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5
Number of observations153
Missing cells1
Missing cells (%)0.1%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6.3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41.9 B

Variable types

Numeric1
Categorical1
Text3

Dataset

Description영동군 마을유래비를 읍면별(영동읍부터 심천면까지) 유래/명칭/위치 및 유래비 소개를 자세하게 서술한 데이터입니다.
Author충청북도 영동군
URLhttps://www.data.go.kr/data/3070005/fileData.do

Alerts

순번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3-12-12 16:05:07.303945
Analysis finished2023-12-12 16:05:08.939924
Duration1.64 second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순번
Real number (ℝ)

UNIQUE 

Distinct153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Infinite0
Infinite (%)0.0%
Mean77
Minimum1
Maximum153
Zeros0
Zeros (%)0.0%
Negative0
Negative (%)0.0%
Memory size1.5 KiB
2023-12-13T01:05:09.05289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Quantile statistics

Minimum1
5-th percentile8.6
Q139
median77
Q3115
95-th percentile145.4
Maximum153
Range152
Interquartile range (IQR)76

Descriptive statistics

Standard deviation44.311398
Coefficient of variation (CV)0.5754727
Kurtosis-1.2
Mean77
Median Absolute Deviation (MAD)38
Skewness0
Sum11781
Variance1963.5
MonotonicityStrictly increasing
2023-12-13T01:05:09.23798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with fixed size bins (bins=50)
ValueCountFrequency (%)
1 1
 
0.7%
106 1
 
0.7%
99 1
 
0.7%
100 1
 
0.7%
101 1
 
0.7%
102 1
 
0.7%
103 1
 
0.7%
104 1
 
0.7%
105 1
 
0.7%
107 1
 
0.7%
Other values (143) 143
93.5%
ValueCountFrequency (%)
1 1
0.7%
2 1
0.7%
3 1
0.7%
4 1
0.7%
5 1
0.7%
6 1
0.7%
7 1
0.7%
8 1
0.7%
9 1
0.7%
10 1
0.7%
ValueCountFrequency (%)
153 1
0.7%
152 1
0.7%
151 1
0.7%
150 1
0.7%
149 1
0.7%
148 1
0.7%
147 1
0.7%
146 1
0.7%
145 1
0.7%
144 1
0.7%

읍면
Categorical

Distinct18
Distinct (%)11.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3 KiB
황간면
20 
심천면
18 
매곡면
16 
양강면
15 
학산면
13 
Other values (13)
71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3
Mean length3.1176471
Min length3

Unique

Unique6 ?
Unique (%)3.9%

Sample

1st row심천면
2nd row심천면
3rd row심천면
4th row심천면
5th row심천면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황간면 20
13.1%
심천면 18
11.8%
매곡면 16
10.5%
양강면 15
9.8%
학산면 13
8.5%
상촌면 13
8.5%
영동읍 12
7.8%
용산면 12
7.8%
추풍령면 10
6.5%
용화면 9
5.9%
Other values (8) 15
9.8%

Length

2023-12-13T01:05:09.39356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ValueCountFrequency (%)
황간면 22
14.4%
심천면 19
12.4%
매곡면 17
11.1%
양강면 16
10.5%
학산면 13
8.5%
상촌면 13
8.5%
영동읍 13
8.5%
용산면 13
8.5%
추풍령면 10
6.5%
용화면 10
6.5%
Distinct152
Distinct (%)99.3%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3 KiB
2023-12-13T01:05:09.69641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4
Median length19
Mean length12.810458
Min length2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960
Distinct characters309
Distinct categories6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5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51 ?
Unique (%)98.7%

Sample

1st row금정1리(錦汀1里) 금촌 마을 자랑비
2nd row태소(太沼) 마을 유래비
3rd row기호리(耆湖里) 마을 유래비
4th row마곡리(麻谷里) 삼실 유래비
5th row장동2리(獐洞2里) 차곡 애향비
ValueCountFrequency (%)
마을 53
 
13.6%
유래비 45
 
11.5%
마을유래비 40
 
10.2%
자랑비 29
 
7.4%
마을자랑비 5
 
1.3%
애향비 3
 
0.8%
죽촌리(竹村里 2
 
0.5%
구교리 2
 
0.5%
愛鄕碑 2
 
0.5%
원당 2
 
0.5%
Other values (204) 208
53.2%
2023-12-13T01:05:10.16051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38
 
12.1%
134
 
6.8%
131
 
6.7%
125
 
6.4%
117
 
6.0%
97
 
4.9%
( 96
 
4.9%
) 96
 
4.9%
93
 
4.7%
79
 
4.0%
Other values (299) 754
38.5%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495
76.3%
Space Separator 239
 
12.2%
Open Punctuation 96
 
4.9%
Close Punctuation 96
 
4.9%
Decimal Number 33
 
1.7%
Other Punctuation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34
 
9.0%
131
 
8.8%
125
 
8.4%
117
 
7.8%
97
 
6.5%
93
 
6.2%
79
 
5.3%
40
 
2.7%
36
 
2.4%
17
 
1.1%
Other values (291) 626
41.9%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2 19
57.6%
1 13
39.4%
3 1
 
3.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38
99.6%
  1
 
0.4%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6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6
100.0%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236
63.1%
Common 465
 
23.7%
Han 259
 
13.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34
 
10.8%
131
 
10.6%
125
 
10.1%
117
 
9.5%
97
 
7.8%
93
 
7.5%
40
 
3.2%
36
 
2.9%
17
 
1.4%
16
 
1.3%
Other values (168) 430
34.8%
Han
ValueCountFrequency (%)
79
30.5%
8
 
3.1%
7
 
2.7%
5
 
1.9%
5
 
1.9%
5
 
1.9%
5
 
1.9%
4
 
1.5%
3
 
1.2%
3
 
1.2%
Other values (113) 135
52.1%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38
51.2%
( 96
20.6%
) 96
20.6%
2 19
 
4.1%
1 13
 
2.8%
, 1
 
0.2%
  1
 
0.2%
3 1
 
0.2%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236
63.1%
ASCII 464
 
23.7%
CJK 251
 
12.8%
CJK Compat Ideographs 8
 
0.4%
None 1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38
51.3%
( 96
20.7%
) 96
20.7%
2 19
 
4.1%
1 13
 
2.8%
, 1
 
0.2%
3 1
 
0.2%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34
 
10.8%
131
 
10.6%
125
 
10.1%
117
 
9.5%
97
 
7.8%
93
 
7.5%
40
 
3.2%
36
 
2.9%
17
 
1.4%
16
 
1.3%
Other values (168) 430
34.8%
CJK
ValueCountFrequency (%)
79
31.5%
8
 
3.2%
7
 
2.8%
5
 
2.0%
5
 
2.0%
5
 
2.0%
5
 
2.0%
4
 
1.6%
3
 
1.2%
3
 
1.2%
Other values (105) 127
50.6%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1
12.5%
1
12.5%
1
12.5%
1
12.5%
1
12.5%
1
12.5%
1
12.5%
1
12.5%
None
ValueCountFrequency (%)
  1
100.0%

