
 
2.5%
Other values (40) 55
27.6%

Length

2024-03-14T21:31:43.21643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na 55
16.7%
나무(나무 48
14.6%
금속(金屬 34
10.3%
도자기(陶磁器 32
9.7%
토제(土製 27
8.2%
동합금제(銅合金製 20
 
6.1%
기타(其他 15
 
4.6%
경질(硬質 14
 
4.3%
연질(軟質 11
 
3.3%
백자(白磁 9
 
2.7%
Other values (29) 64
19.5%

Interactions

2024-03-14T21:31:33.33614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Correlations

2024-03-14T21:31:43.45635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고유값(X)자료제공재질
고유값(X)1.0000.7150.775
자료제공0.7151.0000.842
재질0.7750.8421.000
2024-03-14T21:31:43.69597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재질자료제공
재질1.0000.491
자료제공0.4911.000
2024-03-14T21:31:43.92710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고유값(X)자료제공재질
고유값(X)1.0000.4630.339
자료제공0.4631.0000.491
재질0.3390.4911.000

Missing values

2024-03-14T21:31:33.69387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4-03-14T21:31:34.05287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Sample

고유값(X)유물명크기상세설명자료제공재질
01갈돌<NA>갈돌과 갈판은 곡식을 빻는데 쓰이는 도구로, 갈판에 곡식을 어느 정도 놓고 갈돌로 밀면 곡식의 껍질이 벗겨진다. 이 갈돌과 갈판은 농업의 시작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유물이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전주박물관<NA>
12갈판<NA>갈돌과 갈판은 곡식을 빻는데 쓰이는 도구로, 갈판에 곡식을 어느 정도 놓고 갈돌로 밀면 곡식의 껍질이 벗겨진다. 이 갈돌과 갈판은 농업의 시작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유물이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전주박물관석(石) 화강암(花崗岩)
23고소리<NA>소주를 고아내는 소줏고리를 말한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전주전통술박물관<NA>
34공이너비 : 8 cm / 길이 : 69 cm나무로 만든 공이. 주로 곡식을 찧거나 빻는 데 쓰며, 떡을 치기도 한다. 절구와 같이 쓰이는 것으로 이것 역시 곡식을 재배하였을 때부터 사용된 것으로 고대이후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br>일반적으로 돌절구에는 돌공이 쇠절구에는 쇠절구를 나무절구에는 나무공이를 사용한다.<br>공이의 재료나 모양도 절구에 못지 않게 다양하다. 나무공이는 위아래가 둥글고 손에 쥘 부분만 파내었다. 또, 지역에 따라서는 공이의 끝부분에 돌을 박아서 쓰기도 한다. 돌공이는 공이 끝에 나무자루를 박으므로 자루와 몸이 직각을 이룬다. 쇠공이 중에도 이러한 것이 있다.<br>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나무(나무) 소나무(소나무)
45나무절구높이 : 49 cm / 지름 : 59 츠사람의 힘으로 곡식을 찧거나, 양념을 빻을 때, 또는 메주를 찧거나 떡을 찧을 때에 쓰는 매이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나무(나무)
