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24
Number of observations100
Missing cells100
Missing cells (%)4.2%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19.6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200.3 B

Variable types

Numeric5
Categorical18
Unsupported1

Alerts

theme_nm has constant value ""Constant
lwprt_theme_nm has constant value ""Constant
cl_nm has constant value ""Constant
opn_de has constant value ""Constant
addr is highly imbalanced (63.4%)Imbalance
lwprt_cl_nm is highly imbalanced (85.9%)Imbalance
visit_co has 100 (100.0%) missing valuesMissing
data_manage_no has unique valuesUnique
visit_co is an unsupported type, check if it needs cleaning or further analysisUnsupported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3-12-10 10:13:57.918754
Analysis finished2023-12-10 10:13:58.580855
Duration0.66 seconds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data_manage_no
Real number (ℝ)

UNIQUE 

Distinct100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117.91
Minimum1
Maximum2262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0 KiB
2023-12-10T19:13:58.72460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1
5-th percentile6.95
Q127.75
median53.5
Q378.25
95-th percentile98.05
Maximum2262
Range2261
Interquartile range (IQR)50.5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379.8371
Coefficient of variation (CV)3.2214155
Kurtosis29.536378
Mean117.91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25.5
Skewness5.5455187
Sum11791
Variance144276.22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0T19:13:59.02037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1 1
 
1.0%
65 1
 
1.0%
75 1
 
1.0%
74 1
 
1.0%
73 1
 
1.0%
72 1
 
1.0%
71 1
 
1.0%
70 1
 
1.0%
69 1
 
1.0%
68 1
 
1.0%
Other values (90) 90
90.0%
ValueCountFrequency (%)
1 1
1.0%
3 1
1.0%
4 1
1.0%
5 1
1.0%
6 1
1.0%
7 1
1.0%
9 1
1.0%
10 1
1.0%
11 1
1.0%
12 1
1.0%
ValueCountFrequency (%)
2262 1
1.0%
2261 1
1.0%
2260 1
1.0%
100 1
1.0%
99 1
1.0%
98 1
1.0%
97 1
1.0%
96 1
1.0%
95 1
1.0%
94 1
1.0%

sexdstn_cd
Categorical

Distinct2
Distinct (%)2.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F
50 
M
50 

Length

Max length1
Median length1
Mean length1
Min length1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F
2nd rowF
3rd rowF
4th rowF
5th rowF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F 50
50.0%
M 50
50.0%

Length

2023-12-10T19:13:59.32241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9:13:59.51449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f 50
50.0%
m 50
50.0%

intrst_realm_nm
Categorical

Distinct30
Distinct (%)3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음식 & 다이닝/요리 매니아/간단 요리
16 
라이프스타일 & 취미/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라이프스타일 & 취미/아웃도어 매니아
뉴스 & 정치/열렬한 뉴스 독자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독서가
Other values (25)
56 

Length

Max length32
Median length22
Mean length17.69
Min length7

Unique

Unique10 ?
Unique (%)10.0%

Sample

1st row음식 & 다이닝/요리 매니아/간단 요리
2nd row라이프스타일 & 취미/가족 중심
3rd row음식 & 다이닝/요리 매니아/간단 요리
4th row미디어 & 엔터테인먼트/독서가
5th row라이프스타일 & 취미/친환경 라이프스타일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음식 & 다이닝/요리 매니아/간단 요리 16
16.0%
라이프스타일 & 취미/친환경 라이프스타일 7
 
7.0%
라이프스타일 & 취미/아웃도어 매니아 7
 
7.0%
뉴스 & 정치/열렬한 뉴스 독자 7
 
7.0%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독서가 7
 
7.0%
미디어 & 엔터테인먼트/TV 애호가 5
 
5.0%
홈 앤 가든/DIY 5
 
5.0%
라이프스타일 & 취미/가족 중심 5
 
5.0%
뷰티 & 웰빙/뷰티 전문가 4
 
4.0%
스포츠 & 피트니스/스포츠 팬 4
 
4.0%
Other values (20) 33
33.0%

Length

2023-12-10T19:13:59.74511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81
20.0%
라이프스타일 37
 
9.2%
뉴스 26
 
6.4%
음식 16
 
4.0%
다이닝/요리 16
 
4.0%
매니아/간단 16
 
4.0%
요리 16
 
4.0%
매니아 16
 
4.0%
미디어 14
 
3.5%
정치/열렬한 11
 
2.7%
Other values (48) 155
38.4%

pge_views_co
Real number (ℝ)

Distinct50
Distinct (%)5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74.67
Minimum10
Maximum184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0 KiB
2023-12-10T19:13:59.99804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10
5-th percentile54
Q158
median66.5
Q383.75
95-th percentile121.1
Maximum184
Range174
Interquartile range (IQR)25.75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27.401635
Coefficient of variation (CV)0.3669698
Kurtosis3.1014463
Mean74.67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9.5
Skewness1.1504508
Sum7467
Variance750.8496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0T19:14:00.25980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56 6
 
6.0%
57 6
 
6.0%
62 5
 
5.0%
54 5
 
5.0%
61 5
 
5.0%
81 3
 
3.0%
72 3
 
3.0%
73 3
 
3.0%
10 3
 
3.0%
108 3
 
3.0%
Other values (40) 58
58.0%
ValueCountFrequency (%)
10 3
3.0%
54 5
5.0%
55 3
3.0%
56 6
6.0%
57 6
6.0%
58 3
3.0%
59 3
3.0%
60 3
3.0%
61 5
5.0%
62 5
5.0%
ValueCountFrequency (%)
184 1
1.0%
163 1
1.0%
142 1
1.0%
136 1
1.0%
123 1
1.0%
121 1
1.0%
120 1
1.0%
119 1
1.0%
116 1
1.0%
113 1
1.0%

visit_co
Unsupported

MISSING  REJECTED  UNSUPPORTED 

Missing100
Missing (%)100.0%
Memory size1.0 KiB

ctprvn_nm
Categorical

Distinct9
Distinct (%)9.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대구광역시
35 
경상북도
25 
서울특별시
19 
경기도
제주특별자치도
Other values (4)

Length

Max length7
Median length5
Mean length4.74
Min length3

Unique

Unique2 ?
Unique (%)2.0%

Sample

1st row대구광역시
2nd row대전광역시
3rd row경상북도
4th row대구광역시
5th row대구광역시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대구광역시 35
35.0%
경상북도 25
25.0%
서울특별시 19
19.0%
경기도 7
 
7.0%
제주특별자치도 7
 
7.0%
부산광역시 3
 
3.0%
울산광역시 2
 
2.0%
대전광역시 1
 
1.0%
전라남도 1
 
1.0%

Length

2023-12-10T19:14:00.73425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9:14:00.99145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대구광역시 35
35.0%
경상북도 25
25.0%
서울특별시 19
19.0%
경기도 7
 
7.0%
제주특별자치도 7
 
7.0%
부산광역시 3
 
3.0%
울산광역시 2
 
2.0%
대전광역시 1
 
1.0%
전라남도 1
 
1.0%

signgu_nm
Categorical

Distinct13
Distinct (%)13.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수성구
33 
포항시
25 
강남구
18 
서귀포시
하남시
Other values (8)
12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3
Mean length3.04
Min length2

Unique

Unique5 ?
Unique (%)5.0%

Sample

1st row수성구
2nd row중구
3rd row포항시
4th row수성구
5th row수성구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수성구 33
33.0%
포항시 25
25.0%
강남구 18
18.0%
서귀포시 7
 
7.0%
하남시 5
 
5.0%
강서구 3
 
3.0%
의정부시 2
 
2.0%
동구 2
 
2.0%
중구 1
 
1.0%
북구 1
 
1.0%
Other values (3) 3
 
3.0%

Length

2023-12-10T19:14:01.30401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수성구 33
33.0%
포항시 25
25.0%
강남구 18
18.0%
서귀포시 7
 
7.0%
하남시 5
 
5.0%
강서구 3
 
3.0%
의정부시 2
 
2.0%
동구 2
 
2.0%
중구 1
 
1.0%
북구 1
 
1.0%
Other values (3) 3
 
3.0%

emd_nm
Categorical

Distinct9
Distinct (%)9.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NA>
35 
만촌동
33 
압구정동
18 
안덕면
녹산동
 
3
Other values (4)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3.53
Min length3

Unique

Unique4 ?
Unique (%)4.0%

Sample

1st row만촌동
2nd row부사동
3rd row<NA>
4th row만촌동
5th row만촌동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NA> 35
35.0%
만촌동 33
33.0%
압구정동 18
18.0%
안덕면 7
 
7.0%
녹산동 3
 
3.0%
부사동 1
 
1.0%
공산동 1
 
1.0%
효문동 1
 
1.0%
도화동 1
 
1.0%

Length

2023-12-10T19:14:01.57835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9:14:01.82531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na 35
35.0%
만촌동 33
33.0%
압구정동 18
18.0%
안덕면 7
 
7.0%
녹산동 3
 
3.0%
부사동 1
 
1.0%
공산동 1
 
1.0%
효문동 1
 
1.0%
도화동 1
 
1.0%

addr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2
Distinct (%)2.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NA>
93 
사계리
 
7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3.93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NA>
2nd row<NA>
3rd row<NA>
4th row<NA>
5th row<NA>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NA> 93
93.0%
사계리 7
 
7.0%

Length

2023-12-10T19:14:02.09133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9:14:02.32380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na 93
93.0%
사계리 7
 
7.0%

lc_la
Real number (ℝ)

Distinct14
Distinct (%)14.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36.131526
Minimum33.257592
Maximum37.738078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0 KiB
2023-12-10T19:14:02.47958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33.257592
5-th percentile33.257592
Q135.872907
median36.019033
Q337.530642
95-th percentile37.539301
Maximum37.738078
Range4.480486
Interquartile range (IQR)1.6577349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1.0884842
Coefficient of variation (CV)0.030125609
Kurtosis1.3985179
Mean36.131526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0.1461262
Skewness-0.77238006
Sum3613.1526
Variance1.184798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0T19:14:02.68259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14)
ValueCountFrequency (%)
35.8729071 33
33.0%
36.0190333 25
25.0%
37.530642 18
18.0%
33.2575916 7
 
7.0%
37.5393014 5
 
5.0%
35.11716 3
 
3.0%
37.7380776 2
 
2.0%
36.314258 1
 
1.0%
35.940201 1
 
1.0%
35.5671 1
 
1.0%
Other values (4) 4
 
4.0%
ValueCountFrequency (%)
33.2575916 7
 
7.0%
35.11716 3
 
3.0%
35.2820169 1
 
1.0%
35.5048448 1
 
1.0%
35.5671 1
 
1.0%
35.8460175 1
 
1.0%
35.8729071 33
33.0%
35.940201 1
 
1.0%
36.0190333 25
25.0%
36.314258 1
 
1.0%
ValueCountFrequency (%)
37.7380776 2
 
2.0%
37.5393014 5
 
5.0%
37.5376 1
 
1.0%
37.530642 18
18.0%
36.314258 1
 
1.0%
36.0190333 25
25.0%
35.940201 1
 
1.0%
35.8729071 33
33.0%
35.8460175 1
 
1.0%
35.5671 1
 
1.0%

lc_lo
Real number (ℝ)