위치
Text

Distinct143
Distinct (%)93.5%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1.3 KiB
2023-12-13T01:05:10.42556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7
Median length22
Mean length10.699346
Min length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637
Distinct characters216
Distinct categories6 ?
Distinct scripts3 ?
Distinct blocks4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37 ?
Unique (%)89.5%

Sample

1st row금촌 마을 入口
2nd row태소 마을 입구 公園
3rd row지쟁이 마을 入口
4th row삼실마을 느티나무 옆
5th row차곡 마을 경로당 정원
ValueCountFrequency (%)
마을 51
 
12.6%
입구(入口 23
 
5.7%
23
 
5.7%
12
 
3.0%
마을회관 9
 
2.2%
入口 8
 
2.0%
동구(洞口 8
 
2.0%
느티나무 7
 
1.7%
입구 7
 
1.7%
황간면 5
 
1.2%
Other values (201) 252
62.2%
2023-12-13T01:05:10.81841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57
 
15.7%
86
 
5.3%
81
 
4.9%
74
 
4.5%
( 52
 
3.2%
) 52
 
3.2%
45
 
2.7%
40
 
2.4%
36
 
2.2%
33
 
2.0%
Other values (206) 881
53.8%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120
68.4%
Space Separator 257
 
15.7%
Decimal Number 131
 
8.0%
Open Punctuation 52
 
3.2%
Close Punctuation 52
 
3.2%
Dash Punctuation 25
 
1.5%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86
 
7.7%
81
 
7.2%
74
 
6.6%
45
 
4.0%
40
 
3.6%
36
 
3.2%
33
 
2.9%
32
 
2.9%
28
 
2.5%
28
 
2.5%
Other values (192) 637
56.9%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22
16.8%
4 17
13.0%
2 16
12.2%
3 12
9.2%
7 12
9.2%
6 11
8.4%
8 11
8.4%
0 10
7.6%
5 10
7.6%
9 10
7.6%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57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2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52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25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987
60.3%
Common 517
31.6%
Han 133
 
8.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86
 
8.7%
81
 
8.2%
74
 
7.5%
45
 
4.6%
36
 
3.6%
33
 
3.3%
28
 
2.8%
28
 
2.8%
25
 
2.5%
22
 
2.2%
Other values (170) 529
53.6%
Han
ValueCountFrequency (%)
40
30.1%
32
24.1%
9
 
6.8%
8
 
6.0%
8
 
6.0%
6
 
4.5%
6
 
4.5%
3
 
2.3%
3
 
2.3%
3
 
2.3%
Other values (12) 15
 
11.3%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57
49.7%
( 52
 
10.1%
) 52
 
10.1%
- 25
 
4.8%
1 22
 
4.3%
4 17
 
3.3%
2 16
 
3.1%
3 12
 
2.3%
7 12
 
2.3%
6 11
 
2.1%
Other values (4) 41
 
7.9%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987
60.3%
ASCII 517
31.6%
CJK 131
 
8.0%
CJK Compat Ideographs 2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57
49.7%
( 52
 
10.1%
) 52
 
10.1%
- 25
 
4.8%
1 22
 
4.3%
4 17
 
3.3%
2 16
 
3.1%
3 12
 
2.3%
7 12
 
2.3%
6 11
 
2.1%
Other values (4) 41
 
7.9%
Hangul
ValueCountFrequency (%)
86
 
8.7%
81
 
8.2%
74
 
7.5%
45
 
4.6%
36
 
3.6%
33
 
3.3%
28
 
2.8%
28
 
2.8%
25
 
2.5%
22
 
2.2%
Other values (170) 529
53.6%
CJK
ValueCountFrequency (%)
40
30.5%
32
24.4%
9
 
6.9%
8
 
6.1%
8
 
6.1%
6
 
4.6%
6
 
4.6%
3
 
2.3%
3
 
2.3%
3
 
2.3%
Other values (11) 13
 
9.9%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2
100.0%
Distinct152
Distinct (%)100.0%
Missing1
Missing (%)0.7%
Memory size1.3 KiB
2023-12-13T01:05:11.11109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024
Median length812
Mean length739.83553
Min length169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12455
Distinct characters1881
Distinct categories13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9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52 ?
Unique (%)100.0%

