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8
Number of observations59
Missing cells0
Missing cells (%)0.0%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3.9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67.2 B

Variable types

Categorical5
Numeric1
Text2

Dataset

Description한국문화정보원 조명용 문양 데이터로 분류1, 분류2, 문양명칭, 데이터명, 제공 데이터 형태, 제공 데이터 설명, 저작권, 컬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uthor한국문화정보원
URLhttps://www.data.go.kr/data/15069698/fileData.do

Alerts

분류1 has constant value ""Constant
저작권 has constant value ""Constant
코드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Data명 and 1 other fieldsHigh correlation
Data명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코드High correlation
제공 Data 형태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코드High correlation
분류2 is highly imbalanced (55.3%)Imbalance
코드 has unique valuesUnique
URL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3-12-12 03:23:22.969494
Analysis finished2023-12-12 03:23:24.107286
Duration1.14 second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분류1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1.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604.0 B
용도별문양
59 

Length

Max length5
Median length5
Mean length5
Min length5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용도별문양
2nd row용도별문양
3rd row용도별문양
4th row용도별문양
5th row용도별문양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용도별문양 59
100.0%

Length

2023-12-12T12:23:24.19692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2:23:24.32364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용도별문양 59
100.0%

분류2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3
Distinct (%)5.1%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604.0 B
조명구
51 
조명구,길상
 
4
조명구,벽사
 
4

Length

Max length6
Median length3
Mean length3.4067797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조명구
2nd row조명구
3rd row조명구
4th row조명구
5th row조명구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조명구 51
86.4%
조명구,길상 4
 
6.8%
조명구,벽사 4
 
6.8%

Length

2023-12-12T12:23:24.48795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2:23:24.65542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조명구 51
86.4%
조명구,길상 4
 
6.8%
조명구,벽사 4
 
6.8%

코드
Real number (ℝ)

HIGH CORRELATION  UNIQUE 

Distinct59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14306.373
Minimum6308
Maximum32955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663.0 B
2023-12-12T12:23:24.83104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6308
5-th percentile7466
Q17763.5
median19627
Q319641.5
95-th percentile22476.2
Maximum32955
Range26647
Interquartile range (IQR)11878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6878.7683
Coefficient of variation (CV)0.48081847
Kurtosis-0.97450225
Mean14306.373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11103
Skewness0.36226232
Sum844076
Variance47317454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2T12:23:25.02614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22331 1
 
1.7%
23783 1
 
1.7%
19631 1
 
1.7%
19632 1
 
1.7%
19635 1
 
1.7%
19636 1
 
1.7%
19637 1
 
1.7%
19638 1
 
1.7%
19639 1
 
1.7%
19640 1
 
1.7%
Other values (49) 49
83.1%
ValueCountFrequency (%)
6308 1
1.7%
6754 1
1.7%
7403 1
1.7%
7473 1
1.7%
7508 1
1.7%
7534 1
1.7%
7666 1
1.7%
7756 1
1.7%
7757 1
1.7%
7758 1
1.7%
ValueCountFrequency (%)
32955 1
1.7%
28786 1
1.7%
23783 1
1.7%
22331 1
1.7%
20370 1
1.7%
20353 1
1.7%
20343 1
1.7%
19709 1
1.7%
19648 1
1.7%
19647 1
1.7%

Data명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
Distinct (%)3.4%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604.0 B
개별문양
35 
원시문양
24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4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원시문양
2nd row원시문양
3rd row개별문양
4th row개별문양
5th row원시문양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개별문양 35
59.3%
원시문양 24
40.7%

Length

2023-12-12T12:23:25.18958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2:23:25.34526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개별문양 35
59.3%
원시문양 24
40.7%

제공 Data 형태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
Distinct (%)3.4%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604.0 B
3D(WRL) 파일
52 
2D 이미지파일(AI)

Length

Max length12
Median length10
Mean length10.237288
Min length10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2D 이미지파일(AI)
2nd row2D 이미지파일(AI)
3rd row2D 이미지파일(AI)
4th row2D 이미지파일(AI)
5th row3D(WRL) 파일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3D(WRL) 파일 52
88.1%
2D 이미지파일(AI) 7
 
11.9%

Length

2023-12-12T12:23:25.51268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2:23:25.67495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3d(wrl 52
44.1%
파일 52
44.1%
2d 7
 
