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14
Number of observations24
Missing cells0
Missing cells (%)0.0%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2.8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117.5 B

Variable types

Text10
Categorical4

Dataset

Description경기도 평화누리길 출현 대표 조류 24종에 관한 설명자료로 학명, 외형, 크기, 관찰빈도 등 다수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Author경기관광공사
URLhttps://www.data.go.kr/data/15067369/fileData.do

Alerts

분류 has unique valuesUnique
서식지유형 has unique valuesUnique
번식지유형 has unique valuesUnique
먹이 has unique valuesUnique
외형 has unique valuesUnique
특이사항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3-12-12 04:28:46.388392
Analysis finished2023-12-12 04:28:48.076063
Duration1.69 second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코스
Text

Distinct12
Distinct (%)5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2023-12-12T13:28:48.18573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
Median length9
Mean length9.25
Min length9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22
Distinct characters18
Distinct categories3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평화누리길 1코스
2nd row평화누리길 1코스
3rd row평화누리길 2코스
4th row평화누리길 2코스
5th row평화누리길 3코스
ValueCountFrequency (%)
평화누리길 24
50.0%
1코스 2
 
4.2%
2코스 2
 
4.2%
3코스 2
 
4.2%
4코스 2
 
4.2%
5코스 2
 
4.2%
6코스 2
 
4.2%
7코스 2
 
4.2%
8코스 2
 
4.2%
9코스 2
 
4.2%
Other values (3) 6
 
12.5%
2023-12-12T13:28:48.56074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4
10.8%
24
10.8%
24
10.8%
24
10.8%
24
10.8%
24
10.8%
24
10.8%
24
10.8%
1 10
4.5%
2 4
 
1.8%
Other values (8) 16
7.2%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68
75.7%
Decimal Number 30
 
13.5%
Space Separator 24
 
10.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0
33.3%
2 4
 
13.3%
3 2
 
6.7%
4 2
 
6.7%
5 2
 
6.7%
6 2
 
6.7%
7 2
 
6.7%
8 2
 
6.7%
9 2
 
6.7%
0 2
 
6.7%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4
14.3%
24
14.3%
24
14.3%
24
14.3%
24
14.3%
24
14.3%
24
14.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4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68
75.7%
Common 54
 
24.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4
44.4%
1 10
18.5%
2 4
 
7.4%
3 2
 
3.7%
4 2
 
3.7%
5 2
 
3.7%
6 2
 
3.7%
7 2
 
3.7%
8 2
 
3.7%
9 2
 
3.7%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4
14.3%
24
14.3%
24
14.3%
24
14.3%
24
14.3%
24
14.3%
24
14.3%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68
75.7%
ASCII 54
 
24.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4
14.3%
24
14.3%
24
14.3%
24
14.3%
24
14.3%
24
14.3%
24
14.3%
ASCII
ValueCountFrequency (%)
24
44.4%
1 10
18.5%
2 4
 
7.4%
3 2
 
3.7%
4 2
 
3.7%
5 2
 
3.7%
6 2
 
3.7%
7 2
 
3.7%
8 2
 
3.7%
9 2
 
3.7%

지역
Categorical

Distinct4
Distinct (%)16.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파주
김포
연천
고양

Length

Max length2
Median length2
Mean length2
Min length2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김포
2nd row김포
3rd row김포
4th row김포
5th row김포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파주 8
33.3%
김포 6
25.0%
연천 6
25.0%
고양 4
16.7%

Length

2023-12-12T13:28:48.73619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3:28:48.86313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파주 8
33.3%
김포 6
25.0%
연천 6
25.0%
고양 4
16.7%

분류
Text

UNIQUE 

Distinct24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2023-12-12T13:28:49.20217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6
Median length20.5
Mean length18.125
Min length1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435
Distinct characters79
Distinct categories2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4 ?
Unique (%)100.0%

Sample

1st row뻐꾸기목 뻐꾸기과 뻐꾸기속 검은등뻐꾸기
2nd row참새목 직박구리과 직박구리속 직박구리
3rd row도요목 도요과 마도요속 마도요
4th row올빼미목 올빼미과 수리부엉이속 수리부엉이
5th row참새목 찌르레기과 찌르레기속 찌르레기
ValueCountFrequency (%)
참새목 11
 
11.5%
파랑새목 2
 
2.1%
사다새목 2
 
2.1%
오리과 2
 
2.1%
기러기목 2
 
2.1%
되새과 2
 
2.1%
뻐꾸기목 1
 
1.0%
황조롱이 1
 
1.0%
비오리 1
 
1.0%
비오리속 1
 
1.0%
Other values (71) 71
74.0%
2023-12-12T13:28:49.72955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72
 
16.6%
36
 
8.3%
24
 
5.5%
24
 
5.5%
24
 
5.5%
18
 
4.1%
16
 
3.7%
11
 
2.5%
9
 
2.1%
7
 
1.6%
Other values (69) 194
44.6%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363
83.4%
Space Separator 72
 
16.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36
 
9.9%
24
 
6.6%
24
 
6.6%
24
 
6.6%
18
 
5.0%
16
 
4.4%
11
 
3.0%
9
 
2.5%
7
 
1.9%
7
 
1.9%
Other values (68) 187
51.5%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7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363
83.4%
Common 72
 
16.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6
 
9.9%
24
 
6.6%
24
 
6.6%
24
 
6.6%
18
 
5.0%
16
 
4.4%
11
 
3.0%
9
 
2.5%
7
 
1.9%
7
 
1.9%
Other values (68) 187
51.5%
Common
ValueCountFrequency (%)
72
10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363
83.4%
ASCII 72
 
16.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72
100.0%
Hangul
ValueCountFrequency (%)
36
 
9.9%
24
 
6.6%
24
 
6.6%
24
 
6.6%
18
 
5.0%
16
 
4.4%
11
 
3.0%
9
 
2.5%
7
 
1.9%
7
 
1.9%
Other values (68) 187
51.5%

학명
Text

Distinct23
Distinct (%)95.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2023-12-12T13:28:50.04514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9
Median length23
Mean length20.416667
Min length1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490
Distinct characters37
Distinct categories4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1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2 ?
Unique (%)91.7%

Sample

1st rowCuculus micropterus
2nd rowMicroscelis amaurotis
3rd rowNumenius arquata
4th rowMicroscelis amaurotis
5th rowSturnus cineraceus
ValueCountFrequency (%)
pallas 3
 
5.2%
microscelis 2
 
3.4%
coccothraustes 2
 
3.4%
l 2
 
3.4%
linnaeus 2
 
3.4%
amaurotis 2
 
3.4%
naumanni 1
 
1.7%
turdus 1
 
1.7%
eurystomus 1
 
1.7%
cuculus 1
 
1.7%
Other values (41) 41
70.7%
2023-12-12T13:28:50.54235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a 58
11.8%
s 43
 
8.8%
u 41
 
8.4%
r 37
 
7.6%
37
 
7.6%
i 32
 
6.5%
c 29
 
5.9%
o 28
 
5.7%
n 26
 
5.3%
e 26
 
5.3%
Other values (27) 133
27.1%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Lowercase Letter 414
84.5%
Space Separator 37
 
7.6%
Uppercase Letter 33
 
6.7%
Other Punctuation 6
 
1.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a 58
14.0%
s 43
10.4%
u 41
9.9%
r 37
8.9%
i 32
7.7%
c 29
7.0%
o 28
6.8%
n 26
 
6.3%
e 26
 
6.3%
l 25
 
6.0%
Other values (12) 69
16.7%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P 6
18.2%
L 5
15.2%
M 5
15.2%
C 4
12.1%
A 2
 
6.1%
S 2
 
6.1%
T 2
 
6.1%
G 2
 
6.1%
O 1
 
3.0%
H 1
 
3.0%
Other values (3) 3
9.1%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37
100.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6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Latin 447
91.2%
Common 43
 
8.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Latin
ValueCountFrequency (%)
a 58
13.0%
s 43
9.6%
u 41
9.2%
r 37
 
8.3%
i 32
 
7.2%
c 29
 
6.5%
o 28
 
6.3%
n 26
 
5.8%
e 26
 
5.8%
l 25
 
5.6%
Other values (25) 102
22.8%
Common
ValueCountFrequency (%)
37
86.0%
. 6
 
14.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490
100.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a 58
11.8%
s 43
 
8.8%
u 41
 
8.4%
r 37
 
7.6%
37
 
7.6%
i 32
 
6.5%
c 29
 
5.9%
o 28
 
5.7%
n 26
 
5.3%
e 26
 
5.3%
Other values (27) 133
27.1%

도래현황
Categorical

Distinct4
Distinct (%)16.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텃새
여름철새
겨울철새
나그네새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3.25
Min length2

Unique

Unique1 ?
Unique (%)4.2%

Sample

1st row여름철새
2nd row텃새
3rd row나그네새
4th row텃새
5th row여름철새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텃새 9
37.5%
여름철새 8
33.3%
겨울철새 6
25.0%
나그네새 1
 
4.2%

Length

2023-12-12T13:28:50.75722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3:28:50.95920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텃새 9
37.5%
여름철새 8
33.3%
겨울철새 6
25.0%
나그네새 1
 
4.2%

관찰빈도
Categorical

Distinct5
Distinct (%)20.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흔함
15 
흔하지 않음
아주 흔함
드묾
희귀
 
1

Length

Max length6
Median length2
Mean length2.875
Min length2

Unique

Unique1 ?
Unique (%)4.2%

Sample

1st row흔하지 않음
2nd row아주 흔함
3rd row흔함
4th row흔하지 않음
5th row흔함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흔함 15
62.5%
흔하지 않음 3
 
12.5%
아주 흔함 3
 
12.5%
드묾 2
 
8.3%
희귀 1
 
4.2%

Length

2023-12-12T13:28:51.12994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3:28:51.29799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흔함 18
60.0%
흔하지 3
 
10.0%
않음 3
 
10.0%
아주 3
 
10.0%
드묾 2
 
6.7%
희귀 1
 
3.3%

서식지유형
Text

UNIQUE 

Distinct24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2023-12-12T13:28:51.54914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8
Median length15
Mean length12.25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94
Distinct characters65
Distinct categories3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4 ?
Unique (%)100.0%

Sample

1st row숲속
2nd row나무와 숲이 있는 곳
3rd row갯벌 하구
4th row삼림
5th row농경지나 인가 근처, 공원, 정원
ValueCountFrequency (%)
농경지 7
 
8.5%
하천 6
 
7.3%
호수 4
 
4.9%
4
 
4.9%
정원 3
 
3.7%
하구 3
 
3.7%
3
 
3.7%
저수지 2
 
2.4%
2
 
2.4%
습지 2
 
2.4%
Other values (39) 46
56.1%
2023-12-12T13:28:51.94454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8
19.7%
, 31
 
10.5%
17
 
5.8%
12
 
4.1%
12
 
4.1%
10
 
3.4%
10
 
3.4%
10
 
3.4%
8
 
2.7%
7
 
2.4%
Other values (55) 119
40.5%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204
69.4%
Space Separator 58
 
19.7%
Other Punctuation 32
 
10.9%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7
 
8.3%
12
 
5.9%
12
 
5.9%
10
 
4.9%
10
 
4.9%
10
 
4.9%
8
 
3.9%
7
 
3.4%
7
 
3.4%
6
 
2.9%
Other values (52) 105
51.5%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1
96.9%
· 1
 
3.1%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58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04
69.4%
Common 90
30.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7
 
8.3%
12
 
5.9%
12
 
5.9%
10
 
4.9%
10
 
4.9%
10
 
4.9%
8
 
3.9%
7
 
3.4%
7
 
3.4%
6
 
2.9%
Other values (52) 105
51.5%
Common
ValueCountFrequency (%)
58
64.4%
, 31
34.4%
· 1
 
