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Dataset statistics

Number of variables8
Number of observations23
Missing cells1
Missing cells (%)0.5%
Duplicate rows0
Duplicate rows (%)0.0%
Total size in memory1.6 KiB
Average record size in memory69.7 B

Variable types

Categorical4
Text4

Dataset

Description경기도 김포시 문화재 현황 정보에 대한 데이터로 지정구분, 문화재종류, 문화재명, 분류, 시대, 소재지, 문화재설명 등의 항목을 제공합니다.
URLhttps://www.data.go.kr/data/15036603/fileData.do

Alerts

데이터기준일자 has constant value ""Constant
지정구분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문화재종류High correlation
문화재종류 is highly overall correlated with 지정구분High correlation
소재지 has 1 (4.3%) missing valuesMissing
문화재명 has unique valuesUnique
문화재설명 has unique valuesUnique

Reproduction

Analysis started2023-12-12 20:35:07.482244
Analysis finished2023-12-12 20:35:08.454259
Duration0.97 seconds
Software versionydata-profiling vv4.5.1
Download configurationconfig.json

Variables

지정구분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2
Distinct (%)8.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16.0 B
16 
국가

Length

Max length2
Median length1
Mean length1.3043478
Min length1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국가
2nd row국가
3rd row국가
4th row국가
5th row국가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16
69.6%
국가 7
30.4%

Length

2023-12-13T05:35:08.52891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5:35:08.64503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16
69.6%
국가 7
30.4%

문화재종류
Categorical

HIGH CORRELATION 

Distinct8
Distinct (%)34.8%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16.0 B
지방유형문화재
지방기념물
문화재자료
사적
무형문화재
Other values (3)

Length

Max length7
Median length5
Mean length5.0869565
Min length2

Unique

Unique3 ?
Unique (%)13.0%

Sample

1st row보물
2nd row사적
3rd row사적
4th row사적
5th row천연기념물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지방유형문화재 7
30.4%
지방기념물 4
17.4%
문화재자료 4
17.4%
사적 3
13.0%
무형문화재 2
 
8.7%
보물 1
 
4.3%
천연기념물 1
 
4.3%
등록문화재 1
 
4.3%

Length

2023-12-13T05:35:08.77251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5:35:08.91251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지방유형문화재 7
30.4%
지방기념물 4
17.4%
문화재자료 4
17.4%
사적 3
13.0%
무형문화재 2
 
8.7%
보물 1
 
4.3%
천연기념물 1
 
4.3%
등록문화재 1
 
4.3%

문화재명
Text

UNIQUE 

Distinct23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16.0 B
2023-12-13T05:35:09.12167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15
Median length10
Mean length7.3478261
Min length3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69
Distinct characters84
Distinct categories4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3 ?
Unique (%)100.0%

Sample

1st row묘법연화경<권제7>
2nd row김포 문수산성
3rd row김포 장릉
4th row김포 덕포진
5th row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
ValueCountFrequency (%)
김포 4
 
8.7%
2
 
4.3%
신도비 2
 
4.3%
지석묘 1
 
2.2%
심연원 1
 
2.2%
심강 1
 
2.2%
금정사 1
 
2.2%
석조여래좌상 1
 
2.2%
한재당 1
 
2.2%
고정리 1
 
2.2%
Other values (31) 31
67.4%
2023-12-13T05:35:09.53305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3
 
13.6%
7
 
4.1%
6
 
3.6%
4
 
2.4%
4
 
2.4%
4
 
2.4%
3
 
1.8%
3
 
1.8%
3
 
1.8%
3
 
1.8%
Other values (74) 109
64.5%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143
84.6%
Space Separator 23
 
13.6%
Math Symbol 2
 
1.2%
Decimal Number 1
 
0.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7
 
4.9%
6
 
4.2%
4
 
2.8%
4
 
2.8%
4
 
2.8%
3
 
2.1%
3
 
2.1%
3
 
2.1%
3
 
2.1%
3
 
2.1%
Other values (70) 103
72.0%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1
50.0%
< 1
50.0%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23
100.0%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7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43
84.6%
Common 26
 
15.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7
 
4.9%
6
 
4.2%
4
 
2.8%
4
 
2.8%
4
 
2.8%
3
 
2.1%
3
 
2.1%
3
 
2.1%
3
 
2.1%
3
 
2.1%
Other values (70) 103
72.0%
Common
ValueCountFrequency (%)
23
88.5%
> 1
 
3.8%
< 1
 
3.8%
7 1
 
3.8%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143
84.6%
ASCII 26
 
15.4%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23
88.5%
> 1
 
3.8%
< 1
 
3.8%
7 1
 
3.8%
Hangul
ValueCountFrequency (%)
7
 
4.9%
6
 
4.2%
4
 
2.8%
4
 
2.8%
4
 
2.8%
3
 
2.1%
3
 
2.1%
3
 
2.1%
3
 
2.1%
3
 
2.1%
Other values (70) 103
72.0%

분류
Text

Distinct22
Distinct (%)95.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16.0 B
2023-12-13T05:35:09.701715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6
Median length5
Mean length4.7391304
Min length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109
Distinct characters13
Distinct categories3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1 ?
Unique (%)91.3%

Sample

1st row제1225호
2nd row제139호
3rd row제202호
4th row제292호
5th row제250호
ValueCountFrequency (%)
제91호 2
 