Distinct14
Distinct (%)14.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128.24294
Minimum126.33062
Maximum129.41663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0 KiB
2023-12-10T19:14:02.87314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126.33062
5-th percentile126.33062
Q1127.03071
median128.6469
Q3129.34339
95-th percentile129.34339
Maximum129.41663
Range3.0860042
Interquartile range (IQR)2.3126768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1.0215735
Coefficient of variation (CV)0.007965924
Kurtosis-1.2404462
Mean128.24294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0.6964898
Skewness-0.52288434
Sum12824.294
Variance1.0436125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0T19:14:03.04974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14)
ValueCountFrequency (%)
128.6469 33
33.0%
129.3433898 25
25.0%
127.030713 18
18.0%
126.330625 7
 
7.0%
127.2148742 5
 
5.0%
128.88061 3
 
3.0%
127.0337644 2
 
2.0%
127.433825 1
 
1.0%
128.644213 1
 
1.0%
129.37662 1
 
1.0%
Other values (4) 4
 
4.0%
ValueCountFrequency (%)
126.330625 7
 
7.0%
126.950213 1
 
1.0%
127.030713 18
18.0%
127.0337644 2
 
2.0%
127.2148742 5
 
5.0%
127.2919779 1
 
1.0%
127.433825 1
 
1.0%
128.5974553 1
 
1.0%
128.644213 1
 
1.0%
128.6469 33
33.0%
ValueCountFrequency (%)
129.4166292 1
 
1.0%
129.37662 1
 
1.0%
129.3433898 25
25.0%
128.88061 3
 
3.0%
128.6469 33
33.0%
128.644213 1
 
1.0%
128.5974553 1
 
1.0%
127.433825 1
 
1.0%
127.2919779 1
 
1.0%
127.2148742 5
 
5.0%

area_nm_dc_cn
Categorical

Distinct14
Distinct (%)14.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
33 
경상북도의 동남쪽 영일만을 중심으로 있는 시이다. 포항(浦項)은 형산강이 영일만에 이르러 갈라진 칠성강의 목이 되었다는 의미의 순우리말 이름인 개메기를 한자화 한 것이다. '개'는 '물가'라는 뜻이며, '메기'는 좁은 지형을 의미하는 '목'에 대한 이 지역 말이다. 이곳에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석호와 같은 큰 호수가 만들어져 배를 대기가 쉬웠고, 1732년(영조 8)에 함경도에 기근이 들었을 때 구제할 목적으로 경주·영일·장기·흥해·청하의 환곡을 모아두던 포항창(개메기창)을 개설하면서 번성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영일현의 고지도와 지리지에 포항창이 표기되었고, 구한말부터 항구로서 번영하여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 때 포항면이 되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영일현·장기현·흥해군·청하현·신광현·기계현과 죽장부곡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고려시대에 경주의 속현이었던 신광현·기계현과 죽장부곡이 독립하지 못하고 경주의 땅에 속했으며, 1896년의 행정구역 개편 때 신광현 · 기계현과 죽장부곡 지역이 흥해군에 편입되었다. 이어 1914년 영일군·장기군·흥해군·청하군을 합해 영일군으로 만들면서 포항면을 비롯하여 17개 면을 관할하게 하였다. 1938년 어항으로 성장한 포항면이 포항읍으로, 1949년에는 포항시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에는 영일군과 포항시를 합해 통합 포항시가 되었다. 2011년 현재 2구 4읍 10면 15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25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조선왕조실록』성종대에“한명회가압구정에서 중국 사신을 맞이하려 하였으나 왕이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는 기록에서 압구라는 지명을 처음 확인할 수 있다. 동 이름은 이곳에 조선 세조 때 한명회의 압구정이라는 정자가 있었기 때문에 생겼다. 압구(狎鷗)는한명회의호이다.“ 세상일다버리고강가에서살며갈매기와 아주 친하게 지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彦州面) 압구정리였다.『호구총수』에서도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1914년 옥곡(玉谷)을 병합하여 그대로 압구정리로 칭하였다. 1963년 성동구 압구정동이 되었고, 1973년 영동출판소가 신설되면서 편입되었다. 1975년 강남구가 신설되어 이에속하게 되었다. 법정동으로 신사동과 압구정동을 관할하고 있고, 행정동으로 신사동과 압구정1·2동이 있다
18 
서귀포시의 서부 지역에 있는 면이다. 서쪽은 대정읍과 접하고 있고, 동쪽은 서귀포시 상예동·하예동 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북쪽으로는 영아리오름, 무악, 병악 등의 오름이 분포하고 있으며, 안덕계곡을 따라 황개천이 바다로 흘러간다. 해안지역에는 산방산, 월라봉 등의 오름도 있고 화순해수욕장과 같은 사빈도 형성되어 있다. 현재 화순리·창천리·감산리 등 10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면 소재지는 화순리이다. 조선시대에는 대정현에 속해 있었다. 17세기 대정현을 세 개의 면으로 나눌 때 안덕면의 마을 대부분은 중면(中面)에 소속되었다. 그러다 18세기 중후반 대정현이 좌면과 우면으로 개편될 때 일부는 좌면, 일부는 우면에 속했다. 이후 19세기 중·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는 대정군 중면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제주군 중면이 되었다. 1935년에는 중면을 안덕면(安德面)으로 개칭하였다. 1946년에는 남제주군 안덕면으로 개편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설치되면서 서귀포시 소속이 되었다. 『증보탐라지』에는 중면 소속의 마을로 창고천(倉庫川)·통촌(桶村)·감산(紺山)·동수(洞水) 등 8개 마을이, 『조선지형도』에는 창천리·상창리·상천리 등 10개 마을 지명이 표기되었다.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한 시이다. 시의 동쪽 한강변에 검단산(黔丹山)이 있다. 조선시대 광주부 동부면(東部面)과 서부면(西部面) 일대이다. 『삼국사기』에 백제 건국과 관련하여 “북으로 한수(漢水)를 두루고 동으로는 높은 산을 의지했으며, 남으로는 기름진 땅을 바라보고, 서로는 대해가 막혔으니 그 위치가 쉽게 얻기 어려운 형국이라 여기에 도읍을 정함이 좋겠다.…… 온조는 한수 남쪽(河南)의 위례성(慰禮城)에 도읍을 정하고 열 명의 신하를 보좌로 삼아 국호를 십제(十濟)라 하였다.”는 기록이 처음 수록된다. 1980년 동부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9년 광주군 동부읍·서부면·중부면 상산곡리를 합쳐 하남시로 승격되었다. 덕풍동·감부동·춘궁동·신장동·초이동 등 10개 행정동과 24개 법정 동을 관할한다. 경기하남중학교·하남고등학교·하남로·하남인터체인지 등에서 관련 지명을 엿볼 수 있다.
Other values (9)
12 