1.1%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04
69.4%
ASCII 89
30.3%
None 1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58
65.2%
, 31
34.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7
 
8.3%
12
 
5.9%
12
 
5.9%
10
 
4.9%
10
 
4.9%
10
 
4.9%
8
 
3.9%
7
 
3.4%
7
 
3.4%
6
 
2.9%
Other values (52) 105
51.5%
None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번식지유형
Text

UNIQUE 

Distinct24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2023-12-12T13:28:52.19399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6
Median length12.5
Mean length9.7083333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33
Distinct characters77
Distinct categories3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4 ?
Unique (%)100.0%

Sample

1st row숲속
2nd row야산이나 숲 가장자리
3rd row초지
4th row암벽, 바위산
5th row나무구멍이나 돌 틈, 기와 밑
ValueCountFrequency (%)
야산 3
 
4.5%
야산이나 3
 
4.5%
호수 3
 
4.5%
2
 
3.0%
무인도서 2
 
3.0%
낮은 2
 
3.0%
구릉 2
 
3.0%
2
 
3.0%
삼림 2
 
3.0%
숲속 1
 
1.5%
Other values (44) 44
66.7%
2023-12-12T13:28:52.63140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42
 
18.0%
, 16
 
6.9%
13
 
5.6%
9
 
3.9%
8
 
3.4%
7
 
3.0%
6
 
2.6%
6
 
2.6%
6
 
2.6%
6
 
2.6%
Other values (67) 114
48.9%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74
74.7%
Space Separator 42
 
18.0%
Other Punctuation 17
 
7.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3
 
7.5%
9
 
5.2%
8
 
4.6%
7
 
4.0%
6
 
3.4%
6
 
3.4%
6
 
3.4%
6
 
3.4%
5
 
2.9%
5
 
2.9%
Other values (64) 103
59.2%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6
94.1%
· 1
 
5.9%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4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74
74.7%
Common 59
 
25.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3
 
7.5%
9
 
5.2%
8
 
4.6%
7
 
4.0%
6
 
3.4%
6
 
3.4%
6
 
3.4%
6
 
3.4%
5
 
2.9%
5
 
2.9%
Other values (64) 103
59.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42
71.2%
, 16
 
27.1%
· 1
 
1.7%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74
74.7%
ASCII 58
 
24.9%
None 1
 
0.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42
72.4%
, 16
 
27.6%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3
 
7.5%
9
 
5.2%
8
 
4.6%
7
 
4.0%
6
 
3.4%
6
 
3.4%
6
 
3.4%
6
 
3.4%
5
 
2.9%
5
 
2.9%
Other values (64) 103
59.2%
None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주요종
Categorical

Distinct8
Distinct (%)33.3%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IUCN-LC
17 
IUCN-NT(준위협)
 
1
멸종위기-멸종위기2급천연기념물-제324-2호IUCN-LCCITES-CITES 2급
 
1
천연기념물-제205-1호멸종위기-멸종위기1급IUCN-EN
 
1
멸종위기-멸종위기2급IUCN-LC
 
1
Other values (3)

Length

Max length45
Median length7
Mean length13.166667
Min length7

Unique

Unique7 ?
Unique (%)29.2%

Sample

1st rowIUCN-LC
2nd rowIUCN-LC
3rd rowIUCN-NT(준위협)
4th row멸종위기-멸종위기2급천연기념물-제324-2호IUCN-LCCITES-CITES 2급
5th rowIUCN-LC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IUCN-LC 17
70.8%
IUCN-NT(준위협) 1
 
4.2%
멸종위기-멸종위기2급천연기념물-제324-2호IUCN-LCCITES-CITES 2급 1
 
4.2%
천연기념물-제205-1호멸종위기-멸종위기1급IUCN-EN 1
 
4.2%
멸종위기-멸종위기2급IUCN-LC 1
 
4.2%
서울시 보호 야생 생물 대상종 1
 
4.2%
천연기념물-제323-9호IUCN-LCCITES-CITES2급 1
 
4.2%
멸종위기-멸종위기2급천연기념물-제203호IUCN-VUCITES-CITES1급 1
 
4.2%

Length

2023-12-12T13:28:52.78025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2T13:28:52.90440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iucn-lc 17
58.6%
iucn-nt(준위협 1
 
3.4%
멸종위기-멸종위기2급천연기념물-제324-2호iucn-lccites-cites 1
 
3.4%
2급 1
 
3.4%
천연기념물-제205-1호멸종위기-멸종위기1급iucn-en 1
 
3.4%
멸종위기-멸종위기2급iucn-lc 1
 
3.4%
서울시 1
 
3.4%
보호 1
 
3.4%
야생 1
 
3.4%
생물 1
 
3.4%
Other values (3) 3
 
10.3%

크기
Text

Distinct23
Distinct (%)95.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2023-12-12T13:28:53.08289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30
Median length29
Mean length23.666667
Min length1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568
Distinct characters24
Distinct categories8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2 ?
Unique (%)91.7%

Sample

1st row전체길이(L) : 33㎝
2nd row전체길이(L) : 28㎝ / 날개길이(W) : 13㎝
3rd row전체길이(L) : 58㎝ / 날개길이(W) : 30㎝
4th row전체길이(L) : 66㎝ / 날개길이(W) : 45㎝
5th row전체길이(L) : 24㎝
ValueCountFrequency (%)
55
40.7%
전체길이(l 24
17.8%
날개길이(w 16
 
11.9%
33㎝ 3
 
2.2%
14㎝ 3
 
2.2%
8㎝ 2
 
1.5%
27㎝ 2
 
1.5%
90㎝ 2
 
1.5%
24㎝ 2
 
1.5%
30㎝ 2
 
1.5%
Other values (22) 24
17.8%
2023-12-12T13:28:53.46373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13
19.9%
40
 
7.0%
40
 
7.0%
( 40
 
7.0%
) 40
 
7.0%
: 40
 
7.0%
40
 
7.0%
24
 
4.2%
L 24
 
4.2%
24
 
4.2%
Other values (14) 143
25.2%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60
28.2%
Space Separator 113
19.9%
Decimal Number 79
13.9%
Other Punctuation 56
 
9.9%
Open Punctuation 40
 
7.0%
Close Punctuation 40
 
7.0%
Other Symbol 40
 
7.0%
Uppercase Letter 40
 
7.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3 16
20.3%
2 12
15.2%
1 9
11.4%
4 8
10.1%
8 8
10.1%
7 7
8.9%
0 6
 
7.6%
5 6
 
7.6%
6 5
 
6.3%
9 2
 
2.5%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40
25.0%
40
25.0%
24
15.0%
24
15.0%
16
 
10.0%
16
 
10.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0
71.4%
/ 16
 
28.6%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L 24
60.0%
W 16
4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13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0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40
10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40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Common 368
64.8%
Hangul 160
28.2%
Latin 40
 
7.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13
30.7%
( 40
 
10.9%
) 40
 
10.9%
: 40
 
10.9%
40
 
10.9%
3 16
 
4.3%
/ 16
 
4.3%
2 12
 
3.3%
1 9
 
2.4%
4 8
 
2.2%
Other values (6) 34
 
9.2%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0
25.0%
40
25.0%
24
15.0%
24
15.0%
16
 
10.0%
16
 
10.0%
Latin
ValueCountFrequency (%)
L 24
60.0%
W 16
4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368
64.8%
Hangul 160
28.2%
CJK Compat 40
 
7.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13
30.7%
( 40
 
10.9%
) 40
 
10.9%
: 40
 
10.9%
L 24
 
6.5%
W 16
 
4.3%
3 16
 
4.3%
/ 16
 
4.3%
2 12
 
3.3%
1 9
 
2.4%
Other values (7) 42
 
11.4%
Hangul
ValueCountFrequency (%)
40
25.0%
40
25.0%
24
15.0%
24
15.0%
16
 
10.0%
16
 
1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40
100.0%
Distinct21
Distinct (%)87.5%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2023-12-12T13:28:53.76862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5
Median length15.5
Mean length11.958333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287
Distinct characters58
Distinct categories7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8 ?
Unique (%)75.0%

Sample

1st row단독
2nd row무리(까치를 공격할 때가 있음)
3rd row쌍-수십~수백의 혼성 집단
4th row쌍으로 또는 단독으로 생활
5th row수십 마리~수백 마리씩 큰 무리를 이루어 월동
ValueCountFrequency (%)
또는 8
 
10.1%
생활 8
 
10.1%
쌍으로 7
 
8.9%
5
 
6.3%
단독으로 4
 
5.1%
다님 3
 
3.8%
집단으로 3
 
3.8%
행동 3
 
3.8%
혼성 3
 
3.8%
다니거나 2
 
2.5%
Other values (28) 33
41.8%
2023-12-12T13:28:54.19059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56
19.5%
19
 
6.6%
17
 
5.9%
15
 
5.2%
14
 
4.9%
11
 
3.8%
10
 
3.5%
10
 
3.5%
9
 
3.1%
9
 
3.1%
Other values (48) 117
40.8%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218
76.0%
Space Separator 56
 
19.5%
Open Punctuation 3
 
1.0%
Close Punctuation 3
 
1.0%
Math Symbol 3
 
1.0%
Dash Punctuation 3
 
1.0%
Other Punctuation 1
 
0.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9
 
8.7%
17
 
7.8%
15
 
6.9%
14
 
6.4%
11
 
5.0%
10
 
4.6%
10
 
4.6%
9
 
4.1%
9
 
4.1%
8
 
3.7%
Other values (42) 96
44.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56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18
76.0%
Common 69
 
24.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9
 
8.7%
17
 
7.8%
15
 
6.9%
14
 
6.4%
11
 
5.0%
10
 
4.6%
10
 
4.6%
9
 
4.1%
9
 
4.1%
8
 
3.7%
Other values (42) 96
44.0%
Common
ValueCountFrequency (%)
56
81.2%
( 3
 
4.3%
) 3
 
4.3%
~ 3
 
4.3%
- 3
 
4.3%
, 1
 
1.4%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18
76.0%
ASCII 69
 
24.0%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56
81.2%
( 3
 
4.3%
) 3
 
4.3%
~ 3
 
4.3%
- 3
 
4.3%
, 1
 
1.4%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9
 
8.7%
17
 
7.8%
15
 
6.9%
14
 
6.4%
11
 
5.0%
10
 
4.6%
10
 
4.6%
9
 
4.1%
9
 
4.1%
8
 
3.7%
Other values (42) 96
44.0%

먹이
Text

UNIQUE 

Distinct24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2023-12-12T13:28:54.56025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50
Median length27.5
Mean length24.541667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589
Distinct characters120
Distinct categories5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3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4 ?
Unique (%)100.0%

Sample

1st row주로 곤충류를 사냥함
2nd row곤충, 거미, 꽃의 꿀, 나무 열매 등
3rd row갑각류, 연체동물(조개류), 곤충의 유충 등
4th row멧토끼, 쥐, 꿩, 오리, 개구리, 뱀, 곤충 등
5th row곤충, 지렁이, 개구리, 달팽이, 작은 설치류, 나무열매 등
ValueCountFrequency (%)
12
 
7.9%
곤충 11
 
7.2%
거미 6
 
3.9%
씨앗 6
 
3.9%
열매 6
 
3.9%
개구리 5
 
3.3%
물고기 5
 
3.3%
어류 4
 
2.6%
식물의 4
 
2.6%
갑각류 3
 
2.0%
Other values (72) 90
59.2%
2023-12-12T13:28:55.11493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28
21.7%
, 77
 
13.1%
20
 
3.4%
19
 
3.2%
19
 
3.2%
18
 
3.1%
12
 
2.0%
11
 
1.9%
11
 
1.9%
10
 
1.7%
Other values (110) 264
44.8%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381
64.7%
Space Separator 128
 