5.9%
이미지파일(ai 7
 
5.9%
Distinct42
Distinct (%)71.2%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604.0 B
2023-12-12T12:23:26.05196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724
Mean length452.54237
Min length50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6700
Distinct characters687
Distinct categories12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6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33 ?
Unique (%)55.9%

Sample

1st row몸체의 중앙에 꽃문을 주문양으로 장식하였다. 등잔의 어깨 아래 부분에 큰 꽃잎이 위치하고 아래쪽에 줄기가 구부러져 있는 형태로 그렸으며, 줄기의 양쪽과 꽃잎의 주위로 잎을 배치하고 있다.
2nd row파초형의 불후리는 긴 편이고, 그 가운데 박쥐문이 그 상-중-하에 있는데 가운데 박쥐문은 위와 아래에 비해 크기가 작다. 화선꼭지는 연꽃 형태이다.
3rd row꽃은 아름다운 것, 아름다운 여자, 아름답고 화려한 시절 등을 비유한다. 여러 가지 꽃의 형태를 나타낸 문양은 인간의 기원이나 바람이 소재 선택의 기준이 되고 있다. 꽃은 각 시대의 사회적 배경과 사조, 토착신앙이라든가 종교 등에 따라서 각기 특색을 나타내며 상징적인 뜻을 지닌다. 정확한 유래와 의미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도자나 회화 등 다양한 유물에 표현되었다.
4th row수(壽)자는 길상문자 중 하나로 장수를 상징한다. 예로부터 가장 보람되고 알찬 삶을 사는 것을 오복을 고루 갖추었다고 하는데 이 오복에 대해서는 상서(常書) 의「홍범(洪範)」편에, ‘복이란 첫째가 수(壽, 오래 삶), 둘째가 부(富, 재산이 많음), 셋째가 강녕(康寧, 건강하고 평안함), 넷째가 유호덕(攸好德, 인격을 갖춘 삶), 다섯째가 고종명(考終命, 천명을 다함)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선조들은 이러한 삶을 염원하는 마음에서 그 바람을 그림으로 표현하거나 문자를 문양으로 도안하여 생활 주변의 모든 기물에 구체화하여 베풀었던 것이다. 수자문은 건축을 비롯해 생활가구, 공예품 등 다양한 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5th row어두운 곳을 밝히기 위하여 불을 켜는데 필요한 도구 중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기름을 담아서 불을 켜는 등잔과 함께 쓰이는 도구이다. 등가(燈架)의 사용은 조선시대에 성행하였다. 조선이 불교를 억제하고 유교이념을 표방함에 따라 불교문화 속에서 만들어진 촛대와 제등(提燈) 같은 의식용 등기가 퇴보하고 조선특유의 간편하면서도 실용적인 등기가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이 유물은 통나무를 기계로 돌려서 깎아서 만들었다. 등가(燈架)의 원형 바닥은 두께가 있어 안정감이 있으며 바닥 가운데 세운 기둥의 중간에는 대나무 무늬를 넣어 변화를 주었다. 기둥의 상단에는 술잔이 올려져 있는 듯 한 모양의 깊이가 있는 등잔받침을 두었다. 대나무는 선비와 여인들의 굳은 절개와 지조를 나타내는 무늬이다. 매화, 난초, 국화와 함께 사군자의 하나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무늬이다. 추운 겨울에도 그 색이 변치 않고 생명을 유지하는 대나무는 장수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대나무는 불에 넣었을 때 탁탁탁 하면서 타오르는 소리가 귀신을 쫓는 소리라고 하여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식물이기도 하였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45
 
0.7%
한다 44
 
0.7%
거북은 42
 
0.7%
42
 
0.7%
때문에 41
 
0.7%
또한 40
 
0.7%
상징으로 38
 
0.6%
38
 
0.6%
31
 
0.5%
등잔을 28
 
0.5%
Other values (1610) 5626
93.5%
2023-12-12T12:23:26.73759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981
 
22.4%
652
 
2.4%
611
 
2.3%
553
 
2.1%
490
 
1.8%
. 438
 
1.6%
430
 
1.6%
428
 
1.6%
383
 
1.4%
349
 
1.3%
Other values (677) 16385
61.4%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9144
71.7%
Space Separator 5981
 