Length

Max length853
Median length803
Mean length605.25
Min length430

Unique

Unique7 ?
Unique (%)7.0%

Sample

1st row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
2nd row대전광역시 중구의 중앙부 우측에 위치한 동이다. 한밭종합운동장, 충무체육관 등이 있다. 본래 조선시대 공주목 산내면 지역으로 1914년 회덕군 산내면 부사리와 대전리에 편입된 장대리(대전장터) 일부를 합쳐 부사리(芙沙里)로 하여 대전군 외남면에 속하게 하였다. 『호구총수』에 불사리(不死里)가 처음 등장하고 『조선지지자료』에는 한글명 부사리와 한자 표기 불사리(不死里)가 확인된다. 『구한말지형도』와 『구한국행정구역일람』에도 불사리(不死里)로 기록되다가 『신구대조』에서 처음으로 부사리(芙沙里)로 표기된다. 마을에 전해지는 부용리 전설에 의하면 상부사리(부용리)와 하부사리(뗏집거리)에 살았던 처녀 총각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이야기인즉 하부사리에 살던 사득이란 총각과 상부사리에 살던 부용이란 처녀가 서로 사랑하였는데, 사득이 징병을 당해 떠나게 되어 영영 돌아오지 못하게 되자 부용은 선바위 위에서 그를 애타게 기다리다 지쳐 죽었다 한다. 부용이 죽은 뒤 마을에는 혼기(魂氣)가 서리게 되었고, 동네 사람들이 그 혼기를 달래기 위해 매년 칠월칠석날 사득과 부용을 짚으로 만들어 죽은 후라도 서로 만날 수 있도록 거리제를 지내게 되었고 그 이후 마을 이름을 부사리 이전 지명인 부용리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일설에는 부용과 사득의 이름에서 한자씩 떼어 부사리가 되었다고도 한다. 부사리는 1931년 대전읍 승격 이 후 보문정(寶文町)으로 바뀌었고 1935년 부제 실시로 대전부에 속했다가 1946년 부사동으로 개칭되었다. 1977년 구제 실시에 따라 중구에 편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rd row경상북도의 동남쪽 영일만을 중심으로 있는 시이다. 포항(浦項)은 형산강이 영일만에 이르러 갈라진 칠성강의 목이 되었다는 의미의 순우리말 이름인 개메기를 한자화 한 것이다. '개'는 '물가'라는 뜻이며, '메기'는 좁은 지형을 의미하는 '목'에 대한 이 지역 말이다. 이곳에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석호와 같은 큰 호수가 만들어져 배를 대기가 쉬웠고, 1732년(영조 8)에 함경도에 기근이 들었을 때 구제할 목적으로 경주·영일·장기·흥해·청하의 환곡을 모아두던 포항창(개메기창)을 개설하면서 번성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영일현의 고지도와 지리지에 포항창이 표기되었고, 구한말부터 항구로서 번영하여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 때 포항면이 되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영일현·장기현·흥해군·청하현·신광현·기계현과 죽장부곡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고려시대에 경주의 속현이었던 신광현·기계현과 죽장부곡이 독립하지 못하고 경주의 땅에 속했으며, 1896년의 행정구역 개편 때 신광현 · 기계현과 죽장부곡 지역이 흥해군에 편입되었다. 이어 1914년 영일군·장기군·흥해군·청하군을 합해 영일군으로 만들면서 포항면을 비롯하여 17개 면을 관할하게 하였다. 1938년 어항으로 성장한 포항면이 포항읍으로, 1949년에는 포항시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에는 영일군과 포항시를 합해 통합 포항시가 되었다. 2011년 현재 2구 4읍 10면 15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4th row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
5th row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 33
33.0%
경상북도의 동남쪽 영일만을 중심으로 있는 시이다. 포항(浦項)은 형산강이 영일만에 이르러 갈라진 칠성강의 목이 되었다는 의미의 순우리말 이름인 개메기를 한자화 한 것이다. '개'는 '물가'라는 뜻이며, '메기'는 좁은 지형을 의미하는 '목'에 대한 이 지역 말이다. 이곳에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석호와 같은 큰 호수가 만들어져 배를 대기가 쉬웠고, 1732년(영조 8)에 함경도에 기근이 들었을 때 구제할 목적으로 경주·영일·장기·흥해·청하의 환곡을 모아두던 포항창(개메기창)을 개설하면서 번성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영일현의 고지도와 지리지에 포항창이 표기되었고, 구한말부터 항구로서 번영하여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 때 포항면이 되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영일현·장기현·흥해군·청하현·신광현·기계현과 죽장부곡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고려시대에 경주의 속현이었던 신광현·기계현과 죽장부곡이 독립하지 못하고 경주의 땅에 속했으며, 1896년의 행정구역 개편 때 신광현 · 기계현과 죽장부곡 지역이 흥해군에 편입되었다. 이어 1914년 영일군·장기군·흥해군·청하군을 합해 영일군으로 만들면서 포항면을 비롯하여 17개 면을 관할하게 하였다. 1938년 어항으로 성장한 포항면이 포항읍으로, 1949년에는 포항시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에는 영일군과 포항시를 합해 통합 포항시가 되었다. 2011년 현재 2구 4읍 10면 15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25
25.0%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조선왕조실록』성종대에“한명회가압구정에서 중국 사신을 맞이하려 하였으나 왕이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는 기록에서 압구라는 지명을 처음 확인할 수 있다. 동 이름은 이곳에 조선 세조 때 한명회의 압구정이라는 정자가 있었기 때문에 생겼다. 압구(狎鷗)는한명회의호이다.“ 세상일다버리고강가에서살며갈매기와 아주 친하게 지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彦州面) 압구정리였다.『호구총수』에서도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1914년 옥곡(玉谷)을 병합하여 그대로 압구정리로 칭하였다. 1963년 성동구 압구정동이 되었고, 1973년 영동출판소가 신설되면서 편입되었다. 1975년 강남구가 신설되어 이에속하게 되었다. 법정동으로 신사동과 압구정동을 관할하고 있고, 행정동으로 신사동과 압구정1·2동이 있다 18
18.0%
서귀포시의 서부 지역에 있는 면이다. 서쪽은 대정읍과 접하고 있고, 동쪽은 서귀포시 상예동·하예동 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북쪽으로는 영아리오름, 무악, 병악 등의 오름이 분포하고 있으며, 안덕계곡을 따라 황개천이 바다로 흘러간다. 해안지역에는 산방산, 월라봉 등의 오름도 있고 화순해수욕장과 같은 사빈도 형성되어 있다. 현재 화순리·창천리·감산리 등 10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면 소재지는 화순리이다. 조선시대에는 대정현에 속해 있었다. 17세기 대정현을 세 개의 면으로 나눌 때 안덕면의 마을 대부분은 중면(中面)에 소속되었다. 그러다 18세기 중후반 대정현이 좌면과 우면으로 개편될 때 일부는 좌면, 일부는 우면에 속했다. 이후 19세기 중·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는 대정군 중면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제주군 중면이 되었다. 1935년에는 중면을 안덕면(安德面)으로 개칭하였다. 1946년에는 남제주군 안덕면으로 개편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설치되면서 서귀포시 소속이 되었다. 『증보탐라지』에는 중면 소속의 마을로 창고천(倉庫川)·통촌(桶村)·감산(紺山)·동수(洞水) 등 8개 마을이, 『조선지형도』에는 창천리·상창리·상천리 등 10개 마을 지명이 표기되었다. 7
 
7.0%
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한 시이다. 시의 동쪽 한강변에 검단산(黔丹山)이 있다. 조선시대 광주부 동부면(東部面)과 서부면(西部面) 일대이다. 『삼국사기』에 백제 건국과 관련하여 “북으로 한수(漢水)를 두루고 동으로는 높은 산을 의지했으며, 남으로는 기름진 땅을 바라보고, 서로는 대해가 막혔으니 그 위치가 쉽게 얻기 어려운 형국이라 여기에 도읍을 정함이 좋겠다.…… 온조는 한수 남쪽(河南)의 위례성(慰禮城)에 도읍을 정하고 열 명의 신하를 보좌로 삼아 국호를 십제(十濟)라 하였다.”는 기록이 처음 수록된다. 1980년 동부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9년 광주군 동부읍·서부면·중부면 상산곡리를 합쳐 하남시로 승격되었다. 덕풍동·감부동·춘궁동·신장동·초이동 등 10개 행정동과 24개 법정 동을 관할한다. 경기하남중학교·하남고등학교·하남로·하남인터체인지 등에서 관련 지명을 엿볼 수 있다. 5
 
5.0%
부산광역시 강서구의 남서부 해안에 위치한 동이다. 동쪽은 서낙동강을 경계로 강동동·명지동과 마주하고, 서쪽은 김해시와 창원시 진해구, 북쪽은 김해시, 남쪽은 바다에 접해 있다. 부산광역시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동으로 전형적인 농어촌 지역이지만, 남쪽 해안 일대에는 녹산국가산업단지와 신호지방산업단지 등이 조성되어 있다. 1934년 김해평야에 해조수가 들어오는 것을 막고 대동수문에서 들어오는 담수를 조절하기 위해 녹산수문이 건설되었다 수문 위에는 녹산교가 있는데 준공 당시에 우리나라의 가장 큰 개폐식 수문이었다. 지명은 김해군 녹산면에서 비롯되었다. 녹산은 원래 사슴 '녹(鹿)' 자를 사용하였다. 봉화산의 동쪽이 사슴이 들판을 향해 달리는 형국이라서 지명이 비롯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산에 녹두가 잘되기 때문에 녹산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녹산이라는 지명이 처음 나오는 것은 『김해읍지』(1832)이다. 『여지도서』(김해)에는 이 지명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삽입지도에 표시되어 있어 지명은 녹도에서 연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녹도는 낙동강 하구의 삼각주 발달로 인하여 육지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법정동으로 구랑동(九郞洞)·녹산동·지사동(智士洞)·신호동(新湖洞)이 있다. 3
 
3.0%
경기도 북부에 있는 시이다. 남쪽으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원 구와 시계를 이루고 있는 서울 북쪽의 관문도시로서 동서 쪽에 수락산과 도봉산이 있다. 의정부동·호원동·장암동·신곡동·송산동 등 15개 행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시에 대한 기존의 지명유래인‘태조환궁설화’는 역사적 실제로서는 관련이 없으며, 지명은‘둔야(屯夜)’와 관련 하여 발생하였다고 한다. 곧 이 지역에 의정부(議政府) 소속의‘의정부둔(議政府屯)’이 설치되어 있었고, 이로부터 유래하여‘의정부’라는 지명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김정호가 만든『대동여지도』에도‘의정부(議政府)’가 아닌 ‘의정부(意情埠)’로 표기하여 이를 의미상 명백히 구분하였다.『대동지지』에‘둔야는 처음이 15리이고 끝이 30리’ 라고 되어 있다. 1963년에 의정부시가 분리, 독립될 때까지 이 지역은 양주(楊州)의 영역이었다.『삼국사기』에 “삼국시대에는 백제(또는 고구려라고도 함)의 매성군(買城郡) 또는 창화군(昌化郡)·마홀(馬忽)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16년에 내소군(來蘇郡)으로 고쳤다.”는 기록이 보인 다.『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고려 초에는 승격하여서 견주(見州)라 하였고 현종 9년에는 양주에 예속시켰다. 조선 건국 후 태조 3년(1394)에 수도를 한양(漢陽)에 정하고 한성부(漢城府)를 설치하게 됨에 따라 양주로 강등되 었다. 읍의 중심지를 견주의 옛터로 옮기고 태종 13년 (1413)에 양주도호부로 승격되었다. 세조 12년(1466)에 양주목으로 승격되고 진(鎭)을 두었다.”고 한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1895년에 한성부 양주군, 1896년에 경기도 양주군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시북면· 둔야면이 통합된 시둔면(柴屯面)이 지금의 의정부시의 기반이 되었다. 2
 
2.0%
대전광역시 중구의 중앙부 우측에 위치한 동이다. 한밭종합운동장, 충무체육관 등이 있다. 본래 조선시대 공주목 산내면 지역으로 1914년 회덕군 산내면 부사리와 대전리에 편입된 장대리(대전장터) 일부를 합쳐 부사리(芙沙里)로 하여 대전군 외남면에 속하게 하였다. 『호구총수』에 불사리(不死里)가 처음 등장하고 『조선지지자료』에는 한글명 부사리와 한자 표기 불사리(不死里)가 확인된다. 『구한말지형도』와 『구한국행정구역일람』에도 불사리(不死里)로 기록되다가 『신구대조』에서 처음으로 부사리(芙沙里)로 표기된다. 마을에 전해지는 부용리 전설에 의하면 상부사리(부용리)와 하부사리(뗏집거리)에 살았던 처녀 총각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이야기인즉 하부사리에 살던 사득이란 총각과 상부사리에 살던 부용이란 처녀가 서로 사랑하였는데, 사득이 징병을 당해 떠나게 되어 영영 돌아오지 못하게 되자 부용은 선바위 위에서 그를 애타게 기다리다 지쳐 죽었다 한다. 부용이 죽은 뒤 마을에는 혼기(魂氣)가 서리게 되었고, 동네 사람들이 그 혼기를 달래기 위해 매년 칠월칠석날 사득과 부용을 짚으로 만들어 죽은 후라도 서로 만날 수 있도록 거리제를 지내게 되었고 그 이후 마을 이름을 부사리 이전 지명인 부용리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일설에는 부용과 사득의 이름에서 한자씩 떼어 부사리가 되었다고도 한다. 부사리는 1931년 대전읍 승격 이 후 보문정(寶文町)으로 바뀌었고 1935년 부제 실시로 대전부에 속했다가 1946년 부사동으로 개칭되었다. 1977년 구제 실시에 따라 중구에 편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
 