21.7%
Other Punctuation 78
 
13.2%
Open Punctuation 1
 
0.2%
Close Punctuation 1
 
0.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0
 
5.2%
19
 
5.0%
19
 
5.0%
18
 
4.7%
12
 
3.1%
11
 
2.9%
11
 
2.9%
10
 
2.6%
9
 
2.4%
9
 
2.4%
Other values (105) 243
63.8%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77
98.7%
· 1
 
1.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28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381
64.7%
Common 208
35.3%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0
 
5.2%
19
 
5.0%
19
 
5.0%
18
 
4.7%
12
 
3.1%
11
 
2.9%
11
 
2.9%
10
 
2.6%
9
 
2.4%
9
 
2.4%
Other values (105) 243
63.8%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28
61.5%
, 77
37.0%
( 1
 
0.5%
) 1
 
0.5%
· 1
 
0.5%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381
64.7%
ASCII 207
35.1%
None 1
 
0.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28
61.8%
, 77
37.2%
( 1
 
0.5%
) 1
 
0.5%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0
 
5.2%
19
 
5.0%
19
 
5.0%
18
 
4.7%
12
 
3.1%
11
 
2.9%
11
 
2.9%
10
 
2.6%
9
 
2.4%
9
 
2.4%
Other values (105) 243
63.8%
None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외형
Text

UNIQUE 

Distinct24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2023-12-12T13:28:55.67385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425
Median length240.5
Mean length243.95833
Min length89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5855
Distinct characters412
Distinct categories8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5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4 ?
Unique (%)100.0%

Sample

1st row※수컷 머리는 회색이며 등과 날개 윗면은 적갈색 바탕에 검은색의 반점이 있음.※수컷 아랫면은 황색 빛이 도는 흰색으로 검은색 반점이 있고, 날개는 검은색으로 끝이 뾰족함 ※암컷은 적갈색, 흑갈색의 가는 줄무늬 7~8개, 꼬리끝 직선형이나 암ㆍ수 구별이 어려움※머리/등은 뻐꾸기와 비슷한 청회색이나 몸 윗면과 날개는 흑갈색으로 뻐꾸기, 벙어리뻐꾸기보다 갈색 기운이 강함
2nd row※머리와 등, 가슴은 청회색이며 날개와 꼬리는 회갈색으로 암ㆍ수 구분이 안됨※눈 뒷부분에 갈색 반점이 있고, 가슴과 배에는 흰색의 반점이 있음※아래꼬리덮깃은 청회색 바탕에 흰색 비늘무늬가 있고 날개는 짧고 둥글게 생겼음
3rd row※동남아, 오세아니아 등에서 겨울을 나고 번식지인 시베리아 등으로 향하다가 봄철에 잠시 들렀다 가고, 가을철에는 겨울을 나기 위해 반대 코스를 향하다 잠시 들렀다 가는 새임※전체적으로 황갈색 바탕에 흑갈색 얼룩무늬가 있음. 아랫배와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임※부리는 끝이 검은 주황색이며, 길게 아래로 휘어 있고, 머리 폭의 3배 정도의 길이임※암수 같은 빛깔이며, 부리와 다리가 길고, 몸 전체가 회갈색으로 배의 아랫부분은 흰색이며, 날고 있을 때 허리에서 꼬리까지 흰색이 뚜렷하게 보임※유사종인 알락꼬리마도요는 배의 아랫부분과 허리가 갈색이며, 해안의 갯벌, 하구에 살며 철새 또는 겨울철새로 주로 3~6월, 8~9월에 해안, 호안의 갯벌이나 수변에서 걸어 다니면서 먹이를 잡는 것이 관찰됨※갯벌에 긴 부리를 넣고 갑각류 및 소형 수서무척추동물을 잡아먹음
4th row※매년 번식했던 장소를 다시 이용하며, 몸 전체가 나뭇가지 및 줄기 등과 유사한 보호색을 띄고 있어 움직이지 않으면 육안으로 쉽게 찾을 수 없음※올빼미과 조류 중 몸이 가장 크고 암ㆍ수 전체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과 암갈색 세로줄무늬가 있음※가슴과 배의 세로 줄무늬는 아래로 내려 갈수록 좁아짐. 머리에는 귀처럼 보이는 귀깃이 있음 ※눈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을 띠며, 발목과 발가락에도 털이 있음 ※발가락은 앞뒤로 2개씩이며 날카로운 발톱이 있으며, 암ㆍ수 구분이 어렵고 암컷이 조금 큼
5th row※암ㆍ수 구분이 어려우나 수컷의 머리와 뒷목은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등, 어깨, 허리 윗부분은 갈색을 띤 잿빛임. 암컷의 경우, 수컷에 비해 머리는 갈색빛이 나며, 멱과 가슴은 잿빛을 띤 갈색임. 전체적으로 수컷에 비해 옅은 색을 띠고 있음※머리와 가슴은 암회색이며, 눈 주위, 이마, 뺨은 흰색임※등과 날개는 회색, 가슴과 옆구리는 연한 회색이며, 허리와 아래꼬리덮깃은 회백색으로 되어 있음※부리는 밝은 주황색으로 끝이 검고, 길고 뾰족하며, 아래로 약간 구부러짐
ValueCountFrequency (%)
있음 13
 
0.9%
검은색 13
 
0.9%
있고 12
 
0.9%
11
 
0.8%
다리는 11
 
0.8%
꼬리는 9
 
0.6%
등과 9
 
0.6%
가슴과 9
 
0.6%
9
 
0.6%
날개는 9
 
0.6%
Other values (856) 1282
92.4%
2023-12-12T13:28:56.43687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370
23.4%
219
 
3.7%
163
 
2.8%
154
 
2.6%
153
 
2.6%
, 150
 
2.6%
141
 
2.4%
95
 
1.6%
92
 
1.6%
80
 
1.4%
Other values (402) 3238
55.3%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4171
71.2%
Space Separator 1370
 
23.4%
Other Punctuation 278
 
4.7%
Decimal Number 25
 
0.4%
Math Symbol 6
 
0.1%
Lowercase Letter 3
 
0.1%
Open Punctuation 1
 
< 0.1%
Close Punctuation 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19
 
5.3%
163
 
3.9%
154
 
3.7%
153
 
3.7%
141
 
3.4%
95
 
2.3%
80
 
1.9%
77
 
1.8%
74
 
1.8%
69
 
1.7%
Other values (381) 2946
70.6%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3 5
20.0%
0 4
16.0%
5 3
12.0%
2 3
12.0%
1 2
 
8.0%
8 2
 
8.0%
7 2
 
8.0%
9 2
 
8.0%
6 1
 
4.0%
4 1
 
4.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50
54.0%
92
33.1%
. 33
 
11.9%
· 2
 
0.7%
/ 1
 
0.4%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2
66.7%
c 1
33.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370
10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6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171
71.2%
Common 1681
28.7%
Latin 3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19
 
5.3%
163
 
3.9%
154
 
3.7%
153
 
3.7%
141
 
3.4%
95
 
2.3%
80
 
1.9%
77
 
1.8%
74
 
1.8%
69
 
1.7%
Other values (381) 2946
70.6%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370
81.5%
, 150
 
8.9%
92
 
5.5%
. 33
 
2.0%
~ 6
 
0.4%
3 5
 
0.3%
0 4
 
0.2%
5 3
 
0.2%
2 3
 
0.2%
1 2
 
0.1%
Other values (9) 13
 
0.8%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2
66.7%
c 1
33.3%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4166
71.2%
ASCII 1590
 
27.2%
Punctuation 92
 
1.6%
Compat Jamo 5
 
0.1%
None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370
86.2%
, 150
 
9.4%
. 33
 
2.1%
~ 6
 
0.4%
3 5
 
0.3%
0 4
 
0.3%
5 3
 
0.2%
2 3
 
0.2%
m 2
 
0.1%
1 2
 
0.1%
Other values (9) 12
 
0.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19
 
5.3%
163
 
3.9%
154
 
3.7%
153
 
3.7%
141
 
3.4%
95
 
2.3%
80
 
1.9%
77
 
1.8%
74
 
1.8%
69
 
1.7%
Other values (380) 2941
70.6%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92
100.0%
Compat Jamo
ValueCountFrequency (%)
5
100.0%
None
ValueCountFrequency (%)
· 2
100.0%

특이사항
Text

UNIQUE 

Distinct24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24.0 B
2023-12-12T13:28:56.96053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828
Median length487.5
Mean length503.16667
Min length189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2076
Distinct characters703
Distinct categories14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7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4 ?
Unique (%)100.0%