Sample

1st row우리 금정 마을은 지금부터 500여년전 梨亭 閔普光께서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전해오고 있으며 마을 입구에 觀漁臺는 기암이 휘어 감고 맴돌며 벼랑 위에는 송림이 우거져 있어 고기가 노니는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으로 절경중의 절경이며 명승지이다. 淑夫人 河東鄭氏는 열행이 지극하여 1471년 성종대왕께서 정려를 하사 하시여 마을입구에 정문을 건립하고 후손들이 숭모하여 효행을 실천하고 있으며 500년을 이어오며 마을에서 배출한 주요 인물로는 황해병마절도사를 지낸 梨亭公의 손자 安迪, 가정대부로 황해감사를 지낸 5대손 泮, 四대 五대 국회의원을 지낸 17대손 壯植이 있으며 이후 후손들이 번창 오늘에 이르기까지 마을 전 주민이 화합 단결하여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요원의 불길처럼 일 때 1975년도에는 31㏊의 경지정리를 완료하여 획기적인 식량증산으로 농가소득을 증대하였으며 77년 11월 13일에는 새마을의 금자탑인 경제동향보고 마을로 지정 대통령 표창을 받아 전국 최우수 마을의 영광을 차지하여 경향 각지 각 마을의 추앙을 받기도 하였음. 오늘에 이르러서는 위와 같이 새마을정신이 경로효친 사상으로 배가되어 매년 경로 행사를 실시하는 등 충효를 마을에 새 정신으로 승화 실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조들의 열행 및 업적 마을의 수려한 경관 근면, 자조, 협동하는 새마을 정신의 뜻을 비에 새겨 후손에 길이 보전하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이를 본받고 긍지를 같게 하기 위하여 이 자랑비를 세우도다.
2nd row기호리耆湖里 태소동太沼洞은 동東은 맑은 금강물이 유유히 흐르고 서西는 마곡리麻谷里 남南은 청남淸南 죽산리竹山里 북北은 금정리錦汀里와 인접하고 있으며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이 홍건적紅巾賊의 난을 피하여 머물렀다는 어류산御留山이 등운동登雲洞을 끼고 서남으로 길게 뻗쳐 있고 북쪽에는 국사봉國士峰이 우뚝 솟아 마을을 포근히 감싸고 있다. 조선시대朝鮮時代 영조英祖35년 1759부터 순종純宗3년 1909까지 영동현永同縣 서이면西二面에 속해 있다가 1914년 부군폐합령府郡廢合令에 의해 영동군永同郡 심천면 深川면 기호리 耆湖里 태소동 太沼洞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태소동 太沼洞은 지금부터 632년전 대제학 大提學 문간공 文簡公 박시용 朴時庸 선생이 영동에 입향 入鄕하시어 유택 幽宅을 모시면서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 그후 후손들이 번창하여 조선조 朝鮮朝에서는 악성 樂聖 문헌공 文獻公 대제학 大提學 난계 蘭溪 박연 朴堧 선생을 비롯하여 단종절신 端宗節臣 이조판서 吏曹判書 국당 菊堂 박흥생 朴興生 선생 이요당 二樂堂 박흥거 朴興居 선생 등 이 고장 삼현 三賢으로 각 서원 書院에 배향 配享되었으며 그 후손으로 대통령비서실장을 역임하였고 5선 국회의원인 朴寬用과 財界에는 범양건영(주) 대표 朴喜宅과 희창유업사 대표 朴喜榮이 있고 이 고장 太沼 출생자로는 영동군 초대 역대 32대 민선 朴完珍 군수가 배출되었으며 대전 (주)한일 대표 朴恩用과 사법고시 34회에 합격한 朴佑宗의 고향이기도 하다. 우리 후손들은 나라에 忠誠하고 부모에 孝道하며 이웃간 和睦해야 한다. 또한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이 땅을 알뜰하게 가꾸어 자손만대에 물려주고 마을의 무궁한 번영과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이 비를 세운다.
3rd row마니산 어류산 국사봉 정기가 물을 만난 복된 터전 우리 기호리 지쟁이 넘마 태소 마을이 있다. 원래 영동현 서이면이었으나 1914년 지쟁이와 남이면 태소를 합하여 심천면 기호리라 하였고 山紫水明한 이곳 기호리에는 壬亂때 新羅開國 六部長의 한 분이신 明活山 金山加利部長 漢祗部 文讓公 壯烈王 裵祗님이 시조이고 高麗 開國功臣 武烈公 裵玄廉님이 중시조이신 星山裵氏 汝佶 汝一 형제가 구강리에서 避居한 이래 丙亂때는 和議에 痛憤하여 義士歌를 지어 민족혼을 일깨우신 士林의 師表 晦峰公 裵後度 先生의 숨결이 어려 있는 순박하고 인정 많은 지쟁이와 禮曹參判이신 密陽朴氏 重禮先生이 터를 잡은 산 좋고 물 맑은 태소 白川趙氏 誠孫先生이 삶의 터전을 이룬 아늑하고 아담한 넘마 모두가 조상님들이 살았고 우리들이 살고 있고 우리의 사랑스런 후손들이 살아갈 영원한 복된 터전이다. 高麗 공민왕께서 紅巾賊亂때 蒙塵하였다는 전설을 간직한 우뚝 솟은 어류산의 기백과 유유히 흐르는 금강물의 끈기는 忠 孝 仁 義 禮 智 信을 말없이 가르치고 晦巖祠와 慕義堂은 이를 몸소 실천한 조상님들의 숨결이 살아 숨쉬며 일찍이 금호초등학교를 세워 이 고장의 어린 새싹들을 길렀으며 相扶相助 敬老孝親의 미풍양속이 면면히 이어져 와 오손 도손 아름답고 인심 좋은 우리 기호리 기호리여 영원하여라. 기호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뜻을 모아 이 비를 세운다.
4th row심천면 마곡리는 동으로 국사봉(國士峰) 서남으로 마니산(摩尼山) 북으로 월이산(月伊山)의 병풍처럼 둘러 쌓여 명산 속에 자리잡은 무릉도원이라 일컬으고 있다. 지금의 마곡리는 삼실, 서재, 숯묵이의 3개 자연 마을로 되어 있고 1759년(英祖 35)에는 영동현 서이면에 속하여 오다가 1914년 심천면에 편입 오늘에 이르고 있다. 500여년전 이요당(二樂堂) 박흥거(朴興居)가 이곳에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마을 입구에는 수령이 500여년 되는 느티나무가 지금도 마을을 지키고 있다. 인심이 온후하고 심성이 부드러워 집집마다 대문 없이 살며 웃어른을 잘 섬기고 예절 바른 오늘의 우리 마을은 영원히 자손만대에 전하고자 이 비를 세운다.
5th row금강이 삼면을 감싸 흐르고 북으로는 송이산 동으로는 가마봉이 병풍처럼 뻣고 서에는 산지당이 마을을 지켜 보살피고 있어 그 형상이 수레 같아 차곡이라 불렀다. 산수가 수려하여 모든 이 장수하고 인정이 흐뭇하여 웃어른께 효도하며 출향인 모두가 부귀를 누리다. 지금은 없지만 마을의 안녕을 지켜보았던 수령 500여년 된 홰나무, 자재기하며 놀던 뒷동산 새피제, 미역감던 금강, 옛 조상들이 터잡은 이곳이 더욱 번창하고 잘사는 마을이 되도록 힘을 합쳐 가꾸자.
ValueCountFrequency (%)
마을 241
 
1.0%
우리 231
 
1.0%
있다 215
 
0.9%
195
 
0.8%
마을은 126
 
0.5%
있으며 121
 
0.5%
있는 105
 
0.4%
104
 
0.4%
마을을 95
 
0.4%
마을의 92
 
0.4%
Other values (12266) 22655
93.7%
2023-12-13T01:05:11.54227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4071
 
21.4%
2771
 
2.5%
2325
 
2.1%
( 1825
 
1.6%
) 1824
 
1.6%
1693
 
1.5%
1604
 
1.4%
1565
 
1.4%
1489
 
1.3%
1383
 
1.2%
Other values (1871) 71905
63.9%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79085
70.3%
Space Separator 24071
 
21.4%
Decimal Number 3595
 
3.2%
Other Punctuation 1870
 
1.7%
Open Punctuation 1848
 
1.6%
Close Punctuation 1847
 
1.6%
Lowercase Letter 37
 
< 0.1%
Final Punctuation 27
 
< 0.1%
Initial Punctuation 25
 
< 0.1%
Dash Punctuation 19
 
< 0.1%
Other values (3) 31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771
 
3.5%
2325
 
2.9%
1693
 
2.1%
1604
 
2.0%
1565
 
2.0%
1489
 
1.9%
1383
 
1.7%
1362
 
1.7%
1331
 
1.7%
1317
 
1.7%
Other values (1803) 62245
78.7%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72
52.0%
, 812
43.4%
" 28
 
1.5%
· 27
 
1.4%
: 16
 
0.9%
! 4
 
0.2%
? 2
 
0.1%
' 2
 
0.1%
2
 
0.1%
1
 
0.1%
Other values (4) 4
 
0.2%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927
25.8%
9 605
16.8%
0 488
13.6%
2 302
 
8.4%
4 286
 
8.0%
5 236
 
6.6%
3 226
 
6.3%
6 186
 
5.2%
8 174
 
4.8%
7 156
 
4.3%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24
64.9%
k 7
 
18.9%
h 1
 
2.7%
a 1
 
2.7%
r 1
 
2.7%
n 1
 
2.7%
e 1
 
2.7%
u 1
 
2.7%
Upp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H 4
30.8%
B 2
15.4%
M 2
15.4%
K 2
15.4%
C 1
 