1.0%
대구광역시 동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팔공산 남사면지역에 해당한다. 왕산(王山)·지묘동(智妙洞)·대왕(大王)재·파군(破軍)재·나팔고개 등의 지명은 927년 고려 왕건과 후백제 견훤 간에 팔공산에서 벌어진 공산전투와 관련된 지명으로 유명하다. 공산동에는 신라의 고찰인 동화사·파계사·부인사·북지장사 등이 위치한다. 팔공산의 주능선에 위치하는 관봉(冠峰, 853m)·노적봉(露積峰, 891m) 등은 팔공산 화강암지형의 수려한 경관을 연출한다. 원래 해안현(解顔縣) 해북촌면(解北村面)에 속했던 곳이다. 1958년 경북 달성군 공산면에서 대구시로 편입했다가 1963년 다시 달성군으로 환원하였다. 1981년 대구직할시로 승격되면서 대구직할시 공산출장소로 편입하였고, 1982년 대구직할시 공산출장소 관할구역 내에 공산1동을 분동하여, 1983년 대구직할시 동구 공산출장소를 폐지하고 공산2동을 신설하였다. 1998년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1·2동을 공산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공산동의 공산은 팔공산의 옛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1
 
1.0%
울산광역시 북구의 중남부에 위치한 동이다. 동쪽으로는 무룡산, 서쪽으로는 동천강을 끼고 있다. 명촌동·진장동·연암동·효문동 등 4개의 법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효문동은 통천지효자(通天之孝子) 송도(宋滔)의 효자문이 있어 유래한 지명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울산)에는 ""송도는 부모를 위하여 전후 여묘살이 6년 동안에 중의 법사(法事)를 쓰지 않으니, 일이 조정에 보고되어 정려했다.""라는 기록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병이 깊어진 어머니가 생선회를 먹고 싶어했으나 가난하여 사드릴 수 가 없었다. 물가에 가서 얼음을 깨뜨리고 눈물을 흘리니 붕어가 튀어나와 이를 어머니께 바칠 수 있었다고 한다. 또 제사를 맞이했으나 음식을 마련하지 못해 안타까워 할 때 마침 산꿩이 집안으로 날아들어 이를 제수에 유용하게 썼다.""고 전한다. 『호구총수』(울산)에는 하부내면 효문리로 기록하고 있다. 연암동(蓮岩洞)은 백련암에서 유래하였고, 진장동(珍庄洞)은 좌병영의 진장(陣場)이 있던 곳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1
 
1.0%
Other values (4) 4
 
4.0%

Length

2023-12-10T19:14:03.28833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있다 202
 
1.7%
되었다 130
 
1.1%
111
 
0.9%
1914년 88
 
0.7%
마을 82
 
0.7%
한다 82
 
0.7%
편입되었다 80
 
0.7%
등이 71
 
0.6%
위치한 67
 
0.6%
임진왜란 66
 
0.6%
Other values (1289) 10780
91.7%

data_title_nm
Categorical

Distinct14
Distinct (%)14.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
33 
호랑이도 감동시킨 효자가 살았던 포항 효자동
25 
한명회의 영화가 깃든 서울 압구정
18 
옥황상제가 한라산 봉우리를 던져 형성된 제주도 서귀포시의 산방산
도미의 전설이 깃든 하남 도미나루
Other values (9)
12 

Length

Max length35
Median length24
Mean length23.78
Min length17

Unique

Unique7 ?
Unique (%)7.0%

Sample

1st row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
2nd row부용과 사득의 샘이 있는 대전 부사리
3rd row호랑이도 감동시킨 효자가 살았던 포항 효자동
4th row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
5th row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 33
33.0%
호랑이도 감동시킨 효자가 살았던 포항 효자동 25
25.0%
한명회의 영화가 깃든 서울 압구정 18
18.0%
옥황상제가 한라산 봉우리를 던져 형성된 제주도 서귀포시의 산방산 7
 
7.0%
도미의 전설이 깃든 하남 도미나루 5
 
5.0%
임진왜란 때 왜군과 함께 처녀가 죽은 부산 처녀골 3
 
3.0%
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돌아가지 않고 머물렀던 경기도 의정부 2
 
2.0%
부용과 사득의 샘이 있는 대전 부사리 1
 
1.0%
왕건 대신 죽은 신숭겸을 기린 지묘사가 있던 대구 지묘동 1
 
1.0%
효자 송도가 살았던 울산광역시의 효문동 1
 
1.0%
Other values (4) 4
 
4.0%

Length

2023-12-10T19:14:03.50752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대구 35
 
5.4%
힘센 33
 
5.1%
쌓은 33
 
5.1%
33
 
5.1%
봉우리 33
 
5.1%
형제봉골 33
 
5.1%
남매가 33
 
5.1%
살았던 26
 
4.0%
호랑이도 25
 
3.9%
감동시킨 25
 
3.9%
Other values (82) 334
51.9%

theme_nm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1.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생활문화
100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4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생활문화
2nd row생활문화
3rd row생활문화
4th row생활문화
5th row생활문화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생활문화 100
100.0%

Length

2023-12-10T19:14:03.78469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9:14:03.94244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생활문화 100
100.0%

lwprt_theme_nm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1.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지명유래
100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4
Min length4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지명유래
2nd row지명유래
3rd row지명유래
4th row지명유래
5th row지명유래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지명유래 100
100.0%

Length

2023-12-10T19:14:04.13180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9:14:04.31698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지명유래 100
100.0%

cl_nm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1.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구비전승·어문학
100 

Length

Max length8
Median length8
Mean length8
Min length8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구비전승·어문학
2nd row구비전승·어문학
3rd row구비전승·어문학
4th row구비전승·어문학
5th row구비전승·어문학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구비전승·어문학 100
100.0%

Length

2023-12-10T19:14:04.46694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9:14:04.63613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구비전승·어문학 100
100.0%

lwprt_cl_nm
Categorical

IMBALANCE 

Distinct2
Distinct (%)2.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지명유래
98 
어문학
 
2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4
Mean length3.98
Min length3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지명유래
2nd row지명유래
3rd row지명유래
4th row지명유래
5th row지명유래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지명유래 98
98.0%
어문학 2
 
2.0%

Length

2023-12-10T19:14:04.82014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9:14:04.98752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지명유래 98
98.0%
어문학 2
 
2.0%

sbjt_nm
Categorical

Distinct9
Distinct (%)9.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대구 지역의 지명유래
35 
경상북도 지역의 지명유래
25 
서울 지역의 지명유래
19 
경기도 지역의 지명유래
제주도 지역의 지명유래
Other values (4)

Length

Max length13
Median length11
Mean length11.66
Min length11

Unique

Unique2 ?
Unique (%)2.0%

Sample

1st row대구 지역의 지명유래
2nd row대전 지역의 지명유래
3rd row경상북도 지역의 지명유래
4th row대구 지역의 지명유래
5th row대구 지역의 지명유래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대구 지역의 지명유래 35
35.0%
경상북도 지역의 지명유래 25
25.0%
서울 지역의 지명유래 19
19.0%
경기도 지역의 지명유래 7
 
7.0%
제주도 지역의 지명유래 7
 
7.0%
부산 지역의 지명유래 3
 
3.0%
울산 지역의 지명유래 2
 
2.0%
대전 지역의 지명유래 1
 
1.0%
전라남도 지역의 지명유래 1
 
1.0%

Length

2023-12-10T19:14:05.64031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9:14:05.89773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지역의 100
33.3%
지명유래 100
33.3%
대구 35
 
11.7%
경상북도 25
 
8.3%
서울 19
 
6.3%
경기도 7
 
2.3%
제주도 7
 
2.3%
부산 3
 
1.0%
울산 2
 
0.7%
대전 1
 
0.3%

sumry_cn
Categorical

Distinct14
Distinct (%)14.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
33 
옛날 경북 포항 한 마을에 홀어머니와 효자 아들이 살았다. 하루는 병에 걸린 어머니가 홍시가 먹고 싶어 했다. 아들은 대구로 시집간 누나를 찾아가기로 했다. 밤중에 산길을 가는데 호랑이가 나타났다. 사정을 들은 호랑이는 아들을 태워 순식간에 누나에게 데려다주었다. 마침 누나의 집에 홍시가 있어 아들은 그것을 어머니에게 드릴 수 있었다. 이후 효자가 살았던 마을이라 하여 이름을 효자동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25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지명에 얽힌 유래이다. 조선조 세조, 성종 때 영의정을 했던 한명회의 호를 따서 지은 정자 이름에서 압구정동의 지명이 생겼다. 압구정은 현재 현대아파트 단지 내의 경치 좋은 벼랑 위에 지어졌다고 한다. 겸재 정선이 그린 압구정도가 전한다. 압구정의 원래의 뜻은 '(부귀공명 다 버리고) 해오라기와 벗하여 지내는 정자'라는 뜻이나, 한명회는 이곳에서 왕만 쓸 수 있는 용봉차일을 치고 수령 방백이 보낸 선물에 둘러싸여 지냈다고 한다.
18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에 ‘산방산’이 소재해 있다. ‘산방’은 산속의 굴을 뜻하는 말이다. 곧 산방산은 ‘굴이 있는 산’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옛날 제주도에 살던 사냥꾼이 한라산으로 사냥을 갔다. 그런데 한라산이 높다 보니 실수로 옥황상제의 엉덩이를 건드렸다. 화가 난 옥황상제가 한라산 봉우리를 하나 빼 던진 것이 지금의 산방산이 되었다고 한다. 산방산은 제주도 사람들이 신성하게 여겨 무덤을 쓰거나 농사를 짓지를 않았다. 만약 산방산에 무덤을 쓰거나 농사를 지으면 가뭄이 심해진다고 한다.
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의 도미나루는 백제 개루왕의 도미설화에 유래를 두고 있는 지명이다. 하남시는 1989년 광주군에서 분리된 도시로, 팔당댐과 한강을 끼고 있고 넓은 나루를 가지고 있다. 도미의 처가 개루왕을 피해 이 나루에서 배를 타고 천성도로 건너가 도미를 만났다고 한다.
Other values (9)
12 