56누룩틀<NA>술 담글때 쓰는 발효제인 누룩을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 내는 틀이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전주전통술박물관<NA>
67다식판높이 : 5.2 cm / 세로 : 4.7 cm / 가로 : 35.2 cm다식의 모양을 박아낼 때 쓰는 용구이다.<br>고려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br>길쭉하고 단단한 나무 조각의 위·아래에 다식 모양을 파낸 것과 한 조각에 구멍을 파낸 것도 있으며, 각재에 원형·화형·물고기 등을 음각으로 파낸 하나의 판으로 된 것도 있다. 이들 다식판과 약과판은 조선시대 각 가정의 상비용구였다. 즉, 제례·혼례·회갑연 등의 행사가 있을 때면 으레 다식이나 약과를 만들었으므로 이들 용구는 대를 물리면서 보관, 사용하였다. 따라서, 어떠한 것에는 다식판을 만든 날이나 주인의 이름이 새겨져 있고, 이것을 남에게 빌려주지 말라는 글귀를 새긴 것도 있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나무(나무) 박달나무(박달나무)
78두제기<NA>젖은 안주를 담는 그릇이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전주전통술박물관<NA>
89떡판높이 : 22.4 cm / 세로 : 63 cm / 가로 : 134.5 cm떡판은 떡을 만드는 과정에서 쓰이는 것으로 떡판의 기름틀의 한부분으로 기름떡을 올려놓는 판을 말한다. 2개의 기둥나무로 ´井´자처럼 만들어 네모진 구멍의 위 아래에 떡판과 기름챗날을 끼운다. 떡판에 기름떡을 넣고 기름챗날에 힘을 주어 누르거나 무거운 물건을 얹어놓는다. 가로대 아래의 것은 떡판의 침목이 되고 위의 것은 기름챗날의 지렛목이 된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나무(나무)
910<NA>곡식의 량을 재는 도구이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전주전통술박물관<NA>
고유값(X)유물명크기상세설명자료제공재질
189191쇠뿔손잡이시루입지름(입지름) : 15.2 cm / 입지름(입지름) : 15.2 cm / 몸통지름(몸통지름) : 18.4 cm / 바닥지름(바닥지름) : 10.5 cm / 최대지름(最大지름) : 29 cm / 높이(높이) : 22.5 cm시루는 음식물은 찌는데 사용하는 용기(容器)이다.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시루는 주로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 중기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어서 이 시기에서부터 시루를 사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가장 오래된 시루는 나진(羅津) 초도패총에서 출토된 것과 산청 옥산리 출토품 등이 있다. 수증기의 원리를 이용한 이러한 시루의 등장으로 비로소 찐밥과 떡 등의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시루는 파손된 것을 수리하여 복원하였는데 쇠뿔형 손잡이(牛角形把手)가 양쪽에 부착되어 있다. 몸체는 깊은바루형(深鉢形)을 보이며, 바닥은 평평한데 지름 평균 0.5cm 내외의 구멍 70여개를 뚫었다. 태토(胎土)는 가는 사립(砂粒)이 섞인 점토질(粘土質)로 성형 후 그릇 표면을 정면하여 구웠으나 오랜 시간의 경과로 정면한 것이 박락되어 기면(器面)이 거칠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원광대학교박물관토제(土製) 연질(軟質)
