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17
Number of observations22
Missing cells143
Missing cells (%)38.2%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3.1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142.0 B

Variable types

Categorical1
Text16

Dataset

Description충청남도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향토 문화제, 행사 등 지역 문화유산 정보입니다.
Author충청남도
URLhttps://alldam.chungnam.go.kr/index.chungnam?menuCd=DOM_000000201001001001&st=&cds=&orgCd=&apiType=&isOpen=Y&pageIndex=62&beforeMenuCd=DOM_000000201001001000&publicdatapk=15110412

Alerts

특성 has constant value ""Constant
보존및계승 has constant value ""Constant
분류 is highly imbalanced (55.8%)Imbalance
관리자 has 9 (40.9%) missing valuesMissing
자원 has 18 (81.8%) missing valuesMissing
분포및생산조건 has 20 (90.9%) missing valuesMissing
내용 has 2 (9.1%) missing valuesMissing
특성 has 21 (95.5%) missing valuesMissing
상표 has 20 (90.9%) missing valuesMissing
포장 has 20 (90.9%) missing valuesMissing
찾아가는길 has 2 (9.1%) missing valuesMissing
보존및계승 has 21 (95.5%) missing valuesMissing
관람비 has 5 (22.7%) missing valuesMissing
이용가능시간 has 5 (22.7%) missing valuesMissing
명칭 has unique valuesUnique
명칭의유래 has unique valuesUnique
형성배경 has unique valuesUnique
경위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4-01-09 22:51:35.185982
Analysis finished2024-01-09 22:51:37.403361
Duration2.22 seconds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분류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3
Distinct (%)13.6%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08.0 B
향토유적
19 
민요/춤
놀이,여가생활분야
 
1

Length

Max length9
Median length4
Mean length4.2272727
Min length4

Unique

Unique1 ?
Unique (%)4.5%

Sample

1st row놀이,여가생활분야
2nd row향토유적
3rd row향토유적
4th row향토유적
5th row향토유적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향토유적 19
86.4%
민요/춤 2
 
9.1%
놀이,여가생활분야 1
 
4.5%

Length

2024-01-10T07:51:37.45869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4-01-10T07:51:37.55080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향토유적 19
86.4%
민요/춤 2
 
9.1%
놀이,여가생활분야 1
 
4.5%
Distinct12
Distinct (%)54.5%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37.66999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3
Median length3
Mean length3
Min length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66
Distinct characters22
Distinct categories1 ?
Distinct scripts1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6 ?
Unique (%)27.3%

Sample

1st row공주시
2nd row천안시
3rd row서천군
4th row서천군
5th row천안시
ValueCountFrequency (%)
천안시 3
13.6%
서천군 3
13.6%
예산군 3
13.6%
부여군 3
13.6%
홍성군 2
9.1%
연기군 2
9.1%
공주시 1
 
4.5%
금산군 1
 
4.5%
당진시 1
 
4.5%
논산시 1
 
4.5%
Other values (2) 2
9.1%
2024-01-10T07:51:38.14023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4
21.2%
8
12.1%
6
 
9.1%
6
 
9.1%
3
 
4.5%
3
 
4.5%
3
 
4.5%
3
 
4.5%
3
 
4.5%
2
 
3.0%
Other values (12) 15
22.7%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66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4
21.2%
8
12.1%
6
 
9.1%
6
 
9.1%
3
 
4.5%
3
 
4.5%
3
 
4.5%
3
 
4.5%
3
 
4.5%
2
 
3.0%
Other values (12) 15
22.7%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6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4
21.2%
8
12.1%
6
 
9.1%
6
 
9.1%
3
 
4.5%
3
 
4.5%
3
 
4.5%
3
 
4.5%
3
 
4.5%
2
 
3.0%
Other values (12) 15
22.7%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6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4
21.2%
8
12.1%
6
 
9.1%
6
 
9.1%
3
 
4.5%
3
 
4.5%
3
 
4.5%
3
 
4.5%
3
 
4.5%
2
 
3.0%
Other values (12) 15
22.7%

명칭
Text

UNIQUE 

Distinct22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38.31447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0
Median length10
Mean length6.2727273
Min length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38
Distinct characters92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4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2 ?
Unique (%)100.0%

Sample

1st row'각'(覺)자 목탁
2nd row각원사(청동대좌불)
3rd row마량포구
4th row문헌서원(文獻書院)
5th row위례산성
ValueCountFrequency (%)
각'(覺)자 1
 
3.6%
목탁 1
 
3.6%
아산현충사 1
 
3.6%
성주사지 1
 
3.6%
노성두레풍장 1
 
3.6%
솔뫼성지 1
 
3.6%
백제금동대향로 1
 
3.6%
낙화암 1
 
3.6%
박물관 1
 
3.6%
부여 1
 
3.6%
Other values (18) 18
64.3%
2024-01-10T07:51:38.61672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7
 
5.1%
7
 
5.1%
7
 
5.1%
( 6
 
4.3%
) 6
 
4.3%
3
 
2.2%
3
 
2.2%
3
 
2.2%
' 2
 
1.4%
2
 
1.4%
Other values (82) 92
66.7%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17
84.8%
Space Separator 7
 
5.1%
Open Punctuation 6
 
4.3%
Close Punctuation 6
 
4.3%
Other Punctuation 2
 
1.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7
 
6.0%
7
 
6.0%
3
 
2.6%
3
 
2.6%
3
 
2.6%
2
 
1.7%
2
 
1.7%
2
 
1.7%
2
 
1.7%
2
 
1.7%
Other values (78) 84
71.8%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7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
100.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04
75.4%
Common 21
 
15.2%
Han 13
 
9.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7
 
6.7%
7
 
6.7%
3
 
2.9%
3
 
2.9%
3
 
2.9%
2
 
1.9%
2
 
1.9%
2
 
1.9%
2
 
1.9%
2
 
1.9%
Other values (65) 71
68.3%
Han
ValueCountFrequency (%)
1
 
7.7%
1
 
7.7%
1
 
7.7%
1
 
7.7%
1
 
7.7%
1
 
7.7%
1
 
7.7%
1
 
7.7%
1
 
7.7%
1
 
7.7%
Other values (3) 3
23.1%
Common
ValueCountFrequency (%)
7
33.3%
( 6
28.6%
) 6
28.6%
' 2
 
9.5%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04
75.4%
ASCII 21
 
15.2%
CJK 12
 
8.7%
CJK Compat Ideographs 1
 
0.7%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Hangul
ValueCountFrequency (%)
7
 
6.7%
7
 
6.7%
3
 
2.9%
3
 
2.9%
3
 
2.9%
2
 
1.9%
2
 
1.9%
2
 
1.9%
2
 
1.9%
2
 
1.9%
Other values (65) 71
68.3%
ASCII
ValueCountFrequency (%)
7
33.3%
( 6
28.6%
) 6
28.6%
' 2
 
9.5%
CJK
ValueCountFrequency (%)
1
8.3%
1
8.3%
1
8.3%
1
8.3%
1
8.3%
1
8.3%
1
8.3%
1
8.3%
1
8.3%
1
8.3%
Other values (2) 2
16.7%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
100.0%

관리자
Text

MISSING 

Distinct13
Distinct (%)100.0%
Missing9
Missing (%)40.9%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38.77173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9
Median length8
Mean length5.3076923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69
Distinct characters53
Distinct categories2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3 ?
Unique (%)100.0%

Sample

1st row공문수
2nd row주지스님 신법인
3rd row천안시 사적관리소
4th row결성농요 보존회
5th row박정량과 전승업
ValueCountFrequency (%)
공문수 1
 
5.6%
주지스님 1
 
5.6%
보령시 1
 
5.6%
대전교구 1
 
5.6%
천주교 1
 
5.6%
국립중앙박물관 1
 
5.6%
낙화암 1
 
5.6%
부여군 1
 
5.6%
연기군청 1
 
5.6%
예산군 1
 
5.6%
Other values (8) 8
44.4%
2024-01-10T07:51:39.03361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
 
7.2%
3
 
4.3%
2
 
2.9%
2
 
2.9%
2
 
2.9%
2
 
2.9%
2
 
2.9%
2
 
2.9%
2
 
2.9%
2
 
2.9%
Other values (43) 45
65.2%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64
92.8%
Space Separator 5
 
7.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
 
4.7%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Other values (42) 43
67.2%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5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4
92.8%
Common 5
 
7.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
 
4.7%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Other values (42) 43
67.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5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4
92.8%
ASCII 5
 
7.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5
100.0%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
 
4.7%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2
 
3.1%
Other values (42) 43
67.2%

명칭의유래
Text

UNIQUE 

Distinct22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39.29790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420.5
Mean length475.54545
Min length117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0462
Distinct characters660
Distinct categories9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6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2 ?
Unique (%)100.0%

Sample

1st row각'자 목탁에 대한 이름이 언제, 어떻게 붙여졌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공문수씨의 할아버지인 공덕준 스님은 직접 목탁을 만들면서 목탁에다 자신의 법명인 '각'자를 새겨 넣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2nd row고려 태조 왕건의 전설이 깃든 태조 산은 '삼국의 중심이요 일방 요충지지'라고 하여 오룡쟁주의 세로서 이 땅에 만약 삼천호읍을 설치하여 군사를 훈련하면 백제가 장차 항복하리라 하여 태조가 친히 산에 올라 두루 살피고 비로소 천안부를 설치하였다 하여 태조산이라 칭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태조 왕건이 삼국 통일의 대업을 이루기 위하여 준비하고 훈련하던 곳이 바로 이곳이다. 태조산 서쪽에는 동양최대의 좌불상인 청동대좌불과 각원사가 건축되어 있다. 각원사(覺願寺)는 이 절의 주지스님께서 직접 지은 이름이며, 그 뜻은 깨닫고 원하는 바를 이루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3rd row마량리는 백제 때 비중현에 속한 해변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서림군 영현인 비비현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임천의 비인현 소속이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에 비인현의에 동백꽃이 많이 피는 곳으로 알려졌으며, 고려 말부터 왜적의 침입이 잦았던 곳으로 조선 세종 때는 병선이 자주 정박했었다 한다. 지형이 마른 말과 같다는 설이 있으며 조선 말 비인군 서면의 지역으로 효종 7년(1656)에 남포현에 있던 충청수군 마량진을 이곳에 옮겨와서 마량진 또는 마량리라 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혁에 따라 마량리라 해서 서천군 서면에 편입되었다.
4th row영모리는 문헌서원이 자리잡고 있는 유서 깊은 마을이다. 고려 때 성리학자 목은 이색이 8세 때부터 12세 때까지 공부했던 영모암이 있어 영모암 혹은 영모라 하였다. 마을 아랫녘 입구에는 한산 팔경에 송정암송으로 나오는 숭정산이 소나무와 괴석이 어우러진 절묘한 경치를 연출하고 있어 마을의 경관을 더하고 있다. 문헌서원은 고려의 성리학자인 목은 이색과 그의 부친 가정 이곡 선생을 비롯하여 단종 때 사육신의 한사람인 이개 등 6위를 배향한 서원으로, 선조25년(1592) 임진왜란 때 한산군수(이성중)가 건립, 이색을 모신 효정사(孝靖祠)가 소실된 후 광해2년(1610) 좌의정 이덕성에 의해 한산면 죽촌리에 이건하고 다음해(1611)에 문헌(文獻)이라는 이름이 내려졌다. 그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고종8년(1871)에 서원이 철폐되었는데 고종 28(1891)년에 그 자리에 단을 세웠다가 옛터 죽촌리에 재건하기가 어려워 현 위치에 1969년에 재건하여 매년 춘·추(春秋) 중정일에 제향하고 있다.
5th row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직산위례성이라고 불리워지고 있는 이곳은 백제의 시조 온조왕이 처음으로 나라를 세운 곳으로 475년 (문주왕 1)까지의 도읍지였다. '위(尉 : 上=太陽)'는 천제(天帝)를 뜻하는 말이고, '례(禮)'는 무리를 뜻하는 여(黎.輿)자 대신에 사용된 글자이다. 즉 위례성은 천제의 아들 무리가 사는 성이라는 뜻이다. 온조는 마한의 제후로 있을 때는 위례라는 칭호를 사용하지 못하다가 마한에게 복속 하지 않고 부터 위례라는 칭호를 다시 사용하였다. 고구려의 위나암성(尉那巖成)은 '위'가 천제를 가르키고, '나(那)'는 들 또는 땅이라는 뜻으로 위나암성(尉那巖成)은 천제의 아들이 사는 성 즉 수도라는 뜻이다. 다시 신라가 이를 따라서 백성군의 영현으로 삼았으며 고려 초에 이르러 위례산성이라고 고쳤다.
ValueCountFrequency (%)
25
 
1.0%
21
 
0.9%
있다 20
 
0.8%
있는 16
 
0.7%
13
 
0.5%
11
 
0.5%
한다 10
 
0.4%
된다 10
 
0.4%
9
 
0.4%
고려 7
 
0.3%
Other values (1916) 2265
94.1%
2024-01-10T07:51:39.66986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389
 
22.8%
303
 
2.9%
201
 
1.9%
197
 
1.9%
191
 
1.8%
165
 
1.6%
. 159
 
1.5%
150
 
1.4%
132
 
1.3%
125
 
1.2%
Other values (650) 6450
61.7%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7337
70.1%
Space Separator 2389
 
22.8%
Decimal Number 326
 
3.1%
Other Punctuation 286
 
2.7%
Open Punctuation 57
 
0.5%
Close Punctuation 57
 
0.5%
Modifier Symbol 6
 
0.1%
Math Symbol 3
 
< 0.1%
Lowercase Letter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03
 
4.1%
201
 
2.7%
197
 
2.7%
191
 
2.6%
165
 
2.2%
150
 
2.0%
132
 
1.8%
125
 
1.7%
122
 
1.7%
109
 
1.5%
Other values (625) 5642
76.9%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92
28.2%
9 49
15.0%
0 37
11.3%
2 29
 
8.9%
8 27
 
8.3%
3 25
 
7.7%
7 21
 
6.4%
5 16
 
4.9%
4 15
 
4.6%
6 15
 
4.6%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59
55.6%
, 62
 
21.7%
' 46
 
16.1%
" 12
 
4.2%
· 4
 
1.4%
: 3
 
1.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6
98.2%
1
 
1.8%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6
98.2%
1
 
1.8%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2
66.7%
= 1
33.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389
100.0%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6
100.0%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7239
69.2%
Common 3124
29.9%
Han 98
 
0.9%
Latin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03
 
4.2%
201
 
2.8%
197
 
2.7%
191
 
2.6%
165
 
2.3%
150
 
2.1%
132
 
1.8%
125
 
1.7%
122
 
1.7%
109
 
1.5%
Other values (543) 5544
76.6%
Han
ValueCountFrequency (%)
4
 
4.1%
3
 
3.1%
3
 
3.1%
3
 
3.1%
2
 
2.0%
2
 
2.0%
2
 
2.0%
2
 
2.0%
2
 
2.0%
2
 
2.0%
Other values (72) 73
74.5%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389
76.5%
. 159
 
5.1%
1 92
 
2.9%
, 62
 
2.0%
( 56
 
1.8%
) 56
 
1.8%
9 49
 
1.6%
' 46
 
1.5%
0 37
 
1.2%
2 29
 
0.9%
Other values (14) 149
 
4.8%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1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7239
69.2%
ASCII 3117
29.8%
CJK 92
 
0.9%
None 6
 
0.1%
CJK Compat Ideographs 6
 
0.1%
Math Operators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389
76.6%
. 159
 
5.1%
1 92
 
3.0%
, 62
 
2.0%
( 56
 
1.8%
) 56
 
1.8%
9 49
 
1.6%
' 46
 
1.5%
0 37
 
1.2%
2 29
 
0.9%
Other values (11) 142
 
4.6%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03
 
4.2%
201
 
2.8%
197
 
2.7%
191
 
2.6%
165
 
2.3%
150
 
2.1%
132
 
1.8%
125
 
1.7%
122
 
1.7%
109
 
1.5%
Other values (543) 5544
76.6%
None
ValueCountFrequency (%)
· 4
66.7%
1
 
16.7%
1
 
16.7%
CJK
ValueCountFrequency (%)
4
 
4.3%
3
 
3.3%
3
 
3.3%
3
 
3.3%
2
 
2.2%
2
 
2.2%
2
 
2.2%
2
 
2.2%
2
 
2.2%
2
 
2.2%
Other values (66) 67
72.8%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2
100.0%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
16.7%
1
16.7%
1
16.7%
1
16.7%
1
16.7%
1
16.7%

형성배경
Text

UNIQUE 

Distinct22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39.98510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56
Median length137
Mean length129.18182
Min length3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842
Distinct characters385
Distinct categories9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5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2 ?
Unique (%)100.0%

Sample

1st row스님이었던 공문수씨의 할아버지가 자신의 목탁을 직접 만들어 쓰던 것이 계기가 되어 3대째 목탁을 생산하고 있다.
2nd row각원사 주지 신법인 스님은 국제포교사로서 일본에 주재해 있으면서 한국 땅에 동양최대의 대좌불을 세우고 온 겨레의 염원인 남북통일을 기원하는 사찰을 창건하고자 방방곡곡을 헤매던 중 명산인 이곳을 발견하고 대불사를 시작하게 되었다.
3rd row서해의 해돋이를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서면 마량포와 천연기념물 169호로 지정된 동백나무가 밀집되어 있는 동백나무 숲, 그리고 동백정, 인근 춘장대 해수욕장, 금강변 갈대숲과 철새도래지를 연계한 새로운 관광코스를 개발하고 이미지를 관광 상품화하기 위해 마량포구 해돋이 마을을 조성하게 되었다.
4th row문헌서원은 고려말 성리학의 대가인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 두 분을 배향하기 위하여 선조 27년(1594)에 이 곳에 건립되었는데 이 두 분과 이종학, 이자, 이개, 이종덕 등의 여섯 분의 위패를 모시고 봄, 가을 두 차례 제사를 지내고 있다.
5th row위례산성은 백제의 온조가 위례성의 백성들을 전란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축성한 산성으로 난시소용(亂時所用)이었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8
 
1.2%
위해 7
 
1.1%
있는 6
 
0.9%
6
 
0.9%
6
 
0.9%
되었다 6
 
0.9%
4
 
0.6%
백제의 4
 
0.6%
위하여 4
 
0.6%
3
 
0.5%
Other values (554) 598
91.7%
2024-01-10T07:51:40.38387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636
 
22.4%
72
 
2.5%
59
 
2.1%
55
 
1.9%
44
 
1.5%
44
 
1.5%
41
 
1.4%
39
 
1.4%
. 39
 
1.4%
34
 
1.2%
Other values (375) 1779
62.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2050
72.1%
Space Separator 636
 
22.4%
Other Punctuation 69
 
2.4%
Decimal Number 69
 
2.4%
Close Punctuation 7
 
0.2%
Open Punctuation 7
 
0.2%
Modifier Symbol 2
 
0.1%
Dash Punctuation 1
 
< 0.1%
Math Symbol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72
 
3.5%
59
 
2.9%
55
 
2.7%
44
 
2.1%
44
 
2.1%
41
 
2.0%
39
 
1.9%
34
 
1.7%
32
 
1.6%
28
 
1.4%
Other values (353) 1602
78.1%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8
26.1%
9 11
15.9%
7 8
11.6%
0 6
 
8.7%
5 6
 
8.7%
6 5
 
7.2%
8 5
 
7.2%
2 4
 
5.8%
3 4
 
5.8%
4 2
 
2.9%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9
56.5%
, 20
29.0%
' 5
 
7.2%
" 2
 
2.9%
· 2
 
2.9%
: 1
 
1.4%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636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
100.0%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041
71.8%
Common 792
 
27.9%
Han 9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72
 
3.5%
59
 
2.9%
55
 
2.7%
44
 
2.2%
44
 
2.2%
41
 
2.0%
39
 
1.9%
34
 
1.7%
32
 
1.6%
28
 
1.4%
Other values (344) 1593
78.0%
Common
ValueCountFrequency (%)
636
80.3%
. 39
 
4.9%
, 20
 
2.5%
1 18
 
2.3%
9 11
 
1.4%
7 8
 
1.0%
) 7
 
0.9%
( 7
 
0.9%
0 6
 
0.8%
5 6
 
0.8%
Other values (12) 34
 
4.3%
Han
ValueCountFrequency (%)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041
71.8%
ASCII 789
 
27.8%
CJK 9
 
0.3%
None 2
 
0.1%
Math Operators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636
80.6%
. 39
 
4.9%
, 20
 
2.5%
1 18
 
2.3%
9 11
 
1.4%
7 8
 
1.0%
) 7
 
0.9%
( 7
 
0.9%
0 6
 
0.8%
5 6
 
0.8%
Other values (10) 31
 
3.9%
Hangul
ValueCountFrequency (%)
72
 
3.5%
59
 
2.9%
55
 
2.7%
44
 
2.2%
44
 
2.2%
41
 
2.0%
39
 
1.9%
34
 
1.7%
32
 
1.6%
28
 
1.4%
Other values (344) 1593
78.0%
None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CJK
ValueCountFrequency (%)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1
11.1%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1
100.0%

경위
Text

UNIQUE 

Distinct22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0.66223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591.5
Mean length691.63636
Min length40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5216
Distinct characters644
Distinct categories11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6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2 ?
Unique (%)100.0%

Sample

1st row백제불교 목공예원에서 만드는 수목탁의 역사는 조선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공문수씨의 조부인 공덕준씨는 스님이었는데, 염불을 위한 목탁을 스스로 만드셨다. 공덕준씨가 만드는 목탁이 모양이 좋고 소리가 청아하여 주위로부터 목탁을 만들어 달라는 부탁이 점점 많아지게 되었고, 조부는 목탁생산으로 생계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 후 공문수씨의 부친인 공점철씨도 조부로부터 목탁제작기술을 전수받아 목탁을 만들게 되었다. 공점철씨는 3남 3녀의 자녀들이 있었는데, 그중 공문수씨의 솜씨가 제일 뛰어나 3대째 가업을 잇게 되었다. 공문수씨는 부친을 도와 17세 때부터 목탁 만드는 일을 시작하였다. 그는 조부로부터 2대째 내려오는 목탁제작에 대한 모든 기술과 십리 거리에서도 들리는 소리를 내는 목탁인 십목을 만들겠다는 장인정신을 전수받았다. 하지만, 공문수씨가 지금까지 오게된 것은 순탄했던 것은 아니었다. 목탁 만드는 일을 이어받게 된 것도 3남 3녀 중 가장 솜씨가 좋다고 부친이 결정한 것이었고, 주원료인 목재를 구하러 다닐 때는 나무에서 떨어져 죽을 고비도 많이 넘겼다. 또한 목탁을 만들다가 연장도구에 의해 손이 남아나질 않을 정도로 크게 다쳐 포기를 결심한 적도 많았다. 그러나 실패와 회의도 잠시뿐 공문수씨는 목탁을 만들면 만들수록 목탁을 만드는 일이 자신의 천직이라 생각하게 되었다. 부친과 함께 목탁을 생산하다가 1997년부터 부친은 연로하여 일손을 놓고 지금은 혼자서 목탁을 만들고 있다. 1999년에 백제불교 목공예원를 만들어 목탁과 각종 불교 용품을 생산하고 있다.
2nd row이곳 태조산은 고려 태조가 삼국통일의 위업을 성취했던 호국의 혼이 서려 있는 유서 깊은곳이며 지형을 잘 살려서 큰 광장을 만들고 불상의 배치도 조화 있게 마련하였다. 천안의 새 명소로 각광을 받게 된 청동대좌불은 1975년 3월부터 2년 2개월간의 제작기간을 거쳐 1977년 5월 9일에 태조산 서북쪽 산기슭에 봉안되었다. 그 왼쪽으로 각원사가 건립되었다. 1977년부터 창건 중인 태조산 각원사의 불사는 많은 불자들의 정성이 모아져 계속 진행중이다. 가운데 200평 규모의 대웅보전은 10년 여의 대불사 끝에 1996년 10월 15일 낙성되었으며, 대웅전은 국내 최대 규모로서 한국 불교문화에 기념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웅보전 앞뜰에 있는 성종루는 1990년 4월에 낙성을 보았는데 329평 규모의 2층 누각으로 서울의 보신각보다도 웅장하다.
3rd row마량 해돋이 마을과 동백나무 숲이 있는 동백정은 96년 10월까지는 무료입장에 누구나 시간구애 없이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찾아오는 외지인들이 점점 많이 늘어남에 따라 마을을 관리하고 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96년 11월부터 관람료를 징수하기 시작하여 99년에는 7만여 명의 관람객이 찾아오기도 했다. 또한 99년 12월 31일부터 2000년 1월 1일 에는 서면 마량리에서 새 즈믄 해맞이 행사를 하기도 했는데 즈믄 해짐이 행사를 시작으로 성화 봉송, 시낭송, 관람객 놀이마당, 연예인 초청 특별공연을 했으며 새 즈믄 해맞이 행사로 달집태우기, 일출감상, 관광객 풍선날리기 등 다채로운 행사를 열었다. 찾아오는 관광객들의 편이를 위해 장항선과 경부선 등의 열차 운행과 시외버스 운행, 자가용 이용을 위한 교통편 정보제공을 했으며 숙박, 민박 안내소 운영과 특산품 판매장을 운영하여 저렴하고 싱싱한 활어를 관광객들이 구입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셔틀버스를 운행하여 해돋이 마을의 여러 곳을 관람하도록 했으며 서천군 홈페이지를 통해 이 행사에 찾아오는 분들을 위해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를 하기도 했다.
4th row문헌서원은 1995년 보수공사를 하여 그 어느 때보다 단정하게 정리되었고 건물 1동, 홍살문이 증축되었고 강당도 보기 좋게 다시 수축되었다. 문헌서원이 이 자리에 세워진 것은 1968년이다. 본래 서원자리는 이 자리가 아니고 한산면 죽촌리 강당 터이다.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철폐 되었다가 단을 세우고 배향하다가 1968년 이곳에 옮겨 확장하였다. 새로 수축한 강당과 제실 사이를 지나 남쪽 길로 가면 문헌서원이 있다. 맛배지붕 밑에 큼직하게 쓴 문헌서원 글씨는 우암 송시열의 친필이다. 문헌서원에 배향한 분은 처음 효정사 시절에는 이곡, 이색 선생을 1611년에는 인재 이종학, 음애 이자를, 1713년에는 백옥헌선 이개를 추가 배향하였다. 또한 1891년에는 제단을 만들어 배향 할 때 현암 이종덕, 어성 신성생, 남강 이임, 과묵당 흥미를 같이 배향하였고, 또한 복천 강 선생, 지족권 선생을 추가 배향한 적도 있다. 지금은 한산 이씨 여섯 분만이 배향되어 있으며 사우의 성격을 갖고 있다. 물론 조선후기에 오면 사우의 개념이 모호해지기는 하지만 현재 문헌서원의 성격은 사우의 성격을 담고 있다.
5th row백제의 시조 온조가 만주 지방의 고구려를 떠나 이곳 직산 까지 와서 처음으로 도읍을 정하고 개국한 곳은 현재의 직산면, 성환읍, 입장면, 성거 지방이다. 온조 13년에 이곳으로부터 경기도 광주지방으로 천도한 것으로 되어 있다. 후에 고구려가 이 지역을 빼앗아서 사산현으로 삼았고, 그 후 신라가 이를 따라서 백성군의 영현으로 삼았으며 고려 초에 이르러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또 세조 11년(1465)에는 직산 동북 3리에 온조왕묘를 세우고 춘추에 향을 내려 제사를 모시게 하였다. 그 후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에도 12월 26일 조정에서 관에 명하여 백제가 처음 도읍한 직산 온조왕묘에 제사하게 하였다. 그런데 그 이전의 선조 30년(1597) 9월 정유란 때 왜적이 묘를 불태웠다. 이 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선조 말에는 사방 5리를 일인에게 광권을 주지 않았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36
 