Length

Max length383
Median length345
Mean length237.87
Min length155

Unique

Unique7 ?
Unique (%)7.0%

Sample

1st row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
2nd row옛날 백제 때는 부사동이 상부사리와 하부사리로 나뉘어 있었다. 상부사리에는 부용 처녀가, 하부사리에는 사득 총각이 살았다. 둘은 사랑하는 사이로 샘에 물을 길으러 다니며 사랑을 키웠다. 사득이 백제군에 징집되어 가고 얼마 후에 신라군이 쳐들어왔다. 전쟁은 끝이 났으나 사득은 돌아오지 않았고 부용은 기다림에 지쳐서 죽었다. 그 후 마을에 심한 가뭄이 왔다. 어느 날 마을 노인들의 꿈에 부용과 사득이 각각 나타나 영혼 결혼을 시켜주면 샘에 물을 주겠다고 했다. 두 마을에서는 부용과 시득의 영혼결혼식을 올렸고, 샘에서는 물이 펑펑 솟았다. 이 샘을 둘의 이름에서 따온 부사샘이라 부르고, 마을 이름도 부사리라 불렀다.
3rd row옛날 경북 포항 한 마을에 홀어머니와 효자 아들이 살았다. 하루는 병에 걸린 어머니가 홍시가 먹고 싶어 했다. 아들은 대구로 시집간 누나를 찾아가기로 했다. 밤중에 산길을 가는데 호랑이가 나타났다. 사정을 들은 호랑이는 아들을 태워 순식간에 누나에게 데려다주었다. 마침 누나의 집에 홍시가 있어 아들은 그것을 어머니에게 드릴 수 있었다. 이후 효자가 살았던 마을이라 하여 이름을 효자동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4th row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
5th row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 33
33.0%
옛날 경북 포항 한 마을에 홀어머니와 효자 아들이 살았다. 하루는 병에 걸린 어머니가 홍시가 먹고 싶어 했다. 아들은 대구로 시집간 누나를 찾아가기로 했다. 밤중에 산길을 가는데 호랑이가 나타났다. 사정을 들은 호랑이는 아들을 태워 순식간에 누나에게 데려다주었다. 마침 누나의 집에 홍시가 있어 아들은 그것을 어머니에게 드릴 수 있었다. 이후 효자가 살았던 마을이라 하여 이름을 효자동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25
25.0%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지명에 얽힌 유래이다. 조선조 세조, 성종 때 영의정을 했던 한명회의 호를 따서 지은 정자 이름에서 압구정동의 지명이 생겼다. 압구정은 현재 현대아파트 단지 내의 경치 좋은 벼랑 위에 지어졌다고 한다. 겸재 정선이 그린 압구정도가 전한다. 압구정의 원래의 뜻은 '(부귀공명 다 버리고) 해오라기와 벗하여 지내는 정자'라는 뜻이나, 한명회는 이곳에서 왕만 쓸 수 있는 용봉차일을 치고 수령 방백이 보낸 선물에 둘러싸여 지냈다고 한다. 18
18.0%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에 ‘산방산’이 소재해 있다. ‘산방’은 산속의 굴을 뜻하는 말이다. 곧 산방산은 ‘굴이 있는 산’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옛날 제주도에 살던 사냥꾼이 한라산으로 사냥을 갔다. 그런데 한라산이 높다 보니 실수로 옥황상제의 엉덩이를 건드렸다. 화가 난 옥황상제가 한라산 봉우리를 하나 빼 던진 것이 지금의 산방산이 되었다고 한다. 산방산은 제주도 사람들이 신성하게 여겨 무덤을 쓰거나 농사를 짓지를 않았다. 만약 산방산에 무덤을 쓰거나 농사를 지으면 가뭄이 심해진다고 한다. 7
 
7.0%
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의 도미나루는 백제 개루왕의 도미설화에 유래를 두고 있는 지명이다. 하남시는 1989년 광주군에서 분리된 도시로, 팔당댐과 한강을 끼고 있고 넓은 나루를 가지고 있다. 도미의 처가 개루왕을 피해 이 나루에서 배를 타고 천성도로 건너가 도미를 만났다고 한다. 5
 
5.0%
임진왜란 때, 순아라는 처녀가 살던 마을에 왜군이 들이닥쳤다. 순아 아버지는 순아를 데리고 강 건넛마을로 피신하다가 왜군이 쫓아오자 골짜기로 도망쳤다. 순아 아버지가 바윗돌을 굴렸지만 왜군을 맞추지 못했고, 순아가 왜군을 절벽으로 밀어버렸지만 떨어지면서 순아 아버지의 옷자락을 붙잡고 함께 떨어졌다. 순아 역시 왜군이 떨어지면서 던진 칼에 죽었다. 이후 순아와 순아 아버지가 죽은 골짜기를 처녀골이라고 불렀으며 순아가 살던 섬은 순아섬이라고 불렀다. 3
 
3.0%
경기도 북부에는 서울 북쪽의 관문 도시로 알려진 의정부가 있다. 의정부는 도시 이름이기도 하며, 조선 시대 최고의 행정 기관의 명칭이기도 하다. 이러한 행정 기관의 명칭이 도시 이름이 된 까닭은 태종 이방원과 그의 아버지였던 태조 이성계와 연관되어 있다. 조선 초 이방원은 왕위를 차지하기 위해 왕자의 난을 일으킨다. 그러자 이성계는 함흥으로 떠났고, 방원은 아버지를 모시기 위해 사신을 보낸다. 그러나 크게 화가 났던 태조는 보내는 사신들 모두 죽여버렸다. 이후 무학대사의 끈질긴 설득에 마음을 돌린 태조는 다시 한양으로 돌아오다가 지금의 의정부 지역에 머물게 된다. 그때 조정의 대신들이 이곳으로 와서 태조에게 업무를 보고했다고 하여, 이 지역을 ‘의정부’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2
 
2.0%
옛날 백제 때는 부사동이 상부사리와 하부사리로 나뉘어 있었다. 상부사리에는 부용 처녀가, 하부사리에는 사득 총각이 살았다. 둘은 사랑하는 사이로 샘에 물을 길으러 다니며 사랑을 키웠다. 사득이 백제군에 징집되어 가고 얼마 후에 신라군이 쳐들어왔다. 전쟁은 끝이 났으나 사득은 돌아오지 않았고 부용은 기다림에 지쳐서 죽었다. 그 후 마을에 심한 가뭄이 왔다. 어느 날 마을 노인들의 꿈에 부용과 사득이 각각 나타나 영혼 결혼을 시켜주면 샘에 물을 주겠다고 했다. 두 마을에서는 부용과 시득의 영혼결혼식을 올렸고, 샘에서는 물이 펑펑 솟았다. 이 샘을 둘의 이름에서 따온 부사샘이라 부르고, 마을 이름도 부사리라 불렀다. 1
 
1.0%
견훤의 군사가 경주를 함락하자 왕건이 군사를 끌고 출격하였다. 팔공산 동수 지역에서 둘 사이의 전투가 벌어졌다. 후백제군에 포위된 왕건은 목숨이 위태로웠다. 신숭겸이 왕건과 옷을 바꾸어 입고 왕건인 척 후백제군을 속였다. 결국 신숭겸은 전사했고, 목숨을 구한 왕건은 그의 죽음을 기려 지묘사라는 절을 세웠다.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은 지묘사라는 절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1
 
1.0%
울산광역시 북구에 효문동이라는 곳이 있다. 조선시대 전기 무렵 효자로 알려진 ‘송도(宋滔)’와 관련한 지명이다. 송도는 아버지를 여의고, 가난한 집안 형편에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하루는 겨울인데도 어머니가 죽순과 잉어를 먹고 싶다고 하였다. 송도는 인근 마을까지 모두 수소문하였지만 구할 수 없었다. 그러던 중 대나무밭에서 통이 굵은 죽순 한 개가 갑자기 올라오고, 얼었던 강이 깨지면서 잉어가 뛰어올라 어머니를 봉양할 수 있었다고 한다. 1
 
1.0%
Other values (4) 4
 
4.0%

Length

2023-12-10T19:14:06.41158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쌓은 99
 
1.7%
한다 86
 
1.5%
옛날 69
 
1.2%
오누이가 68
 
1.2%
오빠가 66
 
1.1%
산은 66
 
1.1%
동생이 66
 
1.1%
마을에 63
 
1.1%
61
 
1.0%
하여 61
 
1.0%
Other values (695) 5121
87.9%

main_thumb_url
Categorical

Distinct12
Distinct (%)12.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NA>
35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55/70829/64312/c/[효]호랑이도-감동시킨-효자가-살았던-포항시-남구-효자동-thumb.jpg
25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209/72084/64628/c/한명회의-영화가-깃든-압구정-thumb.jpg
18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71/85866/94142/c/%EC%82%B0%EB%B0%A9%EC%82%B0-%283%29_rev-thumb.jpg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3ds/66/84421/84421_thumbnail.jpg
Other values (7)
10 

Length

Max length241
Median length123
Mean length71.49
Min length4

Unique

Unique5 ?
Unique (%)5.0%

Sample

1st row<NA>
2nd row<NA>
3rd row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55/70829/64312/c/[효]호랑이도-감동시킨-효자가-살았던-포항시-남구-효자동-thumb.jpg
4th row<NA>
5th row<NA>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NA> 35
35.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55/70829/64312/c/[효]호랑이도-감동시킨-효자가-살았던-포항시-남구-효자동-thumb.jpg 25
25.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209/72084/64628/c/한명회의-영화가-깃든-압구정-thumb.jpg 18
18.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71/85866/94142/c/%EC%82%B0%EB%B0%A9%EC%82%B0-%283%29_rev-thumb.jpg 7
 
7.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3ds/66/84421/84421_thumbnail.jpg 5
 
5.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32/29418/12454/c/왜군과-함께-처녀가-죽은-부산-처녀골-thumb.jpg 3
 
3.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247/97328/108203/c/조선초또하나의조정이있었던경기도의정부-thumb.jpg 2
 
2.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3ds/55/84410/84410_thumbnail.jpg 1
 
1.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30/73347/71716/c/%ED%9A%A8%EC%9E%90-%EC%86%A1%EB%8F%84%EA%B0%80-%EC%82%B4%EC%95%98%EB%8D%98-%EC%9A%B8%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ED%9A%A8%EB%AC%B8%EB%8F%99-thumb.jpg 1
 
1.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18/73335/71703/c/선관이-주고-간-복숭아씨를-심은-서울시-마포구의-복사골마을-thumb.jpg 1
 
1.0%
Other values (2) 2
 
2.0%

Length

2023-12-10T19:14:06.744253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na 35
35.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55/70829/64312/c/[효]호랑이도-감동시킨-효자가-살았던-포항시-남구-효자동-thumb.jpg 25
25.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209/72084/64628/c/한명회의-영화가-깃든-압구정-thumb.jpg 18
18.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71/85866/94142/c/%ec%82%b0%eb%b0%a9%ec%82%b0-%283%29_rev-thumb.jpg 7
 
7.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3ds/66/84421/84421_thumbnail.jpg 5
 
5.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32/29418/12454/c/왜군과-함께-처녀가-죽은-부산-처녀골-thumb.jpg 3
 
3.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247/97328/108203/c/조선초또하나의조정이있었던경기도의정부-thumb.jpg 2
 
2.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3ds/55/84410/84410_thumbnail.jpg 1
 
1.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30/73347/71716/c/%ed%9a%a8%ec%9e%90-%ec%86%a1%eb%8f%84%ea%b0%80-%ec%82%b4%ec%95%98%eb%8d%98-%ec%9a%b8%ec%82%b0%ea%b4%91%ec%97%ad%ec%8b%9c%ec%9d%98-%ed%9a%a8%eb%ac%b8%eb%8f%99-thumb.jpg 1
 
1.0%
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118/73335/71703/c/선관이-주고-간-복숭아씨를-심은-서울시-마포구의-복사골마을-thumb.jpg 1
 