190192옹기솥높이 : 17.5 cm / 지름 : 36.5 cm음식을 끓이는 그릇. 솥은 물·국 등을 끓이고 밥을 짓는 데 쓰는 그릇으로 가장 중요한 부엌살림의 하나이다.<br>우리 나라에서 솥이 사용된 시기는 삼국시대 이전부터로 추측된다. 낙랑9호고분에서 토기로 만든 솥이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고구려시대의 고분벽화에는 입식 주방에 솥이 걸리고 그 위에 시루가 얹혀 있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삼국시대 후기의 고분인 경주98호고분이나 가야고분 등에서는 무쇠로 만든 다리가 있는 솥이 나왔다. 무쇠로 만든 솥의 보급은 삼국시대 후기에 이르러 시작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br>솥은 용도에 따라 물솥·밥솥·국솥·쇠죽솥으로도 부르며, 크기에 따라 큰솥·중솥·작은솥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식사할 때 꼭 국이 필요하여 여러 종류의 국들이 발달하였거니와 국을 끓이는 데도 뼈나 내장 등의 동물성 식품을 오래 고아야 하는 음식에세는 이 옹가 솥만큼 좋은 것이 없다. 은근한 불을 문화(文火)라고 부르고 맹렬한 불을 무화(武火)라고 부르는데 이 문화라 일컫는 은근한 불에 뼈나 내장을 한절 또는 하루내내 푹 고아내는 그릇에는 옹기솥이 적합하다.<br>솥은 한 가정의 주방을 대표하는 용구이므로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를 할 때에는 우선 부뚜막에 솥부터 건다.<br>이와 같이 부뚜막에 솥을 거는 행위는 살림을 차리는 일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행에서 한 가족이나 한 집에서 오랫동안 함께 산 사람을 가리켜 ‘한솥밥을 먹은 사이’라고 말한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도자기(陶磁器) 기타(其他)
191193옹기시루입지름(입지름) : 62.8 cm / 입지름(입지름) : 62.8 cm / 바닥지름(바닥지름) : 45 cm / 높이(높이) : 40 cm일반 가정(家庭)에서 사용하는 것 보다 매우 큰 형태의 시루로서 대개 술도가에서 술밥을 찌거나 할 때 사용(使用)한다. 바닥 가운데에 커다란 구멍을 두고 주위에 이 보다 작은 구멍 4개를 두었다. 이는 쌀이나 떡을 찔 때 뜨거운 수증기가 여기를 통해 올라와 안의 음식물(飮食物)을 익게하는 역할(役割)을 한다. 내부의 음식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이 구멍에 시루밑을 깔며, 시루방석이라고 하여 짚으로 결은 것을 뚜껑으로 덮는다. 몸체에는 너벙꼭지형태로 2쌍의 손잡이가 부착(附着)되었으며, 짙은 갈색유(褐色釉)를 전면(全面)에 바른 후 아가리는 훑어내고 구웠는데 발색(發色)도 곱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원광대학교박물관도자기(陶磁器) 기타(其他)
192194이남박높이 : 13 cm / 입지름 : 32 cm함지박의 한가지로 쌀 따위의 곡물을 씻거나 일 때에 쓴다.<br>이남박은 바가지와 같이 음식물을 담거나 담아서 씻는 기능을 한다.<br> 크기는 일정하지 않으나 굵은 통나무를 사용하는데 대체로 윗지름 30∼70㎝, 깊이 15㎝, 바닥지름 15∼19㎝ 가량이고, 안쪽에는 여러 줄의 골이 가늘게 패어 있다. 따라서 쌀을 씻을 때 골이 진 부분에서 가벼운 마찰이 생겨 깨끗이 씻을 수 있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나무(나무) 등나무(등나무)
193195전골냄비지름 : 27 cm / 높이 : 8.8 cm / 안지름 : 14.4 cm전골을 만들 때 사용하는 편평하며 밑이 우묵한 그릇. 전골은 여러가지 재료를 전골냄비에 색을 맞추어 담고 간을 한 육수를 부어서 끓여 만든 음식을 말한다.<br>전골이란 자법(煮法) 냄비 요리로서 찌개와 비슷하면서도 찌개가 각각 주된 한 가지를 가지고 만드는데 비하여, 전골은 들어가는 주재료에 따라 이름이 붙기는 하나, 여러 가지 재료를 함께 끓이는 점이 다르다. 전골은 즉석요리의 하나로서 불에 냄비를 얹어놓고 조리하면서 먹는 것이 특징이며, 냄비 하나를 둘러싸고 여럿이 함께 먹으니 친밀감을 주고 또 난로가 있어서 난방의 구실을 하기도 한다.