8.7%
제1225호 1
 
4.3%
제147호 1
 
4.3%
제166호 1
 
4.3%
제109호 1
 
4.3%
제30호 1
 
4.3%
제29호 1
 
4.3%
제159호 1
 
4.3%
제108호 1
 
4.3%
제47호 1
 
4.3%
Other values (12) 12
52.2%
2023-12-13T05:35:10.03275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23
21.1%
23
21.1%
1 13
11.9%
2 12
11.0%
9 8
 
7.3%
0 7
 
6.4%
5 5
 
4.6%
4 5
 
4.6%
6 4
 
3.7%
3 3
 
2.8%
Other values (3) 6
 
5.5%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Decimal Number 62
56.9%
Other Letter 46
42.2%
Dash Punctuation 1
 
0.9%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13
21.0%
2 12
19.4%
9 8
12.9%
0 7
11.3%
5 5
 
8.1%
4 5
 
8.1%
6 4
 
6.5%
3 3
 
4.8%
7 3
 
4.8%
8 2
 
3.2%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3
50.0%
23
5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Common 63
57.8%
Hangul 46
42.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 13
20.6%
2 12
19.0%
9 8
12.7%
0 7
11.1%
5 5
 
7.9%
4 5
 
7.9%
6 4
 
6.3%
3 3
 
4.8%
7 3
 
4.8%
8 2
 
3.2%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3
50.0%
23
50.0%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ASCII 63
57.8%
Hangul 46
42.2%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3
50.0%
23
50.0%
ASCII
ValueCountFrequency (%)
1 13
20.6%
2 12
19.0%
9 8
12.7%
0 7
11.1%
5 5
 
7.9%
4 5
 
7.9%
6 4
 
6.3%
3 3
 
4.8%
7 3
 
4.8%
8 2
 
3.2%

시대
Categorical

Distinct5
Distinct (%)21.7%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16.0 B
조선
14 
<NA>
고려
청동기
 
1
삼국
 
1

Length

Max length4
Median length2
Mean length2.3913043
Min length2

Unique

Unique2 ?
Unique (%)8.7%

Sample

1st row조선
2nd row조선
3rd row조선
4th row조선
5th row<NA>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조선 14
60.9%
<NA> 4
 
17.4%
고려 3
 
13.0%
청동기 1
 
4.3%
삼국 1
 
4.3%

Length

2023-12-13T05:35:10.17389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5:35:10.27857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조선 14
60.9%
na 4
 
17.4%
고려 3
 
13.0%
청동기 1
 
4.3%
삼국 1
 
4.3%

소재지
Text

MISSING 

Distinct20
Distinct (%)90.9%
Missing1
Missing (%)4.3%
Memory size316.0 B
2023-12-13T05:35:10.45106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28
Median length25
Mean length21.227273
Min length14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467
Distinct characters74
Distinct categories6 ?
Distinct scripts2 ?
Distinct blocks2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18 ?
Unique (%)81.8%

Sample

1st row경기도 김포시 승가로 123
2nd row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문수산로 102-38
3rd row경기도 김포시 장릉로 79
4th row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덕포진로103번길 224-4
5th row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조강리 하성면 후평리 외 7리
ValueCountFrequency (%)
경기도 21
19.3%
김포시 21
19.3%
월곶면 6
 
5.5%
통진읍 4
 
3.7%
하성면 3
 
2.8%
대곶면 2
 
1.8%
군하로 2
 
1.8%
성동리 2
 
1.8%
27 2
 
1.8%
승가로 2
 
1.8%
Other values (39) 44
40.4%
2023-12-13T05:35:10.769560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89
19.1%
23
 
4.9%
2 23
 
4.9%
22
 
4.7%
22
 
4.7%
22
 
4.7%
22
 
4.7%
21
 
4.5%
1 14
 
3.0%
13
 
2.8%
Other values (64) 196
42.0%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282
60.4%
Space Separator 89
 
19.1%
Decimal Number 81
 
17.3%
Dash Punctuation 9
 
1.9%
Close Punctuation 3
 
0.6%
Open Punctuation 3
 
0.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23
 
8.2%
22
 
7.8%
22
 
7.8%
22
 
7.8%
22
 
7.8%
21
 
7.4%
13
 
4.6%
11
 
3.9%
10
 
3.5%
8
 
2.8%
Other values (50) 108
38.3%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2 23
28.4%
1 14
17.3%
7 9
 
11.1%
5 8
 
9.9%
8 7
 
8.6%
0 5
 
6.2%
3 5
 
6.2%
4 4
 
4.9%
9 3
 
3.7%
6 3
 
3.7%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89
100.0%
Dash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9
100.0%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3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82
60.4%
Common 185
39.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3
 
8.2%
22
 
7.8%
22
 
7.8%
22
 
7.8%
22
 
7.8%
21
 
7.4%
13
 
4.6%
11
 
3.9%
10
 
3.5%
8
 
2.8%
Other values (50) 108
38.3%
Common
ValueCountFrequency (%)
89
48.1%
2 23
 
12.4%
1 14
 
7.6%
- 9
 
4.9%
7 9
 
4.9%
5 8
 
4.3%
8 7
 
3.8%
0 5
 
2.7%
3 5
 
2.7%
4 4
 
2.2%
Other values (4) 12
 
6.5%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282
60.4%
ASCII 185
39.6%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89
48.1%
2 23
 