1.1%
되었다 22
 
0.6%
21
 
0.6%
19
 
0.6%
18
 
0.5%
17
 
0.5%
있는 15
 
0.4%
의해 12
 
0.4%
10
 
0.3%
위해 10
 
0.3%
Other values (2552) 3248
94.7%
2024-01-10T07:51:41.06630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3415
 
22.4%
356
 
2.3%
276
 
1.8%
270
 
1.8%
244
 
1.6%
. 220
 
1.4%
216
 
1.4%
208
 
1.4%
197
 
1.3%
1 191
 
1.3%
Other values (634) 9623
63.2%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0506
69.0%
Space Separator 3415
 
22.4%
Decimal Number 811
 
5.3%
Other Punctuation 369
 
2.4%
Close Punctuation 45
 
0.3%
Open Punctuation 45
 
0.3%
Modifier Symbol 8
 
0.1%
Lowercase Letter 7
 
< 0.1%
Math Symbol 5
 
< 0.1%
Dash Punctuation 4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56
 
3.4%
276
 
2.6%
270
 
2.6%
244
 
2.3%
216
 
2.1%
208
 
2.0%
197
 
1.9%
190
 
1.8%
182
 
1.7%
156
 
1.5%
Other values (604) 8211
78.2%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91
23.6%
9 140
17.3%
6 69
 
8.5%
2 68
 
8.4%
0 67
 
8.3%
7 63
 
7.8%
3 57
 
7.0%
4 56
 
6.9%
8 53
 
6.5%
5 47
 
5.8%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20
59.6%
, 127
34.4%
' 16
 
4.3%
" 3
 
0.8%
; 1
 
0.3%
· 1
 
0.3%
: 1
 
0.3%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3
95.6%
1
 
2.2%
1
 
2.2%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3
95.6%
1
 
2.2%
1
 
2.2%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5
71.4%
c 2
 
28.6%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3415
100.0%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8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5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
10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0470
68.8%
Common 4703
30.9%
Han 36
 
0.2%
Latin 7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56
 
3.4%
276
 
2.6%
270
 
2.6%
244
 
2.3%
216
 
2.1%
208
 
2.0%
197
 
1.9%
190
 
1.8%
182
 
1.7%
156
 
1.5%
Other values (569) 8175
78.1%
Han
ValueCountFrequency (%)
2
 
5.6%
1
 
2.8%
1
 
2.8%
1
 
2.8%
1
 
2.8%
1
 
2.8%
1
 
2.8%
1
 
2.8%
1
 
2.8%
1
 
2.8%
Other values (25) 25
69.4%
Common
ValueCountFrequency (%)
3415
72.6%
. 220
 
4.7%
1 191
 
4.1%
9 140
 
3.0%
, 127
 
2.7%
6 69
 
1.5%
2 68
 
1.4%
0 67
 
1.4%
7 63
 
1.3%
3 57
 
1.2%
Other values (18) 286
 
6.1%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5
71.4%
c 2
 
28.6%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0470
68.8%
ASCII 4699
30.9%
CJK 36
 
0.2%
Math Operators 5
 
< 0.1%
None 5
 
< 0.1%
CJK Compat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3415
72.7%
. 220
 
4.7%
1 191
 
4.1%
9 140
 
3.0%
, 127
 
2.7%
6 69
 
1.5%
2 68
 
1.4%
0 67
 
1.4%
7 63
 
1.3%
3 57
 
1.2%
Other values (13) 282
 
6.0%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56
 
3.4%
276
 
2.6%
270
 
2.6%
244
 
2.3%
216
 
2.1%
208
 
2.0%
197
 
1.9%
190
 
1.8%
182
 
1.7%
156
 
1.5%
Other values (569) 8175
78.1%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5
100.0%
CJK
ValueCountFrequency (%)
2
 
5.6%
1
 
2.8%
1
 
2.8%
1
 
2.8%
1
 
2.8%
1
 
2.8%
1
 
2.8%
1
 
2.8%
1
 
2.8%
1
 
2.8%
Other values (25) 25
69.4%
None
ValueCountFrequency (%)
1
20.0%
1
20.0%
· 1
20.0%
1
20.0%
1
2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1
100.0%

자원
Text

MISSING 

Distinct4
Distinct (%)100.0%
Missing18
Missing (%)81.8%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1.30288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44
Median length118
Mean length97.5
Min length10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390
Distinct characters138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4 ?
Unique (%)100.0%

Sample

1st row살구나무, 대추나무
2nd row마량리에는 전에 동백정 해수욕장이 자리잡고 있어 동백정과 함께 많은 관광객이 찾던 지역이었다. 지금은 40-50대 지역 주민들이 향수에 젖어 많이 찾아오고 있으며 인터넷과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로 다양한 연령층의 관광객이 찾아오고 학생들 소풍장소로도 이용된다.
3rd row목은 이색과 관련된 연구를 하는 사학자들이 방문하며 지역 학생들의 소풍, 그리고 한산이씨의 중종들이 춘·추 제향 때 많이 방문한다. 지나가는 관광객부터 일부러 문헌서원까지 찾아오는 사람까지 방문객은 다양하며 방문객 분포 또한 전국적이다.
4th row백제금동대향로가 부여 능산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것을 발단으로 옛 백제의 뛰어난 문화를 널리 홍보하고 직접 소유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향로를 모델로 상품화를 기획·제작·판매하게 되었다.
ValueCountFrequency (%)
찾아오고 2
 
2.3%
많이 2
 
2.3%
지역 2
 
2.3%
관광객이 2
 
2.3%
살구나무 1
 
1.1%
방문객 1
 
1.1%
능산리 1
 
1.1%
부여 1
 
1.1%
백제금동대향로가 1
 
1.1%
전국적이다 1
 
1.1%
Other values (74) 74
84.1%
2024-01-10T07:51:41.63594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85
 
21.8%
13
 
3.3%
7
 
1.8%
7
 
1.8%
7
 
1.8%
6
 
1.5%
6
 
1.5%
6
 
1.5%
5
 
1.3%
5
 
1.3%
Other values (128) 243
62.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290
74.4%
Space Separator 85
 
21.8%
Other Punctuation 10
 
2.6%
Decimal Number 4
 
1.0%
Dash Punctuation 1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3
 
4.5%
7
 
2.4%
7
 
2.4%
7
 
2.4%
6
 
2.1%
6
 
2.1%
6
 
2.1%
5
 
1.7%
5
 
1.7%
5
 
1.7%
Other values (120) 223
76.9%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
50.0%
· 3
30.0%
, 2
 
20.0%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2
50.0%
5 1
25.0%
4 1
25.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85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90
74.4%
Common 100
 
25.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3
 
4.5%
7
 
2.4%
7
 
2.4%
7
 
2.4%
6
 
2.1%
6
 
2.1%
6
 
2.1%
5
 
1.7%
5
 
1.7%
5
 
1.7%
Other values (120) 223
76.9%
Common
ValueCountFrequency (%)
85
85.0%
. 5
 
5.0%
· 3
 
3.0%
, 2
 
2.0%
0 2
 
2.0%
5 1
 
1.0%
- 1
 
1.0%
4 1
 
1.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90
74.4%
ASCII 97
 
24.9%
None 3
 
0.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85
87.6%
. 5
 
5.2%
, 2
 
2.1%
0 2
 
2.1%
5 1
 
1.0%
- 1
 
1.0%
4 1
 
1.0%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3
 
4.5%
7
 
2.4%
7
 
2.4%
7
 
2.4%
6
 
2.1%
6
 
2.1%
6
 
2.1%
5
 
1.7%
5
 
1.7%
5
 
1.7%
Other values (120) 223
76.9%
None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분포및생산조건
Text

MISSING 

Distinct2
Distinct (%)100.0%
Missing20
Missing (%)90.9%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1.88229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403
Median length225
Mean length225
Min length47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450
Distinct characters140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 ?
Unique (%)100.0%

Sample

1st row우리 나라 전국에 있는 10년 이상 된 살구나무, 대추나무를 직접 찾아서 가져온다.
2nd row1993년 12월에 향로가 발견되어 94년도에 상품화를 구상하였고 95년도에는 상품화 계획이 이루어지면서 향로 복각을 위해 면밀한 분석과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중앙박물관의 관리에 의한 복각과정에서 원형 복각은 금지된 사항이라 어려움이 있었다. 원래 64cm인 원형을 복각품은 62cm로 정했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 96년도에 드디어 복각품이 완성되었고 상품으로 제작되어 판매되기 시작하였다. 금동대향로 복각품은 개인 업체와는 달리 관공서에서 판매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야 예산 낭비라는 부담을 없앨 수가 있기 때문에 98년도에 이르러서는 금동대향로 판매의 활성화와 여러 가지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기용 축소 향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지금은 향로에 관한 11개 품목 76종의 상품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ValueCountFrequency (%)
복각품은 2
 
2.0%
판매되기 2
 
2.0%
금동대향로 2
 
2.0%
때문에 2
 
2.0%
우리 1
 
1.0%
관공서에서 1
 
1.0%
없앨 1
 
1.0%
부담을 1
 
1.0%
낭비라는 1
 
1.0%
예산 1
 
1.0%
Other values (86) 86
86.0%
2024-01-10T07:51:42.23897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99
 
22.0%
14
 
3.1%
9
 
2.0%
9
 
2.0%
8
 
1.8%
7
 
1.6%
7
 
1.6%
. 7
 
1.6%
6
 
1.3%
6
 
1.3%
Other values (130) 278
61.8%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315
70.0%
Space Separator 99
 
22.0%
Decimal Number 24
 
5.3%
Other Punctuation 8
 
1.8%
Lowercase Letter 4
 
0.9%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4
 
4.4%
9
 
2.9%
9
 
2.9%
8
 
2.5%
7
 
2.2%
7
 
2.2%
6
 
1.9%
6
 
1.9%
6
 
1.9%
6
 
1.9%
Other values (115) 237
75.2%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9 6
25.0%
1 5
20.8%
6 4
16.7%
4 2
 
8.3%
2 2
 
8.3%
7 1
 
4.2%
8 1
 
4.2%
5 1
 
4.2%
3 1
 
4.2%
0 1
 
4.2%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
87.5%
, 1
 
12.5%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2
50.0%
c 2
5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99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315
70.0%
Common 131
29.1%
Latin 4
 
0.9%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4
 
4.4%
9
 
2.9%
9
 
2.9%
8
 
2.5%
7
 
2.2%
7
 
2.2%
6
 
1.9%
6
 
1.9%
6
 
1.9%
6
 
1.9%
Other values (115) 237
75.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99
75.6%
. 7
 
5.3%
9 6
 
4.6%
1 5
 
3.8%
6 4
 
3.1%
4 2
 
1.5%
2 2
 
1.5%
7 1
 
0.8%
8 1
 
0.8%
5 1
 
0.8%
Other values (3) 3
 
2.3%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2
50.0%
c 2
5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315
70.0%
ASCII 135
3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99
73.3%
. 7
 
5.2%
9 6
 
4.4%
1 5
 
3.7%
6 4
 
3.0%
4 2
 
1.5%
m 2
 
1.5%
2 2
 
1.5%
c 2
 
1.5%
7 1
 
0.7%
Other values (5) 5
 
3.7%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4
 
4.4%
9
 
2.9%
9
 
2.9%
8
 
2.5%
7
 
2.2%
7
 
2.2%
6
 
1.9%
6
 
1.9%
6
 
1.9%
6
 
1.9%
Other values (115) 237
75.2%

내용
Text

MISSING 

Distinct20
Distinct (%)100.0%
Missing2
Missing (%)9.1%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2.48905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1024
Mean length897.65
Min length437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7953
Distinct characters745
Distinct categories12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8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0 ?
Unique (%)100.0%

Sample

1st row각원사는 총대지 16,000평에 서쪽으로 60톤의 대좌불을 봉안했고, 대웅전 200평, 산신각, 칠성각이 각 24평, 요사 2동 300평, 범종각 150평, 불교회관 3층에 600평, 설법전 36평, 그리고 일주문 등의 대불사가 진행 중에 있다. 청동대좌불은 전체높이가 14.5m, 불상둘레 30.3m 이고 청동의 무게만도 60톤이다. 무릎사이의 길이가 10미터나 되고, 귀 길이가 1미터 75센티미터이며 손톱만도 30∼40센티미터나 되는 장대한 모습을 하고 세계최대의 예술적 극치를 이루고 있는 불상이다. 재료로 사용된 60톤의 청동은 전 불교인들이 뜻을 모았고 작품은 최기원 홍익대교수가 만들었다. 하대석에는 복련이 양각되고, 중대석에는 연꽃잎이 있으며, 상대석에는 앙련이 있다. 원만한 얼굴에 불상머리는 나발을 하고, 육계는 둥글고 크다. 좁은 이마에 백호를 달고, 귀는 목까지 내려왔으며, 목에는 3도가 표현되었고, 수인은 중품중생인을 취하였다. 통견의 법의를 걸치고 있다. 주물이 아닌 분신동편(分身銅片)을 조립한 특수공법을 써서 만들고 복장품(服裝品)으로는 진신사리와 대장경이 보장되었고 203계단의 오르는 길을 돌로 층계를 만들었다. 이는 108번뇌와 관세음보살의 32화신(化身)과 아미타불의 48소원 12인연 3보(寶) 등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태양의 성종은 무게 20톤, 직경 2미터 50센티미터, 높이 4미터 12센티미터의 대범종이다.
2nd row마량포구의 가장 유명한 곳은 동백나무가 숲을 이루는 동백정이다. 천연기념물 169호로 지정된 동백나무가 80여 그루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꽃이 피는 봄철에 많은 관광객이 꽃을 보기 위해 이곳을 많이 찾는다. 400여 년 전 마량의 수군청사가 험난한 바다를 안전하게 다니려면 이곳에 제단을 세우고 제사를 지내라는 계시를 받고 제단을 만들었는데 이 때 심은 동백나무가 오늘의 동백나무 숲을 이루었다. 지금도 마량리 주민들은 정월초가 되면 동백정 곁에 있는 당집에서 마을의 안녕을 비는 풍어제를 지내고 있다. 96년부터는 군에서 입장료를 받고 있는데 계단 등 일부를 정비하고 서해바다의 푸른물이 잘 보이도록 해안 철책밖으로 있는 소나무 방풍림 일부를 베어내어 시야를 확 트이도록 했다. 이곳에서는 4월에서 5월중에 서천의 특산물인 쭈꾸미 축제가 열리기도 한다. 동백정의 아름답고 탐스러운 빨간 동백꽃을 감상하고 마량포구로 향하면 서해안에서의 일출과 일몰을 감상할 수 있고 서해의 천연 갯벌에서는 조개와 맛 등 패류를 직접 잡을 수도 있다. 같이 연결된 춘장대 해수욕장에는 서천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해송이 바닷가에 우거져 해수욕을 즐기며 해송에서 나오는 피톤치드의 상쾌함을 맛볼 수 있는데 매년 7월 초에서 8월 말까지 이용할 수 있다. 인근 홍원항에서는 서천의 전체 해산물의 40%가 생산되며 이곳에서 잡히는 어패류를 이용하여 인근 수산물 회사에서 가공판매도 한다. 춘장대 해수욕장에서 웅천의 무창포 해수욕장을 잇는 부사방조제 또한 찾아가 볼 수 있다.
3rd row한산 이씨는 목은 이색을 낳았고 조선 500년 동안 상신을 넷, 판서를 열, 공신을 열둘이나 두었으며 사육신의 한 사람인 이개를 비롯한 성리학의 태두(泰斗)로서 서해를 빛냄은 가정 이곡의 모험에 있다고 볼 만 하다. 조선말엽 참관 벼슬을 버리고 예산에 낙향하여 일제에 항거하다가 아산역전 천변에서 대신 죽이려던 아들과 함께 난자 당한 이남규도 한산이씨의 후예이며 근대 한국의 정신적 지주였던 월남 이상재선생도 그 후예이다. 이색(李穡, 1328∼1396)은 고려 말의 성리학자이며 고려말 삼은(三隱)의 한사람이다. 호는 목은, 시호는 문정으로 본관은 한산이며 이곡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총기가 뛰어나 14세에 성균관 시에 합격하였다. 공양왕 때 판문하부사가 되었고 그후 오사층의 상소로 장단, 함암 등에 귀양갔으나 돌아와 다시 한산 부원군에 피봉되어 예문춘추관사에 임명되었다. 정몽주가 피살되자 이와 관련되어 다시 금천, 영흥, 장흥 등지로 유배된 뒤에 석방되었다. 조선 개국 후 태조는 그의 인재를 아끼어 태조4년(1395)에 한산 백으로 봉하여 예를 다하여 출사를 종용하였으나 끝내 고사하고 '망국에 사대부는 오로지 해골을 고산에 파묻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다음 해 피서차 여주에 있는 여강으로 가던 도중 갑자기 죽음으로써 그 사인에 대해서는 후세에 의혹을 남기고 있다. 서원이라 하면 배향의 장소와 강학의 장소로 대별할 수 있는데 배향의 장소에 치중한 것은 현재의 입장에서 복원했기 때문이다. 특히 서원의 경우 대개 남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데 북향을 하고 있는 것도 이 서원의 특징이다. 영당 뒤쪽의 백일홍 나무는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우람한 자태를 자랑한다. 백일홍속에 영당이 자리하고 있는데, 영당은 이색 선생의 영정을 모신 곳이기에 영당이라고 한다. 영당은 안내하는 분이 있어서 그 분의 안내에 따라 행동하면 된다. 문헌서원의 영정은 영조 31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1995년 보물 제 1215호로 지정되었고,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 125호로, 목은 선생 문집판각은 자료 제 77호, 신도비는 제 12
4th row위례산성은 입장과 북면 경계에 있는 산이며 높이는 524m이다. 토석혼축으로 쌓은 둘레 1,696척, 높이 8척의 성채가 지금도 남아 있고 그 안에 우물(용샘)이 있다. 이 성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채는 토성과 석성의 혼성으로 산 정상부의 능선을 따라 쌓았으며 토성의 길이는 약 1.7㎞이고 석성은 두 곳으로 만고 부분에 높이 약 2.5m, 길이 약 30m로 되었다. 정상부에는 약 3,000평의 평지가 있어 인간활동에 도움이 되고, 토성은 두 갈래로 나뉘어져서 동서로 적을 방어하게 하였다. 토성을 절개한 결과 판축에 의한 토성으로 확인되었고 큰 돌을 두 줄로 심을 박아 쌓아 올렸음이 확인되었다. 북쪽의 성환 평택 쪽을 바라보고 쌓은 것으로 보아 당시 고구려를 의식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 석성은 짧고 높게 쌓여졌으며 토성이 굽어져 돌아가는 부분만을 쌓은 것으로 자연석을 포개서 축성하였다. 산의 정상부에 약 50m 아래쪽에 지름이 약 4m 가량인 우물이 있으며 일명 용샘(龍泉)으로도 불리운다. 우물이 만들어진 방법은 위례산성을 축성한 방법과 비슷하며 우물의 아래쪽에서부터 돌을 둘러 회전식으로 쌓아 올렸다. 용샘은 산성용(군사용)의 우물로 수백명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물의 양이 많아 아무리 가물어도 줄지 않는다고 한다. 또 전설에 의하면 용샘과 부여 백마강이 통해져 있어 백제의 왕이 이곳을 통하여 밤에는 부여에서 정치를 하고 낮에는 위례성에 와서 전투지휘를 했다고 한다. 524m나 되는 위례산성의 정상부에 인공을 가한 홈이 파여진 넓은 돌이 있으며, 이는 성문석인 것으로 추정된다. 1957년 문화재관리국의 조사에 의하면 성문의 기둥을 받쳤던 돌로 확인되었다. 위례산성의 남쪽 산의 8부 능선 450m 추정 고지에서 수십기의 적석묘 군락지가 발견되었다. 1989년 5월에 있었던 시굴에서 백제의 적석묘로 확인된 바 있다. 적석묘의 수는 정확하지 않으나 백여기 정도인 것 같다. 1989년 5월 서울대학교 박물관팀이 일부 발굴하여 본 결과 백제초기의 기와, 토기, 창촉, 철낫류, 노승 무늬 토기가
5th row유관순 유적지는 열사의 애국정신을 길이 추모하고 3.1운동의 빛난 얼을 후세에 알려 민족적 자긍심과 국가관을 정립시키고자 건립되었다. 이곳에는 사적 제 230호로 지정된 추모각·봉화지·생가지 등이 있다. 총 대지면적은 37,486㎡이며, 총 건물면적은 436.12㎡이다. 추모각은 면적 86.58㎡으로 1969∼1973년간 연차적으로 보수·정비하였으며 1986에 경역을 확장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추모각은 화강석 기단 위에 정면3칸, 측면 2칸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이고 겹처마인 한식목조건물이다. 건물내부에는 유관순 열사의 영정이 봉안되었는데, 영정은 월전 장우성 화백이 좌상으로 제작하여 1986년 8월 15일에 봉안하였다. 이 영정은 가로 1.2m, 세로 2m로 유관순 열사의 곱고 단정하면서도 의지에 찬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매년 광복절을 기념하여 충청남도 교육위원회에서 도내 여자고등학교 학도호국단 간부학생들로 구성된 성역지 참배 행군단으로 하여금 열사의 유적지를 참배하고 국난극복 교육의 산 도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10월 12일에는 유관순 열사 추모제 행사가 이곳에서 거행되고 있다.유관순 열사의 동상은 열사의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19883년 10월 12일 높이 7.1m, 좌대 높이 3.6m, 동상높이 3.5m, 무게 2.5t으로 되어 있다. 유관순 열사의 생가는 그 면적이 총 65.58㎡이다. 이 집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단층 팔각지붕이고 겹처마 건물로 전면 3칸에는 툇마루를 깔았으며 집의 좌측으로는 매봉 교회가 있다. 이 교회는 유관순 열사가 이화학당에서 귀가하여 서울의 3.1운동 상황을 설명하고 지역 주민들과 우리나라 독립운동을 위해 사용한 곳이다. 봉화지는 유관순 열사 생가지 후면의 매봉산 정상에 위치해 있다. 화강석으로 된 사각형의 봉화대 위에 봉화탑을 설치하였다. 봉화탑은 석조로 높이를 세웠고, 탑의 가운데에는 오석으로 된 유관순 열사 봉화탑 찬가가 있다. 이 글은 조산 이은상 선생이 지었다. 매년 3월 31일 저녁이 되면 이곳에서 수백명의 시민들이 모여서 당시를 회상하면서
ValueCountFrequency (%)
있다 91
 
2.2%
31
 
0.8%
있는 30
 
0.7%
28
 
0.7%
25
 
0.6%
한다 19
 
0.5%
있으며 19
 
0.5%
14
 
0.3%
것으로 14
 
0.3%
그리고 12
 
0.3%
Other values (2997) 3828
93.1%
2024-01-10T07:51:42.84484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4096
 
22.8%
440
 
2.5%
336
 
1.9%
332
 
1.8%
321
 
1.8%
. 305
 
1.7%
293
 
1.6%
214
 
1.2%
214
 
1.2%
, 209
 
1.2%
Other values (735) 11193
62.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2311
68.6%
Space Separator 4096
 
22.8%
Decimal Number 759
 
4.2%
Other Punctuation 569
 
3.2%
Open Punctuation 69
 
0.4%
Close Punctuation 68
 
0.4%
Lowercase Letter 29
 
0.2%
Math Symbol 23
 
0.1%
Other Symbol 15
 
0.1%
Dash Punctuation 6
 
< 0.1%
Other values (2) 8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40
 
3.6%
336
 
2.7%
332
 
2.7%
321
 
2.6%
293
 
2.4%
214
 
1.7%
214
 
1.7%
205
 
1.7%
196
 
1.6%
188
 
1.5%
Other values (701) 9572
77.8%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53
20.2%
0 95
12.5%
9 76
10.0%
3 75
9.9%
5 74
9.7%
2 68
9.0%
6 61
 
8.0%
8 56
 
7.4%
4 53
 
7.0%
7 48
 
6.3%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05
53.6%
, 209
36.7%
' 23
 
4.0%
: 16
 
2.8%
· 8
 
1.4%
" 6
 
1.1%
% 1
 
0.2%
1
 
0.2%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2
33.3%
D 1
16.7%
Y 1
16.7%
M 1
16.7%
C 1
16.7%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3
86.7%
1
 
6.7%
1
 
6.7%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28
96.6%
t 1
 
3.4%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4096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9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8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23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
100.0%
Modifi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2234
68.1%
Common 5607
31.2%
Han 77
 
0.4%
Latin 35
 
0.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40
 
3.6%
336
 
2.7%
332
 
2.7%
321
 
2.6%
293
 
2.4%
214
 
1.7%
214
 
1.7%
205
 
1.7%
196
 
1.6%
188
 
1.5%
Other values (643) 9495
77.6%
Han
ValueCountFrequency (%)
4
 
5.2%
4
 
5.2%
3
 
3.9%
3
 
3.9%
3
 
3.9%
2
 
2.6%
2
 
2.6%
2
 
2.6%
2
 
2.6%
2
 
2.6%
Other values (48) 50
64.9%
Common
ValueCountFrequency (%)
4096
73.1%
. 305
 
5.4%
, 209
 
3.7%
1 153
 
2.7%
0 95
 
1.7%
9 76
 
1.4%
3 75
 
1.3%
5 74
 
1.3%
( 69
 
1.2%
2 68
 
1.2%
Other values (17) 387
 
6.9%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28
80.0%
A 2
 
5.7%
D 1
 
2.9%
t 1
 
2.9%
Y 1
 
2.9%
M 1
 
2.9%
C 1
 
2.9%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2233
68.1%
ASCII 5595
31.2%
CJK 74
 