<br>장지연(張志淵)은 《만국사물기원역사(萬國事物紀原歷史)》에서 "전골(氈骨)은 상고시대 진중 군사들이 머리에 쓰는 전립을 철로 만들어 썼기 때문에 진중에서는 기구가 없었으므로 자기가 쓴 철관을 벗어 음식을 끓여 먹던 것이 습관이 되어 여염집에서도 냄비를 전립 모양으로 만들어 고기와 채소를 넣어 끓여 먹는 것을 전골이라고 하여왔다."고 그 유래를 설명하였고,《경도잡지(京都雜誌)》에서는 "냄비 이름에 전립투(氈笠套)라는 것이 있는데 그 모양이 벙거지 같다고 하여 이러한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채소는 그 가운데 움푹하게 들어간 부분에다 넣어서 데치고 변두리의 편평한 곳에서 고기를 굽는데 술안주나 반찬에 모두 좋다."고 하였다.<br> 전골의 종류는 각색전골·굴전골·낙지전골·노루전골·대합전골·두부전골·버섯전골·채소전골 등 들어가는 주재료에 따라 다양하다. 전골냄비를 올려놓는 전골상이 따로 놓이는 경우도 있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민속박물관금속(金屬) 동합금제(銅合金製)
194196조리길이 : 53 cm / 너비 : 20 cm쌀을 일어 돌을 걸러내는 데 쓰이는 주방용구. 가는 대오리를 국자 모양으로 결어서 만든다. 물에 담근 쌀을 일정한 방향으로 일면 쌀알이 떠오르면서 조리 안에 담기고, 무거운 돌은 밑으로 가라앉는다.<br>가는 대오리·싸리 등을 이용하여 조그만 삼태기 모양으로 결어서 만들고 한쪽에 손잡이를 단다. 옛날에는 싸릿대의 속대를 엮어서 만들고 아침 저녁으로 쌀을 이는 데 썼다. 조리는 필요한 물질을 거르고 나쁜 것은 따로 분리하기 때문에 예로부터 사람들은 자기 집에 복이 들기를 기원하여 조리 쌍을 엇걸어 잡아매고, 한두개의 엽전을 담아 대청이나 안방 머리에 걸어놓았다. 이를 복조리라고 불렀는데, 정월 보름이면 상인들이 붉은 실로 묶은 복조리를 들고 다니며 팔았고, 사는 쪽에서는 값을 깎지 않고 사서 1년 내내 걸어두었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나무(나무) 대나무(대나무)
195197나무주걱너비 : 15 cm / 길이 : 71.8 cm밥 따위를 그릇에 퍼 담을 때 쓰는 용구로 동글납작한 바탕에 자루가 달려 있다. 주걱은 처음에는 나무로 만들어졌으나, 고려시대에 이르러 그 재료가 놋쇠로 바뀌었다. <br>조선시대에 와서는 주걱의 용도가 밥을 푸는 일 외에, 고추장을 담글 때 쓰이는 등 사용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나무나 대나무로도 만들고 놋쇠로도 만들었다. 곧 밥을 푸는 주걱은 놋쇠나 대나무로 된 것을 사용하였고, 고추장 등을 담글 때는 나무로 된 대형 주걱을 사용하였던 것이다. <br>한편, 주걱으로 밥을 풀 때는 밥을 들이 푸는 것이 우리네 관습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밥을 들이 푼다는 것은 솥 안의 밥을 주걱으로 풀 때 집의 안쪽을 향해서 푸는 것을 뜻한다. 이것은 복이 집 밖으로 달아나지 못하게 하려는 뜻이 담겨 있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우석대학교박물관나무(나무)
196198철제삼족정전체높이 : 28 cm / 전체높이 : 28 cm / 입지름 : 21.2 cm / 뚜껑높이 : 8.1 cm / 뚜껑지름 : 26.1 cm / 몸통지름 : 30 cm / 굽높이 : 1 cm세발달린 솥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전주박물관금속(金屬) 철제(鐵製)