22.4%
Other Punctuation 736
 
2.8%
Close Punctuation 319
 
1.2%
Open Punctuation 319
 
1.2%
Lowercase Letter 72
 
0.3%
Initial Punctuation 44
 
0.2%
Final Punctuation 44
 
0.2%
Decimal Number 23
 
0.1%
Uppercase Letter 9
 
< 0.1%
Other values (2) 9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652
 
3.4%
611
 
3.2%
553
 
2.9%
490
 
2.6%
430
 
2.2%
428
 
2.2%
383
 
2.0%
349
 
1.8%
331
 
1.7%
326
 
1.7%
Other values (638) 14591
76.2%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e 13
18.1%
n 10
13.9%
t 5
 
6.9%
h 5
 
6.9%
m 5
 
6.9%
i 5
 
6.9%
o 5
 
6.9%
r 4
 
5.6%
u 4
 
5.6%
q 4
 
5.6%
Other values (3) 12
16.7%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4 7
30.4%
3 7
30.4%
2 5
21.7%
8 2
 
8.7%
0 1
 
4.3%
1 1
 
4.3%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38
59.5%
, 257
34.9%
· 36
 
4.9%
: 5
 
0.7%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91
91.2%
11
 
3.4%
11
 
3.4%
] 6
 
1.9%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91
91.2%
11
 
3.4%
11
 
3.4%
[ 6
 
1.9%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38
86.4%
6
 
13.6%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38
86.4%
6
 
13.6%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5981
100.0%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9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7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8563
69.5%
Common 7475
28.0%
Han 581
 
2.2%
Latin 81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652
 
3.5%
611
 
3.3%
553
 
3.0%
490
 
2.6%
430
 
2.3%
428
 
2.3%
383
 
2.1%
349
 
1.9%
331
 
1.8%
326
 
1.8%
Other values (508) 14010
75.5%
Han
ValueCountFrequency (%)
27
 
4.6%
26
 
4.5%
26
 
4.5%
24
 
4.1%
18
 
3.1%
16
 
2.8%
14
 
2.4%
13
 
2.2%
13
 
2.2%
10
 
1.7%
Other values (120) 394
67.8%
Common
ValueCountFrequency (%)
5981
80.0%
. 438
 
5.9%
) 291
 
3.9%
( 291
 
3.9%
, 257
 
3.4%
38
 
0.5%
38
 
0.5%
· 36
 
0.5%
11
 
0.1%
11
 
0.1%
Other values (15) 83
 
1.1%
Latin
ValueCountFrequency (%)
e 13
16.0%
n 10
12.3%
A 9
11.1%
t 5
 
6.2%
h 5
 
6.2%
m 5
 
6.2%
i 5
 
6.2%
o 5
 
6.2%
r 4
 
4.9%
u 4
 
4.9%
Other values (4) 16
19.8%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8563
69.5%
ASCII 7388
 
27.7%
CJK 573
 
2.1%
Punctuation 88
 
0.3%
None 80
 
0.3%
CJK Compat Ideographs 8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5981
81.0%
. 438
 
5.9%
) 291
 
3.9%
( 291
 
3.9%
, 257
 
3.5%
e 13
 
0.2%
n 10
 
0.1%
A 9
 
0.1%
4 7
 
0.1%
3 7
 
0.1%
Other values (20) 84
 
1.1%
Hangul
ValueCountFrequency (%)
652
 
3.5%
611
 
3.3%
553
 
3.0%
490
 
2.6%
430
 
2.3%
428
 
2.3%
383
 
2.1%
349
 
1.9%
331
 
1.8%
326
 
1.8%
Other values (508) 14010
75.5%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38
43.2%
38
43.2%
6
 
6.8%
6
 
6.8%
None
ValueCountFrequency (%)
· 36
45.0%
11
 
13.8%
11
 
13.8%
11
 
13.8%
11
 
13.8%
CJK
ValueCountFrequency (%)
27
 
4.7%
26
 
4.5%
26
 
4.5%
24
 
4.2%
18
 
3.1%
16
 
2.8%
14
 
2.4%
13
 
2.3%
13
 
2.3%
10
 
1.7%
Other values (116) 386
67.4%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4
50.0%
2
25.0%
1
 