0.4%
Math Operators 23
 
0.1%
CJK Compat 15
 
0.1%
None 9
 
0.1%
CJK Compat Ideographs 3
 
< 0.1%
Compat Jamo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4096
73.2%
. 305
 
5.5%
, 209
 
3.7%
1 153
 
2.7%
0 95
 
1.7%
9 76
 
1.4%
3 75
 
1.3%
5 74
 
1.3%
( 69
 
1.2%
2 68
 
1.2%
Other values (18) 375
 
6.7%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40
 
3.6%
336
 
2.7%
332
 
2.7%
321
 
2.6%
293
 
2.4%
214
 
1.7%
214
 
1.7%
205
 
1.7%
196
 
1.6%
188
 
1.5%
Other values (642) 9494
77.6%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23
10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13
86.7%
1
 
6.7%
1
 
6.7%
None
ValueCountFrequency (%)
· 8
88.9%
1
 
11.1%
CJK
ValueCountFrequency (%)
4
 
5.4%
4
 
5.4%
3
 
4.1%
3
 
4.1%
3
 
4.1%
2
 
2.7%
2
 
2.7%
2
 
2.7%
2
 
2.7%
2
 
2.7%
Other values (45) 47
63.5%
Compat Jamo
ValueCountFrequency (%)
1
100.0%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
33.3%
1
33.3%
1
33.3%

특성
Text

CONSTANT  MISSING 

Distinct1
Distinct (%)100.0%
Missing21
Missing (%)95.5%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3.09732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977
Median length977
Mean length977
Min length977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977
Distinct characters227
Distinct categories8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4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 ?
Unique (%)100.0%

Sample

1st row목탁이라는 것은 어(魚)탁이라고도 불리는데, 옛날에 스님들이 동굴에서 불경을 외다가 동굴에서 떨어지는 낙수 소리에 리듬을 실어 불경을 외던 것에서 목탁이 유래되었다. 대추나무 목탁은 맑고 강한 소리가 나며, 살구나무 목탁은 부드럽고 연한 소리가 난다고 한다. 살구나무 등을 이용한 목탁은 장흥물(부적과 같은 역할)이라 하여 귀신을 쫓는다는 설화가 전해 내려온다.장문수씨는 모든 종류의 목탁을 만드나 100년 이상 된 대추나무는 구하기 힘들어 보통 살구나무를 이용한 목탁을 만들고 있다. 공문수씨는 '각'자목탁을 만들기 위해 우선 100년 이상 된 살구나무를 찾기 위해, 해마다 4-5월이면 전국을 누비고 있다. 전국에서 구한 살구나무에다 할아버지 때부터 전해 내려오는 비법에 따라 목탁을 제작하게 된다. 특히 산지로부터 가져온 원목을 토막으로 자를 때 전기톱을 사용하지만, 그 밖의 목탁을 만드는 모든 작업은 조부로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방식(수작업)을 유지하고 있다. 우선 목침 모양으로 적당한 크기로 토막을 낸 뒤 나무에 금이 가지 않고, 좋은 소리를 내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약품을 섞은 물로 30-40시간 동안 삶는다. 삶은 후 3년 동안 서늘한 황토방에서 잘 건조를 시키는 과정을 밟는다. 이렇게 준비한 재료를 꺼내 목탁의 모양을 어느 정도 잡아주는 거친줄 작업을 한 후 속파기를 시작한다. 속파기 작업이 끝나면 조각을 하는데 기본적으로 '覺'자와 '법도경'이라는 글씨를 새긴 후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용을 조각하거나 각종 문양을 새겨넣는다. 직접 목탁소리를 들어가며 소리를 잡는 작업을 하고, 들기름을 6-10회 정도 입혀 색이 좋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목탁을 만든다. 생산된 목탁은 지름 12-30㎝의 크기이다. 위의 모든 과정은 끌, 망치, 조각기 등을 이용해 손으로 만드는데, 보통 6-8일 정도 걸린다. 완성된 목탁은 청아한 소리를 자아내고, 매우 단단하여 깨짐 현상이 없고, 고운 무늬 결을 수년간 유지하는 것이 장점이다.
ValueCountFrequency (%)
목탁은 5
 
2.1%
목탁을 5
 
2.1%
모든 3
 
1.3%
3
 
1.3%
있다 3
 
1.3%
소리를 3
 
1.3%
전해 3
 
1.3%
위해 3
 
1.3%
정도 3
 
1.3%
2
 
0.8%
Other values (189) 203
86.0%
2024-01-10T07:51:43.45468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36
24.2%
27
 
2.8%
21
 
2.1%
20
 
2.0%
20
 
2.0%
17
 
1.7%
16
 
1.6%
. 15
 
1.5%
13
 
1.3%
13
 
1.3%
Other values (217) 579
59.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675
69.1%
Space Separator 236
 
24.2%
Other Punctuation 32
 
3.3%
Decimal Number 22
 
2.3%
Dash Punctuation 5
 
0.5%
Close Punctuation 3
 
0.3%
Open Punctuation 3
 
0.3%
Other Symbol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7
 
4.0%
21
 
3.1%
20
 
3.0%
20
 
3.0%
17
 
2.5%
16
 
2.4%
13
 
1.9%
13
 
1.9%
12
 
1.8%
12
 
1.8%
Other values (201) 504
74.7%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8
36.4%
1 4
18.2%
3 3
 
13.6%
4 2
 
9.1%
6 2
 
9.1%
8 1
 
4.5%
2 1
 
4.5%
5 1
 
4.5%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5
46.9%
, 11
34.4%
' 6
 
18.8%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36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73
68.9%
Common 302
30.9%
Han 2
 
0.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7
 
4.0%
21
 
3.1%
20
 
3.0%
20
 
3.0%
17
 
2.5%
16
 
2.4%
13
 
1.9%
13
 
1.9%
12
 
1.8%
12
 
1.8%
Other values (199) 502
74.6%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36
78.1%
. 15
 
5.0%
, 11
 
3.6%
0 8
 
2.6%
' 6
 
2.0%
- 5
 
1.7%
1 4
 
1.3%
) 3
 
1.0%
( 3
 
1.0%
3 3
 
1.0%
Other values (6) 8
 
2.6%
Han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73
68.9%
ASCII 301
30.8%
CJK 2
 
0.2%
CJK Compat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36
78.4%
. 15
 
5.0%
, 11
 
3.7%
0 8
 
2.7%
' 6
 
2.0%
- 5
 
1.7%
1 4
 
1.3%
) 3
 
1.0%
( 3
 
1.0%
3 3
 
1.0%
Other values (5) 7
 
2.3%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7
 
4.0%
21
 
3.1%
20
 
3.0%
20
 
3.0%
17
 
2.5%
16
 
2.4%
13
 
1.9%
13
 
1.9%
12
 
1.8%
12
 
1.8%
Other values (199) 502
74.6%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1
100.0%
CJK
ValueCountFrequency (%)
1
50.0%
1
50.0%

상표
Text

MISSING 

Distinct2
Distinct (%)100.0%
Missing20
Missing (%)90.9%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3.72669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734
Median length387
Mean length387
Min length40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774
Distinct characters178
Distinct categories6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 ?
Unique (%)100.0%

Sample

1st row목탁에 각(覺)과 도경(불경의 길을 걷는다)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2nd row홍성군청에서 검찰청을 지나서 청양방면으로 나오면 하천을 끼고 사거리가 나올 것이다. 이 곳에서 우회전하여 계속 직진하여 가면 사거리 하나가 나오는데, 그 오른 쪽을 보면 홍성의 또 하나의 명물 홍성온천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 들러 그동안 쌓인 피로를 풀고 잠시 쉬어 가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다시 출발하여 조금 더 가면 사거리 하나가 또 나온다. 이 곳의 오른쪽 전방에는 홍주병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 뒤쪽으로 홍성의 문화공간인 홍주문화회관이 위치하고 있다. 이 사거리에서 직진하여 서산방면인 29번 국도를 타면 된다. 이곳을 조금 빠져 나오면 산과 들을 가로질러 4차선으로 확장포장된 도로가 나 있을 것이다. 자연의 싱그러움을 맛보며 달리다보면 은하 방면으로 갈 수 있는 교차로가 나온다. 이 길을 따라 계속 가면 결성면에 이르게 된다. 우리가 가려는 결성농요 보존 회관은 길 옆에 있어서 찾기가 어렵지 않을 것이다. 또한 그 앞에는 대통령상 수상 기념비가 웅장하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홍성 버스터미널에서 결성행 버스를 타면 된다. 또 갈산행 중에도 가는 것이 있으므로 운전기사에게 물어보고 타도 될 것이다. 하지만 결성으로 가는 버스는 그리 많지 않으므로 미리 알아보고 가는 것이 좋다. 버스를 타고 가다보면 결성농요 보존 회관 앞을 지나기 때문에 찾기는 쉬울 것이다. 아니면 운전기사에게 물어보거나 같이 탄 승객에게 물어봐도 친절하게 가르쳐 줄 것이다.
ValueCountFrequency (%)
것이다 7
 
3.6%
4
 
2.1%
있다 4
 
2.1%
가는 4
 
2.1%
된다 3
 
1.5%
3
 
1.5%
3
 
1.5%
가면 3
 
1.5%
홍성의 2
 
1.0%
때문에 2
 
1.0%
Other values (144) 160
82.1%
2024-01-10T07:51:44.10739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94
25.1%
22
 
2.8%
21
 
2.7%
20
 
2.6%
. 17
 
2.2%
16
 
2.1%
15
 
1.9%
14
 
1.8%
14
 
1.8%
13
 
1.7%
Other values (168) 428
55.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553
71.4%
Space Separator 194
 
25.1%
Other Punctuation 20
 
2.6%
Decimal Number 3
 
0.4%
Open Punctuation 2
 
0.3%
Close Punctuation 2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2
 
4.0%
21
 
3.8%
20
 
3.6%
16
 
2.9%
15
 
2.7%
14
 
2.5%
14
 
2.5%
13
 
2.4%
13
 
2.4%
11
 
2.0%
Other values (160) 394
71.2%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4 1
33.3%
9 1
33.3%
2 1
33.3%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7
85.0%
, 3
 
15.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94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552
71.3%
Common 221
28.6%
Han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2
 
4.0%
21
 
3.8%
20
 
3.6%
16
 
2.9%
15
 
2.7%
14
 
2.5%
14
 
2.5%
13
 
2.4%
13
 
2.4%
11
 
2.0%
Other values (159) 393
71.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94
87.8%
. 17
 
7.7%
, 3
 
1.4%
( 2
 
0.9%
) 2
 
0.9%
4 1
 
0.5%
9 1
 
0.5%
2 1
 
0.5%
Han
ValueCountFrequency (%)
1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552
71.3%
ASCII 221
28.6%
CJK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94
87.8%
. 17
 
7.7%
, 3
 
1.4%
( 2
 
0.9%
) 2
 
0.9%
4 1
 
0.5%
9 1
 
0.5%
2 1
 
0.5%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2
 
4.0%
21
 
3.8%
20
 
3.6%
16
 
2.9%
15
 
2.7%
14
 
2.5%
14
 
2.5%
13
 
2.4%
13
 
2.4%
11
 
2.0%
Other values (159) 393
71.2%
CJK
ValueCountFrequency (%)
1
100.0%

포장
Text

MISSING 

Distinct2
Distinct (%)100.0%
Missing20
Missing (%)90.9%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4.30864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69
Median length119.5
Mean length119.5
Min length70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39
Distinct characters100
Distinct categories3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 ?
Unique (%)100.0%

Sample

1st row준비한 포장용기는 없지만, 주문 판매시 우체국에 있는 상자를 이용한다. 각 목탁에는 간단한 소개가 적혀있는 상표가 붙어있다.
2nd row현재 최광순, 최양섭씨가 예능 보유자로 인정되었으며, 정정수, 최홍식, 장성칠씨가 소리 후보자로 지정이 되어 전수받고 있으나, 예능 보유자 두분 모두 연로하시기 때문에 소리 전수에 어려움이 뒤 따르고 있다. 또한, 결성농요 보존 회관을 건립하여 보존 중에 있으며, 올해 초에 결성농요 보존판을 출간했다.
ValueCountFrequency (%)
소리 2
 
3.6%
예능 2
 
3.6%
보존 2
 
3.6%
결성농요 2
 
3.6%
준비한 1
 
1.8%
어려움이 1
 
1.8%
전수받고 1
 
1.8%
있으나 1
 
1.8%
보유자 1
 
1.8%
두분 1
 
1.8%
Other values (42) 42
75.0%
2024-01-10T07:51:44.60662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5
 
23.0%
, 8
 
3.3%
6
 
2.5%
6
 
2.5%
6
 
2.5%
4
 
1.7%
4
 
1.7%
. 4
 
1.7%
4
 
1.7%
4
 
1.7%
Other values (90) 138
57.7%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72
72.0%
Space Separator 55
 
23.0%
Other Punctuation 12
 
5.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6
 
3.5%
6
 
3.5%
6
 
3.5%
4
 
2.3%
4
 
2.3%
4
 
2.3%
4
 
2.3%
4
 
2.3%
4
 
2.3%
3
 
1.7%
Other values (87) 127
73.8%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8
66.7%
. 4
33.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55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72
72.0%
Common 67
 
28.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6
 
3.5%
6
 
3.5%
6
 
3.5%
4
 
2.3%
4
 
2.3%
4
 
2.3%
4
 
2.3%
4
 
2.3%
4
 
2.3%
3
 
1.7%
Other values (87) 127
73.8%
Common
ValueCountFrequency (%)
55
82.1%
, 8
 
11.9%
. 4
 
6.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72
72.0%
ASCII 67
 
28.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55
82.1%
, 8
 
11.9%
. 4
 
6.0%
Hangul
ValueCountFrequency (%)
6
 
3.5%
6
 
3.5%
6
 
3.5%
4
 
2.3%
4
 
2.3%
4
 
2.3%
4
 
2.3%
4
 
2.3%
4
 
2.3%
3
 
1.7%
Other values (87) 127
73.8%

찾아가는길
Text

MISSING 

Distinct20
Distinct (%)100.0%
Missing2
Missing (%)9.1%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4.86596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348
Mean length442.35
Min length101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8847
Distinct characters474
Distinct categories11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5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0 ?
Unique (%)100.0%

Sample

1st row공주시청에서 부여로 가는 40번 국도를 따라간다. 동학운동 최후의 격전지로 동학혁명군 위령탑이 있는 우금치 고개를 넘어 3㎞정도 가면, 부여 방면과 검상농공단지 방면으로 향하는 삼거리를 만나게 된다. 이곳에서 부여방면으로 500m정도 가면, 숙종대왕 태실비의 안내표지판이 보이고, 50m거리에 있는 산 아래에 두 채의 집을 볼 수 있다. 집 앞에 목재들이 가득 쌓여 있는 우측 집이 공문수씨의 집이다. 대중교통은 30분 간격의 이인·탄천방면의 버스를 이용하고, 소요시간은 20분 정도이다.
2nd row서면 마량리를 찾아가는 길은 서천에서 21번 국도와 607번 지방도를 이용하며 약 3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서천군의 2개 면을 거쳐 도착하게 되는데 서천 주민들의 식수원이 있는 종천면을 먼저 거치고, 서천의 수산특산품이 많이 생산되는 비인면을 거쳐 서천군의 서쪽 땅끝 마을이며 싱싱한 해산물이 생산되는 서면에 도착하게 된다. 서해안에서 유일하게 해돋이를 볼 수 있으며 오염되지 않는 서해의 청정지역을 보존하고 있는 서면은 서천의 관광지도 많이 밀집되어 있다. 마량포구의 해돋이와 함께 춘장대 해수욕장, 홍원항구, 부사방조제 등이 있어 이곳을 찾는 이들로 하여금 많은 볼거리와 휴식처를 제공해 줄 것이다.
3rd row서천에서 한산방면으로 23번 지방도를 이용하여 10㎞ 정도 가면 길 좌측에 문헌서원이라는 안내문이 있다. 이 곳에서 1.6㎞를 더 들어가면 문헌서원이 있다. 버스를 이용하면 15분 정도 걸리는 서천시내에서 그리 멀지 않고 찾기도 쉽다. 한산소곡주 제조장과 한산모시관을 가는 여정과 같다. 23번 도로 옆으로는 모두 논이다. 서천평야의 드넓은 벌판 사이를 창문을 열고 신나게 달리다 보면 시원한 바람에 흥이 절로 나고 운전자의 피곤함도 가실 것이다. 차량도 그리 많지 않고 길 막힐 염려도 없어 방문자를 즐겁게 한다.
4th row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목천 I.C 에서 병천면 방면으로 간다. 병천면 연춘리 냇가의 다리를 건너기 전에 죄회전하여 10분 정도 가면 북면사무소가 있다. 북면사무소에서 위례초등학교 방향으로 가서 죄회전 하면 유성농장이다. 북면 연춘리에서 유성농장까지는 약 11㎞이다. 유성농장에서 1시간 정도 걸어서 올라가면 위례산성을 볼 수 있다. 이 등산로는 밤나무 및 산림이 우거져 있어 도심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시켜 준다. 천안시에서는 천안삼거리에서 병천·청주방면으로 가는 21번 국도를 따라가다 병천면 연춘리로 가면 되는데, 천안에서 유성농원까지는 약 25분 정도 걸린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싶다면 천안터미널이나 역에서 대평리행 버스를 타고 가다 납안리에서 하차하면 된다. 천안에서 45분 정도 소요되며, 운행횟수는 하루에 4번이므로 시간표를 미리 확인해야 한다.
5th row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목천 I.C에서 빠져나와 독립기념관 방향으로 가면 되고, 여기서부터 약 8㎞가면 된다. 천안에서는 병천·수신면 방향으로 가다 보면 천안삼거리 공원을 지나가게 되고 여기서부터 약 15∼20분 정도가 걸린다. 현재는 천안-병천간 4차선 공사가 진행중에 있다. 예상되는 소요시간은 30∼40분 정도이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53
 
2.6%
가면 31
 
1.5%
있는 21
 
1.0%
정도 20
 
1.0%
나온다 20
 
1.0%
16
 
0.8%
16
 
0.8%
16
 
0.8%
가는 14
 
0.7%
된다 14
 
0.7%
Other values (1252) 1856
89.4%
2024-01-10T07:51:45.24034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060
 
23.3%
230
 
2.6%
222
 
2.5%
. 186
 
2.1%
181
 
2.0%
161
 
1.8%
161
 
1.8%
157
 
1.8%
148
 
1.7%
143
 
1.6%
Other values (464) 5198
58.8%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6321
71.4%
Space Separator 2060
 
23.3%
Other Punctuation 238
 
2.7%
Decimal Number 175
 
2.0%
Lowercase Letter 32
 
0.4%
Other Symbol 9
 
0.1%
Uppercase Letter 6
 
0.1%
Math Symbol 3
 
< 0.1%
Dash Punctuation 1
 
< 0.1%
Close Punctuation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30
 
3.6%
222
 
3.5%
181
 
2.9%
161
 
2.5%
161
 
2.5%
157
 
2.5%
148
 
2.3%
143
 
2.3%
104
 
1.6%
104
 
1.6%
Other values (437) 4710
74.5%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40
22.9%
1 32
18.3%
5 30
17.1%
2 23
13.1%
3 21
12.0%
4 14
 
8.0%
7 6
 
3.4%
6 5
 
2.9%
8 4
 
2.3%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86
78.2%
, 40
 
16.8%
· 7
 
2.9%
' 4
 
1.7%
% 1
 
0.4%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C 2
33.3%
I 2
33.3%
E 1
16.7%
K 1
16.7%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19
59.4%
k 11
34.4%
2
 
6.2%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060
10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9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3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321
71.4%
Common 2488
 
28.1%
Latin 38
 
0.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30
 
3.6%
222
 
3.5%
181
 
2.9%
161
 
2.5%
161
 
2.5%
157
 
2.5%
148
 
2.3%
143
 
2.3%
104
 
1.6%
104
 
1.6%
Other values (437) 4710
74.5%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060
82.8%
. 186
 
7.5%
0 40
 
1.6%
, 40
 
1.6%
1 32
 
1.3%
5 30
 
1.2%
2 23
 
0.9%
3 21
 
0.8%
4 14
 
0.6%
9
 
0.4%
Other values (10) 33
 
1.3%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19
50.0%
k 11
28.9%
2
 
5.3%
C 2
 
5.3%
I 2
 
5.3%
E 1
 
2.6%
K 1
 
2.6%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321
71.4%
ASCII 2505
 
28.3%
CJK Compat 9
 
0.1%
None 9
 
0.1%
Math Operators 3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060
82.2%
. 186
 
7.4%
0 40
 
1.6%
, 40
 
1.6%
1 32
 
1.3%
5 30
 
1.2%
2 23
 
0.9%
3 21
 
0.8%
m 19
 
0.8%
4 14
 
0.6%
Other values (13) 40
 
1.6%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30
 
3.6%
222
 
3.5%
181
 
2.9%
161
 
2.5%
161
 
2.5%
157
 
2.5%
148
 
2.3%
143
 
2.3%
104
 
1.6%
104
 
1.6%
Other values (437) 4710
74.5%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9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 7
77.8%
2
 
22.2%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3
100.0%

보존및계승
Text

CONSTANT  MISSING 

Distinct1
Distinct (%)100.0%
Missing21
Missing (%)95.5%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5.41271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38
Median length138
Mean length138
Min length138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38
Distinct characters71
Distinct categories4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 ?
Unique (%)100.0%

Sample

1st row노성면 하도리의 최대길씨를 비롯한 마을주민 130명과 농악회원 50명 정도가 노성면 두레풍장 보존위원회를 조직하여 위원회의 회원들에게 가르치고 전수시키고 있다. 그리고 최대길씨는 이 지역의 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해 도청에 다니면서 홍보를 하고 있다.
ValueCountFrequency (%)
노성면 2
 
6.7%
있다 2
 
6.7%
하도리의 1
 
3.3%
홍보를 1
 
3.3%
다니면서 1
 
3.3%
도청에 1
 
3.3%
위해 1
 
3.3%
지정받기 1
 
3.3%
문화재로 1
 
3.3%
지역의 1
 
3.3%
Other values (18) 18
60.0%
2024-01-10T07:51:45.66702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9
 
21.0%
4
 
2.9%
4
 
2.9%
4
 
2.9%
3
 
2.2%
3
 
2.2%
3
 
2.2%
3
 
2.2%
3
 
2.2%
3
 
2.2%
Other values (61) 79
57.2%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02
73.9%
Space Separator 29
 
21.0%
Decimal Number 5
 
3.6%
Other Punctuation 2
 
1.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
 
3.9%
4
 
3.9%
4
 
3.9%
3
 
2.9%
3
 
2.9%
3
 
2.9%
3
 
2.9%
3
 
2.9%
3
 
2.9%
3
 
2.9%
Other values (55) 69
67.6%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2
40.0%
1 1
20.0%
3 1
20.0%
5 1
2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9
100.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02
73.9%
Common 36
 
26.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
 
3.9%
4
 
3.9%
4
 
3.9%
3
 
2.9%
3
 
2.9%
3
 
2.9%
3
 
2.9%
3
 
2.9%
3
 
2.9%
3
 
2.9%
Other values (55) 69
67.6%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9
80.6%
0 2
 
5.6%
. 2
 
5.6%
1 1
 
2.8%
3 1
 
2.8%
5 1
 
2.8%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02
73.9%
ASCII 36
 
26.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9
80.6%
0 2
 
5.6%
. 2
 
5.6%
1 1
 
2.8%
3 1
 
2.8%
5 1
 
2.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
 
3.9%
4
 
3.9%
4
 
3.9%
3
 
2.9%
3
 
2.9%
3
 
2.9%
3
 
2.9%
3
 
2.9%
3
 
2.9%
3
 
2.9%
Other values (55) 69
67.6%

관람비
Text

MISSING 

Distinct17
Distinct (%)100.0%
Missing5
Missing (%)22.7%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5.90649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02
Median length41
Mean length62.588235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064
Distinct characters163
Distinct categories7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7 ?
Unique (%)100.0%

Sample

1st row이곳은 무료입장이며, 주차비도 무료이다.
2nd row동백나무 숲의 관광객에만 관람료를 징수하는데 동백정의 입장료는 어른 1인 기준 500원이며 50여대의 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도 있다.
3rd row입장 및 관람비는 없다.
4th row관람비는 없다.
5th row특별히 개방시간과 입장료가 필요 없고 사전 연락을 하면 언제든지 관람이 가능하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7
 
3.0%
받고 5
 
2.1%
없다 4
 
1.7%
단체 3
 
1.3%
3
 
1.3%
3
 
1.3%
입장료는 3
 
1.3%
언제든지 3
 
1.3%
관람이 2
 
0.9%
입장료가 2
 
0.9%
Other values (171) 199
85.0%
2024-01-10T07:51:46.27994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24
 
21.1%
0 50
 
4.7%
46
 
4.3%
30
 
2.8%
. 29
 
2.7%
24
 
2.3%
20
 
1.9%
20
 
1.9%
19
 
1.8%
, 19
 
1.8%
Other values (153) 583
54.8%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678
63.7%
Space Separator 224
 
21.1%
Decimal Number 103
 
9.7%
Other Punctuation 54
 
5.1%
Open Punctuation 2
 
0.2%
Close Punctuation 2
 
0.2%
Dash Punctuation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6
 
6.8%
30
 
4.4%
24
 
3.5%
20
 
2.9%
20
 
2.9%
19
 
2.8%
18
 
2.7%
17
 
2.5%
16
 
2.4%
16
 
2.4%
Other values (135) 452
66.7%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50
48.5%
1 15
 
14.6%
2 11
 
10.7%
5 10
 
9.7%
4 6
 
5.8%
3 4
 
3.9%
6 3
 
2.9%
8 2
 
1.9%
9 2
 
1.9%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9
53.7%
, 19
35.2%
· 2
 
3.7%
' 2
 
3.7%
: 2
 
3.7%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24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78
63.7%
Common 386
36.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6
 
6.8%
30
 
4.4%
24
 
3.5%
20
 
2.9%
20
 
2.9%
19
 
2.8%
18
 
2.7%
17
 
2.5%
16
 
2.4%
16
 
2.4%
Other values (135) 452
66.7%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24
58.0%
0 50
 
13.0%
. 29
 
7.5%
, 19
 
4.9%
1 15
 
3.9%
2 11
 
2.8%
5 10
 
2.6%
4 6
 
1.6%
3 4
 
1.0%
6 3
 
0.8%
Other values (8) 15
 
3.9%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678
63.7%
ASCII 384
36.1%
None 2
 
0.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24
58.3%
0 50
 
13.0%
. 29
 
7.6%
, 19
 
4.9%
1 15
 
3.9%
2 11
 
2.9%
5 10
 
2.6%
4 6
 
1.6%
3 4
 
1.0%
6 3
 
0.8%
Other values (7) 13
 
3.4%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6
 
6.8%
30
 
4.4%
24
 
3.5%
20
 
2.9%
20
 
2.9%
19
 
2.8%
18
 
2.7%
17
 
2.5%
16
 
2.4%
16
 
2.4%
Other values (135) 452
66.7%
None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이용가능시간
Text