12.4%
1 14
 
7.6%
- 9
 
4.9%
7 9
 
4.9%
5 8
 
4.3%
8 7
 
3.8%
0 5
 
2.7%
3 5
 
2.7%
4 4
 
2.2%
Other values (4) 12
 
6.5%
Hangul
ValueCountFrequency (%)
23
 
8.2%
22
 
7.8%
22
 
7.8%
22
 
7.8%
22
 
7.8%
21
 
7.4%
13
 
4.6%
11
 
3.9%
10
 
3.5%
8
 
2.8%
Other values (50) 108
38.3%

문화재설명
Text

UNIQUE 

Distinct23
Distinct (%)100.0%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16.0 B
2023-12-13T05:35:11.040241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Length

Max length835
Median length299
Mean length356.82609
Min length126

Characters and Unicode

Total characters8207
Distinct characters751
Distinct categories11 ?
Distinct scripts4 ?
Distinct blocks7 ?
The Unicode Standard assigns character properties to each code point, which can be used to analyse textual variables.

Unique

Unique23 ?
Unique (%)100.0%

Sample

1st row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화엄경와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이 책은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크기는 세로 32.5㎝, 가로 23㎝이며, 2책으로 만든 권7의 내용 중 뒷부분에 해당한다. 세조 때 불경을 한글로 풀어 쓰는 작업을 위해 설치한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한 것이다. 본문과 계환(戒環)이 해석을 달아 놓은 부분은 한글로 풀어쓰고 있으며, 책 끝에는 만들게 된 경위를 적은 김수온(1333∼1382)의 글이 있다.세조 9년(1463)에 간경도감에서 목판에 새긴 것을, 성종 3년(1472)년에 인수대비가 세조·예종· 의경왕·인성대군의 명복을 빌기 위한 목적에서 찍어낸 것이다. 당시 인수대비가 찍어낸 29종의 불경 중 묘법연화경이 간경도감에서 간행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2nd row1694년(숙종 20년)에 축성된 문수산성은 강화 갑곶진(甲串鎭)과 더불어 강화해협을 지키는 요새다. 명칭은 신라 혜공왕(재위 765∼780) 때 산 정상에 창건된 문수사(文殊寺)라는 절에서 유래됐으며 1964년 사적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1866년(고종 3년) 병인양요 때는 프랑스군(軍)과 일대 격전을 벌이면서 해안 쪽 성벽과 문루가 파괴되고, 성내가 크게 유린되었다. 해안 쪽 성벽은 없어지고 마을이 들어섰으며, 문수산 등성이를 연결한 성곽만 남았으나 서문과 북문이 복원되었고, 총 6km에 이르는 산성 중 4km가 남아있다.
3rd row장릉은 조선 16대 인조(1623~1649)의 생부인 원종과 그의 비 인헌왕후 구씨의 능이다. 원종은 선조의 다섯째 아들 정원군으로 용모가 출중하고 태도가 신중했으며, 효성과 우애가 남달라 선조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 정원군은 처음엔 양주군 곡촌리에 묻혔다. 큰아들 능양군(인조)이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자 정원군은 대원군에 봉해졌고, 묘가 원으로 추숭되어 흥경원(興慶園)이라 했다. 1627년 인조는 정원군묘를 김포현의 성산 언덕으로 천장했고, 1632년 다시 왕으로 추존하여 묘호를 원종, 능호를 장릉이라 했다. 인헌왕후는 아들(인조)이 즉위하자 연주부부인이 되었고, 궁호를 계운궁(啓雲宮)이라 했다. 1626년 49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김포 성산 언덕에 예장하고 원호를 육경원(毓慶園)이라 했다. 흥경원을 이곳으로 다시 천장하면서 원호를 흥경원이라 합쳐 불렀다. 능의 규모와 규격은 조선 중기의 전형을 말해주고 있는 듯 하고, 능 아래는 제사를 지내는 재실이 있으며, 조선 21대 영조와 22대 정조가 매년 행차하여 제사를 모시던 건물이며, 능 주위는 공원처럼 꾸며져 있다. 서울에서의 교통도 편리해서 휴일이면 이곳으로 야유회를 나오는 사람들이 많다
4th row강화만을 거쳐 서울로 진입하는 길목인 손돌목에 천혜의 지형을 이용해 설치한 조선시대의 군영 덕포진은 신미양요와 병인양요 때 서구 열강과 치열하게 싸웠던 격전지로 역사적 가치와 유물사적 의의를 가진 곳이다.1981년 전 문화원장 김기송씨가 사비를 들여 발굴작업이 시작되었다. 현재는 포대와 파수대가 복원되었고 2007년 새 단장한 덕포진 유물전시관에는 조선 후기 사용했던 포의 위치와 포의 유효거리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5th row재두루미는 트란스바이칼리아 지방, 중국, 칸카호반, 우수리지방 등지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서 지낸다. 갯벌과 농경지에서 지내며, 조개류와 기타 뼈가 없는 동물도 먹지만 옥수수, 밀, 보리와 풀씨, 풀뿌리 등을 더욱 즐겨 먹는다.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는 경기도 파주군 교하면 산남리, 문발리, 신촌리와 김포군 하성면 사이의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삼각주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부터 재두루미가 이곳에서 겨울을 지냈다고 한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한강 상류에 댐을 만들고 농지를 넓히는 계획에 따라 수문(水門)설치와 군의 석축(石築)공사 등에 의해 물의 높이와 소금의 농도가 변하면서 수송나물, 칠면초, 매자기 등 재두루미의 먹이가 감소되었다. 현재 그 자리에는 소금농도에 강한 갈대와 갯개미취 또는 띠가 무성하게 자랐다. 이러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한강 하구 삼각주에서 겨울을 지내던 재두루미 집단은 점차 일본으로 옮겨가 겨울을 지내고 있으며, 현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수의 개리(천연기념물 제325호)가 도래하는 지역이 되고 있다. 한강하류의 재두루미 도래지는 우리나라에서 재두루미가 겨울을 지내는 대표적인 지역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ValueCountFrequency (%)
있다 26
 