Sample

1st row※육안으로 식별하기는 어려우나 여름철 울음소리는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음※'카, 카, 카, 코-' 네 음절로 앞 세 음절은 음정이 같고, 마지막 음절은 뚝 떨어짐※예로부터 사람들은 이 울음소리를 '첫차 타고 막차 타고', '혼자 살꼬 둘이 살꼬', '작작 먹어 그만 먹어' 등 여러 의미로 번역하기도 하였으며, 대중적인 것은 '홀딱벗고' 설화가 있음※옛날 옛적 한 젊은 스님이 절에 기도하러 올라온 한 과부에게 그만 마음을 빼앗기게 되어 번뇌를 벗어버리기 위해 스님은 주문을 외며 스스로를 다그쳤는데, 사랑도 홀딱 벗고, 번뇌도 홀딱 벗고, 미련도 홀딱 벗고…. 하지만 한번 일어난 정념은 가라앉지 않았고, 스님은 끝내 마음의 병을 얻어 세상을 뜨게 되고, 나중에 검은등뻐꾸기로 환생하여 후생들에게 나를 거울삼아 용맹정진하라고 목이 쉬도록 '홀딱 벗고' 하며 울어댄다는 설화임※예로부터 검은등뻐꾸기가 울면 보리가 여물어 거둘 때가 되었음을 알았다고 함. 늘 배가 고팠던 민초들에겐 지긋지긋한 보릿고개를 넘었음을 알리는 기쁜 소리이기도하여 보리새라는 명칭으로 불렸음
2nd row※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는 흔한 텃새이며, 한국, 일본, 타이완 및 필리핀 등에서 번식함※2000년대 이후 개체수가 많이 증가하였으며 산림에서 가장 시끄러운 새 중의 하나임※울음소리는 ‘삐-잇, 삐-잇, 삐비빗, 삑, 삑, 삐삑, 삣, 삣’ 하며 시끄럽게 울어 쉽게 찾을 수 있음※주로 나무에서 생활하며, 땅에 거의 내려오지 않고, 여름은 암수 함께 겨울은 무리로 생활함※약 24과 53종의 식물 열매를 먹음. 봄에는 식물의 꽃을 따먹고, 여름에는 곤충을 잡아먹음※다양한 열매 섭취 후 300m이상 이동함으로써 종자확산 및 산림확장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조류임※가을철 과수농가의 배, 사과, 감 등에 피해를 주기도 해 과수원 유해조류로 알려져 있음※잎 많은 나무의 작은 가지, 식물 줄기, 버린 줄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 밥그릇 모양 둥지를 만듦※한번 낳을 때 4~5개 알을 놓고, 암컷이 품고, 기간은 13~14일, 부화 후 10~11일이면 둥지를 떠남※갓 부화한 새끼에게 달팽이, 매미, 개구리, 나방 등 곤충 및 양서류 등을 먹임※영역권 다툼이나 동료를 부를 때 소리는 매우 시끄러우며, 비행 시 한 마리가 울기 시작하면 다른 개체도 울면서 모여듦. 예로부터 이러한 울음소리를 바탕으로 ‘훌우룩 빗죽새’라고도 불렀음※직박구리 학명은 ‘높이 난다’라는 뜻이며 실제로 다른 참새목 조류에 비해 높은 곳에서 비행함 동박새와 마찬가지로 동백꽃이 피는 봄에는 직박구리가 부리에 노란 꽃가루를 묻히고 나뭇가지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날고 있는 곤충을 쫒아가서 잡아먹기도 함※겨울철 먹이가 부족할 때 인공 먹이대에 먹이를 제공하면 제일 먼저 와서 먹고 가는 조류임
3rd row※암ㆍ수 구별이 어려우며, 알락꼬리마도요의 경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음※지구상 생존집단의 12% 이상이 인천ㆍ경기도 등지의 갯벌에 중간기착하며, 세계적 희귀조류인 청다리도요사촌과 넓적부리도요의 정기적 중간 도래지이다. 그러나 도시개발 및 수도권매립지 건설 등으로 먹이터와 서식처 파괴가 되고 있어 해마다 개체수가 감소되고 있는 실정임
4th row※멸종위기 야생생물 동물로 지정되어 있음 - 1998년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및 보호 야생동·식물 지정 - 2005년, 2012년, 2017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지정※국가적색목록 평가는 취약(VU)으로 되어있으며, IUCN 범주에는 최소관심(LC)로 분류되어 있음※야행성이지만 낮에도 활동하며, 둥지를 만들지 않고 암벽의 선반처럼 생긴 곳, 바위의 평평한 곳, 바위틈 사이에 2~3개의 흰색 알을 낳고, 암컷이 알을 품고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공급함※CITES(사이테스)의 개념 -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 flora) - 1973년 3월 3일 워싱턴에서 협약되었고, 우리나라는 1993년 7월 9일 협약에 가입하였음 - 국제 멸종위기종(CITES)은 멸종위기 정도에 따라 3개 등급으로 분류(Ⅰ급, Ⅱ급, Ⅲ급) -Ⅰ급 종은 학술·연구 목적의 거래만 가능하며, Ⅱ급과 Ⅲ급의 경우, 환경부에 허가·신고 후 상업 목적의 거래가 가능하며, Ⅲ급 종은 개별 국가에서 자체적으로 지정하는데, 양서·파충류, 조류, 포유류, 식물 등 약 35,782종의 동ㆍ식물이 CITES로 지정되어 보호·관리 받고 있음
5th row※지상 곤충과 열매를 즐겨 먹고 번식기 이외 무리지어 다니며 겨울철 잠자리에는 수백 마리까지도 모여듦※과일 등을 좋아해서 간혹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해충 등을 잡아먹어 농작물에 도움이 됨※과거 여름철새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텃새화되어 겨울에도 많은 수가 관찰됨※수컷 겨울깃의 머리와 뒷목은 다소 녹색의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머리와 멱의 깃털은 버드나무 잎 모양임※이마와 머리 옆은 검은색과 흰색의 세로 얼룩무늬가 서로 혼합되어 여름깃은 봄철 털갈이를 하지 않음※따라서 깃털은 퇴색되어 대체로 엷은 색으로 되고 청동색의 광택을 잃어버림※갈색홍채에 황색다리로, 건물의 지붕 또는 틈 사이, 돌담의 틈, 딱따구리의 옛 둥지 등에서 영소하고, 번식기에 암수가 함께 생활함※일반적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알은 3월 하순~7월경, 한배에 4~6개 낳고, 식성은 잡식성임※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먹이를 찾아 땅 위로 내려올 때도 있음 보통 때는 “찌르, 찌르릇” 하고 울다가 번식기가 되면 조금 더 맑고 높은 소리로 “큐킷, 큐리리리” 하고 울음을 냄※새끼들을 위협하는 적이 다가오면 “킷, 킷, 킷” 하고 날카로운 울음소리를 내다가 구애를 할 때는 평소의 “찌르, 찌르릇" 하고 지저귈 때와는 또 다른 울음소리를 냄
ValueCountFrequency (%)
알을 20
 
0.7%
둥지를 19
 
0.7%
17
 
0.6%
먹이를 17
 
0.6%
있음 15
 
0.5%
14
 
0.5%
12
 
0.4%
다른 11
 
0.4%
때는 11
 
0.4%
8
 
0.3%
Other values (1987) 2633
94.8%
2023-12-12T13:28:57.67326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770
 
22.9%
, 243
 
2.0%
241
 
2.0%
232
 
1.9%
213
 
1.8%
175
 
1.4%
163
 
1.3%
161
 
1.3%
154
 
1.3%
150
 
1.2%
Other values (693) 7574
62.7%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8200
67.9%
Space Separator 2770
 
22.9%
Other Punctuation 472
 
3.9%
Decimal Number 266
 
2.2%
Lowercase Letter 167
 
1.4%
Math Symbol 40
 
0.3%
Uppercase Letter 40
 
0.3%
Initial Punctuation 25
 
0.2%
Final Punctuation 24
 
0.2%
Dash Punctuation 23
 
0.2%
Other values (4) 49
 
0.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41
 
2.9%
232
 
2.8%
213
 
2.6%
175
 
2.1%
163
 
2.0%
161
 
2.0%
154
 
1.9%
148
 
1.8%
141
 
1.7%
140
 
1.7%
Other values (618) 6432
78.4%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o 22
13.2%
a 17
10.2%
n 16
 
9.6%
r 14
 
8.4%
i 12
 
7.2%
e 11
 
6.6%
c 9
 
5.4%
u 9
 
5.4%
h 8
 
4.8%
s 8
 
4.8%
Other values (12) 41
24.6%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C 7
17.5%
S 6
15.0%
T 5
12.5%
I 5
12.5%
E 4
10.0%
P 4
10.0%
D 2
 
5.0%
U 2
 
5.0%
N 1
 
2.5%
L 1
 
2.5%
Other values (3) 3
7.5%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43
51.5%
150
31.8%
. 40
 
8.5%
· 20
 
4.2%
' 14
 
3.0%
/ 1
 
0.2%
& 1
 
0.2%
1
 
0.2%
" 1
 
0.2%
% 1
 
0.2%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0 43
16.2%
1 43
16.2%
2 40
15.0%
3 29
10.9%
5 29
10.9%
4 23
8.6%
9 19
7.1%
7 17
 
6.4%
6 13
 
4.9%
8 10
 
3.8%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3
42.9%
2
28.6%
1
 
14.3%
° 1
 
14.3%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36
90.0%
< 2
 
5.0%
> 2
 
5.0%
Letter Number
ValueCountFrequency (%)
3
37.5%
3
37.5%
2
25.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21
87.5%
3
 
12.5%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21
84.0%
4
 
16.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6
94.1%
1
 
5.9%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6
94.1%
1
 
5.9%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770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3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8200
67.9%
Common 3661
30.3%
Latin 215
 
1.8%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41
 
2.9%
232
 
2.8%
213
 
2.6%
175
 
2.1%
163
 
2.0%
161
 
2.0%
154
 
1.9%
148
 
1.8%
141
 
1.7%
140
 
1.7%
Other values (618) 6432
78.4%
Latin
ValueCountFrequency (%)
o 22
 
10.2%
a 17
 
7.9%
n 16
 
7.4%
r 14
 
6.5%
i 12
 
5.6%
e 11
 
5.1%
c 9
 
4.2%
u 9
 
4.2%
h 8
 
3.7%
s 8
 
3.7%
Other values (28) 89
41.4%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770
75.7%
, 243
 
6.6%
150
 
4.1%
0 43
 
1.2%
1 43
 
1.2%
2 40
 
1.1%
. 40
 
1.1%
~ 36
 
1.0%
3 29
 
0.8%
5 29
 
0.8%
Other values (27) 238
 
6.5%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8197
67.9%
ASCII 3639
30.1%
Punctuation 200
 
1.7%
None 23
 
0.2%
Number Forms 8
 
0.1%
CJK Compat 6
 
< 0.1%
Compat Jamo 3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770
76.1%
, 243
 
6.7%
0 43
 
1.2%
1 43
 
1.2%
2 40
 
1.1%
. 40
 
1.1%
~ 36
 
1.0%
3 29
 
0.8%
5 29
 
0.8%
4 23
 
0.6%
Other values (49) 343
 
9.4%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41
 
2.9%
232
 
2.8%
213
 
2.6%
175
 
2.1%
163
 
2.0%
161
 
2.0%
154
 
1.9%
148
 
1.8%
141
 
1.7%
140
 
1.7%
Other values (617) 6429
78.4%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50
75.0%
21
 
10.5%
21
 
10.5%
4
 
2.0%
3
 
1.5%
1
 
0.5%
None
ValueCountFrequency (%)
· 20
87.0%
° 1
 
4.3%
1
 
4.3%
1
 
4.3%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3
50.0%
2
33.3%
1
 
16.7%
Number Forms
ValueCountFrequency (%)
3
37.5%
3
37.5%
2
25.0%
Compat Jamo
ValueCountFrequency (%)
3
100.0%

Correlations

2023-12-12T13:28:57.79697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코스지역분류학명도래현황관찰빈도서식지유형번식지유형주요종크기생활방식먹이외형특이사항
코스1.0001.0001.0000.9350.2760.0001.0001.0000.4260.9350.9321.0001.0001.000
지역1.0001.0001.0001.0000.0000.2111.0001.0000.0000.8520.9491.0001.0001.000
분류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학명0.9351.0001.0001.0001.0000.0001.0001.0000.6200.9860.9711.0001.0001.000
도래현황0.2760.0001.0001.0001.0000.0001.0001.0000.8770.8990.8481.0001.0001.000
관찰빈도0.0000.2111.0000.0000.0001.0001.0001.0000.1550.8550.7811.0001.0001.000
서식지유형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번식지유형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주요종0.4260.0001.0000.6200.8770.1551.0001.0001.0001.0000.0001.0001.0001.000
크기0.9350.8521.0000.9860.8990.8551.0001.0001.0001.0000.9481.0001.0001.000
생활방식0.9320.9491.0000.9710.8480.7811.0001.0000.0000.9481.0001.0001.0001.000
먹이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외형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특이사항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1.000
2023-12-12T13:28:57.98213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지역도래현황관찰빈도주요종
지역1.0000.0000.1430.000
도래현황0.0001.0000.0000.493
관찰빈도0.1430.0001.0000.000
주요종0.0000.4930.0001.000
2023-12-12T13:28:58.07804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지역도래현황관찰빈도주요종
지역1.0000.0000.1430.000
도래현황0.0001.0000.0000.493
관찰빈도0.1430.0001.0000.000
주요종0.0000.4930.0001.000

Missing values

2023-12-12T13:28:47.73179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3-12-12T13:28:48.00408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Sample