MISSING 

Distinct17
Distinct (%)100.0%
Missing5
Missing (%)22.7%
Memory size308.0 B
2024-01-10T07:51:46.52009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51
Median length33
Mean length44.411765
Min length1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755
Distinct characters132
Distinct categories8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7 ?
Unique (%)100.0%

Sample

1st row새벽예불이 시작하는 4시 반부터 관람이 가능하며, 스님들의 공부를 위해, 그리고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밤 10시가 되면 경비소에서 출입을 통제한다.
2nd row이용가능시간은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이며 휴무일 없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
3rd row이용가능시간은 지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관리인의 편의상 09:00∼18:00로 하고 있다. 참고로 이항규씨에게 사전전화를 하고 방문하면 언제든지 방문할 수 있다.
4th row관람시간은 09:00∼18:00이다.
5th row사전 연락을 하면 언제든지 관람이 가능하다.
ValueCountFrequency (%)
언제든지 5
 
3.5%
5
 
3.5%
있다 5
 
3.5%
오전 4
 
2.8%
동절기에는 4
 
2.8%
하절기에는 4
 
2.8%
관람시간은 4
 
2.8%
이용가능시간은 3
 
2.1%
오후 3
 
2.1%
위해 3
 
2.1%
Other values (91) 101
71.6%
2024-01-10T07:51:46.88196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30
 
17.2%
0 56
 
7.4%
24
 
3.2%
23
 
3.0%
: 22
 
2.9%
. 20
 
2.6%
19
 
2.5%
19
 
2.5%
1 15
 
2.0%
15
 
2.0%
Other values (122) 412
54.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453
60.0%
Space Separator 130
 
17.2%
Decimal Number 104
 
13.8%
Other Punctuation 49
 
6.5%
Math Symbol 11
 
1.5%
Dash Punctuation 4
 
0.5%
Open Punctuation 2
 
0.3%
Close Punctuation 2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4
 
5.3%
23
 
5.1%
19
 
4.2%
19
 
4.2%
15
 
3.3%
13
 
2.9%
13
 
2.9%
12
 
2.6%
12
 
2.6%
12
 
2.6%
Other values (104) 291
64.2%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56
53.8%
1 15
 
14.4%
9 13
 
12.5%
8 7
 
6.7%
7 6
 
5.8%
6 3
 
2.9%
3 1
 
1.0%
2 1
 
1.0%
5 1
 
1.0%
4 1
 
1.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2
44.9%
. 20
40.8%
, 7
 
14.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30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11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53
60.0%
Common 302
4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4
 
5.3%
23
 
5.1%
19
 
4.2%
19
 
4.2%
15
 
3.3%
13
 
2.9%
13
 
2.9%
12
 
2.6%
12
 
2.6%
12
 
2.6%
Other values (104) 291
64.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30
43.0%
0 56
18.5%
: 22
 
7.3%
. 20
 
6.6%
1 15
 
5.0%
9 13
 
4.3%
11
 
3.6%
, 7
 
2.3%
8 7
 
2.3%
7 6
 
2.0%
Other values (8) 15
 
5.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53
60.0%
ASCII 291
38.5%
Math Operators 11
 
1.5%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30
44.7%
0 56
19.2%
: 22
 
7.6%
. 20
 
6.9%
1 15
 
5.2%
9 13
 
4.5%
, 7
 
2.4%
8 7
 
2.4%
7 6
 
2.1%
- 4
 
1.4%
Other values (7) 11
 
3.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4
 
5.3%
23
 
5.1%
19
 
4.2%
19
 
4.2%
15
 
3.3%
13
 
2.9%
13
 
2.9%
12
 
2.6%
12
 
2.6%
12
 
2.6%
Other values (104) 291
64.2%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11
100.0%

Correlations

2024-01-10T07:51:46.98759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분류지역명명칭관리자명칭의유래형성배경경위자원분포및생산조건내용상표포장찾아가는길관람비이용가능시간
분류1.0000.9841.0001.0001.0001.0001.0001.0000.0001.0000.0000.0001.000NaNNaN
지역명0.9841.0001.0001.0001.0001.0001.0001.0000.0001.0000.0000.0001.0001.0001.000
명칭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0.0001.0000.0000.0001.0001.0001.000
관리자1.0001.0001.0001.0001.0001.0001.0000.0000.0001.0000.0000.0001.0001.0001.000
명칭의유래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0.0001.0000.0000.0001.0001.0001.000
형성배경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0.0001.0000.0000.0001.0001.0001.000
경위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0.0001.0000.0000.0001.0001.0001.000
자원1.0001.0001.0000.0001.0001.0001.0001.0000.0001.000NaNNaN1.0001.0001.000
분포및생산조건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000NaNNaNNaN0.000NaNNaN
내용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NaN1.000NaNNaN1.0001.0001.000
상표0.0000.0000.0000.0000.0000.0000.000NaNNaNNaN1.0000.000NaNNaNNaN
포장0.0000.0000.0000.0000.0000.0000.000NaNNaNNaN0.0001.000NaNNaNNaN
찾아가는길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0.0001.000NaNNaN1.0001.0001.000
관람비NaN1.0001.0001.0001.0001.0001.0001.000NaN1.000NaNNaN1.0001.0001.000
이용가능시간NaN1.0001.0001.0001.0001.0001.0001.000NaN1.000NaNNaN1.0001.0001.000

Missing values

2024-01-10T07:51:36.98272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4-01-10T07:51:37.15486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2024-01-10T07:51:37.29551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The correlation heatmap measures nullity correlation: how strong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variable affects the presence of another.