1.6%
9
 
0.5%
7
 
0.4%
있으며 7
 
0.4%
조선 6
 
0.4%
함께 6
 
0.4%
등을 5
 
0.3%
있는 5
 
0.3%
자는 4
 
0.2%
위해 4
 
0.2%
Other values (1383) 1593
95.3%
2023-12-13T05:35:11.52021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Most occurring characters

ValueCountFrequency (%)
1654
 
20.2%
169
 
2.1%
( 165
 
2.0%
) 165
 
2.0%
143
 
1.7%
133
 
1.6%
129
 
1.6%
. 122
 
1.5%
119
 
1.4%
112
 
1.4%
Other values (741) 5296
64.5%

Most occurring categories

ValueCountFrequency (%)
Other Letter 5560
67.7%
Space Separator 1654
 
20.2%
Decimal Number 410
 
5.0%
Other Punctuation 223
 
2.7%
Open Punctuation 166
 
2.0%
Close Punctuation 166
 
2.0%
Lowercase Letter 9
 
0.1%
Math Symbol 9
 
0.1%
Initial Punctuation 4
 
< 0.1%
Final Punctuation 4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category

Other Letter
ValueCountFrequency (%)
169
 
3.0%
143
 
2.6%
133
 
2.4%
129
 
2.3%
119
 
2.1%
112
 
2.0%
100
 
1.8%
89
 
1.6%
83
 
1.5%
71
 
1.3%
Other values (713) 4412
79.4%
Decimal Number
ValueCountFrequency (%)
1 94
22.9%
2 57
13.9%
5 45
11.0%
6 40
9.8%
9 36
 
8.8%
8 31
 
7.6%
3 31
 
7.6%
7 30
 
7.3%
4 24
 
5.9%
0 22
 
5.4%
Other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22
54.7%
, 84
37.7%
· 10
 
4.5%
: 4
 
1.8%
2
 
0.9%
1
 
0.4%
Open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65
99.4%
1
 
0.6%
Close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 165
99.4%
1
 
0.6%
Lowercase Letter
ValueCountFrequency (%)
m 7
77.8%
k 2
 
22.2%
Math Symbol
ValueCountFrequency (%)
~ 5
55.6%
4
44.4%
Space Separator
ValueCountFrequency (%)
1654
100.0%
Initi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4
100.0%
Final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4
100.0%
Other Symbol
ValueCountFrequency (%)
2
100.0%

Most occurring script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5259
64.1%
Common 2638
32.1%
Han 301
 
3.7%
Latin 9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script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69
 
3.2%
143
 
2.7%
133
 
2.5%
129
 
2.5%
119
 
2.3%
112
 
2.1%
100
 
1.9%
89
 
1.7%
83
 
1.6%
71
 
1.4%
Other values (488) 4111
78.2%
Han
ValueCountFrequency (%)
8
 
2.7%
5
 
1.7%
5
 
1.7%
4
 
1.3%
4
 
1.3%
4
 
1.3%
3
 
1.0%
3
 
1.0%
3
 
1.0%
3
 
1.0%
Other values (215) 259
86.0%
Common
ValueCountFrequency (%)
1654
62.7%
( 165
 