코스지역분류학명도래현황관찰빈도서식지유형번식지유형주요종크기생활방식먹이외형특이사항
0평화누리길 1코스김포뻐꾸기목 뻐꾸기과 뻐꾸기속 검은등뻐꾸기Cuculus micropterus여름철새흔하지 않음숲속숲속IUCN-LC전체길이(L) : 33㎝단독주로 곤충류를 사냥함※수컷 머리는 회색이며 등과 날개 윗면은 적갈색 바탕에 검은색의 반점이 있음.※수컷 아랫면은 황색 빛이 도는 흰색으로 검은색 반점이 있고, 날개는 검은색으로 끝이 뾰족함 ※암컷은 적갈색, 흑갈색의 가는 줄무늬 7~8개, 꼬리끝 직선형이나 암ㆍ수 구별이 어려움※머리/등은 뻐꾸기와 비슷한 청회색이나 몸 윗면과 날개는 흑갈색으로 뻐꾸기, 벙어리뻐꾸기보다 갈색 기운이 강함※육안으로 식별하기는 어려우나 여름철 울음소리는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음※'카, 카, 카, 코-' 네 음절로 앞 세 음절은 음정이 같고, 마지막 음절은 뚝 떨어짐※예로부터 사람들은 이 울음소리를 '첫차 타고 막차 타고', '혼자 살꼬 둘이 살꼬', '작작 먹어 그만 먹어' 등 여러 의미로 번역하기도 하였으며, 대중적인 것은 '홀딱벗고' 설화가 있음※옛날 옛적 한 젊은 스님이 절에 기도하러 올라온 한 과부에게 그만 마음을 빼앗기게 되어 번뇌를 벗어버리기 위해 스님은 주문을 외며 스스로를 다그쳤는데, 사랑도 홀딱 벗고, 번뇌도 홀딱 벗고, 미련도 홀딱 벗고…. 하지만 한번 일어난 정념은 가라앉지 않았고, 스님은 끝내 마음의 병을 얻어 세상을 뜨게 되고, 나중에 검은등뻐꾸기로 환생하여 후생들에게 나를 거울삼아 용맹정진하라고 목이 쉬도록 '홀딱 벗고' 하며 울어댄다는 설화임※예로부터 검은등뻐꾸기가 울면 보리가 여물어 거둘 때가 되었음을 알았다고 함. 늘 배가 고팠던 민초들에겐 지긋지긋한 보릿고개를 넘었음을 알리는 기쁜 소리이기도하여 보리새라는 명칭으로 불렸음
1평화누리길 1코스김포참새목 직박구리과 직박구리속 직박구리Microscelis amaurotis텃새아주 흔함나무와 숲이 있는 곳야산이나 숲 가장자리IUCN-LC전체길이(L) : 28㎝ / 날개길이(W) : 13㎝무리(까치를 공격할 때가 있음)곤충, 거미, 꽃의 꿀, 나무 열매 등※머리와 등, 가슴은 청회색이며 날개와 꼬리는 회갈색으로 암ㆍ수 구분이 안됨※눈 뒷부분에 갈색 반점이 있고, 가슴과 배에는 흰색의 반점이 있음※아래꼬리덮깃은 청회색 바탕에 흰색 비늘무늬가 있고 날개는 짧고 둥글게 생겼음※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는 흔한 텃새이며, 한국, 일본, 타이완 및 필리핀 등에서 번식함※2000년대 이후 개체수가 많이 증가하였으며 산림에서 가장 시끄러운 새 중의 하나임※울음소리는 ‘삐-잇, 삐-잇, 삐비빗, 삑, 삑, 삐삑, 삣, 삣’ 하며 시끄럽게 울어 쉽게 찾을 수 있음※주로 나무에서 생활하며, 땅에 거의 내려오지 않고, 여름은 암수 함께 겨울은 무리로 생활함※약 24과 53종의 식물 열매를 먹음. 봄에는 식물의 꽃을 따먹고, 여름에는 곤충을 잡아먹음※다양한 열매 섭취 후 300m이상 이동함으로써 종자확산 및 산림확장의 도움을 줄 수 있는 조류임※가을철 과수농가의 배, 사과, 감 등에 피해를 주기도 해 과수원 유해조류로 알려져 있음※잎 많은 나무의 작은 가지, 식물 줄기, 버린 줄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 밥그릇 모양 둥지를 만듦※한번 낳을 때 4~5개 알을 놓고, 암컷이 품고, 기간은 13~14일, 부화 후 10~11일이면 둥지를 떠남※갓 부화한 새끼에게 달팽이, 매미, 개구리, 나방 등 곤충 및 양서류 등을 먹임※영역권 다툼이나 동료를 부를 때 소리는 매우 시끄러우며, 비행 시 한 마리가 울기 시작하면 다른 개체도 울면서 모여듦. 예로부터 이러한 울음소리를 바탕으로 ‘훌우룩 빗죽새’라고도 불렀음※직박구리 학명은 ‘높이 난다’라는 뜻이며 실제로 다른 참새목 조류에 비해 높은 곳에서 비행함 동박새와 마찬가지로 동백꽃이 피는 봄에는 직박구리가 부리에 노란 꽃가루를 묻히고 나뭇가지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날고 있는 곤충을 쫒아가서 잡아먹기도 함※겨울철 먹이가 부족할 때 인공 먹이대에 먹이를 제공하면 제일 먼저 와서 먹고 가는 조류임
2평화누리길 2코스김포도요목 도요과 마도요속 마도요Numenius arquata나그네새흔함갯벌 하구초지IUCN-NT(준위협)전체길이(L) : 58㎝ / 날개길이(W) : 30㎝쌍-수십~수백의 혼성 집단갑각류, 연체동물(조개류), 곤충의 유충 등※동남아, 오세아니아 등에서 겨울을 나고 번식지인 시베리아 등으로 향하다가 봄철에 잠시 들렀다 가고, 가을철에는 겨울을 나기 위해 반대 코스를 향하다 잠시 들렀다 가는 새임※전체적으로 황갈색 바탕에 흑갈색 얼룩무늬가 있음. 아랫배와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임※부리는 끝이 검은 주황색이며, 길게 아래로 휘어 있고, 머리 폭의 3배 정도의 길이임※암수 같은 빛깔이며, 부리와 다리가 길고, 몸 전체가 회갈색으로 배의 아랫부분은 흰색이며, 날고 있을 때 허리에서 꼬리까지 흰색이 뚜렷하게 보임※유사종인 알락꼬리마도요는 배의 아랫부분과 허리가 갈색이며, 해안의 갯벌, 하구에 살며 철새 또는 겨울철새로 주로 3~6월, 8~9월에 해안, 호안의 갯벌이나 수변에서 걸어 다니면서 먹이를 잡는 것이 관찰됨※갯벌에 긴 부리를 넣고 갑각류 및 소형 수서무척추동물을 잡아먹음※암ㆍ수 구별이 어려우며, 알락꼬리마도요의 경우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음※지구상 생존집단의 12% 이상이 인천ㆍ경기도 등지의 갯벌에 중간기착하며, 세계적 희귀조류인 청다리도요사촌과 넓적부리도요의 정기적 중간 도래지이다. 그러나 도시개발 및 수도권매립지 건설 등으로 먹이터와 서식처 파괴가 되고 있어 해마다 개체수가 감소되고 있는 실정임
3평화누리길 2코스김포올빼미목 올빼미과 수리부엉이속 수리부엉이Microscelis amaurotis텃새흔하지 않음삼림암벽, 바위산멸종위기-멸종위기2급천연기념물-제324-2호IUCN-LCCITES-CITES 2급전체길이(L) : 66㎝ / 날개길이(W) : 45㎝쌍으로 또는 단독으로 생활멧토끼, 쥐, 꿩, 오리, 개구리, 뱀, 곤충 등※매년 번식했던 장소를 다시 이용하며, 몸 전체가 나뭇가지 및 줄기 등과 유사한 보호색을 띄고 있어 움직이지 않으면 육안으로 쉽게 찾을 수 없음※올빼미과 조류 중 몸이 가장 크고 암ㆍ수 전체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과 암갈색 세로줄무늬가 있음※가슴과 배의 세로 줄무늬는 아래로 내려 갈수록 좁아짐. 머리에는 귀처럼 보이는 귀깃이 있음 ※눈은 노란색 또는 주황색을 띠며, 발목과 발가락에도 털이 있음 ※발가락은 앞뒤로 2개씩이며 날카로운 발톱이 있으며, 암ㆍ수 구분이 어렵고 암컷이 조금 큼※멸종위기 야생생물 동물로 지정되어 있음 - 1998년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및 보호 야생동·식물 지정 - 2005년, 2012년, 2017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지정※국가적색목록 평가는 취약(VU)으로 되어있으며, IUCN 범주에는 최소관심(LC)로 분류되어 있음※야행성이지만 낮에도 활동하며, 둥지를 만들지 않고 암벽의 선반처럼 생긴 곳, 바위의 평평한 곳, 바위틈 사이에 2~3개의 흰색 알을 낳고, 암컷이 알을 품고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공급함※CITES(사이테스)의 개념 -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 flora) - 1973년 3월 3일 워싱턴에서 협약되었고, 우리나라는 1993년 7월 9일 협약에 가입하였음 - 국제 멸종위기종(CITES)은 멸종위기 정도에 따라 3개 등급으로 분류(Ⅰ급, Ⅱ급, Ⅲ급) -Ⅰ급 종은 학술·연구 목적의 거래만 가능하며, Ⅱ급과 Ⅲ급의 경우, 환경부에 허가·신고 후 상업 목적의 거래가 가능하며, Ⅲ급 종은 개별 국가에서 자체적으로 지정하는데, 양서·파충류, 조류, 포유류, 식물 등 약 35,782종의 동ㆍ식물이 CITES로 지정되어 보호·관리 받고 있음
4평화누리길 3코스김포참새목 찌르레기과 찌르레기속 찌르레기Sturnus cineraceus여름철새흔함농경지나 인가 근처, 공원, 정원나무구멍이나 돌 틈, 기와 밑IUCN-LC전체길이(L) : 24㎝수십 마리~수백 마리씩 큰 무리를 이루어 월동곤충, 지렁이, 개구리, 달팽이, 작은 설치류, 나무열매 등※암ㆍ수 구분이 어려우나 수컷의 머리와 뒷목은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등, 어깨, 허리 윗부분은 갈색을 띤 잿빛임. 암컷의 경우, 수컷에 비해 머리는 갈색빛이 나며, 멱과 가슴은 잿빛을 띤 갈색임. 전체적으로 수컷에 비해 옅은 색을 띠고 있음※머리와 가슴은 암회색이며, 눈 주위, 이마, 뺨은 흰색임※등과 날개는 회색, 가슴과 옆구리는 연한 회색이며, 허리와 아래꼬리덮깃은 회백색으로 되어 있음※부리는 밝은 주황색으로 끝이 검고, 길고 뾰족하며, 아래로 약간 구부러짐※지상 곤충과 열매를 즐겨 먹고 번식기 이외 무리지어 다니며 겨울철 잠자리에는 수백 마리까지도 모여듦※과일 등을 좋아해서 간혹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해충 등을 잡아먹어 농작물에 도움이 됨※과거 여름철새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텃새화되어 겨울에도 많은 수가 관찰됨※수컷 겨울깃의 머리와 뒷목은 다소 녹색의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머리와 멱의 깃털은 버드나무 잎 모양임※이마와 머리 옆은 검은색과 흰색의 세로 얼룩무늬가 서로 혼합되어 여름깃은 봄철 털갈이를 하지 않음※따라서 깃털은 퇴색되어 대체로 엷은 색으로 되고 청동색의 광택을 잃어버림※갈색홍채에 황색다리로, 건물의 지붕 또는 틈 사이, 돌담의 틈, 딱따구리의 옛 둥지 등에서 영소하고, 번식기에 암수가 함께 생활함※일반적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알은 3월 하순~7월경, 한배에 4~6개 낳고, 식성은 잡식성임※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먹이를 찾아 땅 위로 내려올 때도 있음 보통 때는 “찌르, 찌르릇” 하고 울다가 번식기가 되면 조금 더 맑고 높은 소리로 “큐킷, 큐리리리” 하고 울음을 냄※새끼들을 위협하는 적이 다가오면 “킷, 킷, 킷” 하고 날카로운 울음소리를 내다가 구애를 할 때는 평소의 “찌르, 찌르릇" 하고 지저귈 때와는 또 다른 울음소리를 냄