197199목안길이 : 30 cm혼례시 친영례에서 교배례에 앞서 치러지는 전안례에 사용되는 의물(儀物). 원래는 산 기러기를 썼으나 번거로워 나무로 만든 기러기로 대신하였다고 하는데 ´전안(奠雁)´이라고도 한다.<br> 전안례는 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처음 행하는 의례이다. 신랑에 앞서 ´기럭아범´이 머리에 색실을 두른 나무 기러기를 보자기에 싸서 들고 가며, 신부집에 도착하면 신랑은 기러기를 받아 전안상(奠雁床)에 바치고 절을 한다. 그러면 신부어머니가 치마에 감춰 안으로 들여간다.<br> 목안(木雁)은 살아있는 기러기를 대신하는 것으로 대개 나무를 깎아 만드는데 형상 때문에 ´오리´라 부르기도 한다. 머리는 제몸과 같이 만들기도 하나 따로 만들어 몸통에 구멍을 파 끼워 사용하기도 한다. 아무런 장식을 하지 않고 머리와 날개부분만을 조각하는데 더러는 색칠한 기러기도 있다.<br> 기러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옛 문헌에는 "기러기는 때에 맞춰 남북으로 그 절기를 놓치지 않고 다니니 여자도 혼기를 놓쳐서는 안되고, 또 기러기는 날을 때나 멈출 때 행렬을 이루니 혼인에도 장유유서의 순으로 추월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라 하였다. 또한 "기러기가 절기에 따라 남북으로 나는 것은 남자는 양이고 여자는 음이니 음양에 순응하여 부인은 남편을 따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즉 질서와 의리를 따르는 기러기의 속성을 중히 여긴 것이며, 한편으론 제 짝이 죽으면 다른 상대를 찾지 않고 따라 죽거나 평생을 혼자 사는 새로 여겨 이를 상징성으로 삼은 것이다.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민속박물관나무(나무) ()
198200사선길이 : 42 cm / 너비 : 46 cm얼굴을 가리는 가리개. 혼례 때, 신랑이 말을 타거나 걷는 동안 얼굴을 가리기 위해 사용하는 가리개이다. 기원전 3·4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경남 의창군 다호리의 고분에서 출토된 옻칠이 된 부채자루와 안악 3호 고분벽화, 고려 불화 등에서 나타나는 부채 그림에서, 부채 사용의 역사가 오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br> 우리나라에서 부채는 여름철뿐만 아니라 다른 계절에도 여러 가지 용도로 긴요하게 사용된 일상용품이었다. 초기의 부채는 소철이나 파초 잎을 말려서 사용했으며, 시간이 지나 새의 깃털을 사용하게 되면서 부채의 모양을 갖춘 것으로 짐작된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점차 비단이나 가죽과 같은 재료로 부채를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고, 종이의 발명과 함께 종이부채가 나타나면서 우리나라에서 부채는 빼놓을 수 없는 일상용품이 되었고, 그 모양과 종류도 다양하게 발달했다.<br> 부채는 일반적으로 자루가 달린 둥근 모양의 방구부채와 선면(바람을 일으키는 부채의 면)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접선으로 나누어진다. 방구부채는 기본적으로 둥근 모양을 하고 있지만 점차 선면의 모양이 다양해져서, 그 모양과 문양에 따라 각각 이름을 달리한다. 접선은 부챗살과 부채 가장자리의 갓대를 결합하여 접었다 폈다 할 수 있게 만든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여 쥘부채라고도 한다. 방구부채가 서민적인 것인데 비해 접선은 귀족적 취향의 부채다. 이 외에 부채로 분류되지만, 특별한 용도로 쓰이는 특별한 재료와 모양을 가진 부채를 별선이라고 하는데, 차면선·혼선(婚扇)·파초선·윤선·팔덕선·무선·드림부채 등이 이에 속한다.<br>사선(紗扇)은 별선에 속하는 차면선(遮面扇)의 일종이다. 차면선은 얼굴을 가리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청색과 홍색 두 가지가 있고, 이 중 청색 차면선을 사선이라 한다. 사선은 청색의 얇은 명주나 비단을 두 막대기 사이에 대어서 만드는데, 안에서는 밖을 볼 수 있으나 상대편에서는 안을 볼 수 없게 되어 있다. 양반들이 걷거나 말을 타고 갈 때 사용했던 것인데, 일반적으로 혼례 때 신랑이 사용했다. 홍색 차면선은 그 모사진 및 설명자료 제공 : 국립민속박물관사직(絲織) 견(絹) 나무(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