Sample

분류지역명명칭관리자명칭의유래형성배경경위자원분포및생산조건내용특성상표포장찾아가는길보존및계승관람비이용가능시간
0놀이,여가생활분야공주시'각'(覺)자 목탁공문수각'자 목탁에 대한 이름이 언제, 어떻게 붙여졌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공문수씨의 할아버지인 공덕준 스님은 직접 목탁을 만들면서 목탁에다 자신의 법명인 '각'자를 새겨 넣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스님이었던 공문수씨의 할아버지가 자신의 목탁을 직접 만들어 쓰던 것이 계기가 되어 3대째 목탁을 생산하고 있다.백제불교 목공예원에서 만드는 수목탁의 역사는 조선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공문수씨의 조부인 공덕준씨는 스님이었는데, 염불을 위한 목탁을 스스로 만드셨다. 공덕준씨가 만드는 목탁이 모양이 좋고 소리가 청아하여 주위로부터 목탁을 만들어 달라는 부탁이 점점 많아지게 되었고, 조부는 목탁생산으로 생계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 후 공문수씨의 부친인 공점철씨도 조부로부터 목탁제작기술을 전수받아 목탁을 만들게 되었다. 공점철씨는 3남 3녀의 자녀들이 있었는데, 그중 공문수씨의 솜씨가 제일 뛰어나 3대째 가업을 잇게 되었다. 공문수씨는 부친을 도와 17세 때부터 목탁 만드는 일을 시작하였다. 그는 조부로부터 2대째 내려오는 목탁제작에 대한 모든 기술과 십리 거리에서도 들리는 소리를 내는 목탁인 십목을 만들겠다는 장인정신을 전수받았다. 하지만, 공문수씨가 지금까지 오게된 것은 순탄했던 것은 아니었다. 목탁 만드는 일을 이어받게 된 것도 3남 3녀 중 가장 솜씨가 좋다고 부친이 결정한 것이었고, 주원료인 목재를 구하러 다닐 때는 나무에서 떨어져 죽을 고비도 많이 넘겼다. 또한 목탁을 만들다가 연장도구에 의해 손이 남아나질 않을 정도로 크게 다쳐 포기를 결심한 적도 많았다. 그러나 실패와 회의도 잠시뿐 공문수씨는 목탁을 만들면 만들수록 목탁을 만드는 일이 자신의 천직이라 생각하게 되었다. 부친과 함께 목탁을 생산하다가 1997년부터 부친은 연로하여 일손을 놓고 지금은 혼자서 목탁을 만들고 있다. 1999년에 백제불교 목공예원를 만들어 목탁과 각종 불교 용품을 생산하고 있다.살구나무, 대추나무우리 나라 전국에 있는 10년 이상 된 살구나무, 대추나무를 직접 찾아서 가져온다.<NA>목탁이라는 것은 어(魚)탁이라고도 불리는데, 옛날에 스님들이 동굴에서 불경을 외다가 동굴에서 떨어지는 낙수 소리에 리듬을 실어 불경을 외던 것에서 목탁이 유래되었다. 대추나무 목탁은 맑고 강한 소리가 나며, 살구나무 목탁은 부드럽고 연한 소리가 난다고 한다. 살구나무 등을 이용한 목탁은 장흥물(부적과 같은 역할)이라 하여 귀신을 쫓는다는 설화가 전해 내려온다.장문수씨는 모든 종류의 목탁을 만드나 100년 이상 된 대추나무는 구하기 힘들어 보통 살구나무를 이용한 목탁을 만들고 있다. 공문수씨는 '각'자목탁을 만들기 위해 우선 100년 이상 된 살구나무를 찾기 위해, 해마다 4-5월이면 전국을 누비고 있다. 전국에서 구한 살구나무에다 할아버지 때부터 전해 내려오는 비법에 따라 목탁을 제작하게 된다. 특히 산지로부터 가져온 원목을 토막으로 자를 때 전기톱을 사용하지만, 그 밖의 목탁을 만드는 모든 작업은 조부로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방식(수작업)을 유지하고 있다. 우선 목침 모양으로 적당한 크기로 토막을 낸 뒤 나무에 금이 가지 않고, 좋은 소리를 내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약품을 섞은 물로 30-40시간 동안 삶는다. 삶은 후 3년 동안 서늘한 황토방에서 잘 건조를 시키는 과정을 밟는다. 이렇게 준비한 재료를 꺼내 목탁의 모양을 어느 정도 잡아주는 거친줄 작업을 한 후 속파기를 시작한다. 속파기 작업이 끝나면 조각을 하는데 기본적으로 '覺'자와 '법도경'이라는 글씨를 새긴 후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용을 조각하거나 각종 문양을 새겨넣는다. 직접 목탁소리를 들어가며 소리를 잡는 작업을 하고, 들기름을 6-10회 정도 입혀 색이 좋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목탁을 만든다. 생산된 목탁은 지름 12-30㎝의 크기이다. 위의 모든 과정은 끌, 망치, 조각기 등을 이용해 손으로 만드는데, 보통 6-8일 정도 걸린다. 완성된 목탁은 청아한 소리를 자아내고, 매우 단단하여 깨짐 현상이 없고, 고운 무늬 결을 수년간 유지하는 것이 장점이다.목탁에 각(覺)과 도경(불경의 길을 걷는다)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준비한 포장용기는 없지만, 주문 판매시 우체국에 있는 상자를 이용한다. 각 목탁에는 간단한 소개가 적혀있는 상표가 붙어있다.공주시청에서 부여로 가는 40번 국도를 따라간다. 동학운동 최후의 격전지로 동학혁명군 위령탑이 있는 우금치 고개를 넘어 3㎞정도 가면, 부여 방면과 검상농공단지 방면으로 향하는 삼거리를 만나게 된다. 이곳에서 부여방면으로 500m정도 가면, 숙종대왕 태실비의 안내표지판이 보이고, 50m거리에 있는 산 아래에 두 채의 집을 볼 수 있다. 집 앞에 목재들이 가득 쌓여 있는 우측 집이 공문수씨의 집이다. 대중교통은 30분 간격의 이인·탄천방면의 버스를 이용하고, 소요시간은 20분 정도이다.<NA><NA><NA>
1향토유적천안시각원사(청동대좌불)주지스님 신법인고려 태조 왕건의 전설이 깃든 태조 산은 '삼국의 중심이요 일방 요충지지'라고 하여 오룡쟁주의 세로서 이 땅에 만약 삼천호읍을 설치하여 군사를 훈련하면 백제가 장차 항복하리라 하여 태조가 친히 산에 올라 두루 살피고 비로소 천안부를 설치하였다 하여 태조산이라 칭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태조 왕건이 삼국 통일의 대업을 이루기 위하여 준비하고 훈련하던 곳이 바로 이곳이다. 태조산 서쪽에는 동양최대의 좌불상인 청동대좌불과 각원사가 건축되어 있다. 각원사(覺願寺)는 이 절의 주지스님께서 직접 지은 이름이며, 그 뜻은 깨닫고 원하는 바를 이루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각원사 주지 신법인 스님은 국제포교사로서 일본에 주재해 있으면서 한국 땅에 동양최대의 대좌불을 세우고 온 겨레의 염원인 남북통일을 기원하는 사찰을 창건하고자 방방곡곡을 헤매던 중 명산인 이곳을 발견하고 대불사를 시작하게 되었다.이곳 태조산은 고려 태조가 삼국통일의 위업을 성취했던 호국의 혼이 서려 있는 유서 깊은곳이며 지형을 잘 살려서 큰 광장을 만들고 불상의 배치도 조화 있게 마련하였다. 천안의 새 명소로 각광을 받게 된 청동대좌불은 1975년 3월부터 2년 2개월간의 제작기간을 거쳐 1977년 5월 9일에 태조산 서북쪽 산기슭에 봉안되었다. 그 왼쪽으로 각원사가 건립되었다. 1977년부터 창건 중인 태조산 각원사의 불사는 많은 불자들의 정성이 모아져 계속 진행중이다. 가운데 200평 규모의 대웅보전은 10년 여의 대불사 끝에 1996년 10월 15일 낙성되었으며, 대웅전은 국내 최대 규모로서 한국 불교문화에 기념비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웅보전 앞뜰에 있는 성종루는 1990년 4월에 낙성을 보았는데 329평 규모의 2층 누각으로 서울의 보신각보다도 웅장하다.<NA><NA>각원사는 총대지 16,000평에 서쪽으로 60톤의 대좌불을 봉안했고, 대웅전 200평, 산신각, 칠성각이 각 24평, 요사 2동 300평, 범종각 150평, 불교회관 3층에 600평, 설법전 36평, 그리고 일주문 등의 대불사가 진행 중에 있다. 청동대좌불은 전체높이가 14.5m, 불상둘레 30.3m 이고 청동의 무게만도 60톤이다. 무릎사이의 길이가 10미터나 되고, 귀 길이가 1미터 75센티미터이며 손톱만도 30∼40센티미터나 되는 장대한 모습을 하고 세계최대의 예술적 극치를 이루고 있는 불상이다. 재료로 사용된 60톤의 청동은 전 불교인들이 뜻을 모았고 작품은 최기원 홍익대교수가 만들었다. 하대석에는 복련이 양각되고, 중대석에는 연꽃잎이 있으며, 상대석에는 앙련이 있다. 원만한 얼굴에 불상머리는 나발을 하고, 육계는 둥글고 크다. 좁은 이마에 백호를 달고, 귀는 목까지 내려왔으며, 목에는 3도가 표현되었고, 수인은 중품중생인을 취하였다. 통견의 법의를 걸치고 있다. 주물이 아닌 분신동편(分身銅片)을 조립한 특수공법을 써서 만들고 복장품(服裝品)으로는 진신사리와 대장경이 보장되었고 203계단의 오르는 길을 돌로 층계를 만들었다. 이는 108번뇌와 관세음보살의 32화신(化身)과 아미타불의 48소원 12인연 3보(寶) 등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태양의 성종은 무게 20톤, 직경 2미터 50센티미터, 높이 4미터 12센티미터의 대범종이다.<NA><NA><NA><NA><NA>이곳은 무료입장이며, 주차비도 무료이다.새벽예불이 시작하는 4시 반부터 관람이 가능하며, 스님들의 공부를 위해, 그리고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밤 10시가 되면 경비소에서 출입을 통제한다.
2향토유적서천군마량포구<NA>마량리는 백제 때 비중현에 속한 해변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서림군 영현인 비비현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임천의 비인현 소속이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에 비인현의에 동백꽃이 많이 피는 곳으로 알려졌으며, 고려 말부터 왜적의 침입이 잦았던 곳으로 조선 세종 때는 병선이 자주 정박했었다 한다. 지형이 마른 말과 같다는 설이 있으며 조선 말 비인군 서면의 지역으로 효종 7년(1656)에 남포현에 있던 충청수군 마량진을 이곳에 옮겨와서 마량진 또는 마량리라 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혁에 따라 마량리라 해서 서천군 서면에 편입되었다.서해의 해돋이를 볼 수 있는 아름다운 서면 마량포와 천연기념물 169호로 지정된 동백나무가 밀집되어 있는 동백나무 숲, 그리고 동백정, 인근 춘장대 해수욕장, 금강변 갈대숲과 철새도래지를 연계한 새로운 관광코스를 개발하고 이미지를 관광 상품화하기 위해 마량포구 해돋이 마을을 조성하게 되었다.마량 해돋이 마을과 동백나무 숲이 있는 동백정은 96년 10월까지는 무료입장에 누구나 시간구애 없이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찾아오는 외지인들이 점점 많이 늘어남에 따라 마을을 관리하고 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96년 11월부터 관람료를 징수하기 시작하여 99년에는 7만여 명의 관람객이 찾아오기도 했다. 또한 99년 12월 31일부터 2000년 1월 1일 에는 서면 마량리에서 새 즈믄 해맞이 행사를 하기도 했는데 즈믄 해짐이 행사를 시작으로 성화 봉송, 시낭송, 관람객 놀이마당, 연예인 초청 특별공연을 했으며 새 즈믄 해맞이 행사로 달집태우기, 일출감상, 관광객 풍선날리기 등 다채로운 행사를 열었다. 찾아오는 관광객들의 편이를 위해 장항선과 경부선 등의 열차 운행과 시외버스 운행, 자가용 이용을 위한 교통편 정보제공을 했으며 숙박, 민박 안내소 운영과 특산품 판매장을 운영하여 저렴하고 싱싱한 활어를 관광객들이 구입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셔틀버스를 운행하여 해돋이 마을의 여러 곳을 관람하도록 했으며 서천군 홈페이지를 통해 이 행사에 찾아오는 분들을 위해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를 하기도 했다.마량리에는 전에 동백정 해수욕장이 자리잡고 있어 동백정과 함께 많은 관광객이 찾던 지역이었다. 지금은 40-50대 지역 주민들이 향수에 젖어 많이 찾아오고 있으며 인터넷과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로 다양한 연령층의 관광객이 찾아오고 학생들 소풍장소로도 이용된다.<NA>마량포구의 가장 유명한 곳은 동백나무가 숲을 이루는 동백정이다. 천연기념물 169호로 지정된 동백나무가 80여 그루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꽃이 피는 봄철에 많은 관광객이 꽃을 보기 위해 이곳을 많이 찾는다. 400여 년 전 마량의 수군청사가 험난한 바다를 안전하게 다니려면 이곳에 제단을 세우고 제사를 지내라는 계시를 받고 제단을 만들었는데 이 때 심은 동백나무가 오늘의 동백나무 숲을 이루었다. 지금도 마량리 주민들은 정월초가 되면 동백정 곁에 있는 당집에서 마을의 안녕을 비는 풍어제를 지내고 있다. 96년부터는 군에서 입장료를 받고 있는데 계단 등 일부를 정비하고 서해바다의 푸른물이 잘 보이도록 해안 철책밖으로 있는 소나무 방풍림 일부를 베어내어 시야를 확 트이도록 했다. 이곳에서는 4월에서 5월중에 서천의 특산물인 쭈꾸미 축제가 열리기도 한다. 동백정의 아름답고 탐스러운 빨간 동백꽃을 감상하고 마량포구로 향하면 서해안에서의 일출과 일몰을 감상할 수 있고 서해의 천연 갯벌에서는 조개와 맛 등 패류를 직접 잡을 수도 있다. 같이 연결된 춘장대 해수욕장에는 서천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해송이 바닷가에 우거져 해수욕을 즐기며 해송에서 나오는 피톤치드의 상쾌함을 맛볼 수 있는데 매년 7월 초에서 8월 말까지 이용할 수 있다. 인근 홍원항에서는 서천의 전체 해산물의 40%가 생산되며 이곳에서 잡히는 어패류를 이용하여 인근 수산물 회사에서 가공판매도 한다. 춘장대 해수욕장에서 웅천의 무창포 해수욕장을 잇는 부사방조제 또한 찾아가 볼 수 있다.<NA><NA><NA>서면 마량리를 찾아가는 길은 서천에서 21번 국도와 607번 지방도를 이용하며 약 3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서천군의 2개 면을 거쳐 도착하게 되는데 서천 주민들의 식수원이 있는 종천면을 먼저 거치고, 서천의 수산특산품이 많이 생산되는 비인면을 거쳐 서천군의 서쪽 땅끝 마을이며 싱싱한 해산물이 생산되는 서면에 도착하게 된다. 서해안에서 유일하게 해돋이를 볼 수 있으며 오염되지 않는 서해의 청정지역을 보존하고 있는 서면은 서천의 관광지도 많이 밀집되어 있다. 마량포구의 해돋이와 함께 춘장대 해수욕장, 홍원항구, 부사방조제 등이 있어 이곳을 찾는 이들로 하여금 많은 볼거리와 휴식처를 제공해 줄 것이다.<NA>동백나무 숲의 관광객에만 관람료를 징수하는데 동백정의 입장료는 어른 1인 기준 500원이며 50여대의 차를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도 있다.이용가능시간은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이며 휴무일 없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
3향토유적서천군문헌서원(文獻書院)<NA>영모리는 문헌서원이 자리잡고 있는 유서 깊은 마을이다. 고려 때 성리학자 목은 이색이 8세 때부터 12세 때까지 공부했던 영모암이 있어 영모암 혹은 영모라 하였다. 마을 아랫녘 입구에는 한산 팔경에 송정암송으로 나오는 숭정산이 소나무와 괴석이 어우러진 절묘한 경치를 연출하고 있어 마을의 경관을 더하고 있다. 문헌서원은 고려의 성리학자인 목은 이색과 그의 부친 가정 이곡 선생을 비롯하여 단종 때 사육신의 한사람인 이개 등 6위를 배향한 서원으로, 선조25년(1592) 임진왜란 때 한산군수(이성중)가 건립, 이색을 모신 효정사(孝靖祠)가 소실된 후 광해2년(1610) 좌의정 이덕성에 의해 한산면 죽촌리에 이건하고 다음해(1611)에 문헌(文獻)이라는 이름이 내려졌다. 그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고종8년(1871)에 서원이 철폐되었는데 고종 28(1891)년에 그 자리에 단을 세웠다가 옛터 죽촌리에 재건하기가 어려워 현 위치에 1969년에 재건하여 매년 춘·추(春秋) 중정일에 제향하고 있다.문헌서원은 고려말 성리학의 대가인 가정 이곡과 목은 이색 두 분을 배향하기 위하여 선조 27년(1594)에 이 곳에 건립되었는데 이 두 분과 이종학, 이자, 이개, 이종덕 등의 여섯 분의 위패를 모시고 봄, 가을 두 차례 제사를 지내고 있다.문헌서원은 1995년 보수공사를 하여 그 어느 때보다 단정하게 정리되었고 건물 1동, 홍살문이 증축되었고 강당도 보기 좋게 다시 수축되었다. 문헌서원이 이 자리에 세워진 것은 1968년이다. 본래 서원자리는 이 자리가 아니고 한산면 죽촌리 강당 터이다.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철폐 되었다가 단을 세우고 배향하다가 1968년 이곳에 옮겨 확장하였다. 새로 수축한 강당과 제실 사이를 지나 남쪽 길로 가면 문헌서원이 있다. 맛배지붕 밑에 큼직하게 쓴 문헌서원 글씨는 우암 송시열의 친필이다. 문헌서원에 배향한 분은 처음 효정사 시절에는 이곡, 이색 선생을 1611년에는 인재 이종학, 음애 이자를, 1713년에는 백옥헌선 이개를 추가 배향하였다. 또한 1891년에는 제단을 만들어 배향 할 때 현암 이종덕, 어성 신성생, 남강 이임, 과묵당 흥미를 같이 배향하였고, 또한 복천 강 선생, 지족권 선생을 추가 배향한 적도 있다. 지금은 한산 이씨 여섯 분만이 배향되어 있으며 사우의 성격을 갖고 있다. 물론 조선후기에 오면 사우의 개념이 모호해지기는 하지만 현재 문헌서원의 성격은 사우의 성격을 담고 있다.목은 이색과 관련된 연구를 하는 사학자들이 방문하며 지역 학생들의 소풍, 그리고 한산이씨의 중종들이 춘·추 제향 때 많이 방문한다. 지나가는 관광객부터 일부러 문헌서원까지 찾아오는 사람까지 방문객은 다양하며 방문객 분포 또한 전국적이다.<NA>한산 이씨는 목은 이색을 낳았고 조선 500년 동안 상신을 넷, 판서를 열, 공신을 열둘이나 두었으며 사육신의 한 사람인 이개를 비롯한 성리학의 태두(泰斗)로서 서해를 빛냄은 가정 이곡의 모험에 있다고 볼 만 하다. 조선말엽 참관 벼슬을 버리고 예산에 낙향하여 일제에 항거하다가 아산역전 천변에서 대신 죽이려던 아들과 함께 난자 당한 이남규도 한산이씨의 후예이며 근대 한국의 정신적 지주였던 월남 이상재선생도 그 후예이다. 이색(李穡, 1328∼1396)은 고려 말의 성리학자이며 고려말 삼은(三隱)의 한사람이다. 호는 목은, 시호는 문정으로 본관은 한산이며 이곡의 아들로 어려서부터 총기가 뛰어나 14세에 성균관 시에 합격하였다. 공양왕 때 판문하부사가 되었고 그후 오사층의 상소로 장단, 함암 등에 귀양갔으나 돌아와 다시 한산 부원군에 피봉되어 예문춘추관사에 임명되었다. 정몽주가 피살되자 이와 관련되어 다시 금천, 영흥, 장흥 등지로 유배된 뒤에 석방되었다. 조선 개국 후 태조는 그의 인재를 아끼어 태조4년(1395)에 한산 백으로 봉하여 예를 다하여 출사를 종용하였으나 끝내 고사하고 '망국에 사대부는 오로지 해골을 고산에 파묻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다음 해 피서차 여주에 있는 여강으로 가던 도중 갑자기 죽음으로써 그 사인에 대해서는 후세에 의혹을 남기고 있다. 서원이라 하면 배향의 장소와 강학의 장소로 대별할 수 있는데 배향의 장소에 치중한 것은 현재의 입장에서 복원했기 때문이다. 특히 서원의 경우 대개 남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데 북향을 하고 있는 것도 이 서원의 특징이다. 영당 뒤쪽의 백일홍 나무는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우람한 자태를 자랑한다. 백일홍속에 영당이 자리하고 있는데, 영당은 이색 선생의 영정을 모신 곳이기에 영당이라고 한다. 영당은 안내하는 분이 있어서 그 분의 안내에 따라 행동하면 된다. 문헌서원의 영정은 영조 31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1995년 보물 제 1215호로 지정되었고,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 125호로, 목은 선생 문집판각은 자료 제 77호, 신도비는 제 12<NA><NA><NA>서천에서 한산방면으로 23번 지방도를 이용하여 10㎞ 정도 가면 길 좌측에 문헌서원이라는 안내문이 있다. 이 곳에서 1.6㎞를 더 들어가면 문헌서원이 있다. 버스를 이용하면 15분 정도 걸리는 서천시내에서 그리 멀지 않고 찾기도 쉽다. 한산소곡주 제조장과 한산모시관을 가는 여정과 같다. 23번 도로 옆으로는 모두 논이다. 서천평야의 드넓은 벌판 사이를 창문을 열고 신나게 달리다 보면 시원한 바람에 흥이 절로 나고 운전자의 피곤함도 가실 것이다. 차량도 그리 많지 않고 길 막힐 염려도 없어 방문자를 즐겁게 한다.<NA>입장 및 관람비는 없다.이용가능시간은 지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관리인의 편의상 09:00∼18:00로 하고 있다. 참고로 이항규씨에게 사전전화를 하고 방문하면 언제든지 방문할 수 있다.
4향토유적천안시위례산성<NA>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직산위례성이라고 불리워지고 있는 이곳은 백제의 시조 온조왕이 처음으로 나라를 세운 곳으로 475년 (문주왕 1)까지의 도읍지였다. '위(尉 : 上=太陽)'는 천제(天帝)를 뜻하는 말이고, '례(禮)'는 무리를 뜻하는 여(黎.輿)자 대신에 사용된 글자이다. 즉 위례성은 천제의 아들 무리가 사는 성이라는 뜻이다. 온조는 마한의 제후로 있을 때는 위례라는 칭호를 사용하지 못하다가 마한에게 복속 하지 않고 부터 위례라는 칭호를 다시 사용하였다. 고구려의 위나암성(尉那巖成)은 '위'가 천제를 가르키고, '나(那)'는 들 또는 땅이라는 뜻으로 위나암성(尉那巖成)은 천제의 아들이 사는 성 즉 수도라는 뜻이다. 다시 신라가 이를 따라서 백성군의 영현으로 삼았으며 고려 초에 이르러 위례산성이라고 고쳤다.위례산성은 백제의 온조가 위례성의 백성들을 전란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축성한 산성으로 난시소용(亂時所用)이었다.백제의 시조 온조가 만주 지방의 고구려를 떠나 이곳 직산 까지 와서 처음으로 도읍을 정하고 개국한 곳은 현재의 직산면, 성환읍, 입장면, 성거 지방이다. 온조 13년에 이곳으로부터 경기도 광주지방으로 천도한 것으로 되어 있다. 후에 고구려가 이 지역을 빼앗아서 사산현으로 삼았고, 그 후 신라가 이를 따라서 백성군의 영현으로 삼았으며 고려 초에 이르러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 또 세조 11년(1465)에는 직산 동북 3리에 온조왕묘를 세우고 춘추에 향을 내려 제사를 모시게 하였다. 그 후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일어났을 때에도 12월 26일 조정에서 관에 명하여 백제가 처음 도읍한 직산 온조왕묘에 제사하게 하였다. 그런데 그 이전의 선조 30년(1597) 9월 정유란 때 왜적이 묘를 불태웠다. 이 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선조 말에는 사방 5리를 일인에게 광권을 주지 않았다.<NA><NA>위례산성은 입장과 북면 경계에 있는 산이며 높이는 524m이다. 토석혼축으로 쌓은 둘레 1,696척, 높이 8척의 성채가 지금도 남아 있고 그 안에 우물(용샘)이 있다. 이 성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채는 토성과 석성의 혼성으로 산 정상부의 능선을 따라 쌓았으며 토성의 길이는 약 1.7㎞이고 석성은 두 곳으로 만고 부분에 높이 약 2.5m, 길이 약 30m로 되었다. 정상부에는 약 3,000평의 평지가 있어 인간활동에 도움이 되고, 토성은 두 갈래로 나뉘어져서 동서로 적을 방어하게 하였다. 토성을 절개한 결과 판축에 의한 토성으로 확인되었고 큰 돌을 두 줄로 심을 박아 쌓아 올렸음이 확인되었다. 북쪽의 성환 평택 쪽을 바라보고 쌓은 것으로 보아 당시 고구려를 의식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 석성은 짧고 높게 쌓여졌으며 토성이 굽어져 돌아가는 부분만을 쌓은 것으로 자연석을 포개서 축성하였다. 산의 정상부에 약 50m 아래쪽에 지름이 약 4m 가량인 우물이 있으며 일명 용샘(龍泉)으로도 불리운다. 우물이 만들어진 방법은 위례산성을 축성한 방법과 비슷하며 우물의 아래쪽에서부터 돌을 둘러 회전식으로 쌓아 올렸다. 용샘은 산성용(군사용)의 우물로 수백명이 사용할 수 있으며 물의 양이 많아 아무리 가물어도 줄지 않는다고 한다. 또 전설에 의하면 용샘과 부여 백마강이 통해져 있어 백제의 왕이 이곳을 통하여 밤에는 부여에서 정치를 하고 낮에는 위례성에 와서 전투지휘를 했다고 한다. 524m나 되는 위례산성의 정상부에 인공을 가한 홈이 파여진 넓은 돌이 있으며, 이는 성문석인 것으로 추정된다. 1957년 문화재관리국의 조사에 의하면 성문의 기둥을 받쳤던 돌로 확인되었다. 위례산성의 남쪽 산의 8부 능선 450m 추정 고지에서 수십기의 적석묘 군락지가 발견되었다. 1989년 5월에 있었던 시굴에서 백제의 적석묘로 확인된 바 있다. 적석묘의 수는 정확하지 않으나 백여기 정도인 것 같다. 1989년 5월 서울대학교 박물관팀이 일부 발굴하여 본 결과 백제초기의 기와, 토기, 창촉, 철낫류, 노승 무늬 토기가<NA><NA><NA>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목천 I.C 에서 병천면 방면으로 간다. 병천면 연춘리 냇가의 다리를 건너기 전에 죄회전하여 10분 정도 가면 북면사무소가 있다. 북면사무소에서 위례초등학교 방향으로 가서 죄회전 하면 유성농장이다. 북면 연춘리에서 유성농장까지는 약 11㎞이다. 유성농장에서 1시간 정도 걸어서 올라가면 위례산성을 볼 수 있다. 이 등산로는 밤나무 및 산림이 우거져 있어 도심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시켜 준다. 천안시에서는 천안삼거리에서 병천·청주방면으로 가는 21번 국도를 따라가다 병천면 연춘리로 가면 되는데, 천안에서 유성농원까지는 약 25분 정도 걸린다.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싶다면 천안터미널이나 역에서 대평리행 버스를 타고 가다 납안리에서 하차하면 된다. 천안에서 45분 정도 소요되며, 운행횟수는 하루에 4번이므로 시간표를 미리 확인해야 한다.<NA><NA><NA>
5향토유적천안시유관순 유적지천안시 사적관리소유관순 열사는 1902년 병천면 용두리에서 부친 유중권과 모친 이씨 사이에 삼남일녀 중 외동딸로 태어났다. 유관순 열사는 14살이 되던 해인 1917년에 당시 이화학당에 입학하였다. 그리고 2년 후 3.1운동이 일어나자 서울파고다 공원의 독립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그 후 고향으로 귀향한 유관순 열사는 4월 1일(음력 3. 1) 아우내 장날을 기하여 아우내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다 공주감옥에 수감되었다. 처음에는 공주 재판소에서 7년 구형에 3년 징역을 선고받았는데, 유관순 열사가 "남의 나라를 침략하고 그 백성을 잡아다가 재판하는 것은 사리에 부당하며 나는 우리 조국의 독립을 외쳤을 뿐이다"하고 재판을 거부하였다. 이에 대해서 일본정부는 유관순 열사에게 법정 모독죄를 가중시켜 7년 징역으로 판결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1919년 8월 서대문형무소로 이감된 뒤 일제의 악독한 고문에 못 이겨 1년 후인 1920년 10월 12일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유관순 열사는 병천면 지령리 매봉산에 올라 횃불로 거사를 알렸고, 이에 의하여 일곱 개의 횃불이 타오르니 원근 각지의 산봉우리에서 화답하는 횃불이 모두 24개소가 타올랐다고 한다. 이 봉화를 신호로 아우내 시장에서는 3,000여명의 군중이 모이고 대한독립만세운동을 벌였다. 이 일로 인하여 주모자인 유관순 열사와 가족들, 그리고 만세운동에 참여한 주민들의 희생이 있었다. 천안시에서는 이날의 숭고한 애국정신과 희생정신을 기념하기 위하여 유관순열사 유적지를 조성하고, 매년 3월 31에 봉화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18세의 어린 나이로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순국한 열사의 애국정신을 추모하고, 3.1운동의 빛난 얼을 후세에 널리 선양하고자 건립하였다. 또한 학생들에게 주권을 상실한 국가에서 국민의 고통이 무엇인지 알려줄 수 있는 현장 학습지로 사용하고 있다.처음에는 유관순열사 기념사업회가 1946년 병천 시가지가 내려다 보이는 구미산에 기미독립만세기념비를 세워 그의 행적을 새겼다. 그 후 1969년 4월 1일에 부지를 매입하고 착공식을 거행함으로써 유관순열사의 유적지가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1972년 10월 14일 국가에서 아우내 봉화지와 유관순열사의 생가지를 제 230호 사적지로 지정하였으며, 이에 따라서 추모각과 삼문을 준공하게 되었다. 열사의 생가지는 봉화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으며, 아우내시장의 만세운동으로 일본 관헌에 의해 불타버린 것을 1977년 충청남도에서 복원하였다. 봉화지는 추모각 바로 뒤 서편에 있으며 1977년 보수·정비되었다. 1986년 8월 15일 추모각 증축 및 영안 봉안이 있었으며, 같은 해인 11월 19일에는 추모각 및 기미독립만세기념비가 충남문화재(기념물) 제 58호로 지정되었다. 1989년 10월 12일 초혼묘를 봉안하고 1991년 12월 31일 유관순 열사의 생가를 복원하였다. 그리고 1996년 1월 16일 유관순 열사 기념사업회가 천안시 사적관리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NA><NA>유관순 유적지는 열사의 애국정신을 길이 추모하고 3.1운동의 빛난 얼을 후세에 알려 민족적 자긍심과 국가관을 정립시키고자 건립되었다. 이곳에는 사적 제 230호로 지정된 추모각·봉화지·생가지 등이 있다. 총 대지면적은 37,486㎡이며, 총 건물면적은 436.12㎡이다. 추모각은 면적 86.58㎡으로 1969∼1973년간 연차적으로 보수·정비하였으며 1986에 경역을 확장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추모각은 화강석 기단 위에 정면3칸, 측면 2칸이며 지붕은 맞배지붕이고 겹처마인 한식목조건물이다. 건물내부에는 유관순 열사의 영정이 봉안되었는데, 영정은 월전 장우성 화백이 좌상으로 제작하여 1986년 8월 15일에 봉안하였다. 이 영정은 가로 1.2m, 세로 2m로 유관순 열사의 곱고 단정하면서도 의지에 찬 모습을 보이고 있다. 매년 광복절을 기념하여 충청남도 교육위원회에서 도내 여자고등학교 학도호국단 간부학생들로 구성된 성역지 참배 행군단으로 하여금 열사의 유적지를 참배하고 국난극복 교육의 산 도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10월 12일에는 유관순 열사 추모제 행사가 이곳에서 거행되고 있다.유관순 열사의 동상은 열사의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19883년 10월 12일 높이 7.1m, 좌대 높이 3.6m, 동상높이 3.5m, 무게 2.5t으로 되어 있다. 유관순 열사의 생가는 그 면적이 총 65.58㎡이다. 이 집은 정면 4칸, 측면 2칸의 단층 팔각지붕이고 겹처마 건물로 전면 3칸에는 툇마루를 깔았으며 집의 좌측으로는 매봉 교회가 있다. 이 교회는 유관순 열사가 이화학당에서 귀가하여 서울의 3.1운동 상황을 설명하고 지역 주민들과 우리나라 독립운동을 위해 사용한 곳이다. 봉화지는 유관순 열사 생가지 후면의 매봉산 정상에 위치해 있다. 화강석으로 된 사각형의 봉화대 위에 봉화탑을 설치하였다. 봉화탑은 석조로 높이를 세웠고, 탑의 가운데에는 오석으로 된 유관순 열사 봉화탑 찬가가 있다. 이 글은 조산 이은상 선생이 지었다. 매년 3월 31일 저녁이 되면 이곳에서 수백명의 시민들이 모여서 당시를 회상하면서<NA><NA><NA>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목천 I.C에서 빠져나와 독립기념관 방향으로 가면 되고, 여기서부터 약 8㎞가면 된다. 천안에서는 병천·수신면 방향으로 가다 보면 천안삼거리 공원을 지나가게 되고 여기서부터 약 15∼20분 정도가 걸린다. 현재는 천안-병천간 4차선 공사가 진행중에 있다. 예상되는 소요시간은 30∼40분 정도이다.<NA>관람비는 없다.관람시간은 09:00∼18:00이다.