5평화누리길 3코스김포사다새목 왜가리과 왜가리속 중대백로Ardea alba modesta여름철새아주 흔함하천, 호수, 농경지, 습지야산IUCN-LC전체길이(L) : 90㎝ / 날개길이(W) : 42㎝혼성 집단 - 무리어류, 수서무척추동물, 소형척추동물, 거미·곤충 등※봄철에 한국에 와서 여름에 새끼를 키우고 가을에 동남아 등으로 가서 겨울을 나는 제비의 습성과 같음※암·수 구분이 없으며, 몸은 흰색이고, 번식기에는 목 아래쪽, 어깨와 등에 긴 장식깃이 있음※부리는 크고 길며, 뾰족하여 물고기를 잡기에 알맞음 여름 번식기에는 부리가 검은색을 띠며, 겨울에는 부리가 노란색으로 변하며, 왜가리와 비슷하거나 조금 작고 몸은 순백색이라는 점이 차이점임※하천의 가장자리, 강가, 해안, 하구 등지에서 천천히 걸어가며 물고기, 연체동물을 잡음※도심 하천 수중보에서 물고기가 올라올 때 잡는 것을 볼 수 있고, 월동개체군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여름철새이지만 일부는 중부 이남에서 월동하는 경우도 있음※하천 및 강 등의 멀지 않은 침엽수와 활엽수의 교목림에 다른 백로류와 함께 집단으로 번식함※한배에 낳은 알의 수는 2~4개로 알을 품는 기간은 25~26일로 새끼는 부화 후 약 30~40일 동안 어미가 먹이를 공급해 키움※왜가리를 포함한 다른 백로류도 마찬가지이지만 어린새끼가 둥지에서 떨어지면 어미는 떨어진 새끼는 돌보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둥지속 알 크기와 색깔은 한 번에 낳는 알은 2~5개로 보통 4개를 낳는 것이 일반적이며, 색깔은 청록색 타원형이며 크기는 긴지름 54㎜ x 짧은지름 38㎜이고 무게는 37~48g임
6평화누리길 4코스고양가다랭이잡이목 가마우지과 가마우지속 민물가마우지Phalacrocorax carbo겨울철새흔함바닷가나 강 하구, 내륙 하천절벽, 무인도서IUCN-LC전체길이(L) : 90㎝ / 날개길이(W) : 33㎝집단으로 행동어류※몸 전체가 검은색으로 흑갈색의 금속광택이 있으며, 비번식기에는 부리와 눈 주위에 황색 피부가 드러남. 번식기에는 머리꼭대기, 뒷머리, 목에 가는 실모양의 흰색 장식깃이 있고 다리 위쪽에도 흰색 부분이 보임※눈은 초록색이고 4발가락 모두에 물갈퀴가 이어져 있으며, 물 위에 떠 있을 때는 몸의 대부분이 물에 잠겨 헤엄치고 잠수도 매우 잘해 보통 30초쯤 5~10m 깊이까지 잠수하여 물고기를 잡고, 물에서 활동을 한 후에는 바위나 나무 위에 앉아 날개를 반쯤 펴고 몸을 말림.※암수 구분이 어려우며, 허리 아래쪽에는 흰색의 크고 둥근 점이 1월쯤 생겼다가 겨울에는 사라지며, 꼬리는 가마우지보다 길어서 비행 시 다리 뒤로 꼬리가 길게 보임※바닷새로 학명 중 ‘Phalacrocorax’(필라크로코락스)는 대머리를 뜻하는 라틴어화된 그리스어 단어(필라크로스)와 큰까마귀를 뜻하는 코락스가 합쳐져서 만들어졌으며, ‘carbo’(카보)는 숯으로 몸통이 모두 숯과 같이 검다는 뜻임※북아메리카 대서양에 서식하는 조류로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 한강, 춘천 소양호와 수원 서호, 팔당 족자섬, 영월 동강과 원주 섬강 등 지역내 어족자원(붕어, 은어 등)이 급감하고 있으며, 서식지의 분변으로 인해 식물들이 말라 죽는 백화현상이 심각할 정도로 환경오염의 피해사례가 보고되고 있음※1999년 민물가마우지의 개체는 269마리였으나, 2000년대 들어서 100배 가까이 늘었으며, 번식 개체와 번식 범위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환경위해 조수로 등록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임※중국에서는 낚시에 이용하는 가마우지를 끈으로 연결해서 묶어 두지 않고 자유롭게 놓아주어 물고기를 잡게 하고 일본에서는 가마우지 한 마리 한 마리를 길이 3m 남짓한 끈으로 묶어서 낚시에 이용함※가마우지 낚시는 가마우지가 애써 잡은 물고기를 인간이 빼앗아 가기 때문에 노동착취의 대명사로 통하기도 하고, 어부의 가마우지에 대한 사랑은 자식사랑에 버금간다고 하며, 가마우지가 어부를 부모처럼 따른다고도함
7평화누리길 4코스고양참새목 되새과 방울새속 방울새Cyperus amuricus Maxim.텃새흔함농경지나 정원 야산이나 구릉농경지나 정원 야산이나 구릉IUCN-LC전체길이(L) : 14㎝쌍 또는 집단(수십~수백)으로 생활식물의 씨앗, 번식기 때는 곤충류※수컷은 머리와 목, 멱은 회색빛이 도는 황갈색, 등과 배는 갈색이며 날개는 검은색. 날개깃과 바깥꼬리깃 기부, 아랫꼬리덮깃에는 노란색 띠가 뚜렷하며, 암컷은 머리의 색이 보다 연함※전체적으로 황갈색으로 굵은 부리를 가지고 있으며, 식물씨앗 등을 먹기에 알맞은 부리를 가지고 있음. 번식기가 되면 수컷은 높은 나뭇가지에 앉아 목을 좌우로 흔들면서 또르르르륵, 또르르르륵하고 방울소리를 냄※번식이 끝난 가을과 겨울에는 20~30마리의 작은 무리를 지며, 간혹 전깃줄에 수백개체가 앉아있는 것을 볼 수 있음※나뭇가지 등의 덤불 속에 시든 가지나 풀뿌리, 나무껍질, 이끼류 등으로 밥그릇 모양의 둥지를 만듦※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5개 정도이며, 시가지에 번식하는 개체는 둥지재료로 비닐 끈을 이용하기도 함※알을 품는 기간은 11-13일 정도이며, 새끼를 기르는 기간은 14일 정도로, 둥지 짓기, 산란, 알 품기, 새끼 기르기 등에 약 52일이 소요됨※‘방울새’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방울소리와 가까운 청아한 소리의 방울새는 동요로도 불려질 정도로 아름다운 소리를 냄. 동요는 다음과 같은 가사로 지저귀는 방울새를 표현함 - 방울새야 방울새야 쪼로롱 방울새야 간밤에 고 방울 어디서 사왔니 쪼로롱 고 방울 어디서 사왔니 - 방울새야 방울새야 쪼로롱 방울새야 너 갈제 고 방울 나 주고 가렴 쪼로롱 고 방울 나 주고 가렴그 외 서양 작곡가 비발디의 ‘붉은 방울새’ 라는 플롯협주곡을 통해 방울새의 우는 소리를 묘사하기도 함
8평화누리길 5코스고양참새목 딱새과 딱새속 딱새Phoenicurus auroreus텃새흔함산기슭, 마을, 농경지 등마을, 농경지, 산기슭IUCN-LC전체길이(L) : 14㎝ / 날개길이(W) : 7㎝쌍 또는 단독으로 행동거미, 곤충류 및 식물의 씨앗※수컷은 머리 꼭대기와 뒷목은 회백색, 얼굴과 멱, 등, 날개는 검은색이며, 날개에는 흰 반점이 있음. 가슴과 배, 허리, 꼬리 가장자리는 적갈색, 다리는 흑갈색이며, 어린 수컷은 색이 전체적으로 흐림※암컷은 머리와 등, 가슴, 배는 황갈색, 허리와 꼬리 가장자리는 적갈색임※앉아 있을 때 머리와 꼬리를 위아래로 까딱거리며, 적이 다가가면 부리를 부딪쳐 딱, 딱, 딱, 딱 하는 소리를 냄. 세력권을 가지고 연중 같은 장소에서 생활함. 먹이를 발견하면 내려가 잡고 다시 제자리에 앉는 습성이 있음※키작은나무에 앉아 꼬리를 까딱까딱 상하로 흔들며 울음소리를 내거나 바위 위, 지붕 위, 담장 위 등 낮은 곳 또는 전망이 좋은 장소를 택하여 있기를 좋아하며, 먼 거리나 고공을 날지 않으며 단거리를 낮은 고도로 비행함. 지상에 내려와 뛰어다니며 먹이를 찾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오래 머물지 않고 날아오름※암수가 함께 둥지를 만들고, 쓰러진 나무 밑, 바위틈, 사람이 만든 건축물의 틈에서 번식함※알 낳는 시기는 5~7월이며 한배에 낳는 알의 수는 5~7개로 알은 흰색과 청색 바탕에 붉은색, 붉은 갈색의 얼룩무늬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고, 하루에 1개씩 알을 낳고 마지막 알을 낳은 직후에 알을 품음※부화 직후 새끼는 엷은 잿빛 갈색의 털이 눈 위, 등, 어깨부터 팔꿈치까지 나 있고 다리는 황색임※학명 중 Phoenicurus auroreus은 그리스어로 Phoinikouros가 어원이고, ‘딱새’라고 알려졌으며, 본디 ‘붉은’을 뜻하는 그리스어 Phoinix와 ‘꼬리’를 뜻하는 oura가 합성되어 ‘붉은 꼬리의 새’라는 뜻이 만들어졌음
9평화누리길 5코스고양사다새목 저어새과 저어새속 저어새Platalea minor여름철새드묾갯벌이나 강 하구무인도서천연기념물-제205-1호멸종위기-멸종위기1급IUCN-EN전체길이(L) : 75㎝ / 날개길이(W) : 35㎝집단으로 행동어류, 양서류, 식물 등※겨울 깃은 검은색의 부리와 빰, 다리를 제외한 몸 전체가 흰색이며, 여름 깃은 암수 모두 뒷머리에 황색을 띤 장식깃이 발달하며 앞가슴에 노란색의 넓은 띠가 나타남※어린 새는 부리 색이 연하며 날개 끝이 검고 장식깃과 앞가슴의 황색 띠가 없음. 부리는 끝이 넓은 주걱모양이고 부리를 좌우로 휘저으며 먹이를 잡음. 깃털을 다듬을 때는 두 마리가 서로 마주보고 상대방의 깃을 다듬어 주기도 함※날 때는 목과 다리를 쭉 뻗고 비행하며, 먼 거리에서는 목이 굵고 약간 엎드린 자세로 백로와 구분할 수 있음부리의 검은색이 눈 주위까지 넓게 있어 노랑부리저어새와 구분됨※1990년 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등록되었으나, 점차 개체가 늘어 2000년에는 멸종위기종으로 위기등급이 변경되었으나, 국제적인 보호와 관심이 필요한 새로 분류되고 있음※2005년 1월 21일에서 23일 사이에 실시된 국제 저어새 일제조사에서 제주도의 21마리를 포함, 모두 1475마리의 저어새가 관측되었음※저어새는 긴 부리를 물속에 넣고 좌우로 휘휘 저어가며 먹이를 잡아먹는 행동을 보고 지어진 것으로 추정됨. 특이성은 우리나라를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 저어새 이름은 행동이 아닌 생김새로 이름을 지어 부리의 끝 부분이 숟가락처럼 넓다고 하여 Spoonbill이고, 일본과 중국도 생김새로 불리고 있음 ※저어새 개체수 감소는 최초 한국전쟁 및 1940년대 DDT 살포로 인해 살충제가 축적된 조류의 알 껍질이 얇아져서 폐사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함. 또한 갯벌매립으로 인한 서식지 감소도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어 생물종 다양성 보존의 중요성이 인식되는 종임