12.5%
1
 
12.5%

저작권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1.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604.0 B
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59 

Length

Max length18
Median length18
Mean length18
Min length18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2nd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3rd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4th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5th row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59
100.0%

Length

2023-12-12T12:23:26.93482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2:23:27.08010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 59
100.0%

URL
Text

UNIQUE 

Distinct59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604.0 B
2023-12-12T12:23:27.43345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77
Median length75
Mean length74.576271
Min length7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4400
Distinct characters38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59 ?
Unique (%)100.0%

Sample

1st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22331&reffer=use&sType=10
2nd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23783&reffer=use&sType=10
3rd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28786&reffer=use&sType=10
4th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2955&reffer=use&sType=10
5th row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6308&reffer=use&sType=
ValueCountFrequency (%)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22331&reffer=use&stype=10 1
 
1.7%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27&reffer=shape&stype 1
 
1.7%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31&reffer=shape&stype 1
 
1.7%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32&reffer=shape&stype 1
 
1.7%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35&reffer=shape&stype 1
 
1.7%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36&reffer=shape&stype 1
 
1.7%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37&reffer=shape&stype 1
 
1.7%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38&reffer=shape&stype 1
 
1.7%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39&reffer=shape&stype 1
 
1.7%
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40&reffer=shape&stype 1
 
1.7%
Other values (49) 49
83.1%
2023-12-12T12:23:28.06967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e 389
 
8.8%
r 319
 
7.2%
t 295
 
6.7%
i 260
 
5.9%
d 236
 
5.4%
/ 236
 
5.4%
. 236
 
5.4%
w 212
 
4.8%
u 203
 
4.6%
s 177
 
4.0%
Other values (28) 1837
41.8%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3123
71.0%
Other Punctuation 708
 
16.1%
Decimal Number 274
 
6.2%
Math Symbol 177
 
4.0%
Uppercase Letter 118
 
2.7%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e 389
12.5%
r 319
10.2%
t 295
9.4%
i 260
 
8.3%
d 236
 
7.6%
w 212
 
6.8%
u 203
 
6.5%
s 177
 
5.7%
o 177
 
5.7%
p 151
 
4.8%
Other values (9) 704
22.5%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7 53
19.3%
6 42
15.3%
9 32
11.7%
1 31
11.3%
3 28
10.2%
4 21
 
7.7%
0 19
 
6.9%
2 17
 
6.2%
8 16
 
5.8%
5 15
 
5.5%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36
33.3%
. 236
33.3%
& 118
16.7%
: 59
 
8.3%
? 59
 
8.3%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T 59
50.0%
V 35
29.7%
O 24
20.3%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177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Latin 3241
73.7%
Common 1159
 
26.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e 389
12.0%
r 319
 
9.8%
t 295
 
9.1%
i 260
 
8.0%
d 236
 
7.3%
w 212
 
6.5%
u 203
 
6.3%
s 177
 
5.5%
o 177
 
5.5%
p 151
 
4.7%
Other values (12) 822
25.4%
Common
ValueCountFrequency (%)
/ 236
20.4%
. 236
20.4%
= 177
15.3%
& 118
10.2%
: 59
 
5.1%
? 59
 
5.1%
7 53
 
4.6%
6 42
 
3.6%
9 32
 
2.8%
1 31
 
2.7%
Other values (6) 116
1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4400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e 389
 
8.8%
r 319
 
7.2%
t 295
 
6.7%
i 260
 
5.9%
d 236
 
5.4%
/ 236
 
5.4%
. 236
 
5.4%
w 212
 
4.8%
u 203
 
4.6%
s 177
 
4.0%
Other values (28) 1837
41.8%

Interactions

2023-12-12T12:23:23.68801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Correlations

2023-12-12T12:23:28.21060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분류2코드Data명제공 Data 형태제공 Data 설명URL
분류21.0000.3310.1680.0000.9051.000
코드0.3311.0000.8770.9120.9811.000
Data명0.1680.8771.0000.0000.9941.000
제공 Data 형태0.0000.9120.0001.0000.5611.000
제공 Data 설명0.9050.9810.9940.5611.0001.000
URL1.0001.0001.0001.0001.0001.000
2023-12-12T12:23:28.38358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분류2제공 Data 형태Data명
분류21.0000.0000.273
제공 Data 형태0.0001.0000.000
Data명0.2730.0001.000
2023-12-12T12:23:28.88781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코드분류2Data명제공 Data 형태
코드1.0000.1400.6690.711
분류20.1401.0000.2730.000
Data명0.6690.2731.0000.000
제공 Data 형태0.7110.0000.0001.000