6향토유적서천군월남(月南) 이상재(李商在)선생 생가<NA>월남 이상재 선생이 태어난 생가로 1850년 10월 26일에 이곳에서 태어났는데 1884년 구한말 우정총국 주사를 시작하여 정부주요 관직을 거쳐, 서재필과 독립협회를 조직, 자주독립운동에 참여하였으며 1924년에는 조선일보 사장을 역임하였다. 당초 선생의 생가 건물은 1955년도에 멸실되어 그 후 서천군에서 1972년과 1980년에 복원하여 관리해 오고 있다. 생가 옆 유물전시관은 선생의 유품들을 전시하기 위하여 1990년 11월 착공하여 1991년 7월에 개관하였다.이상재 선생의 생가로서 목조 초가 삼칸집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있었는데 당시에 선생의 후손이 살고 있었다. 선생이 생전에 남기신 유품들을 전시하고 관리하기 위해 1981년 안채와 담을 복원하고 생가 옆에는 유물전시관을 건립했다.이상재 선생의 생가가 위치한 한산면 종지리는 백제 때 마산현에 속했었고 통일신라 때는 가림군의 영현인 마산현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임천의 한산현 소속이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에는 한산군이었으며 조선말 한산군 북부면의 지역으로 지형이 종지처럼 생겼다해서 종지울 또는 종지동, 종동이라 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 신동리와 종지리 일부를 병합하여 종지리라해서 서천군 한산면에 편입되었다. 앞쪽으로 건지산의 정상이 굽어보이고 종지 서쪽에 위치한 마을을 천왕사라고 부르는데 마을에 천왕사가 있었다해서 천왕사 또는 천왕절이라고 부르며 동남쪽 마을은 새로 생겼다해서 새터, 신기라고 부른다. 한산 이씨가 많이 살고 있으며 월남 이상재선생이 출생한 마을이라서 그런지 다른 지역과 달리 독립운동가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종지교회 주체로 독립운동가 김인두, 박재엽 선생 등이 3.1운동 때 태극기를 손수 제작하여 마산 시장에 배포했다고 한다. 화합이 잘되는 마을이며 매년 경로잔치는 물론 마을의 애경사, 새마을사업 등에 온 마을 주민이 한마음 한 뜻으로 적극 참여하는 모범 마을이다.<NA><NA>민족의 큰 별로 일컬어지는 월남 이상재 선생, 1850년 10월 26일 충청남도 한산군 북부면 종지동에서 아버지 이희택씨와 어머니 밀양 박씨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이상재 선생의 본관은 한산 이씨로 집안의 내력을 보면 고려말의 충신이요 대학자인 목은 이색 선생의 16대 손이다. 월남 선생은 일찍이 7살 때 한문을 배우기 시작하였는데 당시의 가세는 몹시 기울어져 있던 터라 책을 빌려보고 헌 책을 알뜰히 깁고 꿰어 공부를 하였다. 이상재 선생은 그 후 봉서암이란 작은 암자(현 봉서사)에서 공부를 했다. 1867년 과거에 응시했다 낙방하고 당시 승지를 지내던 죽천 박정양(竹泉 朴定陽)을 알게 되어 그 집에서 함께 기거하며 정치적 경륜을 쌓기 시작하였다. 조선왕조의 깨끗하고 곧은 관리였던 이 선생은 미국과 처음으로 외교를 맺을 때 이등서기관의 자격으로 외교활동을 전개 외교관의 역할을 다 하였다. 그 후 서재필, 윤치호 등과 독립협회를 조직하여 이끌면서 독립신문을 만들고 독립문을 세우고, 우리의 독립을 되찾는 길은 우리 청소년들을 강하고 올바르게 키우는 길뿐이라고 믿고 YMCA와 보이스카웃 등 청소년을 위한 민족 교육사업에 정열적으로 헌신하였다. 나이 54세에 기독교 신자가 된 이상재 선생은 조선기독교청년회 연합회 회장, 조선교육협회 회장, 연합소년척후단(지금의 보이스카웃연맹)의 초대 총재, 조선일보사 사장, 신간회의 회장직을 역임했는데 '지식을 쌓아라. 믿음을 지녀라. 희망을 잃지 말라' 등 세 가지 교훈을 남기셨다. 이상재 선생은 1927년 3월 29일 78세를 일기로 재동 자택에서 별세, 4월 7일에 전국민의 애도 속에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장으로 (전국 4백 20개 단체가 참여) 한산 선영에 모셨는데 이때의 만장행렬이 길산에서 한산까지 이르렀다 한다. 이후 1957년 이승만 대통령의 지시로 선생의 묘소를 경기도 양주군 장흥면 삼하리로 옮기고 강릉 유씨부인과 합장하였는데 한산에 있는 후손들은 묘소를 이장한 것에 대해 못내 아쉬워하고 있다. 서천군에서는 1991년 7월 월남 이상재 선생 유물전시관을 마련<NA><NA><NA>고려 말 대학자인 목은 이색선생의 16대 손으로 구한말 서재필 등과 함께 독립협회를 조직, 구국운동을 펼친 독립운동가인 월남 이상재 선생이 태어난 생가를 가는 길은 서천에서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한산 행 시내 버스를 이용하여 한산에서 하차, 마산방면의 시내버스를 갈아타고 3Km정도를 가다 종지리에서 내리면 이상재 선생 생가를 알리는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500m를 걸어가면 선생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는 유물전시관과 함께 생가가 자리하고 있다. 선생의 집에서 주변환경을 살펴보면 앞으로는 한산 팔경 중 하나인 오라리 들판이 펼쳐지고 있어 선생의 가슴을 넓게 만들었을 것이고, 서쪽으로는 한산의 진산인 건지산이 버티고 있어 선생의 대쪽같은 위엄을 길러 주었을 것이다. 방문하기 전 이곳을 관리하고 열쇠를 보관하고 있는 선생의 후손인 이은직씨에게 연락하고 가는 것이 좋다.<NA>특별히 개방시간과 입장료가 필요 없고 사전 연락을 하면 언제든지 관람이 가능하다.사전 연락을 하면 언제든지 관람이 가능하다.
7민요/춤홍성군결성농요결성농요 보존회결성지역은 일찍이 내포 지역 천수만의 중심부로 금곡천 유역에 인류가 정착해 생활하여 농경문화가 발달하였으며, 그와 동시에 농요도 크게 발달하였다. 특히 결성은 옛날부터 판소리 전수지로 유명했던 지역이다. 그리고 조선시대 영조 때 판소리의 효시로 꼽히는 최선달(1726∼1805)이 지금의 결성 농요를 창시하였다. 그 후 그의 후예들이 농사짓는 곳엔 언제나 함께 있는 농민요소리를 즐겨 부르며 대물림하여 왔다. 구한말에는 그 시절 대표적인 명창 김창룡(1872∼1935, 서천 태생)이 42세(1913년) 때 결성면 용호리 두지동으로 이사를 오면서 용호장터에는 그의 소리 공연이 이어졌다. 그후 그에게 소리를 배운 사람들이 이 들소리를 이어오고 있다. 최선달의 고장(성남리)에서 70평생 농사를 짓고 있는 최양섭은 "열살 무렵부터 학교 대신 해 뜨면 들판으로 나서 해거름에 집으로 돌아왔는데, 일은 힘겨 웠고 어린 마음에 일만 하려니 착찹하기만 했다. 하지만 그때마다 두레꾼 속에서 어른들이 멋들어지게 뽑아 제끼던 소리를 따라 하노라면 팔뚝에 힘이 들어가고 신명이 났다" 라고 회상한다. 하지만 그는 서른 살이 채 되기도 전에 일제의 침략으로 인하여 소리를 안 하게 됐다고 한다. 농사가 기계화되면서 점차 노동요는 줄어들게 되고 농경문화와 함께 하던 노동요는 약 50여 년 간 역사와 함께 잠들어 있었다. 그러다가 1989년에 한국농민요보존회장 이소라 문화재 전문위원에 의해 다시 복원되는 계기를 맞게 된다. 이 위원은 농민요 순회 채록 중 이곳의 모심는 소리 '어럴럴럴 상사리'와 논매는 소리 '얼카 덩어리' 등이 이 지방에서 자생한 훌륭한 농요라는 것을 고증한 것이다. 결성지역의 지방색이 살아 있는 농요라 하여 '결성농요'라 이름 붙여졌다.조선 영조 때 판소리의 효시인 '최선달이 만들었으며, 그후 그의 후예들이 이 노동요를 이어 왔다. 구한말에는 명창 '김창룡'이 결성으로 이사와 이곳에 많은 제자를 두었다. 일제의 침략으로 인하여 약 50여 년 역사 속에 파묻혀 있기도 하였으나 주위의 많은 도움과 결성사람들의 노력으로 인하여 다시 재현하는 데 성공하여 한국을 대표하는 농요가 되었다.농경문화와 같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발전해온 농요는 힘든 농사일에 지친 몸에 활기를 불어 주고 지루함을 없에기 위해 발생하였다. 이런 농요 중 최고의 농요는 1993년에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대통령상을 받은 결성농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결성농요의 전래지인 결성은 조선시대부터 판소리의 전수지로 유명하였다. 이 농요는 영조 때 판소리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최선달이 창시하였으며, 그의 후예들에 의해 농사짓는 곳에 항상 따라 다니는 농민요소리로 이어져 왔다. 그리고 구한말에는 그 시대 최고의 명창 김창룡이 당시 나이 42세 때 이곳(결성면 용호리 두지동)으로 이사를 왔으며, 용호장터에는 그의 소리공연이 끝일 날이 없었다. 이때 그에게 소리를 배운 결성사람들이 이 농요를 들소리로 이어 내려오고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이어져 오던 농요는 일제의 침략에 의해 사라지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일제의 문화 말살정책은 두레문화의 쇠퇴에 가속을 붙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면서 농업의 기계화가 진행되면서 두레문화는 우리사회에서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었고, 그와 함께 하던 들소리들도 역사 속에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다 1989년 한국두렛소리(옛농민요) 보존회장 이소라 문화재 전문위원이 농민요 순회 채록 중에 '어럴럴럴 살사리, 얼카덩어리' 등이 결성지방에서 자생한 훌륭한 농요라는 것이 고증되었다. 그러면서 향토사학자 배동순 씨와 결성지역사 발굴에 남다른 열정을 갖고 있는 김청규, 황성창씨가 함께 발굴, 재현하기에 나섰다. 이렇게 하여 50여 년 간 역사에 묻혀 사라져가던 결성농요가 다시 살아나게 된 것이다. 처음에는 기능 보유자들 등 동네 어른들이 허락하지 않았지만 황성창 씨와 김청규 씨의 수 차례 간곡한 부탁으로 결성 경노당 중심으로 발굴작업에 들어갔다. 그렇게 하여 그 다음 해인 1991년에 이 위원과 기관단체장 등 100여명의 참관인 앞에서 재현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특히 결성농요는 여사성이 짙고 향토성이 특이하기 때문에 참관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 해 10월에는 대학로에서 공연을 하며 많은 사람<NA><NA>결성농요는 홍성지역사에서는 민속음악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바로 홍성사람들의 삶의 뿌리가 응집된 문화적 소산물인 것이다. 결성농요는 지난 1993년 대통령상을 받을 때부터 9개 마당으로 구분 공연하고 있다. 그 9마당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당, 용신제 : 두레가 나면 아침 일찍이 동네 앞 당산터에 용대기를 꽂아 놓는다. 모든 두레꾼들은 일할 준비를 갖추어 용대기 앞에 모인다. 모두 모이면 좌상의 지시에 따라 용신제를 지낸다. 둘째 마당, 모내기 : 용신제가 끝나면 영기와 풍장을 앞세우고 정해진 일터로 간다. 여기서 수머슴을 정하고 상사리 소리(어럴럴럴 상사리 헤헤헤이야 상사리여)와 함께 모심기를 시작한다. 셋째 마당, 건젱이 : 모를 심고 약 10∼15일이 지나면 긴소리(어기야하∼∼허어기여하∼∼)와 잦은 소리(우수경첩에 어기야하 대동강을 풀리고 어기야하)를 내며 초벌을 매는데 결성에서는 호미를 쓰지 않고 맨손으로 잔 품만 맨다. 넷째 마당, 뚝막이 : 이 작업은 타 지방에서 볼 수 없는 특유한 작업과정이다. 장마와 수해로 무너진 논 뚝을 생솔가지 섬과 말뚝 등으로 막고 무너진 흙을 퍼 올리며 긴소리(어낭천가래허)와 잦은 소리(영차영차)로 소리를 한다. 다섯째 마당, 아시매기 : 풀이 난 논바닥을 호미로 파 뒤엎는 매우 힘드는 작업인데 긴소리(얼카덩어리)와 잦은 소리(얼카덩이)로 이루어진다. 여섯째 마당, 쉴참놀이 : 쉴참이 되면 아낙네들이 술과 안주 등 먹을거리를 가지고 나와서 권하며 해학적인 상여소리(에헤헤헤이야 어허넘쳐 넘어간다)와 함께 한바탕 상여놀이를 한다. 일곱째 마당, 만물 : 잡초를 매는 일인데 풀을 뽑으며 손질하고 피사리도 하는데 우리 고유의 음정인 두렛소리, 산여, 마루, 몬들소리등 백제유민의 원음이라고 하는 희귀한 소리(반이나∼넘어∼이여∼늙어늙어∼∼이여 늙어 에헤이 좋다 얼씨구 절씨구)를 한다. 여덟째 마당, 일을 마치고 행진 : 모든 일을 마치고 동네를 향해 돌아가면서 흥에 넘치는 소리(좋게 좋소)와 농악을 울리며 행진한다. 아홉째 마당, 한마당 큰놀이 : 하루<NA>홍성군청에서 검찰청을 지나서 청양방면으로 나오면 하천을 끼고 사거리가 나올 것이다. 이 곳에서 우회전하여 계속 직진하여 가면 사거리 하나가 나오는데, 그 오른 쪽을 보면 홍성의 또 하나의 명물 홍성온천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에 들러 그동안 쌓인 피로를 풀고 잠시 쉬어 가는 것도 좋을 것이다. 다시 출발하여 조금 더 가면 사거리 하나가 또 나온다. 이 곳의 오른쪽 전방에는 홍주병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 뒤쪽으로 홍성의 문화공간인 홍주문화회관이 위치하고 있다. 이 사거리에서 직진하여 서산방면인 29번 국도를 타면 된다. 이곳을 조금 빠져 나오면 산과 들을 가로질러 4차선으로 확장포장된 도로가 나 있을 것이다. 자연의 싱그러움을 맛보며 달리다보면 은하 방면으로 갈 수 있는 교차로가 나온다. 이 길을 따라 계속 가면 결성면에 이르게 된다. 우리가 가려는 결성농요 보존 회관은 길 옆에 있어서 찾기가 어렵지 않을 것이다. 또한 그 앞에는 대통령상 수상 기념비가 웅장하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홍성 버스터미널에서 결성행 버스를 타면 된다. 또 갈산행 중에도 가는 것이 있으므로 운전기사에게 물어보고 타도 될 것이다. 하지만 결성으로 가는 버스는 그리 많지 않으므로 미리 알아보고 가는 것이 좋다. 버스를 타고 가다보면 결성농요 보존 회관 앞을 지나기 때문에 찾기는 쉬울 것이다. 아니면 운전기사에게 물어보거나 같이 탄 승객에게 물어봐도 친절하게 가르쳐 줄 것이다.현재 최광순, 최양섭씨가 예능 보유자로 인정되었으며, 정정수, 최홍식, 장성칠씨가 소리 후보자로 지정이 되어 전수받고 있으나, 예능 보유자 두분 모두 연로하시기 때문에 소리 전수에 어려움이 뒤 따르고 있다. 또한, 결성농요 보존 회관을 건립하여 보존 중에 있으며, 올해 초에 결성농요 보존판을 출간했다.<NA><NA><NA><NA>
8향토유적홍성군홍주읍성<NA>홍주읍성은 일월산이 동쪽으로 이어지며 홍성천과 월산천을 경계로 형성된 구릉의 둘레에 쌓여진 성곽으로 이 성벽의 축조시기는 자세한 문헌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정확히는 알수 없다. 다만 조선조의 여러 기록들을 통하여 오랜 옛날부터 만들어졌으며 많은 시간이 지나오면서 수, 개축(修, 改築) 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할 뿐이다. 홍주읍성의 유래는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가장 오래된 관련 기록인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고려시대부터의 명칭이 나와 있다. 하지만 그 이전 백제시대의 명칭은 알 수가 없다. 이곳 홍성의 고려 시대 명칭은 태조 10년(927년)에 운주(運州)였다. 그 후 현종 때에 와서야 지금의 명칭인 홍주(洪州)라는 명칭을 얻게 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지금의 홍주읍성이 된 것이다. 그리고 이 읍성의 규모는 '읍성조(邑城條)'의 내용으로 보아 대략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의 내용 중 '읍성은 석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둘레는 533보 2척이다' 라는 말이 있다. 또 '성안에는 우물이 하나 있는데 이 우물은 여름이나 겨울이나 마르는 날이 없었다'는 말에서는 이 성의 가치가 어떠하였는가를 짐작하게 된다. 이런 내용들을 통해 홍주읍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홍주읍성은 현재까지 보존되어 오면서 많은 수개축이 이루어 졌으며, '문종실록 권9 원년 9월 정자고'를 보면 조선시기에도 수축이 이루어 진 것을 추측할 수 있다.홍주읍성의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현재까지 남아 있는 자료가 많지 않기 때문에 언제 만들어 졌으며, 그 형성과정이 어떠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조선조 시대의 문헌자료를 통하여 어느정도 확인만이 가능한 실정이다. 세종실록지리지, 읍성조 등이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며 유적도 한국전쟁과 산업화로 인하여 많이 파괴되어 성문 중에는 조양문만이 남아 있고, 성벽은 북쪽벽이 완전히 사라졌고 나머지 성벽도 일부가 많이 파괴되었다.일월산이 동쪽으로 이어지면서 홍성천과 원산천의 경계를 형성한 구릉 둘레에 천연의 성으로 만들어진 홍주읍성은 예전부터 서해안 방위의 핵심역할을 담당해 왔다. 더욱이 홍성천과 월산천이 해자(적의 침입을 막는 1차 방어선)를 형성하여 청양과 예산 방면을 방어할 수 있는 중요한 전략적 위치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이런 읍성이 언제 어떻게 축조 되었는지는 자세한 문헌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알수 없으나, 조선조 시대의 여러 기록들을 통하여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수, 개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홍성이라는 명칭은 현종 이후부터 홍주라 하여 사용되었으며, 그 이전인 고려 태조 10년(1927)에는 운주라고 불렸었다. 하지만 그 이전은 남아 있는 자료가 없어서 어떻게 불렸는지는 알 수가 없다. 홍주읍성은 조선 초기에 들어오며 대대적인 수, 개축작업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는 그 시대 문물제도의 정비와 더불어 중앙집권체제가 확립되는 과정에서 관읍의 위엄도 동시에 갖추려는 의도 하에 많은 성들을 수, 개축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조선조 현종대에 와서는 한계수에 의하여 중수되었다. 이렇듯 홍주읍성은 많은 수축과 개축이 이루어졌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부임하는 장수나 목사들이 재력이 넉넉치 못하여 점점 쇠퇴하여 갔다. 그러던 중 순조 24년에 김계묵(진장)과 이헌규(홍주목사)가 홍주목으로 부임하게 되었고, 쇠락한 읍성의 모습을 보고 탄식하며 자신들의 창고를 열고 대대적으로 수리에 들어갔다. 이때 이헌규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날마다 역사를 감독하였으며, 김계묵은 판과 삽을 직접 들고 역부들 앞에 나서 직접 일을 하였다. 이때 역부들은 어느 누구 하나 불평을 하며 일을 한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이렇게 하여 7리에 이르는 성벽 작업은 100일 만에 끝을 봤으며, 사람들은 정서에 감동하여 신이 도운 것이라 하였다. 그 후 고종 7년(1870)에는 한응필이 지금의 군청자리에 홍주목사가 집무하던 정청을 만들었으며, 이곳의 정문인 홍주아문의 현판은 흥선대원군이 친필로 써서 하사한 것이었다. 하지만 산업화와 전쟁으로 인하여 많은<NA><NA>오랜 역사와 함께 자리를 지켜온 사적 제 231호인 홍주읍성은 전쟁과 산업화로 인하여 많이 파괴되어 1,400m였던 성벽은 700여 m 밖에 남아 있지 않다. 이 가운데 동쪽 성벽의 북쪽 부분은 파괴되어 약 250m 가량의 성벽만이 잔존해 있다. 이 성벽의 높이는 4∼5m 정도이고, 부분적으로 보수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 성벽의 돌을 쌓은 모습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밑부분의 제 1단 기단석을 밖으로 10∼20㎝ 정도 내밀어 깔고 그 위에 나머지 성벽을 축조한 모습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성벽 중에 가장 잘 남아 있는 부분에서는 15단∼20단 까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동벽과 남벽이 교차하는 곳에는 치성이 만들어져 있는데, 이 치성은 길이가 6m이며 폭도 6m인 정사각형모양이다. 그 다음으로 남벽이 있는데, 직사각형의 큰돌을 사용하여 축조되어 있다. 지금은 150m 가량으로 늘어서 있으며, 성벽의 중간부분으로 3단∼4단만이 본래의 성벽에 사용되었던 석축이고 나머지는 최근에 복원하여 놓은 것이다. 이 성벽은 밖에서 요철을 두면서 군데군데 쐐기돌을 박은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조선시대에 쓰이던 축조방법으로 알려져 있어, 그 시대에 수리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서쪽 벽은 군청 뒤로 이어져 있으며 가장 길게 남아 있는 성벽이다. 현재 잔존하는 길이가 300m 정도이다. 이 성벽은 25단∼30단까지는 일차 가공된 자연 활석을 사용하여 거의 수직으로 축조되어 있다. 그리고 이곳은 순교자들의 시체가 버려지던 장소이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큰 성벽이다. 나머지 북쪽 성벽은 모두 파괴되어 잔존해 있지 않다. 이렇듯 전체 성벽의 약 50%가 전쟁과 산업화로 인하여 파괴되어 역사와 함께 사라져 아쉬움을 자아낸다. 이 홍주읍성의 성문은 조선조 문종 대의 기록에 의하면 4개가 지어진 것으로 나와 있지만, 실제로 조영(造營)한 것은 남문을 제외한 3개의 성문뿐이었다. 이들 성문 중에 북문은 나머지 두 문과는 달리 문루(門樓)(지방관청 등의 밖의 문 위에 세워진 다락집 모양의 건물)가 설치되어 있지<NA><NA><NA>조선시대 홍주목사가 집무하던 곳으로 현재 군청으로 쓰이고 있으며 정문에는 '홍주아문'이 세워져 있다. 이 문의 현판은 흥선대원군이 친필로 써서 하사한 것이기에 더욱 의미 있는 건축물이다. 이 문을 통하여 밖으로 나오면 바로 앞쪽으로 홍성읍사무소가 위치하고 있으며, 그 앞으로는 주민들을 위한 쉼터가 만들어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곳에는 큰 나무가 있어 여름엔 시원한 그늘이 되어 준다. 군청의 정문에서 왼쪽으로 약 10m 정도 가면 자그만 삼거리가 한 곳 나올 것이다. 이곳의 정면 오른쪽으로는 홍성세무서가 위치해 있고, 왼쪽으로는 검찰청과 함께 지방법원이 위치하고 있다. 이곳의 삼거리에서 어느 곳으로 가도 역사가 살아 숨쉬고 있는 홍주읍성을 감상할 수 있다. 먼저 오른쪽으로 20m 가량 가면 삼거리가 나오는데, 이 두 갈래 길을 따라 홍주읍성이 이어져 있으며 이쪽이 읍성의 서쪽 성벽이었다. 천주교 박해시대에는 이곳으로 많은 순교자들의 시체들이 버려졌다고 한다. 이쪽 성벽으로 가다보면 왼쪽으로 주민들이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 읍성 안쪽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곳에는 농구대 같은 문화 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많은 주민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시 낭송회 같은 문화행사도 열리고 있다. 그리고 동쪽 성벽을 보려면 세무서 앞에서 직진하여 산을 따라 올라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 길을 따라 조금 가면 왼쪽으로 교회가 있으며, 그 앞에는 약수가 나오는 수도가 설치되어 있다. 약수를 뜨기 위해 많은 주민들이 아침마다 올라오기도 한다. 이 곳을 지나면 홍성의 역사를 한눈에 알 수 있는 홍주문화원이 오른 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지승공예나 서예같은 문화강좌를 열어 많은 주민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이 문화원의 남쪽 옆으로는 읍성의 역사가 적혀 있는 수성기적비가 세워져 있다. 문화원을 지나 조금만 더 올라가면 읍성의 동쪽 성벽과 남쪽 성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두 성벽이 교차하는 곳에서는 치성을 감상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이 현재 남아 있는 성벽들이며, 성문으로는 3개의 문중 동문이<NA>이곳은 모든 관람이 무료이며 아무 때나 방문할 수 있다.아무 때나 방문할 수 있다.
9향토유적예산군수덕사<NA>백제시대에 창건된 수덕사가 통일 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세월이 흐르는 동안 가람(승가람마의 준말: 승려가 살면서 불도를 닦는 집)은 극히 퇴락이 심해 절을 새로 지어야 했으나 당시의 스님들은 불사금을 조달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묘령의 여인이 찾아와서 불사를 돕기 위해 공양주(절에서 밥 짓는 중)를 하겠다고 자청하였다. 이 여인이 미모가 빼어나서 수덕각시라는 이름으로 소문이 원근에 퍼지게 되니, 심산굴곡인 수덕사에 이 여인을 구경하러 오는 이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그 중 신라에 대부호요, 재상의 아들인 정혜라는 사람이 청혼을 하기까지 이르렀다. 이 불사가 원만성취되면 청혼을 받아들이겠다고 하는 여인의 말을 듣고 이 청년은 가산을 보태어 10년 걸릴 불사를 3년만에 원만히 끝내고 낙성식을 보게 되었다. 낙성식에 대공덕주로서 참석한 이 청년이 수덕각시에게 같이 떠날 것을 독촉하자 "구정물 묻은 옷을 갈아입을 말미를 주소서"하고 옆방으로 들어간 뒤 기척이 없었다. 이에 청년이 방문을 열어 들어가려 하자 여인은 급히 다른 방으로 사라지려 하였다. 그 모습에 당황한 청년이 여인을 잡으려 하는 순간 옆에 있던 바위가 갈라지며 여인은 버선 한 짝만 남기고 사라지니, 갑자기 사람도 방문도 없어지고 크게 틈이 벌어진 바위 하나만 나타나 있었다. 이 후 그 바위가 갈라진 사이에서는 봄이면 기이하게 버선 모양의 버선 꽃이 지금까지 피고 있으며 그로부터 관음보살의 현신이었던 그 여인의 이름이 수덕이었으므로 절 이름을 수덕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광경을 본 정혜라는 청년은 인생의 무상함을 느끼고 산마루에 올라가 절을 짓고 그 이름을 정혜사라 하였다고 한다. 또한 이때부터 관세음보살이 현신하여 절을 크게 중창하고 바위 속으로 사라진 이곳에서 기도를 하면 모든 소원이 성취된다는 소문이 각지에 퍼지자 소원을 비는 사람이 끊이지 않았다.백제 사찰인 수덕사의 창건에 관한 정확한 문헌 기록은 현재 남아있지 않으나, 학계에서는 대체적으로 백제 위덕왕 (554∼597) 재위 시에 창건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수덕사 경내 옛 절터에서 발견된 백제와당(기와의 마구리)은 벡제시대 창건설을 방증할 수 있는 자료이다.서해를 향한 차령산맥의 낙맥이 만들어 낸 덕숭산은 북으로는 가야산, 서로는 오서산, 동남간에는 용봉산이 병풍처럼 둘러쌓인 중심부에 우뚝 서 있다. 산과 바다가 조화를 이루고 낮은 구릉과 평탄한 들녘이 서로 이어지며, 계곡이 골마다 흘러내리는 이 곳은 옛부터 소금강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여기에 불조(佛祖)의 선맥(禪脈)이 면면히 계승되고 많은 고승 석덕(碩德)을 배출한 한국불교의 선지종찰(禪之宗刹) 수덕사가 자리잡고 있다. 수덕사의 창건에 관한 정확한 문헌 기록은 남아 있지 않지만 백제 위덕왕 (554∼597) 재위 시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문헌에 수덕사가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삼국유사와 속고승전으로 백제의 고승 혜현이 수덕사에 주석하며 법화경을 지송하고 삼론을 강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당시 수덕사의 사격(寺格)이 소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의 수덕사는 관련문헌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내용을 파악할 수 없으나 다행히도 충렬왕 34년(1308)에 건축한 국보 제 49호 수덕사 대웅전과 통일 신라말기 양식을 모방한 삼층석탑, 수덕사 출토 와당 등 여러 유물이 남아있어 대가람으로서의 융성하였던 면모를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수덕사는 전반에 편찬된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덕숭산 내에는 취적루와 물운루의 2개의 누각이 있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당시 수덕사는 대웅전 이외에 2개의 누각이 있을 만큼 대가람의 면모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으로 대부분 소실되었으나 수덕사 대웅전은 다행히 옛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1937∼40年 보수 당시 발견된 대웅전 동측 내부 전면에 기록된 단청개칠기(丹靑改漆記)에 의하면 중종 23년 (1528년)에 대웅전 색채 보수, 영조 27년(1751), 영조 46년(1770)에 대웅전 보수, 순조 3년(1803)에 대웅전 후면의 부연(처마를 위쪽으로 올라가게 하여 멋을 내려고 장연 끝에 덧얹는 네모지고 짧은 서까래)보수와 풍판(풍우를 막기 위하여 박공 아래에 길이로 연이어 대는 널판지)의 개수 등 4차례 대웅전 보수<NA><NA>사찰에 들어서서 가장 먼저 지나게 되는 일주문(一柱門)은 여기에서부터 사찰의 경내가 시작됨을 일깨워주는 알림의 문이다. 