7.7%
D 1
 
7.7%
A 1
 
7.7%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825
98.8%
12
 
0.6%
7
 
0.4%
[ 2
 
0.1%
1
 
0.1%
1
 
0.1%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824
98.8%
12
 
0.6%
7
 
0.4%
] 2
 
0.1%
1
 
0.1%
1
 
0.1%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7
58.3%
1
 
8.3%
1
 
8.3%
1
 
8.3%
1
 
8.3%
1
 
8.3%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4
73.7%
4
 
21.1%
1
 
5.3%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5
55.6%
12
44.4%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5
60.0%
10
40.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4
66.7%
2
33.3%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407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73974
65.8%
Common 33320
29.6%
Han 5111
 
4.5%
Latin 50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
ValueCountFrequency (%)
155
 
3.0%
129
 
2.5%
125
 
2.4%
87
 
1.7%
74
 
1.4%
64
 
1.3%
61
 
1.2%
52
 
1.0%
52
 
1.0%
50
 
1.0%
Other values (945) 4262
83.4%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771
 
3.7%
2325
 
3.1%
1693
 
2.3%
1604
 
2.2%
1565
 
2.1%
1489
 
2.0%
1383
 
1.9%
1362
 
1.8%
1331
 
1.8%
1317
 
1.8%
Other values (848) 57134
77.2%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4071
72.2%
( 1825
 
5.5%
) 1824
 
5.5%
. 972
 
2.9%
1 927
 
2.8%
, 812
 
2.4%
9 605
 
1.8%
0 488
 
1.5%
2 302
 
0.9%
4 286
 
0.9%
Other values (43) 1208
 
3.6%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24
48.0%
k 7
 
14.0%
H 4
 
8.0%
B 2
 
4.0%
M 2
 
4.0%
K 2
 
4.0%
h 1
 
2.0%
a 1
 
2.0%
r 1
 
2.0%
n 1
 
2.0%
Other values (5) 5
 
1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73974
65.8%
ASCII 33216
29.5%
CJK 4927
 
4.4%
CJK Compat Ideographs 184
 
0.2%
None 83
 
0.1%
Punctuation 57
 
0.1%
Geometric Shapes 7
 
< 0.1%
CJK Compat 5
 
< 0.1%
Math Operators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4071
72.5%
( 1825
 
5.5%
) 1824
 
5.5%
. 972
 
2.9%
1 927
 
2.8%
, 812
 
2.4%
9 605
 
1.8%
0 488
 
1.5%
2 302
 
0.9%
4 286
 
0.9%
Other values (31) 1104
 
3.3%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771
 
3.7%
2325
 
3.1%
1693
 
2.3%
1604
 
2.2%
1565
 
2.1%
1489
 
2.0%
1383
 
1.9%
1362
 
1.8%
1331
 
1.8%
1317
 
1.8%
Other values (848) 57134
77.2%
CJK
ValueCountFrequency (%)
155
 
3.1%
129
 
2.6%
125
 
2.5%
87
 
1.8%
74
 
1.5%
64
 
1.3%
61
 
1.2%
52
 
1.1%
52
 
1.1%
50
 
1.0%
Other values (902) 4078
82.8%
CJK Compat Ideographs
ValueCountFrequency (%)
38
20.7%
26
14.1%
18
 
9.8%
10
 
5.4%
9
 
4.9%
9
 
4.9%
6
 
3.3%
5
 
2.7%
4
 
2.2%
4
 
2.2%
Other values (33) 55
29.9%
None
ValueCountFrequency (%)
· 27
32.5%
12
14.5%
12
14.5%
9
 
10.8%
7
 
8.4%
7
 
8.4%
4
 
4.8%
1
 
1.2%
1
 
1.2%
1
 
1.2%
Other values (2) 2
 
2.4%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15
26.3%
15
26.3%
12
21.1%
10
17.5%
2
 
3.5%
1
 
1.8%
1
 
1.8%
1
 
1.8%
Geometric Shapes
ValueCountFrequency (%)
7
100.0%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2
10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1
20.0%
1
20.0%
1
20.0%
1
20.0%
1
20.0%

Interactions

2023-12-13T01:05:08.60603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Correlations

2023-12-13T01:05:11.62243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순번읍면
순번1.0000.775
읍면0.7751.000
2023-12-13T01:05:11.687286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순번읍면
순번1.0000.418
읍면0.4181.000

Missing values

2023-12-13T01:05:08.76257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3-12-13T01:05:08.88432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Sample