Missing values

2023-12-12T12:23:23.84631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3-12-12T12:23:24.03327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Sample

분류1분류2코드Data명제공 Data 형태제공 Data 설명저작권URL
0용도별문양조명구22331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몸체의 중앙에 꽃문을 주문양으로 장식하였다. 등잔의 어깨 아래 부분에 큰 꽃잎이 위치하고 아래쪽에 줄기가 구부러져 있는 형태로 그렸으며, 줄기의 양쪽과 꽃잎의 주위로 잎을 배치하고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22331&reffer=use&sType=10
1용도별문양조명구23783원시문양2D 이미지파일(AI)파초형의 불후리는 긴 편이고, 그 가운데 박쥐문이 그 상-중-하에 있는데 가운데 박쥐문은 위와 아래에 비해 크기가 작다. 화선꼭지는 연꽃 형태이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23783&reffer=use&sType=10
2용도별문양조명구28786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꽃은 아름다운 것, 아름다운 여자, 아름답고 화려한 시절 등을 비유한다. 여러 가지 꽃의 형태를 나타낸 문양은 인간의 기원이나 바람이 소재 선택의 기준이 되고 있다. 꽃은 각 시대의 사회적 배경과 사조, 토착신앙이라든가 종교 등에 따라서 각기 특색을 나타내며 상징적인 뜻을 지닌다. 정확한 유래와 의미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도자나 회화 등 다양한 유물에 표현되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28786&reffer=use&sType=10
3용도별문양조명구32955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수(壽)자는 길상문자 중 하나로 장수를 상징한다. 예로부터 가장 보람되고 알찬 삶을 사는 것을 오복을 고루 갖추었다고 하는데 이 오복에 대해서는 상서(常書) 의「홍범(洪範)」편에, ‘복이란 첫째가 수(壽, 오래 삶), 둘째가 부(富, 재산이 많음), 셋째가 강녕(康寧, 건강하고 평안함), 넷째가 유호덕(攸好德, 인격을 갖춘 삶), 다섯째가 고종명(考終命, 천명을 다함)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선조들은 이러한 삶을 염원하는 마음에서 그 바람을 그림으로 표현하거나 문자를 문양으로 도안하여 생활 주변의 모든 기물에 구체화하여 베풀었던 것이다. 수자문은 건축을 비롯해 생활가구, 공예품 등 다양한 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32955&reffer=use&sType=10
4용도별문양조명구6308원시문양3D(WRL) 파일어두운 곳을 밝히기 위하여 불을 켜는데 필요한 도구 중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기름을 담아서 불을 켜는 등잔과 함께 쓰이는 도구이다. 등가(燈架)의 사용은 조선시대에 성행하였다. 조선이 불교를 억제하고 유교이념을 표방함에 따라 불교문화 속에서 만들어진 촛대와 제등(提燈) 같은 의식용 등기가 퇴보하고 조선특유의 간편하면서도 실용적인 등기가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이 유물은 통나무를 기계로 돌려서 깎아서 만들었다. 등가(燈架)의 원형 바닥은 두께가 있어 안정감이 있으며 바닥 가운데 세운 기둥의 중간에는 대나무 무늬를 넣어 변화를 주었다. 기둥의 상단에는 술잔이 올려져 있는 듯 한 모양의 깊이가 있는 등잔받침을 두었다. 대나무는 선비와 여인들의 굳은 절개와 지조를 나타내는 무늬이다. 매화, 난초, 국화와 함께 사군자의 하나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무늬이다. 추운 겨울에도 그 색이 변치 않고 생명을 유지하는 대나무는 장수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대나무는 불에 넣었을 때 탁탁탁 하면서 타오르는 소리가 귀신을 쫓는 소리라고 하여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식물이기도 하였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6308&reffer=use&sType=