일주문 이란 '부처님을 향한 모든 진리는 하나' 라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수덕사 일주문은 기둥 사이에 공포(처마의 무게를 받치려고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둔 나무쪽들)가 짜여 있는 다포계 형식으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소전 손재영이 쓴 "덕숭산수덕사(寺德修山崇德)"와 "동방제일선원(院禪一第方東)"이라는 현판을 걸어 사찰의 격을 나타내고 있다. 1960년에 신축되었으며, 1998년 법장스님에 의해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일주문을 거쳐 70여 미터를 올라가며 금강문이 나오고 50여 미터를 올라가면 천왕문이 나온다. 금강문(金剛門)과 천왕문은 1999년에 만들어 놨다. 천왕문(天王門)을 거쳐 50여 미터 올라가면 황하정루(黃河精樓)가 나온다. 황하정루는 대웅전을 보호하고 사세를 안정시키는 중요한 전위누각(前衛樓閣)으로 1985년에 불사를 시작하여 1992년도에 준공하였으며, 1994년에 법장 스님에 의해 이전 개축되었다. 황하정루라는 명칭은 덕숭총림 방장 원담스님이 명명한 것으로 황(黃)은 부처님의 정신을 뜻하며 하(河)는 큰 강이 흐르듯 정진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현재 이 누각의 지하에는 박물관인 근역성보관이 있고, 지상 일층은 스님들이 거처하시는 요사로, 이층은 강당으로 사용되고 있다. 건물의 선지종찰수덕사(禪之宗刹修德寺)와 황하정루(黃河精樓) 현판은 원담 스님의 글씨이다. 황하정루를 지나 80여 계단을 올라가면 대웅전이 모습을 보인다. 수덕사 대웅전은 국보 제 49호(1962.12.31 지정)이다.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세워진 수덕사 대웅전은 연대가 확실하고 조형미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한국 목조 건축사에서 매우 중요한 건물이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4칸으로 지붕은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기둥의 중간 부분이 부풀려진 배흘림기둥 위에만 공포를 올린 주심포계통의 건물이다. 간단한 공포구조와 측면에 보이는 부재들의 아름다운 곡선은 대웅전의 건축미를 더욱 돋<NA><NA><NA>예산 군청 정문 앞으로 약 5분 걸어서 내려오면 공주산업대가 나온다. 산업대 정문 앞에 버스 정류장이 있다. 수덕사행 버스는 1시간에 한대 꼴로 자주 있는 편이다. 덕산에서도 가는 버스가 있기 때문에 덕산에서 갈아타도 된다. 버스를 타고 시내를 빠져 나오면 4차선의 무한대교가 나온다. 무한대교 양옆에는 예당평야가 끝없이 펼쳐진다. 무한대교를 지나서 5분 정도를 가면 홍성 방면과 덕산·삽교방면으로 방향이 갈라지는 삼거리가 나온다. 덕산방면을 접어 들어 10분 지나면 삽교가 나온다. 삽교는 가수 조영남의 고향으로 '내고향 삽다리'라는 노래로 사람들에게 알려진 곳이다. 삽교 읍내를 지나면 삽교와 덕산을 이어주는 도로가 있다. 7㎞ 정도의 도로가 고속도로처럼 잘 닦여져 있다. 일직선으로 잘 놓여진 도로를 과속하여 달리면 위험하므로 제한속도를 잘 지키면서 가야 한다. 잘 닦여진 도로 옆에는 바둑판처럼 잘 정돈되어 있는 삽교평야가 있다. 이 도로를 5분을 더 가면 덕산면이 나온다. 덕산면에서 해미, 수덕사 방면으로 좌회전 한다. 5분여 가다 보면 예산의 관광 명소인 덕산 온천이 나올 것이다. 덕산온천은 예산의 관광명소로 호텔급 숙소가 4개, 여관급 숙소가 20여 개 있으며 전국의 관광객들을 유치하고 있다. 예산군에서는 덕산온천을 관광지구로 정하고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덕산온천에서 약 2㎞ 가면 충의사가 나온다. 상하이에서 도시락폭탄을 던지신 윤봉길 의사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그대로 보존한 생가와 윤의사의 유품을 전시한 박물관, 그리고 윤의사의 사당인 충의사가 나온다. 충의사를 지나서 조금 더 가면 작은 삼거리가 나오는데, 해미 방면과 수덕사 방면으로 도로가 갈라진다. 수덕사 방면으로 좌회전해서 들어가야 한다. 수덕사 방면으로 좌회전해서 5분 정도 천천히 가면 수덕사 입구가 나올 것이다. 수덕사 입구까지 오는 길은 산길이기 때문에 굴곡이 심하고 경사도가 커 안전운행을 해야 한다.<NA>수덕사에 들어가려면 먼저 들리는 곳이 매표소이다. 입장료는 따로 받지 않지만 관람하는데 비용이 들어간다. 관람료를 어린이는 1,000원, 청소년은 1,500원을 받고 있고, 대인은 2,000원을 받고 있다. 단체 관람을 하고자 하면 30인에 한해서 할인도 해준다.이용가능한 시간은 오전 8:00∼오후 7:00 까지 이다.
분류지역명명칭관리자명칭의유래형성배경경위자원분포및생산조건내용특성상표포장찾아가는길보존및계승관람비이용가능시간
12향토유적연기군비암사<NA>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원래 이름은 운점사인 것으로 추정되나 비석의 형태를 한 석불비상이 모셔져 있다하여 비암사라고 불리운다. 비암사 명칭은 언제부터 썼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석불비상이 발견된 1960년대 이후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측된다.백제가 멸망한 후 역대 왕과 백제부흥운동을 펼치다 죽은 이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673년경에 만든 사찰이다.백제가 멸망하자 백제유민들은 백제부흥운동을 펼치게 되었지만 많은 이들이 죽임을 당하고 부흥운동은 실패로 돌아갔다. 673년경에 백제의 역대왕과 부훙운동을 전개하다 숨져간 사람들의 혼령을 위로하기 위해 주류성이 있는 다방리에 비암사를 건립하고 매년 음력 4월 15일에는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당시 비암사는 충남에서 제일 큰 사찰이었지만 조선시대 임진왜란중에 왜군들에 의해 사찰이 크게 훼손되었다. 왜란이 끝난 후에 비암사는 조선왕조에 의해 복원되지 못하였고 해방이후까지도 다방리에 있는 조그만 암자로써 그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1960년에 동국대 황수영교수가 학생들과 지역사찰을 조사하면서 당시 쌍류리에 살고 있던 한 학생이 비암사의 3층 석탑 위에 놓여있는 불상을 우연하게 조사하게 되었다. 황수영 박사는 비암사가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본격적인 고증작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의 연구를 통해 비암사가 백제말기의 불교문화의 특수성을 보여주는 사찰로 밝혀지게 되었다. 1996년에 문화체육부의 지원을 받아 비암사의 복원작업을 시작하였다. 이후 3년간에 걸친 극락보전 보수공사와 산신각, 명부전, 요사체를 짓고 축대, 담 복원공사를 하게 되었다. 비암사내 아미타좌상뒤에는 약 400여 년 된 괴불이 보존되어 있어 매년 4월에 이곳에서 백제 대제를 지내고 있다.<NA><NA>비암사로 올라가는 좌측으로 스님들의 화장터인 부도가 있고 우측으로 수령이 8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되는 느티나무가 웅장하게 서 있다. 느티나무 위쪽으로 비암사의 3층 석탑과 스님들이 거주하는 요사체가 있다. 비암사의 맨 왼쪽으로 종각, 요사체, 명부전이 있으며, 중앙에는 대웅전과 극락보전이 있다. 비암사의 가장 위쪽으로는 산신을 모시는 산신각이 있다. 현재 비암사에서 발견된 국보 160호인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 보물 368호 미륵보살반가석상, 보물 367호 기축명아미타여래자불보살석상 등은 국립박물관과 연기군 사찰에 소장되어 있다. 이들 석상은 백제 유민들이 만든 것으로 백제 멸망에 대한 아쉬움과 백제를 잊지 않으려는 백제인의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비암사에서는 매년 음력 4월 15일에 백제부흥운동을 하다 죽은 혼령과 백제왕을 기리기 위한 백제대제를 지내고 있다.<NA><NA><NA>연기군청에서 교육청 방면으로 가다가 대동초등학교 앞 삼거리에서 좌회전을 하여 604번 지방도로를 따라 3km 정도 가면 고복저수지를 지나게 된다. 고복저수지 주위의 용암삼거리에서 청라리 방면으로 1.2km 정도에 있는 쌍류삼거리 좌측에 비암사 방면 표지판이 있다.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계속 가다보면 비암사가 나오는데, 자가용으로 25분 정도 소요된다. 비암사의 주변은 고즈넉한 숲에 쌓여 있고 인적이 드물어 옛 산사의 풍취를 한 껏 풍기며, 800년이 넘게 도량을 지켜온 느티나무는 볼만 하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조치원역 앞에서 서면 청라리행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쌍류 삼거리에서 도착한 후 하차하여 30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NA>관람시간이나 입장에는 제한이 없고 언제든지 이용 가능하다.언제든지 이용 가능하다.
13향토유적연기군운주산성연기군청운주산(雲住山)은 전의면과 전동면에 걸쳐 있는 큰 산으로 산의 높이가 459m나 되는데 늘 산에 구름이 끼어 있고, 기우제단을 설치한 산이란 뜻에서 운주산이라는 명칭으로 불리워 오고 있다. 문헌에 따르면 조선초기까지는 고산으로 불리우다가 조선후기에 이르러 현재의 운주산이란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운주산 정상부에 축조된 성이 바로 운주산성이다.백제가 멸망한 후 풍왕과 복신, 도침장군이 백제부흥운동을 하면서 세운 성으로 역사적 가치가 인정받아 복원하게 되었다.서기 660년 백제가 신라에 의해 멸망당한 후 백제의 충신인 풍왕과 복신, 도침 장군이 백제부흥운동을 전개하였다. 운주산성은 백제부흥운동중에 축성된 것으로 둘레 3,210m, 폭 2m, 높이 2-8m의 웅장한 백제산성으로 충청남도에 소재한 가장 높은 산성이었다. 운주산성은 역사적으로도 백제의 최후 항쟁지로 평가되는 중요한 산성이었지만 1990년대초까지는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마을 주민들이 중턱에 있는 넓은 공터를 이용하여 논농사를 짓고 있었다. 1989년에야 역사적 가치가 인정받아 충청남도 지방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1995년도에 문화관광부의 지원으로 산성복원작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이후 4년간에 걸친 산성복원작업에서 우선 동문지, 서문지가 복원되었으며, 동문쪽에서 주춧돌이 발견되어 건물지 복원작업도 추진하였다. 그리고 건물지 20여군데, 우물터 2곳, 절터 2곳이 복원되었다. 운주산성을 복원한 후 백제부흥운동을 하다 죽은 유민들이 매년 음력 9월 8일에 고산제를 지내고 있으며 해마다 1월 1일에는 해맞이 행사가 펼쳐진다.<NA><NA>운주산성은 전동면 미곡리와 청송리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운주산성은 성의 둘레는 길이 3,210m, 폭 2m, 높이 2-8m의 웅장한 백제산성으로 분지형의 산세와 수려한 풍치가 일품이다. 주장 3,074m로 주위가 정사각형으로 네 귀에 높이 솟은 봉우리를 성벽으로 연결하여 구축되었으며, 출입문은 곤방으로 터진 수구쪽에서 암석으로 출입문이 되어 있다. 산성내는 거대한 분지로써 거창하며 산지와 함께 전답이 되고 수구는 서남방 미곡리 수구동쪽으로 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석축고정 2개가 원형을 갖고 샘으로써의 기능을 보전 유지하고 있다. 석축 동문지와 북문지가 있다. 운주산 등산로 입구에 있는 고산사에서는 백제가 멸망한 매년 음력 9월 8일을 기해 토요일에는 백제멸망기의 의자왕, 부흥기의 풍왕, 백제부흥운동을 하다 죽은 혼령을 위로하기 위해 고산제를 지내고 있다. 고산제의 제주는 백제부흥운동을 하다 죽은 유민들의 자손이 맡고 있으며 고산제를 하기전 산 정상에서 하늘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내는 고유제를 하며, 위혼비에서 의자왕을 추모하는 제사를 지내게 된다. 이후 고산사에서 고산제를 지내고 있다.<NA><NA><NA>연기군청(조치원역)에서 1번 국도를 따라 천안 방면으로 약 13km 가다보면 개미고개를 지나게 된다. 고개를 지나 전의면 경계에 이르면 운주산성 입구 푯말을 만나게 되며 진입로를 따라 올라가면 주차장이 나온다. 등산객은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8km의 등산로를 따라 1시간 정도 올라가면 운주산성 입구에 다다른다. 대중교통은 조치원역에서 전의행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전의면 동교리 전의주유소 앞에서 하차하여 걸어가면 된다. 소요시간은 버스로 조치원역에서 약 25분 걸린다.<NA>관람과 입장비용은 없으며, 언제든지 이용가능하다.언제든지 이용가능하다.
14향토유적부여군국립 부여 박물관부여군국립 부여박물관은 지금으로부터 70여 년 전 1929년 재단법인 `부여고적보존회`가 발족되어 백제문화에 대해 깊은 애정을 가지고 부여의 여러 유적과 유물을 보존하려고 힘썼다. 처음에는 부소산 남쪽에 자리한 조선 시대의 건축물인 관아의 객사에 전시하여 사람들에게 보여 주었다. 1939년 `조선 총독부 박물관 부여분관` 이라 하여 부르다가 1945년 해방이 되면서부터 `국립박물관 부여분관`으로 이름을 고쳐 쓰게 되었다.1929년 재단법인 `부여고적보존회`에 의해 처음 만들어졌다.1929년 재단법인 `부여고적보존회`에 의해 하나 둘씩 모인 유물을 중심으로 부소산 남쪽에 자리한 조선시대의 건축물인 관아의 객사에 전시하기 시작했다. 이후 1939년에 `조선 총독부 부여분관`이라 하여 비로소 `부여박물관`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1945년 해방이 되면서 `국립박물관 부여분관`으로 이름을 고쳐 쓰게 되었다. 백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소장유물의 보존과 전시를 보다 새롭게 하기 위하여, 1970년에는 부소산 남쪽 기슭에 새 박물관을 지어 부여 지역을 비롯하여 백제권에 흩어진 백제문화유적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전시 유물이 늘어나게 되고, 사회교육시설 등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 박물관이 제구실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아서 지금의 박물관으로 옮겨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1993년 8월 6일 금성산 기슭으로 자리를 옮겨 새로운 모습으로 개관하였다. 1만9천8백여 평의 면적에 4개의 전시실과 야외유물전시장이 마련되어 있다.<NA><NA>부여에 위치한 `국립부여박물관`은 4개의 전시실과 야외전시실이 있다. 선사실, 역사실, 불교미술실, 특별전시실이 있다. 선사실- 충남지역은 금강을 낀 넓은 평야와 서해안의 풍부한 해산물 등으로 인하여 선 대부터 사람이 살기에 적합한 환경이었다. 부여·공주를 비롯한 각지에 구석기·신석기시대의 유물들이 잘 전시되어 있다. 검은간토기, 대쪽모양동기 등 여러 가지 유물이 전시되어있다. 역사실- 백제역사는 그 수도가 위치했던 시기에 따라 한성시대(∼475)·웅진시대(475∼538) 사비시대(538∼660)의 3시기로 구분되며 이 시기 구분은 고고미술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역사실에는 주로 사비시대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는데 사비시대는 백제 역사상 문화 예술적으로 가장 융성한 시기였다. 역사실에서는 찬란했던 백제의 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불교 미술실- 불교 미술실에는 백제·통일신라 및 고려시대의 불교미술관계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불교가 백제에 전래된 것은 침류왕원년(384.A.D)이나 불교문화가 찬란하게 꽃피웠던 것은 사비시대의 일이다. 백제의 사원은 중문, 탑, 금당, 강당 등이 남북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군수리사지, 부소산폐사지, 정림사지, 능산리사지 등을 들 수 있다. 박만식 교수 기념실 - 이 전시실에 전시된 토기는 현재 충남대학교 공과대학에 재직중인 박만식 교수가 지난 30여 년 간 수집한 것을 국립부여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이곳에 전시된 토기는 원삼국시대에서 백제시대에 걸친 토기로 이들 대부분이 충남 논산시 연산면 일대에서 출토된 것으로서 학술적 자료 가치가 높다.<NA><NA><NA>계백장군 동상이 서있는 부여군청에서 부여고등학교 방향으로 700m를 가다보면 현대식 건축물이 있다. 이 곳이 국립박물관이다. 버스 터미널에서는 걸어서 15분 정도 소요되는데, 버스터미널에서 군청 쪽으로 와서 다시 부여고등학교 방향으로 가면 된다. 부여의 삼산 중의 하나인 금성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부여 박물관은 초현대식 건축양식으로 지어져서 고전과 현대가 어우러진 곳이다. 볼거리가 다양하고 행사에도 직접 참여할 수도 있다.<NA>관람료 일반:400원 할인:200원 18세 이하 65세 이상 무료.9:00∼18:00까지. 휴관일 매주 월요일.
15향토유적부여군낙화암낙화암백제시대 마지막 왕인 의자왕 때 나·당 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멸망할 당시 중국의 소정방과 신라의 김유신은 4만이란 대군을 이끌고 국력이 약화될 때로 약화된 백제를 쳐들어오게 된다. 의자왕은 계룡산으로 몽진을 가고 사비성에 남은 궁녀들과 부녀자들은 부소산성으로 도망가게 된다. 밀려들어오는 나·당 연합군에 몸이 더렵혀지느니 차라리 깨끗한 죽음을 맞겠다고 결심한 백제의 여인들이 백마강의 푸른 물에 몸을 던지게 된다. 그래서 이곳을 처음에는 타사암(墮死巖)이라 하였다. 낙화암의 본래 명칭은 타사암 이었는데, 뒷날 백제의 궁녀와 여자들을 미화하여 낙화암(落花巖)이라 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낙화암에 몸을 던진 궁녀가 삼천에 이른다고 전해지는데, 삼천의 궁녀가 아니라 백제의 여인들과 궁녀가 너무도 많아 삼천궁녀라 한다.백제의 여인들이 정조를 위해 백마강에 뛰어든 바위를 낙화암이라 부르고 있다.백제고기에 이르기를 부여성 북각에 큰 바위가 있는데 아래는 강물에 임하였다. 전하기를 의자왕이 모든 후궁들과 더불어 죽음을 면치못할 것을 알고 서로 이르되, 차라리 자결할지언정 남의 손에 죽지 않겠다 하고, 이곳에 이르러 강물에 몸을 던져 죽었다. 그래서 "떨어져 죽은 바위" 라고 속전한다. 이것은 이야기가 잘못 전한 것이다. 다만 궁녀들만 떨어져 죽은 것이요, 의자왕은 당나라에서 죽었다는 것이 당사에 명문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낙화암이란 명칭은 후세 사람에 의하여 미화된 이름인 것이다. 3천 궁녀란 표현은 다소 그 숫자를 과장하기 위한 것일 뿐 실제 무슨 근거가 있어서 그리된 것은 아니고 단지 백제멸망 당시나 멸망 후 3년여에 걸쳐서 전개된 부흥운동 과정에서 처절한 항쟁의 결과 많은 인명이 상하고 죽어서 그렇게 부른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NA><NA><NA><NA><NA><NA>부여군청에서 소방서로 내려가다 보면 소방서 앞 로터리가 나온다. 그 곳에서 논산방향으로 나가다 보면 부소산 구드래로 가는 길을 볼 수 있다. 낙화암은 부소산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부소산 이곳 저곳에 백제의 향기를 느끼면서 부소산을 거닐다 보면 사자루와 궁녀사를 지나 고란사에 이른다. 고란사 약수로 목을 적신 뒤 낙화암에 오르면 한 마리 용이 꿈틀거리는 모습의 백마강을 볼 수 있다. 낙화암 위에는 백화정이라는 정자가 있다. 낙화암 백화정은 그 절경이 아름답고 빼어나 부여 8경의 하나에 속한다.<NA><NA>평일과 휴일에도 이용가능
16향토유적부여군백제금동대향로국립중앙박물관1993년 12월 부여군 능산리 고분군 근처 문화재발굴현장에서 백제의 최대 걸작품이라 할 수 있는 백제금동대향로가 1300년의 긴 역사를 고이 간직한 채 거의 완벽에 가까운 상태로 출토되었다. 이 향로는 처음에 겉모습을 토대로 한 명칭인 금동 용봉 봉래산 향로라 이름지어 졌으나 후일 백제금동대향로라는 이름으로 국보 제 287호에 지정되었다. 백제시대 공방터로 보이는 발굴현장 우물터에서 처음 그 모습을 드러냈는데 받침, 몸통, 뚜껑의 3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음양의 조화를 완벽하게 이루고 있다. 백제의 어느 문화재보다도 그 당시의 문화와 미술, 종교와 사상, 과학기술과 제조기법 등이 함축 융화되어 있는 동양최대의 걸작품이라 일컬어지고 있다.백제금동대향로가 부여 능산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것을 발단으로 옛 백제의 뛰어난 문화를 널리 홍보하고 직접 소유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향로를 모델로 상품화를 기획·제작·판매하게 되었다.1993년 12월에 향로가 발견되어 94년도에 상품화를 구상하였고 95년도에는 상품화 계획이 이루어지면서 향로 복각을 위해 면밀한 분석과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중앙박물관의 관리에 의한 복각과정에서 원형 복각은 금지된 사항이라 어려움이 있었다. 원래 64cm인 원형을 복각품은 62cm로 정했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 96년도에 드디어 복각품이 완성되었고 상품으로 제작되어 판매되기 시작하였다. 금동대향로 복각품은 개인 업체와는 달리 관공서에서 판매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야 예산 낭비라는 부담을 없앨 수가 있기 때문에 98년도에 이르러서는 금동대향로 판매의 활성화와 여러 가지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기용 축소 향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지금은 향로에 관한 11개 품목 76종의 상품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백제금동대향로가 부여 능산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것을 발단으로 옛 백제의 뛰어난 문화를 널리 홍보하고 직접 소유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향로를 모델로 상품화를 기획·제작·판매하게 되었다.1993년 12월에 향로가 발견되어 94년도에 상품화를 구상하였고 95년도에는 상품화 계획이 이루어지면서 향로 복각을 위해 면밀한 분석과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중앙박물관의 관리에 의한 복각과정에서 원형 복각은 금지된 사항이라 어려움이 있었다. 원래 64cm인 원형을 복각품은 62cm로 정했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 96년도에 드디어 복각품이 완성되었고 상품으로 제작되어 판매되기 시작하였다. 금동대향로 복각품은 개인 업체와는 달리 관공서에서 판매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야 예산 낭비라는 부담을 없앨 수가 있기 때문에 98년도에 이르러서는 금동대향로 판매의 활성화와 여러 가지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기용 축소 향로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지금은 향로에 관한 11개 품목 76종의 상품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백제금동대향로는 크게 받침부분, 몸통부분, 뚜껑부분의 3단계로 구분되어진다. 향로의 조각에는 크고 작은 산봉우리가 74개, 동물들이 65마리, 또 18명의 인물이 조각되어있다. 가장 밑 부분인 받침 부분은 꿈틀거리는 용을 조각했는데 그 모습은 용이 삼라만상을 떠받치고 있는 듯 위로 치켜세워진 모습이다. 그 위에 몸통부분에는 불교의 대표적 근원이라 할 수 있는 연꽃과 그 꽃잎마다 조각된 많은 수중 동물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뚜껑부분에는 백제시대의 생활상과 그들이 생각한 이상향을 엿볼 수 있는 조각들이 새겨져 있다. 그 뚜껑부분을 부분적으로 보면, 코끼리를 탄 선인과 명상에 잠긴 선인, 곰과 물고기를 물고 있는 수달, 말을 찬 기마병사와 폭포수에서 머리를 감는 여인상의 조각을 볼 수 있으며, 불로장생을 나타내는 영지버섯과 나무사이에 앉아 있는 새의 형상 등이 조각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가장 높은 자리에는 5인의 악사가 악기를 연주하는 형상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현재의 관현악단과 같은 의미로 백제시대의 음악세계를 엿볼 수 있다. 또 가장 윗부분에는 성스러운 새로 길조로 여겨지던 봉황이 조각되어 있는데 이 새는 태평성대 시절에만 나타난다는 전설이 있으며 백제시대 성왕이 행차를 하면 봉황이 나타났다고 한다.<NA><NA><NA>백제금동대향로는 현재 부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복각 제품은 부여박물관과 부여군청, 중앙박물관에서 판매되고 있다. 부여박물관과 중앙박물관은 부여군청의 위탁 판매소이다. 실제 백제금동대향로를 찾아보기 위해서는 부여박물관으로 가야하는데 부여박물관은 버스터미널이나 군청에서도 그냥 걸어갈 수 있을 만큼 가까운 거리에 있다.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걸어서 15분 가량 걸리는데 여기서 잠깐 소개하자면, 우선 시외버스 터미널을 나와 맞은편에 보이는 E마트 빌딩 옆의 쭉 뻗은 길로 걸어가다 보면 도로가 나오는데 도로 건너편에는 정림사지 5층 석탑이 보일 것이다. 도로를 건너 정림사 담을 타고 쭉 가다 보면 청소년 수련원이 나오는데 청소년 수련원 맞은 편에 박물관이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제품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군청으로 와야 하는데 시외버스 터미널을 나와 우측으로 보이는 계백장군 동상까지 걸어오면 제품 판매처인 군청의 정문을 볼 수 있다. 판매는 지역경제과에서 하고 있다. 만약 가는 길을 잘 모른다면 사람들에게 물어도 자세하고 친절하게 알려주기 때문에 한층 더 즐거운 여행이 될 수 있을 것이다.<NA>박물관의 입장비용은 성인이 400원이며 어린이는 이용요금이 없다.이용가능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다.
17향토유적당진시솔뫼성지천주교 대전교구충남 당진군 우강면 송산리에 자리한 "솔뫼"는 소나무 숲으로 덮인 산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충청도에서 제일 좋은 땅 내포(內浦) 한가운데 자리하고 있다. 내포는 남으로는 광천의 오서산을, 서북으로는 덕산의 가야산을, 서로는 큰 바다를, 북으로는 경기도 해읍(海邑)과 아산만을 경계로 하면서 서해 바다가 내륙으로 깊숙이 들어온 평야지대이다. 내포의 한복판에는 삽교천이 흐르고 있다. 삽교천은 선사시대부터 바다를 통하여 건네지는 문화를 내륙으로 전하는 출입문의 구실을 하였다. 삽교천에 인접해 있는 솔뫼는 일찍부터 외국 문물을 접하였다. 그래서 이곳에 천주교 신앙이 전하여진 것은 육로를 통하여 전하여진 이승훈(1784년) 이전으로 추측되며, 또한 한국 천주교 초창기에 이곳 내포 출신 신자들이 박해를 피해 전국으로 흩어져 신앙을 전하고 순교를 하는 굳은 신앙의 모범을 보일 수 있었던 것이다. 솔뫼 출생의 대표적 순교자는 한국 최초의 사제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다. 솔뫼성지는 김대건 신부의 순교를 기념하기 위해 그 탄생지를 유적으로 꾸며놓은 곳이다.우리나라 최초의 신부인 김대건 신부의 탄생장소를 발굴, 복원하여 천주교 신자들에게 신앙과 성덕을 가르치는 표지로 삼을 뿐만 아니라 자랑스러운 신앙의 선조들이 이 땅에서 태어나고 살았다는 것을 길이 후손들에게 전하기 위해 기념탑을 세우고, 피정의 집이 완공되었다.'소나무가 우거진 작은 동산'이라는 뜻을 가진 솔뫼는 충남 당진군 우강면에 위치한 작은 마을이며 김해 김씨 안경공파인 김대건 신부의 가문이 정착한 것은 8대 선조 수완(守完, 1643∼1725)때부터 이다. 김대건은 이곳에서 1821년 8월 21일 태어났다. 그러나 이미 증조부와 종조부가 순교한 천주학 집안이어서 가세는 기울대로 기울었고 또 어느 때 새로운 박해가 닥칠지 몰라 조부 김택현은 대건이 7세 때 경기도 용인군 내사면 남곡리 '골배마실'이라는 산골로 이사했다. 김대건은 그곳에서 16세 때인 1836년 모방신부에 의해 신학생으로 뽑혀 최양업(토마스)과 최방제(프란치스코)와 함께 마카오로 유학하여 신학을 공부했고 상해에서 페레올 고 주교 집전으로 사제서품을 받았다. 1845년 입국한 김 신부는 선교 활동에 힘쓰는 한편 외국 신부를 맞이하기 위해 힘쓰다 1846년 6월 5일 체포되었다. 1846년 9월 16일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고 순교했다. 사제 생활 1년 1개월 만의 일이었다. 1859년 9월 24일 가경자, 1925년 7월 5일 복자품, 1984년 성인품에 올려졌다. 김 신부는 조선 최초의 방인 사제이며 현실을 직시하고 진리를 외치던 선각자였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양학 유학자이며 조선의 최장거리 여행자이고 연평도에서 상해까지 항해한 최초의 서해 항로 개척자이기도 하다. 1845년 초 우리나라 최초로 조선전도를 만들었다. 유품으로는 22편의 서한이 있고, 한국 교회사에 관한 비망록 등이 있어 79위 시복자료가 되었다. 김대건 신부가 25세의 한창 젊은 나이로 새남터에서 순교한 1846년 9월 16일로부터 꼭 백년이 지났을 때인 1946년 6월 4일에 합덕(현재 구합덕)본당 백 문필 비리버 신부가 현재 복자 김대건 신부의 기념비가 서 있는 땅 100평을 임대한 것이 솔뫼 성역화의 시작이었다. 솔뫼는 현재 당진군 소재이지만 김대건 신부가 태어났을 당시에는 면천 소재였다. 약 100년 전에 오기선 신부는 "한국 최초의 사제 성 안드레아 김대건 신부의 탄생지가 우리 고장에 있으므로, 이를 되살<NA><NA>솔뫼성지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우선 경건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 이런 마음을 갖게 해주는 것은 입구에 도착하자마자 보이는 흰색철문과 그 안으로 펼쳐진 잘 정돈된 잔디밭인 것 같다. '천국으로 통하는 문'과 같은 이 흰색 철문을 지나면 제일 먼저 왼편으로 김신부의 생가터 임을 나타내는 비가 보인다. 그 옛날 김대건 신부가 살았던 곳이라고 한다. 당시 김대건 일가가 살던 집은 아흔 아홉 간이나 되는 큰 집이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우물과 집터만 남아있고 대나무들이 주위에 있다. 천주교 대전교구는 1996년에 김신부의 순교 150주년을 맞아 김신부의 생가 복원을 위한 기공식을 가졌고, 현재 생가 고증을 위해 자료를 수집, 분석, 검토 중에 있다. 자료수집과 분석이 끝나는 대로 본격적인 건축을 위한 설계와 시공이 시작될 것이라고 한다. 김신부의 생가터를 지나면 위치를 나타내는 이정표가 있다. 이곳에서 직진하면 '십자가의 길'이 나오고, 좌회전하면 '김대건신부의 동상'이 나오며, 우회전하면 솔뫼 피정의 집이 자리한다. 좌회전해서 15m 쯤 소나무 길을 지나면 우뚝 서있는 김신부의 동상이 보인다. 솔뫼성지 피정의 집에서는 이런 김대건신부의 모습을 본 따 1년여의 작업 끝에 '김대건 신부 캐릭터'를 개발하였다. 캐릭터 제작은 김대건 신부를 좀더 가까이에서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의도에서 였다. 김신부의 동상에서 다시 원위치로 내려와서 이번에는 십자가의 길로 향한다. 십자가의 길은 김신부가 태어난 이곳 솔뫼성지를 순례하면서 김신부가 걸어간 멀고도 먼 십자가의 길을 묵상하며 순교 성인들의 공덕과 고통도 함께 새기면서 걷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십자가의 길에서 바로 옆에 위치한 3층 건물이 솔뫼피정의 집이다. 피정의 집은 지하1층, 지상 3층 구조 건물로 지하의 식당, 1층의 성당, 성물센터, 사무실이 있고 2층에는 대강의실이 위치한다. 그리고 2∼3층에는 116명을 수용할 수 있는 피정자 숙소가 있다. 매년 이곳에서 피정(피세정념의 줄임말로 세상을 피해 고요히 생각하는 것 즉, 기도하고 신앙생활 하는 것)을 하고 있다<NA><NA><NA>군청에서 서울방면으로 150m 쯤 가면 당진 버스터미널이 있다. 당진에서 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합덕에서 버스를 갈아타야 한다. 당진 버스터미널에서 합덕행 버스를 타면 약 30분이 소요된다. 합덕에 도착해서 솔뫼성지행 시내버스를 타면 약 5분 후 솔뫼성지에 도착한다. 합덕 터미널에서 솔뫼성지까지는 시내버스를 이용해도 되지만 버스운행이 많지 않으므로 택시를 이용해도 기본료만으로 성지에 도착할 수 있다. 택시이용이 꺼려진다면 걸어서 20분 정도 거리이므로 한적한 마을들을 구경하면서 산책하듯 걸어도 좋을 것이다.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서울방면 32번 국도를 타고 줄다리기로 유명한 기지시를 거쳐 거산리 3거리까지 가면 된다. 그 다음 거산리 3거리에서 합덕 방면으로 우회전하면 된다. 거산리 3거리에서 10분 정도 달리면 길 양옆으로 버드나무가 늘어져있는 언덕이 나오는데 이곳을 지나서 처음 나오는 삼거리에서 합덕 시내방향으로 좌회전해서 150m 쯤 들어가면 왼쪽으로 우강 방면 도로가 있다. 여기서 1.3km 쯤 가면 바로 솔뫼성지가 위치하고 있다.<NA>솔뫼성지는 '열린 성지'로 입장료를 받고있지 않다. 물론 관람료도 없다.솔뫼성지의 이용가능 시간은 오전 7:00 ∼ 오후 6:00까지 이다.