코스지역분류학명도래현황관찰빈도서식지유형번식지유형주요종크기생활방식먹이외형특이사항
14평화누리길 8코스파주매목 매과 매속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L.텃새흔함들판, 초원, 숲, 농경지 등묵은둥지, 고층건물 턱 등천연기념물-제323-9호IUCN-LCCITES-CITES2급전체길이(L) : 36㎝ / 날개길이(W) : 24㎝쌍으로 또는 단독으로 생활들쥐, 두더지, 풍뎅이, 딱정벌레, 메뚜기, 작은 새※수컷의 머리는 청회색이고, 등과 날개 윗면은 적갈색 바탕에 검은색 반점이 흩어져 있음※암컷의 몸 윗면은 적갈색이며 검은색 반점이 수컷보다 더 많이 흩어져 있고, 머리와 꼬리는 적갈색임※다리와 부리의 기부, 눈 테두리는 노란색으로 암수가 동일함※어린 새는 암컷과 유사하나 몸 윗면 반점과 아랫면 줄무늬가 더 크고 두꺼움※천연기념물 제323-8호로 지정(1982.11.4.)되어 보호되고 있음※공중을 빙빙 돌다가 일시적으로 정지비행하면서 먹이를 찾고 여름에는 산에, 가을·겨울에는 들에 내려와 쥐·두더지·작은 새·곤충 등을 잡아먹음. 다른 맹금처럼 먹이의 깃털이나 뼈까지 모두 먹어치우며, 소화가 되지 않은 물질은 뭉쳐서 토해냄※직접 둥지를 짓지 않고, 새미, 까치, 어치, 말똥가리 등의 둥지를 이용※맹금류 중에서 도심지 고층건물환경에서 유일하게 적응하는 종※도시환경에 적응이 될 수 있었던 이유 - 환경변화로 인한 서식지 감소 - 알을 노리는 뱀, 까치, 까마귀 등 천적으로부터 회피 - 선택적 편의성으로 황조롱이는 둥지를 짓지 못해 다른 새들의 둥지를 이용※만약 다른 새들에게 둥지를 밀려나게 되면, 아파트 베란다에 흙이 담긴 화분이 둥지모양으로 보여 이를 선호함※5월에 4~5개의 알을 낳고 흰색 바탕에 어두운 적갈색 무늬로 암컷이 알을 품고 부화에는 27-29일 정도 소요되며 양육기간 27~30일 정도임
15평화누리길 8코스파주참새목 까마귀과 어치속 어치Garrulus glandarius Linnaeus.텃새흔함산림, 야산·농경지 주변 숲침엽수림IUCN-LC전체길이(L) : 33㎝쌍으로 또는 집단(수십)으로 생활참나무류의 열매, 설치류, 다른 새의 알이나 새끼, 양서류, 파충류, 물고기, 곡식, 나무※머리와 목은 적갈색, 등과 어깨는 회갈색, 가슴과 배는 연한 황갈색이고 뺨선과 날개는 검고, 허리는 흰색임. 날개덮깃은 특이한 광택이 나는 파란색임※참새목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몸 길이는 등과 배는 분홍빛을 띤 갈색이며 허리의 흰색과 꽁지의 검정색이 대조적이고, 날개덮깃에는 청색과 검정색 가로띠가 있음 ※날개에는 흰색 무늬가 뚜렷하고 세로무늬가 있는 정수리의 깃을 세워서 낮은 댕기를 이루며 폭넓은 검은색의 뺨 선이 있음※한국에서는 텃새로, 산책로에서도 발견되는 친근한 새이며 대부분 갈색을 띰※다른 새의 울음을 흉내 낼 수 있으며, 구관조나 앵무새처럼 사람의 목소리도 흉내 낼 수 있음※날개 짓은 비교적 느린 편으로 날 때, 허리의 흰색이 선명하게 보이고 땅 위에서는 걷거나 양 다리를 앞뒤로 벌리고 뜀※나무 위에서 생활하고 먹이를 숨겨 두는 습성이 있음 - 먹이는 도토리 등의 나무열매나, 곤충을 잡아먹고 겨울에 대비하여 미리 도토리를 저장해두는 습성이 있는데, 어치가 찾지 못하는 도토리는 싹이 터서 나무로 자람 ※날 때는 날개를 천천히 퍼덕여 날아오른 뒤 대체로 파도 모양을 그리며 날며 경계할 때에는 맹렬하게 울며 다른 짐승의 소리를 흉내 내기도 함※낙엽활엽수림과 혼효림에 둥지를 틀고 4~6월에 5~6개의 알을 낳고. 북위 40~60°의 유럽과 아시아에 분포함
16평화누리길 9코스파주기러기목 오리과 비오리속 비오리Mergus merganser L.겨울철새흔함강과 하천, 호수, 저수지 등강이나 호수 같은 물가IUCN-LC전체길이(L) : 65㎝ / 날개길이(W) : 27㎝쌍 또는 무리로 생활함물고기, 수서곤충, 갑각류, 개구리 등※우리나라에서 흔히 월동하는 겨울철새로 부리는 붉으나 그 끝은 검은색임 머리와 윗목은 수컷은 녹색 광택이 있는 검은색, 암컷은 붉은 밤색이며, 하반부 목 이하의 몸 아랫면은 흰색임※등은 수컷은 검은색, 암컷은 잿빛임※옆구리는 수컷은 흰색, 암컷은 잿빛 흰색임※암컷은 머리에 뒤로 뻗은 짧은 댕기깃이 있고 다리는 황색을 띤 붉은색임※한국에는 내륙의 큰 하천과 호수, 드물게는 해안에 찾아오기도 함※하천과 호수에서 생활하며 얕은 물에서 먹이를 찾지만 약 9m 깊이까지 잠수하기도 함 ※둥우리는 주로 개울가에 틀고, 더러는 나무구멍이나 인공새집도 이용하며 땅위와 강가의 구멍, 심지어는 건물에도 둥우리를 틈 ※둥지는 출입구 지름 약 12cm, 안지름 약 25㎝이며 인공 새집의 경우는 높이 85~100㎝, 출입구 지름 50~60㎝가 적정한 크기임※둥우리는 주로 개울가에 틀고, 더러는 나무구멍이나 인공새집을 이용하기도 하며 땅위와 강가의 구멍 심지어는 건물에 틀기도 함※먹이는 어류, 수서곤충 등으로 한대와 아한대 지역에서 번식하고, 중위도 지역의 온대에서 월동함※산란기는 4~6월이고 알은 9~10개 낳아 32~35일 동안 포란함※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번식하며, 겨울에는 남쪽으로 이동하나 기후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이동
17평화누리길 9코스파주두루미목 두루미과 두루미속 재두루미Grus vipio Pallas.겨울철새흔하지 않음갯벌이나 농경지, 습지호수나 소택지멸종위기-멸종위기2급천연기념물-제203호IUCN-VUCITES-CITES1급전체길이(L) : 127㎝ / 날개길이(W) : 57㎝쌍이나 가족 혹은 집단으로 생활함곡식이나 풀씨, 전분이 많은 뿌리, 물고기, 곤충, 개구리, 새우, 게 등※몸은 암수가 같은 색깔로 푸른색을 띤 회색이며, 이마와 눈 가장자리 그리고 뺨은 피부가 나출되어 붉은색을 띰※목은 흰색으로 가슴에서 이어지는 회색이 목 앞으로 뾰족한 모양으로 올라와 있고 첫째 날개깃과 둘째 날개깃은 검은색이지만, 셋째 날개깃과 등의 일부는 흰색임※부리는 황록색이고 다리는 붉은색으로 강 하구, 갯벌, 개활지, 논, 습지에 살며 겨울철새임※멸종위기 야생생물 동물로 지정되어 있음 - 천연기념물 203호로 지정(1968.5.31.) /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지정(2012.5.31.) -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도 천연기념물 제250호로 지정되어 보호 관찰되고 있음 - 한국·중국·몽골·러시아에서 번식하며 환경오염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음※재두루미는 원래 시베리아로부터 2천㎞ 이상 날아와 10월부터 철원평야 등에서 따뜻한 겨울을 보낸 뒤 다음 해 3월 번식지인 시베리아로 다시 이동하는 겨울 철새임※철원, 한강 하구, 임진강, 순천만, 낙동강 하구 등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시베리아 동부, 일본에 분포하며, 10월에 날아와 탁 트인 평원, 논, 강 하구, 갯벌에 큰 떼를 지어 게·곤충·풀뿌리 등의 먹이를 먹으며, 습지의 작은 섬에 둥지를 만듦※먹이를 찾을 때 긴 목을 S자 모양으로 굽히고 땅위를 걸어 다니면서 찾음 ※날아오를 때는 날개를 절반 정도 벌리고 몇 걸음 뛰어가면서 활주한 다음 떠오름※조개류와 곤충류, 옥수수, 벼의 낱알, 풀씨, 풀뿌리 등을 먹고 경계심이 매우 강하며, 사람이 접근하면 주위를 감시하던 개체의 신호에 의해 무리 전체가 목과 머리를 위로 들고 날아갈 준비를 함※암컷은 4월에 2~3개의 알을 낳으며, 알은 엷은 갈색 바탕에 암갈색 얼룩무늬와 반점이 있음
18평화누리길 10코스연천파랑새목 물총새과 호반새속 호반새Halcyon coromanda여름철새희귀계곡, 하천, 호수가계곡, 호수 주변의 삼림 등IUCN-LC전체길이(L) : 27㎝ / 날개길이(W) : 123㎝쌍 또는 단독으로 다님게, 새우, 도마뱀, 장지뱀, 개구리, 도롱뇽, 물고기, 곤충※수컷의 머리, 등, 날개, 꼬리를 포함한 등 쪽은 모두 고르게 붉은 살구색으로 이마와 머리 옆 이외에는 붉은 자색 광택을 띠고 있으며, 꼬리는 특히 광택이 강함. 꼬리는 얕게 둥금 ※턱 밑과 멱의 윗부분은 황갈백색으로 여름깃과 겨울깃은 같으며, 7월쯤에는 대체로 색이 엷어지고 등 쪽의 광택도 줄어듬 ※암컷은 수컷과 아주 비슷하며 부리와 홍채는 어두운 붉은색 ※머리는 크고 목은 짧아 보이고, 다리는 주황색으로 발가락 일부가 합쳐져 있음.※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필리핀에 분포함※드물지 않은 여름새로 산간 계곡, 호숫가, 혼효림, 활엽수림 등 우거진 숲속에서 번식함 ※계곡이나 물가의 나뭇가지 위에 꼼짝 않고 앉아 먹이를 찾음. 잡은 먹이는 나뭇가지에 쳐서 기절시킨 뒤 머리부터 먹음. 양서류와 갑각류를 즐겨 먹음※삼림 속의 나무구멍이나 벼랑의 동굴 또는 흙벽이나 썩은 나무 기둥에 스스로 구멍을 파고, 알을 낳으며 암수가 교대로 품음※전설에 따르면 부모 말을 잘 안 듣는 아들이 있었는데 어머니가 아파 물을 달라 했더니 화로에서 타고 있는 붉은 숯덩이를 보여줌. 어머니는 결국 죽고 되었고, 아들은 신의 저주를 받아 빨간 새(호반새)가 되었다는 이야기. 빨간 새가 된 아들은 물에 비쳐진 빨간 모습이 불처럼 보여져 물을 마실 수 없게 되었고, 호반새는 비를 좋아하게 되었다고 하여 ‘수연조’라고도 함