순번읍면마을명위치유래비 소개
01심천면금정1리(錦汀1里) 금촌 마을 자랑비금촌 마을 入口우리 금정 마을은 지금부터 500여년전 梨亭 閔普光께서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전해오고 있으며 마을 입구에 觀漁臺는 기암이 휘어 감고 맴돌며 벼랑 위에는 송림이 우거져 있어 고기가 노니는 것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으로 절경중의 절경이며 명승지이다. 淑夫人 河東鄭氏는 열행이 지극하여 1471년 성종대왕께서 정려를 하사 하시여 마을입구에 정문을 건립하고 후손들이 숭모하여 효행을 실천하고 있으며 500년을 이어오며 마을에서 배출한 주요 인물로는 황해병마절도사를 지낸 梨亭公의 손자 安迪, 가정대부로 황해감사를 지낸 5대손 泮, 四대 五대 국회의원을 지낸 17대손 壯植이 있으며 이후 후손들이 번창 오늘에 이르기까지 마을 전 주민이 화합 단결하여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요원의 불길처럼 일 때 1975년도에는 31㏊의 경지정리를 완료하여 획기적인 식량증산으로 농가소득을 증대하였으며 77년 11월 13일에는 새마을의 금자탑인 경제동향보고 마을로 지정 대통령 표창을 받아 전국 최우수 마을의 영광을 차지하여 경향 각지 각 마을의 추앙을 받기도 하였음. 오늘에 이르러서는 위와 같이 새마을정신이 경로효친 사상으로 배가되어 매년 경로 행사를 실시하는 등 충효를 마을에 새 정신으로 승화 실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조들의 열행 및 업적 마을의 수려한 경관 근면, 자조, 협동하는 새마을 정신의 뜻을 비에 새겨 후손에 길이 보전하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이 이를 본받고 긍지를 같게 하기 위하여 이 자랑비를 세우도다.
12심천면태소(太沼) 마을 유래비태소 마을 입구 公園기호리耆湖里 태소동太沼洞은 동東은 맑은 금강물이 유유히 흐르고 서西는 마곡리麻谷里 남南은 청남淸南 죽산리竹山里 북北은 금정리錦汀里와 인접하고 있으며 고려高麗 공민왕恭愍王이 홍건적紅巾賊의 난을 피하여 머물렀다는 어류산御留山이 등운동登雲洞을 끼고 서남으로 길게 뻗쳐 있고 북쪽에는 국사봉國士峰이 우뚝 솟아 마을을 포근히 감싸고 있다. 조선시대朝鮮時代 영조英祖35년 1759부터 순종純宗3년 1909까지 영동현永同縣 서이면西二面에 속해 있다가 1914년 부군폐합령府郡廢合令에 의해 영동군永同郡 심천면 深川면 기호리 耆湖里 태소동 太沼洞으로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태소동 太沼洞은 지금부터 632년전 대제학 大提學 문간공 文簡公 박시용 朴時庸 선생이 영동에 입향 入鄕하시어 유택 幽宅을 모시면서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 그후 후손들이 번창하여 조선조 朝鮮朝에서는 악성 樂聖 문헌공 文獻公 대제학 大提學 난계 蘭溪 박연 朴堧 선생을 비롯하여 단종절신 端宗節臣 이조판서 吏曹判書 국당 菊堂 박흥생 朴興生 선생 이요당 二樂堂 박흥거 朴興居 선생 등 이 고장 삼현 三賢으로 각 서원 書院에 배향 配享되었으며 그 후손으로 대통령비서실장을 역임하였고 5선 국회의원인 朴寬用과 財界에는 범양건영(주) 대표 朴喜宅과 희창유업사 대표 朴喜榮이 있고 이 고장 太沼 출생자로는 영동군 초대 역대 32대 민선 朴完珍 군수가 배출되었으며 대전 (주)한일 대표 朴恩用과 사법고시 34회에 합격한 朴佑宗의 고향이기도 하다. 우리 후손들은 나라에 忠誠하고 부모에 孝道하며 이웃간 和睦해야 한다. 또한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이 땅을 알뜰하게 가꾸어 자손만대에 물려주고 마을의 무궁한 번영과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이 비를 세운다.
23심천면기호리(耆湖里) 마을 유래비지쟁이 마을 入口마니산 어류산 국사봉 정기가 물을 만난 복된 터전 우리 기호리 지쟁이 넘마 태소 마을이 있다. 원래 영동현 서이면이었으나 1914년 지쟁이와 남이면 태소를 합하여 심천면 기호리라 하였고 山紫水明한 이곳 기호리에는 壬亂때 新羅開國 六部長의 한 분이신 明活山 金山加利部長 漢祗部 文讓公 壯烈王 裵祗님이 시조이고 高麗 開國功臣 武烈公 裵玄廉님이 중시조이신 星山裵氏 汝佶 汝一 형제가 구강리에서 避居한 이래 丙亂때는 和議에 痛憤하여 義士歌를 지어 민족혼을 일깨우신 士林의 師表 晦峰公 裵後度 先生의 숨결이 어려 있는 순박하고 인정 많은 지쟁이와 禮曹參判이신 密陽朴氏 重禮先生이 터를 잡은 산 좋고 물 맑은 태소 白川趙氏 誠孫先生이 삶의 터전을 이룬 아늑하고 아담한 넘마 모두가 조상님들이 살았고 우리들이 살고 있고 우리의 사랑스런 후손들이 살아갈 영원한 복된 터전이다. 高麗 공민왕께서 紅巾賊亂때 蒙塵하였다는 전설을 간직한 우뚝 솟은 어류산의 기백과 유유히 흐르는 금강물의 끈기는 忠 孝 仁 義 禮 智 信을 말없이 가르치고 晦巖祠와 慕義堂은 이를 몸소 실천한 조상님들의 숨결이 살아 숨쉬며 일찍이 금호초등학교를 세워 이 고장의 어린 새싹들을 길렀으며 相扶相助 敬老孝親의 미풍양속이 면면히 이어져 와 오손 도손 아름답고 인심 좋은 우리 기호리 기호리여 영원하여라. 기호리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뜻을 모아 이 비를 세운다.
34심천면마곡리(麻谷里) 삼실 유래비삼실마을 느티나무 옆심천면 마곡리는 동으로 국사봉(國士峰) 서남으로 마니산(摩尼山) 북으로 월이산(月伊山)의 병풍처럼 둘러 쌓여 명산 속에 자리잡은 무릉도원이라 일컬으고 있다. 지금의 마곡리는 삼실, 서재, 숯묵이의 3개 자연 마을로 되어 있고 1759년(英祖 35)에는 영동현 서이면에 속하여 오다가 1914년 심천면에 편입 오늘에 이르고 있다. 500여년전 이요당(二樂堂) 박흥거(朴興居)가 이곳에 정착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마을 입구에는 수령이 500여년 되는 느티나무가 지금도 마을을 지키고 있다. 인심이 온후하고 심성이 부드러워 집집마다 대문 없이 살며 웃어른을 잘 섬기고 예절 바른 오늘의 우리 마을은 영원히 자손만대에 전하고자 이 비를 세운다.
45심천면장동2리(獐洞2里) 차곡 애향비차곡 마을 경로당 정원금강이 삼면을 감싸 흐르고 북으로는 송이산 동으로는 가마봉이 병풍처럼 뻣고 서에는 산지당이 마을을 지켜 보살피고 있어 그 형상이 수레 같아 차곡이라 불렀다. 산수가 수려하여 모든 이 장수하고 인정이 흐뭇하여 웃어른께 효도하며 출향인 모두가 부귀를 누리다. 지금은 없지만 마을의 안녕을 지켜보았던 수령 500여년 된 홰나무, 자재기하며 놀던 뒷동산 새피제, 미역감던 금강, 옛 조상들이 터잡은 이곳이 더욱 번창하고 잘사는 마을이 되도록 힘을 합쳐 가꾸자.