18민요/춤논산시노성두레풍장<NA>"월출 동녘에 저달이 솟는다. 서산에 지는 해는 지고 싶어 지느냐. 천아도 절벽에 뚝 떨어져 살아도 청춘도 하늘에 잔별도 많구나 유정도 무정도 정들기 탓이로다......." 얼핏 흘러간 유행가를 연상케 한다. 바로 노성두레 때 선소리꾼이 부르는 두레소리 한 대목이다. 농촌에서 농사일이나 길쌈 등에 서로 협력하여 공동작업을 하기 위해 부락이나 里의 단위로 된 조직 또는 그때 쓰여지는 농악을 두레라 한다. 지금의 농촌현실과 맞물려 점차 그 모습이 사라져가고 이제는 지역축제나 각종 민속경연대회 등에서나 보고 들을 수 있는 모습이 되어가고 있다. '두레'란 말은 세 가지 명사로 쓰이는데 첫째, 위에서 쓰인 '함께 하는 농사일과 농악' 을 뜻하고 둘째, 농기구의 명칭으로 '낮은 곳에 있는 물을 언덕진 높은 곳의 논이나 밭에 퍼붓는 기구' 를 가리킨다. 셋째, '둘레, 달무리의 옛말' 이다. '두레'가 공동체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세 번째에서 그 어원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노성 두레풍장은 그 풍장소리에 특이성이 있는데 길굿(질나래비)이라 하여 이곳에서 저곳으로 옮기며 치는 풍장이 특히 새초롭다. 타지방에 비해 그 가락이 구성지고 맛갈스럽다는 평이다.두레풍장은 옛적부터 조선조 말기(1910년대)까지 성행했으나 3.1운동 이후 일제의 민족문화말살정책으로 말미암아 현재는 두레풍습의 옛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게다가 농업의 기계화도 두레의 본래 의미를 상실하게 만들었다. 이에 1992년 노성면 하도리 주민들은 최대길씨를 중심으로 노성면 두레풍장 전승보존 위원회를 조직하여 우리의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옛 조상들의 얼을 깊이 되새겨 우리 것에 대한 참된 의미를 찾아 민족의식을 고취, 정립시키려 하였다.최대길씨의 부친이 두레풍물의 우두머리인 좌상이어서 최대길씨는 어려서부터 이 풍물의 모습을 자주 보고 자라왔다. 옛 풍습에 관심이 많던 최대길씨는 '89년 웃다리 농악단의 단원으로 입단하였고 그 후 노성면 하도리 일대의 두레풍장을 재현해 보고자 노력했는데 주로 이곳에서 오랫동안 살아오던 남일희, 전성규, 박경천씨 등의 고증을 통해 마침내 노성면의 두레풍장을 완성하고, 노성 두레풍장 전승보존위원회 위원장으로 취임하였다. 최대길씨는 이 두레풍물을 '96년도에 전국대회에 출전시키려 노력했지만 인원부족으로 실패하였다. 그 후 1999년 논산딸기축제(3월 6일)때 재연을 했으며 향토문화제에 일곱 번이나 참석하여 과거 사라졌던 두레풍물을 재연하였다. 이 노력으로 과거 논산군수 감사패 및 논산 향토문화제 장려상을 3회나 수상했다. 그러나 최대길씨는 이 모든 홍보와 전승유지를 사비를 들여가며 해서 지금은 문화재 지정을 받고싶어 한다. 게다가 최대길씨가 건강이 좋지 않아 노성 하도리 두레풍장에 대한 계승이 아쉬운 상황이다.<NA><NA>두레는 농촌사회의 상호 협력, 감찰을 목적으로 촌락 단위로 조직되었다. 그래서 농경사회였던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존재했었다. 노성의 두레풍장 역시 일반적인 두레농악의 내용은 타지역과 같다. 좌상을 선출하고 두레를 알리며 모임이 끝나면 어울음판을 벌인 후 좌상이 지시하는 방향(두레 일터)을 향해 나발수가 나발을 불면 모두 그 쪽을 향해 출발하고 두레터에 도착하면 풍물꾼들이 자진세마치 가락으로 풍물을 치는 것으로 일이 시작되고 좌상이 이를 지시한다. 이렇게 논매기는 시작되는 데 이 때 두레소리는 노동의 어려움을 덜어주기도 한다. 두레싸움이 이어지고 여기에서 승자와 패자 두 마을이 합두레 먹는 날을 정한다. 일이 끝나고 부락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들어오는 과정에서 풍물과 두레꾼들이 함께 어우러져 하루의 임무완수의 기쁨을 만끽하고 피로를 해소한다. 그 외에 노성 하도리 풍물을 특징짓는 몇 가지 행사가 있는데, 노성면에는 아주 오래된 버드나무가 있어 이 나무에 제사를 하는 내용이 들어있다. 1년에 두 번 이 나무에 제를 올리는데 1월 14일과 7월 7일이다. 이 제사를 지낼 때 두레풍장에 쓰이는 기를 꽂아놓고 기고제를 지낸다. 또, 마을에서 행실이 바르지 못한 사람을 불러 놓고 잘잘못을 뉘우치게 하는데 북을 짊어지게 하고 동네를 한바퀴 돌도록 한다. 노성 하도리 두레풍장에서 일터와 일터를 옮겨갈 때 길굿을 하는데(이를 질나래비 풍장이라고도 한다) 이 풍장은 다른 농악과 차이가 있다. 이 길굿은 방향을 알려주는 것인데 좌상이 지시하는 쪽을 향해 나발수가 나발을 불고 그 쪽을 향해 갈 때 쓰는 풍장이다.<NA><NA><NA>논산시청에서 세무서를 지나 3km 정도 가다보면 공주방향의 23번 국도를 만난다. 이 국도를 따라 딸기로 유명한 광석들을 지나 약 10km 쯤 다시 와 노성쪽으로 우회전한다. 도로가 시원하게 뚫려있어 자칫하면 길을 놓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우회전하면 논산에서 노성을 거쳐 공주로 가는 구도로와 접하게 되는데 이 길을 따라가다 보면 노성주유소를 거치게 된다. 주유소에서 오른쪽 길을 따라 5분 가량 가면 고즈넉한 마을이 나온다. 이곳이 노성 두레풍장이 보존되고 있는 하도리 마을이다.노성면 하도리의 최대길씨를 비롯한 마을주민 130명과 농악회원 50명 정도가 노성면 두레풍장 보존위원회를 조직하여 위원회의 회원들에게 가르치고 전수시키고 있다. 그리고 최대길씨는 이 지역의 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해 도청에 다니면서 홍보를 하고 있다.<NA><NA>
19향토유적보령시성주사지보령시신라말기 구산선문 중 하나로 이름 높았던 곳으로 인근은 물론 전국적으로 번성했던 사찰이다. 하지만 이제는 탑비와 석탄만이 남아 옛 영화를 겨우 짐작케 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성주사는 백제 법왕에 의해 오합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법왕이 왕자일 때 삼국전쟁으로 희생된 이들의 영혼을 위령하는 뜻으로 세운 절이었으므로 창건 당시부터 백제의 중심 사찰이었던 셈이다. 성주사지라는 이름으로 개명된 것은 통일신라 말 성인이 거하는 절이라는 뜻인데, 성인은 신라 말기의 명승 무염국사를 일컫는다. 무염국사가 성주사지의 주지로 있을 당시 성주사는 불전 80칸, 수각 7칸, 고사 50여 칸 등 천여 칸에 이르는 큰 규모였다. 이 때 성주사에서 정진하는 수도승만 2,000여 명에 달했다고 한다. 이곳에서는 백제시대에서 통일신라, 고려, 조선초에 이르는 장구한 역사의 유물이 발굴되고 있다.신라말기 구산선문 중 하나로 이름이 높았던 성주사, 이 절은 백제 법왕에 의해 창건된 오합사에서 유래하였다. 오합사는 법왕이 왕자였을 때 삼국전쟁으로 희생된 전몰자를 위령하는 뜻에서 세운 절인데 당시 백제의 중심 사찰 중 하나였다. 이 오합사가 성주사로 이름을 바꾼 것은 통일신라말이었다. 신라 말의 명승이자 성인으로 추앙 받았던 무염국사가 주지로 부임하면서 성인이 거하는 절이라 해서 성주사로 불렸던 것이다.사적 제307호로 지정되어 있는 성주사지는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번지 소재에 자리잡고 있다. 본래 백제의 법왕 때 초창된 사찰인데 신라 문성왕 때에 이르러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가람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곳에는 현재 국보8호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보물 19호 오층석탑, 보물 20호 중앙삼층석탑, 보물 47호 서삼층석탑, 지방문화재인 동삼층석탑과 서계단과 석등이 있다. 그간 발굴조사에 의해 금당지, 삼천불전지, 회랑지, 중문지 등의 건물터가 드러났다. 절터 서북쪽에는 제법 멋을 부려 세운 전각이 있는데 그 안에 부도비가 있다. 무염국사 입적 두 해 후에 세운 부도비로 신라의 대문장가 고운 최치원 선생이 글을 짓고 그의 조카 최인곤이 글씨를 썼다. 낭혜는 무염국사의 시호이며 신라 태종 무열왕의 8대손으로 어린 나이에 출가했다. 열세 살의 나이에 입문한 낭혜는 21세에 당나라로 유학길을 떠나 그곳에서 선종을 익혔다. 귀국하여 성주사의 주지가 되어 신라의 선종을 크게 융성시킨 낭혜는 88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그 후 진성여왕은 낭혜를 기리기 위해 시호와 함께 부도비를 세우게 되었다. 이 부도비는 신라의 부도비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높이 4.5미터, 폭1.5미터, 두께 42센티미터로 거의 원형 모습을 잃지 않고 있다. 또한 비신을 받치고 있는 귀부 역시 조각이 화려하고 뚜렷하여 신라의 부도비 중에서 최고의 걸작으로 꼽힌다. 비신의 재질은 성주산이 주산지인 남포오석이다. 재질이 강하고 아름다워 세월이 지날수록 더욱 빛을 발한다는 남포오석의 비신에는 5천여 자의 비문이 기록되어 있다. 지난 1984년 8월 13일 국가사적지 제307호로 지정된 성주사지는 지금도 불교문화의 많은 유물을 간직하고 있는 절터로 불교문화가 우리나라에 들어옴에 따라 서해에 자리잡은 큰절이다.<NA><NA>성주사지는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의 배산이라 할 수 있는 성주산의 동쪽으로 길게 뻗어 내린 능성의 말단부에 동서를 장축으로 동향 사면에 위치하고 있는데 남북을 기본축으로 하고 있다. 이 사찰은 백제의 법왕 때에 초창된 사찰로서 처음에는 오합사라 부르다가 신라 문성왕 때에는 당나라에서 돌아온 낭혜화상이 가람을 크게 중창하면서 성주사라 하였다. 당대 최대의 사찰로 만여 평이 넘는 대가람과 현존 최대, 최고의 탑비를 지니고 있다. '91년부터 6차례에 걸쳐 발굴조사한 바에 의하면 고려시대 2회, 조선시대에도 중창한 흔적과 임진왜란 이후에는 사찰규모를 크게 축소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900m에 달하는 사지 담장 경내에 수 많은 건물터는 성주사 창건 당시 주위 산세와 함께 웅장했던 사찰 면모를 보여준다. 경내에는 국보8호인 낭혜화상배월보광탑비를 비롯, 오층탑, 삼층탑3기, 석등이 문화재로 지정 되어 있고, 중문지, 금당지, 회랑지, 강당지, 삼천불전지, 건물유구(기단석, 초석) 등이 발굴되었고 출토유물(백제 기와당, 소조볼, 비편조각)은 국립부여박물관, 충남대박물관에 전시 보관하고 있다. 백제 법왕 때 창건되었고, 통일신라시대 문성왕 때 무염국사가 중창하였다고 전하며 통일신라시대의 9대 선문 중 하나였다고 한다. 본 사찰의 건물은 임진왜란 당시 왜구에 의해 소실되고 국보8호인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 외 보물 3점, 도지정 문화재 3점 등 문화재급 석탑이 남아있으며, 본 사찰의 면적이 11,800여 평에 달하고 있어 그 웅장하였던 사찰의 옛 모습을 짐작케 한다. 금당지 앞에 위치하고 있는 오층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5층의 몸돌을 하고 있으며 신라말기에 세워진 것으로 짐작된다. 신라 하대 석탑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5층 몸돌의 상륜부가 유실되어 탑의 완벽한 모습은 알 수 없으므로 현재 남아 있는 부분만으로도 경쾌한 상승감이 느껴질 정도로 빼어나다. 지붕 돌의 선이 다소 짧은 느낌이지만 부드러운 곡선미가 특히 돋보인다. 탑의 높이는 6.6미터이다. 이 곳에는 최치원의 유명한 사산비의 하나인 낭혜화<NA><NA><NA>성주사지는 살아 있는 교육의 현장이다. 오히려 꾸미지 않아 교육 효과 또한 높다. 역사, 문화재 교육은 물론 이를 보호해야 하는 후세의 책무를 교훈으로 전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인근 지역에 성주산 휴양림, 석탄박물관, 심원동 계곡 등 관광명소가 자리잡고 있어 가족 단위 휴양객들이 찾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곳이다. 성주사지 가는 길은 대천역에서 21번 국도를 이용하여 서천으로 향하다가 시청사 쪽으로 좌회전한다. 성주터널을 지나 3km쯤 직진, 성주 삼거리에서 다시 좌회전하여 1km쯤 나가면 성주사지다. 심연동 계곡을 따라 포장도로를 오르면 오래 지나지 않아 왼편으로 넓은 공터와 만난다. 산이 흘러내려 구릉을 이룬 듯도 하고, 밭자리로 산기슭을 개간해 놓은 듯도 하다. 이 공터에 군데군데 석탑이 서 있어 폐사지임을 짐작케 하는데 그 모습이 예사롭지 않다.<NA>없음<NA>
20향토유적아산시아산현충사<NA>1704년 충청도 유생들이 중심이 되어 숙종대왕께 이순신 장군 사당건립을 상소하였다. 그리하여 1598년 충무공이 노량해전에서 순국한지 108년이 지난 숙종 32년(1706)에 백암리 방화산 기슭에 충무공의 얼을 기리기 위하여 공의 유해와 영정을 모시는 사당을 세웠으며, 1707년 숙종'께서 친히 '현충사'라는 사액을 내렸다.충무공의 애국정신과 충성심을 기리기 위해 충무공 사후 108에 지금의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에 서원 형식의 사당을 건립한 후 상소하여 그 이듬해 숙종이 현충사라 사액함으로써 오늘에 이르고 있다. 1707년 숙종께서 친히 "현충사"라 사액하신 이후 현충사는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유해와 영정을 모심으로써, 후손들에게 그분의 위대한 성웅임을 일깨워주고 있다.1707년 숙종께서 친히 '현충사'라고 사액한 후 지난 300여 년 간 충무공을 추모하는 향불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일 합방 이후에는 일제의 탄압으로 한 동안 퇴락하기도 하였으나, 일제의 갖은 탄압에도 불구하고 아산지방 유생들이 현충사 옛터에 유허비 건립(1906년 2월)을 하여 을사보호조약에 항거하기도 했다. 이에 1932년에 동아일보와 이충무공 유적 보존회가 주관이 되어 사당을 중건하였고, 영정을 봉안하였다. 최초의 영정은 1932년 일제치하에서 청진 이상범 화백이 그려 현충사에 모셨으나, 퇴색되어 위엄이 덜하게 됨으로써 기념사업회에서는 한동안 이당 김은호 화백이 그린 영정을 모시기도 하였다. 1945년 해방 후에는 매년 4월28일에 충무공 탄신기념제전을 올리는 등 새로이 공을 추모하고 있다. 1956년에는 충무공의 공을 기려 이곳을 성역화하고, 현충사를 중건하였으며, 5.16 이후 현충사의 성역화 사업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그리하여 1974년까지 종합적인 성역화작업을 완성하여 대지 106,558평의 경내 본전, 고택, 정각, 유물관, 활터 등이 갖추어져 오늘날과 같은 경관을 갖추게 되었다. 현재 현충사의 영정은 서애 유성룡의 『징비록』에 나타난 기록을 역사학자들의 고증에 따라 1953년 월전 장우성 화백이 그린 것으로, 1973년 10월 30일 선현영정 심의위원회에서 표준영정으로 지정한 것이다.<NA><NA>현충사는 본전과 이공께서 성장하고 무과에 급제할 때까지 살던 고택, 활터 등이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에 166,400평이라는 방대한 면적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음봉면 삼거리 어라산에 이충무공의 묘소가 분소로 자리잡고 있다.현충사에는 국보 제76호로 지정된 유물 9점(난중일기 7점, 임진장초 1점, 서간첩 1점)과 보물 제326호 6점(장검 2점, 요대 1점, 옥로 1점, 도배 2점), 그리고 각종 전시물 138점이 전시되어 있다. 이중에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난중일기와 거북선모형이다. 난중일기는 충무공(1545∼1598)이 임진왜란 때 7년 동안 싸움터에서 직접 쓴 진중일기로써 공의성품이나 국정에 대한 솔직한 심정, 군사에 대한 비밀계책, 친지나 부하 등 내외요인들과 내왕한 내용, 부하들에 대한 상벌 등이 상세히 묘사되어 있어 임진왜란 당시 정치, 군사에 대한 전체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난중일기는 연도별로 7권으로 나누어지며 임진란이 일어난 다음달에 시작되어서 중간이 약간 끊어진 데가 있으나 공이 순국한 전 달까지의 기록이다. '난중일기'라는 이름은 본래는 적혀 있지 않았지만 정조대왕 때 이충무공 전서를 편찬하면서 편의상 난중일기라고 한데서 기원한다. 난중일기는 서간첩, 임진장초와 함께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 76호로 지정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임진일기: 선조 25년 (1592) 5월 1일부터 동왕 26년 3월까지 27매 계사일기: 선조 26년 (1593) 5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30매 갑오일기: 선조 27년 (1594) 1월 1일부터 7월 28일까지 52매 병신일기: 선조 29년 (1596) 1월 1일부터 10월 11일까지 41매 정유일기: 선조 30년 (1597) 4월 1일부터 10월 8일까지 27매 정유일기 속: 선조 30년(1597) 8월 4일부터 동왕 31년(1598) 1월 4일 까지 20매 무술일기: 선조 31년(1598) 9월 15일부터 10월 7일까지 8매 거북선은 이충무공이 창안하여 1592년에 건조한 세계최초의 철갑선이다. 거<NA><NA><NA>온양에서 45번 국도를 따라 평택방면으로 0.7km 정도 가다보면 곡교천 위로 충무교와 만나게 된다. 충무교를 지나 바로 우회전해서 624번 지방도로를 따라 가면 곧바로 시내를 벗어나 한적한 시골길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곧이어 좌측으로 아산시청 구 건물이 보이고 그 앞으로 유유히 흐르는 곡교천이 한눈에 시원하게 들어온다. 끝없이 펼쳐진 은행나무 가로수 사이 길을 주변 정취에 젖어 달리다 보면 어느덧 차는 현충사에 닿는다. 온양에서 현충사까지는 4km 정도이며, 대중교통은 시내 삼성증권 앞에서 수시로 운행되는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편리하다.<NA>관람요금은 초, 중, 고교 학생들은 무료이고 청소년 및 군인(19-24세, 하사이하 정복착용사병)은 100원, 어른은 200원이다(문예진흥기금 10원 포함).현충사는 주말을 맞아 가족단위로 찾아오는 방문객들의 편의를 위해 매주 수요일에는 휴관이다. 관람시간은 하절기에는 09:00-18:00까지, 동절기에는 09:00-17:00까지이며, 매표시간은 하절기에는 09:00-17:00까지, 동절기에는 09:00-16:00까지이다.
21향토유적예산군충의사(忠義祠)정부윤봉길 의사(義士)는 1908년 6월 21일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에서 윤황과 김원상을 부모로 모시고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본명은 우의(禹儀), 봉길(奉吉)은 별명이며 호는 매헌이다. 11세때인 1918년 덕산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919년 3·1독립운동의 함성과 함께 학교를 자퇴하고 이후 1921년 매곡(梅谷) 성주록의 문하에 들어 오치서숙(烏峙書塾)에서 한학 수업을 받았다. 1926년 서당에서 수학하던 중 산책길에 건너편 공동묘지에 여러 묘표(墓表)를 뽑아들고 선친의 무덤을 찾아달라고 간청하는 무지한 청년을 만나게 된다. 이때 의사는 묘표를 뽑아 무덤의 위치 조차 알 수 없게 만든 그 청년의 무식이 나라까지 잃게 한 적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농촌계몽운동에 뜻을 두게되었다. 당시 윤 의사의 나이 19세였다. 우선 자신의 집 사랑방에서 인근 학동들을 가르치다가 학생들이 늘어나자 야학당을 개설하여 한글 교육 등의 문맹퇴치와 민족의식의 고취에 심혈을 기울였다. 농민계몽운동은 야학만으로 그치지 않고 부흥원을 설치하여 농촌개혁운동까지 실천하였다. 1929년에 접어들자 농민계몽, 농촌개혁 운동은 독립운동으로 귀결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있던 중에 '함흥수리조합 일본인들이 조선인 3명을 타살한' 사건을 계기로 1930년 3월 6일 『장부출가 생불환(丈夫出家 生不還):대장부 집을 떠나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으리라』라는 비장한 글을 남기고 정든 가족을 뒤로 하고 중국으로 망명의 길에 오른다. 1931년 중국 상해에 도착하여 일본군의 동향을 주시하면서 자신의 몸과 마음을 일시에 던져 조국독립을 앞당길 수 있는 길을 찾기 시작한다. 그러던 중 마침내 임시정부 국무령 백범 김구 선생을 만나 자신이 원하던 조국 독립의 제단에 나서게 된다. 백범 선생과 의사는 의열투쟁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던 중 1932년 4월 29일 일왕의 생일인 천장절(天長節)을 일본군의 상해 점령 전승경축식과 합동으로 상해 홍구공원에서 거행할 예정이라는 보도에 접하게 된다. 윤 의사와 백범선생은 드디어 기회를 맞은 것이다. 이를 위해1967년 예산군수 최상령이 주민들의 여망을 받아들여 6천평 대지위에 건평 10평자리 사당을 신축한 것이 시초였다. 이후 도에서 대대적으로 보수했고, 1968년에는 박정희 전대통령이 참석하여 영정을 봉안하고 첫 추도식을 가진 바 있다. '충의사' 라는 현판은 박정희 전대통령의 글씨이다.덕산온천에서 수덕사 쪽으로 가다보면 길가 오른편에 깨끗하게 조성된 충의사를 볼 수 있다. 이 곳이 예산이 낳은 독립운동가 매헌 윤봉길 의사를 기리는 사당이다. 현재 사적 22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나라를 위해 하나 밖에 없는 목숨을 기꺼이 바친 윤봉길 의사의 숭고한 넋을 추모하는 참배객들이 끊임없이 찾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덕산온천과 수덕사 등 인근 관광지를 찾는 이들이 자주 들르기도 한다. 충의사는 1965년 6월 30일 4.29의거 기념탑 건립으로 역사가 시작된다. 1966년 4.29기념사업회 주관으로 시작된 4.29 기념제향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1967∼74년에는 성역화 사업을 시작하였다. 부지매입(1967), 사우건립(1968), 생가 및 성장가 복원(1970∼73), 유물 전시관과 부흥원 신축(1974) 등이 이루어졌다. 1968년 4월 29일 기념사업회 주관이었던 4.29기념제향을 예산군 주관으로 제향하였다. 1972년 8월 26일에는 문화재로 지정 받았고(보물 제 568호-30종 58점), 1972년 10월 14일에는 사적지로 지정되었다(사적 제 229호-147,802㎡). 1975년에는 윤 의사의 동상을 건립하였고, 1976년 8월 31일에 충청남도 충의사 관리사무소를 설치하였다(1980년 1월 1일 예산군 충의사 관리사무소로 명칭이 변경). 1982년 4월 29일 제 1회 매헌 문화제 행사를 개최해 지금까지 해마다 예산군 축제로 이어지고 있다. 1984년 4월 29일 충의관 및 사적비를 건립하였고. 1985년 6월 21일 매헌 악강유허비를 건립하였다. 1998년 9월 9일에 예산군 공공시설관리사업소 충의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0년 6월 21일에는 매헌 윤봉길의사 어록탑을 건립하였고 현재 매헌 기념관을 설계 용역 중에 있다. 매헌 기념관이 설립되면 구 유물관의 작품을 모두 이 곳으로 옮길 예정이다. 그러면 관람객들이 이곳 저곳 돌아다니지 않고 한 자리에서 윤 의사의 업적과 충의를 배울 수 있는 좋은 자리가 될 것이다.<NA><NA>윤봉길 의사의 충절과 넋이 서린 충의사는 본전 지역, 성장가 지역, 생가 지역 등으로 구분된다. 충의사의 총 면적은 사적지가 63,451㎡이고, 풍치 지구가 84,315㎡로 총 면적 147,802㎡이다. 먼저 본전 지역에는 충의사, 충의문, 홍실문, 충의관, 기념비, 귀반실, 어록탑 등이 있다. 충의사는 윤봉길 의사의 넋을 기리는 사당으로 충의사 내에 윤 의사의 영전이 있다. 이 곳에서 윤 의사의 넋을 기리면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이어 받을 수 있다. 충의사는 1968년에 건축했으며 건평은 93.45㎡이다. 충의문은 충의사에 들어가는 문으로 1978년에 건립하였다. 건평은 35.60㎡이다. 귀빈실은 충의문 옆에 있는 건물로 귀빈들이 윤 의사를 참배하러 올 때 잠시 거처하는 곳이다. 건평은 37.35㎡로 단층 건물이다. 홍살문은 주차장에서 충의사까지 계단으로 올라가야 하는데 계단이 끝나는 곳에 미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 놓은 입구이다. 문이 없는 점이 특징이다. 주차장 왼쪽 옆에는 충의관이 있다. 충의관은 1984년에 건립되었으며, 건평은 141.94㎡이다. 윤의사의 농촌지도 계몽운동과 4. 29 의거 장면을 11경도에 나타낸 교육장이다. 충의관 밑에는 어록탑이 설치되었다. 이 곳에 매헌 기념관을 설립하려고 부지를 확보하였으며, 설계 용역 중에 있다. 그리고 주차장에는 100여 대의 차가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성장가는 본전 길 건너편에 있다. 성장가에는 관리 사무실, 매표소 기념관, 저한당, 창고, 계명문, 만유문 등이 있다. 계명문 옆에 매표소가 있으며, 매표소는 관리사무실 한 쪽에 있다. 계명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관리사무실이 있다. 계명문은 옛날 한옥 가옥의 대문처럼 나무대문으로 되어 있고, 돌담에 기와를 올려놓아 성장가를 둘러싸고 있다. 관리 사무실의 건평은 109.21㎡이고 매표소는 7.20㎡이다. 관리 사무실 앞에 윤 봉길 의사의 동상이 있으며, 동상 옆에는 의거 기념탑이 있다. 의거 기념탑 옆에는 저한당이 있다. 저한당은 윤의사의 부친 윤 황씨가 1911년(의사 나이<NA><NA><NA>예산군청 정문 앞에서 경찰서 방향으로 약 5분 걸어서 내려오면 공주산업대가 나온다. 산업대 정문 앞에 버스 정류장이 있다. 층의사행 버스는 1시간에 1∼2대 정도로 버스가 많은 편이다. 충의사행 버스를 타고 시내를 빠져 나오게 되면 4차선의 무한대교가 나온다. 무한대교 양 옆에는 예당평야가 끝없이 펼쳐진다. 무한대교를 지나서 10분 정도를 가면 신호등이 복잡한 삼거리가 나온다. 이 길의 왼쪽으로는 홍성으로 가는 길, 오른쪽 방향으로는 덕산·삽교로 가는 길이 나온다. 덕산방면은 2차로이기 때문에 쉽게 알아 볼 수 있다. 여기에서부터 삽교읍까지는 5분이면 도착한다. 삽교 읍내를 지나면 삽교와 덕산을 이어주는 도로가 있다. 7㎞ 정도 잘 정돈된 것이 고속도로처럼 곧게 뻗어 있다. 잘 닦여진 도로 옆에는 삽교평야가 바둑판처럼 잘 정돈되어 있는 삽교평야가 있다. 이 도로를 따라 5분 정도 더 가면 덕산면이 나온다. 덕산면 버스정류장에서 충의사 방면으로 버스가 출발하면 곧 정면으로 덕산 파출소가 있고, 그 길로 직진하여 간다. 직진을 하다 보면 온천이라는 간판이 눈에 자주 들어 올 것이다. 이곳이 바로 전국에서 물이 좋다고 소문난 덕산온천이다. 덕산온천은 예산의 관광명소로 4개의 호텔과 20여 개의 여관들이 영업을 하고 있다. 예산군에서 관광단지로 만들려고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온천지역에서 2㎞를 더 가면 충의사가 나온다.<NA>충의사 관람료는 아주 저렴하다. 군에서 관리를 하고 있어 다른 곳과 달리 가격이 절반이다. 어른이 500원, 청소년과 군인은 250원을 받고 어린아이들은 200원을 받고 있다. 그리고 이곳에서는 다른 곳과 같이 단체 관광객을 위해서 30인에 한해서 할인도 해주고 있다. 할인 가격은 어른이 400원, 청소년과 군인은 200원 어린아이들은 150원을 받고 있다.이용관람시간은 하절기에는 09시∼18시까지 관람할 수 있고, 동절기에는 한 시간 줄어들어 09시∼17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