1.0%
Other values (2) 2
 
2.0%

cntnts_url
Categorical

Distinct14
Distinct (%)14.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
33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35
25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448
18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948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460
Other values (9)
12 

Length

Max length58
Median length57
Mean length57.12
Min length57

Unique

Unique7 ?
Unique (%)7.0%

Sample

1st row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
2nd row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666
3rd row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35
4th row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
5th row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 33
33.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35 25
25.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448 18
18.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948 7
 
7.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460 5
 
5.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254 3
 
3.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8382 2
 
2.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666 1
 
1.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297 1
 
1.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6881 1
 
1.0%
Other values (4) 4
 
4.0%

Length

2023-12-10T19:14:07.02282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 33
33.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35 25
25.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448 18
18.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948 7
 
7.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460 5
 
5.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254 3
 
3.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8382 2
 
2.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666 1
 
1.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297 1
 
1.0%
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6881 1
 
1.0%
Other values (4) 4
 
4.0%

regist_de
Real number (ℝ)

Distinct9
Distinct (%)9.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20192419
Minimum20191018
Maximum20211203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0 KiB
2023-12-10T19:14:07.26236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20191018
5-th percentile20191021
Q120191021
median20191028
Q320191028
95-th percentile20200901
Maximum20211203
Range20185
Interquartile range (IQR)7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4018.2139
Coefficient of variation (CV)0.00019899616
Kurtosis9.3186221
Mean20192419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0
Skewness3.0432056
Sum2.0192419 × 109
Variance16146043
MonotonicityNot monotonic
2023-12-10T19:14:07.53098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9)
ValueCountFrequency (%)
20191028 58
58.0%
20191021 24
24.0%
20200901 7
 
7.0%
20191018 5
 
5.0%
20211203 2
 
2.0%
20191120 1
 
1.0%
20201124 1
 
1.0%
20200720 1
 
1.0%
20201013 1
 
1.0%
ValueCountFrequency (%)
20191018 5
 
5.0%
20191021 24
24.0%
20191028 58
58.0%
20191120 1
 
1.0%
20200720 1
 
1.0%
20200901 7
 
7.0%
20201013 1
 
1.0%
20201124 1
 
1.0%
20211203 2
 
2.0%
ValueCountFrequency (%)
20211203 2
 
2.0%
20201124 1
 
1.0%
20201013 1
 
1.0%
20200901 7
 
7.0%
20200720 1
 
1.0%
20191120 1
 
1.0%
20191028 58
58.0%
20191021 24
24.0%
20191018 5
 
5.0%

core_kwrd_cn
Categorical

Distinct14
Distinct (%)14.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대구 수성
33 
경상북도 포항
25 
인물, 서울 서울 강남
18 
제주
절개, 경기도 경기도 하남시
Other values (9)
12 

Length

Max length17
Median length15
Mean length7.44
Min length2

Unique

Unique7 ?
Unique (%)7.0%

Sample

1st row대구 수성
2nd row연인, 대전
3rd row경상북도 포항
4th row대구 수성
5th row대구 수성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대구 수성 33
33.0%
경상북도 포항 25
25.0%
인물, 서울 서울 강남 18
18.0%
제주 7
 
7.0%
절개, 경기도 경기도 하남시 5
 
5.0%
부산 강서 3
 
3.0%
이성계, 의정부 조선시대 인물 2
 
2.0%
연인, 대전 1
 
1.0%
적 인물, 대구 1
 
1.0%
조선시대 울산광역시 1
 
1.0%
Other values (4) 4
 
4.0%

Length

2023-12-10T19:14:07.86292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서울 37
15.2%
대구 35
14.3%
수성 33
13.5%
경상북도 25
10.2%
포항 25
10.2%
인물 21
8.6%
강남 18
7.4%
경기도 10
 
4.1%
제주 7
 
2.9%
절개 5
 
2.0%
Other values (16) 28
11.5%

opn_de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1.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932.0 B
20220630
100 

Length

Max length8
Median length8
Mean length8
Min length8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20220630
2nd row20220630
3rd row20220630
4th row20220630
5th row20220630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20220630 100
100.0%

Length

2023-12-10T19:14:08.09498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0T19:14:08.26243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20220630 100
100.0%