5용도별문양조명구6754개별문양3D(WRL) 파일등가(燈架)의 원형 바닥은 두께가 있어 안정감이 있으며 바닥 가운데 세운 기둥의 중간에는 대나무 무늬를 넣어 변화를 주었다. 기둥의 상단에는 술잔이 올려져 있는 듯 한 모양의 깊이가 있는 등잔받침을 두었다. 대나무는 선비와 여인들의 굳은 절개와 지조를 나타내는 무늬이다. 매화, 난초, 국화와 함께 사군자의 하나로 많은 사랑을 받았던 무늬이다. 추운 겨울에도 그 색이 변치 않고 생명을 유지하는 대나무는 장수를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대나무는 불에 넣었을 때 탁탁탁 하면서 타오르는 소리가 귀신을 쫓는 소리라고 하여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식물이기도 하였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6754&reffer=shape&sType=
6용도별문양조명구7403원시문양3D(WRL) 파일등경은 등잔을 적당한 높이에 얹도록 한 기구로 어두운 곳을 밝히기 위하여 불을 켜는데 필요한 도구 중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기름을 담아서 불을 켜는 등잔과 함께 쓰인다. 나무로 만든 등경은 불을 밝히는 기구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또한 가장 많이 남아있다. 목제라는 재질의 특성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재 전하는 목제등경은 조선후기의 것이 많으며, 청동, 철, 놋쇠등경과는 달리 가정에서 직접 제작하기 쉬웠기 때문에 등경의 바닥이 원형, 사각형, 팔각형 등의 모습으로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이 목제 등경은 바닥에 2개의 곧은 대를 세우고 그 사이에 네모난 등잔받침을 끼워 넣은 가장 보편적인 등경의 형태이다. 2개의 대의 꼭대기는 영지버섯 모양으로 추정되는 형태로 장식되었다. 영지버섯은 일 년에 세 번 꽃이 피기 때문에 삼수(三秀)라 부르기도 한다. 옛사람들은 영지버섯을 서초(瑞草: 상서로운 풀) 또는 선초(仙草: 신선의 풀)라 부르기도 하였다. 사람들은 이것을 먹으면 기사회생하고 불로장생(不老長生)한다고 믿었는데, 이런 관념은 『사기(史記)』「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중 바다 가운데 삼신산에 있다는 불로초에 대한 관념과 관련이 깊다. 영지버섯은 그 모양이 여의(如意)를 닮았다고 하여 길상(吉祥)의 상징물로 널리 인식되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7403&reffer=use&sType=
7용도별문양조명구7473원시문양3D(WRL) 파일사자 얼굴 모양의 등잔 장식이다. 사자는 서방에서 들어와 천록(天祿)이나 벽사를 상징한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7473&reffer=use&sType=
8용도별문양조명구7508원시문양3D(WRL) 파일등경은 등잔을 적당한 높이에 얹도록 한 기구로 어두운 곳을 밝히기 위하여 불을 켜는데 필요한 도구 중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기름을 담아서 불을 켜는 등잔과 함께 쓰인다. 나무로 만든 등경은 불을 밝히는 기구들 중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또한 가장 많이 남아있다. 목제라는 재질의 특성상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재 전하는 목제등경은 조선후기의 것이 많으며, 청동, 철, 놋쇠등경과는 달리 가정에서 직접 제작하기 쉬웠기 때문에 등경의 바닥이 원형, 사각형, 팔각형 등의 모습으로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이 목제 등경은 기둥의 상단에 박쥐문양을 조각하였고 하단은 두 개로 나눠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하단의 불판은 윗부분을 무게 있게 받쳐주고 있으며 재떨이로 사용되기도 한 것 같다. 박쥐는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오복의 상징물로 사용된다. 박쥐는 길상문으로 많이 쓰이며, 강한 번식력 때문에 다산, 득남을 상징하기도 한다. 박쥐는 한자 표기 편복의 복이 복(福)과 같은 소리를 낸다고 해서 옛부터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박쥐 두 마리를 그린 문양은 쌍복을 의미하고 박쥐 다섯 마리를 그린 문양은 오복을 상징한다. 또 밤눈이 밝아 집을 지켜 주는 수호의 상징도 지닌다. 박쥐무늬는 사랑방 가구 보다는 안방 가구에 전체적으로 고루 나타나는데, 이것은 박쥐무늬가 갖는 의미와 박쥐 날개의 곡선을 이용한 독특한 표현이 그 장식미를 보다 높여주기 때문이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7508&reffer=use&sType=