6.3%
) 165
 
6.3%
. 122
 
4.6%
1 94
 
3.6%
, 84
 
3.2%
2 57
 
2.2%
5 45
 
1.7%
6 40
 
1.5%
9 36
 
1.4%
Other values (16) 176
 
6.7%
Latin
ValueCountFrequency (%)
m 7
77.8%
k 2
 
22.2%

Most occurring blocks

ValueCountFrequency (%)
Hangul 5259
64.1%
ASCII 2618
31.9%
CJK 301
 
3.7%
None 15
 
0.2%
Punctuation 8
 
0.1%
Math Operators 4
 
< 0.1%
CJK Compat 2
 
< 0.1%

Most frequent character per block

ASCII
ValueCountFrequency (%)
1654
63.2%
( 165
 
6.3%
) 165
 
6.3%
. 122
 
4.7%
1 94
 
3.6%
, 84
 
3.2%
2 57
 
2.2%
5 45
 
1.7%
6 40
 
1.5%
9 36
 
1.4%
Other values (9) 156
 
6.0%
Hangul
ValueCountFrequency (%)
169
 
3.2%
143
 
2.7%
133
 
2.5%
129
 
2.5%
119
 
2.3%
112
 
2.1%
100
 
1.9%
89
 
1.7%
83
 
1.6%
71
 
1.4%
Other values (488) 4111
78.2%
None
ValueCountFrequency (%)
· 10
66.7%
2
 
13.3%
1
 
6.7%
1
 
6.7%
1
 
6.7%
CJK
ValueCountFrequency (%)
8
 
2.7%
5
 
1.7%
5
 
1.7%
4
 
1.3%
4
 
1.3%
4
 
1.3%
3
 
1.0%
3
 
1.0%
3
 
1.0%
3
 
1.0%
Other values (215) 259
86.0%
Punctuation
ValueCountFrequency (%)
4
50.0%
4
50.0%
Math Operators
ValueCountFrequency (%)
4
100.0%
CJK Compat
ValueCountFrequency (%)
2
100.0%

데이터기준일자
Categorical

CONSTANT 

Distinct1
Distinct (%)4.3%
Missing0
Missing (%)0.0%
Memory size316.0 B
2023-07-31
23 

Length

Max length10
Median length10
Mean length10
Min length10

Unique

Unique0 ?
Unique (%)0.0%

Sample

1st row2023-07-31
2nd row2023-07-31
3rd row2023-07-31
4th row2023-07-31
5th row2023-07-31

Common Values

ValueCountFrequency (%)
2023-07-31 23
100.0%

Length

2023-12-13T05:35:11.64139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Histogram of lengths of the category

Common Values (Plot)

2023-12-13T05:35:11.71669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ValueCountFrequency (%)
2023-07-31 23
100.0%

Correlations

2023-12-13T05:35:12.064622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지정구분문화재종류문화재명분류시대소재지문화재설명
지정구분1.0000.9931.0001.0000.0001.0001.000
문화재종류0.9931.0001.0000.9600.3131.0001.000
문화재명1.0001.0001.0001.0001.0001.0001.000
분류1.0000.9601.0001.0000.0000.9491.000
시대0.0000.3131.0000.0001.0001.0001.000
소재지1.0001.0001.0000.9491.0001.0001.000
문화재설명1.0001.0001.0001.0001.0001.0001.000
2023-12-13T05:35:12.159118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지정구분시대문화재종류
지정구분1.0000.0000.779
시대0.0001.0000.224
문화재종류0.7790.2241.000
2023-12-13T05:35:12.254109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지정구분문화재종류시대
지정구분1.0000.7790.000
문화재종류0.7791.0000.224
시대0.0000.2241.000

Missing values

2023-12-13T05:35:08.205594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A simple visualization of nullity by column.
2023-12-13T05:35:08.388887image/svg+xmlMatplotlib v3.7.2, https://matplotlib.org/
Nullity matrix is a data-dense display which lets you quickly visually pick out patterns in data completion.