Sample

data_manage_nosexdstn_cdintrst_realm_nmpge_views_covisit_coctprvn_nmsigngu_nmemd_nmaddrlc_lalc_loarea_nm_dc_cndata_title_nmtheme_nmlwprt_theme_nmcl_nmlwprt_cl_nmsbjt_nmsumry_cnmain_thumb_urlcntnts_urlregist_decore_kwrd_cnopn_de
01F음식 & 다이닝/요리 매니아/간단 요리184<NA>대구광역시수성구만촌동<NA>35.872907128.6469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20191028대구 수성20220630
12260F라이프스타일 & 취미/가족 중심10<NA>대전광역시중구부사동<NA>36.314258127.433825대전광역시 중구의 중앙부 우측에 위치한 동이다. 한밭종합운동장, 충무체육관 등이 있다. 본래 조선시대 공주목 산내면 지역으로 1914년 회덕군 산내면 부사리와 대전리에 편입된 장대리(대전장터) 일부를 합쳐 부사리(芙沙里)로 하여 대전군 외남면에 속하게 하였다. 『호구총수』에 불사리(不死里)가 처음 등장하고 『조선지지자료』에는 한글명 부사리와 한자 표기 불사리(不死里)가 확인된다. 『구한말지형도』와 『구한국행정구역일람』에도 불사리(不死里)로 기록되다가 『신구대조』에서 처음으로 부사리(芙沙里)로 표기된다. 마을에 전해지는 부용리 전설에 의하면 상부사리(부용리)와 하부사리(뗏집거리)에 살았던 처녀 총각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이야기인즉 하부사리에 살던 사득이란 총각과 상부사리에 살던 부용이란 처녀가 서로 사랑하였는데, 사득이 징병을 당해 떠나게 되어 영영 돌아오지 못하게 되자 부용은 선바위 위에서 그를 애타게 기다리다 지쳐 죽었다 한다. 부용이 죽은 뒤 마을에는 혼기(魂氣)가 서리게 되었고, 동네 사람들이 그 혼기를 달래기 위해 매년 칠월칠석날 사득과 부용을 짚으로 만들어 죽은 후라도 서로 만날 수 있도록 거리제를 지내게 되었고 그 이후 마을 이름을 부사리 이전 지명인 부용리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일설에는 부용과 사득의 이름에서 한자씩 떼어 부사리가 되었다고도 한다. 부사리는 1931년 대전읍 승격 이 후 보문정(寶文町)으로 바뀌었고 1935년 부제 실시로 대전부에 속했다가 1946년 부사동으로 개칭되었다. 1977년 구제 실시에 따라 중구에 편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부용과 사득의 샘이 있는 대전 부사리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전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백제 때는 부사동이 상부사리와 하부사리로 나뉘어 있었다. 상부사리에는 부용 처녀가, 하부사리에는 사득 총각이 살았다. 둘은 사랑하는 사이로 샘에 물을 길으러 다니며 사랑을 키웠다. 사득이 백제군에 징집되어 가고 얼마 후에 신라군이 쳐들어왔다. 전쟁은 끝이 났으나 사득은 돌아오지 않았고 부용은 기다림에 지쳐서 죽었다. 그 후 마을에 심한 가뭄이 왔다. 어느 날 마을 노인들의 꿈에 부용과 사득이 각각 나타나 영혼 결혼을 시켜주면 샘에 물을 주겠다고 했다. 두 마을에서는 부용과 시득의 영혼결혼식을 올렸고, 샘에서는 물이 펑펑 솟았다. 이 샘을 둘의 이름에서 따온 부사샘이라 부르고, 마을 이름도 부사리라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66620191120연인, 대전20220630
23F음식 & 다이닝/요리 매니아/간단 요리163<NA>경상북도포항시<NA><NA>36.019033129.34339경상북도의 동남쪽 영일만을 중심으로 있는 시이다. 포항(浦項)은 형산강이 영일만에 이르러 갈라진 칠성강의 목이 되었다는 의미의 순우리말 이름인 개메기를 한자화 한 것이다. '개'는 '물가'라는 뜻이며, '메기'는 좁은 지형을 의미하는 '목'에 대한 이 지역 말이다. 이곳에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석호와 같은 큰 호수가 만들어져 배를 대기가 쉬웠고, 1732년(영조 8)에 함경도에 기근이 들었을 때 구제할 목적으로 경주·영일·장기·흥해·청하의 환곡을 모아두던 포항창(개메기창)을 개설하면서 번성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영일현의 고지도와 지리지에 포항창이 표기되었고, 구한말부터 항구로서 번영하여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 때 포항면이 되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영일현·장기현·흥해군·청하현·신광현·기계현과 죽장부곡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고려시대에 경주의 속현이었던 신광현·기계현과 죽장부곡이 독립하지 못하고 경주의 땅에 속했으며, 1896년의 행정구역 개편 때 신광현 · 기계현과 죽장부곡 지역이 흥해군에 편입되었다. 이어 1914년 영일군·장기군·흥해군·청하군을 합해 영일군으로 만들면서 포항면을 비롯하여 17개 면을 관할하게 하였다. 1938년 어항으로 성장한 포항면이 포항읍으로, 1949년에는 포항시로 승격되었으며, 1995년에는 영일군과 포항시를 합해 통합 포항시가 되었다. 2011년 현재 2구 4읍 10면 15동으로 이루어져 있다.호랑이도 감동시킨 효자가 살았던 포항 효자동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경상북도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경북 포항 한 마을에 홀어머니와 효자 아들이 살았다. 하루는 병에 걸린 어머니가 홍시가 먹고 싶어 했다. 아들은 대구로 시집간 누나를 찾아가기로 했다. 밤중에 산길을 가는데 호랑이가 나타났다. 사정을 들은 호랑이는 아들을 태워 순식간에 누나에게 데려다주었다. 마침 누나의 집에 홍시가 있어 아들은 그것을 어머니에게 드릴 수 있었다. 이후 효자가 살았던 마을이라 하여 이름을 효자동이라고 불렀다고 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55/70829/64312/c/[효]호랑이도-감동시킨-효자가-살았던-포항시-남구-효자동-thumb.jpg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3520191028경상북도 포항20220630
34F미디어 & 엔터테인먼트/독서가142<NA>대구광역시수성구만촌동<NA>35.872907128.6469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20191028대구 수성20220630
45F라이프스타일 & 취미/친환경 라이프스타일136<NA>대구광역시수성구만촌동<NA>35.872907128.6469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20191028대구 수성20220630
56M라이프스타일 & 취미/아웃도어 매니아123<NA>대구광역시수성구만촌동<NA>35.872907128.6469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20191028대구 수성20220630
67M뉴스 & 정치/열렬한 뉴스 독자121<NA>서울특별시강남구압구정동<NA>37.530642127.030713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조선왕조실록』성종대에“한명회가압구정에서 중국 사신을 맞이하려 하였으나 왕이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는 기록에서 압구라는 지명을 처음 확인할 수 있다. 동 이름은 이곳에 조선 세조 때 한명회의 압구정이라는 정자가 있었기 때문에 생겼다. 압구(狎鷗)는한명회의호이다.“ 세상일다버리고강가에서살며갈매기와 아주 친하게 지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彦州面) 압구정리였다.『호구총수』에서도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1914년 옥곡(玉谷)을 병합하여 그대로 압구정리로 칭하였다. 1963년 성동구 압구정동이 되었고, 1973년 영동출판소가 신설되면서 편입되었다. 1975년 강남구가 신설되어 이에속하게 되었다. 법정동으로 신사동과 압구정동을 관할하고 있고, 행정동으로 신사동과 압구정1·2동이 있다한명회의 영화가 깃든 서울 압구정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서울 지역의 지명유래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지명에 얽힌 유래이다. 조선조 세조, 성종 때 영의정을 했던 한명회의 호를 따서 지은 정자 이름에서 압구정동의 지명이 생겼다. 압구정은 현재 현대아파트 단지 내의 경치 좋은 벼랑 위에 지어졌다고 한다. 겸재 정선이 그린 압구정도가 전한다. 압구정의 원래의 뜻은 '(부귀공명 다 버리고) 해오라기와 벗하여 지내는 정자'라는 뜻이나, 한명회는 이곳에서 왕만 쓸 수 있는 용봉차일을 치고 수령 방백이 보낸 선물에 둘러싸여 지냈다고 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209/72084/64628/c/한명회의-영화가-깃든-압구정-thumb.jpg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44820191021인물, 서울 서울 강남20220630
72261F뷰티 & 웰빙/뷰티 전문가10<NA>경기도의정부시<NA><NA>37.738078127.033764경기도 북부에 있는 시이다. 남쪽으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원 구와 시계를 이루고 있는 서울 북쪽의 관문도시로서 동서 쪽에 수락산과 도봉산이 있다. 의정부동·호원동·장암동·신곡동·송산동 등 15개 행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시에 대한 기존의 지명유래인‘태조환궁설화’는 역사적 실제로서는 관련이 없으며, 지명은‘둔야(屯夜)’와 관련 하여 발생하였다고 한다. 곧 이 지역에 의정부(議政府) 소속의‘의정부둔(議政府屯)’이 설치되어 있었고, 이로부터 유래하여‘의정부’라는 지명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김정호가 만든『대동여지도』에도‘의정부(議政府)’가 아닌 ‘의정부(意情埠)’로 표기하여 이를 의미상 명백히 구분하였다.『대동지지』에‘둔야는 처음이 15리이고 끝이 30리’ 라고 되어 있다. 1963년에 의정부시가 분리, 독립될 때까지 이 지역은 양주(楊州)의 영역이었다.『삼국사기』에 “삼국시대에는 백제(또는 고구려라고도 함)의 매성군(買城郡) 또는 창화군(昌化郡)·마홀(馬忽)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16년에 내소군(來蘇郡)으로 고쳤다.”는 기록이 보인 다.『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고려 초에는 승격하여서 견주(見州)라 하였고 현종 9년에는 양주에 예속시켰다. 조선 건국 후 태조 3년(1394)에 수도를 한양(漢陽)에 정하고 한성부(漢城府)를 설치하게 됨에 따라 양주로 강등되 었다. 읍의 중심지를 견주의 옛터로 옮기고 태종 13년 (1413)에 양주도호부로 승격되었다. 세조 12년(1466)에 양주목으로 승격되고 진(鎭)을 두었다.”고 한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1895년에 한성부 양주군, 1896년에 경기도 양주군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시북면· 둔야면이 통합된 시둔면(柴屯面)이 지금의 의정부시의 기반이 되었다.태조 이성계가 한양으로 돌아가지 않고 머물렀던 경기도 의정부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어문학경기도 지역의 지명유래경기도 북부에는 서울 북쪽의 관문 도시로 알려진 의정부가 있다. 의정부는 도시 이름이기도 하며, 조선 시대 최고의 행정 기관의 명칭이기도 하다. 이러한 행정 기관의 명칭이 도시 이름이 된 까닭은 태종 이방원과 그의 아버지였던 태조 이성계와 연관되어 있다. 조선 초 이방원은 왕위를 차지하기 위해 왕자의 난을 일으킨다. 그러자 이성계는 함흥으로 떠났고, 방원은 아버지를 모시기 위해 사신을 보낸다. 그러나 크게 화가 났던 태조는 보내는 사신들 모두 죽여버렸다. 이후 무학대사의 끈질긴 설득에 마음을 돌린 태조는 다시 한양으로 돌아오다가 지금의 의정부 지역에 머물게 된다. 그때 조정의 대신들이 이곳으로 와서 태조에게 업무를 보고했다고 하여, 이 지역을 ‘의정부’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247/97328/108203/c/조선초또하나의조정이있었던경기도의정부-thumb.jpg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838220211203이성계, 의정부 조선시대 인물20220630
89M라이프스타일 & 취미/친환경 라이프스타일120<NA>대구광역시수성구만촌동<NA>35.872907128.6469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20191028대구 수성20220630
910F미디어 & 엔터테인먼트/TV 애호가119<NA>대구광역시수성구만촌동<NA>35.872907128.6469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20191028대구 수성20220630
data_manage_nosexdstn_cdintrst_realm_nmpge_views_covisit_coctprvn_nmsigngu_nmemd_nmaddrlc_lalc_loarea_nm_dc_cndata_title_nmtheme_nmlwprt_theme_nmcl_nmlwprt_cl_nmsbjt_nmsumry_cnmain_thumb_urlcntnts_urlregist_decore_kwrd_cnopn_de
9091M뉴스 & 정치/열렬한 뉴스 독자/열렬한 정치 뉴스 독자56<NA>대구광역시수성구만촌동<NA>35.872907128.6469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20191028대구 수성20220630
9192F음식 & 다이닝/요리 매니아/간단 요리56<NA>대구광역시남구<NA><NA>35.846018128.597455대구광역시의 남편에 위치한 구이다. 수성·달서·중구 및 달성군으로 둘러싸여 있다. 남부는 대구분지의 남쪽을 둘러싸는 앞산(659m)이 자리 잡고 있다. 3개의 법정동과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된다. 신라시대에는 대구지역의 중심역할을 했던 수성군(壽城郡)에 속하였다. 당시 대구현은 수성군의 속현이었다. 조선시대 달성군 수성면(壽城面)에 속하였다. 1917년 수성면의 봉덕동과 대명동의 일부가 대구부의 대봉동으로 편입되었고, 1938년 대구부역 확장에 따라 달성군 수성면의 봉덕동과 대명동 전부가 대구부로 편입되었다. 1951년 대구시 남부출장소(南部出張所)가 신설되었고, 1963년 대구시 남구(南區)로 승격되었다. 1980년 남산동과 대봉동 일부가 중구에 편입되었다. 1981년 대구직할시 남구가 되고, 달성군 월배읍 일원이 남구에 편입되었다. 1988년 달서구가 신설되면서 월배지역이 달서구로 편입되었다. 1995년 대구광역시 남구로 승격되었다.우물 세 개가 있는 대구 삼정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대구광역시 남구 봉산 3동에는 삼정골이라는 마을이 있다. 이 마을에는 우물 두 개가 있었는데 마을 주민이 차츰 늘어나면서 그것으로는 식수를 해결할 수 없었다. 새로 우물을 파려고 노력을 했지만 쉽지 않았다. 마을 연장자가 산신령에게 100일 기도를 올리고, 100일이 다 되어 갈 때쯤 꿈에 산신령이 나타나, 숭늉물에 먹을 풀어 양동이에 담은 후, 한밤중에 별 세 개가 비치는 곳을 찾아 파보라고 했다. 산신령이 시키는 대로 하자 마침내 차고 맑은 우물을 얻을 수 있었다. 그때부터 기존 우물 두 개에 새로운 우물 하나를 더해 우물 세 개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삼정골이라 불리게 되었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31/29417/12453/c/우물-세-개가-있는-대구-삼정골-thumb.jpg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26420191018남구 대구20220630