56심천면장동1리(獐洞1里) 노루골 마을 자랑비노루꼴 마을 會館 옆우리 마을은 압목으로 금강이 휘감아서 유유히 흐르고 산수가 수려한 양지바른 곳으로서 약 400여년 전에 전주최씨 문성공의 12세 최각(崔珏)이 터를 잡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곳은 본래 영동현 서일면 지역으로 노루가 많았으므로 노루골이라 하였다. 1909년 영동군 서일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차곡리와 옥천군 이내면 내동 일부를 병합하여 장동리라 하였다. 주민들은 옛 조상의 높은 얼을 이어받아 충효가 충만하고 근면 성실한 자랑스러운 마을로 후손에게 계승하여 영원히 기리고자 이 비를 세우다.
67심천면심천공원(深川公園) 지프내 탑심천리 심천교 옆<NA>
78양산면수두리(藪頭里) 인정 많은 순박한 고장 수두마을 入口본래 밀양 박씨의 씨족부락이었다가 1900년 초순경 부터는 여흥민씨, 재령강씨, 이천서씨, 울산박씨, 현풍곽씨, 묘금도유씨 등이 어울려 살며 한때 300여명이 사는 큰 마을이었으나 산업화의 발전으로 인하여 주민의 수가 급감하여 현재의 작은 부락으로 남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평해황씨, 인동장씨, 김해김씨, 광산김씨, 밀양변씨, 단양이씨 등이 합류하여 살기 좋고 인심 좋은 동네 귀촌,귀농하고 싶은 동네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89양산면죽산리(竹山里) 명소의 고장 죽산마을 앞 廣場최근에는 민선6,7기 영동군수와 검찰서기관 형제를 배출한 영광스러운 마을이며 농토는 비옥하여 예로부터 특용작물을 재배하여 풍요로운 마을로서 인심 좋고 살기좋은 동네로서 예로부터 내려오는 전통과 예의를 존중하고 상호 협조와 상부 상조의 정신을 오래 오래 기리고 계승하고자 이비에 새겨 후세에 남기고자 한다
910양산면원당리(元塘里) 풍요의 마을 원당원당 老人會館 앞 公園병풍처럼 둘러 쌓인 대왕산 기슭의 우리마을은 앞으로 수원이 풍부한 원당천이 곧게 흐르며 농로가 평야지고 비옥하여 흉년을 모르는 선택된 잘사는 마을로 고려말엽에 영천최씨 최숙(崔淑) 덕수이씨 이염(李苒) 안동권씨 권집(權緝) 삼성이 정착한 전형적인 농촌마을을 형성 그후 강릉유씨 인천이씨 밀성박씨와 그외 밀양박씨 해평길씨 안동김씨 락안김씨 고성남씨 밀양손씨 완산전씨 옥천전씨 사천이씨 풍천임씨 태안박씨 경주김씨 함양여씨 광산김씨 경주최씨 박진범씨 120여호의 큰 마을을 이루었었다. 서기 1906년 충청북도 옥천군 양내면에서 영동군으로 편입되었고 양산면 원당리로 칭하게 되었다. 예로부터 주민의 성품이 온화하고 인정미가 넘치는 풍요로운 우리마을은 충효를 바탕으로 훌륭한 인물이 많았으니 임진년 의병장인 최윤성과 그의 아들 응신 손자인 의금부 도사 상흥은 소문난 효자였으며 오촌에는 6세8효(六世八孝)의 정문이 상존하여 효의 본보기가 되고 있으며 권집(權緝) 통훈대부호조판서(通訓大夫戶曹判書) 유경운(劉景雲) 절충장군(折衝將軍)을 배출하였고 명인전에 이찬연(李燦然) 유학자와 유석구(劉錫龜)이종갑(李種甲) 두 효자분의 덕행이 지금까지 전해옴은 이웃의 귀감이며 오늘에 이르러서는 이동호(李同浩) 충북도백을 거쳐 내무부장관을 역임하고 현재 영동공대 교수 경영학 박사를 배출한 명실 상부한 문(文) 무(武) 충(忠) 효(孝)의 인재가 계속 이어져 내려오는 제일의 고향이다. 오랜 역사와 전통속에 선조들이 물려준 자랑스런 전통을 이어가며 조상의 높은 뜻을 후손에게 전수하고 내가 태어나고 자란 우리마을에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미풍양속이 살아 숨쉬는 인정미 넘치는 고장으로 길이 남기고자 주민과 출향인의 뜻을 모아 마을의 영원한 발전을 기하고자 이 비를 세운다.
순번읍면마을명위치유래비 소개
143144양산면명덕리누교리 157번지우리 명덕리(明德理)는 천태산 아래 자리 잡은 아늑한 마을이다. ‘명덕’, ‘안내’, ‘도가’ 3개 자연마을로 밤티재(栗峴)에서 옥천군 이원면과 경계를 이룬다. 밝고 덕이 있다 하여 붙여진 명덕리는 조선 태종 조선 태종 13년(1413)옥천군 양내면에 속해 있다가 고종 광무 10년(1906)에 영동군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 누교리로 등록 되어 있다가 1945년 행정리로 분리되었다. 이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후손들에게 효(孝)와 예(禮)로 결속된 마을 정신을 기리고자 이 비를 세운다.
144145영동읍금리계산리 502-2번지우리마을은 영동읍의 북쪽편에 위치하며 경부선 철길넘어에 일백오십호의 여러성씨가 어울려 살고있는 정이 넘치는 동리로서 뒷동산의 산세가 너무 아름답고 우아하여 마을의 유래를 만들어 오고 있다. 뒷동산의 산세가 토끼를 닮았다 하여 토령리(兎令理)라 하였으나 그후 잘못 전하여져서 토금리(兎今理)라 불리었다고 한다. 또 다른설은 뒷동산이 뽕을 먹고 비단실을 뿜어내는 누에를 닮았다 하여 토금리(吐錦理)라 하였다고 한다. 영조34년(1759)당시 영동현 서이면에 토금리(60호254명)가 편입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계산2리에 편입되었고, 그후 1940년 읍으로 승격되면서 금리(錦理) 또는 금동(錦洞)으로 불리어서 오늘에 이르렀다. 이조시대 관아가 있었으며 금동에서는 재판소집이라 하였으나 지금 건물은 철거되고 빈자리만이 남아 있다. 임금님께 진상하였다는 이씨가문의 밑갓채라는 천하일미의 술안주는 전설로만 전하여 오고 밑갓채밭은 도로가 되어 있다. 금리중심부에 상전말이 있고 상전말 골짜기 따라 고개(쑥고개)에 오르면 설계리가 보이고 쑥고개 마루에는 느티나무 고목아래 돌무더기와 함께 서낭당이 있어 옛어른들이 산진제와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 지금도 잘 보존되고 있다. 상전말앞에는 영동 규당고택(국가민속문화재 140호)이 있어 남도방식으로 추정되는 가옥으로 옛 가옥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어 방문객이 줄을 있고 있다. 근래 금동의 자랑거리는 영동군에서 조성하여 주신 금동 마을숲공원이 있어 무공화꽃, 철쭉꽃을 비롯하여 여러수목이 어우러진 속에도 느티나무숲속 팔각정의 야간경치는 찾는 이의 마음을 풍요롭고 정겹게 만든다. 이번 유래비를 세움에 영동군의 많은 지원과 지역주민 그리고 출향민의 성원아래 특히 개발위원들의 각별한 뜻을 모아 여기 소공원안에 마을유래비를 빗돌에 새기나니 서로 돕고 서로 칭찬하며 다 함께 지혜롭게 살자는 동훈 아래 똘똘 뭉쳐서 다 함께 지혜롭게 살자는 동훈 아래 똘똘 뭉쳐서 영원한 금동의 발전과 평안을 빌며 이 뜻을 후세에 전하고자 이 비를 세운다.