Sample

지정구분문화재종류문화재명분류시대소재지문화재설명데이터기준일자
0국가보물묘법연화경<권제7>제1225호조선경기도 김포시 승가로 123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다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화엄경와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이 책은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크기는 세로 32.5㎝, 가로 23㎝이며, 2책으로 만든 권7의 내용 중 뒷부분에 해당한다. 세조 때 불경을 한글로 풀어 쓰는 작업을 위해 설치한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한 것이다. 본문과 계환(戒環)이 해석을 달아 놓은 부분은 한글로 풀어쓰고 있으며, 책 끝에는 만들게 된 경위를 적은 김수온(1333∼1382)의 글이 있다.세조 9년(1463)에 간경도감에서 목판에 새긴 것을, 성종 3년(1472)년에 인수대비가 세조·예종· 의경왕·인성대군의 명복을 빌기 위한 목적에서 찍어낸 것이다. 당시 인수대비가 찍어낸 29종의 불경 중 묘법연화경이 간경도감에서 간행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2023-07-31
1국가사적김포 문수산성제139호조선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문수산로 102-381694년(숙종 20년)에 축성된 문수산성은 강화 갑곶진(甲串鎭)과 더불어 강화해협을 지키는 요새다. 명칭은 신라 혜공왕(재위 765∼780) 때 산 정상에 창건된 문수사(文殊寺)라는 절에서 유래됐으며 1964년 사적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1866년(고종 3년) 병인양요 때는 프랑스군(軍)과 일대 격전을 벌이면서 해안 쪽 성벽과 문루가 파괴되고, 성내가 크게 유린되었다. 해안 쪽 성벽은 없어지고 마을이 들어섰으며, 문수산 등성이를 연결한 성곽만 남았으나 서문과 북문이 복원되었고, 총 6km에 이르는 산성 중 4km가 남아있다.2023-07-31
2국가사적김포 장릉제202호조선경기도 김포시 장릉로 79장릉은 조선 16대 인조(1623~1649)의 생부인 원종과 그의 비 인헌왕후 구씨의 능이다. 원종은 선조의 다섯째 아들 정원군으로 용모가 출중하고 태도가 신중했으며, 효성과 우애가 남달라 선조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 정원군은 처음엔 양주군 곡촌리에 묻혔다. 큰아들 능양군(인조)이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자 정원군은 대원군에 봉해졌고, 묘가 원으로 추숭되어 흥경원(興慶園)이라 했다. 1627년 인조는 정원군묘를 김포현의 성산 언덕으로 천장했고, 1632년 다시 왕으로 추존하여 묘호를 원종, 능호를 장릉이라 했다. 인헌왕후는 아들(인조)이 즉위하자 연주부부인이 되었고, 궁호를 계운궁(啓雲宮)이라 했다. 1626년 49세로 세상을 떠났으며 김포 성산 언덕에 예장하고 원호를 육경원(毓慶園)이라 했다. 흥경원을 이곳으로 다시 천장하면서 원호를 흥경원이라 합쳐 불렀다. 능의 규모와 규격은 조선 중기의 전형을 말해주고 있는 듯 하고, 능 아래는 제사를 지내는 재실이 있으며, 조선 21대 영조와 22대 정조가 매년 행차하여 제사를 모시던 건물이며, 능 주위는 공원처럼 꾸며져 있다. 서울에서의 교통도 편리해서 휴일이면 이곳으로 야유회를 나오는 사람들이 많다2023-07-31
3국가사적김포 덕포진제292호조선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덕포진로103번길 224-4강화만을 거쳐 서울로 진입하는 길목인 손돌목에 천혜의 지형을 이용해 설치한 조선시대의 군영 덕포진은 신미양요와 병인양요 때 서구 열강과 치열하게 싸웠던 격전지로 역사적 가치와 유물사적 의의를 가진 곳이다.1981년 전 문화원장 김기송씨가 사비를 들여 발굴작업이 시작되었다. 현재는 포대와 파수대가 복원되었고 2007년 새 단장한 덕포진 유물전시관에는 조선 후기 사용했던 포의 위치와 포의 유효거리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2023-07-31
4국가천연기념물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제250호<NA>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조강리 하성면 후평리 외 7리재두루미는 트란스바이칼리아 지방, 중국, 칸카호반, 우수리지방 등지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서 지낸다. 갯벌과 농경지에서 지내며, 조개류와 기타 뼈가 없는 동물도 먹지만 옥수수, 밀, 보리와 풀씨, 풀뿌리 등을 더욱 즐겨 먹는다. 한강 하류 재두루미 도래지는 경기도 파주군 교하면 산남리, 문발리, 신촌리와 김포군 하성면 사이의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삼각주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부터 재두루미가 이곳에서 겨울을 지냈다고 한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한강 상류에 댐을 만들고 농지를 넓히는 계획에 따라 수문(水門)설치와 군의 석축(石築)공사 등에 의해 물의 높이와 소금의 농도가 변하면서 수송나물, 칠면초, 매자기 등 재두루미의 먹이가 감소되었다. 현재 그 자리에는 소금농도에 강한 갈대와 갯개미취 또는 띠가 무성하게 자랐다. 이러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한강 하구 삼각주에서 겨울을 지내던 재두루미 집단은 점차 일본으로 옮겨가 겨울을 지내고 있으며, 현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수의 개리(천연기념물 제325호)가 도래하는 지역이 되고 있다. 한강하류의 재두루미 도래지는 우리나라에서 재두루미가 겨울을 지내는 대표적인 지역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2023-07-31
5국가등록문화재구 김포성당제542호<NA>경기도 김포시 북변로 29-121950년대 석조 성당 건축물의 대표작, 천주교 인천교구 김포성당 김포성당은 1910년 걸포리 공소로 출발하여 1948년 걸포리 본당으로 승격된 후 김포 본당으로 명칭을 바꾸었다가 1956년 지금의 위치로 이전 신축하였다 1956년 12월 준공된 김포성당 건물은 한국전쟁 이후에 건축된 석조 성당의 전형적인 의장적 특징(종탑과 뾰족한 아치 창호)과 공간적 특징(단일 홀로 구성된 강당형 평면),화강석 조적 구법(벽돌 등을 쌓아올리는 건축방식) 특징을 잘 간직한 1950년대의 석조 성당 건축을 대표하는 건물로 건축학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2023-07-31