19평화누리길 10코스연천참새목 동고비과 동고비속 동고비Sitta europaea텃새흔함야산, 삼림야산, 삼림IUCN-LC전체길이(L) : 14㎝ / 날개길이(W) : 8㎝쌍 또는 무리지어서 다님거미, 곤충, 씨앗, 열매※겨울깃의 앞이마와 접하는 부분은 그을린 붉은색을 띤 흰색 ※뚜렷한 검은색의 눈선이 있고, 턱 밑, 뺨, 귀깃, 멱, 가슴은 흰색이나 개체에 따라서는 가슴이 다소의 붉은 황색을 띰 ※배는 황갈색 배 옆에 갈색 및 밤색의 얼룩점이 있으며 머리꼭대기로부터 위꼬리덮깃까지 등 쪽은 전부 청색을 띤 잿빛임 ※여름깃은 깃털이 마모되어 색이 전체적으로 퇴색하며 부리는 길어서 머리 길이와 같고 곧음※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아무르 남부, 우수리, 만주, 일본에 분포함※울음소리가 크고 금속성 소리를 내고, 둥지는 딱따구리의 낡은 둥지나 나무구멍을 이용하여 틀고, 출입구가 크면 흙으로 입구를 막아 좁힘※일 년 내내 같은 장소에서 생활하며, 둥지구멍은 몸이 겨우 빠져나올 정도만 남기고 막음※나무 위에서 빠르게 움직이고, 높은 곳에서 거꾸로 내려오며 먹이를 찾음. ※잡목림, 침엽수, 혼효림에 사는 흔한 텃새이며, 암수가 함께 생활하며 번식이 끝나면 흔히 박새무리속에 섞여 숲 속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음※4월~6월경에 7개의 알을 낳고, 여름에는 곤충류를 잡아먹고, 겨울에는 각종 종자와 나무 열매를 먹음
20평화누리길 11코스연천참새목 되새과 콩새속 콩새Coccothraustes coccothraustes겨울철새흔함야산이나 숲 가장자리, 농경지관목이나 덩굴성 나무가지IUCN-LC전체길이(L) : 18㎝쌍으로 다님식물의 씨앗과 열매, 여름철이나 번식기 때는 곤충 등※수컷의 머리와 뺨은 갈색, 목은 회색이다. 등과 어깨는 어두운 갈색, 가슴과 배는 황갈색, 아랫꼬리덮깃은 흰색임. 눈앞과 턱 밑, 날개는 검은색으로 첫째날개깃 기부와 큰날개덮깃은 흰색임※암수 구분은 힘드나 모두 크고 두툼하며, 여름에는 회갈색, 겨울에는 살색을 띰※되새과 종류 중 밀화부리와 유사하게 생겼으나 밀화부리 암컷은 부리색이 노란색이며, 턱밑에 검은색이 없고 콩새는 부리가 연한 살색으로 턱밑이 검게 되어 있는 것이 특징임※몸이 둥글둥글하다고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였으며, 콩을 잘 잘라먹어 콩새라는 이름으로 불려졌다고 함. 머리가 크고 부리가 매우 두껍고 강한 새이며, 강한 부리로 단단한 식물의 씨앗을 잘 부숴 먹음※학명 중 ‘Coccothraustes’(코코사라우스테스)는 그리스어로 장과 식물과 곡물을 나타내는 Kokkos와 ‘부순다’라는 뜻의 thrautes의 합성어로 장과 열매나 낱알을 부수어 먹는 새를 의미함※영명으로도 Hawfinch인데 여기서 haw는 식물의 열매라는 뜻이고 이것을 「부수어 먹는새」라는 공통의 의미를 갖고 있음※몸이 오렌지 빛깔의 갈색이고, 날개는 검은색을 띠며 큰 반점이 있음. 암수 구분은 힘드나 수컷은 머리가 밤색이고 몸 아랫부분은 분홍빛을 띠며, 암수 모두 가슴에 아기의 턱받이처럼 보이는 반점이 있음※콩새는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고 많은 시간을 식물의 씨나 애벌레를 먹으면서 나무 꼭대기에 숨어 지내는 특성이 있음. 유럽 대부분의 지역과 북아메리카, 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주로 활엽수 주변에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겨울철새임
21평화누리길 11코스연천참새목 할미새과 할미새속 노랑할미새Motacilla cinerea여름철새드묾강이나 하천 농경지,소택지건물·지붕 틈, 구멍, 바위틈IUCN-LC전체길이(L) : 20㎝ / 날개길이(W): 8㎝혼성 군집형태임곤충, 거미, 식물의 씨앗 등※몸 윗면은 흰색이고 아랫면은 노란색. 멱, 날개 가장자리, 꼬리는 검은색. 흰색의 눈썹선과 뺨선이 뚜렷함. 다리는 분홍색. 날 때, 허리의 노란색이 선명함※부리는 검은색이며, 참새부리형처럼 생겼으며, 꼬리는 검은색으로 길고 가장자리는 흰색임※암수구분이 힘드나 수컷은 암컷보다 전체적으로 짙은 색을 띠며 아랫면의 노란색도 더 선명함. 수컷 턱밑과 멱에 있는 검은색 반점은 암컷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다른 할미새류에 비해서 꼬리가 더 긴 편임※계곡, 하천, 연못 등 습지 주변에 살며 우리나라에서 흔히 번식하는 여름철새로 돌 틈이나 건물 틈에 둥지를 틀며, 가는 줄기와 뿌리로 둥지를 만드는 특징이 있음※땅 위에서 걸을 때는 다른 할미새류와 마찬가지로 꼬리를 까딱까딱 위아래로 흔드는 행동이 특징적이며, 날 때는 물결 모양을 그리며 나무 꼭대기, 전깃줄, 지붕이나 바위 위에 앉아 울음소리를 냄※번식 시기는 4월~6월이며, 둥지는 돌과 나무뿌리 사이의 경사면의 물 흐름이 센 곳 주변이나 강가 주변 지역이 주요 번식처임※알을 품는 기간은 새끼가 깃털이 다 나는 시간까지 합쳐서 2주 정도임※할미새류의 경우 땅에서 많이 걸으며 생활하는 습성이 있으며, 빠른 걸음으로 쉴 새 없이 꼬리를 흔들어 대며 날개 깃을 가끔 펼침. 이러한 불필요한 동작에 대한 이유를 여러 학자들은 작은 곤충들이 빠른 걸음과 꼬리 흔들림에 놀라서 움직일 때 사냥을 하려는 수단일 수도 있다고 판단함.※독일에서 할미새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깃털을 고를 때도 꼬리를 흔들고, 먹이를 쪼는 횟수와 꼬리 흔들기가 관련이 없으며, 단지 포식자에게 보내는 과시 행동이라고 판단하고 있음
22평화누리길 12코스연천참새목 지빠귀과 지빠귀속 노랑지빠귀Turdus naumanni겨울철새흔함농경지, 과수원, 야산 등야산, 관목숲, 낮은 가지IUCN-LC전체길이(L) : 23㎝ / 날개길이(W) : 13㎝쌍으로 다니거나 무리지음지렁이, 거미 또는 곤충류, 소형무척추동물, 열매, 씨앗※노랑지빠귀는 주로 겨울철 중부지역에서 주로 관찰할 수 있으며, 산이나 숲, 농경지, 정원, 개활지(앞이 확 트인 넓은 땅) 등 전국 어느 곳에서나 서식이 가능함※몸 윗면은 연한 녹색을 띤 갈색, 가슴과 옆구리는 적갈색. 눈썹선과 뺨선은 연한 적갈색, 배는 흰색임. 다리는 황색. 눈썹선과 가슴, 옆구리의 색과 무늬는 변이가 심하고, 때로는 개똥지빠귀와 비슷하여 구분하기 힘듦. 다만 노랑지빠귀는 개똥지빠귀와 비교하면 등이 연한 녹색을 띤 갈색이며 가슴과 옆구리는 적갈색으로 꽁지의 가장자리깃은 뚜렷한 적갈색이며 눈썹선은 연한 적갈색이며 배의 중앙은 흰색임※약 3~5개 정도의 알을 낳고, 곤충과 식물의 열매를 즐겨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전국적으로 흔한 겨울철새이며, 과거 개똥지빠귀의 지리적 아종으로 분류하였지만 최근에는 별개의 종으로 보고 있음※암수구분은 어려우나 수컷 머리와 윗면은 갈색이고 살구색의 눈썹선과 아랫면은 주홍색으로 깃 가장자리는 흰색이며, 배 중앙은 흰색임. 날개는 갈색이고, 작은날개덮깃은 갈색에 주홍색 얼룩무늬가 있음. 암컷은 비슷하나 머리와 윗면은 잿빛 갈색이며 눈썹선과 턱선은 흰색임. 가슴과 옆구리는 엷은 주황색으로 검은 갈색의 얼룩무늬가 있음. 배 중앙과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고 주황색 반점이 산재함. 부리는 어두운 갈색이며 아랫부리 기부는 황갈색이며 홍채는 갈색이고, 다리는 황색임※구북구, 시베리아 중부와 동남부에서 번식하고, 동아시아에서 월동하며, 번식지는 예니세이 중부에서 레나 유역 중류와 상류까지이고, 겨울에는 중국 동북지방 남부, 한국, 일본 서남부, 류큐, 중국 북부, 드물게는 대만, 윈난성 등지에서 월동함
23평화누리길 12코스연천파랑새목 파랑새과 파랑새속 파랑새Eurystomus orientalis여름철새흔함농경지,도시,야산,삼림도시,농경지,썩은 나무구멍IUCN-LC전체길이(L) : 30㎝쌍으로 다니거나 무리지음딱정벌레, 매미, 잠자리, 나비, 나방 등 날아다니는 곤충 등※전체적으로 금속광택이 나는 진한 녹청색. 머리와 날개 끝은 흑갈색, 부리와 다리는 붉은색. 날 때, 첫번째 날개깃의 흰색 반점이 선명하게 보임※부리는 붉은색이며, 짧고 날카로우며 아래로 휘어 있음※몸 길이는 29.5cm 정도로 수컷 겨울깃의 머리꼭대기와 머리 옆은 검은 갈색이고, 윗등은 푸른색을 띤 갈색 으로 점차로 어깨, 아랫등, 허리, 위꼬리덮깃으로 불명확한 푸른 녹색으로 옮아감※턱 밑과 멱은 머리꼭대기보다 다소 엷고 검은 갈색이다. 멱 중앙의 깃털은 자색을 띠며 가슴과 옆구리는 등과 같은 색깔임. 꼬리의 깃털 기부는 푸른 녹색이고 그 외는 검은색임. 배, 아래꼬리덮깃, 아랫날개덮깃, 겨드랑이깃은 선명한 푸른 녹색임※암컷은 일반적으로 수컷보다 색이 엷음. 부리는 굵고 짧으며, 다리는 몸에 비해서 작고 발가락은 붉은색이며, 발톱은 검은색임※암수구분이 어려우며, 오래된 나무가 산재하는 활엽수림 또는 혼효림, 도시 공원과 농경지 부근에 서식하고 5월~7월경 3~5개의 알을 낳음※파랑새는 벨기에의 작가 마테를링크의 동화 '파랑새 이야기' 속에서 틸틸과 미틸 남매가 크리스마스 전야에 파랑새를 찾아 헤매는 꿈을 꾸다가 문득 깨어나 자기들이 기르던 비둘기가 파랑새였음을 깨닫는다는 내용으로 행복은 가까이 있다는 것을 상징하는 새로 알려져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동학농민전쟁의 녹두장군 전봉준을 상징하는 노래에 나오기도 하는 새임※파랑새는 스스로 둥지를 만들지 않으며 헌 까치둥지를 이용하기도 하고 오래된 나무의 수구나 딱따구리둥지를 이용해서 번식을 하는데 대부분 둥지의 높이가 높아 흔한 철새이지만 관찰은 어려움※전봇대나 나무의 높은 부분에 앉아 있다가 주변에 곤충이 지나가면 날아가 잡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번식기에는 공중제비나 곡예를 하며 구애비행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