145146상촌면유곡1리유곡리 499-1번지본래 황간현 남상촌면 지역으로 버드나무가 많아 버드실 또는 유곡이라 하였으며 1909년에 황간군(黃潤郡) 상촌면에 속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대죽곡리(大竹谷里)와 소죽곡리(小竹谷里)를 병합하여 유곡리라 칭하고 영동군 상촌면에 편입시켰다. 마을 서쪽 야산에는 평지성(平地城)에 가까운 석축성(石築城)이 있다. 주위 둘레가 약 450m이나 성은 허물어지고 지금은 농경지화 되었다. 유곡리(柳谷里) 경치 좋은 곳에 돌뫼 라는 작은 암산이 있는데 짧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아주 먼 옛날 어느 땐가 극심한 홍수가 무려 9년 동안이나 계속된 적이 있었다. 이때 이 마을에는 난데없는 산이 하나 홍수에 밀려 떠내려 왔는데 그것이 바로 이 돌뫼 이다. 이웃 고을에 있는 절에서 떠내려 온 산이라고 한다. 그런데 산이 떠내려 온 뒤부터 윗 고을 원님이 떠내려 온 산의 세금을 받아가는 것이었다. 그렇게 하기를 계속하던 중, 어느 해인가 황간에 새로운 원님이 부임하게 됐다. 그 원님은 예년처럼 이웃 고을에서 세금을 받으러 오자 한 가지 묘책을 생각해 냈다. "더 이상 세금을 못 내겠으니 산을 다시 옮겨가든지 말든지 마음대로 하라"는 것이었다. 이 한 마디 말에 그만 이웃 고을에서는 아무 대꾸도 못하고 물러가고 말았다. 그리고 이후 불필요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었다고 한다. 이 유래비는 군 지원과 마을주민들의 성금으로 건립되었으며 주민들의 마음이 깃든 버드실의 자랑스러운 마을 유래비 이다. 이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후손들에게 효(孝)와 예(禮)로 결속된 마을 정신을 기리고자 이 비를 세운다.
146147추풍령면작동리작점리 379-2번지우리 마을은 새들이 많이 살고 유기전포가 많다고 하여 새 작(雀)자와 가게 점(店)자가 합쳐져 작점리로 처음 불리게 되었다. 본래 경상도 금산현 지역으로 1896년도 경북 금능군 황금소면에 속하였다가 1906년 황간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때 작동과 검암리 일부를 병합하여 작점리라고 하고 영동군 황금면에 편입 1984년 행정리동분리 때 작동리(작동)과 작점리(점마)로 나뉘어져 현재에 이르렀다. 우리 마을은 맹씨 일가가 처음으로 터를 잡고 살면서 형성되었고 임진왜란 후 숲이 우거지고 새소리만 들리는 한가로운 곳에 김씨 일가가 다래넝쿨을 쳐내고 마을의 터를 닦았다. 이후 많은 오씨 일가들이 이주하여서 현재의 오씨 집성촌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우리 마을은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장장 7년동안 범죄없는 마을로 지정되었을 만큼 살기좋고 인심이 후덕한 마을이다. 땅이 비옥하고 온화한 햇살이 오랫동안 마을 전체에 깃들며 수량이 풍족하여 농사 짓기에 좋을뿐 아니라 밤낮 일교차가 커서 질좋은 쌀 및 당도 높은 사과, 포도산지이기도 하다. 현재는 32가구가 보금자리를 틀고있는 작고 아담한 마을이지만 늘 마음은 넉넉하고 풍요로우며 서로 화목하니 우리의 뜻을 모아 이 비를 세우고 후손에게 알리고자 한다.
147148상촌면하궁촌리궁촌리 620-4번지백두대간의 중심에서 하늘을 향해 우뚝 선 황학산(黃鶴山) 넓은 자락이 서편으로 감싸 안은 아늑한 마을 하궁촌(下弓村)은 신라 중엽에는 소라현, 조선시대에는 황간현에 속하였으며, 약산자락에 위치한 마을로 병난 시에는 피난지대로 주요한 은신처가 되어 주었으며, 신라시대에는 심신의 수련을 위하여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화랑들의 도장으로 각광받는 마을이기도 했었다. 천년 묵은 고목 숲으로 울창했던 마을 앞 터전은 활 쏘고 무술을 닦던 곳으로 우리 마을을 활골이란 이름으로 오늘까지 전해져 오고 있으며, 말을 사육하는 큰 목장이 있었다는 말매산, 객사로 붐볐던 마을 곳곳의 곡집터, 달 밝은 밤이면 거문고를 뜯으며 풍류를 즐겼다는 월금 등이 있다. 왜구의 노략질이 극심했던 고려말에는 황간현의 관기를 우리마을 하궁촌으로 옮긴 때도 있었으며, 임진왜란, 6·25동란 시에 피신 온 사람들이 마을이 좋아 정착한 사람들이 많았다. 산자락에 금광이 많아 누런 황금을 쏟아냈다 해서 붙여진 황학산, 일제 감정기에 일본인에게 도둑맞은 황금의 양을 누가 헤아릴 수 있을까마는 조국 광복 후 한때는 금광이 재개발되어 사십여채의 금방아가 쉴 사이 없이 요란한 소리를 내어 우리 마을이 도시 못지않은 저자거리가 형성되어 경제가 윤택하기도 했던 마을이었다. 1941년 개교한 황학초등학교가 우리 마을 하궁촌과 영원히 함께 할 것만 같더니 한세기도 못 채우고 1998년 폐교되어 배움의 터전을 멀리 할 수밖에 없었으며, 1966년 마을의 전기사업 때 사용자의 부담을 줄이고자 마을과 성쇠를 함께 했던 천여년 괴목들을 벨 수밖에 없었던 한 많은 마을이기도 했다. 깊은 계곡, 아름다운 산천, 금강의 발원지인 궁촌천의 청정수는 용수댐을 막아 상촌면, 매곡면, 황간면, 추풍령면 지역의 주민들에게 생활용수의 혜택을 주고 있으며, 나라와 민족과 운명을 같이 하면서 난민들의 고통과 슬픔을 달래주던 유서 깊은 마을, 우리 하궁촌은 새로운 시대에 걸맞는 마을의 전통을 이어가면서 하궁촌에 살고 있는 모든 주민과 우리들과 인연이 있는 모든 사람들의 안녕과 또 우리들의 후
148149심천면마곡리마곡리 437-1번지마곡리(麻谷里)는 삼실, 서재, 술목이(탄항동) 자연부락으로 삼국시대에는 백제와 신라가 서로 영토를 다투던 곳으로서 길동군이었고, 통일신라 경덕왕 16년 이름을 영동현이라고 바꾸고, 이후 고려, 조선 태종 13년까지 상주의 관할이었고, 태종 13년부터 영동현의 서이면으로 충청도 관할이 되었다. 1906년 영동군 서이면 마곡리(麻谷里)가 되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탄항동(炭項洞) 서티동(西峙洞)을 병합하여 영동군 심천면 마곡리가 되어 지금에 이른다.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삼농사를 많이 지어서 삼실(麻谷)이라고 하였다. 자연부락은 삼실마을이 마곡리 본동이고, 북쪽에 서재(西峙), 서재 아래쪽에 천화원이 있고, 서재 골짜기 물이 옥계폭포가 된다. 이원 넘어가는 경계에 숱목이(탄항;炭項)마을이 있다. 2015년~2017년 마곡 창조적 마을만들기사업을 시행하여 쉼터 및 운동기구를 설치하고 주민들을 대상으로 요가, 명상, 도자기 공예 등 문화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마곡리는 오염되지 않은 아름답고 깨끗한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는 인심이 후한 살기 좋은 마을이다. 웃어른을 공경하며, 서로 상부상조하고 살기 좋은 무병장수 마을로 계속 가꾸어가기를 염원하며 이 비에 새겨 후세에 남기고자 한다.