6국가무형문화재문배주제86-1호<NA>김포시 통진읍 검암2로15번길 27문배주는 평안도 지방에서 전승되어 오는 술로 술의 향기가 문배나무의 과실에서 풍기는 향기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문배주는 해방전에는 평양 대동강 유역의 석회암층에서 솟아나는 지하수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원료는 밀·좁쌀·수수이며, 누룩의 주원료는 밀이다. 술의 색은 엷은 황갈색을 띠며 문배향이 강하고, 알코올 도수는 본래 40도 정도이지만 증류 및 숙성이 끝난 문배주는 48.1도에 달하므로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다. 보통 6개월∼1년 동안 숙성시켜 저장하는데 문배나무의 과실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문배향을 풍기는 특징이 있다.2023-07-31
7지방유형문화재우저서원제10호조선경기도 김포시 중봉로25번길 87 (감정동)우저서원(牛渚書院)은 조헌(趙憲)선생을 봉사(奉祀)하기 위하여 인조26년(1648)에 창건되어 숙종 원년(1675)에 사액되었다. 선생의 구저지(舊邸地)에 세워진 것으로 목조 단층 와즙건물로 본당, 외삼문, 비각, 내삼문 등이 있다. 선생은 명종22년(1567)에 급제하여 많은 관직을 역임하였다. 선조5년(1572) 홍문관 정자로 왕의 불공이 옳지 않음을 극간(極諫)하다가 파면(罷免)되는 등 바른 말을 잘 하였다. 선조5년(1586)에 보은현감(報恩縣監)으로서 소를 올려 노산군(단종)의 후사(後嗣)를 세울 것과 사육신의 정문(程文)을 세워 표충할 것을 청하였으며 선조19년(1586)에 공주제독(公州提督)으로 있을 때 소를 올려 이이선생을 변호하고 정여립의 행패를 통박하였으나 각하하므로 벼슬을 내놓고 옥천으로 돌아갔다. 선조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켜 보은의 통로를 차단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순찰사 윤선각(尹先覺)의 시기를 받아 홍성지방으로 옮겨가 의병을 모집하였다. 이때 왜적이 청주에 진치고 있어 관군이 여러번 패하고 승장(僧將) 영규(靈圭)의 군사만이 적을 견제하고 있어 영규와 합세하여 청주성을 탈환하였다. 뒤이어 금산의 적이 충청도 일대를 석권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영규와 함께 전주에 내려가 700명의 의사를 얻고 그 길로 금산을 향해 금산10리 밖에 이르러 역습(逆襲)해 오는 적을 맞아 역전분투하여 적에게 많은 손해를 입혔으나 힘이 다하여 조헌, 영규이하 700의사가 전원순절하니 한무덤에 700의사를 모시어 700의총이라 하게 되었다. 선생은 고경명(高敬命), 김천일(金千鎰),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임진사 충신으로 일컬어 진다.2023-07-31
8지방유형문화재조헌선생 유허추모비제90호조선경기도 김포시 중봉로25번길 87 (감정동)조헌의 본관은 백천(白川)이요, 아호(雅號)는 중봉(重峯)이고 자(字)는 여식(汝式) 시호(詩號)는 문열(文烈)이고 관직은 보은현감이며 증직(贈職)으로 처음에 이조판서를 증직(贈職)하였다가 추후에 영의정을 증직하였으며 부(父)는 이조판서 응지(應祉)이시고 모(母)는 증정부인 용성차(龍城車)씨이다. 중종 39년(1544) 6월 28일 김포시 감정동에 출생하시었고 선조25년(1592) 8월 18일 순절(殉節)하시었다. 순국기일(殉國忌日)인 음력 8월18일에 연1회 향사(享祀)를 봉행하고 있다. 유허비는 광해군 5년(1613)에 유림인 신응순(申應崧)과 심폭(沈幅), 허완(許完)의 발의 출연으로 선생이 출생하시어 성장하신 옛 집자리에 이정구(李廷龜)선생의 선문으로 비를 세웠다.2023-07-31
9지방유형문화재문수사 풍담대사 부도 및 비제91호조선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 산36-2조선시대의 고승 풍담대사 의심(義諶:1592~1665)의 묘탑과 그 탑비이다. 문수사 뒷편의 문수산 정상 가까이에 자리하고 있다. 탑은 통일신라 이후 많이 사용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으로, 방형(方形)의 지대석 위에 8각의 기단부를 얹고, 그 위에 탑신, 옥개석 순으로 배치하였다. 하대석의 각 측면에는 안상(眼象)문을 새기고 윗단은 연꽃무늬를 둘렀다. 8각형의 옥개석은 뾰족하고 급하게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꼭대기에는 복발(覆鉢:스님들의 밥그릇인 바리때를 엎어 놓은 모양)과 보륜(寶輪:탑의 상륜부에 있는 바퀴모양의 금속 장식), 보주(寶珠:탑의 상륜부에 있는 구슬모양의 장식)가 놓여 있다. 비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비몸이 꽂혀 있으며, 그 위의 머릿돌은 비몸과 한 돌로 이루어져 있다. 비몸 윗부분에는 ‘풍담대사비’라 새기고, 그 아래로 대사의 생애와 행적을 기록하였다. 머릿돌에는 구름무늬가 촘촘히 박혀 있어서 마치 여러 송이의 꽃을 보는 듯 하다.2023-07-31
지정구분문화재종류문화재명분류시대소재지문화재설명데이터기준일자
13지방유형문화재금정사 석조여래좌상제275호조선경기도 김포시 승가로 125김포의 전통사찰 가운데 하나인 금정사는 신라 진흥왕(540~576)때 창건된 고상사(高上寺)로 알려져 있다. 조선 인조5년(1627년) 부근에 인조의 아버지 원종의 무덤인 장릉이 세워지면서 봉릉사(奉陵寺)로 개명되어 장릉의 원찰로서 기능하였다. 이후 폐허가 되었던 것을 여러 차례 중수하였고 1974년 비구니 정념이 크게 중건불사를 일으키면서 ‘하늘우물’이라는 뜻의 금정사(金井寺)로 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2023-07-31
14지방기념물한재당제47호조선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평화공원로 101한재당(寒齋堂)은 조선중기 문신으로 무오사화 때 28세의 나이로 화를 입은 이목(李穆) 선생의 위패를 봉인한 사당으로 1849년에 건립된 구사당과 1974년에 건립한 신사당이 있다 구사당은 맞배지붕 목조와가로 정면3칸, 측면2칸이며 일주문과 담장이 둘러 있었으나 신사당 건립으로 인해 현재는 담장만 남아있다. 신축사당은 건평 12평의 콘크리트 건물에 위패를 봉안(奉安)하고 숙종43년(1717)과 경종2년(1722)에 추증(追贈)한 교지가 함께 보관되어 있다.2023-07-31