9293M테크놀로지/기술애호가55<NA>대구광역시수성구만촌동<NA>35.872907128.6469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20191028대구 수성20220630
9394M음식 & 다이닝/요리 매니아/간단 요리55<NA>경기도하남시<NA><NA>37.539301127.214874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한 시이다. 시의 동쪽 한강변에 검단산(黔丹山)이 있다. 조선시대 광주부 동부면(東部面)과 서부면(西部面) 일대이다. 『삼국사기』에 백제 건국과 관련하여 “북으로 한수(漢水)를 두루고 동으로는 높은 산을 의지했으며, 남으로는 기름진 땅을 바라보고, 서로는 대해가 막혔으니 그 위치가 쉽게 얻기 어려운 형국이라 여기에 도읍을 정함이 좋겠다.…… 온조는 한수 남쪽(河南)의 위례성(慰禮城)에 도읍을 정하고 열 명의 신하를 보좌로 삼아 국호를 십제(十濟)라 하였다.”는 기록이 처음 수록된다. 1980년 동부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9년 광주군 동부읍·서부면·중부면 상산곡리를 합쳐 하남시로 승격되었다. 덕풍동·감부동·춘궁동·신장동·초이동 등 10개 행정동과 24개 법정 동을 관할한다. 경기하남중학교·하남고등학교·하남로·하남인터체인지 등에서 관련 지명을 엿볼 수 있다.도미의 전설이 깃든 하남 도미나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경기도 지역의 지명유래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의 도미나루는 백제 개루왕의 도미설화에 유래를 두고 있는 지명이다. 하남시는 1989년 광주군에서 분리된 도시로, 팔당댐과 한강을 끼고 있고 넓은 나루를 가지고 있다. 도미의 처가 개루왕을 피해 이 나루에서 배를 타고 천성도로 건너가 도미를 만났다고 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3ds/66/84421/84421_thumbnail.jpg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46020191021절개, 경기도 경기도 하남시20220630
9495F라이프스타일 & 취미/친환경 라이프스타일55<NA>경기도하남시<NA><NA>37.539301127.214874경기도의 중동부에 위치한 시이다. 시의 동쪽 한강변에 검단산(黔丹山)이 있다. 조선시대 광주부 동부면(東部面)과 서부면(西部面) 일대이다. 『삼국사기』에 백제 건국과 관련하여 “북으로 한수(漢水)를 두루고 동으로는 높은 산을 의지했으며, 남으로는 기름진 땅을 바라보고, 서로는 대해가 막혔으니 그 위치가 쉽게 얻기 어려운 형국이라 여기에 도읍을 정함이 좋겠다.…… 온조는 한수 남쪽(河南)의 위례성(慰禮城)에 도읍을 정하고 열 명의 신하를 보좌로 삼아 국호를 십제(十濟)라 하였다.”는 기록이 처음 수록된다. 1980년 동부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9년 광주군 동부읍·서부면·중부면 상산곡리를 합쳐 하남시로 승격되었다. 덕풍동·감부동·춘궁동·신장동·초이동 등 10개 행정동과 24개 법정 동을 관할한다. 경기하남중학교·하남고등학교·하남로·하남인터체인지 등에서 관련 지명을 엿볼 수 있다.도미의 전설이 깃든 하남 도미나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경기도 지역의 지명유래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의 도미나루는 백제 개루왕의 도미설화에 유래를 두고 있는 지명이다. 하남시는 1989년 광주군에서 분리된 도시로, 팔당댐과 한강을 끼고 있고 넓은 나루를 가지고 있다. 도미의 처가 개루왕을 피해 이 나루에서 배를 타고 천성도로 건너가 도미를 만났다고 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3ds/66/84421/84421_thumbnail.jpg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46020191021절개, 경기도 경기도 하남시20220630
9596M음식 & 다이닝/요리 매니아/간단 요리54<NA>전라남도곡성군<NA><NA>35.282017127.291978전라남도의 동북단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구례군, 서쪽은 담양군·화순군, 남쪽은 순천시, 북쪽은 전라북도 남원시·순창군에 접한다. 지리산 자락에서 이어지는 고도 약 400~700m의 구릉성 산지들이 분포한다. 섬진강이 군의 동북부를 관류하여 비옥한 충적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압록 부근에서 섬진강과 보성강이 합류하여 구례로 흘러간다. 보성강은 일명 대황강이라고도 불린다. 현재 1개 읍 10개 면을 관할하고 있다. 현재의 곡성군은 조선시대 곡성현과 옥과현의 영역이 합쳐진 것이다. 『삼국사기지리지』에 “본래 백제 욕내군(欲乃郡)이었는데, 경덕왕이 곡성군으로 이름을 고쳤고 영현이 셋이었다. 부유현(富有縣)은 원래 백제 둔지현(遁支縣), 구례현은 백제 구차례현, 동복현은 백제 두부지현이었는데 모두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지리지』에는“고려 초에 승평군의 속군이 되었다가 그 뒤에 내속하여 명종 2년에 감무를 두었다. 별호는 욕천이라고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옥과현은 『고려사지리지』에 “본래 백제의 과지현(果支縣)으로 신라 경덕왕이 지금 이름으로 고쳐 추성군의 영현으로 삼았고 고려 촌에 내속하여 명종 2년에 감무를 두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대동지지』에는 “고려 신우 5년 왜구가 곡성에 쳐들어왔다. 조선 선조 26년에 왜군이 순자강을 건너 곡성의 촌락을 불살랐다”는 기록이 있다. 1914년 창평군(이전의 옥과군)의 옥산·수면·입면 등의 6개 면과 구례군의 고달면, 순천시 주암면 일부와 남원군 금안면 일부를 병합하였다. 1983년 석곡면 운룡리가 승주군 주암면에 편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골 많은 골짜기에서 곡소리 나는 마을이 된 전라남도 곡성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전라남도 지역의 지명유래전라남도의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곡성군(谷城郡)’이 있다. 곡성군의 옛 이름은 ‘욕내(欲乃)’ 또는 ‘욕천(欲川)’이었다. 현재와 같이 ‘곡성’이라 부른 것은 757년 무렵으로 알려져 있다. 옛날 곡성에 성품이 좋지 못한 부부가 살고 있었다. 이들 부부는 나그네들을 ‘곡소리’로 현혹해 돈과 물건을 빼앗았다. 그런데 한 소금 장수에게 부부의 행위가 들통이 나서 죽게 되고, 곡소리는 더 이상 들리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마을 사람들이 지명을 ‘곡성(哭聲)’으로 불렀다고 한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662420201013전라남도 권선징악 설화20220630
9697F미디어 & 엔터테인먼트/독서가54<NA>서울특별시강남구압구정동<NA>37.530642127.030713서울특별시 강남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조선왕조실록』성종대에“한명회가압구정에서 중국 사신을 맞이하려 하였으나 왕이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는 기록에서 압구라는 지명을 처음 확인할 수 있다. 동 이름은 이곳에 조선 세조 때 한명회의 압구정이라는 정자가 있었기 때문에 생겼다. 압구(狎鷗)는한명회의호이다.“ 세상일다버리고강가에서살며갈매기와 아주 친하게 지낸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彦州面) 압구정리였다.『호구총수』에서도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1914년 옥곡(玉谷)을 병합하여 그대로 압구정리로 칭하였다. 1963년 성동구 압구정동이 되었고, 1973년 영동출판소가 신설되면서 편입되었다. 1975년 강남구가 신설되어 이에속하게 되었다. 법정동으로 신사동과 압구정동을 관할하고 있고, 행정동으로 신사동과 압구정1·2동이 있다한명회의 영화가 깃든 서울 압구정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서울 지역의 지명유래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동의 지명에 얽힌 유래이다. 조선조 세조, 성종 때 영의정을 했던 한명회의 호를 따서 지은 정자 이름에서 압구정동의 지명이 생겼다. 압구정은 현재 현대아파트 단지 내의 경치 좋은 벼랑 위에 지어졌다고 한다. 겸재 정선이 그린 압구정도가 전한다. 압구정의 원래의 뜻은 '(부귀공명 다 버리고) 해오라기와 벗하여 지내는 정자'라는 뜻이나, 한명회는 이곳에서 왕만 쓸 수 있는 용봉차일을 치고 수령 방백이 보낸 선물에 둘러싸여 지냈다고 한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209/72084/64628/c/한명회의-영화가-깃든-압구정-thumb.jpg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44820191021인물, 서울 서울 강남20220630
9798M쇼핑객/가치 쇼핑객54<NA>대구광역시수성구만촌동<NA>35.872907128.6469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20191028대구 수성20220630
9899M차량 및 운송/자동차 매니아54<NA>대구광역시수성구만촌동<NA>35.872907128.6469대구광역시 수성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금호강을 경계로 동구와 분리된다. 범어·황금·고산동 등과 이웃한다. 대구산업정보대를 비롯해서 대구시립효목도서관·효목공원·만촌공원 등이 위치한다. 주요 문화재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원병왔던 명(明)의 장수 두사충의 후손이 선조를 위해 건립한 모명재(慕明齋)가 있다. 원래 대구부 수북(守北)면 지역이었다. 1914년 각계동·지장곡을 합하여 만촌동이라 하고, 달성군 수성면에 편입시켰다. 1938년 대구부에 편입되고, 1963년 동부출장소가 동구로 승격되면서 대구시 동구에 편입되었다. 1980년 수성구가 신설되면서 동구에서 분리되어 수성구 소속이 되었다. 1992년 만촌2동이 만촌2·만촌3동으로 나누어졌다. 만촌동 일대는 과거에 구릉지대로 여러 개의 골짜기가 발달하였다. 이곳은 임진왜란 전후로 옥천 전씨가 처음 입향한 곳이다. 1650년경, 달성 하씨·달성 서씨 등이 세거하면서 학문에만 몰두한 나머지 생업에는 등한시하였다. 따라서 농사를 비롯한 모든 생업과 관련된 일들이 늦게 이뤄져서 마을 이름도 '늦이'가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에 의하면 마을 주변의 산세가 느즈러져 '느지미'·'느짐'·'느지' 등으로 불리면서 한자어인 '만촌(晩村)'이 되었다고도 한다.힘센 남매가 쌓은 두 봉우리, 대구 형제봉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대구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한 마을에 힘센 오누이가 살았다. 하루는 오누이가 산 쌓기 내기를 벌였다. 오빠는 옷섶으로, 여동생은 치마폭으로 흙을 날랐다. 해 질 무렵이 되자 동생의 산이 오빠의 산보다 높이 올라갔다. 심술이 난 오빠가 동생이 쌓은 산의 허리를 깎아버렸다. 이때부터 오빠가 쌓은 산은 형봉, 동생이 쌓은 산은 제봉이라 하여, 이 두 봉우리를 형제봉이라고 불렀고, 형제봉 아랫마을을 형제봉골이라고 불렀다.<NA>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52320191028대구 수성20220630
99100F음식 & 다이닝/요리 매니아/간단 요리54<NA>울산광역시동구<NA><NA>35.504845129.416629울산광역시의 동부에 위치한 구이다. 동구는 시의 동쪽에 위치한 까닭에 붙은 지명이다. 방어동·대송동·일산동·남목1~3동·전하1~2동·화정동 등 9개 동을 관할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동면(東面)으로 부르던 지역인데 1936년 일본인의 유입으로 인구가 급증하면서 방어진읍이 되었다. 1985년 구제 실시 때 중구에 포함되었다가 1997년 광역시가 되면서 동구로 승격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이 부근 일대에 국가 경영의 목장이 있었고, 천내봉수대가 남쪽의 가리산과 북쪽의 남목천봉수대를 이어주던 곳이다. 『광여도』(울산)에는 동면 외에도 남목봉(南木烽), 마성(馬城), 목관(牧官), 목장(牧場) 등을 기록하고 있어 과거 목장 지역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해를 끼고 있어 대왕암공원 등의 암석해안이 발달하고, 일산동에는 소규모의 사빈해안이 나타난다. 방어진을 중심으로 수산업이 성하고, 주전동 연안은 미역 양식업을 하고 있다. 구의 동부 해안 대부분을 현대중공업이 자리잡으면서 조선업이 산업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오누이가 삼을 캐어 부모님의 병을 고쳤다는 울산 삼밭골생활문화지명유래구비전승·어문학지명유래울산 지역의 지명유래옛날 울산의 어느 마을에 오누이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부모님이 병에 걸려 자리에 눕고 말았다.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해보았지만 부모님의 병은 깊어지기만 했다. 그러던 어느 겨울날, 탁발 온 스님이 오누이에게 산삼을 캐어 부모님께 드려보라고 조언을 해주었다. 오누이는 눈 덮인 산에 올랐지만 산삼을 발견하지 못하고 무를 캐서 부모님께 뭇국을 끓여드렸다. 그랬더니 부모님의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 알고 보니 그것이 산삼이었다. 이후 오누이가 산삼을 캔 곳을 삼밭골이라 부르게 되었다.https://minio.nculture.org/amsweb-opt/multimedia_assets/35/29421/12457/c/[효]-오누이가-삼을-캐어-부모님의-병을-고쳤다는-울산시-서부동-삼밭골-thumb.jpg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28420191018효, 울산2022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