149150상촌면물한1리물한리 601-4번지물한리(勿閑里)는 행정구역상 본래 황간군 남상촌면 지역으로 1906년 황간군 상촌면에 속하였고 물이 차고 많으므로 물한이 또는 물한리라 하였다.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정책에 따라 상물한리와 하물한리로 나누고 송면리까지 병합하여 물한리로 불리고 있으며 영동군 상촌면에 편입되었다. 현재 이 곳은 물한1리와 물한2리로 나뉘는데 괴재, 핏들, 황점이 물한1리에 속한다. 무더위를 피할 수 잇는 청정 물한계곡과 민주지산(1,242m), 석기봉(1,200m)이 있고 충청, 전라, 경상 3도가 만나는 삼도봉(1,176m)은 이 지역의 대표적 관광 명소이며, 매년 수많은 피서객과 등산객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물한1리에 속한 괴재마을은 큰 회화나무가 있는 고개라서 괴현 또는 괴재라 불리게 되었으며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지명은 섬뜸, 당들, 당골 그리고 솔미가 있다. 핏들은 괴재마을 아래에 있는 마을로서 피농산을 많이 짓는 들이라는 뜻이고 현재는 핏들이라 불리며 미륵 바위가 있던 미륵골이 있다. 황점은 핏들 북쪽에 있는 마을이며 쇠를 녹이던 점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진밭들과 황점골이 있다. 수십년간 이촌향도 현상이 지속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도시로 떠나 물한리에 살고 있는 사람은 예전보다 많이 적어졌다. 하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기 위해 매년 이 곳을 찾아오고 있으며, 그들은 아름다운 자연과 맑은 공기로 가득한 이 곳에서 삶의 활력을 얻어가곤 한다. 괴재, 핏들, 황점의 유래와 자랑을 이 비에 새겨 마을 주민 모두의 화합과 사랑으로 굳게 뭉쳐 대대손손 풍요롭고 살기 좋은 마을로 영원히 가꾸어 나갈 것을 마음 속 깊이 다짐하며 이 비를 세운다.
150151학산면아평1리학산면 서산리 893-4번지우리마을은 백하산의 영기(靈氣)를 받은 사람들이 이웃과 오순도순 정을 나누며 상부상조와 충효 예를 근본으로 삼고 근면과 검소를 신조 삼아 살아온 유서 깊은 전통 어린 마을이다. 아평(鵝坪) 마을이 형성된 시기는 조선 시대 후반, 옥천전씨(沃川全氏) 구(矩)가 정착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유래되며, 법정리(法定里)는 서산리(鋤山里)이고 자연마을은 비아들과 살구 말이 있었다. 비아(飛鵝)들은 옛날에 이 지역에 숲(늪)이 있어 오리가 서식(棲息)하였다 하여 오리 숲이라는 지명이 붙여졌고, 이에서 오리가 나는 들판이라는 뜻으로 비아들이라고 불렸다 하며, 요즈음에는 아평(鵝坪)이라고만 부른다. 살구 말을 행촌(杏村, 일명 향촌)으로 옛날 살구나무가 많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평 마을 서쪽, 임산에는 백제(百濟)의 전설이 깃들어 있는 '소코샘(일명: 새끼샘)'이 있고 마을 내에는 수령이 400년이 넘는 정자나무(느티나무)가 있다. 이 정자나무는 그 둘레가 성인 장정의 7아름이나 되며, 이 나무를 마을의 수호수(守護樹)로 여기고 매년 음력 정월에는 이곳에서 동제를 지냈다. 우리마을은 본래 옥천군 양산현(陽山縣)에 속하였으나 조선 시대에 양남면(陽南面)을 거쳐 1906년 영동군에 편입되면서 양남일소면(陽南一所面)이 되었고, 1914년 학산면(鶴山面)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같은 해 면(面)의 기능이 지내리에서 서산리로 옮겨 오면서 아평 마을은 학산면의 소재지(所在地)가 되었고, 행정기관을 비롯한 농협 등 각종 기관단체가 자리 잡게 됨으로써 경제, 문화, 사회, 교육 등 전반에 걸쳐 학산면의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15년 학산 시장이 처음 개설되어 3일과 8일에 열리는 5일 장이었으며, 1959년에 가축시장이 1985년에 인삼(수삼) 시장이 운영되기도 하였다. 1938년 학산공립보통학교(현, 초등), 1052년 학산중학교, 1955년 학산상업고등학교가 각각 개교함으로써 교육발전 및 인재육성에 많은 공헌을 하였다. 1985년에 아평리가 아평1리와 2리로 분리 되면서 반(班)수는 7개로 나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51152용산면신항1리용산면 신항리 148-2번지본래 영동현(永同縣) 북일면 풍천리 지역으로 1909년 영동군 북일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화리(禾里), 신기동(新基洞), 장항동(獐項洞)을 병합하여 지명을 신기와 장항을 따서 신항리(新項里)라 하여 영동군 용산면에 편입되었다. 옛 지명으로는 마을을 감싸고 있는 뒷산줄기가 노루목을 닮았다하여 조상대대로 부자(部資)터라는 의미로 노루목이라는 마을이름이 불리어져 내려오고 있다.
152153심천면금정2리금정리 88번지금정2리(구찡이) 구정리마을은 이름은 9그루 정자 나무가 있었고, 9개 맑은 우물이 있었다하며 붙여진 마을 이름으로 마곡리, 기호리, 점촌 사람들은 구정리 마을 앞길을 지나 큰고개를 통과해야 심천면사무소, 심천역, 영동에 갈 수 있는 길목마을 이기도하다. 성산에서 고당리까지 뻗은 장싱이 산자락에는 명천리 선돌, 금정리 암각화 등의 유적이 있다. 선사시대 때부터 사람이 살아오며 15세기 중엽 여흥민씨가 이사와 살았고 그 후손들이 번성하여 검촌은 물론 인근 구정리까지 집성촌을 이루며 살았다. 일제강점기 명천리 보고테골에 있었던 형석광산 근로자 사택이 구정리에 10여채 들어서면서 여흥민씨 외 조씨, 김씨가 살게 되었으나 1945년 해방, 1950년 6.25 전쟁, 형석광산 폐광 등의 격변을 겪으면서 여흥민씨는 줄고 여러 성씨가 사는 마을이 되었다. 2000년대부터 절골과 독골에 귀농귀촌 가구가 들어와 감, 호두, 복숭아, 양봉 등을 하고 있다. 구정마을은 28가구 48명 살고 있는 심천면에서 규모가 제일 작은 마을이다. 마을이기보다 대가족이라는 말이 제격으로, 서로가 모를 것이 없는 구정마을 주민들은 서로 협동하고 단결되어 한마음 한 뜻으로 아름다운 마을로 가꾸기를 염원하며 후세에 남기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