15지방기념물고정리 지석묘제91호청동기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고정리 609-1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탁자식과 바둑판식으로 구분되는데, 탁자식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서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놓은 것이고, 바둑판식은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뚜껑돌을 덮고 그 위에 거대한 덮개돌을 올린 형태이다. 통진읍 고정리 뒤편의 구릉지대에 3기의 고인돌이 있는데 이 가운데 1기는 탁자식 고인돌로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 2.3m, 두께 0.83m이다. 나머지 2기는 받침돌 부분이 땅 속에 묻혀 정확한 구조를 확인하기 어렵다.2023-07-31
16지방기념물갑곶나루 선착장 석축로제108호고려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성동리 271-22갑곶나루 선착장 석축로(石築路)는 성동리와 강화군 갑곶리 사이를 배편으로 연결하던 나루터이다. 갑곶이라는 명칭은 고려 23대 고종이 몽고군의 침입을 당하여 강화도를 몽진할 때 이곳이 대안과의 거리도 짧고 수심이 얕아서 군사들이 갑옷을 벗어 쌓아놓고 건널 수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이곳은 정묘호란(丁卯胡亂) 당시에도 인조 임금이 건넜던 사실이 있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당시에는 봉림대군이 수어했던 곳이기도 하며 병인양요(丙寅洋擾)때에는 격전을 치루었던 역사적 실전의 현장이기도 한곳이다.2023-07-31
17지방기념물수안산성제159호삼국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율생리 산117일원김포시 대곶면의 수안산 정상부에 위치한 테뫼식(성곽의 축조지형의 산의 정상을 중심으로 함) 석축산성이다. ‘수안산(燧安山)’이라는 명칭은 정상부에 조선시대의 봉화대(봉수대烽燧臺)가 있어 이름 붙여진 것으로, 수안산성(守安山城)을 수안산성(燧安山城)이라고도 쓴다. 지리적으로 강화도와 마주보며 육지로 통하는 길목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로, 수안산 봉수는 남쪽으로는 김포 백석산 봉수에 응하고, 바다 건너 강화 대모산 봉수에 응하였다고 한다. 산성의 둘레는 578.5m로, 성벽은 남벽 일부에서만 확인되고 있다. 잔존 성벽의 규모는 높이 2.2m(10단)로 원 성벽의 높이는 3m이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적인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여 외부에 돌을 쌓는 축조방법은 한강유역 통일신라의 산성 양식과 비슷하며, 출토된 유물 등을 보아도 신라 진흥왕시기 한강하류 지역을 장악하고 쌓은 성으로 생각된다.2023-07-31
18문화재자료김포향교제29호고려경기도 김포시 북변중로25번길 38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김포향교는 고려 인종5년(1127)에 처음 지었다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 1960년대 이래 여러차례에 걸쳐 보수하였다. 건물 배치는 전학후묘의 형태로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뒤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배치하였다.그 외에 재실(齋室)과 출입구 구실을 하는 외삼문과 내삼문이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로,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부리 모양으로 짜맞춘 익공 양식으로 꾸몄다. 옆면과 뒷면에는 방화벽을 설치하였다. 안쪽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2023-07-31
19문화재자료통진향교제30호고려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군하로 220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통진향교는 고려 인종5년(1127)에 처음 지었다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 일제시대에 폐쇄되었다가 광복 후 그 기능을 되찾았다.2023-07-31
20문화재자료권상묘역제109호조선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마조리 산 24-4권상(權常)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으로 자는 길재(吉載)이며 아버지는 전생서 참봉(典牲署 參奉) 진(振)이다. 7세에 아버지를 잃었는데 호곡(號哭)함이 마치 어른과 같았으며, 효가 지극하였다는 사신(史臣)의 평이 있다. 1528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1583년 선공감정(繕工監正)에 이르렀으며, 이 해에 효행으로 천거되어 통정(通政)의 계급에 올랐다. 1587년 가선(嘉善)의 위계를 받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가 되었다.2023-07-31
21문화재자료통진 이청제166호조선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군하로 276번길 27조선시대 통진부의 이청(吏廳) 건물로 정면 7칸, 측면 2칸의 규모이다. 『통진읍지』기록에 의하면 통진에 있는 대부분의 관아를 기사년(1869년)에 부사 백낙선이 중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3·1운동 당시에는 주재소로 쓰였다는 기록도 남아있다. 현존하는 조선시대 관아건축의 수는 극히 소량으로 경기도에는 평택의 팽성객사, 안성의 안성객사, 양주의 양주관아지 정도가 전하고 있다. 이들과 함께 경기도 관아건축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2023-07-31
22무형문화재김포 통진두레놀이제23호<NA><NA>통진두레놀이는 우리나라 최초로 벼농사가 시작된 통진읍 가현리 일대의 두레에서 비롯됐다. 1997년 제38회 전국민속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통진두레놀이는 1998년 4월 13일 무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됐다. 통진두레놀이는 매년 단오제와 김포문화예술제 등에서 볼 수 있으며 통진읍 48번 국도변에 통진두레문화센터가 건축되어 전승보전되고 있다.2023-07-31