9용도별문양조명구7534원시문양3D(WRL) 파일나무로 만든 등가로, 등가는 등잔을 올려놓는 받침대를 말한다. 등대(燈臺), 등경걸이라고도 부른다. 이 등가는 등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형태로서 기둥 위에 등잔을 얹을 수 있는 등잔걸이가 달려있다. 등가 받침대에는 거북이를 돋을새김하였다. 거북은 사령(四靈)과 사신(四神)에 포함되는 상서로운 동물로 여겨져 왔다. 거북은 바다 신의 수행원인 하백사자(河伯使者)이며 다양하게 변형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거북은 하신(河神)으로 묘사된다. 또 옛사람들은 거북이 주술적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 껍질을 불에 구워 트는 모양을 보고 미래의 길흉(吉凶)을 점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거북은 사방신(四方神)의 하나인 현무(玄武)로서 북방을 수호하는 방위신으로 신앙되기도 했고, 달의 화신과 수성(水性)과 천지 음양의 상징으로 보기도 했다. 또한 다른 동물보다 수명이 긴 생태적 속성에 기인하여 장수의 상징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옛사람들은 거북의 행태를 관찰하고 해석하여 등이 융기한 것은 하늘의 법을, 아래가 평평하고 네모난 것은 땅의 법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또한 거북은 여름에는 연꽃에 놀고 겨울에는 연뿌리에 숨는데 숨을 쉬면 검은 기운이 있어 연무 같고 이 연무를 내뿜어 환영의 궁전을 조성한다고 믿었다. 문양에 등장하는 거북의 모습을 보면 여기에서처럼 입으로 상서로운 기운(瑞氣)을 내뿜는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많은데, 이것은 신령한 동물 또는 상서의 징후를 상징하는 것이다. 때로 거북은 용의 머리와 같은 벽사귀면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Origin.do?did=7534&reffer=use&sType=
분류1분류2코드Data명제공 Data 형태제공 Data 설명저작권URL
49용도별문양조명구20353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나비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즐거움과 행복, 그리고 자유연애와 아름다운 것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특히 동양에서는 장자(莊子)의 ‘호접몽(胡蝶夢)’에서 연유하여 남녀 화합의 상징으로 여겨지는데, 장자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어 화궁(花宮) 속으로 날아다니며 달콤한 꿀을 빨아먹으면서 즐거움을 만끽한 데서 나비는 즐거움의 상징이 되었다고 한다. 특히 꽃에 날아드는 나비의 모습은 부부간의 화합과 자손의 번성의 염원하는 여인의 마음을 나타낸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20353&reffer=shape&sType=
50용도별문양조명구20370개별문양2D 이미지파일(AI)박쥐는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오복의 상징물로 사용된다. 박쥐는 길상문으로 많이 쓰이며, 강한 번식력 때문에 다산, 득남을 상징하기도 한다. 박쥐는 한자 표기 편복의 복이 복(福)과 같은 소리를 낸다고 해서 예로부터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박쥐 두 마리를 그린 문양은 쌍복을 의미하고 박쥐 다섯 마리를 그린 문양은 오복을 상징한다. 또 밤눈이 밝아 집을 지켜 주는 수호의 상징도 지닌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20370&reffer=shape&sType=
51용도별문양조명구,길상7905개별문양3D(WRL) 파일박쥐는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오복의 상징물로 사용된다. 박쥐는 길상문으로 많이 쓰이며, 강한 번식력 때문에 다산, 득남을 상징하기도 한다. 박쥐는 한자 표기 편복의 복이 복(福)과 같은 소리를 낸다고 해서 예로부터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박쥐 두 마리를 그린 문양은 쌍복을 의미하고 박쥐 다섯 마리를 그린 문양은 오복을 상징한다. 또 밤눈이 밝아 집을 지켜 주는 수호의 상징도 지닌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7905&reffer=shape&sType=
52용도별문양조명구,길상7908개별문양3D(WRL) 파일박쥐는 한자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오복의 상징물로 사용된다. 박쥐는 길상문으로 많이 쓰이며, 강한 번식력 때문에 다산, 득남을 상징하기도 한다. 박쥐는 한자 표기 편복의 복이 복(福)과 같은 소리를 낸다고 해서 옛부터 행복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박쥐 두 마리를 그린 문양은 쌍복을 의미하고 박쥐 다섯 마리를 그린 문양은 오복을 상징한다. 또 밤눈이 밝아 집을 지켜 주는 수호의 상징도 지닌다. 박쥐무늬는 사랑방 가구보다는 안방 가구에 전체적으로 고루 나타나는데, 이것은 박쥐무늬가 갖는 의미와 박쥐 날개의 곡선을 이용한 독특한 표현이 그 장식미를 보다 높여주기 때문이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7908&reffer=shape&sType=
53용도별문양조명구,길상8524개별문양3D(WRL) 파일영지버섯은 일 년에 세 번 꽃이 피기 때문에 삼수(三秀)라 부르기도 한다. 옛사람들은 영지버섯을 서초(瑞草: 상서로운 풀) 또는 선초(仙草: 신선의 풀)라 부르기도 하였다. 사람들은 이것을 먹으면 기사회생하고 불로장생(不老長生)한다고 믿었는데, 이런 관념은『사기(史記)』「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중 바다 가운데 삼신산에 있다는 불로초에 대한 관념과 관련이 깊다. 영지버섯은 그 모양이 여의(如意)를 닮았다고 하여 길상(吉祥)의 상징물로 널리 인식되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8524&reffer=shape&sType=
54용도별문양조명구,길상19634개별문양3D(WRL) 파일물결문은 장수와 풍년 그리고 조정(朝廷)을 상징한다. 물은 생명의 근원이면서 영구히 존재하기 때문에 장수를 의미하게 되었다. 또한 물은 농경사회에서 꼭 필요한 것으로 물결무늬에는 풍년을 기원하는 농민의 간절한 소망이 담겨져 있다. 또한 물결무늬는 복해(福海)를 상징하고, 물결 조(潮)와 조정을 의미하는 조(朝)가 발음이 비슷하여 조정을 상징하기도 한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34&reffer=shape&sType=
55용도별문양조명구,벽사19628개별문양3D(WRL) 파일사자(獅子)의 원래 명칭은 ‘산예’로 예로부터 고상하고 용기 있고 싸움 또한 잘하여 사람들로부터 백수의 왕으로 불려왔다. 민간에서는 나쁜 질병이나 잡귀를 내쫓는 벽사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28&reffer=shape&sType=
56용도별문양조명구,벽사19629개별문양3D(WRL) 파일사자(獅子)의 원래 명칭은 ‘산예’로 예로부터 고상하고 용기 있고 싸움 또한 잘하여 사람들로부터 백수의 왕으로 불려왔다. 민간에서는 나쁜 질병이나 잡귀를 내쫓는 벽사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29&reffer=shape&sType=
57용도별문양조명구,벽사19633개별문양3D(WRL) 파일거북은 사령(四靈)과 사신(四神)에 포함되는 상서로운 동물로 여겨져 왔다. 거북은 바다 신의 수행원인 하백사자(河伯使者)이며 다양하게 변형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거북은 하신(河神)으로 묘사된다. 또 옛사람들은 거북이 주술적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 껍질을 불에 구워 트는 모양을 보고 미래의 길흉(吉凶)을 점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거북은 사방신(四方神)의 하나인 현무(玄武)로서 북방을 수호하는 방위신으로 신앙되기도 했고, 달의 화신과 수성(水性)과 천지 음양의 상징으로 보기도 했다. 또한 다른 동물보다 수명이 긴 생태적 속성에 기인하여 장수의 상징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문양에 등장하는 거북의 모습을 보면 여기에서처럼 입으로 상서로운 기운[瑞氣]을 내뿜는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많은데, 이것은 신령한 동물 또는 상서의 징후를 상징하는 것이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33&reffer=shape&sType=
58용도별문양조명구,벽사19648개별문양3D(WRL) 파일사자(獅子)의 원래 명칭은 ‘산예’로 예로부터 고상하고 용기 있고 싸움 또한 잘하여 사람들로부터 백수의 왕으로 불려왔다. 민간에서는 나쁜 질병이나 잡귀를 내쫓는 벽사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이미지-저작권확보(저작권출처표시)http://www.culture.go.kr/tradition/useView.do?did=19648&reffer=shape&s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